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7559B1 -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Pourthiaea villosa as active ingredient - Google Patents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Pourthiaea villosa as active ingredi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07559B1 KR101207559B1 KR1020100059959A KR20100059959A KR101207559B1 KR 101207559 B1 KR101207559 B1 KR 101207559B1 KR 1020100059959 A KR1020100059959 A KR 1020100059959A KR 20100059959 A KR20100059959 A KR 20100059959A KR 101207559 B1 KR101207559 B1 KR 10120755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tract
- effect
- cosmetic composition
- yunni
- tre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5—Anti-irrita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윤노리(Pourthiaea villosa ( Thunb ) Decne . var . villos)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윤노리나무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며, 본 발명에 따른 윤노리나무 추출물은 항산화효과, MMP-1 생성억제효과, 콜라겐 생합성효과, 멜라닌 생성억제효과,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억제효과, 항염효과, 피부 자극 완화효과, 보습효과, 항균효과 및 주름개선 효과가 있어 각종 기능성 화장료의 유효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Yunnori ( Pourthiaea) villosa ( Thunb ) Decne . there i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villos )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and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as an active ingredient, and the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ntioxidant effect, an MMP-1 production inhibitory effect, a collagen biosynthesis effect, Melanin production inhibitory effect, inflammatory cytokine expression inhibitory effect, anti-inflammatory effect, skin irritation effect, moisturizing effect, antibacterial effect and wrinkle improvement effect can be used as an active ingredient of various functional cosmetics.
Description
본 발명은 윤노리나무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extract of Yunni as an active ingredient.
사람의 피부는 노화 과정에서 다양한 물리?화학적인 변화가 일어난다. 그 원인으로는 크게 내적인 노화 (intrinsic aging)와 광노화 (photo-aging)로 구분되며 이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왔다. 자외선, 스트레스, 질병 상태, 환경 인자, 상처,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자유라디칼이 활성화되어 야기될 수 있으며, 이런 상태가 심화될 경우 생체 내에 존재하는 항산화 방어망을 파괴하고, 세포 및 조직을 손상시켜 성인병 및 노화를 촉진하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피부의 주요 구성 물질인 지질, 단백질, 다당류 및 핵산 등이 산화되어 피부 세포 및 조직이 파괴되고, 결국 피부 노화 현상이 생겨나는 것이다. Human skin undergoes various physical and chemical changes during the aging process. The causes are largely divided into intrinsic aging and photo-aging, and research on this has been actively conducted. UV rays, stress, disease conditions, environmental factors, wounds, and free radicals may be caused by aging, which intensifies the body's ability to destroy antioxidant defenses and damage cells and tissues. And aging. More specifically, lipids, proteins, polysaccharides, and nucleic acids, which are major constituents of the skin, are oxidized to destroy skin cells and tissues, resulting in skin aging.
특히, 단백질의 산화는 피부의 결합 조직인 콜라겐 (collagen), 히아루론산 (hyaluronic acid), 엘라스틴 (elastin), 프로테오글리칸 (proteoglycan), 피브로넥틴 (fibronectin) 등이 절단되어 심한 과다 염증 반응과 피부의 탄력에 지장을 주고 이것이 더 심해질 경우 DNA의 변이에 의해 돌연변이, 암의 유발, 면역 기능 저하의 사태에 이르게 된다.In particular, the oxidation of proteins can cause collagen (collagen), hyaluronic acid, elastin, proteoglycan, fibronectin, and the like that are severely hyperinflammatory reactions and skin elasticity If this gets worse, DNA mutations can lead to mutations, cancer, and immune deficiency.
그러므로, 신체의 대사 과정 중 발생하는 자유라디칼이나 자외선 조사, 염증 반응에 의해 매개되어 발생하는 자유라디칼을 소거하여 세포막을 보호하고, 또 이미 손상 받은 세포는 활발한 신진 대사에 의해 재생시켜서 세포를 증식시켜야 피부는 빠르게 회복되고 건강한 피부를 유지할 수 있다.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tect the cell membrane by eliminating free radicals generated by metabolic processes of the body, ultraviolet rays, and inflammatory reactions.Also, damaged cells must be regenerated by active metabolism to proliferate the cells. The skin can recover quickly and maintain healthy skin.
노화에는 이러한 자유라디칼 뿐만 아니라 콜라겐 분해효소인 기질 금속 단백질 분해 효소 (Matrix Metalloproteinase; MMP)라는 효소도 관여한다. 즉, 생체 내에서 콜라겐과 같은 세포외기질의 합성과 분해는 적절하게 조절되나, 노화가 진행되면서 콜라겐 합성이 감소하고, 콜라겐을 분해하는 효소인 기질 금속 단백질 분해 효소(MMP)의 발현이 촉진되어 피부의 탄력이 저하되고 주름이 형성된다. 또한, 자외선 조사에 의해 이러한 분해 효소가 활성화되기도 한다. Aging involves not only these free radicals, but also enzyme called matrix metalloproteinase (MMP), a collagenase. That is, synthesis and degradation of extracellular matrix such as collagen in vivo are appropriately controlled, but collagen synthesis is reduced as aging progresses, and ex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 (MMP), an enzyme that degrades collagen, is promoted, And the wrinkles are formed. These degrading enzymes are also activated by ultraviolet irradiation.
그러므로, 세포 내에서 활성화가 유도되는 MMP 발현을 조절하거나 그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제까지 화장품의 소재로서 사용된 원료들은 단순히 효소 활성만을 억제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이에 세포 내 자연노화와 광노화에 의해 그 발현이 유도되는 MMP 발현량 및 활성을 조절하고자 하였다.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development of a substance capable of modulating MMP expression induced in the cell or inhibiting its activity. Until now, the raw materials used as cosmetic materials mostly inhibited only the enzyme activity. Therefore, we tried to regulate the expression and activity of MMP expression induced by intracellular aging and photoaging.
한편, 색소 침착에 의한 피부 변화가 생긴다. 피부색을 결정하는 인자에는 기본적으로 인종과 지역, 성별, 나이에 따른 차이를 배제하면 기미, 주근깨와 자외선 노출로 인한 태닝과 같은, 부분 또는 전체적인 색소 침착, 그 외에 여드름 및 흉터, 각질의 분포 상태와 혈액 순환, 스트레스, 건강 상태 등이 있다. 이상의 인자들 가운데에서도 가장 중요한 인자는 색소 침착이다.On the other hand, skin changes due to pigment deposition occur. Factors that determine skin color include basic or partial pigmentation, such as tanning due to blemishes, freckles, and sun exposure, other than acne, scars, and the distribution of acne and skin, except for differences in race, region, sex, and age. Blood circulation, stress, and health. Among the above factors, the most important factor is pigmentation.
피부색에 영향을 주는 색소로는 멜라닌, 멜라노이드, 카로틴, 헤모글로빈 등이 있는데, 이중 가장 중요한 것은 멜라닌으로서, 이 멜라닌의 생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요인은 자외선과 체내 호르몬 분비 정도이다. Pigments that affect skin color include melanin, melanoids, carotene, and hemoglobin, the most important of which is melanin, the most important factor affecting the biosynthesis of melanin is the amount of ultraviolet rays and hormones in the body.
멜라닌은 자외선을 흡수 또는 산란시켜 자외선으로부터 피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큰 역할을 하는데, 특별한 최대 흡수 파장이 없고 전 영역의 빛을 흡수한다. 또한 활성 산소종을 제거하는 기능이 탁월하나, 때로는 멜라닌 자체가 활성 산소를 발생시키기도 하며, 멜라닌 구조 내의 카테콜이나 퀴논에 의하여 다른 물질을 환원시키거나 산화시키고, 멜라닌 자체가 자유라디칼의 성질을 나타내기도 한다.Melanin plays a major role in preventing or damaging the skin from ultraviolet rays by absorbing or scattering ultraviolet rays. There is no special maximum absorption wavelength and it absorbs light in all areas. In addition, it has excellent ability to remove reactive oxygen species, sometimes melanin itself generates active oxygen, and other substances are reduced or oxidized by catechol or quinone in the melanin structure, and melanin itself shows free radical properties Pray.
멜라닌의 생합성은 아미노산의 일종인 티로신이 멜라닌 형성 세포의 멜라노좀에서 티로시나아제에 의해 산화되어 디하이드록시 페닐알라닌 (dihydroxy phenylalanine)으로 전환되는 것을 시작으로 계속되는 일련의 산화 과정을 거쳐 갈색 (pheomelanin), 흑색 (eumelanin)의 중합체로 형성된다. The biosynthesis of melanin occurs through a series of oxidation processes, beginning with the conversion of tyrosine, an amino acid, from the melanocytes of melanin-forming cells into tyrocinase and into dihydroxy phenylalanine. It is formed from a polymer of eumelanin.
이러한 생합성 과정은 멜라노좀이라는 특수한 형태의 갈색 세포 내 소기관에서 진행되며 멜라닌 과립을 포함한 멜라노좀은 핵 주변 부위에서 수지상 돌기 끝부분으로 이동, 각질 세포의 식세포 작용에 의해 세포질 내로 이동하고 이들은 각질 세포의 핵 주변에 축적된다.This biosynthesis process is carried out in a special type of brown cells in organelles called melanosomes. Melanosomes, including melanin granules, move from the periphery of the nucleus to the dendritic end of the dendritic projections and into the cytoplasm by the action of keratinocytes. Accumulate around the nucleus.
멜라닌의 합성과 멜라노좀의 수, 주위의 각질 세포로의 이동은 부분적으로 호르몬과 자외선 등에 영향을 받고 일차적으로는 유전적인 영향을 크게 받는다. 그 밖에 티로시나아제의 발현 및 멜라닌의 합성, 전송에 관여하는 세포내 조절인자인 사이토카인 (cytokine), 구리, 아연, 철 등의 금속 이온 및 인터페론, 프로스타글란딘, 히스타민 등이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The synthesis of melanin, the number of melanosomes, and the migration to the surrounding keratinocytes are partially affected by hormones and ultraviolet rays, and primarily by genetic influences. In addition, it is known that metal ions such as cytokines, copper, zinc, and iron, interferon, prostaglandin, histamine, etc., which are involved in the expression of tyrosinase and synthesis and transfer of melanin, are involved.
이미 아스코르빈산 (일본특개평 4-9320), 하이드로퀴논 (일본특개평-192062), 코직산 (일본특개소 56-7710), 알부틴 (일본특개평 4-93150) 및 일부의 추출물 등이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을 가지고 있어 미백 화장료로 이용되고 있으나 화장품 제형 중에서의 안정성이 낮으므로 분해되어 착색되거나, 이취의 발생, 생체 레벨에서의 효능, 효과의 불분명 및 안전성 문제 등으로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상기한 물질들은 그 티로시나아제 억제 효과가 입증되었으나 실제 생체 레벨과 유사한 실험에서는 그 효과가 낮게 나타난다. 따라서, 생체 레벨과 유사한 흑색종 세포 배양에 의한 저해효과 평가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Ascorbic acid (JP-A 4-9320), hydroquinone (JP-A-192062), kojic acid (JP-A-56-7710), arbutin (JP-A 4-93150), and some extracts of tyrosina Although it is used as a whitening cosmetic because of its anti-ageing activity, its use is limited due to its low stability in cosmetic formulations, which is degraded and colored, causing off-flavor, efficacy at the biological level, unclear effect, and safety problems. to be. The above substances have been demonstrated to be effective in inhibiting tyrosinase, but the effect is low in experiments similar to the actual biolevels. Therefore, the evaluation of the inhibitory effect by melanoma cell culture similar to the biological level is required.
또한, 하이드로퀴논은 발암성 물질로 규정되어 화장품에서는 그 사용이 금지 또는 제한되고 있다. 코직산과 아스코르빈산은 매우 불안정한 물질이다. 상기 성분들을 소량 함유한 화장료는 실온에서 수 주일 동안 보관하면 갈변 현상이 발생한다.Hydroquinone is also defined as a carcinogenic substance and its use in cosmetics is prohibited or restricted. Kojic acid and ascorbic acid are very unstable substances. Cosmetics containing a small amount of the above components may cause browning when stored for several weeks at room temperature.
일반적으로 피부와 관련된 많은 제품에 사용되는 기능성 물질들은 피부에 유효한 효과를 나타내는 동시에, 피부 자극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다양한 원료가 사용되는 화장품은 자극이나 염증을 유발할 수 있는 물질을 함유하고 있어서 개인 관리 제품(Personal care products)을 사용하는 사람 중 10% 이상이 피부에 대한 부작용을 호소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자신의 피부가 민감하다고 느끼는 소비자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일반소비자에 대한 의식 조사에서 자신이 민감 피부라고 회답한 비율이 30-40% 이상이며, 이것은 계속 증가 경향을 보이고 있다. 더구나, 최근의 화장품 개발 경향은 피부에 실질적인 효과(real effect)를 줄 수 있는 기능성 화장품 (cosmeceutical)에 치중되고 있어서 화장품 등의 개인 관리 제품의 사용으로 인한 피부 부작용은 점점 증가할 것으로 보여진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다양한 원료들이 사용되며 통상적으로는 20종에서 50여종까지의 원료를 사용하게 된다. 이들은 방부제, 계면활성제, 자외선 차단제, 미백제 등 화장료의 보존, 유지 및 기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필수 불가결하게 첨가되는 성분들로 실제로 제품 사용 시에 일부에서 피부 자극을 유발하기도 한다. 이들 원료들은 피부 자극 검사를 통하여 그 안전성이 입증되었으나 제품에 적용됨으로써 피부에 염증, 가려움(itching), 따끔거림(stinging) 및 화끈거림(burning) 등의 자극감과 홍반(erythema) 및 부종(edema) 등의 자극을 일으킬 수 있다. 특히, 환경오염이 심각해지고 오존층 파괴에 따른 자외선 조사량 증가, 생활공간의 건조화, 개인의 알레르기 체질, 스트레스, 화학유해 물질의 증가 등으로 인해 피부는 쉽게 손상을 받게 된다.In general, functional substances used in many products related to the skin have an effective effect on the skin and may also cause skin irritation. Cosmetics using a variety of ingredients contain substances that can cause irritation or inflammation, and more than 10% of people who use personal care products complain of side effects on the skin. Is on the rise. More than 30-40% of respondents say they are sensitive skin in a consumer survey, and this trend continues to increase. Moreover, recent cosmetic development trends are focused on functional cosmetics (cosmeceutical) that can have a real effect on the skin, the skin side effects due to the use of personal care products such as cosmetics is expected to increase gradually. Generally, various raw materials are used to make cosmetics, and usually 20 to 50 raw materials are used. These are ingredients that are indispensable for the preservation, maintenance, and function of cosmetics such as preservatives, surfactants, sunscreens, and whitening agents, and may cause skin irritation in some of the products actually used. These ingredients have been proved to be safe through skin irritation tests, but they have been applied to the product, causing irritation, itching, stinging and burning on the skin, and erythema and edema. May cause irritation. In particular, the environmental pollution is severe and the skin is easily damaged by the increase in the amount of ultraviolet radiation due to the destruction of the ozone layer, the drying of the living space, the constitution of the individual's allergies, the stress, the chemical harmful substances.
현재까지 항염의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물질들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일부 원료들은 화장료에는 사용할 수 없는 물질이거나 사용량이 제한되어 있기도하며, 또한 안정화시키기 어렵거나 용해도가 좋지 않아 실제 제품 적용 시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기가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There are many substances that are used for anti-inflammatory purposes so far, but some raw materials may not be used in cosmetics or they may be used in a limited amount, and they may be difficult to stabilize or have poor solubility. It has a difficult problem.
이와 같은 맥락으로, 여드름 유발균에 대한 억제효과가 있는 항생물질인 에리스로마이신(erythromycin),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 신다마이신(cindamycine)과 같은 약제는 내성이 생긴다는 문제점과 함께 화장품으로서의 이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미생물이 생산하는 항균물질은 광범위한 미생물에 대한 저해능력을 가지면서 고등생물에 대한 선택 독성이 낮다는 특성을 이용한 항균물질을 개발하려는 다양한 연구들이 이루어져왔다. In this context, antibiotics such as erythromycin, tetracycline, and sindamycine, which are antibiotics that have an inhibitory effect on acne-causing bacteria, cannot be used as cosmetics. Because of this problem,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develop an antimicrobial substance using the property that the antimicrobial substance produced by the microorganism has the ability to inhibit a wide range of microorganisms and has low selective toxicity to higher organisms.
이러한 여러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 여러 화학 물질 등에 의한 피부 자극을 줄이기 위해 천연물을 사용한 화장품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천연 재료는 피부에 부작용이 적을 뿐만 아니라, 최근 천연 재료를 이용한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호응이 높아짐에 따라 화장품 원료로서 개발 가치가 한층 늘어나고 있다. In order to solve these various problems, cosmetics using natural products have recently been developed to reduce skin irritation caused by various chemicals. Natural materials are not only less harmful to the skin, but also have increased their value as a raw material for cosmetics due to the recent popularity of cosmetics using natural materials.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이제까지 알려지지 않은 여러 천연물들에 있어서 화장품으로의 응용 가능성을 연구한 결과, 장미과식물인 윤노리나무(긴윤노리, 참윤노리, 꼭지윤노리)를 선정하고 이로부터 추출물을 제조하여, 피부 항산화효과, MMP-1 생성억제효과, 콜라겐 생합성효과, 멜라닌 생성억제효과,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억제효과, 항염효과, 피부 자극 완화효과, 보습효과, 항균효과 및 주름개선 효과를 측정한 결과, 그 효능이 매우 우수하므로 화장품으로서의 효능을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ors have studied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o cosmetics in a variety of natural products that have not been known so far, selecting a rosaceae yunnori (ginyun nori, true yunnori, jeongjinori nori) and to extract extracts from the skin, Antioxidant effect, MMP-1 production inhibitory effect, collagen biosynthesis effect, melanin production inhibitory effect, inflammatory cytokine expression inhibitory effect, anti-inflammatory effect, skin irritation effect, moisturizing effect, antibacterial effect and wrinkle improvement effect Since this is very good, it was found that the efficacy as a cosmetic can be expected.
본 발명의 목적은 윤노리나무 추출물을 함유하여 항산화효과, MMP-1 생성억제효과, 콜라겐 생합성효과, 멜라닌 생성억제효과,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억제효과, 항염효과, 피부 자극 완화효과, 보습효과, 항균효과 및 주름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tain the extract of Yunri tree, antioxidant effect, MMP-1 production inhibitory effect, collagen biosynthesis effect, melanin production inhibitory effect, inflammatory cytokine expression inhibitory effect, anti-inflammatory effect, skin irritation effect, moisturizing effect, antibacterial effect And to provide a cosmetic composition exhibiting an anti-wrinkle effect.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윤노리나무 추출물을 용매 추출법, 초임계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발효법 또는 포제법을 이용하여 윤노리나무 추출물의 효능 및 효과를 극대화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smetic composition that maximizes the efficacy and effect of Yunni-tree extract using solvent extraction, supercritical extraction, ultrasonic extraction, fermentation or foaming.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윤노리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사람의 피부에 적용시 항산화효과, MMP-1 생성억제효과, 콜라겐 생합성효과, 멜라닌 생성억제효과,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억제효과, 항염효과, 피부 자극 완화효과, 보습효과, 항균효과 및 주름개선 효과를 얻는 화장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antioxidant composition, MMP-1 production inhibitory effect, collagen biosynthesis effect, melanin production inhibitory effect, inflammatory cytokine expression inhibitory effect, anti-inflammatory effect when applying the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Yunri tree extract to human skin To provide a cosmetic method for obtaining skin irritation, moisturizing, antibacterial and antiwrinkle effects.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윤노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의해 달성된다.Therefor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achieved by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antioxidant containing Yunni wood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윤노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의해 달성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by a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wrinkles containing Yunni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윤노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의해 달성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by a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ntaining the extract of Yunni wood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윤노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에 의해 달성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by an anti-inflammatory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extract of Yunni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윤노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에 의해 달성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by the antimicrobial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 Yunni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윤노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의해 달성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by a moisturizing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extract of Yunni.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윤노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의해 달성된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by a cosmetic composition for alleviating skin irritation, which comprises the extract of Yunri as an active ingredient.
바람직하게는, 상기 윤노리나무 추출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 30.0 중량%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Yunri tree extrac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ains 0.001 to 30.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smetic composition.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윤노리나무 추출물은 (a) 물,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헥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 용매를 이용한 용매 추출법, (b) 초음파 추출법, (c) 초임계 추출법, (d) 발효법 또는 (e) 포제법으로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클렌징, 오일, 분말파운데이션, 유탁액파운데이션, 왁스파운데이션, 팩, 마사지크림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preferably, the Yunni tree extract is (a) water, anhydrous or hydrous lower alcohol having 1 to 4 carbon atoms, propylene glycol, butylene glycol, glycerin, acetone, ethyl acetate, butyl acetate, chloroform, diethyl ether, Solvent extraction using an extraction solv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ichloromethane, hexane and mixtures thereof, (b) ultrasonic extraction, (c) supercritical extraction, (d) fermentation or (e) foaming. Also, preferably, the cosmetic composition is a solution, suspension, emulsion, paste, gel, cream, lotion, powder, soap, cleansing, oil, powder foundation, emulsion foundation, wax foundation, pack, massage cream and spray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formulatio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사람의 피부에 적용하여, 항산화 효과, 피부 주름 개선 효과, 피부 미백 효과, 항염 효과, 항균 효과, 피부 보습개선 효과 또는 자극완화 효과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pply the cosmetic composition to the skin of the human, characterized in that to obtain an antioxidant effect, skin wrinkle improvement effect, skin whitening effect, anti-inflammatory effect, antibacterial effect, skin moisturizing improvement effect or irritation relief effect It is achieved by the makeup method.
본 발명에 따른 윤노리나무 추출물은 피부 항산화 효과(실험예 1), MMP-1 생성 억제 효과(실험예 2),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실험예 3),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실험예 4),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억제 효과(실험예 5), 항염 효과(실험예 6), 자극완화 효과(실험예 7), 보습 효과(실험예 8),항균 효과(실험예 10) 및 주름개선 효과(실험예 10)를 갖는다.Yunni tree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kin antioxidant effect (Experimental Example 1), MMP-1 production inhibitory effect (Experimental Example 2), collagen synthesis enhancement effect (Experimental Example 3), melanin production inhibitory effect (Experimental Example 4), inflammatory Cytokine expression suppression effect (Experimental Example 5), anti-inflammatory effect (Experimental Example 6), stimulation alleviation effect (Experimental Example 7), moisturizing effect (Experimental Example 8), antibacterial effect (Experimental Example 10) and wrinkle improvement effect (Experimental example) 10)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윤노리나무 추출물을 효능을 극대화하기 위해 용매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초임계 추출법, 발효법 또는 포제법을 통해 항산화 효과, MMP-1 생성억제 효과,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 멜라닌 생성억제 효과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억제, 항염, 피부자극 완화, 보습, 항균 효과 등을 더욱 증진시켜준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maximize the efficacy of the yunni extract, the antioxidant effect, MMP-1 production inhibitory effect, collagen synthesis inhibitory effect, melanin production inhibitory effect through solvent extraction method, ultrasonic extraction method, supercritical extraction method, fermentation method or preparation method It further enhances the effects and inflammatory cytokine expression suppression, anti-inflammatory, skin irritation, moisturizing, antibacterial effect.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중 유효 성분으로 사용되는 윤노리나무(Pourthiaea villosa)는 장미과에 속하는 나무로 우리나라 중부 이남에서 장생하며 제주도에서 흔하게 볼 수 있다. 줄기는 밑에서 옆으로 자라며 몇 개의 수간이 올라온다. 어린가지는 백색 털과 타원형의 피목이 있다. 잎은 길이 5~10 cm로 둥근형으로 호생, 가장자리에 잘고 예리한 톱니가 있다. 꽃은 5월에 백색으로 피며 지름 3~5 cm로 꽃잎과 꽃받침이 5장씩인 산방화서이다. 뿌리가 이질과 설사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고 성분에 대한 구체적인 성분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없다.Yunno tree (Pourthiaea villosa) used as an active ingredient in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ree belonging to the Rosaceae family and is commonly found in south Korea and is commonly seen in Jeju Island. Stems grow from bottom to side, with several trunks rising. The young branches have white hairs and elliptical branches. The leaves are 5 ~ 10 cm long, rounded, and regenerated, with sharp and sharp teeth on the edges. The flower is white in May and is 3 ~ 5 cm in diameter and has 5 petals and sepals each. Roots are known to be effective in dysentery and diarrhea, and there are no specific ingredients known.
본 발명에 있어서, 윤노리나무 추출물은 윤노리나무의 다양한 기관 또는 부분(예: 잎, 꽃, 뿌리, 줄기, 가지, 껍질 및 종자 등)으로부터 추출하여 얻은 것을 의미하고, 바람직하게는 잎, 줄기, 가지, 껍질 또는 뿌리로부터 얻은 추출물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잎, 가지, 껍질 또는 뿌리로부터 얻은 추출물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가지 또는 껍질로부터 얻은 추출물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yunniri extract means that obtained by extracting from various organs or parts (e.g., leaves, flowers, roots, stems, branches, bark and seeds, etc.) of the yunniri, preferably leaves, stems, branches , An extract obtained from the bark or the root, more preferably an extract obtained from the leaf, the branch, the bark or the root, and most preferably the extract obtained from the branch or the bark.
또한, 본 발명의 윤노리나무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즉, 통상적인 온도와 압력의 조건 하에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a) 추출 용매를 이용한 용매 추출법 (b) 이산화탄소에 의한 감압 및 고온에 의한 초임계 추출법, (c) 초음파 추출법, (d) 발효법 또는 (e) 포제법을 이용하여 추출한다.In addition, the Yunri tre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known in the art, that is, using a conventional solvent, under the conditions of conventional temperature and pressure, preferably (a) an extraction solvent Extraction using solvent (b) Supercritical extraction by reduced pressure with carbon dioxide and high temperature, (c) ultrasonic extraction, (d) fermentation or (e) foaming.
본 발명에서 추출 용매를 이용한 용매 추출법을 이용한 윤노리나무 추출물은 다양한 추출용매, 예를 들어, 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및 부탄올),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디에틸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헥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얻을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70%(v/v) 에탄올 수용액 또는 물을 사용하여 얻어진 것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70%(v/v) 에탄올을 사용하여 얻어진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ract of Yunri tree using the solvent extraction method using the extraction solvent is a variety of extraction solvents, for example, water, anhydrous or hydrous lower alcohols having 1 to 4 carbon atoms (for example, methanol, ethanol, propanol and butanol), propylene Obtainable using an extraction solv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lycol, 1,3-butylene glycol, glycerin, acetone, diethyl ether, ethyl acetate, butyl acetate, dichloromethane, chloroform, hexane, and mixtures thereof. Preferably it is obtained using ethanol, 70% (v / v) ethanol aqueous solution or water, most preferably 70% (v / v) ethanol.
한편, 본 발명의 윤노리나무 추출물은 상기한 추출 용매뿐만 아니라, 다른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추출물이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Yunri tre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an extract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effect using not only the aforementioned extraction solvent but also other extraction solvents.
바람직한 구현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윤노리나무 추출물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윤노리나무의 가지 또는 껍질을 정제수로 세척한 후 건조하고 입자의 크기가 300메시 이하가 되도록 작은 조각으로 파쇄한 뒤, 여기에 건조 중량의 1?10배의 물,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또는 1,3 부틸렌 글리콜 등을 가한다. 그 후 냉각 콘덴서가 장치되어 유효성분이 증발되는 것을 방지한 상태에서 40?100℃에서 3?20시간 가열하여 추출하거나, 4?40℃에서 1?15일간 추출하고 회전 감압 증발기로 완전히 건조시켜 제조한다. 이때 1,3 부틸렌 글리콜의 경우에는 회전 감압 증발기를 이용하여 건조시키기 어려우므로 직접 위의 조건에서 추출한 후 건조 감량이 1%(w/w)되도록 30℃~60℃ 열풍건조기에서 건조하여 본 발명의 화장료에 이용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method of producing a Yunni tre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First, the branches or bark of Yunri tree are washed with purified water, dried and crushed into small pieces so that the particles have a size of 300 mesh or less, followed by 1 to 10 times the dry weight of water, 1 to 4 carbon atoms, or Hydrous lower alcohol, acetone, ethyl acetate, butyl acetate or 1,3 butylene glycol; After cooling condenser is installed to prevent the active ingredient from evaporating in the state of extraction at 40 ~ 100 ℃ heated for 3 to 20 hours, or extracted at 4 ~ 40 ℃ for 1 to 15 days and completely dried by a rotary vacuum evaporator to prepare . In this case, 1,3 butylene glycol is difficult to dry by using a rotary vacuum evaporator, so it is directly extracted in the above conditions and then dried in a hot air dryer at 30 ℃ ~ 60 ℃ so that the drying loss 1% (w / w) We use for cosmetics.
또한, 본 발명의 윤노리나무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 용매에 의한 추출물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예컨대, 이산화탄소에 의한 감압, 고온에 의한 초임계 추출법에 의한 추출, 초음파를 이용한 추출법에 의한 추출,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 (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활성 분획도 본 발명의 윤노리나무 추출물에 포함된다.In addition, the yunniri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not only the extract by the above-described extraction solvent, but also the extract through a conventional purification process. For example, decompression by carbon dioxide, extraction by supercritical extraction by high temperature, extraction by ultrasonic extraction, separation using ultrafiltration membranes with constant molecular weight cut-off values, various chromatography (size, charge, hydrophobicity or affinity) Active fraction obtained through various purification methods additionally carried out, such as separation by sex)) is also included in the yunniri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추출물이 상온에서 냉침, 가열 여과하여 얻어진 액상물, 추가로 용매를 감압농축 또는 동결 건조하여 얻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 extract is obtained by liquid-freezing obtained by cold-pressing and heating filtration at room temperature, and further by concentrating or lyophilizing the solvent under reduced pressure.
상기 이산화탄소에 의한 감압, 고온에 의한 초임계 추출법에 의한 추출법은 초임계 유체추출법(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을 의미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초임계 유체는 기체가 고온 고압 조건에서 임계점에 도달하였을 때 갖는 액체 및 기체의 성질을 지니고 있으며, 화학적으로 비극성 용매와 유사한 극성을 지니고 있으며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초임계 유체는 지용성 물질의 추출에 사용되고 있다(J. Chromatogr. A. 1998;479:200-205).The extraction by supercritical extraction by decompression by carbon dioxide and by high temperature means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Generally, supercritical fluid is a liquid having a gas when the critical point is reached at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It is gaseous, chemically similar in polarity to nonpolar solvents, and because of its properties, supercritical fluids are used for extraction of fat-soluble substances (J. Chromatogr. A. 1998; 479: 200-205).
이산화탄소는 초임계 유체기기의 작동으로 압력 및 온도가 임계점까지 이르는 과정을 거치면서 액체 및 기체 성질을 동시에 지닌 초임계 유체가 되고 그 결과 지용성 용질에 대한 용해도가 증가한다. 초임계 이산화탄소가 일정량의 시료를 함유한 추출 용기를 통과하게 되면 시료에 함유된 지용성 물질은 초임계 이산화탄소에 추출되어 나온다.Carbon dioxide becomes a supercritical fluid with both liquid and gaseous properties as the pressure and temperature reach a critical point through the operation of a supercritical fluid device, resulting in increased solubility in fat-soluble solutes. When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passes through an extraction vessel containing a certain amount of sample, the fat-soluble substance contained in the sample is extracted from the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지용성 물질을 추출한 후 추출 용기에 남아있는 시료에 다시 소량의 공용매가 함유된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흘려 통과시키면 순수한 초임계 이산화탄소만으로는 추출되지 않았던 성분들이 추출되어 나오게 할 수 있다. When the supernatant carbon dioxide containing a small amount of cosolvent is passed through the sample remaining in the extraction vessel after extracting the lipid-soluble substance, components that were not extracted by pure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can be extracted.
본 발명의 초임계 추출법에 사용되는 초임계 유체는 초임계 이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에 추가적으로 공용매를 혼합한 혼합유체를 사용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유효 성분을 추출할 수 있다.The supercritical fluid used in the supercritical extra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extract the active ingredient by us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or a mixed fluid in which a co-solvent is added to carbon dioxide.
이러한 공용매는 클로로포름, 에탄올, 메탄올, 물,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디에틸에테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Such cosolvents a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hloroform, ethanol, methanol, water, ethyl acetate, hexane, diethyl ether and mixtures thereof.
추출된 시료는 대부분 이산화탄소를 함유하고 있는데 이산화탄소는 실온에서 공기 중으로 휘발되므로 상기 방법으로 얻은 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공용매는 감압증발기로 제거할 수 있다.Most of the extracted samples contain carbon dioxide. Since carbon dioxide is volatilized into air at room temperature, the extract obtained by the above method may be used as a cosmetic composition, and the cosolvent may be removed by a reduced pressure evaporator.
초임계 추출법에 의한 윤노리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의 일례로서, 윤노리나무의 가지 또는 껍질을 정제수로 세척한 후 건조하고 300메시 이하의 작은 조각으로 파쇄한 뒤, 시료를 초임계 추출용기에 놓고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펌프를 이용하여, 순수한 이산화탄소를 적당한 온도 및 압력에서 초임계 상태로 만들어 흘려보내면서 윤노리나무 추출물을 시험관에 받는다. As an example of a method for producing a Yunni-tree extract by supercritical extraction, the branches or bark of Yunni-tree are washed with purified water, dried and broken into small pieces of 300 mesh or less, and then the sample is placed in a supercritical extraction vessel and subjected to liquid chromatography. Using a graffiti pump, pure carbon dioxide is supercritical at the proper temperature and pressure and flows to the test tube while extracting it.
초임계 추출 시에 이산화탄소는 35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60℃의 온도에서, 100 내지 500 기압,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400 기압,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00 기압의 압력 하에 초임계 상태로 만들어주는 것이 좋다. In supercritical extraction, carbon dioxide is at a temperature of 35 to 100 ° C., preferably 50 to 70 ° C., more preferably about 60 ° C., 100 to 500 atmospheres, preferably 200 to 400 atmospheres, more preferably about 300 Supercritical is recommended under pressure.
또한 상기 초음파 추출법은 초음파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에너지를 이용하는 추출방법으로, 초음파가 수용성 용매 속에서 시료에 포함된 불용성인 용매를 파괴시킬 수 있으며, 이때 발생되는 높은 국부온도로 인하여 주위에 위치하는 반응물 입자들의 운동에너지를 크게 하기 때문에 반응에 필요한 충분한 에너지를 얻게 되고, 초음파 에너지의 충격효과로 높은 압력을 유도하여 시료에 함유된 물질과 용매의 혼합 효과를 높여주어 추출효율을 증가시키게 된다. In addition, the ultrasonic extraction method is an extraction method using energy generated by ultrasonic vibration. Ultrasonic waves can destroy an insoluble solvent contained in a sample in a water-soluble solvent. Due to the high local temperature generated at this time, Since the kinetic energy of the particles is increased, sufficient energy required for the reaction is obtained. By inducing the high pressure by the impact effect of the ultrasonic energy, the mixing efficiency of the substance and solvent contained in the sample is increased and the extraction efficiency is increased.
초음파 추출법에 사용할 수 있는 추출용매는 클로로포름, 에탄올, 메탄올, 물,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디에틸에테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The extraction solvent that can be used in the ultrasonic extraction method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hloroform, ethanol, methanol, water, ethyl acetate, hexane, diethyl ether and mixtures thereof.
추출된 시료는 진공 여과하여 여과액을 회수한 후 감압증발기로 제거하고, 동결건조하는 통상의 윤노리나무 추출물 제조방법을 통해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The extracted sample is vacuum filtered to recover the filtrate and then removed by a reduced pressure evaporator, the extract can be obtained through a conventional method of producing a yunniri extract extract lyophilized.
본 발명의 윤노리나무 추출물의 초음파 추출법은 윤노리나무의 가지, 껍질 또는 파쇄된 윤노리나무의 가지, 껍질을 클로로포름, 에탄올, 메탄올, 물,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디에틸에테르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추출 용매에 넣은 후, 초음파 추출기(슈퍼노닉, 미합중국)를 이용하여 25KHz의 강도로 30℃에서 약 1 내지 6시간 동안 추출하는 것이며, 상기 초음파 추출 시간은 추출하고자 하는 시료의 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Ultrasonic extraction method of Yunni tre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xtraction solvent selected from the branch of the Yunni tree, the bark or branched Yunni tree, the bark of chloroform, ethanol, methanol, water, ethyl acetate, hexane, diethyl ether and mixtures thereof After putting in, using an ultrasonic extractor (Supernonic, United States) to extract for about 1 to 6 hours at 30 ℃ at an intensity of 25KHz, the ultrasonic extraction time may vary depending on the amount of sample to be extracted.
또한, 본 발명의 윤노리나무 추출물은 미생물을 이용한 통상적인 발효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이때 이용할 수 있는 미생물은 효모, 유산균, 바실러스속 균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중에서 선택되는 균으로 20 내지 40 ℃의 온도 조건 하에서 pH 5 내지 7을 유지하면서, 1 내지 7일간 발효시킨다.In addition, the yunniri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an extract that has undergone a conventional fermentation process using a microorganism. At this time, the microorganisms available can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yeast, lactic acid bacteria, Bacillus bacteria and mixtures thereof, and fermented for 1 to 7 days while maintaining pH 5 to 7 under temperature conditions of 20 to 40 ℃.
본 발명의 윤노리나무를 발효시키는데 사용되는 효모는, 진핵미생물(핵과 세포질이 핵막에 의하여 나누어져 있는 생물)에 속하며, 세포벽, 세포막, 핵, 사립체, 과립 등 세포 소기관을 갖추고 있다. 성의 구별이 없는 이들은 주로 budding(출아법)으로 번식하는데, 분리된 많은 효모들 중에는 발효능이 없는 것, budding 대신 fission(분열) 혹은 bud-fission 방법으로 증식하는 것, 자낭포자(ascospore)가 아닌 사출포자(ballistospore)를 형성하거나 포자(spore)형성이 관찰되지 않는 것 등 다양한 그룹의 효모도 존재한다. 크기는 보통 5~10㎛로 세균의 5-10배 크기이며, 적정 pH는 4.5-5.5이나 1-10에서도 생존한다. pH 1에서 12시간 생존하는 효모는 박테리아보다 산에 강하므로 배지의 조건을 pH 3.5 내지 pH 3.8 정도로 맞추면 박테리아의 오염을 어느 정도 억제할 수 있다. The yeast used to ferment the limbus of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o eukaryotic microorganisms (organisms in which the nucleus and cytoplasm are divided by the nuclear membrane) and have cell organelles such as cell walls, cell membranes, nuclei, private bodies, and granules. Those without sex distinction breed mainly by budding, among which many of the isolated yeasts have no fermentation capacity, multiply by fission or bud-fission instead of budding, and not ascospore. There are also various groups of yeasts, such as forming spores or not forming spores. The size is usually 5-10 ㎛, 5-10 times the size of bacteria, and the optimal pH survives at 4.5-5.5 but 1-10. Yeasts that survive 12 hours at pH 1 are more resistant to acids than bacteria, so adjusting the conditions of the medium to pH 3.5 to pH 3.8 can suppress bacterial contamination to some extent.
효모는 균종에 따라서 조금씩 차이가 있으나, 대부분 20~25℃에서 잘 자란다. 보통은 50℃이상에서는 사멸한다고 하지만 그 온도 이상에서 합성이 되지 않는 성장요소를 배지에 직접 첨가해 줌으로써 어느 정도는 극복이 가능하다.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애(Saccharomyces cerevisiae)의 경우 40℃ 이상에서 사멸하지만 배지에 올레산(oleic acid)과 에르고스테롤(ergosterol)을 첨가해 줌으로써 이를 방지할 수 있다. 효모 균체 자체는 단세포 식물로서 단백질과 미량 광물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윤노리나무를 발효시키는데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효모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애이다.Yeast is sligh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species, but most grow well at 20 ~ 25 ℃. Usually, it is killed above 50 ℃, but it can be overcome to some extent by adding the growth factor which is not synthesized above the temperature directly to the medium. Saccharomyces cerevisiae dies at over 40 ° C but can be prevented by adding oleic acid and ergosterol to the medium. Yeast cells themselves are single-celled plants that contain large amounts of protein and trace minerals. Thus, a preferred yeast for use in fermenting the limb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accharomyces cerevisiae.
또한 본 발명에서 윤노리나무를 발효시키는데 사용되는 유산균은, 포도당 또는 유당과 같은 탄수화물을 분해하여 유산(젖산)이나 초산과 같은 유기산을 생성하는 인체에 매우 유익한 미생물의 일종이다. 일반적으로, 유산균이 당으로부터 유산을 만드는 것을 발효라 하며, 이러한 발효과정을 거쳐서 발효식품이 만들어 진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유산균은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스트렙토코커스, 비피도 박테리움, 류코노스톡, 페디오 코커스, 락토 코커스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이다. 락토바실러스 중에서도 본 발명의 녹두를 발효시키는데 사용하기에 가장 바람직한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이다.In addition, the lactic acid bacteria used to ferment the Yunni tree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kind of microorganisms which are very beneficial to the human body to break down carbohydrates such as glucose or lactose to produce organic acids such as lactic acid (lactic acid) or acetic acid. Generally, lactic acid bacteria make lactic acid from sugar is called fermentation, and fermented food is made through this fermentation process. Lactic acid bacteria that can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include Lactobacillus, Streptococcus, Bifido bacterium, Leukonostock, Pediococcus, Lactococcus and mixtures thereof, most preferably Lactobacillus . Among the Lactobacillus, the most preferred lactic acid bacteria for use in fermenting the green b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ctobacillus plantarum .
또한 본 발명에서 윤노리나무를 발효시키는데 사용된 발효균으로 바실러스(Bacillus)균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실러스는 포자 형성균으로, 토양이나 물속에 서식하며 대부분 유기물 분해와 관련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바실러스는 바람직하게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바실러스 푸밀리스, 바실러스 리케니포미스, 바실러스 메가테리움, 바실러스 폴리퍼멘티커스, 바실러스 메센테리커스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로서 이 균은 고초균으로도 알려져 있는데, 포도당과 같은 다양한 당류, 전분 등을 혐기적으로 대사하여, 메주나 청국장과 같은 발효 식품 제조에 이용되기도 하는 유기물 분해 미생물이다. In addition, Bacillus bacteria can be used as the fermentation bacteria used to ferment Yunni in the present invention, Bacillus is spore-forming bacteria, inhabit in soil or water, and most of them are related to decomposition of organic matter. Bacillus that may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includes Bacillus subtilis, Bacillus pumilis, Bacillus rikenimomis, Bacillus megaterium, Bacillus polyfermentus, Bacillus mesentericus and mixtures thereof, Most preferably, Bacillus subtilis, which is also known as Bacillus subtilis, is an organic substance that is used to produce fermented foods such as meju and Cheonggukjang by anaerobic metabolism of various sugars such as glucose and starch. Decomposed microorganisms.
본 발명의 윤노리나무를 이용한 발효액은 다음의 단계로 제조될 수 있다:Fermentation broth using Yunri tre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in the following steps:
a) 윤노리나무의 가지 부위를 분말로 만드는 단계;a) powdering the branches of the Yunni tree;
b) 상기 단계 a)에서 제조된 윤노리의 가지 부위의 분말을 정제수에 희석한 후 효모균, 유산균, 바실러스균 또는 이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발효시키는 단계;b) diluting the powder of the branched part of the yunnori prepared in step a) in purified water and then fermenting using yeast, lactic acid bacteria, Bacillus bacteria or a mixture thereof;
c) 상기 단계 b)의 발효에 의해 얻은 발효액을 여과하여 저온 숙성하고, 다시 여과하여 윤노리나무 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c) filtering the fermentation broth obtained by the fermentation of step b) to low temperature aging and filtering again to produce a fermented liquor.
상기 윤노리나무 발효액의 제조 단계에서, 상기 단계 a)의 윤노리나무 가지 부위의 분말은 100 내지 500 메쉬 크기 이하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In the manufacturing step of the Yunri-tree fermentation broth, the powder of the Yunri-tree branch portion of step a) may be prepared in a size of 100 to 500 mesh or less,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단계 b)의 발효는 윤노리나무 분말과 정제수를 1:10으로 혼합한 후 121℃에서 멸균시킨 후 유산균(Lactobacillus sp), 효모균(Sacharomyces sp) 및/또는 바실러스균(Bacillus sp)을 접종하여 배양함으로써 달성된다. 발효 단계에서 사용된 윤노리나무 분말은 총 배양액 1L를 기준으로, 1 내지 50g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ermentation of step b) is mixed with yunni powder and purified water at 1:10 and sterilized at 121 ℃ and then inocula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Lactobacillus sp), yeast (Sacharomyces sp) and / or Bacillus sp (Bacillus sp) Achieved by culturing. Yunni wood powder used in the fermentation step is preferably used in an amount of 1 to 50g based on 1L of the total culture.
또한, 발효단계에 사용된 효모 또는 유산균 및 바실러스균은 총 배양액 1L 기준으로, 1 X 104 내지 1 X 105 세포수의 양으로 접종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 균주의 성상에 따라 통상적인 조건 및 호기적 또는 통상 혐기(anaerobic)적인 조건에서 배양될 수 있다. 또한, 발효균의 배양을 더욱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추가적인 탄소원 및/또는 pH 조절제가 첨가될 수도 있다. 이때 적합한 배양조건은 30?37℃, pH 5?7의 호기 또는 통상혐기적인 조건에서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15일간 배양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7일간 배양된다. In addition, the yeast or lactic acid bacteria and Bacillus bacteria used in the fermentation step is preferably inoculated in the amount of 1 X 10 4 to 1 X 10 5 cells based on the total culture solution 1L, an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train and It may be cultured in aerobic or usually anaerobic conditions. In addition, additional carbon sources and / or pH adjusters may be added to further activate the culture of the fermentor. At this time, suitable culture conditions are preferably incubated for about 1 to 15 days at 30 ~ 37 ℃, aerobic or normal anaerobic conditions of pH 5-7, more preferably 1 to 7 days.
상기 단계 c)는 단계 b)에서 얻은 발효액을 1차 여과한 후 그 여과액을 저온숙성하는 단계로서, 이때 여과는 0.25 내지 0.45μm 크기의 여과막으로 여과하여, 여분의 윤노리나무 분말 알갱이 및 발효균을 제거할 수 있다. 1차 여과막으로 분리된 여과액은 저온 숙성하여 안정화시킬 수 있으며, 1차 여과막에 비해 더 세밀한 여과막으로 2차 여과한 후 농축하여 보관할 수 있으며, 이 농축물을 적절히 희석하여 사용한다. 이때 상기 여과-숙성-여과-농축의 과정은 보다 유효한 효과가 있는 윤노리나무 발효액을 얻기 위한 공정단계로서, 저온 숙성과정은 0-4 ℃의 온도 범위에서 5 내지 10일 동안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잔여 균의 확실한 제거를 위하여 2차 여과막의 크기는 0.25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step c) is the step of first filtration of the fermentation broth obtained in step b) and low temperature aging of the filtrate, wherein the filtration is filtered through a filter membrane of 0.25 to 0.45 μm size, to remove the extra grains of the powdered fermented berry Can be removed The filtrate separated by the primary filtration membrane can be stabilized by aging at low temperature, and can be stored after concentration of the secondary filtration with a finer filtration membrane than the primary filtration membrane, and the concentrate is diluted and used appropriately. At this time, the filtration-aging-filtration-concentration process is a process step for obtaining a more effective effect of the Yunri-tree fermentation broth, and the low-temperature aging process is preferably performed for 5 to 10 days in the temperature range of 0-4 ° C, and remaining In order to reliably remove the bacteria, the size of the secondary filtration membrane is preferably 0.25 μm or less.
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윤노리나무분말을 300 메쉬 크기 이하로 분말화한 뒤 배양액에 10 g/L 첨가하고, 효모균, 유산균, 바실러스균 또는 이의 혼합물을 50,000 cfu/L로 첨가하여 각각 효모는 30℃, 유산균은 37℃, 바실러스균은 37℃, 혼합균의 경우 경우에 따라 30℃ 및 37℃에서 선택하여, pH 5-7, 바람직하게는 약 pH 5.5로 호기적 또는 통상 혐기적인 조건으로 발효조에서 약 1일 내지 7일간 배양하여 발효시킨다. 배양 후 상기 발효액은 0.45μm의 여과막을 이용하여 1차 여과한 다음 이 여과액에 10일간 저온 숙성시킨 후 0.25μm 막으로 2차 여과하여 농축한 뒤 본 발명의 윤노리나무 추출물을 제조한다. 사용하기 전에 최종 고형분의 농도를 10g/L가 되게 유지한다.According to a more preferred embodiment, the powder of yunniri powder below 300 mesh size and then added to the culture medium 10 g / L, yeast, lactic acid bacteria, Bacillus bacteria or a mixture thereof is added at 50,000 cfu / L each yeast 30 ℃, lactic acid bacteria at 37 ℃, Bacillus bacteria at 37 ℃, in the case of mixed bacteria selected from 30 ℃ and 37 ℃ depending on the case, pH 5-7, preferably about pH 5.5 fermentation tank in aerobic or normal anaerobic conditions Incubate for about 1 to 7 days in fermentation. After incubation, the fermentation broth was first filtered using a 0.45 μm filtration membrane, and then aged at low temperature for 10 days in the filtrate, and then concentrated by secondary filtration with a 0.25 μm membrane, thereby preparing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nal solids concentration is kept to 10 g / L before use.
또한, 본 발명의 윤노리나무 추출물은 포제법을 이용하여 얻어낸 추출물도 포함한다. 포제란 한방이론에 근거하여 약재를 가공 처리함으로써 약재 본래의 성질을 변화시키는 제약 기술이다. 주로 찌거나, 삶거나, 불에 볶거나, 불에 굽거나 달구는 공정 또는 이들이 혼합된 공정의 방법을 말한다. 처리 조건은 삶는 경우 온도 60 내지 100℃, 30분 내지 6시간이고, 찌는 경우 120 내지 180℃, 10분 내지 2시간이고, 굽는 경우 80 내지 100℃, 10분 내지 2시간에서 용이하게 선정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찌는 과정을 수행하며, 90℃에서 1시간 동안 처리한 후 음건한다.In addition, the Yunri tree extract of this invention also contains the extract obtained using the foaming method. Foaming agent is a pharmaceutical technology that changes the original properties of the medicine by processing the medicine based on the herbal theory. Mainly refers to the process of steaming, boiling, roasting, roasting or roasting or a process in which these are mixed. The treatment conditions are 60 to 100 ° C. for 30 minutes to 6 hours when boiled, 120 to 180 ° C. for 10 minutes to 2 hours for steaming, and 80 to 100 ° C. for 10 minutes to 2 hours for baking. Most preferably, the steaming process is performed, followed by drying at 90 ° C. for 1 hour.
본 발명에서는 윤노리나무를 쪄서 건조시킨 후 이를 이용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포제법으로 얻은 추출물을 추가로 70%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한다. 또한 포제법을 이용한 추출물은 용매 추출법 뿐만 아니라, 이산화탄소에 의한 감압 및 고온에 의한 초임계 추출법 또는 초음파 추출법에 의한 추출 방법으로 추출하거나 미생물을 이용하여 발효시킬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ract is prepared by steaming and drying the Yunni wood, and most preferably, the extract obtained by the saponification method is further extracted using 70% ethanol. In addition, the extract using the foaming method, as well as the solvent extraction, extraction by the supercritical extraction method or the ultrasonic extraction method by a reduced pressure and high temperature with carbon dioxide can be extracted or fermented using microorganisms.
본 발명의 윤노리나무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Yunni tre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in a powder state by an additional process such as vacuum distillation and freeze drying or spray drying.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윤노리나무 추출물은 활성산소를 소거하고, MMP-1의 생성 억제 및 콜라겐의 생합성 증진하고, 멜라닌 세포의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며, 자외선 조사에 의해 발현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억제하고, 항염, 항균 및 피부 자극을 완화하고 주름을 개선하며, 피부에 보습을 부여할 수 있는 유효량의 윤노리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 mor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Yunni tre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eliminates free radicals, inhibits the production of MMP-1 and enhances the biosynthesis of collagen, inhibits melanin production of melanocytes, and is expressed by UV irradiation. To suppress the express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anti-inflammatory, antibacterial and relieve skin irritation, improve wrinkle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ffective amount of Yunri tree extract to impart moisture to the skin.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윤노리나무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서 0.001 ~ 30.0 중량% 함유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윤노리나무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서 0.01 ~ 10 중량%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추출물의 함량이 0.0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피부 개선 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며, 30.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유량 증가에 대한 피부 개선 효과 증대 정도가 미미하며, 제형상의 안전 및 안정성에 문제가 있으며 경제적이지도 못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Yunri tree extract is contained 0.001 to 30.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smetic composition, more preferably, the Yunni tree extract is contained 0.01 to 10%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cosmetic composition It features. When the content of the extract is less than 0.001% by weight, no skin improvement effect is observed, and when the content of the extract is more than 30.0% by weight, the degree of improvement of the skin improvement effect against the increase of the content is insignificant, and there is a problem in the safety and stability of the formulation and economics. Neither ever
따라서,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가진 윤노리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항산화 효과(실험예 1), MMP-1 생성 억제 효과(실험예 2),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실험예 3),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실험예 4),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억제 효과(실험예 5), 항염 효과(실험예 6), 자극완화 효과(실험예 7), 보습 효과(실험예 8),항균 효과(실험예 10) 및 주름개선 효과(실험예 10)가 뛰어나다.Therefore,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a extract of Yunri tree having such various functions has a skin antioxidant effect (Experimental Example 1), MMP-1 production inhibitory effect (Experimental Example 2), collagen synthesis enhancement effect (Experimental Example 3), Melanin production inhibitory effect (Experimental Example 4), inflammatory cytokine expression inhibitory effect (Experimental Example 5), anti-inflammatory effect (Experimental Example 6), stimulating relaxation effect (Experimental Example 7), moisturizing effect (Experimental Example 8), antibacterial effect ( Experimental Example 10) and wrinkle improvement effect (Experimental Example 10) is excellent.
따라서,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가진 윤노리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우수한 항산화 효과, 피부 주름 개선 효과, 피부 미백효과, 항염 효과, 항균 효과, 피부 보습개선 효과 또는 자극 완화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refore,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a Yunri tree extract having such various functions is characterized by having an excellent antioxidant effect, skin wrinkle improvement effect, skin whitening effect, anti-inflammatory effect, antibacterial effect, skin moisturizing improvement effect or irritation relief effect It is done.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 상기 유효 성분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The ingredients contained in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as an active ingredient, the ingredients commonly used in cosmetic compositions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effective ingredients, and may contain conventional ingredients such as antioxidants, stabilizers, solubilizers, vitamins, Supplements, and carriers.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팩, 마사지크림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into any of the formulations conventionally produced in the art and can be used in the form of solutions, suspensions, emulsions, pastes, gels, creams, lotions, powders, soaps, , Oil, powdered foundation, emulsion foundation, wax foundation, pack, massage cream and spray, but is not limited thereto. More specifically, it may be prepared in the form of a flexible lotion, nutrition lotion, nutrition cream, massage cream, essence, eye cream, cleansing cream, cleansing foam, cleansing water, pack, spray or powder.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When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ste, cream or gel, an animal oil, vegetable oil, wax, paraffin, starch, tracant, cellulose derivative, polyethylene glycol, silicone, bentonite, silica, talc or zinc oxide may be used as the carrier component .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When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olution or emulsion, a solvent, solubilizer or emulsifier is used as the carrier component, such as water, ethanol, isopropanol, ethyl carbonate, ethyl acetate, benzyl alcohol, benzyl benzoate, propylene glycol, 1 Fatty acid esters of, 3-butylglycol oil, glycerol aliphatic ester, polyethyleneglycol or sorbitan.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When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spension, liquid carrier diluents such as water, ethanol or propylene glycol, suspending agents such as ethoxylated isostearyl alcohol, polyoxyethylene sorbitol esters and polyoxyethylene sorbitan esters, and microcrystals are used as carrier components. Soluble cellulose, aluminum metahydroxy, bentonite, agar or tracant and the like can be used.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case where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wder or a spray, lactose, talc, silica, aluminum hydroxide, calcium silicate or polyamide powder may be used as a carrier component. Especially, in the case of a spray, a mixture of chlorofluorohydrocarbons, propane / Propane or dimethyl ether.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When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rfactant-containing cleansing, the carrier component is an aliphatic alcohol sulfate, an aliphatic alcohol ether sulfate, a sulfosuccinic acid monoester, an isethionate, an imidazolinium derivative, a methyltaurate, a sarcosinate, a fatty acid amide ether. Sulfates, alkylamidobetaines, aliphatic alcohols, fatty acid glycerides, fatty acid diethanolamides, vegetable oils, lanolin derivatives or ethoxylated glycerol fatty acid esters and the like can be used.
또한, 본 발명은 윤노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사람의 피부에 적용하여 항산화 효과, 피부 주름 개선 효과, 피부 미백 효과, 항염 효과, 항균 효과, 피부 보습개선 효과 또는 자극완화 효과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applying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extract of Yunri tree as an active ingredient to the skin of humans, the antioxidant effect, skin wrinkle improvement effect, skin whitening effect, anti-inflammatory effect, antibacterial effect, skin moisturizing improvement effect or irritation relief effect It provides a make-up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obtained.
본 발명의 화장 방법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는 모든 화장 방법을 일컫는다. 즉,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는 당업계에 공지된 모든 방법이 본 발명의 화장 방법에 속한다.The cosmetic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ll cosmetic methods using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all the methods known in the art using the cosmetic composition belong to the makeup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한번 또는 여러번 도포하여 사용하거나, 본 발명 이외의 다른 화장료 조성물과 중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once or several times, or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other cosmetic compositions other tha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of use, and may be used in a number of times depending on the skin condition or taste of the user.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제형 또는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일 경우, 피부에 도포한 후 닦아내거나 떼거나 물로 씻어낼 수도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비누는 액상비누, 가루비누, 고형비누 및 오일비누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클렌징 수건 및 클렌징 팩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비 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워터 및 클렌징 겔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f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oap, a surfactant-containing cleansing formulation or a surfactant-free cleansing formulation, it may be wiped off, peeled off or washed with water after application to the skin. As a specific example, the soap is liquid soap, powdered soap, solid soap and oil soap, the surfactant-containing cleansing formulation is a cleansing foam, cleansing water, cleansing towel and cleansing pack, the surfactant-free cleansing formulation is a cleansing cream , Cleansing lotion, cleansing water and cleansing gel,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윤노리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는 화장방법을 수행하면, 피부 항산화 효과, MMP-1 생성 억제 효과,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억제 효과, 항염 효과, 항균 효과와 보습효과, 자극완화 효과 및 피부 주름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When the cosmetic method using the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ioxidant effect of skin, MMP-1 production inhibitory effect, collagen synthesis enhancement effect, melanin production inhibitory effect, inflammatory cytokine expression inhibitory effect, anti-inflammatory effect, Antibacterial, moisturizing, irritant and skin wrinkle improvement can be obtained.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It is to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se embodiments are only for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an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in accordance with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
제조예Manufacturing example 1: One: 윤노리나무의Velvet 용매 추출물 제조 Solvent extract preparation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윤노리나무 가지 및 껍질 부위 200 g을 분말화한 후 300 메시 시브를 이용하여 미세하게 만들었다. 이에 에탄올과 물의 비율을 7:3으로 조정한 70% (V/V) 에탄올 수용액 1000 ml을 가하여 5시간씩 3회 환류 추출하고 냉침한 후, 와트만(Whatman) #2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여과된 추출물을 50 ℃ 이하에서 감압 농축 및 동결 건조한 후 본 발명의 실험에 적용하였다.
200 g of the dried walnut branch and the bark area, which were washed with purified water and powdered, were powdered and made fine by using 300 mesh sieves. 1000 ml of an aqueous 70% (V / V) ethanol solution having a ratio of ethanol and water adjusted to 7: 3 was added thereto, and the mixture was extracted under reflux three times for 5 hours, cooled, and filtered through Whatman # 2 filter paper. The filtered extract was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and freeze dried at 50 ° C. or lower, and then subjected to the exper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조예Manufacturing example 2~3. 2 to 3. 윤노리나무의Velvet 초임계Supercritical 유체 추출물 및 초음파 추출물 제조 Manufacture of fluid extracts and ultrasonic extracts
제조예 2~3은 다음의 추출 방법의 차이를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윤노리나무 추출물을 얻었다. 제조예 2는 통상적인 초임계 추출법(약 60℃의 온도에서 약 300 기압의 압력 하에 초임계 상태에서 공용매로서 올리브오일을 이용하여 추출함)으로 추출하여 초임계 추출물을 얻었다. 제조예 3은 초음파(슈퍼노닉 초음파기기를 이용하여 25KHz의 강도로 30℃에서 약 2시간 동안 추출)를 이용한 추출을 통해 추출물을 얻었다. 단, 제조예 2의 경우에는 공용매로 에탄올를 사용하였으며 제조예 3에서는 공용매로서 정제수를 사용하였다.
Preparation Examples 2 to 3 were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1, except for the difference in the following extraction method. Preparation Example 2 was extracted by a conventional supercritical extraction method (extracted using olive oil as a cosolvent in a supercritical state under a pressure of about 300 atm at a temperature of about 60 ℃) to obtain a supercritical extract. Preparation Example 3 was obtained through the extraction using the ultrasonic wave (extracted for about 2 hours at 30 ℃ with a strength of 25KHz using a superonic ultrasonic apparatus). However, in Preparation Example 2, ethanol was used as the cosolvent, and in Preparation Example 3, purified water was used as the cosolvent.
제조예Manufacturing example 4. 4. 윤노리나무의Velvet 효모균 발효 추출물 제조 Yeast Fermentation Extract Preparation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윤노리나무 가지 및 껍질 부위를 분말화한 후 300메시 시브를 이용하여 미세하게 만들었다. 이것을 10g/L되게 효모 배양액(Potato Dextrose Broth, 아큐메디아 , 미합중국)에 첨가하였다. 발효에 사용한 효모 균주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애(Saccharomyces cerevisiae)를 사용하였으며, 배양액 당 50,000 cfu/L로 첨가하였다. 배양은 5L 발효조를 이용하여 7일간, 30℃, pH 5~7로 유지하며 배양하였다. 배양이 완료된 윤노리나무 발효액을 원심분리하여 배양균을 1차 제거 한 후 0.25μM 여과지를 이용하여 최종 여과하였다. 이렇게 얻은 여과액을 다시 4℃의 저온 창고에서 약 10일간 숙성시킨 후 이 여과 숙성액을 다시 0.25μM의 여과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본 발명에 사용하였으며, 편의상 이 발효 여과액을 윤노리나무 효모균 발효 추출물이라 칭하였다. 이하 실험에 사용된 윤노리나무 효모균 발효 추출물은 최종농도가 1g/100mL가 되게 유지하여 사용하였다.
After washing with purified water and drying the dried walnut branch and bark area was made fine using a 300 mesh sheave. This was added to yeast culture (Potato Dextrose Broth, Accumedia, United States) to 10 g / L. Saccharomyces cerevisiae was used as a yeast strain for fermentation, and was added at 50,000 cfu / L per culture. The culture was carried out using a 5L fermenter for 7 days, maintained at 30 ℃, pH 5-7. After the culture was completed, the fermented fermentation broth was centrifuged to remove primary cultures, followed by final filtration using 0.25 μM filter paper. The filtrate thus obtained was aged again for about 10 days in a low temperature warehouse at 4 ° C., and the filtrate was filtered again using a filter of 0.25 μM, and used for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alled. The yunni yeast fermentation extract used in the following experiment was used to maintain a final concentration of 1g / 100mL.
제조예Manufacturing example 5. 5. 윤노리나무의Velvet 유산균 발효 추출물 제조 Manufacture of Lactic Acid Bacteria Fermented Extract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윤노리나무 가지 및 껍질 부위를 분말화한 후 300메시 시브를 이용하여 미세하게 만들었다. 이것을 10g/L되게 유산균 배양배지(Lactobacillus MRS Broth, 디프코, 미합중국)에 첨가하여 혼합한 후 121℃에서 멸균시킨 뒤 유산균을 접종하였다. After washing with purified water and drying the dried walnut branch and bark area was made fine using a 300 mesh sheave. Add 10 g / L of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medium (Lactobacillus MRS Broth, Difco, USA) and mix After sterilization at 121 ℃ was inocula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발효에 사용한 유산균주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을 사용하였으며, 배양액 당 50,000 cfu/L로 첨가하였다. 배양은 5L 발효조를 이용하여 3일간, 37℃, pH 5~7로 유지하며 배양하였다. 배양이 완료된 윤노리나무발효액을 원심분리하여 배양균을 1차 제거 한 후 0.25μM 여과지를 이용하여 최종여과하였다. 이렇게 얻은 여과액을 다시 4℃의 저온 창고에서 약 10일간 숙성시킨 후 이 여과 숙성액을 다시 0.25μM의 여과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본 발명에 사용하였으며, 편의상 이 발효 여과액을 윤노리나무 유산균 발효 추출물이라 칭하였다. 이하 실험에 사용된 윤노리나무 유산균 발효 추출물은 최종농도가 1g/100mL가 되게 유지하여 사용하였다.
Lactobacillus used for fermentation was used Lactobacillus plantarum (Lactobacillus plantarum), was added at 50,000 cfu / L per culture. Cultivation was carried out using a 5L fermenter for 3 days, maintained at 37 ℃, pH 5-7. After the culture was completed, the fermented fermentation solution of Yunni-tree was centrifuged to remove primary cultures, followed by final filtration using 0.25 μM filter paper. The filtrate thus obtained was aged again for about 10 days in a low temperature warehouse at 4 ° C., and the filtrate was filtered again using a filter of 0.25 μM. The fermentation filtrate was used for convenience in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called. The yunni lactobacillus fermented extract used in the experiment below was used to maintain a final concentration of 1g / 100mL.
제조예Manufacturing example 6. 6. 윤노리나무의Velvet 바실러스균Bacillus bacteria 발효 추출물의 제조 Preparation of Fermented Extract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윤노리나무 가지 및 껍질 부위를 분말화한 후 300메시 시브를 이용하여 미세하게 만들었다. 이것을 10g/L되게 바실러스 배양배지에 첨가하였다. After washing with purified water and drying the dried walnut branch and bark area was made fine using a 300 mesh sheave. This was added to the Bacillus culture medium at 10 g / L.
발효에 사용한 바실러스 균주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고초균; Bacillus subtilis)를 사용하였으며, 배양액 당 50,000 cfu/L로 첨가하였다. 배양은 5L 발효조를 이용하여 3일간, 37℃, pH 5~7로 유지하며 배양하였다. 배양이 완료된 윤노리나무 발효액을 원심분리하여 배양균을 1차 제거 한 후 0.25 μM 여과지를 이용하여 최종여과 하였다. 이렇게 얻은 여과액을 다시 4℃의 저온 창고에서 약 10일간 숙성시킨 후 이 여과 숙성액을 다시 0.25μM의 여과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본 발명에 사용하였으며, 편의상 이 발효 여과액을 윤노리나무 바실러스균 발효 추출물이라 칭하였다. 또한, 이 방법에 의한 추출 수율은 221.6g/1kg이었다. 이하 실험에 사용된 윤노리나무 바실러스 발효균 추출물은 최종농도가 1g/100mL가 되게 유지하여 사용하였다.
Bacillus strains used for fermentation were used Bacillus subtilis ( Bacillus subtilis ), was added at 50,000 cfu / L per culture. Cultivation was carried out using a 5L fermenter for 3 days, maintained at 37 ℃, pH 5-7. After the culture was completed, the fermented broccoli fermented broth was centrifuged to remove the cultures first, followed by final filtration using 0.25 μM filter paper. The filtrate thus obtained was aged for about 10 days in a low temperature warehouse at 4 ° C., and then the filtrate was filtered again using a filter of 0.25 μM and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lled an extract. Moreover, the extraction yield by this method was 221.6 g / 1 kg. Fermented Bacillus Bacillus fermentation extract used in the following experiment was used to maintain a final concentration of 1g / 100mL.
제조예Manufacturing example 7. 7. 윤노리나무의Velvet 포제법A preparation method 추출물의 제조 Preparation of extract
윤노리나무의 포제법 추출물을 얻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쪄서 건조시키는 공정으로 처리하였다. 즉,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윤노리나무의 전초를 분말화한 후 300메시 시브를 이용하여 미세하게 만든 후, 찌는 온도 90℃, 1시간 조건으로 실시한 후 음건하였다. 이렇게 하여 만든 윤노리나무의 포제법 추출물은 추가로 70%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하였으며, 그 결과 53.8g/1kg의 추출물을 얻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obtain the extract of the yunniri tree was processed by the process of steaming and drying. In other words, after washing with dried water and dried dried Yunni trees outpost powdered by using a 300 mesh sheave, the steaming temperature was carried out at 90 ℃, 1 hour conditions and then dried. The extract of the yunni tree made in this way was extracted using additional 70% ethanol, and as a result, an extract of 53.8g / 1kg was obtained.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1: One: DPPHDPPH 법을 이용한 항산화 효과 측정 Antioxidant effect measurement
본 실험예 1은 제조예 1 내지 7에서 수득한 윤노리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DPPH법을 이용하여 항산화 효과(자유라디칼 소거율)를 측정하였다.In Experimental Example 1, the antioxidant effect (free radical scavenging rate) was measured by using the DPPH method to measure the antioxidant effect of the Yunni-tree extracts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s 1-7.
DPPH법은 DPPH(2,2-Di(4-tert-octylphenyl)-1-picrylhydrazyl) 자유라디칼이라는 유리기를 사용하여 환원력에 의한 항산화 효과를 측정한다. 피검 물질(윤노리나무 추출물)에 의해 DPPH가 환원되어 흡광도가 감소하는 정도를 공시험액의 흡광도와 비교하여 파장 560nm에서 자유라디칼 소거율(%)을 측정한다.The DPPH method measures the antioxidant effect by reducing power using a free group called DPPH (2,2-Di (4-tert-octylphenyl) -1-picrylhydrazyl) free radical. The free radical scavenging rate (%) is measured at a wavelength of 560 nm by comparing the degree of decrease in absorbance of DPPH by the test substance (Yunori tree extract) and the absorbance of the blank test solution.
사용한 시약으로서는 2,2-Di(4-tert-octylphenyl)-1-picrylhydrazyl 자유라디칼(Aldrich Chem. Co., MW=618.76) 0.1 mM 용액으로서 61.88 mg을 메탄올에 용해하여 100ml로 한다.The reagent used was 0.1 mM solution of 2,2-Di (4-tert-octylphenyl) -1-picrylhydrazyl free radical (Aldrich Chem. Co., MW = 618.76) as 61.88 mg in methanol to make 100 ml.
측정방법으로서As a measuring method
① 96-웰 플레이트에 0.1 mM DPPH 용액 0.15 ml에 시료 용액 0.15ml를 가하여 빨리 교반하고 25℃에서 10분간의 배양을 개시한다.① Add 0.15 ml of 0.1 mM DPPH solution to 0.15 ml of 96-well plate, stir rapidly, and incubate for 10 minutes at 25 ° C.
② 그 후 560nm에서의 흡광도 St를 측정한다.(2) Then measure the absorbance St at 560nm.
③ 시료 용액의 블랭크 (Blank)는 상기 0.1mM DPPH 용액 대신 메탄올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흡광도 St를 측정하는 때와 동일하게 조작하여 흡광도 So를 측정한다.③ The blank of the sample solution is measured in the same manner as when the absorbance St is measured except that methanol is used instead of the 0.1 mM DPPH solution to measure the absorbance So.
④ 공시험은 상기 시료 용액 대신 증류수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흡광도 St를 측정하는 때와 동일하게 조작하여 흡광도 Bt를 측정한다.④ The blank test is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case of measuring the absorbance St, except that distilled water is used instead of the sample solution to measure the absorbance Bt.
⑤ 공시험의 블랭크(Blank)는 상기 0.1mM DPPH 용액 대신 메탄올을 사용하고 상기 시료 용액 대신 증류수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흡광도 St를 측정하는 때와 동일하게 조작하여 흡광도 Bo를 측정한다.
⑤ Blank in the blank test was measured in the same manner as when the absorbance St was measured except that methanol was used instead of the 0.1 mM DPPH solution and distilled water was used instead of the sample solution.
자유라디칼 소거율(%)의 결과는 수학식 1에 의하여 산출하였으며, 결과는 하기의 표 1과 같다.The result of free radical scavenging rate (%) was calculated by Equation 1,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St : 시료의 자유라디칼 소거 후의 560nm에서의 흡광도St: absorbance at 560 nm after free radical scavenging of the sample
Bt : 공시험용액의 자유라디칼 소거 후의 560nm에서의 흡광도Bt: absorbance at 560 nm after free radical scavenging of the blank test solution
So : 시료의 자유라디칼 무첨가시 반응 전의 560nm에서의 흡광도So: absorbance at 560 nm before reaction when free radicals are not added
Bo : 공시험용액의 자유라디칼 무첨가시 반응 전의 560nm에서의 흡광도Bo: absorbance at 560 nm before the reaction in the absence of the free radical of the blank test solution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DPPH에 의한 자유라디칼 소거실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윤노리나무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항산화효과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윤노리나무 추출물은 0.01% 농도에서 자유라디칼 소거율(항산화 효과)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물질인 비타민 C의 항산화 효과보다 더욱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갖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As shown in Table 1, in the free radical scavenging experiment by DPPH, it was confirmed that the yunniri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d the antioxidant effect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the yunniri extract extracts the free radical scavenging rate at 0.01% concentration ( It was confirmed that it has an antioxidant effect more excellent than that of vitamin C, a substance known to have an antioxidant effect.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2. 2. 윤노리나무Yun-ri tree 추출물의 Extract MMPMMP -1 생성 억제 효과-1 suppression effect
제조예 1 내지 7에서 수득한 윤노리나무 추출물이 콜라겐 분해효소인 MMP-1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측정하였다.The effect of inhibiting the production of MMP-1, which is a collagen degrading enzyme, from the extract of Yunri tree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s 1 to 7 was measured.
인간 정상 피부 세포인 섬유아세포 (한국 세포주 은행, 대한민국)를 48-웰 마이크로 플레이트(Nunc, 덴마크)에 각 웰당 1× 106 세포가 되도록 접종하고, DMEM 배지(Sigma, 미합중국) 및 37℃의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상기 제조예 1 내지 7의 윤노리나무 추출물을 첨가한 무혈청 DMEM 배지 및 대조군으로 윤노리나무 추출물이 포함되지 않은 무혈청 DMEM 배지에서 48시간 동안 추가로 배양하였다. Fibroblasts (Korean Cell Line Bank, South Korea), which are human normal skin cells, were seeded in 48-well microplates (Nunc, Denmark) at 1 × 10 6 cells per well, and treated with DMEM medium (Sigma, United States) and 37 ° C. After incubation for 24 hours in serum-free DMEM medium to which the Yunri tree extract of Preparation Examples 1 to 7 and the control group was further incubated for 48 hours in a serum-free DMEM medium not containing the Yunri tree extract.
배양 후, 각 웰의 상층액을 모아 MMP-1 분석 킷트(Amersham, 미합중국)를 이용하여 새로 합성된 MMP-1의 양(ng/㎖)을 측정하고,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MMP-1 생성 억제율(%)을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After incubation, the supernatants of each well were collected and the amount of ng / ml newly synthesized MMP-1 was measured using an MMP-1 assay kit (Amersham,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MMP-1 production according to Equation 2 below. The percent inhibition was calculate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Cypress Tree Extract
상기 표 2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윤노리나무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MMP-1의 생성을 억제(MMP-1 활성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s shown in the results of Table 2, the Yunri tre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firmed to inhibit the production of MMP-1 (inhibition of MMP-1 activity)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또한, MMP-1 생성 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물질인 TGF-β의 농도(200nM)와 본원발명의 윤노리나무 추출물의 농도(500ppm) 차이를 감안해도, 여러 종류의 물질이 혼합된 추출물 수준에서 상기와 같은 정도의 MMP-1 억제율을 나타낸 것은 본원발명의 윤노리나무 추출물은 MMP-1 생성 억제 효과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In addition, even when consider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TGF-β (200nM), the concentration of the Yunri tre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500ppm), which is known to have an inhibitory effect on MMP-1 production, The degree of inhibition of MMP-1 showed the same as that of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Yunni-tree extract shows that MMP-1 production is inhibited.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3. 3. 윤노리나무Yun-ri tree 추출물의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 Enhancement of Collagen Synthesis by Extracts
인간 정상 상피 세포인 섬유아세포를 48-웰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각 웰당 1 x 106 세포가 되도록 접종하고, DMEM 배지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제조예 1 내지 7에 의해 제조된 윤노리나무 추출물을 첨가한 무혈청 DMEM 배지 및 대조군으로 윤노리나무 추출물이 포함되지 않은 무혈청 DMEM 배지에서 48시간 동안 추가로 배양하였다. 배양 후, 각 웰의 상층액을 모아 콜라겐 키트(Takara, 일본)를 이용하여 프로콜라겐 (procollagen) 타입 I C-펩타이드 (PICP) 양을 측정하여 ng/㎖ 환산하였으며, 이에 의해 합성된 콜라겐 양을 측정하였다. 콜라겐 생합성 증가율(%)은 하기 수학식 3에 따라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Fibroblasts, human normal epithelial cells, were seeded in 48-well microplates at 1 × 10 6 cells per well and incubated in DMEM medium for 24 hours. Serum-free DMEM medium to which the Yunri tree extract prepared by Preparation Examples 1 to 7 was added and the serum-free DMEM medium containing no Yunni tree extract as a control was further incubated for 48 hours. After the incubation, the supernatant of each well was collected, and the amount of procollagen type I C-peptide (PICP) was measured using a collagen kit (Takara, Japan) and converted into ng / Respectively. Collagen biosynthesis increase rate (%) wa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equation (3),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3.
Cypress Tree Extract
표 3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조예 1 내지 7에 의해 제조된 윤노리나무 추출물의 콜라겐 생합성율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제조예 2에 의해 제조된 윤노리나무의 초임계 추출물이 효과가 제조예 6 및 제조예 7의 추출물보다 효과가 더 좋은 것을 확인하였다.
According to Table 3, it was confirmed that the collagen biosynthesis rate of the Yunri tree extract prepared by Preparation Examples 1 to 7 of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the supercritical extract of Yunni wood prepared by Preparation Example 2 had a better effect than the extracts of Preparation Examples 6 and 7.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4: 4: 윤노리나무Yun-ri tree 추출물의 B16F1 멜라닌형성세포를 이용한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 Inhibitory Effect of Extracts on Melanin Production by B16F1 Melanocytes
본 실험예 4는 상기 제조예 1 내지 7 에서 수득한 윤노리나무 추출물의 미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B16F1 멜라닌 형성 세포에 대한 멜라닌 생성 억제 정도를 보고 미백 효과를 판단한 것이다. 본 실험예 4에 사용된 B16F1 멜라닌 형성 세포는 마우스에서 유래한 세포균주이며, 멜라닌이라는 흑색 색소를 분비하는 세포이다. Experimental Example 4 is to determine the whitening effect by looking at the degree of inhibition of melanin production on B16F1 melanin forming cells in order to confirm the whitening effect of the Yunri tree extract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s 1 to 7. B16F1 melanin forming cells used in Experimental Example 4 are cell strains derived from mice, and cells that secrete a black pigment called melanin.
이 세포의 인공 배양 중에 시료를 처리하여 멜라닌 흑색 색소가 감소하는 정도를 비교 평가하였다. 본 실험예에 사용된 B16F1 멜라닌 형성 세포는 ATCC(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로부터 분양받아 사용하였다.During the artificial culture of these cells, samples were treated to compare the degree of reduction of melanin pigment. The B16F1 melanin-forming cells used in this experiment were purchased from the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
B16F1 멜라닌 형성 세포의 멜라닌 생합성 억제 효과 측정은 다음과 같이 행하였다. B16F1 멜라닌 형성 세포를 6웰 플레이트에 각 웰당 2 X 105 농도로 분주하고 세포를 부착시킨 후 독성을 유발하지 않는 농도로 제조예 1에 따른 윤노리나무 추출물을 처리하여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72시간 배양 후 세포를 트립신-EDTA로 떼어낸 후 세포수를 측정한 다음 원심분리하여 세포를 회수하였다. 세포 내 멜라닌의 정량은 로탄(Lotan: Cancer Res., 40: 3345-3350, 1980)의 방법을 약간 변형하여 실시하였다. 셀 펠릿을 PBS로 1회 세척한 후 균질화 버퍼액(50 mM 소듐 포스페이트, pH 6.8, 1% Triton X-100, 2 mM PMSF) 1ml를 첨가하여 5분간 와류하여 세포를 파쇄하였다. 원심분리 (3,000 rpm, 10분)하여 얻은 세포 여액에 1N NaOH(10% DMSO)를 첨가하여 추출된 멜라닌을 용해한 후 마이크로 플레이트 판독기로 405 nm에서 멜라닌의 흡광도를 측정한 다음 멜라닌을 정량하여 시료의 멜라닌 생성 저해율(%)을 측정하였다. B16F1 멜라닌 형성 세포의 멜라닌 생성 저해율을 (%)은 하기 수학식 4에 의하여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4에 기재하였다. The melanin biosynthesis inhibitory effect of B16F1 melanin forming cells was measured as follows. B16F1 melanin-forming cells were divided into 6-well plates at a concentration of 2 X 10 5 per well, and the cells were attached to cells and incubated for 72 hours by treating the Yunni extract according to Preparation Example 1 at a concentration that does not cause toxicity. After 72 hours of incubation, the cells were detached with trypsin-EDTA, and the cells were counted and centrifuged to recover the cells. Quantification of intracellular melanin was performed with a slight modification of the method of Rotan: Cancer Res., 40: 3345-3350, 1980. The cell pellet was washed once with PBS, and then 1 ml of homogenization buffer solution (50 mM sodium phosphate, pH 6.8, 1% Triton X-100, 2 mM PMSF) was added to vortex for 5 minutes to disrupt the cells. After centrifugation (3,000 rpm, 10 min), 1N NaOH (10% DMSO) was added to the cell filtrate to dissolve the extracted melanin and the absorbance of melanin was measured at 405 nm with a microplate reader. The inhibition rate (%) of melanin formation was measured. The inhibition rate of melanin production of B16F1 melanin forming cells (%) wa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4,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4.
A :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웰의 멜라닌 양A: Melanin amount in wells without sample
B : 시료를 첨가한 웰의 멜라닌 양B: Amount of melanin in the well to which the sample was added
농도
(%)process
density
(%)
상기 표 4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제조예 1 내지 7에 의해 제조된 정제된 윤노리나무 추출물은 B16F1 멜라닌 형성 세포에서 멜라닌 생성을 크게 저해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s can be seen from the results of Table 4, it was found that the purified Yunri tree extract prepared by Preparation Examples 1 to 7 of the present invention significantly inhibited melanin production in B16F1 melanin forming cells.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5: 5: 윤노리나무Yun-ri tree 추출물의 자외선 조사에 의한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Extracts on Inflammatory Cytokine Expression by Ultraviolet Irradiation
본 실험예 5는 제조예 1 내지 7에서 수득한 윤노리나무 추출물의 자외선 조사에 의해 발현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억제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람의 표피 조직에서 분리한 섬유아세포 (Fibroblast)를 24-웰 시험 플레이트에 5 X 104개씩 넣고 24 시간 동안 부착시켰다. Experimental Example 5 is to evaluate the inhibitory effect of the inflammatory cytokine expression expressed by ultraviolet irradiation of the Yunri tree extracts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s 1 to 7, 24-24 fibroblasts isolated from human epidermal tissue 5 x 10 4 pieces were placed in a well test plate and attached for 24 hours.
각 웰을 PBS로 1회 세척하고 각 웰에 500㎕의 PBS를 넣었다. 이 섬유아세포에 자외선 B (UVB) 램프 (Model: F15T8, UV B 15W, Sankyo Dennki사, Japan)를 이용하여 자외선 10 mJ/㎠를 조사한 후 PBS를 덜어내고 세포배양 배지 (DMEM에 FBS가 첨가되지 않은 배지) 350 ㎕를 첨가하였다. Each well was washed once with PBS and 500 μl of PBS was added to each well. The fibroblasts were irradiated with 10 mJ / cm 2 of UV light using an ultraviolet B (UVB) lamp (Model: F15T8, UV B 15W, Sankyo Dennki, Japan), after which PBS was removed and FBS was not added to the cell culture medium (DMEM). Medium) 350 μl was added.
여기에 평가하고자 하는 윤노리나무 추출물을 처리한 후 5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상층액을 150㎕ 취하여 IL-1α를 정량함으로서 윤노리나무 추출물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억제 효과를 판단하였다. IL-1α의 양은 효소 면역 분석법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을 이용하여 정량화하였으며, 염증성 사이토카인 (IL-1α)의 발현 억제율(%)은 하기 수학식 5에 의해 계산하였고,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After treating the Yunri tree extract to be evaluated here, it was incubated for 5 hours. 150 µl of the culture supernatant was taken to quantify IL-1α, thereby determining the inhibitory effect on the inflammatory cytokine expression of Yunni extract. The amount of IL-1α was quantified using an enzyme immunoassa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and the expression inhibition rate (%) of inflammatory cytokines (IL-1α) was calculated by Equation 5 below,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5 below. Shown in
Bo : 자외선 조사하지 않고 시료 처리하지 않은 웰의 IL-1α생성량Bo: IL-1? Production in wells without UV irradiation
Bt : 자외선 조사하고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웰의 IL-1α생성량Bt: IL-1? Production in wells irradiated with ultraviolet light and not treated with the sample
St : 자외선 조사하고 시료를 처리한 웰의 IL-1α생성량St: IL-1α production amount of wells that were irradiated with UV light
표 5에 따르면, 제조예 2에 의해 제조된 윤노리나무의 초임계 추출물은 자외선에 의한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1α의 생성을 1000ppm 농도에서 78.99%을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제조예 1에 의해 제조된 윤노리나무 추출물에 비해 제조예 2에 의해 제조된 윤노리나무 추출물이 약 1.47 ~ 1.98배 IL-1α의 발현 억제율이 더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윤노리나무 추출물은 동일 농도에서 염증성사이토카인 발현 억제물질인 인도메타신보다도 우수한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율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윤노리나무 추출물은 자외선 조사에 의한 염증 발생을 낮은 농도에서도 효과적으로 방어함을 알 수 있다.
According to Table 5, it can be seen that the supercritical extract of Yunni tree prepared by Preparation Example 2 inhibits the production of inflammatory cytokine IL-1α by UV at 78.99% at a concentration of 1000 ppm. It was confirmed that the Yunni-tree extract prepared by Preparation Example 2 was better in inhibiting the expression of IL-1α by about 1.47 to 1.98-fold than that of the Yunni-tree extract prepared by Preparation Example 1. In particular, it can be seen that the yunniri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ed an excellent inflammatory cytokine expression rate than indomethacin, an inhibitor of inflammatory cytokine expression at the same concentration.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yunniri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effectively protects the inflammation caused by ultraviolet irradiation even at low concentrations.
실시예Example 1 : One : 윤노리나무Yun-ri tree 추출물을 함유하는 Extract-containing 화장료Cosmetics 조성물의 제조 Preparation of the composition
윤노리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는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7의 윤노리나무 추출물을 각각 포함하는 화장료(실시예 1 내지 실시예 7)를 제조하였다. 이때 효능의 비교를 위해 윤노리나무 추출물 대신에 보습제로서 글리세린 및 1,3부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비교예1), 보습제로서 글리세린 및 소르비톨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비교예2), 윤노리나무 추출물 대신에 아데노신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비교예 3) 및 추출물이나 보습제를 모두 포함하지 않는 화장료 조성물(대조군)을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대조군으로 추출물 또는 보습제 대신 정제수를 포함하는 화장료를 이용하여 효과를 측정하였다.Cosmetics containing the Yunri tree extract prepared a cosmetic (Example 1 to Example 7) each containing the Yunri tree extract of Preparation Examples 1-7. At this time, for the comparison of efficacy,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glycerin and 1,3 butylene glycol as a moisturizing agent instead of Yunni tree extract (Comparative Example 1),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glycerin and sorbitol as a moisturizing agent (Comparative Example 2), Yunni tree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adenosine (Comparative Example 3) instead of extracts and cosmetic compositions (control) not containing both extracts and moisturizers are shown in Table 6 below. The effect was measured using a cosmetic containing purified water instead of extract or moisturizer as a control.
알코올Cetostearyl
Alcohol
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
크리스탈린Micro
Crystallin
스테아레이트Sorbitan
Stearate
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실험예 6: 윤노리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항염증 효과(귀 부종 실험) Experimental Example 6 : Anti-inflammatory Effects of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Yunni Tree Extract (Ear Edema Test)
상기 표 6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7 에 따른 윤노리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과 비교예의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항염증 효과를 측정하였다. The anti-inflammatory effect was measured using the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Yunri tree extract according to Examples 1 to 7 of Table 6 and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comparative example.
건강한 쥐 18마리를 대상으로 하고 1개 실험군 당 3개 그룹으로 나누어 1개 그룹 당 2마리씩 실험하였다. 1개 그룹 내의 2마리 쥐의 양쪽 귀를 알코올(에탄올)로 잘 닦아준 다음, 1마리 쥐에는 상기 실험군을, 나머지 1마리 쥐에는 대조군(정제수)을 각각 4 ㎕ 발라주었다. 1시간 경과 후에 1개 그룹 내의 2마리 쥐 모두의 왼쪽 귀에는 아세톤 20 ㎕를 발라주고, 오른쪽 귀에는 염증유발 양성 대조 물질인 아라키돈산을 발라주었다. 다시 1 시간 경과 후 마이크로미터를 이용하여 양쪽 귀의 두께를 2회씩 반복 측정하여 평균치를 구한 후, 하기 수학식 6에 따라 항염증 효과를 계산하였다. 그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Eighteen healthy mice were studied, divided into three groups per experimental group, and two animals were tested per group. Both ears of two rats in one group were wiped well with alcohol (ethanol), and then one rat was applied with the test group and one rat with 4 μl of the control group (purified water). After 1 hour, 20 µl of acetone was applied to the left ear of both rats in one group, and arachidonic acid, an inflammation-positive control material, was applied to the right ear. After 1 hour again, the thickness of both ears was repeatedly measured using a micrometer to obtain an average value, and the anti-inflammatory effect was calculated according to Equation 6 below.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7.
A=실험군에서 부풀은 두께A = inflated thickness in the experimental group
B=대조군에서 부풀은 두께B = inflated thickness in the control
상기 표 7의 항염증 효과 측정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윤노리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7의 화장료 조성물은, 윤노리나무 추출물 대신에 글리세린 및 1,3부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비교예1의 화장료 조성물과 비교하였을 때 월등히 우수한 항염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rough the results of the measurement of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Table 7, the cosmetic composition of Example 1 to Example 7 containing the yunniri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parison comprising glycerin and 1,3 butylene glycol in place of the yunniri extract Compared with the cosmetic composition of Example 1, it can be seen that the excellent anti-inflammatory effect.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7: 7: 윤노리나무Yun-ri tree 추출물의 피부 자극 완화 효과 Efficacy of Skin Extracts
본 발명의 윤노리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자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건강한 성인 남,여 30명을 대상으로 양팔 하박부에 5 × 20 ㎝ 부위에 실시예1 내지 3, 비교예1 및 대조예의 화장료 100 중량부에 각각 자극원으로서 0.3% 락트산 수용액으로 pH를 5.5로 조정한 것 약 0.1g 을 24시간 동안 첩포한 후, 제거하고 1시간 및 24시간이 경과한 다음, 하기의 판정 기준에 의하여 육안으로 피부 상태 변화를 판독하였고, 자극율(%)은 다음 수학식 7에 따라 계산하였다. 대조예로는 0.3% 락트산 수용액(v/w)을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는 하기의 표 8에 나타나 있다.In order to determine the skin irrit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 1 to 3, Comparative Example 1 and control in 5 × 20 cm in the lower part of both arms of the healthy adult male and female After adjusting the pH to 5.5 with 0.3% lactic acid aqueous solution as an irritan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smetic, respectively, about 0.1 g was applied for 24 hours, and then removed, and after 1 hour and 24 hours had elapsed, The skin condition change was read visually, and the stimulation rate (%) wa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equation. As a comparative example, 0.3% lactic acid aqueous solution (v / w) was used. The experimental results are shown in Table 8 below.
판정기준Criteria
- : 홍반이나 특이한 현상 없음-: No erythema or unusual phenomenon
+- : 주위보다 약간 붉어짐+ -: slightly reddish from the surroundings
+ : 주위보다 현저히 붉어짐+: Significantly reddened than surrounding
++ : 주위보다 심하게 붉어지고 부풀음++: Severe reddening and swelling around
(%)Stimulation rate
(%)
상기 표 8의 피부 자극 완화 실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윤노리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실시예 1 내지 7)은 대조예 및 글리세린 및 1,3부틸렌글리콜 또는 소르비톨을 포함하는 비교예 1과 비교했을 때 피부자극원에 의한 자극율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As can be seen from the skin irritation relaxation test results of Table 8, the cosmetic composition (Examples 1 to 7) containing the Yunri tre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rol and a comparison comprising glycerin and 1,3 butylene glycol or sorbitol Compared with Example 1, it can be seen that the stimulation rate caused by the skin stimulation source decreases.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8 : 8 : 윤노리나무Yun-ri tree 추출물의 보습 효과 Moisturizing effect of extract
상기 실시예 1 내지 7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임상 보습 효과를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설문 조사를 통하여 피부가 건조하다고 느끼는 건강한 성인 남녀 125 명을 무작위로 25 명씩 5개 그룹 (A, B, C, D 및 E)으로 나눈 후, A, B, C 그룹에는 실시예 1 내지 7의 화장료 조성물을, D 그룹에는 각각 윤노리나무 추출물 대신에 보습제로서 글리세린 및 1,3부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비교예1), 보습제로서 글리세린 및 소르비톨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비교예2)의 화장료 조성물을 각각 1일 2회씩 8주간 안면에 도포하게 하였다. 보습 효과는 실사용 시험 시작 후부터 매 2주간, 그리고 종료 후의 개선 효과를 Corneometer CM 820 (Corage +Khazaka, Germany)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는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Clinical moisturizing effect on the cosmetic composition of Examples 1 to 7 was measured as follows. Through a survey, 125 healthy adult men and women who feel dry skin were randomly divided into 5 groups (A, B, C, D, and E) of 25 persons, and the groups A, B, and C were used in Examples 1-7. The cosmetic composition, in the D group, each of the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glycerin and 1,3 butylene glycol as a moisturizing agent (Comparative Example 1), instead of the Yunni-tree extract, The cosmetic composition was applied to the face twice a day for 8 weeks. The moisturizing effect was evaluated using Corneometer CM 820 (Corage + Kazaka, Germany) every two weeks from the start of the practical test and after the end. The experimental results are shown in Table 9 below.
상기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반 다른 보습제를 함유한 화장료(비교예 1, 2)와 비교하여도 본 발명의 윤노리나무 추출물 함유한 화장료(실시예 1 내지 7)의 보습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As shown in Table 9,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moisturizing effect of the cosmetics containing the Yunri tre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1 to 7) is excellent even when compared to cosmetics containing other general moisturizing agents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there was.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9. 9. 윤노리나무Yun-ri tree 추출물의 피부 주름 개선효과 Effect of extracts on skin wrinkles
본 발명의 윤노리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의 피부 주름 개선효과에 대한 임상실험을 실시하였다. 임상시험은 각 화장료의 실제 사용 테스트를 통하여 평가하였다.A clinical experiment was carried out on the skin wrinkle improvement effect of the cosmetics containing the extract of Yunni tree of the present invention. Clinical trials were evaluated through the actual use test of each cosmetic.
즉, 임상실험은 상기 표 6의 제조예 2의 윤노리나무 추출물을 함유하고 있는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 윤노리나무 추출물 대신에 보습제로서 글리세린 및 1,3부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비교예 1의 화장료 조성물과, 윤노리나무 추출물 대신에 주름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아데노신을 포함하는 비교예 3의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사람을 대상으로 화장료의 사용으로 인한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확인 및 비교 평가하였다. That is, the clinical experiment is the cosmetic composition of Example 2 containing the Yunri tree extract of Preparation Example 2 of Table 6, the cosmetic composition of Comparative Example 1 containing glycerin and 1,3 butylene glycol as a moisturizer instead of the Yunri tree extract Using the composition and the cosmetic composition of Comparative Example 3 containing adenosine known to have an anti-wrinkle effect in place of the extract of Yunri tree, the effect of improving the wrinkles of the skin caused by the use of the cosmetic was confirmed and compared.
실험자 (20세 - 35세의 여성) 60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실험군을 각각 20명씩 윤노리나무 추출물 대신에 보습제로서 글리세린 및 1,3부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비교예1) 처리군, 윤노리나무 추출물을 아데노신 5.0%(v/v)로 대체한 크림(비교예 3) 처리군, 윤노리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실시예 2의 실험군의 세 그룹으로 나누고, 얼굴 양쪽면을 사용하여 6주 후의 주름 개선 효과를 육안으로 평가하여 주름 개선 정도를 확인하였다. 이 평가를 토대한 주름 개선 효과 결과는 하기의 표 10에 나타내었다.Experimenter (20-35 year old female) A group of 20 women, each of which consisted of 20 cosmetic groups containing glycerin and 1,3 butylene glycol as moisturizers instead of Yunri tree extract (Comparative Example 1), treatment group, Yunnori The cream extract (Comparative Example 3), in which the tree extract was replaced with adenosine 5.0% (v / v), was divided into three groups of the experimental group of Example 2 including the Yunri tree extract and wrinkles after 6 weeks using both sides of the face. The improvement effect was visually evaluated to confirm the degree of wrinkle improvement. The results of the wrinkle improvement effect based on this evaluation are shown in Table 10 below.
(윤노리나무 추출물)Example 2
(Yunri tree extract)
(보습제)Comparative Example 1
(Moisturizer)
(아데노신)Comparative Example 3
(Adenosine)
상기 표 10의 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윤노리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제를 함유하는 비교예 1에 비하여 약 3.4배 높은 주름개선 효과를 보여주었다. As can be seen from the results of Table 10, the cosmetic composition of Example 2 containing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ed a wrinkle improvement effect about 3.4 times higher than that of Comparative Example 1 containing a moisturizing agent.
또한, 윤노리나무 추출물 대신 주름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아데노신을 함유하는 비교예 3의 화장료보다도 우수한 결과가 나타나, 윤노리나무 추출물의 우수한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In addition, the result was superior to the cosmetic of Comparative Example 3 containing adenosine known to have an anti-wrinkle effect instead of the Yun-ri extract, indicating that the excellent extract of the yunri extract.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10: 10: 윤노리나무Yun-ri tree 추출물의 항균 효과 Antimicrobial Effects of Extracts
윤노리나무 추출물의 항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하기 표 11의 조성으로 제조예 1 내지 4의 윤노리나무 추출물을 다양한 함량비로 함유하는 실시예 8-18의 화장료, 윤노리나무 추출물 대신에 방부제로 메칠파라벤과 이미다졸리디닐우레탄을 함유하는 비교예 4의 화장료 및 윤노리나무 추출물 대신 정제수를 함유한 대조군 화장료를 제조하였다.In order to examine the antimicrobial effect of Yunni-tree extract, the cosmetic composition of Example 8-18, which contains the Yunni-tree extract of Preparation Examples 1 to 4 in various contents in the composition of Table 11, and methylparaben as an antiseptic instead of Yunni-tree extract Control cosmetics containing purified water were prepared instead of the cosmetics of Comparative Example 4 containing the imidazolidinylurethane and the extract of Yunri.
우레아Imidazolidinyl
Urea
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
상기 표 11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화장료를 이용하여 박테리아 및 곰팡이에 대한 항균 효과를 측정하였다.The antimicrobial effect on bacteria and fungi was measured using the cosmetic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of Table 11.
먼저 박테리아에 대한 항균력 측정을 위해, 상기 실시예 8 내지 18의 화장료 및 비교예 4 및 대조군의 화장료 20-30 g에 대장균(Escherichia coli ; ATCC 8739), 슈도모나스 애루지노사(Pseudomonas aeruginosa ; ATCC9027) 및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 ATCC6538)의 혼합 균액을 시료당 초기 농도가 107 cfu/g 되도록 첨가 혼합하였다. 이들을 30-32℃ 항온조에서 4주간 배양하면서 1, 7, 14, 21 및 28일 간격으로 각 화장료를 1 g씩 취하여 생균수를 측정하였다. First, in order to measure the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bacteria, 20-30 g of the cosmetics of Examples 8 to 18 and the cosmetics of Comparative Example 4 and the control group Escherichia coli ( Esherichia coli ; ATCC 8739), Pseudomonas aeruginosa (ATCC9027) and Staphylococcus aureus (ATCC6538) were mixed and added so that the initial concentration per sample was 10 7 cfu / g. 1 g of each cosmetic was taken at 1, 7, 14, 21 and 28 days intervals while culturing them in a thermostat at 30-32 ° C for 4 weeks, and the number of viable cells was measured.
또한 곰팡이에 대한 항균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 ATCC10231), 페니실리움 씨트리눔(Penicillium citrinum ; KCTC2123) 및 아스퍼질러스 나이거(Aspergillus niger ; ATCC16404)의 혼합균액을 시료당 107cfu/g이 되도록 첨가 혼합한 후 25℃ 항온조에서 배양하면서 7일 간격으로 변취 유무와 시료표면의 균사 및 포자발생 유무를 관찰하여,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2에 나타내었다.In addition, Candida albicans (ATCC10231) and Penicillium cytrinum ( Penicillium ) were used to measure the antimicrobial effect against fungi. citrinum ; KCTC2123) and Aspergillus niger (ATCC16404) were added and mixed at 10 7 cfu / g per sample, followed by incubation in a 25 ° C incubator at 7 days intervals and mycelia and spores on the sample surface. Observation of the occurrence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2 below.
- : 8주간 변취 및 균사와 포자 발생이 없고 양호-: No spawning and mycelium spawning for 8 weeks and good
+ :4주 이내에 기벽이나 뚜껑에 곰팡이 발생+: Molding on the wall or lid within 4 weeks
++ :4주 이내에 변취 및 표면 일부에 곰팡이 발생++: mending within 4 weeks and mold on part of the surface
+++ : 4주 이내에 변취 및 표면 전체에 곰팡이 발생+++: Odor and mold on entire surface within 4 weeks
상기 표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방부제를 사용하지 않은 대조군의 화장료 조성물은 4주 이내에 변취 및 표면 전체에 곰팡이가 발생하고, 1일만 지나도 박테리아 균이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윤노리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실시예 8 내지 실시예 18의 화장료 조성물은 박테리아 및 곰팡이에 대해 농도-의존적으로 항균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약 28일이 경과한 후에는 2.0%(w/v)의 함량으로 사용했을 때 방부제인 메칠파라벤과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를 혼합한 화장료(비교예 4)와 유사하거나 더 우수한 방부력이 확보되었고, 배양일 전체로 판단했을 때에도 본 발명의 윤노리나무 추출물을 2.0% 이상의 함량으로 사용했을 때 합성방부제인 메칠파라벤과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를 혼합한 화장료(비교예 4)에 비해 훨씬 우수한 방부력이 확보됨을 알 수 있었다. As shown in Table 12,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control group without preservatives can be found that within 4 weeks of deodorization and mold on the entire surface, the bacterial bacteria significantly increased even after one day. However, the cosmetic composition of Example 8 to Example 18 containing the extract of Yunri tre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ed a concentration-dependent antimicrobial effect against bacteria and fungi, and after about 28 days, 2.0% (w / v) When used as a content of the preservatives similar to or better than the cosmetics (comparative example 4) mixed with a methyl paraben preservative and imidazolidinyl urea, the antiseptic power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determined even when judged as a whole culture day When the extract was used in an amount of 2.0% or more, it was found that much better antiseptic power was secured compared to the cosmetics (comparative example 4) mixed with the synthetic preservative methylparaben and imidazolidinyl urea.
특히 윤노리나무 효모 발효 추출물(제조예 4)을 포함하는 화장료인 실시예 11~13의 경우 1일차부터 강력한 항균효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사실로부터 본 발명의 윤노리나무 추출물은 일반용매추출방법으로 얻은 추출물보다 발효추출물의 항균력이 더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Examples 11 to 13, which is a cosmetic containing a fermented extract of Yunni yeast (Preparation Example 4), a strong antimicrobial effect was confirmed from day 1. From this fact, it can be seen that the yunniri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perior to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fermented extract than the extract obtained by the general solvent extraction method.
상기 실험예를 근거로 윤노리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러 가용화 제형과 유화 제형의 화장료 조성을 제시한다. 아래와 같은 제형예에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이 하기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Based on the experimental example, the cosmetic composition of various solubilized formulations and emulsion formulations containing Yunni tree extract is presented. Although this is described in detail in the following formulation example,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the following examples.
제형예Formulation Example 1 One
상기 제조예 1의 윤노리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중 유연화장수의 제형예는 다음 표 13과 같다.Formulation examples of the softening longevity in the cosmetic containing the extract of Yunni wood of Preparation Example 1 are as shown in Table 13.
제형예Formulation Example 2 2
상기 제조예 1의 윤노리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중 영양화장수의 제형예는 다음 표 14와 같다.Formulation example of the nutrient cosmetics in the cosmetic containing the extract of Yunni wood of Preparation Example 1 is shown in Table 14.
제형예Formulation Example 3 3
상기 제조예 1의 윤노리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중 영양크림의 제형예는 다음 표 15와 같다.Formulation example of the nourishing cream in the cosmetic containing the extract of Yunni wood of Preparation Example 1 is shown in Table 15 below.
제형예Formulation Example 4 4
상기 제조예 1의 윤노리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중 마사지 크림의 제형예는 다음 표 16과 같다.Formulation example of the massage cream in the cosmetic containing the extract of Yunni wood of Preparation Example 1 is shown in Table 16 below.
제형예Formulation Example 5 5
상기 제조예 1의 윤노리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중 팩의 제형예는 다음 표 17과 같다.Formulation examples of the pack in the cosmetic containing the extract of Yunri tree of Preparation Example 1 are as shown in Table 17.
제형예Formulation Example 6 6
상기 제조예 1의 윤노리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중 에센스의 제형예는 다음 표 18과 같다.Formulation examples of the essence in the cosmetic containing the extract of Yunri tree of Preparation Example 1 are as shown in Table 18.
제형예Formulation Example 7 7
상기 제조예 1의 윤노리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중 비누의 제형예는 다음 표 19와 같다.Formulation example of the soap in the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extract of Yunri tree of Preparation Example 1 is as shown in Table 19.
(수분 15wt% 함유)Soap chip base
(Contains 15 wt% of moisture)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Having described the specific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such a specific technology is only a preferred embodiment,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refore, the substanti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Claims (1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59959A KR101207559B1 (en) | 2010-06-24 | 2010-06-24 |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Pourthiaea villosa as active ingredi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59959A KR101207559B1 (en) | 2010-06-24 | 2010-06-24 |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Pourthiaea villosa as active ingredien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39878A KR20110139878A (en) | 2011-12-30 |
KR101207559B1 true KR101207559B1 (en) | 2012-12-05 |
Family
ID=45505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59959A Active KR101207559B1 (en) | 2010-06-24 | 2010-06-24 |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Pourthiaea villosa as active ingredie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07559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8852359B (en) * | 2023-07-14 | 2025-05-27 | 广东真丽斯化妆品有限公司 | Active peptide for promoting skin microecological balance |
KR102679087B1 (en) * | 2023-12-19 | 2024-06-27 | 주식회사 에이비파트너스 | Cosmetic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improving skin damage caused by ultraviolet ray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CN119280114B (en) * | 2024-09-27 | 2025-07-18 | 山东宇森生物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fermented liquor of North American redwood stem and its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
-
2010
- 2010-06-24 KR KR1020100059959A patent/KR101207559B1/en active Active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Kim, Sang-Suk 외 5명, In vitro Screening of Jeju Medicinal Plants for Cosmeceutical Materials. J. Appl. Biol. Chem. 50(4), 215-220 (2007)* |
Ryu, Jae-Ha 외 3명, Inhibitory Activity of Plant Extracts on Nitric Oxide Synthesis in LPS-Activated Macrophages. PHYTOTHERAPY RESEARCH Phytother. Res. Vol.17, pp.485?489 (2003)*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39878A (en) | 2011-12-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76529B1 (en) |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Dendropanax morbifera as Active Ingredient | |
KR101086225B1 (en) |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blue rice vine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
KR101176528B1 (en) |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salvia plebeia as active ingredient | |
JP2023171950A (en) | Anti-aging agents, antioxidants, anti-inflammatory agents, whitening agents, and cosmetics | |
KR101176526B1 (en) |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Spiraea prunifolia var.simpliciflora as Active Ingredient | |
KR20110122448A (en) |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gelatin paste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
KR102632084B1 (en) | Cosmetic composition for anti-oxidation, skin whitening, and improving of skin wrinkle containing Sanguisorba officinalis extract | |
KR101207559B1 (en) |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Pourthiaea villosa as active ingredient | |
KR101837020B1 (en) | Separation method for saponins from Sapindus mukorossi and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 |
KR101855206B1 (en) |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Fermented Extract of Panax ginseng | |
KR101803757B1 (en) |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natural complex fermented extracts | |
KR20110121775A (en) |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extract of gold pheasant as an active ingredient | |
KR101207560B1 (en) |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Cleyera japonica as active ingredient | |
KR102009206B1 (en) |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red onion fermented by aureobasidium pullulans | |
KR101086227B1 (en) |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Nado dog persimmon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
KR101775485B1 (en) |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fermentative extract of Spatholobus suberectus Dunn as active ingredient | |
KR20080020749A (en) | Ginseng and its extract fermented with Cordyceps sinensis and its use | |
KR101323068B1 (en) |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Viburnum odoratissimum var. awabuki as active ingredient | |
KR101176525B1 (en) |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cer tegmentosum Maxim as Active Ingredient | |
KR20130026678A (en) |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lastrea japonica as active ingredient and cosmetic method therreof | |
KR20110120030A (en) |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crane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
KR102525129B1 (en) | Composition comprising fermented extracts of unripe plu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2107196B1 (en) |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doxa moschatellina as active ingredient | |
KR102172913B1 (en) |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doxa moschatellina as active ingredient | |
KR20110122451A (en) |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white jinbum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6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5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1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11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2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9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9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1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01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