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7531B1 - The structural test method by self weight of specimen - Google Patents
The structural test method by self weight of specime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07531B1 KR101207531B1 KR1020100094344A KR20100094344A KR101207531B1 KR 101207531 B1 KR101207531 B1 KR 101207531B1 KR 1020100094344 A KR1020100094344 A KR 1020100094344A KR 20100094344 A KR20100094344 A KR 20100094344A KR 101207531 B1 KR101207531 B1 KR 10120753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st
- test body
- measuring device
- weight
- structur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10998 test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4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2029 structural testing Methods 0.000 claims 3
- 230000037396 body weigh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79 reinforc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51 stiffen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3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5/00—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3—Generation of the force
- G01N2203/0042—Pneumatic or hydraulic means
- G01N2203/0048—Hydraulic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험체 자중을 이용한 구조실험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실험체의 자중을 이용하여 구조실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실험체의 무게를 측정하는 동시에 상하방향으로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한 하중가력 측정장치 설치단계와, 상기 하중가력 측정장치의 상부에 실험체를 거치하는 실험체 거치단계와, 상기 하중가력 측정장치의 상부에 거치된 실험체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실험체 수평유지단계와, 상기 실험체의 하부에 변위측정장치를 설치하는 변위측정장치 설치단계 및 상기 하중가력 측정장치를 구동시켜 실험체의 구조실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구조실험 수행단계를 포함하는 실험체 자중을 이용한 구조실험 방법이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structural test method using the test body weigh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erform a structural experiment using the weight of the test body, the step of installing a load force measuring device for lifting up and down at the same time to measure the weight of the test object, and the load force A specimen mounting step of mounting the specimen on the upper part of the measuring device, a horizontal level of the specimen to maintain the level of the specimen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load force measuring device, and a displacement for installing a displacement measuring device on the lower part of the specimen There is provided a structural test method using a test body weight including a measuring device installation step and a structural test performing step of driving the load force measuring device to perform a structural test of the test body.
Description
본 발명은 실험체 자중을 이용한 구조실험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험체의 자중을 이용하여 실험체에 변형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험체에 가력하기 위한 별도의 실험장치가 필요치 않도록 한 실험체 자중을 이용한 구조실험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al test method using the weight of the test body, and more particularly, by using the weight of the test body to induce deformation in the test body by using the weight of the test body so as not to require a separate test device for applying to the test body. It relates to a structural test method.
일반적으로, 다리, 교각, 건물 등과 같은 구조체는 콘크리트보와 같은 구조물이 이용되며, 이러한 구조물은 모든 작용력에 대한 안전성과 충분한 강도를 가져야 한다.In general, structures such as bridges, piers, buildings, and the like are used, such as concrete beams, these structures must have sufficient strength and safety for all forces.
즉, 상술한 구조물은 부재에 발생하는 모든 외력에 저항하여야 함으로, 구조물이 충분한 강도를 보유하고 있는지, 또한 구조물의 허용 응력범위를 만족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다양한 실험을 통해 검증하는 과정을 거친다.That is, the structure described above must resist all external forces generated in the member, and thus, the structure is verified through various experiments to confirm whether the structure has sufficient strength and satisfies the allowable stress range of the structure.
그러나, 실규모 실험체로서 실험체의 크기가 크고 중량이 큰 경우에는 실험체에 하중을 가력하기 위하여 하중가력장치와 상기 하중가력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의 크기가 커지기 때문에 제작 및 시공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며, 실험체의 상부에서 하중을 가력하기 위하여 유압잭 또는 Actuator(엑츄에이터)에 의하여 하중을 가력하여야 하므로 실험장치의 구성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However, when the size of the specimen is large and the weight of the specimen as a real scale specimen, the load-bearing device and the frame for supporting the load-bearing device become large in order to apply the load to the specimen. In order to apply the load on the upper part of the test body, the load must be applied by the hydraulic jack or the actuator (actuator).
즉, 실험체의 크기가 실규모 크기가 아닌 축소모형 실험체거나, 실험체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별 무리없이 실험체에 하중을 가력하여 구조실험체의 변형을 실험할 수 있으나, 실험체의 크기가 클 경우에는 하중을 가력하기 위한 하중가력장치 및 프레임이 커지고 복잡하게 되어 실험 수행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In other words, if the size of the test specimen is not the actual scale, or the scale model is small, or if the size of the test specimen is small, it is possible to test the deformation of the structural test specimen by applying a load to the test specimen without difficulty. There is a lot of difficulty in carrying out the experiment because the load-loading device and the frame to increase the force is large and complicated.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실험체 자중을 이용한 구조실험 방법을 강구하게 되었다.Therefore,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come up with a structural test method using the weight of the test body that can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실물크기의 대형 실험편에 하중을 가력할 경우 외부에서 힘을 가력하기 위한 하중가력장치 및 프레임 설치가 필요치 않도록 한 것으로, 실험체 자체의 하중에 의하여 실험체에 변형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 실험체 자중을 이용한 구조실험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o avoid the need to install a load-loading device and a frame for applying a force from the outside when the load is applied to a large-sized test piece of the actual size, it can induce deformation to the test body by the load of the test body itself To provide a structural test method using the weight of the specime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실험체의 자중을 이용하여 구조실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실험체의 무게를 측정하는 동시에 상하방향으로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한 하중가력 측정장치 설치단계와, 상기 하중가력 측정장치의 상부에 실험체를 거치하는 실험체 거치단계와, 상기 하중가력 측정장치의 상부에 거치된 실험체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실험체 수평유지단계와, 상기 실험체의 하부에 변위측정장치를 설치하는 변위측정장치 설치단계 및 상기 하중가력 측정장치를 구동시켜 실험체의 구조실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구조실험 수행단계를 포함하는 실험체 자중을 이용한 구조실험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erform a structural experiment using the weight of the test body, the step of installing a load force measuring device for lifting up and down at the same time to measure the weight of the test object, and the load force A specimen mounting step of mounting the specimen on the upper part of the measuring device, a horizontal level of the specimen to maintain the level of the specimen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load force measuring device, and a displacement for installing a displacement measuring device on the lower part of the specimen There is provided a structural test method using a test body weight including a measuring device installation step and a structural test performing step of driving the load force measuring device to perform a structural test of the test body.
또한, 상기 실험체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콘크리트 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est objec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crete beam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또한, 상기 하중가력 측정장치는 상하부에 각각 유체가 유동될 수 있도록 한 포트가 마련된 유압잭과, 상기 유압잭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유체의 유동에 따라 승하강될 수 있도록 한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상부에 설치되며 컴퓨터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무게 및 변형을 측정하는 로드셀 및 상기 로드셀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며 실험체가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실험체 지지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oad force measuring device is a hydraulic jack provided with a port for allowing fluid to flow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 piston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ydraulic jack and to be lowered in accordance with the flow of the fluid, the upper portion of the piston It is installed on the loa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mputer device to measure the weight and deformation and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ad cel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test object support member formed to be seated.
또한, 상기 하중가력 측정장치는 실험체의 양 끝단과 중간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적어도 3 개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oad force measuring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t least three or more so as to support both ends and the middle of the test body.
또한, 상기 변위측정장치는 지상으로부터 수직하게 설치되는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상측에 설치되며 실험체와 일측이 접촉되어 실험체의 변위를 측정할 수 있는 변위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isplacement measuring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vertical member which is installed vertically from the ground, and a displacement meter which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vertical member and the one side is in contact with the test object to measure the displacement of the test obje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험체 자중을 이용한 구조실험 방법은 시험체에 하중을 가하기 위한 하중가력장치와, 상기 하중가력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대형프레임이 필요 없음으로 대형 실규모 구조물을 구조시험실 외부의 현장 및 시험이 가능한 공간에서 수행할 수 있으며, 실험 비용 및 실험기간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Structural test method using the weight of the test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ecause the load-loading device for applying a load to the test body, and a large frame for supporting the load-loading device is not necessary, the large-scale real-scale structure outside the structural test room It can be performed in the field and in the testable space, and can drastically reduce the experiment cost and du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험체 자중을 이용한 구조실험의 실험장치 및 실험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험체 자중을 이용한 구조실험 방법에 사용된 하중가력 측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험체 자중을 이용한 구조실험 방법의 순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험체 자중을 이용한 구조실험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perimental apparatus and a test body of the structural experiment using the weight of the test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oad force measuring apparatus used in the structural test method using the weight of the test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low chart schematically showing the sequence of the structural test method using the weight of the test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are diagram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ructural test method using a test body we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험체 자중을 이용한 구조실험 방법은 실규모 실험으로서 실험체의 규모가 크고 자중이 클 경우에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Structural test method using the weight of the test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ffectively used when the scale of the test body is large and the weight of the test body as a real scale experiment.
즉, 실규모 크기가 아닌 축소모형 실험체거나, 실험체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도 물론 본 방법을 적용할 수 있지만, 실험체의 크기가 큰 경우에 보다 효과적이다.In other words, the present method can be applied to a scaled-down test specimen which is not a real size or a small size of the test specimen, but is more effective when the size of the test specimen is large.
또한, 종래의 구조실험 방법은 실규모 실험체로서 실험체의 크기가 크고 자중이 큰 경우에는 실험체에 하중을 가력하기 위하여 하중가력수단의 크기가 커지기 때문에 하중가력장치및 상기 하중가력장치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의 제작 및 시공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며, 또한 하중을 가력하기 위하여 유압잭 또는 Actuator(엑츄에이터)가 필요하므로 실험장치의 구성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structural test method is a full-scale test body, when the size of the test specimen is large and its own weight is large, because the size of the load force means to increase the load on the test body, the load of the load supporting device and the frame for supporting the load supporting device It takes a lot of money in manufacturing and construction, and also requires a hydraulic jack or actuator to apply a load, so it takes a lot of time to construct an experimental device.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험체 자중을 이용한 구조실험 방법은 대형 프레임과 하중가력장치 없이 실험체 자체의 자중에 의하여 실험체에 원하는 만큼의 하중을 가력할 수 있다.However, the structural test method using the weight of the test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as much load to the test body as desired by the weight of the test body itself without the large frame and the load-loading devic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험체 자중을 이용한 구조실험 방법에 사용된 구조실험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al test apparatus used in the structural test method using the weight of the test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험체 자중을 이용한 구조실험의 실험장치 및 실험체(1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perimental apparatus and a
도 1을 참고하면, 실험하고자 하는 실험체(10)를 하부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의 하중가력 측정장치(20)가 구비된다.Referring to Figure 1, at least two or more load
구체적으로, 상기 하중가력 측정장치(20)는 하중가력/측정의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실험체(10)를 지지하여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험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다.Specifically, the load
이때,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실험체(10)의 양 끝단 및 중간을 지지할 수 있도록 3개의 하중가력 측정장치(20)를 구비하도록 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3개 이상 설치할 수도 있는 것으로, 실험체(10)의 크기에 따라 그 개수를 달리할 수 있다. At this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ree load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험체(10)의 양 끝단과 실험체(10)의 중간에 각각 하중가력 측정장치(20)를 위치시켜 구조실험을 수행할 수 있다. That is, as shown in FIG. 1, the structural force test may be performed by placing the load
또한, 상기 하중가력 측정장치(20)는 실험체(10)의 크기에 따라 실험체(10)의 양 끝단에 각각 한 개를 설치할 수도 있으나, 실험체(10)가 안전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2 개를 병렬로 설치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loa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험체 자중을 이용한 구조실험 방법에 사용된 하중가력 측정장치(2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oad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하중가력 측정장치(20)는 크게 유압잭(21)과, 피스톤(22)과, 로드셀(23) 및 실험체 지지부재(24)로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 2, the load
상기 유압잭(21)은 유체의 압력을 통해 피스톤(22)을 승하강시키는 것으로, 상하부에 각각 유체가 유동될 수 있도록 한 포트(21a)가 마련되어 있다. The
이때, 실험의 정밀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유압잭(21)의 밸브를 서서히 열어 피스톤(22)의 길이를 미소하게 변형시키며 실험체(10)가 자중에 의하여 처지는 현상을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유압잭(21)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펌프(미도시)에 미세유량 조절밸브(미도시)를 설치하여 실험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n order to ensure the precision of the experiment by slowly opening the valve of the
여기서, 상기 유압잭(21)에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유압펌프 및 상기 유압펌프에 설치되는 미세유량 조절밸브는 일반인에게 이미 공지된 기술로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 the hydraulic pump for supplying the hydraulic pressure to the
또한, 상기 유압잭(21)의 하부에는 실험체(10)를 견고히 지지할 수 있도록 한 보강재(21b)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피스톤(22)은 상기 유압잭(21)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되는 것으로,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The
또한, 상기 피스톤(22) 상에는 락 너트(25)가 설치된다. 상기 락 너트(25)는 유압에 의해 승하강되는 피스톤(22)을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In addition, a
즉, 상기 유압에 의해 승하강되는 피스톤(22)을 고정시켜 안전하게 실험체(1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락 너트(25)를 회전시켜 유압잭(21)에 상기 락 너트(25)가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유압잭(21)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펌프의 고장 및 오작동시에도 피스톤(22)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성을 확보한다.That is, the
로드셀(23)은 상기 피스톤(22)의 상부에 설치된다.The
상기 로드셀(23)은 무게를 받으면 압축되거나 늘어나는 등 변형이 되는 것으로, 상기 로드셀(23)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별도의 컴퓨터 장치(미도시)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바뀌어 무게를 숫자로 표시하게 된다.The
실험체 지지부재(24)는 상기 로드셀(23)의 상부에 고정되게 설치된다.The test
상기 실험체 지지부재(24)는 상부에 실험체(10)가 안착되는 것으로,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측면 양측이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실험체(10)가 측방향으로 이격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test
또한, 상기와 같이 실험체(10)를 지지하고 있는 하중가력 측정장치(20)의 사이사이에는 변위측정장치(30)가 설치된다.In addition, the
상기 변위측정장치(30)는 실험체(10)에 발생한 변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상으로부터 수직하게 설치되는 수직부재(31)와, 상기 수직부재(31)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실험체(10)와 일측이 접촉되어 변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 변위계(32)로 이루어진다.The
이때, 상기 변위계(32)는 상기 로드셀(23)과 마찬가지로 별도의 컴퓨터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컴퓨터 장치(미도시)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바뀌어 변위를 숫자로 표시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험체(10) 자중을 이용한 구조실험 방법은 실험체(10)의 항복이나 파괴까지의 모드를 위한 것이 아니라 실험체(10)의 탄성범위 내에서의 구조적 특성의 하나인 하중과 변형의 관계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The structural test method using the weight of the
또한, 하중가력 측정장치(20)는 실험체(10)에 변형을 가하기 위하여 유압잭(21)을 밀거나(압축) 당기는(인장)작업을 수행하면서 동시에 로드셀(23)을 통한 하중의 측정 및 변위계(32)를 통한 실험체(10)에 발생한 변위를 측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ad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실험장치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험체 자중을 이용한 구조실험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structural test method using the weight of the test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an experimental device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험체 자중을 이용한 구조실험 방법의 순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Figure 3 is a flow chart schematically showing the sequence of the structural test method using the weight of the test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설명의 편의를 위해 3개의 하중가력 측정장치(20)를 구비하고, 이 3개의 하중가력 측정장치(20)를 실험체(10)의 양 끝단과 중간이 위치되는 부분에 각각 1개씩의 하중가력 측정장치(20)를 위치시킨다(S110).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ree load
이후, 크레인을 사용하여 실험체(10)를 하중가력 측정장치(20)의 상부에 거치시킨다. 즉, 작업자의 안전성을 고려해 크레인을 이용하여 실험체(10)를 인양한 다음 실험체 지지부재(24) 상부에 거치시키는 실험체(10) 거치단계를 수행한다(S120).Then, using a crane to mount the
이후, 로드셀(23)을 이용한 실험체(10) 수평유지 단계로서 실험체(10)의 중량을 지지점(하중가력 측정장치(20)가 위치하는 부분)에 할당된 하중 배분값이 걸리도록 각 지지점의 유압잭(21)을 작동하고 로드셀(23) 에 연결된 컴퓨터 장치에 의한 하중값의 변화를 통해 각 지지점에 배분된 하중값이 되도록 유압잭(21)을 이용하여 실험체(10)의 높낮이를 조정한다(S130). Subsequently, the hydraulic jack of each support point takes a load distribution value assigned to a support point (a portion where the load
즉, 지지점이 각각 계산된 하중 배분값에 도달하면 실험체(10)는 자중에 의한 처짐이 없이 수평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가 되며, 이 상태로부터 실험을 진행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support points reach the calculated load distribution values, respectively, the
이후, 실험체(10)의 수평유지가 마무리되면 상기 하중가력 측정장치(20)의 사이 사이에 변위측정장치(30)를 설치한다(S140).Then, when the horizontal maintenance of the
즉, 수직부재(31) 상부에 변위계(32)를 위치시키고 이 변위계(32)의 일측이 실험체(10)의 하부와 접촉되도록 한다. That is, the
이후, 상기 하중가력 측정장치에 유압을 공급하여 피스톤이 승하강 되도록 함으로써, 실험체의 구조실험을 수행한다(S150).Then, by supplying the hydraulic pressure to the load force measuring device so that the piston is raised and lowered, the structural test of the test body is performed (S150).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험체 자중을 이용한 구조실험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4A and 4B are diagram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ructural test method using a test body we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를 참고하면 상기 변위측정장치(30) 설치단계 이후, 상기 실험체(10)를 지지하고 있는 3개의 하중가력 측정장치(20) 중 실험체(10)의 중간에 위치한 하중가력 측정장치(20)의 유압잭(21)을 낮춘다.Referring to FIG. 4A, after the
이에 따라 실험체(10)의 양 끝단에 설치된 하중가력 측정장치(20)가 실험체(10)의 자중을 서서히 모두 받게 되며 실험체(10)의 중간지점에서의 실험체(10) 처짐을 측정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load
또한, 반대로 실험체(10)의 양단 처짐을 측정하기 위해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험체(10)의 양 끝단을 지지하고 있는 하중가력 측정장치(20)의 유압잭(21)을 서서히 낮추어 중간 지점의 하중가력 측정장치(20)의 유압잭(21)이 모든 실험체(10)의 자중을 서서히 받게 되면 실험체(10)가 볼록하게 휘게 되며, 양 끝단에서의 처짐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On the contrary, in order to measure deflections at both ends of the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험체 자중을 이용한 구조실험은 상기와 같은 실험을 토대로 측정한 각 지지점(하중가력 측정장치(20)가 위치한 부분)에서의 하중과 변위값을 하중 대 변위 그래프를 그리고 수평축에 대한 기울기를 이용하여 각 실험체(10)에 대한 구조적 특성값을 계산할 수 있고 이를 각 실험체(10)와 비교하는 방식으로 실험체(10)의 특성을 분석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in the structural experiment using the weight of the test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ad and displacement graphs of the load and the displacement value at each support point (where the load
지금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인 균등범위까지 포함된다 할 것이다.So fa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will be included to substantially equivalent ranges wit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실험체 20 : 하중가력 측정장치
21 : 유압잭 21a : 포트
21b : 보강재 22 : 피스톤
23 : 로드셀 24 : 실험체 지지부재
25 : 락 너트 30 : 변위측정장치
31 : 수직부재 32 : 변위계10: test body 20: load force measuring device
21:
21b: Stiffener 22: Piston
23: load cell 24: specimen support member
25
31
Claims (5)
상하부에 각각 유체가 유동될 수 있도록 한 포트가 마련된 유압잭과, 상기 유압잭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유체의 유동에 따라 승하강될 수 있도록 한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상부에 설치되며 컴퓨터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무게 및 변형을 측정하는 로드셀 및 상기 로드셀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며 실험체가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실험체 지지부재로 이루어진 하중가력 측정장치를 설치하여 실험체의 무게를 측정하는 동시에 상하방향으로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한 하중가력 측정장치 설치단계,
상기 하중가력 측정장치의 상부에 실험체를 거치하는 실험체 거치단계,
상기 하중가력 측정장치의 상부에 거치된 실험체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실험체 수평유지단계,
상기 실험체의 하부에 변위측정장치를 설치하는 변위측정장치 설치단계 및
상기 하중가력 측정장치를 구동시켜 실험체의 구조실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구조실험 수행단계를 포함하는 실험체 자중을 이용한 구조실험 방법.It is to be able to perform a structural experiment using the weight of the test body,
A hydraulic jack provided with a port for allowing fluid to flow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thereof, a piston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ydraulic jack and capable of raising and lowering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fluid, and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piston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mputer device. It is connected to the load cell for measuring the weight and deformation, and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load cell, the load force measuring device consisting of the test body support member formed to seat the test body to measure the weight of the test object and at the same time move up and down Installation of load force measuring device
A test specimen mounting step of mounting a test specimen on an upper portion of the load force measuring device;
A test piece horizontal maintenance step for maintaining the level of the test specimen mounted on the load force measuring device,
Displacement measuring device installation step of installing a displacement measuring device in the lower portion of the test object and
Structural testing method using the weight of the test body comprising a structural test performing step for driving the load force measuring device to perform a structural test of the test body.
소정의 길이를 갖는 콘크리트 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체 자중을 이용한 구조실험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est body
Structural test method using the weight of the test body,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crete beam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실험체의 양 끝단과 중간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적어도 3 개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체 자중을 이용한 구조실험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load force measuring apparatus
Structural testing method using the weight of the test body,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t least three or more so as to support both ends and the middle of the test body.
지상으로부터 수직하게 설치되는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상측에 설치되며 실험체와 일측이 접촉되어 실험체의 변위를 측정할 수 있는 변위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체 자중을 이용한 구조실험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isplacement measuring device
Vertical member installed vertically from the ground
Structural testing method using the weight of the test body, which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vertical member and made of a displacement meter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test body and one side to measure the displacement of the test bod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94344A KR101207531B1 (en) | 2010-09-29 | 2010-09-29 | The structural test method by self weight of specime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94344A KR101207531B1 (en) | 2010-09-29 | 2010-09-29 | The structural test method by self weight of specime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32810A KR20120032810A (en) | 2012-04-06 |
KR101207531B1 true KR101207531B1 (en) | 2012-12-03 |
Family
ID=46135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94344A Active KR101207531B1 (en) | 2010-09-29 | 2010-09-29 | The structural test method by self weight of specime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07531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651604B (en) * | 2015-12-30 | 2018-03-06 | 中冶沈勘工程技术有限公司 | Simulate the experimental rig and test method of anti-float anchor rod concrete slab combining structur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42615B1 (en) * | 2005-08-31 | 2006-01-11 | 노윤근 | Fabrication method of prestressed girder using computer-controlled hydraulic cylinder multi-point simultaneous operation system |
KR100629317B1 (en) * | 2003-10-15 | 2006-09-29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Structure Load Test Apparatus and Method for Railway Vehicles |
KR100682516B1 (en) | 2004-12-24 | 2007-02-15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Significant bending stiffness test method of railway vehicle structure |
KR100952227B1 (en) | 2008-09-29 | 2010-04-09 | 한국전력공사 | Test body test apparatu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2010
- 2010-09-29 KR KR1020100094344A patent/KR10120753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29317B1 (en) * | 2003-10-15 | 2006-09-29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Structure Load Test Apparatus and Method for Railway Vehicles |
KR100682516B1 (en) | 2004-12-24 | 2007-02-15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Significant bending stiffness test method of railway vehicle structure |
KR100542615B1 (en) * | 2005-08-31 | 2006-01-11 | 노윤근 | Fabrication method of prestressed girder using computer-controlled hydraulic cylinder multi-point simultaneous operation system |
KR100952227B1 (en) | 2008-09-29 | 2010-04-09 | 한국전력공사 | Test body test apparatu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32810A (en) | 2012-04-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6679910B (en) | The long-term loading system and method for a kind of test beam | |
JP2014088689A (en) | Loading test method and loading test device for composite reinforcement ground | |
JP2012255305A (en) | Foundation load testing method | |
CN111141627B (en) | Concrete creep test loading device considering car-induced cyclic load effect | |
CN107063896B (en) | Adjustable pressure is cut integrated test system technical platform | |
KR100952227B1 (en) | Test body test apparatu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CN107238529B (en) | Precast concrete member bearing capacity test device and installation method | |
CN102998168B (en) | Fixing device for load test of prestressed concrete beam and test method | |
CN106351267A (en) | Pile foundation bearing characteristic model testing device under down-pressing static load effect | |
CN111395414B (en) | A kind of anti-floating engineering pile vertical load test detection device and method | |
KR100960223B1 (en) | Pure shear test equipment | |
CN109883673B (en) | Shed frame test method in pilot tunnel excavation process | |
KR101207531B1 (en) | The structural test method by self weight of specimen | |
KR101677976B1 (en) | Auto lifting control method of giant construction using flat jack | |
CN114993859A (en) | A kind of test device and method for impact resistance test of bolt | |
JP2011017227A (en) | Loading test apparatus and loading test method | |
CN207066853U (en) | A kind of precast concrete test device for multifunctional | |
CN213239481U (en) | Precast beam static load test device | |
CN111576501B (en) | A bending test system for vertically loading pipe piles | |
CN104237010A (en) | Multifunctional concrete electric pole mechanical property detection platform | |
CN108088733A (en) | A kind of external pressure load loading device and test method for concrete box culvert | |
CN103935869A (en) | Double-layer elevator | |
CN113502858B (en) | Anchor pile reaction system and test method for synchronous static load test of compression and tension bearing capacity | |
KR101293380B1 (en) | Load measuring device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 structure utilizing the same | |
KR20190143101A (en) | Bridge upper structure raising apparatus and raising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9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6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1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11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1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1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15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1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1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1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1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12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12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