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08030B1 - 외부 공진 레이저 광원 - Google Patents

외부 공진 레이저 광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8030B1
KR101208030B1 KR1020090024623A KR20090024623A KR101208030B1 KR 101208030 B1 KR101208030 B1 KR 101208030B1 KR 1020090024623 A KR1020090024623 A KR 1020090024623A KR 20090024623 A KR20090024623 A KR 20090024623A KR 101208030 B1 KR101208030 B1 KR 101208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veguide region
layer
region
waveguide
active lay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4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6140A (ko
Inventor
오수환
윤기홍
김기수
오대곤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024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8030B1/ko
Priority to US12/541,561 priority patent/US8107508B2/en
Publication of KR20100106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61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8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803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20Structure or shape of the semiconductor body to guide the optical wave ; Confining structures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e.g. index or gain guiding, stripe geometry, broad area lasers, gain tailoring, transverse or lateral reflectors, special cladding structures, MQW barrier reflection layers
    • H01S5/22Structure or shape of the semiconductor body to guide the optical wave ; Confining structures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e.g. index or gain guiding, stripe geometry, broad area lasers, gain tailoring, transverse or lateral reflectors, special cladding structures, MQW barrier reflection layers having a ridge or stripe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10Construction or shape of the optical resonator, e.g. extended or external cavity, coupled cavities, bent-guide, varying width, thickness or composition of the active region
    • H01S5/14External cavity las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10Construction or shape of the optical resonator, e.g. extended or external cavity, coupled cavities, bent-guide, varying width, thickness or composition of the active reg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20Structure or shape of the semiconductor body to guide the optical wave ; Confining structures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e.g. index or gain guiding, stripe geometry, broad area lasers, gain tailoring, transverse or lateral reflectors, special cladding structures, MQW barrier reflection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02Structural details or components not essential to laser action
    • H01S5/028Coatings ; Treatment of the laser facets, e.g. etching, passivation layers or reflecting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10Construction or shape of the optical resonator, e.g. extended or external cavity, coupled cavities, bent-guide, varying width, thickness or composition of the active region
    • H01S5/1003Waveguide having a modified shape along the axis, e.g. branched, curved, tapered, voids
    • H01S5/101Curved wavegui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10Construction or shape of the optical resonator, e.g. extended or external cavity, coupled cavities, bent-guide, varying width, thickness or composition of the active region
    • H01S5/1003Waveguide having a modified shape along the axis, e.g. branched, curved, tapered, voids
    • H01S5/1014Tapered waveguide, e.g. spotsize conver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10Construction or shape of the optical resonator, e.g. extended or external cavity, coupled cavities, bent-guide, varying width, thickness or composition of the active region
    • H01S5/1082Construction or shape of the optical resonator, e.g. extended or external cavity, coupled cavities, bent-guide, varying width, thickness or composition of the active region with a special facet structure, e.g. structured, non planar, oblique
    • H01S5/1085Oblique fac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10Construction or shape of the optical resonator, e.g. extended or external cavity, coupled cavities, bent-guide, varying width, thickness or composition of the active region
    • H01S5/16Window-type lasers, i.e. with a region of non-absorbing material between the active region and the reflecting surface
    • H01S5/164Window-type lasers, i.e. with a region of non-absorbing material between the active region and the reflecting surface with window regions comprising semiconductor material with a wider bandgap than the active lay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20Structure or shape of the semiconductor body to guide the optical wave ; Confining structures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e.g. index or gain guiding, stripe geometry, broad area lasers, gain tailoring, transverse or lateral reflectors, special cladding structures, MQW barrier reflection layers
    • H01S5/22Structure or shape of the semiconductor body to guide the optical wave ; Confining structures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e.g. index or gain guiding, stripe geometry, broad area lasers, gain tailoring, transverse or lateral reflectors, special cladding structures, MQW barrier reflection layers having a ridge or stripe structure
    • H01S5/223Buried stripe structure
    • H01S5/2231Buried stripe structure with inner confining structure only between the active layer and the upper electro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ometry (AREA)
  • Semiconductor Lasers (AREA)

Abstract

외부 공진 레이저 광원이 제공된다. 이 광원은 기판, 기판 상에 수동 도파로층, 하부 클래드층, 활성층 및 상부 클래드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되, 직선 도파로 영역, 굽은 도파로 영역, 테이퍼 진 도파로 영역 및 윈도우 영역을 구비하는 리지형 광 도파로, 활성층 주위에 제공되어, 활성층 외부로의 전류 흐름을 차단하는 전류 차단층을 포함한다. 직선 도파로 영역 및 굽은 도파로 영역은 매립형 이종 구조로 이루어지고, 테이퍼 진 도파로 영역은 매립형 리지 스트라이프 구조로 이루어진다. 수동 도파로층은 적어도 굽은 도파로 영역, 테이퍼 진 도파로 영역 및 윈도우 영역에서 테이퍼 진 도파로 영역의 최대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외부 공진 레이저, SLD, R-SOA, ridge, 도파로

Description

외부 공진 레이저 광원{External Cavity Laser Light Source}
본 발명은 외부 공진 레이저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 외부 공진 레이저 광원인 수퍼루미네센드 다이오드 및 반사형 반도체 광 증폭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성장동력기술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8-S-008-01, 과제명: FTTH 고도화 광부품 기술개발].
파장 분할 다중방식 수동형 광가입자망(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Passive Optical Network : WDM-PON)에 사용되는 OLT(Optical Line Terminal) 및 ONU(Optical Network Unit)의 광원으로 여러 종류가 있다. 이 중 최근 발표된 논문(OPTICS EXPRESS, vol. 16, no. 22, pp. 18194-18201)에 따르면, 수퍼 루미네센스 다이오드(SuperLuminescent Diode : SLD)와 그레이팅(grating)이 형성되어 있는 폴리머(polymer) 도파로와의 이종(hybrid) 집적 방식으로 제작되는 평판형 광 도파로-외부 공진 레이저(Planar Lightwave Circuit External Cavity Laser : PLC-ECL)가 기술되고 있다. 즉, 폴리머 그레이팅에 전류를 인가하여 파장을 가변시키는 파장가변(tunable) 외부 공진 레이저가 상세하게 기술되고 있다. 이 파장가변 외부 공진 레이저는 폴리머 그레이팅을 이용했기 때문에, 저가형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WDM-PON의 저 가격화를 선도할 수 있다.
이러한 외부 공진 레이저의 특성은 일반적으로 광원에 의해 좌우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외부 공진 레이저에 사용되는 광원은 출사면의 반사도가 0.1% 이하로 발진을 하지 않아야 하며, 낮은 동작 전류에서 높은 이득을 가지는 소자여야만 한다. 따라서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광원으로는 페브리-페롯 레이저 다이오드(Fabry-Perot Laser Diode : FP-LD)와 수퍼 루미네센스 다이오드가 있다. 이 중 페브리-페롯 레이저 다이오드는 출사면에서의 반사도를 줄이기 위해, 0.1% 이하의 무반사 코팅(AntiReflection coating : AR coating)된 출사면을 가져야 하며, 그리고 출사면에 대향하는 면에서는 높은 이득을 얻기 위해, 고반사 코팅(HighReflection coating: HR coating)된 면을 가져야 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페브리-페롯 레이저 다이오드의 출사면을 0.1% 이하의 무반사 코팅하는 것만으로는 페브리-페롯 레이저 다이오드의 발진을 하지 않게 하는 것이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수율 또한 낮다. 일본의 NTT 그룹은 무반사 및 고반사 코팅된 페브리-페롯 레이저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다중 채널의 외부 공진 레이저을 제작하고 있다. 이러한 무반사 페브리-페롯 레이저 다이오드에 부합하는 광원이 수퍼 루미네센스 다이오드이다.
일반적인 수퍼 루미네센스 다이오드는 출사면의 반사도를 줄이기 위해, 7° 또는 10° 정도로 기울어진 활성층이나 광 도파로를 갖도록 제작되고 있다. 수퍼 루미네센스 다이오드가 이렇게 제작되면 출사면의 반사도는 줄어들 수 있으나, 임 계 전류의 증가 및 동작 전류의 증가로 인해 WDM-PON용 광원으로 적합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수퍼 루미네센스 다이오드를 무반사 및 고반사 코팅된 페브리-페롯 레이저 다이오드 정도의 특성을 가지는 광원으로 만들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ONU에 사용되는 반사형 반도체 광 증폭기(Reflective Semiconductor Optical Amplifier : R-SOA)는 각 가입자에 할당된 비간섭성의 광을 단순히 증폭 및 변조시킨다. 따라서, 반사형 반도체 광 증폭기는 외부 조건에 의해 스펙트럼(spectrum)이 약간씩 변하더라도 출력 파워(output power)가 크게 변하지 않고, 이득 포화(gain saturation) 특성에 의한 상대 광 세기 잡음(relative intensity noise)이 감소하는 장점을 갖는다. 그런데 이러한 반사형 광 증폭기도 WDM-PON에 사용되기 위해, 낮은 임계 전류 및 낮은 동작 전류를 가져 전력의 소모가 적은 광원으로 만들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원형의 좁은 방사각을 갖는 광을 출사하면서, 낮은 전류에서도 이득이 크고, 임계 전류가 낮아서 전력의 소모가 적고, 그리고 1.25Gb/s 이상의 고주파 변조 특성이 우수한 수퍼 루미네센스 다이오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원형의 좁은 방사각을 갖는 광을 출사하면서, 낮은 전류에서도 이득이 크고, 임계 전류가 낮아서 전력의 소모가 적고, 그리고 1.25Gb/s 이상의 고주파 변조 특성이 우수한 반사형 반도체 광 증폭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퍼 루미네센스 다이오드를 제공한다. 이 수퍼 루미네센스 다이오드는 기판, 기판 상에 수동 도파로층, 하부 클래드층, 활성층 및 상부 클래드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되, 직선 도파로 영역, 굽은 도파로 영역, 및 테이퍼 진 도파로 영역 및 윈도우 영역을 구비하는 리지형 광 도파로, 활성층 주위에 제공되어, 활성층 외부로의 전류 흐름을 차단하는 전류 차단층을 포함할 수 있다. 직선 도파로 영역 및 굽은 도파로 영역은 매립형 이종 구조 로 이루어지고, 테이퍼 진 도파로 영역은 매립형 리지 스트라이프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동 도파로층은 직선 도파로 영역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가지면서, 직선 도파로 영역, 굽은 도파로 영역, 테이퍼 진 도파로 영역 및 윈도우 영역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활성층은 편광 의존성을 갖는 다중 양자 우물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테이퍼 진 도파로 영역은 110㎛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활성층의 굽은 도파로 영역 및 테이퍼 진 도파로 영역은 버트 결합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굽은 도파로 영역 및 테이퍼 진 도파로 영역의 버트 경계는 직선 도파로 영역에 대해 약 5~45° 정도 기울어진 형태일 수 있다.
활성층 주위의 전류 차단층 및 기판의 일부를 제거하여 형성되는 트렌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트렌치의 형성에 의해 1.25Gb/s 이상의 변조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수동 도파로층은 1~10㎛의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수퍼 루미네센스 다이오드를 제공한다. 이 수퍼 루미네센스 다이오드는 기판, 기판 상에 수동 도파로층, 하부 클래드층, 활성층 및 상부 클래드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되, 직선 도파로 영역, 굽은 도파로 영역, 및 테이퍼 진 도파로 영역 및 윈도우 영역을 구비하는 리지형 광 도파로, 활성층 주위에 제공되어, 활성층 외부로의 전류 흐름을 차단하는 전류 차단층을 포함할 수 있다. 직선 도파로 영역 및 굽은 도파로 영역은 매립형 이종 구조로 이루어지고, 테이퍼 진 도파로 영역은 매립형 리지 스트라이프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동 도파로 층은 직선 도파로 영역에서는 기판 전면에 제공되고, 굽은 도파로 영역, 테이퍼 진 영역 및 윈도우 영역에서는 테이퍼 진 도파로 영역의 최대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활성층은 편광 의존성을 갖는 다중 양자 우물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테이퍼 진 도파로 영역은 110㎛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활성층의 굽은 도파로 영역 및 테이퍼 진 도파로 영역은 버트 결합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굽은 도파로 영역 및 테이퍼 진 도파로 영역의 버트 경계는 직선 도파로 영역에 대해 약 5~45° 정도 기울어진 형태일 수 있다.
활성층 주위의 전류 차단층 및 기판의 일부를 제거하여 형성되는 트렌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트렌치의 형성에 의해 1.25Gb/s 이상의 변조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수동 도파로층은 1~10㎛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한 다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반사형 반도체 광 증폭기를 제공한다. 이 반사형 반도체 광 증폭기는 기판, 기판 상에 수동 도파로층, 하부 클래드층, 활성층 및 상부 클래드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되, 직선 도파로 영역, 굽은 도파로 영역, 및 테이퍼 진 도파로 영역 및 윈도우 영역을 구비하는 리지형 광 도파로, 활성층 주위에 제공되어, 활성층 외부로의 전류 흐름을 차단하는 전류 차단층을 포함할 수 있다. 직선 도파로 영역 및 굽은 도파로 영역은 매립형 이종 구조로 이루어지고, 테이퍼 진 도파로 영역은 매립형 리지 스트라이프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동 도파로층은 직선 도파로 영역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가지면서, 직선 도파로 영역, 굽은 도파로 영역, 테이퍼 진 도파로 영역 및 윈도우 영역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활성층은 편광 의존성을 갖지 않는 벌크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테이퍼 진 도파로 영역은 110㎛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활성층의 굽은 도파로 영역 및 테이퍼 진 도파로 영역은 버트 결합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굽은 도파로 영역 및 테이퍼 진 도파로 영역의 버트 경계는 직선 도파로 영역에 대해 약 5~45° 정도 기울어진 형태일 수 있다.
활성층 주위의 전류 차단층 및 기판의 일부를 제거하여 형성되는 트렌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트렌치의 형성에 의해 1.25Gb/s 이상의 변조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수동 도파로층은 1~10㎛의 폭을 가질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다른 반사형 반도체 광 증폭기를 제공한다. 이 반사형 반도체 광 증폭기는 기판, 기판 상에 수동 도파로층, 하부 클래드층, 활성층 및 상부 클래드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되, 직선 도파로 영역, 굽은 도파로 영역, 및 테이퍼 진 도파로 영역 및 윈도우 영역을 구비하는 리지형 광 도파로, 활성층 주위에 제공되어, 활성층 외부로의 전류 흐름을 차단하는 전류 차단층을 포함할 수 있다. 직선 도파로 영역 및 굽은 도파로 영역은 매립형 이종 구조로 이루어지고, 테이퍼 진 도파로 영역은 매립형 리지 스트라이프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동 도파로층은 직선 도파로 영역에서는 기판 전면에 제공되고, 굽은 도파로 영역, 테이퍼 진 영역 및 윈도우 영역에서는 테이퍼 진 도파로 영역의 최대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으 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활성층은 편광 의존성을 갖지 않는 벌크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테이퍼 진 도파로 영역은 110㎛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활성층의 굽은 도파로 영역 및 테이퍼 진 도파로 영역은 버트 결합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굽은 도파로 영역 및 테이퍼 진 도파로 영역의 버트 경계는 직선 도파로 영역에 대해 약 5~45° 정도 기울어진 형태일 수 있다.
활성층 주위의 전류 차단층 및 기판의 일부를 제거하여 형성되는 트렌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트렌치의 형성에 의해 1.25Gb/s 이상의 변조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수동 도파로층은 1~10㎛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리지형 광 도파로의 활성층 및 수동 도파로층이 적어도 굽은 도파로 영역, 테이퍼 진 도파로 영역 및 윈도우 영역에서 동일한 폭을 가짐으로써, 좁은 방사각을 갖는 광을 출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좁은 방사각을 갖는 광을 출사하면서, 낮은 전류에서도 이득이 크고, 임계 전류가 낮아서 전력의 소모가 적고, 그리고 1.25Gb/s 이상의 고주파 변조 특성이 우수한 수퍼 루미네센스 다이오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리지형 광 도파로의 활성층 및 수동 도파로층이 적어도 굽은 도파로 영역, 테이퍼 진 도파로 영역 및 윈도우 영역에서 동일한 폭을 가짐으로써, 좁은 방사각을 갖는 광을 출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좁은 방사각을 갖는 광을 출사하면서, 낮은 전류에서도 이득이 크고, 임계 전류가 낮아서 전력의 소모가 적고, 그리고 1.25Gb/s 이상의 고주파 변조 특성이 우수한 반사형 반도체 광 증폭기가 제공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들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것이기 때문에, 설명의 순서에 따라 제시되는 참조 부호는 그 순서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에 더하여, 본 명세서에서, 어떤 막이 다른 막 또는 기판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막 또는 기판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막이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 공진 레이저 광원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Ⅰ-Ⅰ'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그리고 도 1c는 외부 공진 레이저 광원의 수동 도파로 및 활성층을 설명하기 위해 도 1a의 광 도파로의 일부분에 대한 평면 투시도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외부 공진 레이저 광원은 기판(110), 광 도파로, 전류 차단층, 트렌치(trench, 139), 하부 전극(142), 오믹층(144, ohmic layer), 상부 전극(146), 고반사면(152) 및 무반사면(154)을 포함한다.
기판(110)은 화합물 반도체 기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110)은 n-InP 기판일 수 있다.
광 도파로는 수동 도파로층(112), 하부 클래드층(114), 활성층(120, active layer) 및 상부 클래드층(136)을 포함할 수 있다. 광 도파로는 기판(110) 상에 수동 도파로층(112), 하부 클래드층(114), 활성층(120) 및 상부 클래드층(136)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것일 수 있다. 광 도파로는 직선 도파로 영역(122), 굽은 도파로 영역(124), 테이퍼(taper) 진 도파로 영역(126) 및 윈도우(window)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광 도파로는 리지형(ridge) 광 도파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광 도파로는 무반사면(154)에 접하면서, 고반사면(152)에 접하는 광 도파로보다 폭이 좁은 리지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공진 레이저의 변조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광원의 길이를 줄여야 한다. 광원의 길이를 줄이는 방법에는 활성층(120)의 길이를 줄이는 것과 테이퍼 진 도파로 영역(126)의 길이를 줄이는 것이 있다. 이 중 활성층(120)의 길이를 줄이는 것보다는 테이퍼 진 도파로 영역(126)의 길이를 줄이는 것이 더 좋은 결과를 보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 공진 레이저 광원은 광 도파로의 길이가 600㎛이고, 직선 도파로 영역(122)의 길이가 400㎛이고, 굽은 도파로 영역(124)의 길이가 60㎛이고, 테이퍼 진 도파로 영역(126)의 길이가 110㎛이고, 그리고 윈도우 영역의 길이가 30㎛이 되도록 설계를 하였다.
수동 도파로층(112)은 활성층(120)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가지면서, 활성층(120) 하부에 제공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수동 도파로층(112)은 1~10㎛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수동 도파로층(112)은 직선 도파로 영역(122), 굽은 도파로 영역(124), 테이퍼 진 도파로 영역(126) 및 윈도우 영역에 일정한 폭을 갖도록 제공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수동 도파로층(112)은 n-InGaAsP층일 수 있다.
도 1c에서 수동 도파로층(112)이 활성층(120)의 직선 도파로 영역(122)보다 넓게 도시되어 있지만, 도 1a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수동 도파로층(122)은 활성층(120)의 직선 도파로 영역(122)과 동일한 폭을 가진다.
하부 클래드층(114)은 직선 도파로 영역(122) 및 굽은 도파로 영역(124)의 활성층(120)과 수동 도파로층(112)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하부 클래드층(114)은 n-InP층일 수 있다.
활성층(120)은 직선 도파로 영역(122), 굽은 도파로 영역(124) 및 테이퍼 진 도파로 영역(126)으로 구분될 수 있다. 활성층(120)의 직선 도파로 영역(122) 및 굽은 도파로 영역(124)은 매립형 이종 구조(Buried Heterostructure : BH)로 이루어지고, 활성층(120)의 테이퍼 진 도파로 영역(126)은 매립형 리지 스트라이프 구조(Buried Ridge Stripe structure : BRS structure)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굽은 도파로 영역(124) 및 테이퍼 진 도파로 영역(126)은 버트 결합(butt-coupling)에 의해 버트 경계(128)를 가지면서 연결될 수 있다. 굽은 도파로 영역(124)과 테이퍼 진 도파로 영역(126) 사이의 버트 경계(128)는 직선 도파로 영역(122)에 대해 약 5~45° 정도 기울어질 형태일 수 있다.
테이퍼 진 도파로 영역(126)의 일단은 0.1㎛ 이하로 설계되었다. 직선 도파로 영역(122)의 폭은 수동 도파로층(112)와 동일한 1~10㎛의 폭을 갖고, 테이퍼 진 도파로 영역(126)의 일단은 0.1㎛ 이하로 줄어들기 때문에, 광 모드 크기가 변환될 수 있다. 또한, 광의 재반사(back reflection) 정도가 감소될 수 있다.
테이퍼 진 도파로 영역(126)은 입/출사면에서의 광의 반사율을 낮추기 위한 영역으로써, 광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5~15° 정도 기울어질 수 있다. 테이퍼 진 도파로 영역(126)을 큰 각도로 기울일수록, 입/출사면에서의 광의 반사율은 낮아질 수 있다. 하지만, 굽은 도파로 영역(124)에서의 광 손실이 커지기 때문에, 외부 공진 레이저 광원의 이득은 감소된다. 이 때, 발생되는 광 손실은 활성층(120) 하부에 제공된 수동 도파로층(112)에 의해 광의 결합 효율이 높아지기 때문에, 그 정도가 최소화될 수 있다.
활성층(120)은 편광 의존성을 갖는 응력 완화 다중 양자 우물(Multiple Quantum Well : MQW) 구조 또는 편광 의존성을 갖지 않는 응력 완화 벌크(bulk)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활성층(120)이 다중 양자 우물 구조로 이루어질 경우, 외부 공진 레이저 광원은 수퍼 루미네센스 다이오드일 수 있다. 이와는 달리, 활성층(120)이 벌크 구조로 이루어질 경우, 외부 공진 레이저 광원은 반사형 반도체 광 증폭기일 수 있다.
상부 클래드층(136)은 수동 도파로층(112) 및 활성층(120)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클래드층(136)은 p-InP층일 수 있다.
전류 차단층은 활성층(120) 주위에 제공될 수 있다. 전류 차단층은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 1 전류 차단층(132), 제 2 전류 차단층(134) 및 상부 클래드층(136)을 포함할 수 있다. 전류 차단층은 활성층(120) 외부로의 전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다. 제 1 전류 차단층(132)은 p-InP층이고, 제 2 전류 차단층(134)은 n-InP층일 수 있다.
트렌치(139)는 활성층(120) 주위의 전류 차단층 및 기판(110)의 일부를 제거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트렌치(139)는 활성층(120) 주위의 상부 클래드층(136), 제 2 전류 차단층(134), 제 1 전류 차단층(132) 및 기판(110)의 일부를 순차적으로 식각하여 형성할 수 있다. 트렌치(139)를 형성하기 위한 식각 공정에서 광 도파로의 리지부(140)가 동시에 형성될 수도 있다.
트렌치(139)는 1.25Gb/s 이상의 초고속 변조를 위해 활성층(120) 외부로의 전류 흐름을 차단하는 전류 차단층 및 활성층(120) 주변으로 누설되는 기생 용량을 줄이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공진 레이저 광원은 1.25Gb/s 이상의 초고속 변조 특성을 가질 수 있다.
하부 전극(142)은 기판(110)의 하부면에 제공되고, 상부 전극(146)은 상부 클래드층(136) 상에 오믹층(144)을 개재하여 제공될 수 있다. 하부 전극(142)은 n형 전극이고, 상부 전극(146)은 p형 전극일 수 있다. 오믹층(144)은 p-InGaAs층일 수 있다.
고반사면(152)은 광 도파로의 직선 도파로 영역(122)의 일단에 제공되고, 무반사면(154)은 고반사면(152)에 대향하는 광 도파로의 윈도우 영역의 일단에 제공될 수 있다. 고반사면(152)은 외부 공진 레이저 광원의 이득을 높이기 위해, 그리고 무반사면(154)은 외부 공진 레이저 광원의 출사면의 반사도를 낮추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 공진 레이저 광원의 방사각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 공진 레이저 광원의 방사각(Far Field Pattern : FFP) 특성이 보여진다. 외부 공진 레이저 광원의 광 도파로 길이는 600㎛로, 활성층 및 수동 도파로층의 폭은 동일하게 1~1.5㎛로, 그리고 동작 전류는 50㎃로 하였을 때, 방사각의 수평 성분(실선) 및 수직 성분(점선)의 반치폭(Full Width at Half Maximum : FWHM) 값은 각각 13.8° 및 13.1°로 계측되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 공진 레이저 광원의 방사각은 원형에 가까운 특성을 보임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 공진 레이저 광원은 광 섬유, 폴리머 도파로 또는 실리카 도파로 등과 같은 다른 광 요소와의 이종 집적에서 높은 결합 효율을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리지형 광 도파로의 리지부 폭이 커지면, 외부 공진 레이저 광원의 방사각이 줄어들 수 있다. 하지만, 리지형 광 도파로의 리지부 폭과는 상관없이, 일반적으로 외부 공진 레이저 광원의 방사각은 타원형 특성을 보인다. 즉, 리지형 광 도파로의 리지부 폭을 조절하는 것으로는 외부 공진 레이저 광원의 방사각은 원형에 가까운 특성을 가질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 공진 레이저 광원은 활성층 및 수도 도파로층이 동일한 폭을 갖기 때문에, 원형에 가까운 특성의 방사각을 가질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부 공진 레이저 광원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Ⅱ-Ⅱ'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그리고 도 3c는 외부 공진 레이저 광원의 수동 도파로 및 활성층을 설명하기 위해 도 3a의 광 도파로의 일부분에 대한 평면 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외부 공진 레이저 광원은 기판(210), 광 도파로, 전류 차단층, 트렌치(239), 하부 전극(242), 오믹층(244), 상부 전극(246), 고반사면(252) 및 무반사면(254)을 포함한다.
기판(210)은 화합물 반도체 기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210)은 n-InP 기판일 수 있다.
광 도파로는 수동 도파로층(212), 하부 클래드층(214), 활성층(220) 및 상부 클래드층(236)을 포함할 수 있다. 광 도파로는 기판(210) 상에 수동 도파로층(212), 하부 클래드층(214), 활성층(220) 및 상부 클래드층(236)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것일 수 있다. 광 도파로는 직선 도파로 영역(222), 굽은 도파로 영역(224), 테이퍼 진 도파로 영역(226) 및 윈도우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광 도파로는 리지형 광 도파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광 도파로는 무반사면(254)에 접하면서, 고반사면(252)에 접하는 광 도파로보다 폭이 좁은 리지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수동 도파로층(212)은 직선 도파로 영역(222)에서는 기판(210) 전면에 제공된 형태를 가지고, 굽은 도파로 영역(224), 테이퍼 진 도파로 영역(226) 및 윈도우 영역에서는 테이퍼 진 도파로 영역(226)의 최대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면서 일정한 폭으로 제공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굽은 도파로 영역(224), 테이퍼 진 도파로 영역(226) 및 윈도우 영역에 제공되는 수동 도파로층(212)은 1~10㎛의 폭을 가 질 수 있다. 수동 도파로층(212)은 n-InGaAsP층일 수 있다.
도 3c에서 활성층(220)의 굽은 도파로 영역(224)에 제공된 수동 도파로층(212)이 활성층(220)의 직선 도파로 영역(222)보다 넓은 폭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도 3a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활성층(220)의 굽은 도파로 영역(224)에 제공된 수동 도파로층(222)은 활성층(220)의 굽은 도파로 영역(224)과 동일한 폭을 가진다.
하부 클래드층(214)은 직선 도파로 영역(222) 및 굽은 도파로 영역(224)의 활성층(220)과 수동 도파로층(212)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하부 클래드층(214)은 n-InP층일 수 있다.
활성층(220)은 직선 도파로 영역(222), 굽은 도파로 영역(224) 및 테이퍼 진 도파로 영역(226)으로 구분될 수 있다. 활성층(220)의 직선 도파로 영역(222) 및 굽은 도파로 영역(224)은 매립형 이종 구조로 이루어지고, 활성층(220)의 테이퍼 진 도파로 영역(126)은 매립형 리지 스트라이프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굽은 도파로 영역(224) 및 테이퍼 진 도파로 영역(226)은 버트 결합에 의해 버트 경계(228)를 가지면서 연결될 수 있다. 굽은 도파로 영역(224)과 테이퍼 진 도파로 영역(226) 사이의 버트 경계(228)는 직선 도파로 영역(222)에 대해 약 5~45° 정도 기울어질 형태일 수 있다.
테이퍼 진 도파로 영역(226)의 일단은 0.1㎛ 이하로 설계되었다. 직선 도파로 영역(222)의 폭은 수동 도파로층(212)와 동일한 1~10㎛의 폭을 갖고, 테이퍼 진 도파로 영역(226)의 일단은 0.1㎛ 이하로 줄어들기 때문에, 광 모드 크기가 변환될 수 있다. 또한, 광의 재반사 정도가 감소될 수 있다.
테이퍼 진 도파로 영역(226)은 입/출사면에서의 광의 반사율을 낮추기 위한 영역으로써, 광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5~15° 정도 기울어질 수 있다. 테이퍼 진 도파로 영역(226)을 큰 각도로 기울일수록, 입/출사면에서의 광의 반사율은 낮아질 수 있다. 하지만, 굽은 도파로 영역(224)에서의 광 손실이 커지기 때문에, 외부 공진 레이저 광원의 이득은 감소된다. 이 때, 발생되는 광 손실은 활성층(220) 하부에 제공된 수동 도파로층(212)에 의해 광의 결합 효율이 높아지기 때문에, 그 정도가 최소화될 수 있다.
활성층(220)은 편광 의존성을 갖는 응력 완화 다중 양자 우물 구조 또는 편광 의존성을 갖지 않는 응력 완화 벌크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활성층(220)이 다중 양자 우물 구조로 이루어질 경우, 외부 공진 레이저 광원은 수퍼 루미네센스 다이오드일 수 있다. 이와는 달리, 활성층(220)이 벌크 구조로 이루어질 경우, 외부 공진 레이저 광원은 반사형 반도체 광 증폭기일 수 있다.
상부 클래드층(236)은 수동 도파로층(212) 및 활성층(220)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클래드층(236)은 p-InP층일 수 있다.
전류 차단층은 활성층(220) 주위에 제공될 수 있다. 전류 차단층은 순차적으로 적층된 하부 클래드층(214), 제 1 전류 차단층(232), 제 2 전류 차단층(234) 및 상부 클래드층(236)을 포함할 수 있다. 전류 차단층은 활성층(220) 외부로의 전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다. 제 1 전류 차단층(232)은 p-InP층이고, 제 2 전류 차단층(234)은 n-InP층일 수 있다.
트렌치(239)는 활성층(220) 주위의 전류 차단층 및 기판(210)의 일부를 제거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트렌치(239)는 활성층(220) 주위의 상부 클래드층(236), 제 2 전류 차단층(234), 제 1 전류 차단층(232), 하부 클래드층(214) 및 기판(210)의 일부를 순차적으로 식각하여 형성할 수 있다. 트렌치(239)를 형성하기 위한 식각 공정에서 광 도파로의 리지부(240)가 동시에 형성될 수도 있다.
트렌치(239)는 1.25Gb/s 이상의 초고속 변조를 위해 활성층(220) 외부로의 전류 흐름을 차단하는 전류 차단층 및 활성층(220) 주변으로 누설되는 기생 용량을 줄이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공진 레이저 광원은 1.25Gb/s 이상의 초고속 변조 특성을 가질 수 있다.
하부 전극(242)은 기판(210)의 하부면에 제공되고, 상부 전극(246)은 상부 클래드층(236) 상에 오믹층(244)을 개재하여 제공될 수 있다. 하부 전극(242)은 n형 전극이고, 상부 전극(246)은 p형 전극일 수 있다. 오믹층(244)은 p-InGaAs층일 수 있다.
고반사면(252)은 광 도파로의 직선 도파로 영역(222)의 일단에 제공되고, 무반사면(254)은 고반사면(252)에 대향하는 광 도파로의 윈도우 영역의 일단에 제공될 수 있다. 고반사면(252)은 외부 공진 레이저 광원의 이득을 높이기 위해, 그리고 무반사면(254)은 외부 공진 레이저 광원의 출사면의 반사도를 낮추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수퍼 루미네센스 다이오드는 활성층 및 수동 도파로층이 적어도 굽은 도파로 영역, 테이퍼 진 도파로 영역 및 윈도우 영역 에서 동일한 폭을 갖는 리지형 광 도파로를 가짐으로써, 좁은 방사각을 갖는 광을 출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좁은 방사각을 갖는 광을 출사하면서, 낮은 전류에서도 이득이 크고, 임계 전류가 낮아서 전력의 소모가 적고, 그리고 1.25Gb/s 이상의 고주파 변조 특성이 우수한 수퍼 루미네센스 다이오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반사형 반도체 광 증폭기는 활성층 및 수동 도파로층이 적어도 굽은 도파로 영역, 테이퍼 진 도파로 영역 및 윈도우 영역에서 동일한 폭을 갖는 리지형 광 도파로를 가짐으로써, 좁은 방사각을 갖는 광을 출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좁은 방사각을 갖는 광을 출사하면서, 낮은 전류에서도 이득이 크고, 임계 전류가 낮아서 전력의 소모가 적고, 그리고 1.25Gb/s 이상의 고주파 변조 특성이 우수한 반사형 반도체 광 증폭기가 제공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 공진 레이저 광원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Ⅰ-Ⅰ'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그리고 도 1c는 외부 공진 레이저 광원의 수동 도파로 및 활성층을 설명하기 위해 도 1a의 광 도파로의 일부분에 대한 평면 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 공진 레이저 광원의 방사각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3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부 공진 레이저 광원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Ⅱ-Ⅱ'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그리고 도 3c는 외부 공진 레이저 광원의 수동 도파로 및 활성층을 설명하기 위해 도 3a의 광 도파로의 일부분에 대한 평면 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210 : 기판 112, 212 : 수동 도파로층
114, 214 : 하부 클래드층 120, 220 : 활성층
122, 222 : 직선 도파로 영역 124, 224 : 굽은 도파로 영역
126, 226 : 테이퍼 진 도파로 영역 128, 228 : 버트 경계
132, 232 : 제 1 전류 차단층 134, 234 : 제 2 전류 차단층
136, 236 : 상부 클래드층 139, 239 : 트렌치
140, 240 : 리지부 142, 242 : 하부 전극
144, 244 : 오믹층 146, 246 : 상부 전극
152, 252 : 고반사면 154, 254 : 무반사면

Claims (10)

  1.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수동 도파로층, 하부 클래드층, 활성층 및 상부 클래드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되, 직선 도파로 영역, 굽은 도파로 영역, 테이퍼 진 도파로 영역 및 윈도우 영역을 구비하는 리지형 광 도파로; 및
    상기 활성층 주위에 제공되어, 상기 활성층 외부로의 전류 흐름을 차단하는 전류 차단층을 포함하되,
    상기 직선 도파로 영역 및 상기 굽은 도파로 영역은 매립형 이종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테이퍼 진 도파로 영역은 매립형 리지 스트라이프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동 도파로층은 상기 직선 도파로 영역에서의 상기 활성층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면서, 상기 직선 도파로 영역, 상기 굽은 도파로 영역, 상기 테이퍼 진 도파로 영역 및 상기 윈도우 영역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공진 레이저 광원.
  2.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수동 도파로층, 하부 클래드층, 활성층 및 상부 클래드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되, 직선 도파로 영역, 굽은 도파로 영역, 테이퍼 진 도파로 영역 및 윈도우 영역을 구비하는 리지형 광 도파로; 및
    상기 활성층 주위에 제공되어, 상기 활성층 외부로의 전류 흐름을 차단하는 전류 차단층을 포함하되,
    상기 직선 도파로 영역 및 상기 굽은 도파로 영역은 매립형 이종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테이퍼 진 도파로 영역은 매립형 리지 스트라이프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동 도파로층은 상기 직선 도파로 영역에서는 상기 기판 상의 전체 표면에 제공되고, 상기 굽은 도파로 영역, 상기 테이퍼 진 도파로 영역 및 상기 윈도우 영역에서는 상기 테이퍼 진 도파로 영역에서의 상기 활성층의 최대 폭과 동일한 폭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공진 레이저 광원.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층은 편광 의존성을 갖는 다중 양자 우물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공진 레이저 광원.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층은 편광 의존성을 갖지 않는 벌크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공진 레이저 광원.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 진 도파로 영역은 110㎛의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공진 레이저 광원.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층의 상기 굽은 도파로 영역 및 상기 테이퍼 진 도파로 영역은 버트 결합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공진 레이저 광원.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굽은 도파로 영역 및 상기 테이퍼 진 도파로 영역의 버트 경계는 상기 직선 도파로 영역에 대해 약 5~45° 정도 기울어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공진 레이저 광원.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층 주위의 상기 전류 차단층 및 상기 기판의 일부를 제거하여 형성되는 트렌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공진 레이저 광원.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의 형성에 의해 1.25Gb/s 이상의 변조 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공진 레이저 광원.
  1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도파로층은 1~10㎛의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공진 레 이저 광원.
KR1020090024623A 2009-03-23 2009-03-23 외부 공진 레이저 광원 Expired - Fee Related KR101208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4623A KR101208030B1 (ko) 2009-03-23 2009-03-23 외부 공진 레이저 광원
US12/541,561 US8107508B2 (en) 2009-03-23 2009-08-14 External cavity laser light sour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4623A KR101208030B1 (ko) 2009-03-23 2009-03-23 외부 공진 레이저 광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6140A KR20100106140A (ko) 2010-10-01
KR101208030B1 true KR101208030B1 (ko) 2012-12-04

Family

ID=42737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4623A Expired - Fee Related KR101208030B1 (ko) 2009-03-23 2009-03-23 외부 공진 레이저 광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107508B2 (ko)
KR (1) KR1012080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277B1 (ko) * 2006-12-07 2008-06-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반사형 반도체 광증폭기 및 수퍼 루미네센스 다이오드
JP5568406B2 (ja) * 2010-08-18 2014-08-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スーパールミネッセントダイオード
KR101797624B1 (ko) * 2011-06-02 2017-12-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수퍼루미네센트 다이오드 및 그의 제조방법과, 그를 구비한 파장가변 외부공진레이저
DE102011111604B4 (de) 2011-08-25 2023-01-19 OSRAM Opto Semiconductors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Strahlungsemittierendes Halbleiterbauelement
JPWO2013115179A1 (ja) * 2012-01-30 2015-05-11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半導体光素子、集積型半導体光素子および半導体光素子モジュール
US9158057B2 (en) * 2012-05-18 2015-10-13 Gerard A Alphonse Semiconductor light source free from facet reflections
EP2816680A1 (de) 2013-06-18 2014-12-24 PBC Lasers GmbH Laser
US9397254B2 (en) * 2013-10-24 2016-07-1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uperluminescent diode and method for implementing the same
KR102049342B1 (ko) * 2013-10-24 2019-11-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수퍼루미네센트 다이오드 및 그의 구현 방법
US11125689B2 (en) * 2018-07-13 2021-09-21 The Government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Highly stable semiconductor lasers and sensors for III-V and silicon photonic integrated circuits
CN109037403B (zh) * 2018-07-27 2020-09-04 中国科学院半导体研究所 带透明窗口的超辐射发光二极管结构
WO2020255281A1 (ja) * 2019-06-19 2020-12-24 三菱電機株式会社 半導体光素子
US11754865B2 (en) * 2019-11-22 2023-09-12 Raytheon Bbn Technologies Corp. Hetergenous integration and electro-optic modulation of III-nitride photonics on a silicon photonic platform
JP2021174928A (ja) * 2020-04-28 2021-11-01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学装置
EP4083670A1 (en) 2021-04-30 2022-11-02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Optical waveguide circuits having laterally tilted waveguide cor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2956A (ja) 1998-06-19 2000-01-14 Nichia Chem Ind Ltd 窒化物半導体レーザ素子
KR100594108B1 (ko) 2005-01-21 2006-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단일 모드 분포 귀환 레이저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2863B2 (ja) * 1987-12-02 1994-10-19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発光ダイオード
JPH06181366A (ja) 1992-12-14 1994-06-28 Fujitsu Ltd 光半導体装置
US5561680A (en) 1994-12-20 1996-10-01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oration II-VI semiconductor diode laser having a strained layer
JPH10221572A (ja) * 1997-02-07 1998-08-21 Fujitsu Ltd 光装置
JPH10228005A (ja) 1997-02-14 1998-08-25 Mitsubishi Electric Corp 電界吸収型光変調器と光変調器集積型半導体レーザダイオード
FR2786278B1 (fr) * 1998-11-24 2001-01-26 Cit Alcatel Composant optique a semi-conducteur comportant un adapteur de mode
US6687278B1 (en) * 1999-09-02 2004-02-03 Agility Communications, Inc. Method of generating an optical signal with a tunable laser source with integrated optical amplifier
KR100406865B1 (ko) * 1999-11-04 2003-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선택 영역 성장법을 이용한 2중 코아 스폿 사이즈 변환기및 그 제조방법
KR100369329B1 (ko) 2001-03-05 2003-01-24 주식회사 케이티 무결함, 무반사의 스폿사이즈 변환기를 구비한 광소자의제조 방법
KR100566255B1 (ko) * 2004-02-19 2006-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반사형 반도체 광 증폭기
US7203409B2 (en) * 2004-08-16 2007-04-10 Covega Corporation Superluminescent diodes having high output power and reduced internal reflections
KR100710956B1 (ko) 2005-03-21 2007-04-24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광모드 크기 변환기를 구비한 레이저 다이오드 및 그제조방법
US7738167B2 (en) * 2005-12-09 2010-06-1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Reflective semiconductor optical amplifier (RSOA), RSOA module having the same, and passive optical network using the same
KR100670830B1 (ko) 2005-12-12 2007-01-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수퍼루미네슨트 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
KR100842277B1 (ko) * 2006-12-07 2008-06-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반사형 반도체 광증폭기 및 수퍼 루미네센스 다이오드
KR100958338B1 (ko) * 2007-12-18 2010-05-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 증폭기가 집적된 슈퍼루미네슨트 다이오드 및 이를이용한 외부 공진 레이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2956A (ja) 1998-06-19 2000-01-14 Nichia Chem Ind Ltd 窒化物半導体レーザ素子
KR100594108B1 (ko) 2005-01-21 2006-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단일 모드 분포 귀환 레이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6140A (ko) 2010-10-01
US8107508B2 (en) 2012-01-31
US20100238962A1 (en) 2010-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8030B1 (ko) 외부 공진 레이저 광원
KR100958338B1 (ko) 광 증폭기가 집적된 슈퍼루미네슨트 다이오드 및 이를이용한 외부 공진 레이저
KR100842277B1 (ko) 반사형 반도체 광증폭기 및 수퍼 루미네센스 다이오드
KR101797624B1 (ko) 수퍼루미네센트 다이오드 및 그의 제조방법과, 그를 구비한 파장가변 외부공진레이저
US10241267B2 (en) Semiconductor optical integrated device including a reduced thickness upper cladding layer in a ridge waveguide port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461158B1 (ko) 파장 가변 외부 공진 레이저 모듈
CN103346475B (zh) 单片集成耦合腔窄线宽半导体激光器
US20070153858A1 (en) Optical spot size converter integrated lase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EP1518304A1 (en) High power semiconductor laser diode and method for making such a diode
KR100566255B1 (ko) 반사형 반도체 광 증폭기
US8929418B2 (en) Semiconductor laser
WO2021148120A1 (en) Single-mode dfb laser
JP5616629B2 (ja) 高輝度発光ダイオード
KR20150048017A (ko) 수퍼루미네센트 다이오드 및 그의 구현 방법
KR20110087866A (ko) 외부 공진 레이저 광원
US20060078014A1 (en) Integrated modulator/laser assembly and a method of producing same
KR100880122B1 (ko) 광도파로 주변에 광손실 감소영역을 구비하는 광소자 및 그제조 방법
Zhu et al. Widely Tunable 1.3 um InGaAlAs/InP DBR Laser
Zhu et al. Widely Tunable 1.3 μm InGaAlAs/InP DBR Laser
KR20110103217A (ko) 파장 가변 광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3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6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1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11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