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7683B1 - A keyboard mounting/separating structure for portable computer - Google Patents
A keyboard mounting/separating structure for portable compu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07683B1 KR101207683B1 KR1020050079010A KR20050079010A KR101207683B1 KR 101207683 B1 KR101207683 B1 KR 101207683B1 KR 1020050079010 A KR1020050079010 A KR 1020050079010A KR 20050079010 A KR20050079010 A KR 20050079010A KR 101207683 B1 KR101207683 B1 KR 10120768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keyboard
- base
- groove
- deck
- reinforcing rib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677 Nyl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778 ny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978 adap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06F1/1669—Detachable key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컴퓨터의 키보드 착탈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요입되어 형성된 안착홈(22)이 구비되는 키보드데크(20)와; 상기 키보드데크(20)의 안착홈(22)에 안착되는 베이스(32)와, 상기 베이스(32)상에 열을 지어 배치되는 키(3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키보드(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32) 상에 별도의 막대가 걸어질 수 있는 걸어올림홈(38)이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32)에는 베이스(32)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리브(34)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리브(34)의 단부에는 상기 걸어올림홈(38)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컴퓨터의 키보드 착탈구조에 의하면 키보드가 키보드데크의 안착홈에 장착된 상태에서 키보드를 쉽게 분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board removable structure of a portable comput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keyboard deck 20 having a recess 22 formed in a recess; A keyboard (30) comprising a base (32) seated in a seating groove (22) of the keyboard deck (20) and keys (34) arranged in rows on the base (32); It is configured to include, on the base 32 is formed a lifting groove 38 which can be hooked up a separate bar. The base 32 is formed with a reinforcing rib 34 for reinforcing the strength of the base 32, and the lifting groove 38 is formed at the end of the reinforcing rib 34. According to the keyboard detachable structure of the portable compu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keyboard can be easily separated in the state that the keyboard is mounted in the seating groove of the keyboard deck.
휴대용 컴퓨터, 키보드, 착탈 Laptop, keyboard, removable
Descrip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키보드 장착구조를 구비한 휴대용 컴퓨터의 외관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configuration of a portable computer having a keyboard moun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키보드 탈착구조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키보드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keyboard constituting the first embodiment of the keyboard detachabl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당김걸쇠가 걸이홈에서 빠져나온 상태를 보인 단면도.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ull latch pulled out of the hook groove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 키보드데크 22: 안착홈20: keyboard deck 22: seating groove
30: 키보드 32: 베이스30: keyboard 32: base
34: 키 36: 보강리브34: height 36: reinforcement rib
38: 걸어올림홈 120: 키보드데크38: Lift Home 120: Keyboard Deck
122: 안착홈 124: 걸이홈122: seating groove 124: hanger groove
130: 키보드 132: 베이스130: keyboard 132: base
134: 키 136: 보강리브134: key 136: reinforcing rib
138: 착탈리브 140: 구동돌기138: detachable rib 140: driving projection
142: 당김걸쇠 144: 구동스프링142: pull clasp 144: drive spring
본 발명은 휴대용 컴퓨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키보드를 휴대용 컴퓨터의 키보드데크에 장착하기 위한 휴대용 컴퓨터의 키보드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compu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keyboard mounting structure of a portable computer for mounting the keyboard to the keyboard deck of the portable computer.
도 1에는 일반적인 휴대용 컴퓨터의 외관이 분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체부(1)는 바텀케이스(2)와 키보드데크(3)로 외관이 구성된다. 상기 바텀케이스(2)는 주로 본체부(1)의 하면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키보드데크(3)는 상면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키보드데크(3)의 선단은 암레스트(3')가 된다. 상기 암레스트(3')는 사용자가 손을 안착시키는 부분이다. 상기 암레스트(3')의 중앙에는 터치패드(4)가 구비된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ppearance of a general portable computer. According to this, the
상기 키보드데크(3)의 후단에는 긴 장방형으로 안착홈(5)이 요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5)은 아래에서 설명될 키보드(10)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안착홈(5)의 내부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관통부가 형성되어 안착홈(5)의 내부와 본체부(1)의 내부를 연통시킨다.The rear end of the keyboard deck (3) is formed by
상기 키보드데크(3)의 후단에 해당되는 상기 안착홈(5)에는 리테이너(7)가 안착된다. 상기 리테이너(7)는 상기 키보드데크(3)에 장착됨에 의해 상기 안착홈(5)의 바닥면과 사이에 삽입슬롯(7')을 형성한다. 상기 삽입슬롯(7')은 상기 리테이너(7)를 따라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슬롯(7')이 형성된 가장자리와 마주보는 안착홈(5)의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다수개의 걸이후크(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테이너(7)를 통해서는 각종 기능을 수행하는 버튼(8)이 노출된다.A
키보드(10)는 상기 안착홈(5)과 대응되는 판상의 베이스(12)상에 다수개의 키(14)가 배치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키보드(10)는 상기 안착홈(5)에 안착되어 사용자의 타이핑작업에 의해 정보를 입력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베이스(12)에는 상기 삽입슬롯(7')과 대응되는 위치에 삽입돌기(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된다.The
상기 본체부(1)의 후단에는 디스플레이부(15)가 힌지부(16)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에는 액정패널(17)이 구비되어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는 상기 본체부(1)의 상면에 겹쳐지거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각도로 펼쳐질 수 있다.At the rear end of the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iques have the following problems.
상기 안착홈(5)에 안착된 키보드(10)를 안착홈(5)에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키보드데크(3)와 키보드(10)의 베이스(12)사이의 체결상태를 해제하여야 한다. 그리고나서 상기 안착홈(5)에서 상기 키보드(10)를 빼내어야 한다. 하지만, 상기 안착홈(5)은 상기 키보드데크(3)에서 상대적으로 요입되어 있고, 상기 키보드(10)와 안착홈(5)의 내측면 사이에는 거의 틈이 없다.In order to separate the
따라서, 상기 키보드(10)와 키보드데크(3)사이의 체결이 해제되더라도 상기 안착홈(5)에서 키보드(10)를 빼내는 것은 매우 번거롭고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even if the fastening between the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키보드데크의 안착홈에 안착된 키보드를 보다 쉽게 안착홈에서 분리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o more easily separate the keyboard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of the keyboard deck from the seating groov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요입되어 형성된 안착홈이 구비되는 키보드데크와; 상기 키보드데크의 안착홈에 안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상에 열을 지어 배치되는 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키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 상에 별도의 막대가 걸어질 수 있는 걸어올림홈이 형성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keyboard deck having a recess formed in the recess; A keyboard comprising a base seated in a seating groove of the keyboard deck and keys arranged in rows on the bas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d the lifting groove is formed on the base is a separate rod can be hooked.
상기 베이스에는 베이스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리브의 단부에는 상기 걸어올림홈이 형성된다.The base is provided with a reinforcing rib for reinforcing the strength of the base, and the lifting groove is formed at the end of the reinforcing rib.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요입되어 형성된 안착홈이 구비되고 상기 안착홈의 내측면에 걸이홈이 형성되는 키보드데크와; 상기 키보드데크의 안착홈에 안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상에 열을 지어배치되는 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키보드와; 상기 베이스 상에 설치되어 상기 걸이홈에 선택적으로 걸어지고 걸이홈에서 분리되면 탄성과 복원력에 의해 상기 안착홈의 상부로 직립되는 당김걸쇠를 구비하는 착탈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keyboard deck is provided with a recessed groove formed in the recess and a hook groove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ating groove; A keyboard comprising a base seated in a seating groove of the keyboard deck and keys arranged in rows on the base; A detachable knob installed on the base and selectively hooked to the hook groove, and having a pull clasp that is upright to the top of the seating groove by elasticity and restoring force when separated from the hook groove; .
상기 키보드의 베이스에는 베이스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리브가 더 형성되는데, 상기 보강리브의 단부에 지지된 구동스프링에 의해 상기 당김걸쇠가 탄성력을 받는다.A reinforcing rib is further formed at the base of the keyboard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base, and the pull clasp receives an elastic force by a driving spring supported at the end of the reinforcing rib.
상기 착탈노브는 상기 베이스에서 이동되고 탈거를 방지하는 가이드에 안착되고, 작업자의 구동력을 전달받는 구동돌기가 착탈노브의 상면 일측에 구비된다.The detachable knob is moved on the base and seated on a guide for preventing detachment, and a driving protrusion receiving a driving force of an operator is provided at one side of an upper surface of the detachable knob.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컴퓨터의 키보드 착탈구조에 의하면 키보드가 키보드데크의 안착홈에 장착된 상태에서 키보드를 쉽게 분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keyboard detachable structure of the portable compu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keyboard can be easily separated in the state that the keyboard is mounted in the seating groove of the keyboard deck.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컴퓨터의 키보드 착탈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a keyboard detachable structure of a portable compu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키보드 탈착구조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키보드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keyboard constituting the first embodiment of the keyboard detachabl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키보드데크(20)의 상면에는 안착홈(22)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22)은 상기 키보드데크(20)의 상면에 대략 장방형으로 요입되게 형성된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키보드(30)는 상기 안착홈(22)의 형상과 대응되는 판상의 베이스(32)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32)상에는 키(34)가 다수개 배치된다. 상기 키(34)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눌러 정보를 입력하는 부분이다. 상기 키(34)는 다수개가 열을 지어 배치된다.The
상기 베이스(32)의 상면에는 상기 키(34)의 열 사이를 따라 길게 보강리브(36)가 구비된다. 상기 보강리브(36)는 베이스(32)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Y상기 보강리브(36)는 상기 베이스(32)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제작되어 베이스(32)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보강리브(36)는 상기 베이스(32)에 배치된 키(34) 사이를 따라 구비된다.The upper surface of the
상기 보강리브(36)의 단부, 즉, 상기 키보드(30)가 키보드데크(20)의 안착홈(22)에 장착되었을 때, 안착홈(22)의 내측면과 마주보는 부분에 걸어올림홈(38)이 형성된다. 상기 걸어올림홈(38)은 상기 보강리브(36)의 단부에 경사지게 형성된다. 실제로 상기 걸어올림홈(38)은 보강리브(36) 끝단에 쳄퍼(Chamfer) 형상을 형성한 것이다.When the end of the reinforcing
상기 걸어올림홈(38)에는 지렛대 역할을 하는 막대의 선단이 삽입되어 걸어지고, 안착홈(22)의 가장자리가 지점이 되도록 하면 키보드(30)를 안착홈(22)에서 쉽게 분리해 낼 수 있다.The tip of the rod acting as a lever is inserted into the
한편,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기 키보드(30)가 안착홈(22)내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구성이 구비된다. 예를 들면, 상기 키보드(30)의 베이스(32)와 상기 키보드데크(20)가 서로 체결될 수 있는 구성이 별도로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be fixed in the
다음으로,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착탈노브의 당김걸이부가 걸이홈에서 분리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ure 4 is shown in cross-sectional view, Figure 5 shows a state in which the pull hook portion of the detachable knob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d from the hook groove.
이에 따르면, 키보드데크(120)의 상면에는 안착홈(122)이 형성된다. 상기 안 착홈(122)은 상기 키보드데크(120)의 상면에 대략 장방형으로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122)의 내측면을 둘러서는 걸이홈(124)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홈(124)은 상기 안착홈(122)의 내측면을 둘러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the mounting
키보드(130)는 상기 안착홈(122)의 형상과 대응되는 판상의 베이스(132)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132)상에는 키(134)가 다수개 배치된다. 상기 키(134)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눌러 정보를 입력하는 부분이다. 상기 키(134)는 다수개가 열을 지어 배치된다.The
상기 베이스(132)의 상면에는 상기 키(134)의 열 사이를 따라 길게 보강리브(136)가 구비된다. 상기 보강리브(136)는 상기 베이스(132)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제작되어 베이스(132)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보강리브(136)는 상기 베이스(132)에 배치된 키(134) 사이를 따라 구비된다.The upper surface of the
상기 보강리브(136)의 단부에는 착탈노브(138)가 구비된다. 상기 착탈노브(138)는 그 상면 일측에 구동돌기(140)가 형성된다. 상기 구동돌기(140)는 작업자가 상기 착탈노브(138)를 구동시키는데, 사용된다. 즉, 착탈노브(138)의 동작을 위한 힘을 전달받는 부분이다. 상기 착탈노브(138)는 상기 베이스(132)상에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이스(132)상에 상기 착탈노브(138)가 단순히 놓여져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그렇지 않고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I도시되지 않음)가 상기 베이스(132)상에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132)상에서 쉽게 착탈노브(138)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착탈노브(138)의 선단에는 당김걸쇠(142)가 구비된다. 상기 당김걸쇠(142)는 합성수지중에서 탄성 및 복원력이 좋은 나일론(nylon) 계열의 재질로 만들어진다. 따라서, 상기 당김걸쇠(142)는 그 중간부분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어져 상기 걸이홈(124)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당김걸쇠(142)는 상기 걸이홈(124)에서 빠져나오면 접어진 상태가 풀어지면서 안착홈(22)의 상방을 향해 직립되게 세워진다. 상기 당김걸쇠(142)는 상기 착탈노브(138)와 별도로 만들어지거나, 일체로 만들어질 수 있다.A
한편, 상기 착탈노브(138)와 상기 보강리브(136)는 구동스프링(144)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구동스프링(144)은 상기 착탈노브(138)에 탄성력을 가해 상기 착탈노브(138)가 상기 걸이홈(124)에 들어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the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컴퓨터의 키보드 착탈구조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keyboard detachable structure of the portable compu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제1 실시예에서는 상기 키보드데크(20)와 키보드(30)사이의 체결상태를 해제하여야 한다. 상기 키보드데크(20)와 키보드(30) 사이의 체결상태가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보강리브(36)의 단부에 형성된 걸어올림홈(38)에 별도의 막대(도 3에 점선표시)의 선단을 건다.First, in the first embodiment, the fastening state between the
그리고, 상기 막대의 중간 일측을 상기 안착홈(22)의 가장자리에 지지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막대의 타단부를 눌러주면, 상기 안착홈(22)의 가장자리가 지점이 되면서, 상기 막대가 지렛대의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키보드(30)가 상기 안착홈(22)에서 쉽게 분리되어 나올 수 있다.And, the middle one side of the rod supports the edge of the seating groove (22). Pressing the other end of the rod in such a state, the edge of the
다음으로, 제2 실시예에서는 일단 상기 착탈노브(138) 선단의 당김걸쇠(142)가 상기 키보드데크(120)의 걸이홈(124)에 걸어져 상기 키보드(130)와 키보드데크(120)가 서로 체결된 상태가 된다. 물론, 상기 키보드데크(120)와 키보드(130)가 별도의 구성에 의해 서로 체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당김걸쇠(142)는 상기 구동스프링(14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걸이홈(124)에서 임의로 빠져나올 수 없다.Next,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작업자가 상기 키보드(130)와 키보드데크(120)가 체결된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상기 착탈노브(138)를 동작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구동돌기(140)를 조작한다. 상기 구동돌기(140)에 힘을 가해 상기 구동스프링(144)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당김걸쇠(142)가 상기 걸이홈(124)에서 빠져나오게 한다.In order for the worker to release the state in which the
상기 당김걸쇠(142)는 그 자체의 탄성과 복원력에 의해 상기 걸이홈(124)에서 빠져나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홈(122)에 대해 직립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직립된 당김걸쇠(142)의 선단을 잡아당길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키보드(130)가 상기 키보드데크(120)의 안착홈(122)에서 빠져나올 수 있다.When the
한편, 상기 키보드데크(120)의 안착홈(122)에 상기 키보드(130)를 안착시켜 고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착탈노브(138)의 당김걸쇠(142)를 상기 걸이홈(124)의 입구에 두고, 상기 구동돌기(140)를 조작하여 상기 착탈노브(138)가 걸이홈(124) 방향으로 이동되게 한다. 이와 같이 착탈노브(138)가 이동되면 상기 당김걸쇠(142)가 상기 걸이홈(124) 내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되어 고정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seat and secure the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are defined by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adapt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evident.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키보드(30)를 안착홈(22)에서 들어낼 수 있는 구성이 보강리브(36)에 구비되었으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고 베이스(32)상에 별도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보강리브(36)는 단순히 상기 베이스(32)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For examp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to lift the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컴퓨터의 키보드 착탈구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e keyboard detachable structure of the portable compu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본 발명에서는 키보드데크의 안착홈에 위치된 키보드를 작업자가 쉽게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필요한 구성, 즉 걸어올림홈이나 당김걸쇠를 채용하였다. 따라서, 작업자는 걸어올림홈이나 당김걸쇠를 사용하여 상대적으로 키보드데크의 상면에 요입되어 형성된 안착홈에서 키보드를 쉽게 들어올릴 수 있어, 키보드 착탈작업의 작업성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ecessary configuration, that is, the lifting groove or the pull clasp is adopted so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lift the keyboard located in the mounting groove of the keyboard deck. Therefore, the worker can easily lift the keyboard from the seating groove formed by being reces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keyboard deck by using the lifting groove or the pull clasp, thereby improving the workability of the keyboard detachment work.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79010A KR101207683B1 (en) | 2005-08-26 | 2005-08-26 | A keyboard mounting/separating structure for portable compu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79010A KR101207683B1 (en) | 2005-08-26 | 2005-08-26 | A keyboard mounting/separating structure for portable comput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24256A KR20070024256A (en) | 2007-03-02 |
KR101207683B1 true KR101207683B1 (en) | 2012-12-03 |
Family
ID=38098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79010A Expired - Fee Related KR101207683B1 (en) | 2005-08-26 | 2005-08-26 | A keyboard mounting/separating structure for portable comput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07683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47943B1 (en) | 1998-09-18 | 2002-10-25 | 엘지전자주식회사 | The assembly of key board locking on notebook PC |
KR100614236B1 (en) | 1998-10-28 | 2006-12-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A computer with a locking apparatus for a removable keyboard |
-
2005
- 2005-08-26 KR KR1020050079010A patent/KR10120768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47943B1 (en) | 1998-09-18 | 2002-10-25 | 엘지전자주식회사 | The assembly of key board locking on notebook PC |
KR100614236B1 (en) | 1998-10-28 | 2006-12-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A computer with a locking apparatus for a removable keyboar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24256A (en) | 2007-03-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29819B1 (en) | A latch system for potable computer | |
US6972946B2 (en) | Electronic apparatus having a housing | |
JP6352735B2 (en) | Docking device | |
GB2447999A (en) | Article hanger comprising at least one pair of article gripping members | |
US7812271B2 (en) | Complex button assembly and portable multimedia device using the same | |
KR101207683B1 (en) | A keyboard mounting/separating structure for portable computer | |
JP3696215B2 (en) | Electronics | |
JP3853998B2 (en) | Operating device | |
CN110870726A (en) | A control panel box and dishwasher | |
KR102149330B1 (en) | Detachable keyboard for removable punching machine | |
CN209884064U (en) | A control panel box and dishwasher | |
CN110870731B (en) | Dishwasher with control panel and assembly method of control panel | |
KR101195682B1 (en) | Portable multimedia device | |
JP2013255696A (en) | Washing machine | |
JP4809792B2 (en) | Key management tool | |
JP4295176B2 (en) | Folding container | |
JP4334362B2 (en) | Button type switch device and seesaw button type switch device | |
KR101348178B1 (en) | A container of diluent | |
KR20040013642A (en) | apparatus for fixing a stylus pen | |
KR100690212B1 (en) | Joystick for keyboard | |
CN109130969A (en) | The locking device of seat rail for vehicle | |
KR20080011953A (en) | Hanging Hook and Keyboard Mounting Structure of Portable Computer Using the Hook | |
CN110870728A (en) | Dish washer handle structure and dish washer | |
KR100745787B1 (en) | Composite Button Assembly for Portable Multimedia Devices | |
CN2932919Y (en) | A locking structure of flip-cover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82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082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508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1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1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11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0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0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0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9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