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08207B1 - 유자형 합성보를 이용한 층고절감형 철골골조 - Google Patents

유자형 합성보를 이용한 층고절감형 철골골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8207B1
KR101208207B1 KR1020120043113A KR20120043113A KR101208207B1 KR 101208207 B1 KR101208207 B1 KR 101208207B1 KR 1020120043113 A KR1020120043113 A KR 1020120043113A KR 20120043113 A KR20120043113 A KR 20120043113A KR 101208207 B1 KR101208207 B1 KR 101208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abdominal
shaped
large beam
plat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3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태상
김영주
장동운
차승렬
윤진혁
김훈
정용찬
전금석
송동범
Original Assignee
디알비동일 주식회사
쌍용건설 주식회사
(주)동양구조엔지니어링
(주)퍼스텍이엔지
주식회사 삼우공간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씨엠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케이씨씨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알비동일 주식회사, 쌍용건설 주식회사, (주)동양구조엔지니어링, (주)퍼스텍이엔지, 주식회사 삼우공간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씨엠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케이씨씨건설 filed Critical 디알비동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3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82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8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8207B1/ko
Priority to CN201310143844.7A priority patent/CN103452188B/zh
Priority to US13/870,962 priority patent/US8915042B2/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85Connections not covered by E04B1/21 and E04B1/2403, e.g. connections between structural parts of different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3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materials; Composite steel and concrete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17Floor structures partly formed in situ
    • E04B5/23Floor structures partly formed in situ with stiffening ribs or other beam-like formations wholly or partly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04B5/40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with metal form-slab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15Brackets, gussets, joining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둥과의 접합부 및 작은 보와의 접합부 시공성 및 구조성능이 향상되고 층고절감이 가능한 U자형 합성보를 이용한 철골골조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골골조는, 기둥, 기둥 사이에 접합되는 큰 보 및 큰 보 사이에 접합되는 작은 보로 구성되는 철골골조에 있어서, 기둥에는 큰 보와의 접합을 위해 바닥판과, 바닥판의 양단에서 각각 위쪽방향으로 직각으로 연장된 측판 및 각각의 측판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받침판으로 구성되는 U자형판과, U자형강판의 바닥판의 중앙에 측판과 평행하게 용접된 수직판과, 수직판의 상단에 U자형판의 바닥판과 평행하게 용접된 수평판으로 구성된 브라켓이 접합되고, 큰 보는, 전체적으로 U자형의 단면 형상이 되며, 양단부에는 브라켓과의 접합을 위해 중앙부 복부판과 상부 플랜지판이 결합되어 있고, 상면에는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한 간격으로 간격유지부재가 설치되어 있으며, 작은 보가 접합되는 위치에는 보접합구가 결합되어 있고, 작은 보는, 하부 플랜지판, 하부 플랜지판의 양단에서 위쪽으로 직각으로 연장된 측면 복부판 및 측면 복부판의 일단에서 하부 플랜지판과 평행하게 외측으로 연장된 거치판으로 구성되고, 보접합구를 통해 큰 보에 접합되며, 상면에는 전체 길이에 걸쳐 간격유지부재가 설치되어 있으며, 큰 보와 작은 보의 내부에는 콘크리트가 채워진다.

Description

유자형 합성보를 이용한 층고절감형 철골골조{Steel frame using U-shaped composite beam}
본 발명은 철골골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둥과의 접합부 및 작은 보와의 접합부 시공성 및 구조성능이 향상되고 층고절감이 가능한 U자형 합성보를 이용한 철골골조에 관한 것이다.
철골구조(또는 강구조)는 철근콘크리트 구조와 함께 현대건축의 대표적인 구조방법으로서 창고 등 경미한 건물로부터 고층건물, 격납고, 체육관, 공항, 공장 등 대규모 공간을 필요로 하는 건축물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철골구조는 그 규모나 용도에 따라 다양한 구조형식이 사용되며 사용부재나 접합방법도 각각 달라진다. 철골구조의 대표적인 예로는 뼈대구조, 트러스구조, 산형라멘구조, 강관구조, 경량철골구조를 들 수 있다.
철골구조의 뼈대구조(골조)란 각종 형강을 사용하여 기둥 및 보로 이루어지는 격자형의 골조를 만드는 구법이다. 횡력에 대한 보강요소로서 바닥판이나 수평가새가 사용되며 전단벽을 필요에 따라 적절히 배치한다. 뼈대구조는 구조상의 명료함, 시공상의 간편함 등의 장점 때문에 근래 고층건물뿐만 아니라 중층이하의 건축물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철골구조의 뼈대구조를 이루는 구조부재로는 기둥, 보, 바닥판 등이 있고, 보의 종류로는 형강보, 조립보, 래티스보, 하니컴보 및 콘크리트와 합성한 합성보 등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특허등록 제0617878호 "성형 강판 콘크리트 보"(특허문헌 1)가 있다. 상기 배경기술에서는 도 8에서와 같이, 두 개의 ㄴ형 강판(2)을 용접(9)하여 하나로 구성된 U형 영구거푸집(1b); 상기 U형 영구거푸집(1b)은 상부플랜지(12)와 하부플랜지(11), 웨브 플레이트(13)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플랜지는 슬래브 콘크리트(15)와 일체가 되도록 쉬어 코넥터(14)를 부착하고; 및 하부플랜지(11)의 Y형 돌기(10)는 중앙부에 ㄱ자 형상으로 제작하여, 하부플랜지의 단면적 증가와 내부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합성효과를 증가시키며 상기 U형 영구거푸집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외부의 영구거푸집 플레이트와 일체가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강판 콘크리트 보를 제안한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두 개의 ㄴ형 강판(2)을 용접(9)하여 하나로 구성된 구조이기 때문에, 형상이 복잡하고 제작시 절곡, 절단 및 용접 등의 과정이 많아 제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기존 철골빔 형태와 다르기 때문에 기둥-보 접합방식이 기존 강구조의 접합방식과 달라 기존의 브라켓 타입의 보접합 등의 기존 강구조 접합방식을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다른 배경기술로는 실용신안등록 제0420294호 "비대칭 에이치빔"(특허문헌 2)가 있다. 상기 배경기술에서는 도 9에서와 같이, 상부와 하부에 위치한 플랜지들의 폭이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고, 상기 상,하부 플랜지들 사이에 수직으로 웨브가 형성되는 비대칭 에이치빔에 있어서, 상기 웨브에 와이어부재가 관통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칭 에이치빔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에서는 정모멘트가 작용하는 구간에서도 웨브의 전길이에 걸쳐서 상부 플랜지가 구성되기 때문에, 강재량 소모가 많아 생산비가 과다하게 지출될 뿐만 아니라, 보의 전체 자중을 증가시키는 문제를 야기하고, 합성효과를 위하여 웨브에 통공을 형성하기 때문에 단면의 형상이 복잡해 제작시 절단 등의 과정이 많아 생산비가 과다하여 공사비 상승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특허등록 제0851490호 "층고 절감을 위한 철골 합성보 구조"(특허문헌 3)가 있다. 상기 배경기술에서는 도 10에서와 같이, 웨브(11,21), 상부 플랜지(12,22) 및 하부 플랜지(13,23)로 된 I형 철골보(10,20) 중 상기 하부 플랜지(13,23)의 폭이 상부 플랜지(12,22)보다 크게 제작되고, 상기 상부 플랜지(12,22) 및 하부 플랜지(13,23) 모두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떨어지도록 상기 웨브(11,21)의 중앙 부위에 웨브 구멍(14,24)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플랜지(13,23)의 양 끝단에는 ㄱ자형 지지판(15,25)이 철골보(10,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설치되고, 상기 ㄱ자형 지지판(25) 상에 설치된 데크 플레이트(16)에 슬래브 콘크리트(17)가 타설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웨브 구멍(14,24)은 윗변이 좁고 밑변이 넓은 사다리꼴 형태를 이루고, 상기 ㄱ자형 지지판(15,25)은 상기 하부 플랜지(13,23)의 양 끝단에 선용접으로 결합 설치되거나, 하부 플랜지(13,23)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철골보(10,20)는 춤이 긴 큰 보(10)와 춤이 짧은 작은 보(20)로 구분되고, 상기 큰 보(10)와 작은 보(20)가 일정한 각도로 연결될 때, 상기 작은 보(20)의 ㄱ자형 지지판(25)이 상기 큰 보(10)의 ㄱ자형 지지판(15) 위에 걸치도록 설치되며; 상기 큰 보(10)의 웨브 구멍(14)은 덕트(14a)가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작은 보(20)의 ㄱ자형 지지판(25)의 상부면과 상기 큰 보(10)의 ㄱ자형 지지판(15)의 상부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고 절감을 위한 철골 합성빔 구조를 제안한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웨브(11,21)의 전길이에 걸쳐서 상부 플랜지(12,22)가 구성되기 때문에, 강재량 소모가 많아 생산비가 과다하게 지출될 뿐만 아니라, 합성효과를 위하여 웨브(11,21)에 웨브 구멍(14,24)을 형성하기 때문에 단면의 형상이 복잡해 제작시 절단 등의 과정이 많아 생산비가 과다하여 공사비 상승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작은 보(20)가 큰 보(10)의 상부에 얹혀지는 구조로서, 시공이 어렵고, 큰 보(10)와 작은 보(20)의 단면 형상이 다르고 춤이 다르기 때문에 기둥-보 접합방식이 기존 강구조의 접합방식과 달라 기존의 브라켓 타입의 보접합 등의 기존 강구조 접합방식을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등록 제0617878호 실용신안등록 제0420294호 특허등록 제0851490호
본 발명은 종래의 합성보를 이용한 철골골조에 있어서 합성보 제작의 복잡함과 제조원가 상승, 기둥과의 접합부 및 큰 보와 작은 보 사이의 접합부 시공의 복잡함과 구조적인 비효율성 등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른 철골골조는, 기둥, 기둥 사이에 접합되는 큰 보 및 큰 보 사이에 접합되는 작은 보로 구성되는 철골골조에 있어서,
기둥에는 큰 보와의 접합을 위해 바닥판과, 바닥판의 양단에서 각각 위쪽방향으로 직각으로 연장된 측판 및 각각의 측판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받침판으로 구성되는 U자형판과, U자형강판의 바닥판의 중앙에 측판과 평행하게 용접된 수직판과, 수직판의 상단에 U자형판의 바닥판과 평행하게 용접된 수평판으로 구성된 브라켓이 접합되고,
큰 보는, 전체적으로 U자형의 단면 형상이 되며, 양단부에는 브라켓과의 접합을 위해 중앙부 복부판과 상부 플랜지판이 결합되어 있고, 상면에는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한 간격으로 간격유지부재가 설치되어 있으며, 작은 보가 접합되는 위치에는 보접합구가 결합되어 있고,
작은 보는, 하부 플랜지판, 하부 플랜지판의 양단에서 위쪽으로 직각으로 연장된 측면 복부판 및 측면 복부판의 일단에서 하부 플랜지판과 평행하게 외측으로 연장된 거치판으로 구성되고, 보접합구를 통해 큰 보에 접합되며, 상면에는 전체 길이에 걸쳐 간격유지부재가 설치되어 있으며,
큰 보와 작은 보의 내부에는 콘크리트가 채워진다.
상기 큰 보의 중앙부는, 하부 플랜지판, 하부 플랜지판의 양단에서 위쪽으로 직각으로 연장된 측면 복부판 및 측면 복부판의 일단에서 하부 플랜지판과 평행하게 외측으로 연장된 거치판으로 구성되고,
큰 보의 단부에는, 하부 플랜지판의 중앙에 수직하게 중앙부 복부판이 결합되고 중앙부 복부판의 상단에 상부 플랜지판을 하부 플랜지판과 평행하게 결합한 다.
또한, 브라켓의 측판의 길이를 수직판의 길이보다 작게 구성하여 제1개구를 형성하고,
큰 보의 하부 플랜지판의 단부에서 중앙부쪽으로 일정 길이 떨어진 위치까지 측면 복부판 및 거치판을 절개해 내 제2개구를 형성하며,
제1,2개구를 통해 큰 보를 브라켓과 접합하고, 제1,2개구는 개구폐쇄부재에 의해 폐쇄된다.
또한, 개구폐쇄부재는 큰 보의 하부 플랜지판과 브라켓의 바닥판을 위쪽에서 연결하는 덧판으로서 기능하는 하부판, 하부판의 일단에서 직각으로 상향 연장되어 제1,2개구를 폐쇄하는 측면판 및 측면판의 일단에서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상부판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간격유지부재는 앵글 또는 채널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보 접합구는 서로 이격된 양측판과, 양측판의 하단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판으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U자형 단면형상을 가지고 양측판의 높이는 측면 복부판과 같고 양측판 사이의 거리는 작은 보가 삽입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며,
보 접합구가 결합된 위치의 큰 보에는 보 접합부의 양측판과 동일선상으로 큰 보 측면 복부판 사이에 스티프너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일 강판을 상온에서 절곡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어 제작비가 절감되고, 기둥과의 접합부 및 큰 보와 작은 보 사이의 접합부 시공이 간편하고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기둥과 보의 접합부 시공에 있어서 보 내부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측면판의 간섭을 받지 않고 접합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큰 보와 작은 보의 춤을 갖게 하고 큰 보의 측면에 결합된 보접합구를 이용함으로써 큰 보와 작은 보의 접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골골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큰 보를 나타낸 도면으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중앙부 단면도이며, (c)는 단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과 큰 보의 접합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작은 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큰 보와 작은 보의 접합부를 밑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철골골조의 시공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배경기술의 하나인 성형 강판 콘크리트 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배경기술의 다른 하나인 비대칭 에이치빔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배경기술의 또 다른 하나인 층고 절감을 위한 철골 합성보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철골골조는, 기둥(110,110), 기둥(110,110) 사이에 접합되는 큰 보(120), 큰 보(120) 사이에 접합되는 작은 보(130)로 구성된다.
기둥(110)은 매우 큰 압축력을 받으므로 충분한 크기의 단면을 가져야 한다. 도면에서 기둥(110)으로 단면이 H 형태인 구조형 강재 즉, H형강이 사용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접합부의 가공은 어렵지만 힘의 작용방향에 따른 단면성능이 일정한 각형강관이 사용될 수도 있다.
H형강은 접합부의 가공이 용이하기 때문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데 길이 10m가 표준규격이므로 2-3개층을 하나의 단위로 제작하는 것이 보통이다. 또한 각형강관과 달리 힘의 작용방향에 따라 단면성능이 달라지므로 도시된 것처럼 웨브가 스팬의 장변방향에 나란하도록 배치한다.
기둥(110)에는 큰 보(120)와의 접합을 위해 브라켓(140)이 접합되는데, 기둥의 위치에 따라 평면상에서 중앙에 배열되는 기둥에는 도시된 것처럼 양측 플랜지 및 웨브 양측에, 모서리에 배열되는 기둥에는 일측 플랜지와 웨브 일측에, 모서리 기둥 이외에 외곽기둥에는 양측 플랜지와 웨브 일측에 각각 접합된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브라켓(140)은 U자형판(141)과, 수직판(142) 및 수평판(143)으로 구성된다. U자형판(141)은 바닥판(141a)과, 바닥판(141a)의 양단에서 각각 위쪽방향으로 직각으로 연장된 측판(141b,141b) 및 각각의 측판(141b,141b)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받침판(141c,141c)으로 구성되고, 얇은 철판을 상온에서 절곡하여 이들이 일체로 구성되도록 한 것이다. U자형강판(141)의 바닥판(141a)의 중앙에는 측판(141b,141b)과 평행하게 수직판(142)이 직각으로 용접되고 수직판(142)의 상단에는 수평판(143)이 U자형판(141)의 바닥판(141a)과 평행하게 용접된다. 이때, 바닥판(141a)의 폭은 수평판(143)의 폭보다 더 넓게 형성되고 수직판(142)의 높이는 측판(141b,141b)의 높이보다 더 높게 형성된다.
U자형판(141)의 바닥판(141a)과 수직판(142) 및 수평판(143)은 동일한 길이를 가지고 H자 단면 형태를 이루게 되고 후술하는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큰 보와 기둥의 접합이 기존의 H형강 기둥과 H형강 보의 접합부와 동일한 접합이 되도록 한다. U자형판(141)의 측판(141b,141b)은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이 되며 받침판(141c,141c)은 데크플레이트 등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을 거치하기 위한 받침면이 된다. 한편, 측판(141b,141b)의 길이는 수직판(142)의 길이보다 작게 구성하여 후술하는 것과 같이 브라켓(140)에 큰 보(120)를 접합시킬 때 필요한 제1개구(A1)를 형성한다.
기둥(110,110) 사이에 접합되는 큰 보(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U자형의 단면 형상이 되고, 양단부에는 브라켓(140)과의 접합을 위해 중앙부 복부판(121)과 상부 플랜지판(122)이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면에는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한 간격으로 간격유지부재(160)가 설치되어 있고, 작은 보(130)가 접합되는 위치에는 보접합구(150)가 결합되어 있다.
큰 보(120)는 브라켓(140)과 동일하게 얇은 철판을 상온에서 절곡하여 구성하게 되며, 단면의 효율적 이용과 기둥과의 용이한 접합을 위해 정모멘트 구간인 중앙부와 부모멘트 구간인 단부의 형상이 서로 다르도록 구성한다.
큰 보(120)의 중앙부는, 도 3(b)에서와 같이, 하부 플랜지판(120a), 측면 복부판(120b,120b) 및 거치판(120c,120c)로 구성되고, 측면 복부판(120b,120b)은 하부 플랜지판(120a)의 양단에서 위쪽으로 직각으로 연장되고, 거치판(120c,120c)은 측면 복부판(120b,120b)의 일단에서 하부 플랜지판(120a)과 평행하게 외측으로 연장되어 구성된다.
큰 보(120)의 단부는, 도 3(c)에서와 같이, 하부 플랜지판(120a)의 중앙에 수직하게 중앙부 복부판(121)을 결합하고 중앙부 복부판(121)의 상단에 상부 플랜지판(122)을 하부 플랜지판(120a)과 평행하게 결합한 구성을 가진다. 이때, 하부 플랜지판(120a)의 단부에서 중앙부쪽으로 일정 길이 떨어진 위치까지 측면 복부판(120b,120b) 및 거치판(120c,120c)을 절개해 내 큰 보(120)의 외부에서 중앙부 복부판(121)에 접근할 수 있는 제2개구(A2)를 형성시킨다.
따라서 큰 보(120)와 브라켓(140)의 접합부에는 도 4에서와 같이 제1,2개구(A1,A2)가 형성되고 이를 폐쇄하기 위해 개구폐쇄부재(170)가 설치된다. 개구폐쇄부재(170)는 하부판(171), 하부판(171)의 일단에서 직각으로 상향 연장된 측면판(172), 측면판(172)의 일단에서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상부판(173)으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Z자 단면 형성이 된다. 하부판(171)은 큰 보(120)의 하부 플랜지판(121a)과 브라켓(140)의 바닥판(141a)을 위쪽에서 연결하는 덧판으로서 기능하며, 측면판(172)의 제1,2개구(A1,A2)를 폐쇄하고, 상부판(173)의 데크플레이트 거치면을 제공한다.
큰 보(120)와 브라켓(140)의 접합은 다수 개의 덧판을 이용하여 큰 보(120)의 상부 플랜지판(122)과 브라켓(140)의 수평판(143)을 연결하고, 큰 보(120)의 중앙부 복부판(121)과 브라켓(140)의 수직판(142)을 연결하고, 큰 보(120)의 하부 플랜지판(120a)과 브라켓(140)의 바닥판(141a)을 연결하여 강접합한다. 이때,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큰 보(120)와 브라켓(140)의 접합부에는 제1,2개구(A1,A2)가 형성되어 있어 이를 이용해 큰 보(120)의 중앙부 복부판(121)과 브라켓(140)의 수직판(142)을 덧판으로 연결하고 그 후 개구폐쇄부재(170)를 설치하고 이를 이용해 큰 보(120)의 하부 플랜지판(120a)과 브라켓(140)의 바닥판(141a)을 연결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기둥(110)과 큰 보(120)의 접합과정이 기존 H형강 기둥-보 접합부와 시공과 동일하게 콘크리트 타설공간을 만드는 브라켓(140)의 측판(141b,141b)과 큰 보(120)의 측면 복부판(120b,120b)의 간섭을 받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큰 보(120)의 내부, 즉 하부 플랜지판(120a)과 측면 복부판(120b,120b)으로 둘러싸인 공간에는 콘크리트가 채워지는데, 가설 중 형태 유지 및 콘크리트 타설 중 측면 복부판(120b,120b)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간격유지부재(160)가 설치된다. 간격유지부재(160)는 큰 보(120)의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한 간격으로 큰 보(120)의 길이방향에 직각방향으로 거치판(120c,120c)을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도면에서는 간격유지부재(160)로 L형강(앵글)이 사용된 예를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측면 복부판(120b,120b)의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강도를 가진 부재로서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부재, 예를 들어, ㄷ형강(채널), Z형강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간격유지부재(160)는 형태 유지, 측면 복부판(120b,120b)의 벌어짐 방지 뿐만 아니라 이종재료인 슬래브 콘크리트와 큰 보(120)의 합성을 유도하는 전단연결재로서도 기능한다.
큰 보(120)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작은 보(130)가 접합된다. 도면에서는 큰 보(120)의 일측에 2개씩 양측에 4개의 작은 보(130)가 접합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작은 보(130)의 설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큰 보(120)의 길이에 따라 작은 보(130)의 설치 개수가 결정된다.
작은 보(130)는 큰 보(120)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작되며, 큰 보(120)의 중앙부와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진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플랜지판(130a), 측면 복부판(130b,130b) 및 거치판(130c,130c)로 구성되고, 측면 복부판(130b,130b)은 하부 플랜지판(130a)의 양단에서 위쪽으로 직각으로 연장되고, 거치판(130c,130c)은 측면 복부판(130b,130b)의 일단에서 하부 플랜지판(130a)과 평행하게 외측으로 연장되어 구성된다. 또한 큰 보(120)와 마찬가지로 가설 중 및 콘크리트 타설 중 측면 복부판(130b,130b)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간격유지부재(160)가 설치된다.
작은 보(130)는 큰 보(120)와 동일한 춤을 가지며 보 접합구(150)를 통해 큰 보(120)에 접합된다. 보 접합구(150)는 서로 이격된 양측판(151,151)과, 양측판(151,151)의 하단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판(152)으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U자형 단면형상을 가지고 양측판(151,151)의 높이는 측면 복부판(120b,120b)과 같고 양측판(151,151) 사이의 거리는 작은 보(130)가 삽입될 수 있는 길이를 가진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보 접합부(150)의 양측판(151,151) 사이로 작은 보(130)가 삽입되고 연결판(152)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볼트를 체결함으로써 큰 보(120)와 작은 보(130)를 간단하면서도 확실하게 접합할 수 있다.
한편, 보 접합구(150)가 결합된 위치의 큰 보(120)에는 보 접합부(150)의 양측판(151,151)과 동일선상으로 큰 보(120) 측면 복부판(120b,120b) 사이에 스티프너(180)가 설치되어 큰 보(120)의 좌굴을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철골골조는, 기존의 철골골조 시공방법과 동일하게 공장에서 미리 부재들을 제작한 다음 이들을 운반하여 현장에서는 볼트 접합만으로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먼저, 공장에서 기둥(110), 큰 보(120), 작은 보(130), 브라켓(140), 간격유지부재(150), 보 접합구(160), 개구폐쇄부재(170)를 제작한 다음 기둥(110)에 브라켓(140)을 용접 접합하고, 큰 보(120)에 간격유지부재(150)와 보 접합구(160) 및 스티프너를 용접 접합한다.
다음으로 현장에 운반된 이들 부재를 조립하게 되는데, 브라켓(140)이 접합된 기둥(110)을 세우고(도 6(a)), 기둥(110) 사이에 브라켓(140)을 이용해 큰 보(120)을 접합한다(도 6(b)). 이때, 큰 보(120)와 브라켓(140) 사이의 제1,2개구를 막기 위해 개구폐쇄부재(170)를 설치한다. 마지막으로, 보 접합구(160)를 이용해 큰 보(120)에 작은 보(130)를 접합하면 된다(도 6(c)).
이렇게 구성된 철골골조의 큰 보(120)와 작은 보(130) 위에 데크플레이트(190) 등을 설치하고 바닥판 콘크리트(195(를 타설하게 된다(도 6(d)). 그리고 바닥판 콘크리트 타설시 큰 보(120)의 내부 및 브라켓(140)의 내부에 콘크리트가 채워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큰 보(120)와 작은 보(130)는 강재와 콘크리트가 일체로 합성된 합성보가 된다.
한편, 이상에서는 기둥(110)으로 철골기둥이 사용된 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기둥(110)으로는 철골기둥을 콘크리트를 피복한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기둥(110)과 큰 보(120)의 접합방법은 동일하고 바닥판 콘크리트 타설 전에 기둥 철근을 배근한 후 기둥 거푸집을 대고 바닥판 콘크리트와 동시에 기둥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10: 기둥
120: 큰 보
130: 작은 보
140: 브라켓
150: 보 접합구
160: 간격유지부재
170: 개구폐쇄부재
180: 스티프너

Claims (6)

  1. 기둥(110,110), 기둥(110,110) 사이에 접합되는 큰 보(120) 및 큰 보(120) 사이에 접합되는 작은 보(130)로 구성되는 철골골조에 있어서,
    기둥(110)에는 큰 보(120)와의 접합을 위해 바닥판(141a)과, 바닥판(141a)의 양단에서 각각 위쪽방향으로 직각으로 연장된 측판(141b,141b) 및 각각의 측판(141b,141b)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받침판(141c,141c)으로 구성되는 U자형판(141)과, U자형강판(141)의 바닥판(141a)의 중앙에 측판(141b,141b)과 평행하게 용접된 수직판(142)과, 수직판(142)의 상단에 U자형판(141)의 바닥판(141a)과 평행하게 용접된 수평판(143)으로 구성된 브라켓(140)이 접합되고,
    큰 보(120)는, 전체적으로 U자형의 단면 형상이 되며, 양단부에는 브라켓(140)과의 접합을 위해 중앙부 복부판(121)과 상부 플랜지판(122)이 결합되어 있고, 상면에는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한 간격으로 간격유지부재(160)가 설치되어 있으며, 작은 보(130)가 접합되는 위치에는 보접합구(150)가 결합되어 있고,
    작은 보(130)는, 하부 플랜지판(130a), 하부 플랜지판(130a)의 양단에서 위쪽으로 직각으로 연장된 측면 복부판(130b,130b) 및 측면 복부판(130b,130b)의 일단에서 하부 플랜지판(130a)과 평행하게 외측으로 연장된 거치판(130c,130c)으로 구성되고, 보접합구(150)를 통해 큰 보(120)에 접합되며, 상면에는 전체 길이에 걸쳐 간격유지부재(160)가 설치되어 있으며,
    큰 보(120)와 작은 보(130)의 내부에는 콘크리트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자형 합성보를 이용한 층고절감형 철골골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큰 보(120)의 중앙부는, 하부 플랜지판(120a), 하부 플랜지판(120a)의 양단에서 위쪽으로 직각으로 연장된 측면 복부판(120b,120b)및 측면 복부판(120b,120b)의 일단에서 하부 플랜지판(120a)과 평행하게 외측으로 연장된 거치판(120c,120c)으로 구성되고,
    큰 보(120)의 단부에는, 하부 플랜지판(120a)의 중앙에 수직하게 중앙부 복부판(121)이 결합되고 중앙부 복부판(121)의 상단에 상부 플랜지판(122)을 하부 플랜지판(120a)과 평행하게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U자형 합성보를 이용한 층고절감형 철골골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브라켓(140)의 측판(141b,141b)의 길이를 수직판(142)의 길이보다 작게 구성하여 제1개구(A1)를 형성하고,
    큰 보(120)의 하부 플랜지판(120a)의 단부에서 중앙부쪽으로 일정 길이 떨어진 위치까지 측면 복부판(120b,120b) 및 거치판(120c,120c)을 절개해 내 제2개구(A2)를 형성하며,
    제1,2개구(A1,A2)를 통해 큰 보(120)를 브라켓(140)과 접합하고, 제1,2개구(A1,A2)는 개구폐쇄부재(170)에 의해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자형 합성보를 이용한 층고절감형 철골골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개구폐쇄부재(170)는 큰 보(120)의 하부 플랜지판(121a)과 브라켓(140)의 바닥판(141a)을 위쪽에서 연결하는 덧판으로서 기능하는 하부판(171), 하부판(171)의 일단에서 직각으로 상향 연장되어 제1,2개구(A1,A2)를 폐쇄하는 측면판(172) 및 측면판(172)의 일단에서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상부판(17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자형 합성보를 이용한 층고절감형 철골골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간격유지부재(160)는 앵글 또는 채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자형 합성보를 이용한 층고절감형 철골골조.
  6. 청구항 1에 있어서,
    보 접합구(150)는 서로 이격된 양측판(151,151)과, 양측판(151,151)의 하단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판(152)으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U자형 단면형상을 가지고 양측판(151,151)의 높이는 측면 복부판(120b,120b)과 같고 양측판(151,151) 사이의 거리는 작은 보(130)가 삽입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며,
    보 접합구(150)가 결합된 위치의 큰 보(120)에는 보 접합부(150)의 양측판(151,151)과 동일선상으로 큰 보(120) 측면 복부판(120b,120b) 사이에 스티프너(18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U자형 합성보를 이용한 층고절감형 철골골조.
KR1020120043113A 2012-04-25 2012-04-25 유자형 합성보를 이용한 층고절감형 철골골조 Active KR101208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113A KR101208207B1 (ko) 2012-04-25 2012-04-25 유자형 합성보를 이용한 층고절감형 철골골조
CN201310143844.7A CN103452188B (zh) 2012-04-25 2013-04-23 利用u形组合梁的层高减小型钢构架
US13/870,962 US8915042B2 (en) 2012-04-25 2013-04-25 Steel frame structure using U-shaped composite bea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113A KR101208207B1 (ko) 2012-04-25 2012-04-25 유자형 합성보를 이용한 층고절감형 철골골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8207B1 true KR101208207B1 (ko) 2012-12-04

Family

ID=47906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3113A Active KR101208207B1 (ko) 2012-04-25 2012-04-25 유자형 합성보를 이용한 층고절감형 철골골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8207B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649B1 (ko) 2012-11-22 2014-01-09 주식회사 액트파트너 조립철골거더에 의한 변단면 단부보강 합성구조
KR101395198B1 (ko) 2013-06-19 2014-05-16 주식회사 액트파트너 슬림플로어용 강조립보 및 이를 이용한 슬림플로어 합성구조
KR101406583B1 (ko) 2013-12-26 2014-06-19 주식회사 디알비동일 H형 단면보가 결합된 유자형 합성보
KR101456391B1 (ko) * 2013-09-10 2014-11-03 주식회사 디알비동일 층고절감형 유공 강재 보 및 이를 이용한 합성 바닥 구조
KR101615853B1 (ko) 2015-06-02 2016-04-26 신영관 강 합성 거더
CN106677338A (zh) * 2017-01-20 2017-05-17 中衡设计集团股份有限公司 带耗能梁的钢框架与交叉型中心支撑的抗震建筑结构
CN107447863A (zh) * 2017-09-20 2017-12-08 中国三冶集团有限公司 一种钢结构厂房用悬挑结构
KR101858817B1 (ko) * 2016-08-05 2018-05-18 주식회사 포스코 연결보유닛의 설치시스템 및, 연결보유닛의 시공방법
CN110016992A (zh) * 2019-01-15 2019-07-16 深圳市现代城市建筑设计有限公司 一种装配式主次梁安装结构及安装方法
KR102037633B1 (ko) * 2019-05-29 2019-10-29 아이앤티엔지니어링(주) W형 합성보를 이용한 기둥 보 접합부 구조
CN110904809A (zh) * 2019-10-15 2020-03-24 重庆大学 一种腹板外包波形钢板的t梁
CN112900692A (zh) * 2021-01-25 2021-06-04 成都建工第四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大跨度异形钢结构建筑及其支撑装置以及施工方法
KR20220059162A (ko) * 2020-11-02 2022-05-10 삼성물산 주식회사 거푸집 일체형 가로보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일체형 가로보의 시공방법
KR20220117524A (ko) * 2021-02-17 2022-08-24 삼성물산 주식회사 철골 매입형 합성보의 거더와 빔의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구조체의 시공방법
KR20220169678A (ko) * 2021-06-21 2022-12-28 (주)센벡스 하이브리드 골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9920B1 (ko) 2006-10-26 2007-07-16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기둥과 보의 복합 구조물
KR101134460B1 (ko) 2011-07-11 2012-04-13 (주)엠씨에스에스티기술사사무소 래티스 철근을 이용한 강재빔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9920B1 (ko) 2006-10-26 2007-07-16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기둥과 보의 복합 구조물
KR101134460B1 (ko) 2011-07-11 2012-04-13 (주)엠씨에스에스티기술사사무소 래티스 철근을 이용한 강재빔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649B1 (ko) 2012-11-22 2014-01-09 주식회사 액트파트너 조립철골거더에 의한 변단면 단부보강 합성구조
KR101395198B1 (ko) 2013-06-19 2014-05-16 주식회사 액트파트너 슬림플로어용 강조립보 및 이를 이용한 슬림플로어 합성구조
KR101456391B1 (ko) * 2013-09-10 2014-11-03 주식회사 디알비동일 층고절감형 유공 강재 보 및 이를 이용한 합성 바닥 구조
KR101406583B1 (ko) 2013-12-26 2014-06-19 주식회사 디알비동일 H형 단면보가 결합된 유자형 합성보
KR101615853B1 (ko) 2015-06-02 2016-04-26 신영관 강 합성 거더
KR101858817B1 (ko) * 2016-08-05 2018-05-18 주식회사 포스코 연결보유닛의 설치시스템 및, 연결보유닛의 시공방법
CN106677338A (zh) * 2017-01-20 2017-05-17 中衡设计集团股份有限公司 带耗能梁的钢框架与交叉型中心支撑的抗震建筑结构
CN107447863A (zh) * 2017-09-20 2017-12-08 中国三冶集团有限公司 一种钢结构厂房用悬挑结构
CN110016992B (zh) * 2019-01-15 2021-04-02 深圳市现代城市建筑设计有限公司 一种装配式主次梁安装结构及安装方法
CN110016992A (zh) * 2019-01-15 2019-07-16 深圳市现代城市建筑设计有限公司 一种装配式主次梁安装结构及安装方法
KR102037633B1 (ko) * 2019-05-29 2019-10-29 아이앤티엔지니어링(주) W형 합성보를 이용한 기둥 보 접합부 구조
CN110904809A (zh) * 2019-10-15 2020-03-24 重庆大学 一种腹板外包波形钢板的t梁
KR20220059162A (ko) * 2020-11-02 2022-05-10 삼성물산 주식회사 거푸집 일체형 가로보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일체형 가로보의 시공방법
KR102484193B1 (ko) * 2020-11-02 2023-01-02 삼성물산 주식회사 거푸집 일체형 가로보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일체형 가로보의 시공방법
CN112900692A (zh) * 2021-01-25 2021-06-04 成都建工第四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大跨度异形钢结构建筑及其支撑装置以及施工方法
CN112900692B (zh) * 2021-01-25 2022-04-05 成都建工第四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大跨度异形钢结构建筑及其支撑装置以及施工方法
KR20220117524A (ko) * 2021-02-17 2022-08-24 삼성물산 주식회사 철골 매입형 합성보의 거더와 빔의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구조체의 시공방법
KR102516776B1 (ko) 2021-02-17 2023-03-30 삼성물산 주식회사 철골 매입형 합성보의 거더와 빔의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구조체의 시공방법
KR20220169678A (ko) * 2021-06-21 2022-12-28 (주)센벡스 하이브리드 골조
KR102635417B1 (ko) * 2021-06-21 2024-02-13 (주)센벡스 하이브리드 골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8207B1 (ko) 유자형 합성보를 이용한 층고절감형 철골골조
KR101229194B1 (ko) 유자형 합성보 및 덮개부재를 이용한 층고절감형 철골골조
CN103452188B (zh) 利用u形组合梁的层高减小型钢构架
CN102209821B (zh) 用于钢筋混凝土组合梁板的型钢梁
KR101456391B1 (ko) 층고절감형 유공 강재 보 및 이를 이용한 합성 바닥 구조
KR101880494B1 (ko) 코어벽체의 내진 보강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406583B1 (ko) H형 단면보가 결합된 유자형 합성보
JP2010203139A (ja) 合成梁、建築物、及び合成梁の施工方法
KR101547540B1 (ko) 이형플랜지를 갖는 하이브리드 h형강 빔
KR101191502B1 (ko) 트러스근 일체형 비대칭 에이치형강 합성보 및 엔드빔을 이용한 구조 시스템
KR101962788B1 (ko) 강거더와 강합성복공판을 이용한 가설교량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가설교량
KR101129502B1 (ko) I 형 합성 거더
KR101875749B1 (ko) 건축물용 박스형 강합성보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
KR100870068B1 (ko) 층고절감형 강-콘크리트 합성보-슬래브용 성형강판 조립 보
KR200469319Y1 (ko) 철골 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과 철근콘크리트로 보강된 단부를 갖는 철골 보의 접합구조
KR101407816B1 (ko) 트러스근 일체형 비대칭 에이치형강 합성보를 이용한 구조 시스템
KR102621651B1 (ko) 복수의 수평 다이아프램 플레이트로 수직강재를 구속시킨 조립강재 기둥
KR101220678B1 (ko) 단면 최적화 리브 피씨슬래브
KR101177316B1 (ko) 기둥?슬래브 접합부의 수직걸림형 전단보강체
JP4964528B2 (ja) 鉄骨造建物の床架構および同床架構の建築構法
KR102082334B1 (ko) 와이드빔을 이용한 무량판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289243B1 (ko) 철근 선조립기둥, u형 강판보 및 골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아파트 지하주차장 건식화공법
KR101781492B1 (ko) 조립형강과 데크 플레이트를 활용한 일체화 구조를 갖는 수벽
KR20170139873A (ko) 보춤을 줄일 수 있는 기둥과 보의 이중 결합 구조
KR20090093540A (ko) 무거푸집 공법을 이용한 구조물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2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2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1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11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1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0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0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0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