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07306B1 - 컨벡션히팅유닛 및 이를 갖는 가열조리기 - Google Patents

컨벡션히팅유닛 및 이를 갖는 가열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7306B1
KR101207306B1 KR1020070069689A KR20070069689A KR101207306B1 KR 101207306 B1 KR101207306 B1 KR 101207306B1 KR 1020070069689 A KR1020070069689 A KR 1020070069689A KR 20070069689 A KR20070069689 A KR 20070069689A KR 101207306 B1 KR101207306 B1 KR 101207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ction
heater
fan
heating
hous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9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6395A (ko
Inventor
김광근
오근석
박상준
전인기
이종훈
전승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9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7306B1/ko
Priority to EP08154532.9A priority patent/EP2015610B1/en
Priority to US12/081,591 priority patent/US8847129B2/en
Priority to CN2008100929760A priority patent/CN101344269B/zh
Publication of KR20090006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7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730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24C7/046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24C7/067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on rang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Cooling of the microwave components and related air circulat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가열조리기는 조리실이 구비된 가열조리기 본체와, 열을 발생하는 컨벡션히터, 컨벡션히터에서 발생하는 열을 조리실 내부로 강제 유동시키는 컨벡션팬, 컨벡션팬을 구동시키는 컨벡션모터, 컨벡션히터 및 컨벡션팬을 수용하는 컨벡션하우징을 갖는 컨벡션히팅유닛을 포함하고, 컨벡션히터 및 컨벡션팬은 컨벡션하우징 내부에서 일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컨벡션히터에서 발생되는 열의 컨벡션모터로의 열전달이 억제된다.
가열조리기, 컨벡션히팅유닛, 컨벡션히터, 컨벡션팬, 열전달

Description

컨벡션히팅유닛 및 이를 갖는 가열조리기{Convection heating unit and heating cook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가열조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을 발생하는 컨벡션히터와 컨벡션히터에서 발생되는 열을 조리실로 불어넣는 컨벡션팬을 구비하는 컨벡션히팅유닛 및 이를 갖는 가열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조리하는데 이용되는 가열조리기는 열원에 따라서 크게 가스 연소열을 이용하는 가스 조리기와, 전기에너지를 이용하는 전기 조리기로 분류된다. 그리고, 전기 조리기는 전기발열체에서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익히는 전열 방식과, 맴돌이 전류를 이용하는 유도가열 방식과, 초고주파 발진장치에서 발생되는 마이크로파를 음식물 내부로 침투시켜 음식물을 가열하는 고주파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전기를 이용하는 가열조리기는 전열 방식, 유도가열 방식, 고주파 방식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방식을 채용하기도 하고, 상기 방식 중에서 두 가지 또는 세 가지 방식을 함께 채용하기도 한다.
전기를 이용하는 가열조리기의 일예로, 한국 등록특허 제10-686035호(등록 일:2007. 02. 15.)에는 컨벡션히팅유닛을 갖는 전자렌지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종래 가열조리기는 컨벡션히팅유닛이 조리실 내의 공기를 가열 및 순환시킬 수 있도록 조리실의 일측부에 설치된다. 컨벡션히팅유닛은 열을 발생하는 컨벡션히터와, 가열된 공기를 강제 송풍시키기 위한 컨벡션팬과, 컨벡션팬을 구동시키기 위한 컨벡션모터와, 컨벡션히터 및 컨벡션팬을 수용하는 컨벡션하우징을 포함한다. 컨벡션히터는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컨벡션팬은 원형의 컨벡션히터 안쪽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가열조리기는 열풍을 조리실로 송풍시키기 위한 컨벡션팬이 원형의 컨벡션히터 안쪽에 설치되기 때문에, 컨벡션히터에서 발생되는 열이 직접 컨벡션팬으로 전달될 뿐만 아니라 컨벡션팬을 구동시키는 컨벡션모터에도 쉽게 전달된다. 따라서, 컨벡션모터가 쉽게 가열되고 열에 의한 파손의 위험이 높다.
또한, 가열에 의한 컨벡션모터의 파손을 막기 위해서는 단열재를 충분히 사용하거나, 내열등급이 높은 모터를 사용해야하므로 제조비용이 상승한다.
또한, 종래 가열조리장치는 동일 평면상에 놓여지는 컨벡션팬과 컨벡션히터를 수용하는 컨벡션 하우징에 있어서, 컨벡션팬이 설치되는 측면이 평평한 판상 구조로 되어 있어, 컨벡션팬을 구동하기 위한 컨벡션모터가 컨벡션팬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설치되게 되므로 컨벡션히팅유닛의 폭이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 나아가 가열에 의한 컨벡션모터의 파손을 막기 위해서 컨벡션모터 후방에 별도의 냉각팬을 구비하여 컨벡션모터를 냉각하도록 구성하는 경우에는 그 폭이 더욱 커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컨벡션히터에서 발생되는 열의 컨벡션모터로의 열전달을 억제시킬 수 있는 컨벡션히팅유닛 및 이를 갖는 가열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슬림화된 컨벡션히팅유닛 및 이를 갖는 가열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가열조리기는 조리실이 구비된 가열조리기 본체와, 열을 발생하는 컨벡션히터, 상기 컨벡션히터에서 발생하는 열을 상기 조리실 내부로 강제 유동시키는 컨벡션팬, 상기 컨벡션팬을 구동시키는 컨벡션모터, 상기 컨벡션히터 및 상기 컨벡션팬을 수용하는 컨벡션하우징을 갖는 컨벡션히팅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컨벡션히터 및 상기 컨벡션팬은 상기 컨벡션하우징 내부에서 일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컨벡션팬은 상기 컨벡션히터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벡션모터는 상기 컨벡션하우징의 외부에 설치되되, 그 회전축이 상기 컨벡션하우징의 내부로 관통하여 상기 컨벡션팬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벡션하우징에는 상기 컨벡션히터가 설치되는 히터설치부 및 상기 컨벡션팬이 설치되는 팬설치부가 구비되고, 상기 히터설치부의 깊이가 상기 팬설치부의 깊이보다 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터설치부와 인접하는 상기 팬설치부의 상부에는 상기 히터설치부 쪽으로 깊이가 점진적으로 깊어지는 경사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팬설치부는 히터설치부와 인접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둘레가 완만한 곡선으로 된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컨벡션히터는 직선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컨벡션히팅유닛은 가열조리기 본체에 구비되는 조리실에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열을 발생하는 컨벡션히터와, 상기 컨벡션히터에서 발생하는 열을 상기 조리실 내부로 송풍시키는 컨벡션팬과, 상기 컨벡션팬을 구동시키는 컨벡션모터와, 상기 컨벡션히터 및 상기 컨벡션팬을 수용하는 컨벡션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컨벡션히터 및 상기 컨벡션팬은 상기 컨벡션하우징 내부에서 일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컨벡션팬을 구동시키는 컨벡션모터가 컨벡션히터에 의해 쉽게 가열되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단열재를 줄일 수 있고 내열등급이 낮은 모터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컨벡션팬이 설치되는 팬설치부의 깊이가 컨벡션히터가 설치되는 히터설치부의 깊이보다 얕게 구성됨으로써, 컨벡션팬 후방에 설치되는 컨벡션모터가 컨벡션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는 높이를 작게 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전체 컨벡션히팅유닛의 슬림화가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가열조리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가열조리기는 내부에 조리실(11)이 구비된 가열조리기 본체(10)와, 가열조리기 본체(10)의 개방된 전방을 개폐시키는 도어(14)와, 조리실(11)로 고주파를 발진시키는 마그네트론(20)과, 조리실(11)로 열풍을 공급하는 컨벡션히팅유닛(40)을 포함한다.
가열조리기 본체(10)의 한쪽 측부에는 전장실(12)이 구비되고, 전장실(12)에는 마그네트론(20)을 비롯한 각종 전장품이 설치된다. 마그네트론(20)은 조리실(11)의 한쪽 측벽(13) 외부에 결합된다. 가열조리기 본체(10)의 전방에는 조리실(11)을 개폐시키는 도어(14)와, 사용자 조작을 위한 콘트롤판넬(15)이 설치된다. 가열조리기 본체(10)의 상부 및 양측부에는 전장실(12) 및 가열조리기 본체(10)의 양 측부 및 상부를 덮는 커버(30)가 결합된다. 그리고, 조리실(11)의 중앙 하부에는 음식물 또는 용기가 놓이는 턴테이블(16)이 구비된다. 턴테이블(16)은 조리가 시작되면 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한다.
컨벡션히팅유닛(40)은 마그네트론(20)이 설치되는 측벽(13)과 마주보는 다른 쪽 측벽(17)의 외부에 결합된다. 컨벡션히팅유닛(40)은 열을 발생하는 컨벡션히터(41)와, 컨벡션히터(41)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조리실(11)로 송풍시키는 컨벡션팬(43)과, 컨벡션팬(43)을 회전시키는 컨벡션모터(44)와, 컨벡션히터(41) 및 컨벡션팬(43)을 수용하는 컨벡션하우징(46)을 포함한다.
컨벡션하우징(46)은 가열조리기 본체(10)에 나사 결합된다. 이를 위해 컨벡 션하우징(46)에는 나사(S)가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홀(46a)이 구비되고, 가열조리기 본체(10)에는 복수의 결합홀(46a)에 대응하는 복수의 나사홀(10a)이 구비된다. 이 이외에도 컨벡션하우징(46)의 상부에는 후크(46b)가 돌출 구비되고, 가열조리기 본체(10)에는 후크(46b)가 삽입되는 고정홈(10b)이 구비된다. 조립시 후크(46b)를 고정홈(10b)에 삽입하여 컨벡션하우징(46)을 가열조리기 본체(10)에 가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조립시 컨벡션하우징(46)을 가열조리기 본체(10)에 가결합한 상태에서 나사(S;도 2참조)를 조여 컨벡션하우징(46)을 쉽게 나사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컨벡션히팅유닛(40)의 결합 방식은 나사 결합 방식 이외에 코킹 등 다른 결합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컨벡션하우징(46)이 결합되는 조리실(11)의 측벽(17)에는 복수의 흡입구(18) 및 복수의 토출구(19)가 구비된다. 컨벡션하우징(46)의 내부에는 조리실(11)의 공기가 흡입된 후 가열되는 컨벡션챔버(47)가 구비되며, 복수의 흡입구(18) 및 복수의 토출구(19)는 컨벡션하우징(46)의 결합시 컨벡션챔버(47)의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모두 일정 영역 내에 형성된다. 여기에서, 토출구(19) 영역은 흡입구(18) 영역의 상부에 위치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컨벡션하우징(46) 내부의 컨벡션챔버(47)는 히터설치부(48)와 팬설치부(49)로 구분될 수 있고, 히터설치부(48)와 팬설치부(49)은 상하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된다.
히터설치부(48)에는 한 쌍의 직선형 컨벡션히터(41)가 2열로 나란하게 설치된다. 각 컨벡션히터(41)의 양 단부에는 전원 공급을 위한 단자부(42)가 구비되고, 컨벡션히터(41)의 양 단부는 단자부(42)가 컨벡션하우징(46)의 외부에 놓이도록 컨벡션하우징(46)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된다. 직선형 컨벡션히터(41)는 두 개 이외에 다른 개수로 설치될 수 있다.
팬설치부(49)에는 컨벡션팬(43)이 설치된다. 컨벡션팬(43)은 컨벡션하우징(46)을 관통하여 팬설치부(49)로 돌출되는 컨벡션모터(44)의 회전축(45)에 결합된다. 회전축(45)이 구비된 컨벡션모터(44)는 컨벡션하우징(46)의 외부에 놓이도록 설치된다. 컨벡션팬(43)이 회전하면 조리실(11)의 공기가 복수의 흡입구(18)를 통해 팬설치부(49)로 유입된 후 히터설치부(48)로 유동한다. 팬설치부(49)는 히터설치부(48)와 인접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둘레가 완만한 곡선으로 된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팬설치부(49)의 형상에 의해 팬설치부(49)로 유입되는 공기가 히터설치부(48)로 원활하게 가이드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팬설치부(49)의 깊이(D1)는 히터설치부(48)의 깊이(D2) 보다 얕게 구성된다. 히터설치부(48)는 컨벡션히터(41)에 의한 흡입공기의 가열을 위해서 뿐만 아니라 컨벡션히터(41)에 의한 복사열이 컨벡션하우징(46)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어느 정도의 공간을 필요로 한다. 반면에 팬설치부(49)는 그러한 공간의 필요성이 없기 때문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설치부(49)의 깊이를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팬설치부(49) 후방에 설치되는 컨벡션모터(44)가 컨벡션하우징(46)으로부터 돌출되는 높이가 줄어든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컨벡션히팅유닛(40)의 전체 깊이가 줄어들고, 슬림한 컨벡션히팅유닛(40)을 만들 수 있다.
여기에서, 컨벡션히터(41)와 컨벡션팬(43)은 히터설치부(48) 및 팬설치부(49)의 각각 중앙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컨벡션히터(41)와 컨벡션팬(43)이 동일 평면상에 설치되지 않음으로 인해서 컨벡션팬(43)으로부터 송풍되어진 공기가 직접적으로 컨벡션히터(41)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공기의 충돌에 의한 소음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히터설치부(48)에 인접하는 팬설치부(49)의 상부에는 히터설치부(48) 쪽으로 깊이가 점진적으로 깊어지는 경사부(49a)가 구비된다. 경사부(49a)는 컨벡션팬(43)의 회전시 팬설치부(49)에서 발생되는 기류를 상부 방향으로 원활하게 유동하도록 가이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가열조리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가열조리기는 마그네트론(20)에서 발진되는 고주파 및/또는 컨벡션히팅유닛(40)에서 발생되는 열풍을 이용하여 조리실(11)에 놓이는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다.
컨벡션히팅유닛(40)의 작동될 경우, 조리실(11) 내의 공기는 흡입구(18)를 통해 컨벡션히팅유닛(40)의 컨벡션챔버(47)로 유입되어 가열된 후 토출구(19)를 통해 다시 조리실(11)로 유입되어 조리실(11)의 음식물을 가열한다.
이렇게 조리실(11)과 컨벡션챔버(47) 사이에 공기가 순환할 때 조리실(11)의 공기는 먼저 팬설치부(49)로 유입된 후 히터설치부(48) 쪽으로 상승한다. 그리고, 히터설치부(48)로 유동한 공기는 컨벡션히터(41)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가열된 후 토출구(19)를 통해 조리실(11)로 토출된다.
이와 같이, 컨벡션챔버(47)로 유입되는 공기가 일렬로 배치되는 팬설치부(49)에서 히터설치부(48)로 차례로 유동함으로써 컨벡션히터(41)에서 발생되는 열의 컨벡션팬(43)으로의 열전달이 억제된다. 더욱이 히터설치부(48)에서 가열된 공기는 상승하려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컨벡션모터(44)로의 열전달은 더욱 억제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컨벡션히터(41)가 반드시 직선형으로 이루어질 필요는 없다. 컨벡션히터(41)는 굴곡되거나 꺾인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컨벡션히터(41)가 반드시 컨벡션팬(43) 및 컨벡션모터(44)의 상부에 배치될 필요는 없다. 컨벡션히터(41)가 컨벡션팬(43)으로부터 이격되고 기류가 컨벡션팬(43)에서 컨벡션히터(41) 쪽으로 차례로 유동하도록 컨벡션히터(41)와 컨벡션팬(43)이 일렬로 배치된다면 컨벡션히터(41)와 컨벡션팬(43) 좌우로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가열조리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가열조리기는 각종 전장품이 설치되는 전장실(52)이 조리실(51)의 상부에 구비되고, 한 쌍의 컨벡션히팅유닛(40)이 조리실(51)의 좌우 측벽(53)(54)에 설치된 것이다. 컨벡션히팅유닛(40)이 결합되는 각 측벽(53)(54)에는 조리실(51)의 공기를 컨벡션히팅유닛(40)으로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55)와, 컨벡션히팅유닛(40)의 열풍을 조리실(51)로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56)가 구비된다. 컨벡션히팅유닛(40)은 상기 일실시예에 의한 가열조리 기의 컨벡션히팅유닛(40)과 같은 것으로, 컨벡션히터(41)가 상부에 구비되고, 컨벡션팬(43;도 3참조) 및 컨벡션모터(44)가 컨벡션히터(41)의 하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가열조리기는 조리실(51)의 좌우 측벽(53)(54)에 설치되는 컨벡션히팅유닛(40)이 슬림하기 때문에 전체 폭이 감소된다. 또한, 상기 일실시예에 의한 가열조리기와 같이, 컨벡션히터(41)에서 발생되는 열의 컨벡션모터(44)로의 열전달이 억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컨벡션히터(41)에서 발생되는 열의 컨벡션모터(44)로의 열전달이 억제되므로, 컨벡션모터(44)를 보호하기 위한 단열재의 설치량을 줄일 수 있고 내열등급이 낮은 모터를 사용할 수 있어서 제조비용이 저감된다.
또한, 컨벡션히팅유닛(40)이 슬림하기 때문에, 컨벡션히팅유닛(40)의 설치 공간이 줄어들고 가열조리기 전체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가열조리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가열조리기의 컨벡션히팅유닛 및 그 설치 부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가열조리기의 컨벡션히팅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컨벡션히팅유닛을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가열조리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가열조리기 본체 11...조리실
12...전장실 18...흡입구
19...토출구 20...마그네트론
30...커버 40...컨벡션히팅유닛
41...컨벡션히터 43...컨벡션팬
44...컨벡션모터 45...회전축
46...컨벡션하우징 47...컨벡션챔버
48...히터설치부 49...팬설치부
49a...경사부

Claims (14)

  1. 조리실이 구비된 가열조리기 본체와,
    상기 조리실의 일측벽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조리실로 고주파를 발진시키는 마그네트론과,
    열을 발생하는 컨벡션히터, 상기 컨벡션히터에서 발생하는 열을 상기 조리실 내부로 강제 유동시키는 컨벡션팬, 상기 컨벡션팬을 구동시키는 컨벡션모터, 상기 컨벡션히터 및 상기 컨벡션팬을 수용하는 컨벡션하우징을 갖는 컨벡션히팅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컨벡션히터 및 상기 컨벡션팬은 상기 컨벡션하우징 내부에서 일렬로 배치되며,
    상기 컨벡션히팅유닛은 상기 마그네트론이 설치되는 측벽과 마주보는 다른 쪽 측벽 외측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벡션팬은 상기 컨벡션히터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벡션모터는 상기 컨벡션하우징의 외부에 설치되되, 그 회전축이 상기 컨벡션하우징의 내부로 관통하여 상기 컨벡션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벡션하우징에는 상기 컨벡션히터가 설치되는 히터설치부 및 상기 컨벡션팬이 설치되는 팬설치부가 구비되고, 상기 히터설치부의 깊이가 상기 팬설치부의 깊이보다 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설치부와 인접하는 상기 팬설치부의 상부에는 상기 히터설치부 쪽으로 깊이가 점진적으로 깊어지는 경사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팬설치부는 히터설치부와 인접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둘레가 완만한 곡선으로 된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벡션히터는 직선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
  8. 가열조리기 본체에 구비되는 조리실에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컨벡션히팅유닛에 있어서,
    열을 발생하는 컨벡션히터와, 상기 컨벡션히터에서 발생하는 열을 상기 조리실 내부로 송풍시키는 컨벡션팬과, 상기 컨벡션팬을 구동시키는 컨벡션모터와, 상기 컨벡션히터 및 상기 컨벡션팬을 수용하는 컨벡션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컨벡션하우징은 상기 컨벡션히터가 설치되는 히터설치부 및 상기 컨벡션팬이 설치되는 팬설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컨벡션모터는 상기 히터설치부의 깊이보다 얕은 깊이를 갖도록 마련되는 상기 팬설치부 외측에 직접 결합되며,
    상기 컨벡션히터 및 상기 컨벡션팬은 상기 컨벡션하우징 내부에서 일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벡션히팅유닛.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벡션팬은 상기 컨벡션히터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벡션히팅유닛.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벡션모터는 상기 컨벡션하우징의 외부에 설치되되 그 회전축이 상기 컨벡션하우징의 내부로 관통하여 상기 컨벡션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벡션히팅유닛.
  11. 삭제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설치부와 인접하는 상기 팬설치부의 상부에는 상기 히터설치부 쪽으로 깊이가 점진적으로 깊어지는 경사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벡션히팅유닛.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팬설치부는 히터설치부와 인접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둘레가 완만한 곡선으로 된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벡션히팅유닛.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벡션히터는 직선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벡션히팅유닛.
KR1020070069689A 2007-07-09 2007-07-11 컨벡션히팅유닛 및 이를 갖는 가열조리기 Active KR101207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689A KR101207306B1 (ko) 2007-07-11 2007-07-11 컨벡션히팅유닛 및 이를 갖는 가열조리기
EP08154532.9A EP2015610B1 (en) 2007-07-09 2008-04-15 Convection heating unit and heating cooker having the same
US12/081,591 US8847129B2 (en) 2007-07-09 2008-04-17 Convection heating unit and heating cooker having the same
CN2008100929760A CN101344269B (zh) 2007-07-09 2008-04-18 对流加热单元以及具有该对流加热单元的加热炊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689A KR101207306B1 (ko) 2007-07-11 2007-07-11 컨벡션히팅유닛 및 이를 갖는 가열조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395A KR20090006395A (ko) 2009-01-15
KR101207306B1 true KR101207306B1 (ko) 2012-12-03

Family

ID=40487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9689A Active KR101207306B1 (ko) 2007-07-09 2007-07-11 컨벡션히팅유닛 및 이를 갖는 가열조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73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84500A (zh) * 2019-09-06 2019-12-20 火星人厨具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烤箱中砂锅炖煮方式及其烤箱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5929B1 (ko) * 2000-07-13 2003-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강제 대류식 전자렌지
KR100402585B1 (ko) 2000-12-30 2003-10-22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전자레인지의 내부공기순환구조
US20060157479A1 (en) * 2004-12-14 2006-07-20 Enodis Corporation Impingement/convection/microwave oven and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5929B1 (ko) * 2000-07-13 2003-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강제 대류식 전자렌지
KR100402585B1 (ko) 2000-12-30 2003-10-22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전자레인지의 내부공기순환구조
US20060157479A1 (en) * 2004-12-14 2006-07-20 Enodis Corporation Impingement/convection/microwave oven and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84500A (zh) * 2019-09-06 2019-12-20 火星人厨具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烤箱中砂锅炖煮方式及其烤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395A (ko) 200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15610B1 (en) Convection heating unit and heating cooker having the same
EP1467154B1 (en) Heating cooker
EP1795812B1 (en) Cooking appliance
CN101344269B (zh) 对流加热单元以及具有该对流加热单元的加热炊具
US7049568B2 (en) Wall-mounted type microwave oven
US6218651B1 (en) Microwave oven
KR100858721B1 (ko)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는 조리장치
KR20050120474A (ko) 전자렌지
KR101207306B1 (ko) 컨벡션히팅유닛 및 이를 갖는 가열조리기
KR100633173B1 (ko) 전기오븐의 전장실 구조
KR20230103500A (ko) 후드 겸용 전자 레인지
KR20180079870A (ko) 조리기기
KR20090017299A (ko) 컨벡션 커버에 에어 가이드가 형성된 전기오븐
JP2000257864A (ja) 加熱調理器
KR200353573Y1 (ko) 전기오븐의 도어 냉각 시스템
US20240327057A1 (en) Packaging assembly and oven comprising same
KR100595261B1 (ko) 컨벡션형 전자레인지
KR101743297B1 (ko) 조리기기
KR100635661B1 (ko) 전자레인지 케비티의 하부공기유로
JP2016217584A (ja) 加熱調理器
KR20230103499A (ko) 후드 겸용 전자 레인지
KR20060037664A (ko) 전자 레인지
KR101263873B1 (ko)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는 조리장치
CN120304012A (zh) 烹饪器具
KR20050030668A (ko) 컨벡션형 전자 레인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71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05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071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1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1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11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3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