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7920B1 - Compatible type charging circuit for various types of mobile phones - Google Patents
Compatible type charging circuit for various types of mobile phon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07920B1 KR101207920B1 KR1020110050041A KR20110050041A KR101207920B1 KR 101207920 B1 KR101207920 B1 KR 101207920B1 KR 1020110050041 A KR1020110050041 A KR 1020110050041A KR 20110050041 A KR20110050041 A KR 20110050041A KR 101207920 B1 KR101207920 B1 KR 10120792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sistor
- circuit
- charging
- switch
- power outpu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99 gro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321 ampl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199 nucleic acid amplific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provisions for charging different types of batteri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20—Charging or discharging characterised by the power electronics converter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4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dapted for charging from various sources, e.g. AC, DC or multivolt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입력전원을 인가받는 전원입력부(110); 상기 전원입력부(110)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회로구성되며, 상기 전원입력부(110)로부터 상기 입력전원을 전달받아 충전장치(100)에 연결되는 휴대단말기(80)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전원의 크기 및 주파수로 변환 및 증폭하여 출력하는 충전제어 회로부(120); 및 상기 충전제어 회로부(120)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회로구성되며, 스위치 동작에 의해 제1형 충전전원 출력회로(31) 및 제2형 충전전원 출력회로(32) 또는, 제3형 충전전원 출력회로(33)로 전환되는 충전전원 출력회로부(130);를 포함한 다기종 호환형 충전회로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power input unit 110 receives an input power; The size of the charging power for charging the portable terminal 80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input unit 110, the circuit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input power from the power input unit 110 and connected to the charging device 100 and A charge control circuit 120 converting and amplifying and outputting the frequency; And a circuit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charging control circuit unit 120, and configured by a switch operation to output the first type charging power output circuit 31 and the second type charging power output circuit 32 or the third type charging power output. There is provided a multi-type compatible charging circuit, including; charging power output circuit 130 is switched to the circuit (33).
Description
본 발명은 상용 충전기, 차량용 충전기 및 배터리팩 등의 충전장치 내에 회로구성되는 다기종 호환형 충전회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위치 동작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충전전원 출력회로로 전환이 가능하여, 여러 제조회사에서 제조되는 각종의 휴대단말기를 하나의 충전장치를 사용하여 충전할 수 있도록 회로구성된 다기종 호환형 충전회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type compatible charging circuit configured in a charging device such as a commercial charger, a vehicle charger and a battery pack, and mor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switch to various types of charging power output circuit according to the switch oper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type compatible charging circuit having a circuit configured to charge various portable terminals manufactured by various manufacturers using a single charging device.
일반적으로, 휴대폰 및 스마트폰 등의 휴대단말기는 이동성의 특성에 따라 구동전원을 제공받기 위한 충전용 배터리가 내장되어 사용되기 때문에, 휴대단말기의 사용시간과 기능에 따라 방전될 때까지의 대기시간이 각기 다르나, 결국은 일정 시간이 경과한 뒤 재충전을 해야되므로 상기 휴대단말기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장치가 반드시 필요하였다.In general, since portable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and smartphones have a built-in rechargeable battery for receiving driving power according to mobility characteristics, standby time until discharging depends on the usage time and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lthough different, after all,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to be recharged, a charging device for charging the mobile terminal was necessary.
이러한 충전장치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용 충전기(40), 차량용 충전기(50) 및 배터리팩(50)이 그 대상이 될 수 있는데, 여기서, 220V의 상용전원 콘센트에 연결한 후 인가되는 상용전원을 변환시켜 상기 휴대단말기(80)를 충전하는 상용 충전기(40)가 일반적으로 이용된다. 또한, 상기 상용 충전기(40)에는 휴대단말기(80)를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회로가 내부에 회로구성되며, 상기 충전회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용전원 콘센트에 접속되어 상용전원을 인가받는 전원입력부(10)와, 상기 전원입력부(10)의 출력단에 접속되며 인가된 상용전원을 휴대단말기(80)를 충전하기 위한 5V 2A의 충전전원의 형태로 변환하도록 회로구성된 충전제어 회로부(20) 및, 상기 충전제어 회로부(20)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변환된 충전전원을 휴대단말기(80)의 USB 5핀 커넥터 형태를 갖는 충전전원 입력단에 인가하는 충전전원 출력회로부(30)로 구성되었다.As such a charging device, as shown in Figure 1, the
여기서, 상기 충전회로에 연결되는 휴대단말기(80)의 제조회사 및 기종에 따라 충전전원을 인가받는 방식(회로구성)이 상이하기 때문에 휴대단말기(80)에 상기 충전전원을 인가하는 충전전원 출력회로부(30)의 회로 구성 역시 각 휴대단말기(80) 별로 달라질 수 밖에 없었다.Here, the charging power output circuit unit for applying the charging power to the
도 3a 내지 도 3c에는 휴대단말기(80)의 제조회사 및 기종에 따라 충전전원 출력회로부(30)의 다양한 형태들이 개시되어 있으며, 각 충전전원 출력회로부(31,32,33)의 출력단은 통상적인 휴대단말기(80)의 통상적인 충전 커넥터 연결방식인 USB 5핀 커넥터가 이용되었다.3A to 3C illustrate various forms of the charging power
이와 같이, 휴대단말기(80)의 제조회사 및 기종에 따라 서로 충전전원 출력회로부(31,32,33)에 의해 충전전원이 출력되는 방식이 상이하였기 때문에, 제조회사 및 기종이 서로 다른 여러 대의 휴대단말기(80)를 사용하는 경우 충전장치를 서로 호환해서 사용하지 못하므로 휴대단말기(80)의 대수에 비례하는 만큼의 충전장치가 구비되어야 하므로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었으며 각 충전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자원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harging power is outputted by the charging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스위치 동작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충전전원 출력회로로 전환이 가능하여, 여러 회사에서 제조되는 각종의 휴대단말기를 하나의 충전장치를 사용하여 충전 가능하도록 회로구성된 다기종 호환형 충전회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witch to various types of charging power output circui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witch, a variety of portable terminals manufactured by various companies in one charging device It is to provide a multi-type compatible charging circuit is configured to be chargeable using a.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입력전원을 인가받는 전원입력부(110); 상기 전원입력부(110)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회로구성되며, 상기 전원입력부(110)로부터 상기 입력전원을 전달받아 충전장치(100)에 연결되는 휴대단말기(80)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전원의 크기 및 주파수로 변환 및 증폭하여 출력하는 충전제어 회로부(120); 및 상기 충전제어 회로부(120)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회로구성되며, 스위치 동작에 의해 제1형 충전전원 출력회로(31) 및 제2형 충전전원 출력회로(32) 또는, 제3형 충전전원 출력회로(33)로 전환되는 충전전원 출력회로부(130);를 포함한 다기종 호환형 충전회로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충전전원 출력회로부(130)는, 상기 충전제어 회로부(120)의 출력단 및 양극포트(VCC)의 접속점과 데이터포트(D+) 사이에 제1저항(R1)이, 상기 데이터포트(D+)와 접지포트(GND) 사이에는 제2저항(R2)이 각각 회로연결되고, 상기 충전제어 회로부(120)의 출력단 및 양극포트(VCC)의 접속점과 데이터포트(D-) 사이에는 제3저항(R3)이, 상기 데이터포트(D-)와 접지포트(GND) 사이에는 제4저항(R4)이 각각 회로연결되며, 상기 데이터포트(D+)와 데이터포트(D-) 사이에는 한 번의 스위치 동작에 의해 함께 개방되거나 단락되는 제1스위치(SW1) 및 제2스위치(SW2)가 직렬로 회로연결되되, 상기 제1스위치(SW1) 및 제2스위치(SW2) 사이의 접속점과 접지포트(GND) 사이에는 제5저항(R5)이 회로연결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스위치 동작에 의해 상기 제1형 충전전원 출력회로(31) 및 제2형 충전전원 출력회로(32) 또는, 제3형 충전전원 출력회로(33)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종 호환형 충전회로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ging power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형 충전전원 출력회로(32)는, 양극포트(VCC)와 접지포트(GND) 사이에 저항A(RA)와 저항B(RB)가 직렬로 회로연결되되, 상기 저항A(RA)와 저항B(RB) 사이의 접속점에는 데이터포트(D+)와 데이터포트(D-)가 각각 회로구성된 형태일 경우, 상기 충전전원 출력회로부(130)의 제1저항(R1)과 제3저항(R3)의 각 저항값은, 상기 제1저항(R1)과 제3저항(R3)의 합성저항값이 상기 제2형 충전전원 출력회로(32)의 저항A(RA)의 저항값과 동일한 범위 내에서 정해지며, 상기 충전전원 출력회로부(130)의 제2저항(R2), 제5저항(R5) 및 제4저항(R4)의 각 저항값은, 제2저항(R2), 제5저항(R5) 및 제4저항(R4)의 합성저항값이 상기 제2형 충전전원 출력회로(32)의 저항B(RB)의 저항값과 동일한 범위 내에서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종 호환형 충전회로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type charging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스위치(SW1) 및 제2스위치(SW2)는, 상기 충전장치(100)의 케이스(101) 외부로 노출되며,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상기 제1스위치(SW1) 및 제2스위치(SW2)를 동시에 개방 또는 단락시키는 전환스위치 버튼(102)과 연결되어, 상기 전환스위치 버튼(102)에 의해 스위치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종 호환형 충전회로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first switch (SW1) and the second switch (SW2)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첫째, 스위치 동작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충전전원 출력회로로 전환이 가능하여, 여러 제조회사에서 제조되는 각종의 휴대단말기를 하나의 충전장치를 사용하여 범용적으로 충전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편의가 극대화되며, 충전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자원을 절감할 수 있다.First, it is possible to switch to various types of charging power output circui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witch, so that various portable terminals manufactured by various manufacturers can be universally charged using a single charging device, thereby maximizing user convenience. Resources for manufacturing the charging device can be saved.
둘째, 상기 다양한 형태의 충전전원 출력회로로 전환시키는 제1스위치 및 제2스위치를 동시에 개방 또는 단락시키며, 충전장치의 케이스 외부로 노출되는 전환스위치 버튼의 구성을 통해, 상기 전환스위치 버튼을 슬라이딩 동작시킴으로써 충전장치에 연결되는 휴대단말기에 적합한 충전전원 출력회로로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다.Second, 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switch to switch to the various types of charging power output circuit at the same time opening or short-circuit,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switch switch button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of the charging device, sliding the switch switch button This makes it easy to switch to a charging power output circuit suitable for a portable terminal connected to the charging device.
셋째, 충전회로에 연결되는 휴대단말기별로 기종 또는 적합한 충전전원 출력회로를 판별하기 위한 마이컴 및 감지회로 등의 회로 구성이 필요없이 가격이 저렴한 슬라이딩 스위치 및 저항 등을 통해 회로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Third, the circuit can be configured through low-cost sliding switches and resistors without the need for a circuit configuration such as a microcomputer and a sensing circuit for determining a model or a suitable charging power output circuit for each mobile terminal connected to the charging circuit. Can reduce the cost.
도 1은 종래의 충전장치의 종류 및, 상기 충전장치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를 충전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충전장치 내에 실장되는 충전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a 내지 도 3c는 휴대단말기의 제조회사 및 기종에 따라 구분되는 충전전원 출력회로부의 다양한 형태들을 나타낸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전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및 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전회로가 장착된 충전장치를 통해 휴대단말기를 충전시키는 구성 및 상기 충전장치에 장착된 전환스위치 버튼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및 확대도이다.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type of a conventional charging device and a configuration for charging a mobile terminal using the charging devic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harging circuit mounted in a conventional charging device;
3A to 3C are circuit diagrams illustrating various forms of a charging power output circuit unit classified according to a manufacturer and a model of a mobile terminal;
4 is a block diagram and a circuit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harging circu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and an enlarged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charging a mobile terminal through a charging device equipped with a charging circu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nfiguration of a switch button button mounted to the charging device.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기종 호환형 충전회로는, 제조회사 및 기종에 따라 충전전원을 인가받는 방식(회로구성)이 상이한 각종 휴대단말기와 상호 호환이 가능하도록, 스위치 동작에 따라 휴대단말기별로 충전전원 출력회로의 형태가 전환 가능한 충전회로이다.First, the multi-type compatible charging circuit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patible with various portable terminals having different charging methods (circuit configurations) for receiving charging power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 and the model. The charging circuit can switch the form of the charging power output circuit for each mobile terminal.
여기서, 휴대단말기(80)의 각 제조회사 및 기종별로 충전전원을 인가받는 방식에 따라 구분될 수 있는 다양한 충전전원 출력회로의 형태는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다.Here, the shapes of the various charging power output circuits that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receiving the charging power for each manufacturer and model of the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3a에 도시된 충전전원 출력회로는, 갤럭시S 제품을 제조하는 Samsung사(갤럭시Tab 제외)를 포함하여 LG사, HTC사, Motorola사, Nokia사, Sony Ericsson사, 및 Palm사 등 다수의 제조회사에서 제조되는 일반적인 휴대단말기(스마트폰)에 충전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회로구성된 충전전원 출력회로로서 이하에서는 제1형 충전전원 출력회로(31)로 명칭한다.More specifically, the charging power output circuit shown in FIG. 3A includes LG, HTC, Motorola, Nokia, Sony Ericsson, including Samsung (except Galaxy Tab), which manufactures Galaxy S products. A charging power output circuit configured to apply charging power to a general portable terminal (smartphone) manufactured by a number of manufacturing companies such as Palm Corpor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type charging
이러한 제1형 충전전원 출력회로(31)는, 양극포트(VCC)와 접지포트(GND)는 USB 5핀 커넥터의 1번핀과 5번핀에 각각 접속되고, 데이터포트(D-)과 데이터포트(D+)는 2번핀과 3번핀에 각각 접속되되, 상기 데이터포트(D-)와 데이터포트(D+)는 상호 단락되도록 회로구성된다.In the first type charging
여기서, 상기 일반적인 휴대단말기의 경우 충전회로에서 주변 회로구성과는 무관하게 데이터포트(D+)와 데이터포트(D-)가 상호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급속충전되며, 상기 데이터포트(D+)와 데이터포트(D-)가 개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저속충전되면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게 되나, 이하에서는 상기 데이터포트(D+)와 데이터포트(D-)가 상호 접속되어 있는 경우만을 예를 들어 설명함을 이해하여야 한다.Here, in the case of the general portable terminal, the charging circuit is rapidly charged when the data port D + and the data port D- are interconnected regardless of the peripheral circuit configuration, and the data port D + and the data por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hen (D-) is open, it is possible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while charging at low speed,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nly the case where the data port (D +) and the data port (D-) are interconnected will be described below. do.
다음으로, 도 3b에 도시된 충전전원 출력회로는, Samsung 사의 갤럭시 Tab 제품 등에 적용 가능한 충전전원 출력회로의 형태로서 이하에서는 제2형 충전전원 출력회로(32)로 명칭한다. 이러한 제2형 충전전원 출력회로(32)는, 양극포트(VCC)와 접지포트(GND) 사이에 저항A(RA)와 저항B(RB)가 직렬로 접속되되, 상기 저항A(RA)와 저항B(RB) 사이의 접속점에는 데이터포트(D+)와 데이터포트(D-)가 각각 접속되도록 회로구성된다.Next, the charging power output circuit shown in FIG. 3B is a form of the charging power output circuit applicable to the Samsung Galaxy Tab product or the lik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cond type charging
도 3c에 도시된 충전전원 출력회로는, 아이폰, 아이팟 및 아이패드 제품을 제조하는 Apple사에서 제조되는 휴대단말기에 충전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회로구성된 충전전원 출력회로의 형태로서 이하에서는 제3형 충전전원 출력회로(33)로 명칭한다. 이러한 제3형 충전전원 출력회로(33)는, 양극포트(VCC)와 데이터포트(D+) 사이에 저항(R1)이, 상기 데이터포트(D+)과 접지포트(GND) 사이에 저항(R2)이 각각 접속되며, 양극포트(VCC)와 데이터포트(D-) 사이에 저항(R3)이, 상기 데이터포트(D-)와 접지포트(GND) 사이에 저항(R4)이 각각 접속되도록 회로구성된다.The charging power output circuit shown in FIG. 3C is a form of a charging power output circuit configured to apply charging power to a portable terminal manufactured by Apple, which manufactures iPhone, iPod, and iPad products. The charging
이와 같이, 각 제조사 및 기종별로 휴대단말기(80)에서 요구로 하는 충전회로의 충전전원 출력회로(31,32,33)의 형태가 각각 상이하기 때문에, 상기 제1형 충전전원 출력회로(31)가 회로구성된 충전장치를 이용하여, Samsung사에서 제조된 갤럭시S 등 일반적인 휴대단말기는 충전할 수 있으나, Apple사에서 제조하는 아이폰, 아이팟 및 아이패드 등의 휴대단말기를 충전할 수 없으며, 더욱이 같은 Samsung사에서 제조된 갤럭시Tab 제품도 충전할 수 없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hapes of the charging
또한, 상기 제2형 충전전원 출력회로(32)가 회로구성된 충전장치를 이용하여, Samsung사에서 제조된 갤럭시S 제품 등 일반적인 휴대단말기나 Samsung사에서 제조된 갤럭시Tab 제품 등의 휴대단말기는 충전할 수 있으나, Apple사에서 제조된 휴대단말기는 충전할 수 없으며, 상기 제3형 충전전원 출력회로(33)가 회로구성된 충전장치를 이용하여, Apple사에서 제조된 휴대단말기는 충전할 수 있으나 갤럭시S 제품 등의 일반적인 휴대단말기는 물론, 갤럭시Tab 제품 등의 휴대단말기를 충전할 수 없는 것이다.In addition, by using the charging device configured as the second type of charging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기종 호환형 충전회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스위치 동작에 따라 제1형 충전전원 출력회로(31) 및 제2형 충전전원 출력회로(32) 또는, 제3형 충전전원 출력회로(33)의 형태로 전환이 가능하여, Samsung사의 갤럭시S 제품을 포함한 일반적인 휴대단말기(스마트폰) 및, 아이폰, 아이팟 및 아이패드 제품을 제조하는 Apple사에서 제조되는 휴대단말기는 물론, Samsung사의 갤럭시Tab 제품 등을 하나의 충전장치(100)로서 충전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Multi-type compatible charging circu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first type charging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기종 호환형 충전회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입력부(110), 충전제어 회로부(120), 충전전원 출력회로부(13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To this end, the multi-type compatible charging circu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4, including a
먼저, 전원입력부(110)는, 충전전원으로 변환 및 증폭하기 위한 입력전원을 인가받는 구성요소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종 호환형 충전회로가 장착되는 충전장치(100)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용 충전기(40)일 경우에는 접속코드 단자(41)에 접속되어 120V의 상용전원을 입력전원으로 인가받고, 상기 충전장치(100)가 차량용 충전기(50)일 경우에는 접속코드 단자(51)와 접속되어 12V 또는 6V 등의 출력전원을 입력전원으로 인가받으며, 상기 충전장치(100)가 배터리팩(60)일 경우에는 배터리팩에 내장된 충전배터리의 출력단자와 접속되어 소정의 출력전원을 입력전원으로 인가받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전원입력부(110)은, 상용전원, 차량용 전원 또는 배터리팩 전원 중 하나의 전원과 접속하여 입력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충전제어 회로부(120)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First, the
상기 충전제어 회로부(120)는, 상기 전원입력부(110)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회로구성되며, 상기 전원입력부(110)로부터 상기 입력전원을 전달받아 충전장치(100)에 연결되는 휴대단말기(80)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전원의 크기 및 주파수로 변환 및 증폭하며, 변환된 충전전원을 충전전원 출력회로부(130)로 출력하는 구성요소로서, 인가되는 입력전원의 형태 및 크기, 변환되는 충전전원의 형태 및 크기를 고려하여 정류회로, 평활회로, 증폭회로 및 정전압회로 등을 포함하여 회로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류회로, 평활회로, 증폭회로 및 정전압회로는 제품의 회로설계에 따라 다양한 방식 및 형태로 회로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공지되어 이용되고 있는 기술이므로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상기 충전제어 회로부(120)는 입력전원을 전달받아 휴대단말기(80)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전원의 크기 및 주파수 형태로 변환 및 증폭할 수 있는 회로구성이면 어떠한 형태의 회로구성이든지 적용 가능하다.
The charging
상기 충전전원 출력회로부(130)는, 상기 충전제어 회로부(120)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회로구성되며, 스위치 동작에 의해 상기 제1형 충전전원 출력회로(31), 제2형 충전전원 출력회로(32) 또는 제3형 충전전원 출력회로(33)로 전환시키는 구성요소이다.The charging power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전제어 회로부(120)의 출력단 및 양극포트(VCC)의 접속점과 데이터포트(D+) 사이에 제1저항(R1)이, 상기 데이터포트(D+)와 접지포트(GND) 사이에는 제2저항(R2)이 각각 회로연결되고, 상기 충전제어 회로부(120)의 출력단 및 양극포트(VCC)의 접속점과 데이터포트(D-) 사이에 제3저항(R3)이, 상기 데이터포트(D-)와 접지포트(GND) 사이에는 제4저항(R4)이 각각 회로연결되며, 상기 데이터포트(D+)와 데이터포트(D-) 사이에는 한 번의 스위치 동작에 의해 함께 개방되거나 단락되는 제1스위치(SW1) 및 제2스위치(SW2)가 직렬로 회로연결되되, 상기 제1스위치(SW1) 및 제2스위치(SW2) 사이의 접속점과 접지포트(GND) 사이에는 제5저항(R5)이 회로연결되도록 구비된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4, the first resistor R1 is formed between the output terminal of the charge
이러한 회로구성에 의해 상기 제1스위치(SW1) 및 제2스위치(SW2)가 스위치 동작하여 동시에 개방 또는 단락됨에 따라 상기 제1형 충전전원 출력회로(31) 및 제2형 충전전원 출력회로(32)로 전환되거나, 제3형 충전전원 출력회로(33)로 전환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In this circuit configuration, the first switch SW1 and the second switch SW2 are switched and simultaneously opened or shorted, thereby allowing the first type charged
여기서, 상기 제1스위치(SW1) 및 제2스위치(SW2)가 스위치 동작하여 모두 단락된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포트(D+), 데이터포트(D-) 및 제5저항(R5)이 모두 접속되면서, 상기 충전전원 출력회로부(130)가 제1형 충전전원 출력회로(31) 및 제2형 충전전원 출력회로(32)와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는 충전전원 출력회로로 전환되므로, 갤럭시S 제품을 포함한 일반적인 휴대단말기와 갤럭시Tab 제품 등의 휴대단말기를 충전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제1스위치(SW1) 및 제2스위치(SW2)가 모두 단락되기 때문에 제1형 충전전원 출력회로(31) 및 제2형 충전전원 출력회로(32)를 요구로 하는 휴대단말기들을 모두 충전할 수 있는 것이다.Here, when the first switch SW1 and the second switch SW2 are all shorted by the switch operation, the data port D +, the data port D−, and the fifth resistor R5 are all connected. Since the charging power
이때, 충전전원 출력회로부(130)가 상기 제2형 충전전원 출력회로(32)와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는 충전전원 출력회로로 전환되는 경우에는, 충전전원 출력회로부(130)의 제1저항(R1), 제2저항(R2), 제3저항(R3), 제4저항(R4) 및 제5저항(R5)에 의해 데이터포트(D+) 및 데이터포트(D-)에 인가되는 분배전압과, 상기 제2형 충전전원 출력회로(32)의 저항A(RA) 및 저항B(RB)에 의해 데이터포트(D+) 및 데이터포트(D-)에 인가되는 분배전압이 상호 대응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충전전원 출력회로부(130)의 제1저항(R1)과 제3저항(R3)의 각 저항값은, 상기 제1저항(R1)과 제3저항(R3)의 합성저항값이 상기 제2형 충전전원 출력회로(32)의 저항A(RA)의 저항값과 동일한 범위 내에서 정해지며, 상기 충전전원 출력회로부(130)의 제2저항(R2), 제5저항(R5) 및 제4저항(R4)의 각 저항값은, 제2저항(R2), 제5저항(R5) 및 제4저항(R4)의 합성저항값이 상기 제2형 충전전원 출력회로(32)의 저항B(RB)의 저항값과 동일한 범위 내에서 정해지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when the charging power
한편, 상기 제1스위치(SW1) 및 제2스위치(SW2)가 다시 스위치 동작하여 모두 개방된 경우에는 제1스위치(SW1) 및 제2스위치(SW2) 사이의 접속점과 접지포트(GND) 사이에 회로연결된 제5저항(R5)이 회로구성에서 단선되어 상기 충전전원 출력회로부(130)가 제3형 충전전원 출력회로(33)와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는 충전전원 출력회로로 전환되므로, 아이팟, 아이폰 및 아이패드 등 Apple사에서 제조하는 휴대단말기를 충전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제1스위치(SW1)와 제2스위치(SW2)가 모두 개방되기 때문에 제3형 충전전원 출력회로(33)를 요구로 하는 휴대단말기(80)들을 모두 충전할 수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switch (SW1) and the second switch (SW2) are all open again by the switch operation between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first switch (SW1) and the second switch (SW2) and the ground port (GND) Since the fifth resistor R5 connected to the circuit is disconnected in the circuit configuration, the charging
그리고, 상기 스위치 동작에 의해 제1형 충전전원 출력회로(31), 제2형 충전전원 출력회로(32) 또는 제3형 충전전원 출력회로(33)로의 전환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도 4에 회로구성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스위치(SW1) 및 제2스위치(SW2)가 동시에 개방되거나 단락되도록 구비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스위치(SW1) 및 제2스위치(SW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장치(100)의 케이스(101) 외부로 노출되며, 슬라이딩 동작에 상기 제1스위치(SW1) 및 제2스위치(SW2)를 동시에 개방 또는 단락시키는 전환스위치 버튼(102)과 연결되어, 상기 전환스위치 버튼(102)에 의해 스위치 동작하도록 구비된다.In order to be able to switch to the first type charging
즉,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원하는 충전전원 출력회로의 형태)로 푸쉬하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전환스위치 버튼(102)이 슬라이딩 되면서 상기 제1스위치(SW1) 및 제2스위치(SW2)를 스위치 동작시켜 두 개의 스위치(SW1,SW2)를 동시에 개방 또는 단락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That is, the
다음으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기종 호환형 충전회로의 동작원리를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multi-type compatible charging circuit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도 5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종 호환형 충전회로가 장착된 충전장치(100)를 소정의 전원에 연결한 후, 커넥터(70)를 통해 휴대단말기(80)와 연결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도 5에는 상기 전환스위치 버튼(102)이 슬라이딩 하는 방향을 A방향과 S방향으로 구분하여, A방향으로 전환스위치 버튼(102)가 슬라이딩 동작하면 상기 제1스위치(SW1) 및 제2스위치(SW2)가 모두 개방되어 제3형 충전전원 출력회로(33)와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는 형태로 전환되며, S방향으로 전환스위치 버튼(102)이 슬라이딩 동작하면 제1스위치(SW1) 및 제2스위치(SW2)가 모두 단락되어 제1형 충전전원 출력회로(31) 및 제2형 충전전원 출력회로(32)와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는 형태로 전환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다.First, as shown in Figure 5, after connecting the
이후, 상기 충전장치(100)를 통해 입력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전원입력부(110)는, 충전장치(100)가 상용 충전기(40)일 경우에는 접속코드 단자(41)에 접속되어 120V의 상용전원을 입력전원으로 인가받고, 상기 충전장치(100)가 차량용 충전기(50)일 경우에는 접속코드 단자(51)와 접속되어 12V 또는 6V 등의 출원전원을 입력전원으로 인가받으며, 상기 충전장치(100)가 배터리팩(60)일 경우에는 배터리팩에 내장된 충전배터리의 출력단자와 접속되어 배터리팩 전원을 입력전원으로 인가받아 회로연결 라인을 따라 인가된 입력전원을 후단의 충전제어 회로부(120)로 전달한다.Subsequently, when input power is applied through the
상기 충전제어 회로부(120)는, 전달된 입력전원을 상기 충전장치(100)에 연결되는 휴대단말기(80)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전원의 크기 및 주파수로 변환 및 증폭하여 충전전원 출력회로부(130)로 전달한다.The charging
이후, 상기 충전장치(100)에 연결된 휴대단말기(80)가 제3형 충전전원 출력회로(33)에 적합한, 아이폰, 아이팟 아이패드 제품 등 Apple사에서 제조되는 휴대단말기일 경우에는, 상기 전환스위치 버튼(102)을 A방향으로 가압하여 슬라이딩 동작시키게 되면, 상기 전환스위치 버튼(102)에 연결된 제1스위치(SW1) 및 제2스위치(SW2)가 모두 개방되면서, 충전전원 출력회로부(130)의 제1스위치(SW1) 및 제2스위치(SW2) 사이의 접속점과 접지포트(GND) 사이에 회로연결된 제5저항(R5)이 회로구성에서 단선되어 상기 충전전원 출력회로부(130)가 제3형 충전전원 출력회로(33)와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는 형태로 전환되며, 이에 따라 충전전원 출력회로부(130)로 전달된 충전전원은 휴대단말기(80)으로 인가될 수 있다.Subsequently, when the
또한, 상기 충전장치(100)에 연결된 휴대단말기(80)가 제1형 충전전원 출력회로(31)에 적합한, 갤럭시S 제품을 제조하는 Samsung사(갤럭시Tab 제외)를 포함하여 LG사, HTC사, Motorola사, Nokia사, Sony사, Ericsson사, 및 Palm사 등 다수의 제조회사에서 제조되는 일반적인 휴대단말기(스마트폰)이거나, 제2형 충전전원 출력회로(32)에 적합한, Samsung사의 갤럭시Tab 제품일 경우, 상기 전환스위치 버튼(102)을 S방향으로 가압하여 슬라이딩 동작시키게 되면, 상기 전환스위치 버튼(102)에 연결된 제1스위치(SW1) 및 제2스위치(SW2)가 모두 단락되면서 충전전원 출력회로부(130)의 데이터포트(D+), 데이터포트(D-) 및 제5저항(R5)이 모두 접속되면서, 상기 충전전원 출력회로부(130)가 제1형 충전전원 출력회로(31) 및 제2형 충전전원 출력회로(32)와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는 형태로 전환되며, 이에 따라 충전전원 출력회로부(130)로 전달된 충전전원은 휴대단말기(80)으로 정상적제3형 충전전원 출력회로(33)와 동일한 형태로 전환되며 이에 따라 충전전원 출력회로부(130)로 전달된 충전전원은 상기 휴대단말기(80)로 인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와 같이, 상기 다양한 형태의 충전전원 출력회로로 전환시키는 제1스위치(SW1) 및 제2스위치(SW2)를 동시에 개방 또는 단락시키며, 충전장치(100)의 케이스(101) 외부로 노출되는 전환스위치 버튼(102)의 구성을 통해, 상기 전환스위치 버튼(102)을 슬라이딩 동작시킴으로써 충전장치(100)에 연결되는 휴대단말기(80)에 적합한 충전전원 출력회로로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first switch (SW1) and the second switch (SW2) for switching to the various types of charging power output circuit at the same time open or short, the switching switch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기종 호환형 충전회로의 각 구성에 의해, 충전전원 출력회로부(130)의 제1스위치(SW1) 및 제2스위치(SW2)의 스위치 동작에 따라 제1형 충전전원 출력회로(31), 제2형 충전전원 출력회로(32) 및 제3형 충전전원 출력회로(33) 등 다양한 형태의 충전전원 출력회로로 전환이 가능하여, 여러 제조회사에서 제조되는 각종의 휴대단말기를 하나의 충전장치(100)를 사용하여 범용으로 충전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편의가 극대화되며, 충전장치(100)를 제조하기 위한 자원을 절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multi-type compatible charging circu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witch operation of the first switch (SW1) and the second switch (SW2) of the charging power
또한, 충전회로에 연결되는 휴대단말기(80)별로 기종 또는 적합한 충전전원 출력회로부(130)를 판별하기 위한 마이컴 및 감지회로 등의 회로 구성이 필요없이 가격이 저렴한 슬라이딩 스위치 및 저항 등을 통해 회로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제조단가를 절감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ircuit can be implemented through an inexpensive sliding switch and a resistor without the need for a circuit configuration such as a microcomputer and a sensing circuit for determining a model or a suitable charging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evident to those who have knowledge of.
100...충전장치 102...전환스위치 버튼
110...전원입력부 120...충전제어 회로부
130...충전전원 출력회로부100 ... Charging
110.Power input 120.Charge control circuit
130.Charging power output circuit
Claims (4)
상기 전원입력부(110)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회로구성되며, 상기 전원입력부(110)로부터 상기 입력전원을 전달받아 충전장치(100)에 연결되는 휴대단말기(80)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전원의 크기 및 주파수로 변환 및 증폭하여 출력하는 충전제어 회로부(120); 및
상기 충전제어 회로부(120)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회로구성되며, 스위치 동작에 의해 제1형 충전전원 출력회로(31) 및 제2형 충전전원 출력회로(32) 또는, 제3형 충전전원 출력회로(33)로 전환되는 충전전원 출력회로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충전전원 출력회로부(130)는, 상기 충전제어 회로부(120)의 출력단 및 양극포트(VCC)의 접속점과 데이터포트(D+) 사이에 제1저항(R1)이, 상기 데이터포트(D+)와 접지포트(GND) 사이에는 제2저항(R2)이 각각 회로연결되고, 상기 충전제어 회로부(120)의 출력단 및 양극포트(VCC)의 접속점과 데이터포트(D-) 사이에는 제3저항(R3)이, 상기 데이터포트(D-)와 접지포트(GND) 사이에는 제4저항(R4)이 각각 회로연결되며, 상기 데이터포트(D+)와 데이터포트(D-) 사이에는 한 번의 스위치 동작에 의해 함께 개방되거나 단락되는 제1스위치(SW1) 및 제2스위치(SW2)가 직렬로 회로연결되되, 상기 제1스위치(SW1) 및 제2스위치(SW2) 사이의 접속점과 접지포트(GND) 사이에는 제5저항(R5)이 회로연결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스위치 동작에 의해 상기 제1형 충전전원 출력회로(31) 및 제2형 충전전원 출력회로(32) 또는, 제3형 충전전원 출력회로(33)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종 호환형 충전회로.
A power input unit 110 receiving input power;
The size of the charging power for charging the portable terminal 80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input unit 110, the circuit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input power from the power input unit 110 and connected to the charging device 100 and A charge control circuit 120 converting and amplifying and outputting the frequency; And
The circuit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charge control circuit unit 120 and is configured by a switch operation. The first type charging power output circuit 31 and the second type charging power output circuit 32 or the third type charging power output circuit are formed by a switch operation. Includes; charging power output circuit 130 is switched to 33,
The charging power output circuit unit 130 has a first resistor R1 between the output terminal of the charging control circuit unit 120 and the connection point of the positive electrode port VCC and the data port D +, and the data port D +. A second resistor R2 is circuit-connected between the ground ports GND, and a third resistor R3 is connected between the output terminal of the charge control circuit unit 120 and the connection point of the positive port VCC and the data port D-. ), A fourth resistor R4 is circuit-connected between the data port D- and the ground port GND, and a single switch operation is performed between the data port D + and the data port D-. The first switch (SW1) and the second switch (SW2) which are opened or shorted together by a circuit is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first switch (SW1) and the second switch (SW2) and the ground port (GND) The fifth resistor (R5) is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circuit, the first type charging power output circuit 31 and the second type before charging by the switch operation Output circuit 32 or the third-type charging power source output circuit is model-compatible charging circuitry characterized in that the switch to 33.
상기 제2형 충전전원 출력회로(32)는, 양극포트(VCC)와 접지포트(GND) 사이에 저항A(RA)와 저항B(RB)가 직렬로 회로연결되되, 상기 저항A(RA)와 저항B(RB) 사이의 접속점에는 데이터포트(D+)와 데이터포트(D-)가 각각 회로구성된 형태일 경우,
상기 충전전원 출력회로부(130)의 제1저항(R1)과 제3저항(R3)의 각 저항값은, 상기 제1저항(R1)과 제3저항(R3)의 합성저항값이 상기 제2형 충전전원 출력회로(32)의 저항A(RA)의 저항값과 동일한 범위 내에서 정해지며,
상기 충전전원 출력회로부(130)의 제2저항(R2), 제5저항(R5) 및 제4저항(R4)의 각 저항값은, 제2저항(R2), 제5저항(R5) 및 제4저항(R4)의 합성저항값이 상기 제2형 충전전원 출력회로(32)의 저항B(RB)의 저항값과 동일한 범위 내에서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종 호환형 충전회로.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second type charging power output circuit 32, a resistor A (RA) and a resistor B (RB) are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anode port VCC and the ground port GND, and the resistor A (RA). In the case where the data port (D +) and the data port (D-) are each formed in a circuit at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resistor and the resistor B (RB),
The resistance value of each of the first resistor R1 and the third resistor R3 of the charging power output circuit unit 130 is a combined resistance value of the first resistor R1 and the third resistor R3. It is determined within the same range as the resistance value of the resistance A (RA) of the type charging power output circuit 32,
The resistance values of the second resistor R2, the fifth resistor R5, and the fourth resistor R4 of the charging power output circuit unit 130 may include the second resistor R2, the fifth resistor R5, and the fifth resistor R5. A multi-type compatible charging circui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bined resistance value of the four resistors (R4) is determined within the same range as the resistance value of the resistor B (RB) of the second type charging power output circuit (32).
상기 제1스위치(SW1) 및 제2스위치(SW2)는,
상기 충전장치(100)의 케이스(101) 외부로 노출되며,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상기 제1스위치(SW1) 및 제2스위치(SW2)를 동시에 개방 또는 단락시키는 전환스위치 버튼(102)과 연결되어, 상기 전환스위치 버튼(102)에 의해 스위치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종 호환형 충전회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The first switch SW1 and the second switch SW2 are
I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101 of the charging device 100, and is connected to the switch switch button 102 for opening or shorting the first switch (SW1) and the second switch (SW2) at the same time by a sliding operation, Multi-type compatible charging circuit, characterized in that the switch operation by the switch button button 10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50041A KR101207920B1 (en) | 2011-05-26 | 2011-05-26 | Compatible type charging circuit for various types of mobile phon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50041A KR101207920B1 (en) | 2011-05-26 | 2011-05-26 | Compatible type charging circuit for various types of mobile phone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07920B1 true KR101207920B1 (en) | 2012-12-04 |
Family
ID=47906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50041A Expired - Fee Related KR101207920B1 (en) | 2011-05-26 | 2011-05-26 | Compatible type charging circuit for various types of mobile phon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07920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30052547A1 (en) | 2001-03-01 | 2003-03-20 | Fischer Daniel M. | Multifunctional charger system and method |
KR100618078B1 (en) * | 2003-06-11 | 2006-08-30 |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 Universal serial bus charger for a mobile device |
-
2011
- 2011-05-26 KR KR1020110050041A patent/KR10120792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30052547A1 (en) | 2001-03-01 | 2003-03-20 | Fischer Daniel M. | Multifunctional charger system and method |
KR100618078B1 (en) * | 2003-06-11 | 2006-08-30 |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 Universal serial bus charger for a mobile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8718020B (en) | hub | |
CN103457458B (en) | Current switching control appliance and electronic equipment | |
US20180083470A1 (en) | Charging circuit for battery-powered device | |
US20160190847A1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 |
CN110797925A (en) | Battery control system and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 |
CN101355259A (en) |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charging by identifying a charging cable | |
EP2073339A3 (en) | Portable device and battery pack for the same | |
CN105098890A (en) | Charging data line and charger | |
CN203014451U (en) | USB charger | |
US8344702B2 (en) | Battery having universal serial bus port | |
US20180083464A1 (en) | Charging case for an electronic device | |
CN102231769A (en) | Method for turning on mobile phone with over-discharged cell and mobile phone | |
CN104733938A (en) | Multifunctional cable | |
CN105552973B (en) | Electric energy transmission system and power supply system and charging combination thereof | |
CN106451693B (en) | Treasured charges and OTG data line | |
US20170194806A1 (en) | Portable Power Station Unit With Two Way Universal Serial BUS | |
US20130103878A1 (en) | Universal usb charger | |
CN204304476U (en) | A kind of multi-functional data portable power source | |
CN205407320U (en) | a charger | |
KR101720078B1 (en) | The apparatus of charge cable with module of charge control and module of multi channel charge battery | |
KR101207920B1 (en) | Compatible type charging circuit for various types of mobile phones | |
CN209516669U (en) | Charging box control circuit and charging box | |
KR101613058B1 (en) | Battery pack pouch apparatus with charger and discharger for moible phone | |
CN204167963U (en) | vehicle-mounted mobile power supply | |
KR20060022722A (en) | External battery pack for mobile termin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6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1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11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