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8824B1 - Urinal for disabled person - Google Patents
Urinal for disabled pers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08824B1 KR101208824B1 KR1020100068186A KR20100068186A KR101208824B1 KR 101208824 B1 KR101208824 B1 KR 101208824B1 KR 1020100068186 A KR1020100068186 A KR 1020100068186A KR 20100068186 A KR20100068186 A KR 20100068186A KR 101208824 B1 KR101208824 B1 KR 10120882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rinal
- head
- urine
- control valve
- drain pip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3/00—Urinals ; Means for connecting the urinal to the flushing pipe and the wastepipe; Splashing shields for urina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A61G9/006—Urinal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1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 E03D5/105—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touchless, e.g. using senso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2017/006—Defecation help for disabled pers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애인 및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을 위한 소변기에 관한 것이다.
고정체에 탈부착되는 소변기 헤드를 구비한 소변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로부터 탈거한 소변기 헤드를 통해 유출되는 소변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 상기 제1감지부에서 소변을 감지한 신호를 공급받아 제1배수파이프에 연결된 제1제어밸브를 오픈시켜 용수공급부로부터 소변기 헤드에 용수를 공급시켜 주기 위한 제어신호의 출력; 및 제2감지부에서 상기 고정체에 소변기 헤드의 원위치를 감지한 신호를 공급받아 용수파이프에 연결된 제2제어밸브를 오픈시켜 제3배수파이프를 통해 소변을 배수시켜 주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rinal for the disabled and disabled patients.
A urinal having a urinal head detachably attached to a fixture, comprising: a first sensing unit for sensing urine flowing out of the urinal head removed from the fixture; An output of a control signal for supplying water to the urinal head from a water supply unit by opening a first control valve connected to a first drain pipe by receiving a signal of detecting urine in the first detection unit; And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a signal detecting the home position of the urinal head from the second sensing unit to open a second control valve connected to the water pipe and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draining urine through a third drain pipe. ;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escription
본 발명은 장애인 및 거동이 불편한 남자 환자들(이하 "장애인"이라 한다.)을 위한 고정식 또는 이동식으로 사용 가능한 소변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소변을 보는 소변기 헤드를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게 하여 줌으로써, 장애인이 휠체어 또는 의자, 침대 등에 앉은 상태에서 소변을 편리하게 볼 수 있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xed or mobile urinal for disabled and uncomfortable male patients (hereinafter referred to as "disabled"), more specifically, by allowing the urinal head to urinate freely movab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making it easier for a person with a disability to urinate while sitting in a wheelchair, chair, or bed.
일반적으로 장애인들은 가정이나 병원 등의 화장실에 설치된 입식 소변기를 비롯하여 좌식변기(이를 "좌변기"라고도 한다.)를 사용하여 주로 소변을 보게 된다.People with disabilities usually urinate using sedentary urinals (sometimes called "toilet seats"), including upright urinals installed in bathrooms in homes and hospitals.
하지만, 장애인들은 대부분 육체적으로 거동이 부자유롭기 때문에 도우미들의 도움을 받지 않고 혼자서 화장실까지 이동하는 것은 무리일 뿐만 아니라, 또한 부자유로운 자세로 인해 변기 몸체나 화장실 바닥에 소변이 튀어 심한 냄새와 위생적으로 불결함을 초래하고 있었다.However, most people with disabilities are physically incapable of moving, so it is not unreasonable to go to the toilet alone without the help of helpers, and because of their uncomfortable posture, urine splashes on the toilet body or the floor of the toilet. Was causing.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변을 보는 소변기 헤드를 고정체로부터 자유롭게 탈착 이동 가능하게 하여, 장애인이 휠체어 또는 의자, 침대 등에 앉은 상태에서 소변을 편리하게 볼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llows the urinal urinary urine head to be freely removable from the fixed body, so that the disabled person can conveniently see the urine while sitting in a wheelchair, chair, bed, etc. There is a purpose.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고정체에 탈부착되는 소변기 헤드를 구비한 소변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로부터 탈거한 소변기 헤드를 통해 유출되는 소변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가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Means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urinal having a urinal head detachable to the fixture, comprising a first sensing unit for detecting the urine flowing through the urinal head removed from the fixture It is characterized by that.
또한, 상기 제1감지부에서 소변을 감지한 신호를 공급받아 제1배수파이프에 연결된 제1제어밸브를 오픈시켜 용수공급부로부터 소변기 헤드에 용수를 공급시켜 주기 위한 제어신호의 출력과, 제2감지부에서 상기 고정체에 소변기 헤드의 원위치를 감지한 신호를 공급받아 용수파이프에 연결된 제2제어밸브를 오픈시켜 제3배수파이프를 통해 소변을 배수시켜 주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utput of the control signal for supplying water to the urinal head from the water supply by opening the first control valve connected to the first drain pipe by receiving the signal detected by the first detection unit, the second detection And a control unit for supplying a signal detecting the home position of the urinal head to the fixture to open a second control valve connected to the water pipe and output a control signal for draining urine through the third drain pipe. It is characterized by that.
이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및 해결수단들은 첨부한 도면에 나타난 다양한 실시사례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보다 더 명백하여 질 것이다.Hereinafter, the objects and solutions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various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소변기는 가정이나 병원 등의 화장실에 세면기가 있는 곳에 고정식으로 간단하게 설치하여 줌으로써, 도우미의 도움을 받지 않고 장애인 스스로 휠체어에 앉은 상태로 편리하게 소변을 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ur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stalled in a restroom such as a home or a hospital by a fixed type simply,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urinating conveniently in a wheelchair without a helper. .
또한, 본 발명의 소변기를 이동식으로 제작하면 가정의 방이나 병원의 병실 등을 이동하면서 사용 가능하기 때문에 장애인이 휠체어 또는 의자, 침대 등에 앉은 상태에서 소변을 편리하게 볼 수 있는 또 다른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since the ur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to be movable, it can be used while moving the room or hospital room of the home, thus providing another effect that the disabled person can conveniently urinate while sitting on a wheelchair, chair, or bed.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을 위한 고정식 소변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실시사례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을 위한 이동식 소변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실시사례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emplary configuration of a fixed urinal for a disabled pers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rtable urinal for the disab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사례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도면에 의해 도시되어 있고, 이에 따른 구성과 동작들은 적어도 하나의 일실시 사례로서 설명되어 지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적인 구성 및 동작들이 제한받지는 않아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llustrated by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as at least one embodiment, where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core Configurations and operations should not be limited.
참고할 사항으로,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각 도면들에 부호를 표기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기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음에 특히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For reference, in designating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particularly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shown in different drawings.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및 거동이 불편한 남자 환자들을 위한 고정식 또는 이동식으로 사용 가능한 소변기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a fixed or mobile urinal for the disabled and disabled male pati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 따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성수단에 대해서 살펴보면, 먼저 고정체(900)에 손잡이(320)를 가진 바디(Body)(310)가 탈부착되는 소변기 헤드(300)를 구비한 소변기(100)(100a)가 구성되고, 상기 소변기(100)(100a)를 구동시켜 주기 위한 전원(AC220V)이 전원부(500)를 통해 공급된다.Looking at the constituent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urinal (100) having a
또한, 상기 고정체(900)로부터 탈거한 소변기 헤드(300)를 통해 유출되는 소변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611)가 구성된다.In addition, the
이때, 상기 고정체(900)는 고정식의 소변기(100)에 있어서는 세면실이나 화장실의 벽면 등에 고정 및 설치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이동식의 소변기(100a)에 있어서는 이동용 바퀴 등과 같은 별도의 이동수단이 구비된 구조물의 프레임(Frame)에 고정 및 설치시켜 주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상기 제1감지부(611)에서 소변을 감지한 신호를 공급받아 제1배수파이프(721)에 연결된 제1제어밸브(621)를 오픈(Open)시켜 용수공급부(200)(200a)로부터 소변기 헤드(300)에 용수를 공급시켜 주기 위한 제어신호의 출력 및 제2감지부(612)에서 상기 고정체(900)에 소변기 헤드(300)의 원위치 부착을 감지한 신호를 공급받아 용수파이프(711)에 연결된 제2제어밸브(622)를 오픈(Open)시켜 제3배수파이프(723)를 통해 소변을 배수시켜 주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소변기(100)를 세면실이나 화장실 등에 고정식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세면기에 해당하는 상기 용수공급부(200)에는 하수구로부터 역류하는 냄새를 차단시켜 주기 위한 냄새역류방지부(730)를 설치하되, 상기 냄새역류방지부(730)를 통해 연결되어 용수가 배수되는 제2배수파이프(722)와 제3배수파이프(723) 사이에 분기 연결되고, 소변기 헤드(300) 및 제1제어밸브(621)가 직렬 연결된 움직임이 가능한 재질의 제1배수파이프(721)가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r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xedly installed in the washroom or toilet, the
이때, 상기 냄새역류방지부(730)의 굴곡된 부분에는 물이 항상 채워져 있기 때문에 역류하는 냄새가 차단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bent portion of the odo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변기(100a)를 이동식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소변기(100a)는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동용 바퀴 등과 같은 별도의 이동수단이 구비된 구조물에 설치된다.In addition, when the urinal 100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movable type, the urinal 100a is installed in a structure provided with a separate moving means such as a moving wheel as mentioned above.
상기 소변기 헤드(300) 안쪽에는 이물질을 걸러주기 위한 망사로 이루어진 필터(Filter)(330)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필터(330)에 제2제어밸브(622)를 통해 용수공급부(200)(200a)로부터 공급되는 용수를 분사시켜 주기 위해 용수파이프(711)의 단부에 설치된 노즐(Nozzle)(710)이 구성된다.The
또한, 상기 제어부(400)는 타이머(Timer)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머에서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제2제어밸브(622)를 클로즈(Close)제어시켜 용수공급부(200)(200a)로부터 소변기 헤드(300)에 공급되는 용수를 차단하고, 제1제어밸브(621)를 클로즈(Close)제어시켜 하수구 또는 소변용기(800)로부터 올라오는 냄새를 방지시켜 주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주게 된다.In addition, the
여기서, 상기 제1제어밸브(621) 및 제2제어밸브(622)는 전자식 솔레노이드밸브(Solenoid Valve)로 이루어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Here, the
그리고, 상기 소변기 헤드(300)의 소변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611)는 물이나 수분, 압력 등을 감지하여 동작하는 센서 또는 스위치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소변기 헤드(300)의 원위치 부착을 감지하는 제2감지부(612)는 위치, 접촉 등을 감지하여 동작하는 센서 또는 스위치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In addition, the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 등이 가능함을 자명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언급된 바와 같은 다양한 실시사례들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Accordingly,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than being limited to those described in various embodiments as mentioned above.
100, 100a : 소변기
200, 200a : 용수공급부
300 : 소변기 헤드
310 : 바디(Body)
320 : 손잡이
330 : 필터(Filter)
400 : 제어부
500 : 전원부
611 : 제1감지부
612 : 제2감지부
621 : 제1제어밸브
622 : 제2제어밸브
710 : 노즐(Nozzle)
711 : 용수파이프
721 : 제1배수파이프
722 : 제2배수파이프
723 : 제3배수파이프
730 : 냄새역류방지부
800 : 소변용기
810 : 소변유출구
900 : 고정체100, 100a: urinal
200, 200a: water supply
300: urinal head
310: Body
320: handle
330 Filter
400:
500: power supply
611: first detection unit
612: second detection unit
621: first control valve
622: second control valve
710: nozzle
711: water pipe
721: first drain pipe
722: second drain pipe
723: third drain pipe
730: odor backflow prevention unit
800: urine container
810 urine outlet
900: fixed body
Claims (5)
상기 고정체(900)로부터 탈거한 소변기 헤드(300)를 통해서 유출되는 소변을 감지하기 위해 제1배수파이프(721)에 설치된 제1감지부(611);
상기 제1감지부(611)에서 소변을 감지한 신호를 공급받아 제1배수파이프(721)에 연결된 제1제어밸브(621)를 오픈시켜, 용수공급부(200)(200a)로부터 소변기 헤드(300)에 용수를 공급시켜 주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400);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체(900)에 소변기 헤드(300)의 원위치 부착을 감지하는 제2감지부(612);
상기 제2감지부(612)에서 소변기 헤드(300)의 고정체(900)에 원위치 부착을 감지한 신호를 공급받아 용수파이프(711)에 연결된 제2제어밸브(622)를 오픈시켜, 제3배수파이프(723)를 통해 소변을 배수시켜 주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400);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In the urinal 100 (100a) having a urinal head 300 detachable to the fixture 900,
A first detecting part 611 installed in the first drain pipe 721 to detect urine flowing out through the urinal head 300 removed from the fixture 900;
The first sensor 611 receives the signal detected by the urine to open the first control valve 621 connected to the first drain pipe 721, the urinal head 300 from the water supply unit 200 (200a) A control unit 400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supplying water to the; Including,
A second sensing unit 612 for detecting an in-situ attachment of the urinal head 300 to the fixture 900;
The second detection unit 612 receives a signal detecting the in-situ attachment from the fixing body 900 of the urinal head 300 to open a second control valve 622 connected to the water pipe 711 to open a third control valve 622. A controller 400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draining urine through the drain pipe 723;
Urinals,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68186A KR101208824B1 (en) | 2010-07-15 | 2010-07-15 | Urinal for disabled pers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68186A KR101208824B1 (en) | 2010-07-15 | 2010-07-15 | Urinal for disabled pers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7575A KR20120007575A (en) | 2012-01-25 |
KR101208824B1 true KR101208824B1 (en) | 2012-12-12 |
Family
ID=45612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68186A KR101208824B1 (en) | 2010-07-15 | 2010-07-15 | Urinal for disabled pers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08824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15020B1 (en) * | 2006-11-30 | 2008-03-18 | 대림통상 주식회사 | Wall Mounted Sanitary Urinal |
-
2010
- 2010-07-15 KR KR1020100068186A patent/KR101208824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15020B1 (en) * | 2006-11-30 | 2008-03-18 | 대림통상 주식회사 | Wall Mounted Sanitary Urina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7575A (en) | 2012-01-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00030168A1 (en) | Patient bed system including defecation device having improved piping structure | |
JP2016523170A (en) | Automatic defecation processing device | |
KR20070032763A (en) | Full seatable toilet seat | |
KR101208824B1 (en) | Urinal for disabled person | |
US20170231866A1 (en) | Bottom Bather | |
CN215605327U (en) | Multifunctional toilet chair | |
US20190153711A1 (en) | Grandma's Helper | |
JPH10195960A (en) | Suction device | |
JP2019027113A (en) | Flush toilet and flush toilet system | |
US9422705B2 (en) | Movable flushable toilet bowl | |
JP2018178660A (en) | Flush toilet and flush toilet system | |
JP3141726U (en) | Nursing toilet | |
JP2003319975A (en) | Wheelchair type toilet used for care | |
US20200359857A1 (en) | Grandmas Helper | |
JPH10328249A (en) | Water closet for nursing bed | |
JP4604872B2 (en) | Toilet system | |
CN208137064U (en) | A kind of environmental protection bedside toilet seat | |
JP2001353096A (en) | Mobile portable toilet apparatus | |
JPH033304Y2 (en) | ||
JP2919520B2 (en) | Nursing beds | |
WO2023196318A1 (en) | Assistive hygiene station | |
JP3118795U (en) | Toilet unit for elderly care facilities or facilities for the disabled | |
KR20240003071A (en) | Men's urinal with built-in bidet function | |
JP2007330533A (en) | Stool base for toilet bowl and room | |
KR20040064576A (en) | Multi-functional bed for patient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71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4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1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11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0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