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07982B1 - Shoes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Shoes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7982B1
KR101207982B1 KR1020110043609A KR20110043609A KR101207982B1 KR 101207982 B1 KR101207982 B1 KR 101207982B1 KR 1020110043609 A KR1020110043609 A KR 1020110043609A KR 20110043609 A KR20110043609 A KR 20110043609A KR 101207982 B1 KR101207982 B1 KR 101207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t
insole
heel
shoe
acupress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36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125884A (en
Inventor
신광준
Original Assignee
신광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광준 filed Critical 신광준
Priority to KR1020110043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7982B1/en
Publication of KR20120125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588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7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7982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9/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assembling of the individual parts
    • A43B9/04Welted footwear
    • A43B9/06Welted footwear stitched or nailed through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3/02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assembled by stitchin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5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 A43B7/14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provided with acupressure points or means for foot massa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조 공정이 단순하며 발지압이 가능한 구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실시예로, 발등을 덮을 수 있는 업퍼와 상기 업퍼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솔을 포함하는 구두에 있어서, 상기 업퍼, 상기 업퍼의 개방된 하단부의 외측 둘레에 대어지는 가요성 웰트 그리고 상기 업퍼의 개방된 하단부 내측 둘레에 테두리가 대어지는 인솔을 포함하고, 겹쳐진 상기 웰트, 상기 업퍼 및 상기 인솔은 바느질로 연결되어 있는 구두를 제시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having a simple manufacturing process and capable of holding pressur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shoe including an upper that can cover an instep and a sole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upper, the upper, the flexible welt faci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open lower end of the upper, and the upper An insole bordered around the open lower end of the insole, wherein the welts, the uppers and the insoles overlaid present a shoe connected by stitching.

Description

구두 및 그 제조방법{Shoes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Shoes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제조 공정이 단순하며 발지압이 가능한 구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having a simple manufacturing process and capable of holding pressur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일반적으로 구두는 발등 부분을 덮는 갑피(upper) 부분과, 갑피가 고정되며 지면에 대어지는 창으로 이루어진다. 정통적인 신발은 안창, 중창, 본창, 굽 등의 중첩된 구성을 가지며, 갑피도 뒤내피, 베라, 선심, 내피 등의 여러 다른 종류의 재질과 조각들이 조합되어 제작된다. In general, the shoe consists of an upper part covering the instep and a window fixed to the upper and facing the ground. Authentic shoes have overlapping configurations such as insoles, midsoles, main insoles, and heel, and uppers are made of different materials and pieces, such as endothelium, vera, core, and endothelium.

이러한 구성들은 각기 접착제나 바느질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는 것으로 제조 과정이 복잡한 단점이 있다. 각 부재가 정교하게 제작된 구두는 고급 제품으로 분류되어 고가에 거래될 수 있지만, 최근 소비자의 취향에 따른 디자인의 다변화에 추세에 따라 다품종 소량 생산체계에서는 적합하지 아니한 것이다. Each of these components is connected to each other by adhesive or sewing. Finely crafted shoes can be classified as high-quality products and can be traded at high prices, but they are not suitable for multi-quantity and small-volume production systems in accordance with recent trends in design diversification according to consumer tastes.

한편, 발은 한의학에서 인체의 축소판이라고 하여, 발바닥의 국지적인 지압에 의하여 신체 기능이 활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동양 문화권에서 발달한 한의학의 영향으로 발바닥 지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oot is called a miniature version of the human body in oriental medicine, it is known that the body function is activated by the local pressure of the sole of the foot. In particular, the interest in foot acupressure is increasing due to the influence of oriental medicine developed in the Asian culture.

구두는 서양에서 전래된 것으로 평탄한 안창을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본창의 후단부에 딱딱한 굽을 높게 두고 있으므로, 발바닥 지압의 효능이 거의 없다시피 한 것이고, 오랜 보행시에 발바닥의 피로를 크게 가져오는 단점이 있다. Shoes originate in the West and generally have flat insoles. In addition, since the hard heel on the rear end of the main window is high, the effect of the foot acupressure is almost as it is,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brings a lot of fatigue of the sole during long walking.

구두를 통하여 발바닥의 지압을 이루려는 시도는 많이 있어 왔다. 대부분의 종래의 기술은 안창에 지압을 위한 돌기나 굴곡을 형성하는 점에 치중하여 왔고, 이는 착용 과정 중 항시 발바닥을 가압하는 것이기에 착용감을 나쁘게 하는 원인으로 작용하기도 하였다. There have been many attempts to achieve foot acupressure through shoes. Most conventional techniques have focused on the formation of protrusions or curvatures for acupressure in the insoles, which acts as a cause of bad fit because it is to press the sole at all times during the wearing process.

본 발명은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간단한 구성의 구두를 제공하여 제조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목적을 갖는다. 또한, 착용감이 우수하면서 아치부분에 지압이 이루어지게 하는 목적도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has an object of making the manufacturing easy by providing a shoe of a simple configuration. In addition, there is also an object to make acupressure on the arch portion while excellent in fit.

상기 과제를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발등을 덮을 수 있는 업퍼와 상기 업퍼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솔을 포함하는 구두에 있어서, 상기 업퍼, 상기 업퍼의 개방된 하단부의 외측 둘레에 대어지는 가요성 웰트 그리고 상기 업퍼의 개방된 하단부 내측 둘레에 테두리가 대어지는 인솔을 포함하고, 겹쳐진 상기 웰트, 상기 업퍼 및 상기 인솔은 바느질로 연결되어 있는 구두를 제시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hoe that includes an upper that can cover an instep and a sole that is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upper, wherein the upper portion is flexible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open lower end of the upper. A welt and an insole rimmed around the inside of the open lower end of the upper, the overlapping welt, the upper and the insole present a shoe connected by stitching.

여기서, 상기 웰트, 상기 업퍼 및 상기 인솔을 연결하는 제1재봉선과 상기 제1재봉선과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웰트와 상기 업퍼를 연결하는 제2재봉선을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first seam and the first seam to connect the welt, the upper and the insole may be spaced apart, and may include a second seam to connect the welt and the upper.

더하여, 상기 웰트의 하부는 상기 업퍼의 하단부 외측면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웰트의 상부는 말려 상기 인솔의 바닥면에 고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ottom of the welt is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upper, the top of the welt can be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ole.

또한, 상기 인솔의 테두리는 상기 외피의 하단부와 내접하도록 휘어져 있어 바닥면이 상부로 오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im of the insole is curved to be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outer shell may be concave bottom surface.

또한, 상기 업퍼는 인조 가죽인 외피 및 상기 외피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내피를 포함하고, 상기 웰트는 상기 외피와 동일한 재질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upper may include an outer skin which is an artificial leather and an inner skin attach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outer skin, and the welt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outer skin.

한편, 솔에 관한 것으로, 상기 솔에는 상기 업퍼가 부착되는 본창패드, 상기 본창패드의 바닥면 후방부에서 돌출되어 있는 굽, 착용자의 내측종아치에 대응되는 중앙 내측까지 상기 굽에서 연장되어 있는 지압굽 그리고 상기 지압굽과 이격되게 상기 본창패드의 바닥면 전방부에서 돌출되어 있는 전방디딤부를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ole relates to a sole pad to which the upper is attached, a heel protruding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ole pad, acupressure extending from the heel to the center inner side corresponding to the inner calf of the wearer Heel and may include a front stepp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front portion of the main pa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acupressure heel.

여기서, 상기 지압굽은 상기 굽의 둘레면 중 발끝을 향하는 일면 중앙부에서 상기 굽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중앙 내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Here, the acupressure heel is connected to the heel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one surface toward the tip of the heel of the heel, it may extend inclined toward the inner center.

또한, 상기 지압굽은 상기 전방디딤부의 바닥면과 상기 굽의 바닥면이 형성하는 가상의 평면보다 하부로 더 돌출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cupressure heel may protrude further downward than an imaginary plane formed by the bottom surface of the front step portion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heel.

다른 실시예로, 발등을 덮을 수 있는 외피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외피의 내측면에 내피를 부착하여 업퍼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업퍼의 개방된 내측 하단부에 인솔의 테두리를 덧대고, 상기 업퍼의 외측 하단부에 웰트를 덧댄 후 상기 업퍼, 인솔 및 웰트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웰트를 상기 업퍼의 하단부를 따라 말아 접어 상기 인솔의 바닥면에 고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업퍼의 하단부를 솔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두의 제조방법을 제시한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step of manufacturing the outer shell covering the instep, the step of attaching the endothelial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shell to produce the upper, padding the edge of the insole on the open inner lower end of the upper, Attaching the welt to the outer lower end and connecting the upper, insole and welt, rolling the welt along the lower end of the upper to fold it to fix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ole, and attaching the lower end of the upper to the sole. It provides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hoe containing.

여기서, 상기 업퍼, 인솔 및 웰트를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업퍼의 하단부를 따라 상기 업퍼, 인솔 및 웰트를 1차 재봉하고, 상기 업퍼 및 웰트를 2차 재봉할 수 있다. Here, in the connecting of the upper, insole and welt, the upper, the insole and the welt may be sewn along the lower end of the upper, and the upper and the welt may be sewn secon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업퍼, 웰트 및 인솔의 연결이 한 번의 재봉 작업으로 완료될 수 있으므로 제조가 용이하고 그에 따라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nection of the upper, the welt and the insole can be completed in one sewing operation, the manufacturing is easy and thus the productivity is improved.

또한, 솔의 바닥에 지압굽을 구비함으로써 보행시에 착용자의 내측종아치를 효과적으로 지압할 수 있으며, 착용감을 개선하며, 솔의 내구성이 증대되는 장점도 갖는다. In addition, by providing acupressure heel on the sole of the sole can effectively acupressure the inner leg of the wearer when walking, has an advantage of improving the wearing comfort, durability of the sole is increas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일부분을 분해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조립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다른 조립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솔의 개략적인 저면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구두의 개략적인 측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ho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3 is an assembled cross sectional view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is another assembled cross sectional view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6 is a schematic bottom view of the sole employed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7 is a schematic side view of the shoe shown in FIG. 1;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두 및 그 제조방법의 구성,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한다. 단,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도면번호는 통일하여 사용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configuration, function and operation of the sho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for similar or identical components are used uniformly.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두(10)는 발등을 덮을 수 있는 업퍼(upper, 1)와 상기 업퍼(1)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솔(sole, 4)을 포함한다. 1 to 5, the shoe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that can cover the instep 1 and a sole 4 that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1. Include.

업퍼(1)는 적어도 발등을 감싸는 것으로 구두의 디자인을 결정하는 부분이다. 업퍼(1)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발목 이하의 발등 전체를 감싸는 형상이거나, 발목 이상을 감싸는 부츠, 앞발등만을 감싸는 슬립퍼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는 업퍼는 본 발명에서 그 형상에 따른 제약이 없다. The upper 1 is the part which determines the design of a shoe by covering at least the instep. The upper 1 may have a shape that covers the entire foot of the foot below the ankle as shown, or may have the shape of a boot that covers the ankle or more, a slipper that wraps only the front foot. The upper, which can have various shapes, is not limited by the shape in the present invention.

업퍼(1)는 복수의 부재가 적층되어 제조될 수 있다. 업퍼의 부재는 크게 외부에서 관찰되는 외피(11)와, 외피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내피(12)로 나뉜다. 또한, 외피는 복수의 조각이 서로 연결되어 구성되며, 이들 조각의 연결은 도시된 바와 같이 재봉질로 이루어지거나, 접착제 등 다양한 방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upper 1 may be manufactur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members. The members of the upper are largely divided into the outer shell 11 observed from the outside and the inner shell 12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shell. In addition, the outer shell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piec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connection of these pieces may be made of sewing as shown, or made in various ways such as adhesive.

이러한 외피(11)는 인조 가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인조 가죽은 칼라 색상 및 다양한 질감 표현이 용이하며 가격이 저렴한 장점을 갖는다. This shell 11 may be made of artificial leather. Artificial leather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y to express color and various textures and low cost.

한편, 내피(12)는 외피보다 부드러운 재질을 주로 사용하게 된다. 내구성을 고려하여 합성섬유로 짜인 직물이나, 외피보다 부드러운 인조 가죽을 사용하기도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endothelial 12 is mainly to use a softer material than the outer skin. For durability, fabrics made of synthetic fibers or artificial leather that is softer than the outer skin may be used.

외피(11)와 내피(12)는 접착제를 통하여 일체로 결속된다. 제작된 업퍼(1)의 하단부는 개방되어 있다. The outer shell 11 and the inner shell 12 are integrally bound via an adhesive. The lower end part of the produced upper 1 is open | released.

이와 달리 업퍼는 두꺼운 천연 가죽을 사용하여 제작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the upper may be made from thick natural leather.

인솔(insole, 2)은 업퍼(1)의 개방된 하단부 내측 둘레에 그 테두리가 대어지는 바닥 부재이다. 인솔(2)은 구두의 기본 형태를 고정시키는 것으로 두터운 가죽 또는 합성수지 재질이다. An insole 2 is a bottom member whose rim is circumferentially surrounded on the inner side of the open lower end of the upper 1. Insole (2) is to fix the basic form of the shoe is made of thick leather or synthetic resin.

인솔(2)의 테두리(21), 즉 상면의 둘레는 업퍼(1)의 개방된 하단부에 면접하게 대어진다. 인솔(2)의 테두리(21)와 업퍼(1)의 하단부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바느질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The edge 21 of the insole 2, ie the perimeter of the upper surface, is interviewed against the open lower end of the upper 1. The edge 21 of the insole 2 and the lower end of the upper 1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sewing, as will be described later.

인솔(2)의 테두리(21)는 업퍼의 하단부와 내접하도록 휘어져, 업퍼(1)에 결합된 상기 인솔(2)의 바닥면이 상부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인솔의 테두리는 업퍼에 결합되기 전에 미리 접어 형성하거나, 테두리를 업퍼의 하단부 내측에 대고 재봉하는 과정 중에서 자연스럽게 형성될 수 있다. The edge 21 of the insole 2 is bent to inscribe with the lower end of the upper, so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ole 2 coupled to the upper 1 is concave upward. The edge of the insole may be formed in advance before being coupled to the upper, or naturally formed in the process of sewing the edge to the inside of the lower end of the upper.

한편, 웰트(welt, 3)는 업퍼(1)의 개방된 하단부 외측 둘레에 대어지는 띠 부재이다. 웰트(3)는 부드럽게 휘어질 수 있는 가요성을 가지는 것이다. 이러한 웰트는 인조 가죽이나 천 등 재봉이 가능하여 가요성을 갖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On the other hand, the welts 3 are band members which are placed around the outside of the open lower end of the upper 1. The welt 3 has flexibility that can bend smoothly. These welts are made of various materials having flexibility since sewing is possible, such as artificial leather or cloth.

나아가, 웰트(3)는 업퍼(1)의 외피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웰트가 외피와 같은 재질의 경우, 구두의 업퍼와 연속된 색감과 질감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urther, the welt 3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outer shell of the upper 1. If the welt is the same material as the outer shell, it has the advantage of giving the shoe uppers and continuous color and texture.

또는, 웰트가 외피와 다른 재질로 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외피와 다른 색감이나 질감을 표출할 수 있어 장식적 효과를 더 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the welt may be made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e skin, and in this case, a color or texture different from the skin may be expressed, thereby adding a decorative effect.

더하여, 외피와 웰트가 외부로 드러나게 사용되는 전면과 그렇지 못한 배면을 가지는 경우에, 외피의 전면과 웰트의 전면이 서로 맞닿게 배치된다. 그 이유는 후술하기로 한다.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the skin and the welt have a front face which is us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and a rear face which are not, the front face of the skin face and the front face of the welt face each other. The reason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웰트(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퍼(1)의 전방부와 후방부 둘레를 각기 감싸도록 분할될 수 있다. 또는 웰트는 하나의 연속된 띠로 제공될 수도 있다. 분할된 경우에 구두의 외관미를 훼손하지 아니하기 위하여 각 웰트(3)의 일부분이 서로 겹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welts 3 can be divided so as to surround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upper 1 as shown in FIG. 2, respectively. Or the welts may be provided in one continuous strip. In order to avoid impairing the appearance of the shoe when divided, it is preferable that portions of each of the welts 3 overlap each other.

도 3에는 업퍼(1), 인솔(2) 및 웰트(3)의 연결구조가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3 shows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upper 1, the insole 2 and the welt 3 in a cross-sectional view.

겹쳐진 업퍼(1), 인솔(2) 및 웰트(3)는 바느질로 서로 연결된다. 이러한 바느질은 재봉틀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재봉에 의한 부재들의 결합은 업퍼의 하단부 둘레를 따라 이루어지기 때문에 한 번의 재봉으로도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업퍼, 인솔 및 웰트의 재봉에 의한 결합 방식은 높은 생산성을 갖게 된다. The overlapped uppers 1, insoles 2 and welts 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sewing. Such stitching can be made through a sewing machine. Joining of the members by sewing is possible along a lower periphery of the upper, so that only one sewing is possible. The coupling method by sewing the upper, insole and welt will have high productivity.

도시된 바와 같이, 업퍼(1)의 하단과 나란하게 인솔(2)의 하단 및 웰트(3)의 하단이 위치된다. 인솔(2)의 테두리(21)는 업퍼(1)의 내피(12)와 국지적으로 면접하고 있다. 또한, 웰트(3)의 하단부는 외피(11)의 하단부와 면접하고 있다. 이와 같이, 서로 면접하고 있는 부분에 바느질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인솔(2)과 웰트(3)는 업퍼(1)의 표면과 평행되려고 하며, 그에 따라 인솔(2)의 바닥면(22) 가장자리에는 단턱(13)이 형성되고, 인솔(2)의 바닥면(22)은 상부로 볼록하게 휘어지게 된다. As shown, the bottom of the insole 2 and the bottom of the welt 3 are positioned alongside the bottom of the upper 1. The edge 21 of the insole 2 is interviewed locally with the endothelium 12 of the upper 1. 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welt 3 is interviewed with the lower end of the outer shell 11. In this way, since the sewing is made to the portions that are being interviewed with each other, the insole 2 and the welt 3 are about to be parallel to the surface of the upper 1, and thus the edge of the bottom surface 22 of the insole 2 Steps 13 are formed, and the bottom surface 22 of the insole 2 is convexly curved upwards.

나아가, 바느질은 복수 회에 걸쳐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웰트(3), 업퍼(1) 및 인솔(2)을 서로 연결하는 제1재봉선(31)을 형성하는 1차 바느질과, 제1재봉선(31)보다 위쪽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웰트(3)와 업퍼(1)를 연결하는 제2재봉선(32)을 형성하는 2차 바느질로 이루어진다.Furthermore, stitching can be made multiple times. In this case, the primary stitches forming the first seam 31 connecting the welts 3, the upper 1, and the insole 2 to each other, are spaced upwardly from the first seam 31, and the welts 3 ) And a second stitch forming a second seam 32 connecting the upper 1.

이러한 제1재봉선(31)은 업퍼(1)의 하단에 가깝게 형성되어 인솔(2)의 테두리를 포함하여 재봉함으로써 구두 상부 구조의 형상을 고정할 수 있다. The first sewing line 31 is formed close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1) can be fixed to the shape of the upper structure of the shoe by sewing including the rim of the insole (2).

또한, 제2재봉선(32)은 인솔(2)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에서 업퍼(1) 및 웰트(3)를 연결하여, 웰트(3)의 고정력을 증대시키며, 후술되는 바와 같이, 웰트를 뒤집어 당길 때 인솔(2)과 업퍼(1)의 연결 부분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In addition, the second seam 32 connects the upper 1 and the welt 3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insole 2 to increase the fixing force of the welt 3, and as described later, the welt is turned upside down. It has a function of preventing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insole 2 and the upper 1 from being deformed when pulled out.

이때, 제1재봉선과 제2재봉선 각각은 복수 회 바느질되어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each of the first sewing line and the second sewing line may be stitched a plurality of times.

도 4는 업퍼를 솔에 부착하기 전의 상태를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before attaching the upper to the sole.

도면의 왼쪽에서 웰트(3)는 하부를 향하도록 젖혀져 있다. On the left side of the drawing, the welt 3 is turned upside down.

업퍼(1)의 개방된 하단의 둘레는 연속된 곡면을 가지는 것으로, 이 하단 둘레와 면접하게 고정된 웰트(3)는 자체 탄성에 의하여 탄성 변형되면서 아래로 젖혀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제2재봉선(32)이 웰트가 접히는 기준선이 된다. The circumference of the open lower end of the upper 1 has a continuous curved surface, and the welt 3 fixed to the lower circumference in an interview can be folded down while being elastically deformed by its elasticity. At this time, the second sewing line 32 becomes a reference line at which the welt is folded.

웰트(3)는 하부로 당겨지면서 업퍼(1)의 하단을 감싸고 연이어 인솔(2)의 바닥면(22)에 부착된다. 웰트의 부착에는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접착제를 대신하여 재봉에 의하여 웰트를 인솔에 부착할 수도 있다.The welts 3 are pulled down to enclose the lower end of the upper 1 and subsequently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22 of the insole 2. Adhesives may be used to attach the welts. Alternatively, the welt may be attached to the insole by sewing instead of the adhesive.

이때, 제1재봉선(31)에 의하여 업퍼의 하단부에 면접하는 인솔(2)의 테두리는 턱(13)을 형성하고 있다. 웰트(3)는 이 턱(13)을 감싸며 인솔(2)의 바닥면(22)에 접착된다. At this time, the rim 13 of the insole 2 which is join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by the first sewing line 31 forms a chin 13. The welt 3 wraps around the jaw 13 and is bonded to the bottom surface 22 of the insole 2.

업퍼(1)의 외표면과 평행하게 하부로 젖혀진 웰트(3)는 인솔(2)의 바닥면을 향하여 더 접히면서, 그 길이 방향에 따라 복수의 주름 접힌 채 인솔의 바닥면에 부착될 수 있다. The welt 3 bent downward in parallel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1 can be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ole with a plurality of folds folded along its longitudinal direction, further folding towards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ole 2. have.

이때, 업퍼(1)의 하단부 외측에 드러나는 웰트(3)를 팽팽하게 하기 위하여, 웰트(3)는 하부로 강하게 당겨지며 인솔(2)에 부착된다. 제2재봉선(32)은 웰트(3)가 아래로 젖혀지게 하부로 당겨질 때에 웰트가 반으로 접히는 경계가 된다. At this time, in order to tighten the welt 3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lower end of the upper 1, the welt 3 is strongly pulled downward and attached to the insole 2. The second seam 32 is the boundary at which the welt folds in half when the welt 3 is pulled down to be folded down.

이때, 제2재봉선은 제1재봉선보다 높게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으므로, 웰트의 당김에 의하여 제1재봉선이 형성된 하단부에서 업퍼와 웰트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겨지지 아니하게 한다. 즉, 웰트를 당길 때 발생되는 장력은 제2재봉선에 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이고, 제1재봉선에까지 거의 미치지 아니하게 된다. 이로써 제1재봉선에 의하여 형성된 인솔과 업퍼의 결합 형태가 벌어지거나 흐트러지는 등 변형되지 아니하게 되는 것이다. At this time, since the second sewing line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higher than the first sewing line, the upper and the welt are not pulled away from each other in the lower end portion in which the first sewing line is formed by pulling the welt. In other words, the tension generated when pulling the welt mainly affects the second seam, and hardly reaches the first seam. As a result, the coupling form of the insole and the upper formed by the first sewing line is not deformed or spread.

웰트(3)가 인솔(2)의 바닥면에 고정된 이후, 인솔(2)은 솔(4)에 부착된다. 솔(4)의 상면 테두리는 상부를 향하여 완만한 곡선을 이루며 돌출되어 있어, 솔의 상면 끝단부는 웰트(3)의 접힌 부분을 감싸게 된다. After the welt 3 is secur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ole 2, the insole 2 is attached to the sole 4. The top edge of the sole 4 protrudes in a gentle curve towards the top, so that the top end of the sole surrounds the folded portion of the welt 3.

그 결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4)은 웰트(3)의 측면 하단부를 감싸면서 업퍼(1)에 고정된다. 이때,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솔에는 아웃솔과 미드솔로 이루어질 수 있다. As a result, as shown in FIG. 5, the sole 4 is fixed to the upper 1 while wrapping the lower end of the side of the welt 3. At this time, although not shown, the sole may be made of an outsole and a midsole.

솔(4)의 접착이 완료된 구두(10)의 측면에는 웰트(3)의 일부분이 노출된다. A portion of the welt 3 is exposed on the side of the shoe 10 where the sole 4 has been bonded.

한편, 도 6 내지 도 7은 솔에 관한 것이다.6 to 7 relate to a so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솔(4)은 상기 업퍼가 부착되는 본창패드(41), 상기 본창패드(41)의 바닥면 후방부에서 돌출되어 있는 굽(42), 착용자의 내측종아치에 대응되는 중앙 내측까지 상기 굽(42)에서 연장되어 있는 지압굽(43) 그리고 상기 지압굽(43)과 이격되게 상기 본창패드(41)의 바닥면 전방부에서 돌출되어 있는 전방디딤부(44)를 포함한다. The sole 4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s to the insole pad 41 to which the upper is attached, the heel 42 protruding from the rear surface rear portion of the insole pad 41, and the inner calf of the wearer. The acupressure heel 43 extending from the heel 42 to the inner side of the center and the front tread portion 44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front portion of the main pad 41 to be spaced apart from the acupressure heel 43. Include.

본창패드(41), 굽(42), 지압굽(43) 및 전방디딤부(44)를 포함하는 솔(4)은 합성 고무로 일체를 이루도록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또한 전방디딤부(44)와 굽(42)에는 재질을 달리하는 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 층은 본창패드나 굽에 비하여 보다 질긴 합성수지로 제조될 수 있다. The sole 4 including the insole pad 41, the heel 42, the acupressure heel 43, and the front tread portion 44 may be injection molded to be integral with synthetic rubber. In addition, the front stepping portion 44 and the heel 42 may be further formed of a different material layer. This layer can be made of tougher synthetic resin than insole pads or heels.

본창패드(41)의 상면은 업퍼(1)에 부착되는 것이다. 이 본창패드(41)와 업퍼의 사이에는 미드솔(도시 생략)이 더 구비될 수 있다. The upper surface of the window pad 41 is attached to the upper 1. A midsole (not shown)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window pad 41 and the upper.

본창패드(41)의 바닥면에서 전방디딤부(44), 굽(42), 지압굽(43)이 돌출되어 있다. 이때, 전방디딤부(44)의 두께에 비하여 굽(42)의 두께를 길게 하여 구두의 착용감을 개선할 수 있다. The front tread portion 44, the heel 42, and the acupressure heel 43 protrud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window pad 41. At this time, compared to the thickness of the front step portion 44, the thickness of the heel 42 can be increased to improve the fit of the shoe.

한편, 지압굽(43)은 착용자의 내측종아치에 대응되어 본창패드(41)의 바닥면 중앙 내측에서 돌출되어 있다. 지압굽은 착용자의 보행시에 지면에 눌려지며 상승하여 발바닥 아치를 눌러주는 것으로, 굽보다는 차지 면적이 작은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acupressure heel 43 protrudes from the inner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pad 41 to correspond to the inner calf of the wearer. Acupressure heel is pressed by the ground when the wearer walks to press the soles of the soles, and occupies a smaller area than the heel.

또한, 지압굽(43)은 굽(42)과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지압굽(43)은 굽(42)의 둘레면 중 발끝을 향하는 일면(421)에서 본창패드(41)의 중앙 내측을 향하여 연장된 형상을 갖는다. In addition, the shiatsu heel 43 is connected to the heel 42. Specifically, the acupressure heel 43 has a shape extending from the one surface 421 toward the tip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el 42 toward the center inner side of the main pad 41.

만일, 지압굽의 일측면이 굽과 연결되지 아니하고, 단지 본창패드에만 연결되어 있다면, 본창패드와 연결된 면적이 굽에 비하여 작은 지압굽이 보행 중 지면과의 마찰이나 지면에서 돌출된 돌부리 등에 닿으며 충격되어 본창패드에서 쉽게 떨어질 수 있는 위험이 있다. If one side of the acupressure heel is not connected to the heel but is only connected to the insole pad, the area of the acupressure heel is impacted by a small acupressure heel hitting the ground or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ground. There is a risk of falling off the main pad.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지압굽(43)은 본창패드(41)와 굽(42)에 모두 연결되어 있으므로 구조적 강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게 된다. 또한, 굽과 지압굽 사이에 파인 홈이 없게 하여 자갈 등이 지압굽과 굽 사이에 끼이는 불편한 점을 해소하는 것이다. However, since the acupressure heel 4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both the insole pad 41 and the heel 42 has the advantage that the structural rigidity is increased. In addition, there is no fine groove between the heel and the acupressure heel to eliminate the inconvenience that the gravel is caught between the acupressure heel and the heel.

더하여, 지압굽(43)은 굽(42)의 일면 중앙부에서 연장되며, 중앙 내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acupressure heel 43 extends from the central portion of one surface of the heel 42 and is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center inner side.

만일 지압굽이 굽의 중앙부가 아닌 상기 일면의 일측에서 직선으로 연장되어 있다면, 지압굽과 굽의 연결부분이 휘어질 때의 탄성이 구두의 좌우에서 서로 달라지게 된다. 즉, 지압굽이 연장된 구두의 내측보다 외측에서 더 쉽게 휘어지게 되므로, 올바른 보행에 장애를 가져올 소지가 있게 되는 것이다. If the acupressure heel extends in a straight line on one side of the surface instead of the center of the heel, the elasticity when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acupressure heel and the heel is bent is different from right and left of the shoe. In other words, the acupressure heel is more easily bent on the outside than the inside of the extended sho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it will lead to impaired correct walking.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지압굽이 굽의 중앙부에서 연장되기 시작하면, 구두의 접힘 탄성은 구두의 좌우에서 고르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착용자의 올바른 보행 자세에 미치는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However, when the acupressure heel begins to extend in the center of the heel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ding elasticity of the shoe is made evenly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shoe. Therefore, the influence on the correct walking posture of the wearer can be minimized.

더하여, 지압굽(43)의 바닥면은 굽(42)의 바닥면과 전방디딤부(44)의 바닥면이 형성하는 가상 평면(F)에 비하여 더 돌출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지압굽(43)의 바닥면에는 돌출층(431)이 더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층(431)은 내측종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만 형성되는 것으로, 지압굽(43)과 굽(42)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형성되어 있지 아니한 것이다. 돌출층은 재질을 달리하는 별도의 패드를 부착하여 형성하거나, 솔의 성형시에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cupressure heel 43 protrudes more than the imaginary plane F formed by the bottom surface of the heel 42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front tread portion 44. To this end, a protruding layer 431 is further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hiropractor 43. The protruding layer 431 is formed only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ner longitudinal arch, and is not formed at the portion where the acupressure heel 43 and the heel 42 are connected. The protruding layer may be formed by attaching a separate pad having different materials, or may be integrally formed when the sole is molded.

굽(42)보다 더 돌출된 지압굽(43)에 의하여 전방디딤부(44)와 굽(42)이 동시에 지면에 접촉한 때에 지압굽(43)이 지면에 눌려져 상승하면서 착용자의 내측종아치를 향하여 상승하게 된다. When the front tread portion 44 and the heel 42 are simultaneously in contact with the ground by the acupressure heel 43 which protrudes more than the heel 42, the acupressure heel 43 is pressed against the ground to raise the inner calf of the wearer. To rise.

따라서 굽이나 전방디딤부만이 지면에 접촉하고 있는 경우나, 착용자가 의자에 앉아 있는 경우 등에는 지압굽에 의한 지압이 없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보행 중의 한 순간에만 아치의 지압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구두의 착용 중 항시 아치를 지압하여 착용감이 나쁜 다른 종래의 기술에 따른 구두와 차별된다. Therefore, when only the heel or the front step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or when the wearer is sitting on the chair, there is no acupressure due to the acupressure heel. In this way, since the arch of the arch is made only at one moment during walking, the arch is always pressed while the shoe is worn, and is differentiated from shoes according to other conventional techniques, which are poor in fit.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두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manufacturing sho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두의 제조방법은, 발등을 덮을 수 있는 외피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외피의 내측면에 내피를 부착하여 업퍼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업퍼의 개방된 내측 하단부에 인솔의 테두리를 덧대고, 상기 업퍼의 외측 하단부에 웰트를 덧댄 후 상기 업퍼, 인솔 및 웰트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웰트를 상기 업퍼의 하단부를 따라 말아 접어 상기 인솔의 바닥면에 고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업퍼의 하단부를 솔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ho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manufacturing the outer shell covering the instep, the step of manufacturing the upper by attaching the inner shell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shell, the insole of the open inner lower end of the upper Padding the rim, padding the welt to the outer lower end of the upper, and connecting the upper, insole and welt, rolling the welt along the lower end of the upper to fold it to fix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ole and the upper Attaching the lower end to the sole.

외피를 제작하는 단계에서는 복수의 외피 조각을 접착제로 연결하거나, 재봉질로 연결하여 구두의 상부 외형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외피는 발바닥에 해당되는 하단부가 개방된 것이다. 외피 조각의 수와 이들 간의 고정수단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e step of manufacturing the outer shell to connect a plurality of outer shell pieces with an adhesive, or by sewing to form the upper shape of the shoe. This sheath is open to the bottom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ole. The number of shell pieces and the fixing means between them can be made in a variety of ways.

다음 단계에서 외피에 내피를 접착제로 접착하여 업퍼를 제작한다. 내피는 외피보다 부드러운 재질일 수 있으며, 이는 종류를 달리하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내피와 외피의 결합은 접착제 외에도 재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e next step, the endothelium is glued to the skin to make an upper. The inner skin may be a softer material than the outer skin, which may be made of synthetic resins of different types. Bonding of the endothelium and the skin may be made by sewing in addition to the adhesive.

이후, 업퍼의 개방된 하단부 내측에 인솔의 테두리를 면접시키고, 외측에는 웰트를 면접시킨다. 이때, 업퍼의 하단에 인솔의 테두리 끝단과 웰트의 하단부 끝단을 맞춘다. 또한, 웰트가 전면과 배면을 달리하는 경우에는, 완성된 구두에서 외부에서 보일 면이 외피를 향하도록 한다. Then, the edge of the insole is interviewed inside the open lower end of the upper, and the welt is interviewed on the outside. At this time, align the edge of the insole with the bottom end of the welt to the bottom of the upper. In addition, when the welt is different from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the surface to be seen from the outside in the finished shoe should face the skin.

각 끝단이 나란하게 맞추어진 인솔, 업퍼 및 웰트의 하단부 둘레를 따라 재봉질하여 이들을 연결한다. 이때,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나, 업퍼의 하단부를 따라 상기 업퍼, 인솔 및 웰트를 1차 재봉하고, 연달아 업퍼 및 웰트를 2차 재봉할 수 있다. Each end is stitch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lower end of the insole, upper and welt fitted side by side to connect them. At this time, although not necessarily, the upper, insole and the welt may be sewn first along the lower end of the upper, and the second and the second may be sewn successively.

또는 업퍼의 끝단과 웰트의 끝단이 나란하도록 웰트를 업퍼에 대고, 웰트의 중간 높이에서 업퍼의 둘레를 따라 1차 재봉하여 업퍼와 웰트를 먼저 연결한 후에, 업퍼의 하단부 내측에 인솔의 테두리를 면접하게 대고 인솔, 업퍼 및 웰트의 하단부를 업퍼의 둘레를 따라 2차 재봉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welts are placed on the uppers so that the ends of the uppers and the ends of the welts are parallel to each other, and the first sewing is per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s at the middle height of the welts. The lower end of the insole, upper and welt can be sewn secondary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또는 이러한 1,2차 재봉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재봉틀 외에 수작업 바느질로 이루어지거나, 접착제가 부가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the first and second sewing may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and may be made by hand sewing in addition to the sewing machine, or an adhesive may be additionally used.

다음 단계에서, 업퍼의 표면에 고정된 웰트를 업퍼의 하단부를 따라 말아 접어 인솔의 바닥면에 고정한다. 이때, 웰트의 고정은 접착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e next step, the welt secured to the surface of the upper is rolled along the lower end of the upper and folded to secure it to the bottom of the insole. At this time, the fixing of the welt may be made of an adhesive.

이후, 업퍼의 하단부, 즉, 접힌 웰트를 포함한 인솔의 바닥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이를 미리 준비해 둔 솔의 상면에 부착한다. 이로써 구두의 제조가 완료된다. Then, an adhesive is appli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that is,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ole including the folded welt, and attached to the top surface of the brush prepared in advance. This completes the manufacture of the shoe.

10 : 구두
1 : 업퍼
11 : 외피 12 : 내피 13 : 턱
2 : 인솔
21 : 테두리 22 : 바닥면
3 : 웰트
31 : 제1재봉선 32 : 제2재봉선
4 : 솔
41 : 본창패드 42 : 굽 421 : 일면
43 : 지압굽 431 : 돌출층 44 : 전방디딤부
F : 가상 평면
10: shoes
1: upper
11: outer skin 12: inner skin 13: jaw
2: Insole
21: Border 22: Bottom
3: welt
31: First sewing line 32: Second sewing line
4: brush
41: main pad 42: heel 421: one side
43: acupressure heel 431: protrusion layer 44: front stepping portion
F: virtual plane

Claims (10)

발등을 덮을 수 있는 업퍼와 상기 업퍼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솔을 포함하는 구두에 있어서,
상기 업퍼의 개방된 하단부의 외측 둘레에 대어지는 가요성 웰트, 그리고
상기 업퍼의 개방된 하단부 내측 둘레에 테두리가 대어지며 상기 웰트 및 상기 업퍼와 바느질로 연결되어 있는 인솔을 포함하고,
상기 솔은
상기 업퍼가 부착되는 본창패드,
상기 본창패드의 바닥면 후방부에서 돌출되어 있는 굽,
착용자의 내측종아치에 대응되는 중앙 내측까지 상기 굽에서 연장되어 있는 지압굽, 그리고
상기 지압굽과 이격되게 상기 본창패드의 바닥면 전방부에서 돌출되어 있는 전방디딤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압굽은
상기 굽의 둘레면 중 발끝을 향하는 일면 중앙부에서 상기 굽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중앙 내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는 구두.
In the shoe comprising an upper that can cover the instep and a sol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A flexible welt against the outer perimeter of the open lower end of the upper, and
An insole is rimmed around the inner side of the open lower end of the upper and is connected to the welt and the upper by sewing.
The brush is
The insole pad is attached to the upper,
Heel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rear portion of the insole pad,
Acupressure heel extending from the heel to the medial medial corresponding to the medial arch of the wearer, and
It includes a front stepp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front portion of the main pa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acupressure heel,
The chiropractor
It is connected to the heel in the central portion of one side toward the tip of the heel of the heel,
Shoes extending obliquely towards the center.
제1항에서,
상기 웰트, 상기 업퍼 및 상기 인솔을 연결하는 제1재봉선과
상기 제1재봉선과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웰트와 상기 업퍼를 연결하는 제2재봉선을 포함하는 구두.
In claim 1,
A first seam connecting said welt, said upper and said insole;
Sho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eam and comprising a second seam connecting the welt and the upper.
제2항에서,
상기 웰트의 하부는 상기 업퍼의 하단부 외측면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웰트의 상부는 말려 상기 인솔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있는 구두.
In claim 2,
A lower portion of the welt is connect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upper;
The upper portion of the welt is rolled up and secur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ole.
제3항에서,
상기 인솔의 테두리는 상기 업퍼 내피의 하단부와 내접하도록 휘어져 있어 바닥면이 상부로 오목한 구두.
4. The method of claim 3,
The rim of the insole is curved so as to be inscribed with the lower end of the upper endothelial shoe bottom surface concave upward.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업퍼는
인조 가죽인 외피 및
상기 외피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내피를 포함하고,
상기 웰트는 상기 외피와 동일한 재질인 구두.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upper is
Outer leather and
An inner skin attached to an inner side of the outer skin,
The welt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shell.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서,
상기 지압굽은 상기 전방디딤부의 바닥면과 상기 굽의 바닥면이 형성하는 가상의 평면보다 하부로 더 돌출되어 있는 구두.
In claim 1,
The acupressure heel protrudes further downward than an imaginary plane formed by the bottom surface of the front step portion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heel.
발등을 덮을 수 있는 외피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외피의 내측면에 내피를 부착하여 업퍼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업퍼의 개방된 내측 하단부에 인솔의 테두리를 덧대고, 상기 업퍼의 외측 하단부에 웰트를 덧댄 후 상기 업퍼, 인솔 및 웰트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웰트를 상기 업퍼의 하단부를 따라 말아 접어 상기 인솔의 바닥면에 고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업퍼의 하단부를 솔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업퍼, 인솔 및 웰트를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업퍼의 하단부를 따라 상기 업퍼, 인솔 및 웰트를 1차 재봉하고,
상기 업퍼 및 웰트를 2차 재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의 제조방법.
Manufacturing an outer shell covering the instep,
Manufacturing an upper by attaching an endothelial to an inner surface of the outer shell,
Attaching an edge of an insole to an open inner lower end of the upper, attaching a welt to an outer lower end of the upper, and connecting the upper, insole and welt;
Rolling the welt along the lower end of the upper to fold it to fix i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ole, and
Attaching a lower end of the upper to a sole,
Connecting the upper, insole and welt,
Primary sewing the upper, insole and welt along the lower end of the upper,
Shoe manufactur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ary sewing the upper and the welt.
삭제delete
KR1020110043609A 2011-05-09 2011-05-09 Shoes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xpired - Fee Related KR1012079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3609A KR101207982B1 (en) 2011-05-09 2011-05-09 Shoes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3609A KR101207982B1 (en) 2011-05-09 2011-05-09 Shoes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5884A KR20120125884A (en) 2012-11-19
KR101207982B1 true KR101207982B1 (en) 2012-12-04

Family

ID=47511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3609A Expired - Fee Related KR101207982B1 (en) 2011-05-09 2011-05-09 Shoes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798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8207B1 (en) 2019-09-24 2020-01-22 최상하 System for manufacturing sho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7602B1 (en) 2016-06-13 2016-12-19 강수화 shoes and its manufacture method
CN115088914A (en) * 2022-07-04 2022-09-23 温州黑马鞋业有限公司 Method for manufacturing internal and external California art leather sho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5608A (en) 2000-11-29 2002-06-11 Tanabe Satoshi Shoe
JP2010082432A (en) 2008-09-02 2010-04-15 Atelier Okada:Kk Footwea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footwea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5608A (en) 2000-11-29 2002-06-11 Tanabe Satoshi Shoe
JP2010082432A (en) 2008-09-02 2010-04-15 Atelier Okada:Kk Footwea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footwea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8207B1 (en) 2019-09-24 2020-01-22 최상하 System for manufacturing sho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5884A (en) 2012-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04808A (en) Shoe having a rigid back part and flexible forepart
US4852275A (en) Shoe having a rigid back part
KR102416454B1 (en) Shoes changeable to Sandal or Slipper
KR100919969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oversock socks without seam and oversock socks manufactured thereby
KR101207982B1 (en) Shoes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030106171A1 (en) Comfort moccasin
US20130312283A1 (en) Half shoe and method for producing half shoe
US20130318817A1 (en) Footwear with integrated energy wave sockliner
TW202100049A (en) Pair of comfortable shoes with various styles
KR101127039B1 (en) Sho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using the same
KR101080873B1 (en) Shoes with a pattern integrated lower assembly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211186029U (en) Indoor slipper
KR20220074261A (en) Shoes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212787621U (en) Sock shoe
EP3884799A1 (en) Footwear having covered midsole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CN209862486U (en) Integrative shoes of no end
CN109043735B (en) Manufacturing process of bottomless integrated shoe
JP3211789U (en) Pattern molding machine and footwear manufactured based on it
CN217012960U (en) Novel insole and shoe
CN201051892Y (en) Ballet toe shoe
JP2014200508A (en) Slipper or sandal to which shoe manufacturing technique is applied
JP6606302B2 (en) Pattern molding machine and footwear manufactured based on it
TWI873944B (en) Easy-to-penetrate waterproof shoes with elastic heel
JP6622371B2 (en) Pattern molding machine and footwear manufactured based on it
CN222017816U (en) Shoes with whe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09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9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050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1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0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1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0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1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11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1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