KR101208992B1 - 침사물 세척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침사물 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침사물 세척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침사물 처리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08992B1 KR101208992B1 KR1020120093558A KR20120093558A KR101208992B1 KR 101208992 B1 KR101208992 B1 KR 101208992B1 KR 1020120093558 A KR1020120093558 A KR 1020120093558A KR 20120093558 A KR20120093558 A KR 20120093558A KR 101208992 B1 KR101208992 B1 KR 10120899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diment
- casing
- immersion
- sand
- washing wat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67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4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5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4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32258 trans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638 chemical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054 agglom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76 aggre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6—Water distributors either inside a treatment tank or directing the water to several treatment tanks; Water treatment plants incorporating these distributors, with or without chemical or biological tan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2—Extraction using liquids, e.g. washing, leaching, flot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oi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침사물 처리시스템의 침사물 세척장치를 측단면이 보이도록 절단하여 도시한 종단면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침사물 세척장치의 내부를 위에서 볼 수 있도록 절단하여 도시한 종단면도.
도 4는 도 2의 I-I를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침사물 세척장치의 횡단면도.
도 5는 도 2의 II-II를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침사물 세척장치의 횡단면도.
도 6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침사물 세척장치의 세척수 공급라인 일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침사물 처리시스템의 침사물 분리장치를 측단면이 보이도록 절단하여 도시한 종단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침사물 분리장치의 횡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사물 세척장치 내에 고상 또는 슬러지상의 침사물이 투입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
도 10은 9에 보이는 것과 같은 고상 또는 슬러지 상의 침사물이 침사물 세척장치 내의 경사진 침사물 이송 케이싱을 이송하면서 고압의 세척수에 의해 액체 상태로 풀어지면서 세척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
도 11은 침사물 세척장치에 후속하는 침사물 분리장치의 버켓이 물로부터 분리된 모래를 이송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
도 12는 도 11에 보이는 침사물 분리장치의 모래 배출 슈트를 통해 모래가 배출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
도 13은 종래 침사물 세척장치에서 스크래퍼가 침사물을 이송시키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
13: 주 분사 노즐 14, 14a, 14b: 중간 분사 노즐
15: 세척수 공급라인 122, 122a, 122b: 침사물 투입부
124: 침사물 배출부 20: 침사물 분리장치
22: 침사물 분리 케이싱 22a: 수평부
22b: 분사부 23: 체인
24, 24a, 24b, 24c: 체인 스프로켓
25: 버켓 221: 드레인
223: 모래 배출 슈트 224: 침사물 반입부
225: 버켓 안내 가이드 252: 스크래퍼
254: 물 빠짐 구멍
Claims (10)
- 시작단으로부터 종료단까지 아래로 경사지게 연장된 침사물 이송 케이싱;
상기 시작단과 상기 종료단 사이에서 상기 침사물 이송 케이싱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침사물 투입부;
상기 종료단 부근에서 상기 침사물 이송 케이싱의 단면 하부에 마련되어, 침사물을 배출시킴과 동시에 침사물에 낙하 충격을 가하는 침사물 배출부;
침사물을 이송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침사물 이송 케이싱 내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주 분사 노즐; 및
상기 침사물 이송 케이싱을 따라 이송 중인 침사물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하나 이상의 중간 분사 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주 분사 노즐은 복수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개의 주 분사 노즐은, 상기 침사물 투입부보다 앞선 위치에 있도록, 상기 침사물 이송 케이싱의 시작단 측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주 분사 노즐은, 상기 침사물 이송 케이싱 내 세척수 분사 범위를 넓히도록, 서로 다른 각도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사물 세척장치. - 삭제
- 시작단으로부터 종료단까지 아래로 경사지게 연장된 침사물 이송 케이싱;
상기 시작단과 상기 종료단 사이에서 상기 침사물 이송 케이싱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침사물 투입부;
상기 종료단 부근에서 상기 침사물 이송 케이싱의 단면 하부에 마련되어, 침사물을 배출시킴과 동시에 침사물에 낙하 충격을 가하는 침사물 배출부;
침사물을 이송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침사물 이송 케이싱 내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주 분사 노즐; 및
상기 침사물 이송 케이싱을 따라 이송 중인 침사물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하나 이상의 중간 분사 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침사물 투입부는 제1 침사물 투입부와 제2 침사물 투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중간 분사 노즐은, 상기 제1 침사물 투입부와 상기 제2 침사물 투입부 사이에서 상기 침사물 이송 케이싱의 단면 상부에 설치된 제1 중간 분사 노즐과, 상기 제2 침사물 투입부와 상기 침사물 배출부 사이에서 상기 침사물 케이싱의 단면 상부에 설치된 제2 중간 분사 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중간 분사 노즐 및 상기 제2 중간 분사 노즐 각각은 상기 침사물 흐름의 상류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사물 세척장치. - 시작단으로부터 종료단까지 아래로 경사지게 연장된 침사물 이송 케이싱;
상기 시작단과 상기 종료단 사이에서 상기 침사물 이송 케이싱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침사물 투입부;
상기 종료단 부근에서 상기 침사물 이송 케이싱의 단면 하부에 마련되어, 침사물을 배출시킴과 동시에 침사물에 낙하 충격을 가하는 침사물 배출부;
침사물을 이송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침사물 이송 케이싱 내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주 분사 노즐; 및
상기 침사물 이송 케이싱을 따라 이송 중인 침사물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하나 이상의 중간 분사 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침사물 이송 케이싱은, 상기 침사물의 유동을 돕도록 "U" 형 단면을 갖는 케이싱 본체와, 상기 케이싱 본체의 상부를 덮는 케이싱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 본체는 상기 시작단으로부터 상기 종료단까지 일정 기울기로 연속적으로 이어지며, 상기 케이싱 덮개에는 상기 침사물 투입부와, 상기 침사물 이송 케이싱의 내부를 점검하기 위한 점검구가 설치되고, 상기 점검구는 상기 침사물 배출부의 바로 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사물 세척장치. - 청구항 1, 3,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 분사 노즐과 상기 중간 분사 노즐에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세척수 공급 라인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세척수 공급라인은 주 라인과 바이패스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주 라인에는 주 라인 개폐 밸브와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사물 세척장치. - 침사물 제거장치에 의해 침사지로부터 인양된 침사물을 처리하는 침사물 처리시스템으로서,
상기 인양된 침사물을 무동력으로 이송시키면서 세척수로 세척하는 침사물 세척장치와;
상기 침사물 세척장치에서 1차 세척된 침사물을 받아 침사물 내 모래와 물을 분리하는 침사물 분리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침사물 세척장치는, 시작단으로부터 종료단까지 아래로 경사지게 연장된 침사물 이송 케이싱과, 상기 시작단과 상기 종료단 사이에서 상기 침사물 이송 케이싱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침사물 투입부와, 상기 종료단 부근에서 상기 침사물 이송 케이싱의 단면 하부에 형성되어, 배출이 이루어지는 침사물에 낙하 충격을 가하는 침사물 배출부와, 침사물을 이송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침사물 이송 케이싱 내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주 분사 노즐과, 상기 침사물 이송 케이싱을 따라 이송 중인 침사물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하나 이상의 중간 분사 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침사물 분리장치는, 침사물 반입부, 배수를 위한 드레인, 그리고 모래 배출 슈트 갖는 침사물 분리 케이싱과; 상기 침사물 분리 케이싱 내에 설치되어 침사물로부터 분리된 모래를 이송하여 상기 모래 배출 슈트로 배출하는 컨베이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침사물 분리 케이싱은 말단 하부에 상기 드레인이 설치된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로부터 일정 기울기로 경사지게 상향 연장되되 말단 하부에는 상기 모래 배출 슈트가 설치된 경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컨베이어 유닛은 상기 수평부와 상기 경사부를 지나는 경로를 따라 선회 이동하는 체인과, 상기 체인을 지지하면서 상기 체인을 선회 구동시키는 복수의 체인 스프로켓과, 상기 체인의 반대편에 개방단이 놓이도록 상기 체인에 설치된 복수의 버켓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버켓 각각은 상기 체인의 하부에 있을 때 침사물 내 모래를 수집하고, 상기 체인의 상부에 있을 때 상기 수집된 모래를 담아 상기 모래 배출 슈트까지 운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사물 처리시스템. - 삭제
- 삭제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버켓 각각은 상기 개방단에 모래를 끌어 모으기 위한 스크래퍼를 구비하며, 상기 버켓이 상기 체인의 하부에 있을 때, 상기 스크래퍼는 상기 침사물 분리 케이싱의 바닥과의 사이에 갭을 형성하며, 상기 수평부의 말단 부근에는 상기 드레인과 인접하게 버켓 안내 가이드가 설치되되, 상기 스크래퍼가 상기 버켓 안내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모래를 상기 버켓 내로 담으며, 상기 버켓에는 복수의 물 빠짐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사물 처리시스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93558A KR101208992B1 (ko) | 2012-08-27 | 2012-08-27 | 침사물 세척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침사물 처리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93558A KR101208992B1 (ko) | 2012-08-27 | 2012-08-27 | 침사물 세척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침사물 처리시스템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18339A Division KR20140027857A (ko) | 2012-10-24 | 2012-10-24 | 침사물 세척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침사물 처리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08992B1 true KR101208992B1 (ko) | 2012-12-06 |
Family
ID=47907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93558A Active KR101208992B1 (ko) | 2012-08-27 | 2012-08-27 | 침사물 세척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침사물 처리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08992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043981A (zh) * | 2016-07-26 | 2016-10-26 | 联盛纸业(龙海)有限公司 | 一种造纸污水处理用厌氧颗粒污泥存储装置 |
CN106215470A (zh) * | 2016-08-16 | 2016-12-14 | 中电建水环境治理技术有限公司 | 河湖泊涌污染底泥处理沉沙池与泥沙分离系统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29704A (ja) | 1999-07-21 | 2001-02-06 | Tenkou:Kk | 沈澱物移送装置 |
JP2001276898A (ja) | 2000-03-31 | 2001-10-09 | Kumagai Gumi Co Ltd | 浚渫土砂の処理装置 |
KR100988047B1 (ko) | 2009-03-12 | 2010-10-18 | (주) 삼우이엔지 | 토양의 오염물질 세척방법 및 시스템 |
-
2012
- 2012-08-27 KR KR1020120093558A patent/KR101208992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29704A (ja) | 1999-07-21 | 2001-02-06 | Tenkou:Kk | 沈澱物移送装置 |
JP2001276898A (ja) | 2000-03-31 | 2001-10-09 | Kumagai Gumi Co Ltd | 浚渫土砂の処理装置 |
KR100988047B1 (ko) | 2009-03-12 | 2010-10-18 | (주) 삼우이엔지 | 토양의 오염물질 세척방법 및 시스템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043981A (zh) * | 2016-07-26 | 2016-10-26 | 联盛纸业(龙海)有限公司 | 一种造纸污水处理用厌氧颗粒污泥存储装置 |
CN106043981B (zh) * | 2016-07-26 | 2017-02-15 | 联盛纸业(龙海)有限公司 | 一种造纸污水处理用厌氧颗粒污泥存储装置 |
CN106215470A (zh) * | 2016-08-16 | 2016-12-14 | 中电建水环境治理技术有限公司 | 河湖泊涌污染底泥处理沉沙池与泥沙分离系统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754462B2 (ja) | 沈砂池の集砂装置 | |
US7565981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materials | |
KR200483813Y1 (ko) | 침사 인양 및 처리장치 | |
KR102081851B1 (ko) | 스컴제거부를 구비한 선회류식 협잡물처리기 | |
JP4678627B2 (ja) | 洗浄処理方法ならびに洗浄処理装置 | |
KR101208992B1 (ko) | 침사물 세척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침사물 처리시스템 | |
KR102141076B1 (ko) | 무빙스크린을 이용한 종합처리기 | |
KR20140027857A (ko) | 침사물 세척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침사물 처리시스템 | |
KR100422340B1 (ko) | 건축폐기물 습식 분류장치 | |
KR100811013B1 (ko) | 달팽이관 노즐을 이용한 침사세정장치 | |
KR200332864Y1 (ko) |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시스템의 골재 세척장치 | |
KR101816904B1 (ko) | 침사 및 부유물을 동시에 처리 가능한 대차형 침사처리장치 | |
JP4141229B2 (ja) | 沈砂池からの固形物の流体移送装置 | |
KR20050017356A (ko) |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시스템의 골재 세척장치 | |
JP4981734B2 (ja) | 沈砂池 | |
KR101490083B1 (ko) | 침사물에 포함된 모래 및 협잡물의 분리 배출 시스템 | |
KR101452850B1 (ko) | 자연 유입식 슬러지 수집장치 | |
JP4928438B2 (ja) | 浮上分離装置および浮上分離方法 | |
CA3043713C (en) | Pre-treatment of oil sands fine tailings by debris removal | |
KR200390469Y1 (ko) | 슬러지처리용 스크레이퍼(30)를 갖춘 쓰레기분리수조 | |
KR200417549Y1 (ko) | 침사용 타공이송 컨베이어 | |
KR101166327B1 (ko) | 폐수처리용 다열주입식 가압부상조 | |
JP7406523B2 (ja) | 沈砂洗浄装置 | |
JP2000237507A (ja) | し渣搬送方法 | |
KR200271389Y1 (ko) | 건축폐기물 습식 분류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2082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0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210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21024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1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11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9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2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08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2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2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1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2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0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0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