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06998B1 - 탈모방지 및 발모용 두피 케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헤어 제품 - Google Patents

탈모방지 및 발모용 두피 케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헤어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6998B1
KR101206998B1 KR1020120029008A KR20120029008A KR101206998B1 KR 101206998 B1 KR101206998 B1 KR 101206998B1 KR 1020120029008 A KR1020120029008 A KR 1020120029008A KR 20120029008 A KR20120029008 A KR 20120029008A KR 101206998 B1 KR101206998 B1 KR 101206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weight
parts
hair loss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9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한섭
Original Assignee
최한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한섭 filed Critical 최한섭
Priority to KR1020120029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69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6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699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모방지 및 발모용 두피 케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헤어 제품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하수오, 인삼, 구기자, 솔잎, 당귀, 천궁, 약쑥, 숙지황, 백작약, 측백엽, 상백피, 한련초, 감초를 포함하는 한약재 혼합물의 한약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용 두피 케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헤어 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두피 케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헤어 제품은 유기 게르마늄의 공급원으로 하수오를 사용하고, 활혈(活血)을 위해 당귀를 사용하며, 청혈(淸血)을 위해 당귀, 한련초, 약쑥을 사용하고, 혈액순환을 촉진하게 하기 위해 인삼, 당귀, 천궁, 솔잎, 하수오, 구기자, 백작약을 포함하고 있는바 게르마늄 원소 보충과 혈행 개선효과를 통해 탈모방지 및 발모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두피 케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헤어 제품은 3대 명약이라 불리는 하수오, 인삼, 구기자와 보혈제로 사용되는 당귀, 하수오, 숙지황을, 사물탕의 재료로 사용되는 당귀, 숙지황, 천궁, 백작약을 포함하고 있어 영양 보충에 의한 탈모방지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두피 케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헤어 제품은 하수오, 구기자, 숙지황, 측백엽, 상백피를 포함하여 탈모를 방지하고, 솔잎, 측백엽, 상백피, 한련초를 포함하여 발모를 촉진하며, 여기에 상기에서 설명한 게르마늄의 보충, 혈행개선 및 영양보충 약재의 상승작용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두피 케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헤어 제품은 게르마늄의 보충과 혈행개선 효과를 얻기 위해 유기 게르마늄의 공급원으로 하수오를 사용하고, 3대 명약이라 불리는 하수오, 인삼, 구기자와 보혈제로 사용되는 당귀, 하수오, 숙지황을 사용하고, 사물탕의 재료로 사용되는 당귀, 숙지황, 천궁, 백작약을 적정량을 사용하여 각 약재 성분이 적절한 조화를 이룸으로 인해 각 약재가 적은 양으로도 최대의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하수오, 인삼, 구기자, 솔잎, 당귀, 천궁, 약쑥, 숙지황, 백작약, 측백엽, 상백피, 한련초, 감초를 포함하는 한약재 혼합물의 한약추출액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하수오, 인삼, 구기자, 솔잎, 당귀, 천궁, 약쑥, 숙지황, 백작약, 측백엽, 상백피, 한련초, 감초를 포함하는 한약재 혼합물의 한약추출액을 제조하는 방법은 연화단계, 고온, 고압하에서의 가열단계, 증기 배출단계, 뜸들이는 단계를 포함하여 추출시간이 짧으면서도 한약내 혼합물의 성분이 충분히 용출되고, 그 수득율도 높으며, 한약재의 유해성분들이 배출되어 최종 한약재 추출액에 포함된 각 약재 추출물의 효능이 높으며, 한약추출액의 향과 맛이 순하고 부드러운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탈모방지 및 발모용 두피 케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헤어 제품{THE SCALP CARE COMPOSITION FOR PREVENTING DEPILATION AND IMPROVEMENT OF HAIR GROWTH AND THE HAIR PRODUCTS USING THE COMPOSITION}
본 발명은 탈모방지 및 발모용 두피 케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헤어 제품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하수오, 인삼, 구기자, 솔잎, 당귀, 천궁, 약쑥, 숙지황, 백작약, 측백엽, 상백피, 한련초, 감초를 포함하는 한약재 혼합물의 한약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용 두피 케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헤어 제품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하수오, 인삼, 구기자, 솔잎, 당귀, 천궁, 약쑥, 숙지황, 백작약, 측백엽, 상백피, 한련초, 감초를 포함하는 한약재 혼합물의 한약추출액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모발은 약 10만 내지 15만 개 정도로, 각각의 모발은 서로 다른 주기를 갖고 성장기(anagen), 퇴행기(catagen), 및 휴지기(telogen)를 거쳐 성장, 탈락한다. 이러한 주기는 3년 내지 6년에 걸쳐서 반복되는데, 이 결과 하루 평균 50 내지 100개의 모발이 정상적으로 빠진다.
탈모의 기전은 아직까지 정확하게 밝혀져 있진 않지만, 일반적으로 불균형한 식생활, 과다한 음주와 흡연, 약물복용, 수면 부족, 과도한 스트레스, 출산, 갱년기 장애, 잦은 파마와 염색, 호르몬의 불균형 등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람의 머리에서 자라는 머리카락은 나고 자라고 빠지는 작용이 반복되면서 일정한 밀도를 유지하게 되지만, 상기의 여러 가지 원인들에 의하여 탈모가 진행될 때에는 먼저 정수리 또는 이마 쪽의 머리카락이 가늘어지고 힘이 없어지기 시작하면서 탈모 숫자가 증가하게 된다.
즉, 모발은 두피에 뿌리를 두고 혈액으로부터 영양분을 공급받는데, 장기간에 걸쳐 모세혈관이 축소되고 두피가 얇아져 모발이 정상적으로 발육할 수 없는 상태에 이르면 그 부위의 머리카락은 점점 가늘어지면서 특정 부위의 머리카락 수명이 짧아지게 되고, 수명이 짧아진 머리카락은 쉽게 빠지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이 머리카락이 빠진 모공에서는 머리카락이 다시 나지 못하게 되어 결국은 빈모 증세를 보이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탈모 현상으로 인한 빈모 증세를 방지하면서 두피의 모공에서 활발한 발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다양한 탈모 방지제 및 발모 촉진제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탈모증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제제로는 미녹시딜(Minoxidil) 함유 제제를 들 수 있다. 미녹시딜은 원래 혈압 강하를 위해 개발된 고혈압 치료제였지만, 사용상 부작용으로 발모현상이 나타나면서 현재에는 발모제로 더욱 유명해진 약물이다. 그러나 미녹시딜 제제는 과다 사용시 두피 건조, 홍반 등의 두피 자극 증상,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 안면부 다모증과 혈관 확장, 즉 항고혈압 작용에 의한 허탈감, 저혈압, 빈맥 등의 부작용을 일으켜 장기 사용에는 부적합한 것으로 밝혀졌다.
머크(Merck)사에서 개발한 피나스테라이드(Finasteride)를 주성분으로 하는 프로페시아(propecia)등의 제제는 남성호르몬 신진대사 효소인 5α-리덕타아제(타입 2)의 억제제로서,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이 다이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으로 전환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탈모를 방지한다. 그러나 피나스테라이드의 이러한 치료효과는 투여할 당시에는 그 약효가 유효하지만, 약의 사용을 중지하면 수개월 후 비복용자와 같이 탈모가 다시 진행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가격이 워낙 고가여서 일반 소비자들이 사용하기가 어려우며, 복용 시 성욕감퇴, 발기부전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프로페시아는 태아기형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미국의 FDA에서는 피나스테라이드 제제는 여성에게는 사용 승인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또한, 크레시나(crescina)와 로게인(rogaine)은 탈모 질환이 완전히 진행되기 전인 정상 두피에 모근이 살아있는 경우에만 사용된다. 이처럼 종래의 여러 종류의 발모제는 일반적으로 두피의 혈액 촉진과 모근의 영양공급을 목적으로 하여 모발 성장에 도움을 주려하나, 이 역시 독성과 부작용이 심하고 그 효과 또한 미흡한 것이 현실정이다. 그 외에 현재 시판되고 있는 발모제로는 CJ 제일제당의 직공모발력, 한독화장품 모발연구소의 스펠라 707, 태평양 화학의 닥터모, 대우제약의 모리나 등이 있다.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제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에도 충분한 효과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고 또한 미녹시딜, 프로페시아 등의 탈모 치료제 등은 여러 가지 부작용으로 인하여 이를 장기적으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한 것이다.
따라서 위와 같은 부작용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50437호에서는 가시오가피, 송엽, 송화, 교맥, 생지황 및 지모의 혼합물을 가열 추출하여 얻은 생약 추출물에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후, 이 발효물에 어린 콜라겐을 첨가하여 제조된 생약 조성물을 탈모방지 및 발모 촉진용 피부 외용제로 이용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가격이 비싼 어린 콜라겐(Fish scale collagen)을 함유하고, 가시오가피, 송엽, 송화, 교맥, 생지황 및 지모의 혼합물을 추출한 후 이를 다시 유산균 발효하는 등 그 제조방법이 까다로울 뿐 아니라 탈모방지 및 발모효과 시험을 동물을 대상으로 한 것이어서 인간에게도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효과가 있는 것인지 검증되지 아니한 발명인바 이를 헤어 제품으로 적용하기에는 곤란한 단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2-0037796호에서는 100을 기준으로 허브 추출물 1.5~4 중량%, 휘트프로핀 3~6 중량%, 레시틴 5~8 중량%, 아미노산 1.5~4 중량%, 천연식초 또는 중탄산나트륨 72~87 중량%, 염화나트륨 2~6 중량%를 고르게 혼합하여 제조된 발모용 조성물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천연식초 또는 중탄산나트륨 성분이 주성분으로서 탈모방지나 발모기능이 거의 없고, 식초 특유의 냄새 때문에 사용하기 꺼려지며, 또한 자극성 때문에 오히려 두피에 손상을 주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주성분의 함량이 40 중량%를 넘을 경우 타 재료와 균일한 혼합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는바 이를 헤어 제품에 적용하기 곤란한 단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05692호에서는 백지, 천초, 영릉향, 감국, 천궁, 한련초, 상백피, 고삼, 백하수오의 혼합으로 조성된 혼합물로부터 추출된 성분을 샴푸 제조시 일정비율로 첨가함으로써, 두피치유,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탈모방지용 한방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탈모방지용 샴푸에 관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더욱 상세히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05692호의 한방추출물은 백지 8 ~ 20중량%, 천초 10 ~ 25중량%, 영릉향 5 ~ 20중량%, 감국 5 ~ 25중량%, 천궁 10 ~ 17중량%, 한련초 5~ 15중량%, 상백피 7 ~ 15중량%, 고삼 9 ~ 12중량%, 백하수오 9 ~ 15중량%를 혼합하여 수분함량이 0.1 ~ 2%가 되도록 음지에서 건조한 후 70 ~ 95 메쉬(mesh)로 분쇄한 한방혼합물 100g을 기준으로, 증류수 2ℓ를 사용하여 70 ~ 90℃에서 6 ~ 10시간 동안 가열 추출하고, 그 추출된 추출액을 700 ~ 900rpm으로 30 ~ 50분간 원심분리하여 잔사는 버리고 상층의 추출액만을 취한 후 냉동 보관한 것이고, 이렇게 제조된 한방추출물을 샴푸 전체중량에 대해 5 ~ 30중량%로 첨가하여 탈모방지용 샴푸를 제조하는 것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조성과 비율로 제조된 한방추출물은 그 자체만으로도 탈모방지 및 발모 효과가 극히 미미하기 때문에 이를 전체중량에 대해 5 ~ 30중량% 포함하고 있는 샴푸를 통해 탈모방지 및 발모효과는 거의 누릴 수 없는 것이다.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샴푸를 이용하여 실제 탈모방지 및 발모효과를 얻었다는 소비자는 거의 찾아보기 어려워, 탈모방지 및 발모용 샴푸 제조사 및 판매사가 말하는 탈모방지, 발모효과라는 것은 실제 제품의 작용효과와는 관련없는 것으로 단순한 광고에 불과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현대사회는 외모를 가장 중시하는 시대이고, 특히 머리스타일은 남녀 노소 불문하고 외모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부분이기에 많은 사람들이 염색, 퍼머 등을 통해 모발을 가꾸고 손질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염색, 퍼머 등의 화학적 시술로 인하여 두피에 가려움증이나 따가움과 같은 자극현상과 염증이 유발될 수 있고, 이는 탈모로 이어지기도 한다.
따라서 부작용이 없어 장기간 사용하여도 안전하고, 그 제조방법이 간단하며, 두피 상태를 개선하여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효과가 있는 새로운 탈모방지 및 발모용 두피 케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헤어 제품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KR 10-0950437 B1 KR 2002-0037796 A KR 10-0805692 B1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탈모방지 및 발모용 두피 케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헤어 제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하수오, 인삼, 구기자, 솔잎, 당귀, 천궁, 약쑥, 숙지황, 백작약, 측백엽, 상백피, 한련초, 감초를 포함하는 한약재 혼합물의 한약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용 두피 케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헤어 제품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수오, 인삼, 구기자, 솔잎, 당귀, 천궁, 약쑥, 숙지황, 백작약, 측백엽, 상백피, 한련초, 감초를 포함하는 한약재 혼합물의 한약추출액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수오, 인삼, 구기자, 솔잎, 당귀, 천궁, 약쑥, 숙지황, 백작약, 측백엽, 상백피, 한련초, 감초를 포함하는 한약재 혼합물의 한약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용 두피 케어 조성물을 제공한다.
더욱 상세히는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두피 케어 조성물은 물 300 중량부에 대하여 하수오 2~6 중량부, 인삼 1~3 중량부, 구기자 1~2 중량부, 솔잎 1~3 중량부, 당귀 1~3 중량부, 천궁 1~3 중량부, 약쑥 1~3 중량부, 숙지황 1~3 중량부, 백작약 1~3 중량부, 측백엽 1~3 중량부, 상백피 1~3 중량부, 한련초 1~3 중량부, 감초 1~2 중량부를 포함하는 한약재 혼합물 14 내지 40 중량부를 혼합하여 추출된 한약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수오, 인삼, 구기자, 솔잎, 당귀, 천궁, 약쑥, 숙지황, 백작약, 측백엽, 상백피, 한련초, 감초를 포함하는 한약재 혼합물의 한약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용 두피 케어 조성물을 이용한 헤어 제품을 제공한다.
더욱 상세히는 헤어 제품으로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샴푸는 하수오, 인삼, 구기자, 솔잎, 당귀, 천궁, 약쑥, 숙지황, 백작약, 측백엽, 상백피, 한련초, 감초를 포함하는 한약재 혼합물의 한약추출액 60~85 중량부, 계면활성제 10~30 중량부, 첨가제 5~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샴푸의 다른 실시예는 하수오, 인삼, 구기자, 솔잎, 당귀, 천궁, 약쑥, 숙지황, 백작약, 측백엽, 상백피, 한련초, 감초를 포함하는 한약재 혼합물의 한약추출액 40~60 중량부, 계면활성제 30~50 중량부, 첨가제 5~1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헤어 제품으로 본 발명의 헤어토닉은 하수오, 인삼, 구기자, 솔잎, 당귀, 천궁, 약쑥, 숙지황, 백작약, 측백엽, 상백피, 한련초, 감초를 포함하는 한약재 혼합물의 한약추출액 87~97 중량부에 첨가제 3 내지 13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수오, 인삼, 구기자, 솔잎, 당귀, 천궁, 약쑥, 숙지황, 백작약, 측백엽, 상백피, 한련초, 감초를 포함하는 한약재 혼합물의 한약추출액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더욱 상세히는 본 발명은 한약추출액의 제조방법은 고압추출기에 물 300 중량부와 하수오, 인삼, 구기자, 솔잎, 당귀, 천궁, 약쑥, 숙지황, 백작약, 측백엽, 상백피, 한련초, 감초를 포함하는 한약재 혼합물 14 내지 40 중량부를 넣고 14 내지 25℃에서 10시간에서 15시간 정도 유지하여 한약재를 연화하는 단계(S1); 상기 연화단계(S1) 후 100℃~140℃, 0.15MPa에서 4시간에서 6시간 가열하는 단계(S2); 상기 가열하는 단계(S2) 중 고압추출기의 밸브를 조절하여 고압추출기 내부의 증기를 배출시키는 단계(S3); 상기 가열단계(S2)와 증기배출 단계(S3)를 거친 후 고압추출기의 내부의 온도가 30℃~40℃가 될 때까지 10~15시간 뜸들이는 단계(S4); 상기 뜸들이는 단계(S4) 후 한약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S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두피 케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헤어 제품은 유기 게르마늄의 공급원으로 하수오를 사용하고, 활혈(活血)을 위해 당귀를 사용하며, 청혈(淸血)을 위해 당귀, 한련초, 약쑥을 사용하고, 혈액순환을 촉진하게 하기 위해 인삼, 당귀, 천궁, 솔잎, 하수오, 구기자, 백작약을 포함하고 있는바 게르마늄 원소 보충과 혈행 개선효과를 통한 탈모방지 및 발모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두피 케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헤어 제품은 3대 명약이라 불리는 하수오, 인삼, 구기자와 보혈제로 사용되는 당귀, 하수오, 숙지황을, 사물탕의 재료로 사용되는 당귀, 숙지황, 천궁, 백작약을 포함하고 있어 영양 보충에 의한 탈모방지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두피 케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헤어 제품은 하수오, 구기자, 숙지황, 측백엽, 상백피를 포함하여 탈모를 방지하고, 솔잎, 측백엽, 상백피, 한련초를 포함하여 발모를 촉진하며, 여기에 상기에서 설명한 게르마늄의 보충, 혈행개선 및 영양보충 약재에 의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약재의 상승 작용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두피 케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헤어 제품은 게르마늄의 보충과 혈행개선 효과를 얻기 위해 유기 게르마늄의 공급원으로 하수오를 사용하고, 3대 명약이라 불리는 하수오, 인삼, 구기자와 보혈제로 사용되는 당귀, 하수오, 숙지황을 사용하고, 사물탕의 재료로 사용되는 당귀, 숙지황, 천궁, 백작약을 적정량을 사용하여 각 약재 성분이 적절한 조화를 이룸으로 인해 각 약재가 적은 양으로도 최대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하수오, 인삼, 구기자, 솔잎, 당귀, 천궁, 약쑥, 숙지황, 백작약, 측백엽, 상백피, 한련초, 감초를 포함하는 한약재 혼합물의 한약추출액을 제조하는 방법은 연화단계, 고온, 고압하에서의 가열단계, 증기 배출단계, 뜸들이는 단계를 포함하여 추출시간이 짧으면서도 각 한약재의 성분이 충분히 용출되고, 수득율이 높으며, 한약재의 유해성분들이 증기를 통해 배출되어 최종 한약추출액에 포함된 각 약재 추출물의 효능이 높고, 한약추출액의 향과 맛이 순하고 부드러운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두피 케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헤어 제품에 사용된 한약재 혼합물의 각 약재의 상호보완 작용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샴푸를 사용하기 전의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샴푸를 1일 1회 40일 사용한 후 촬영한 사진이다.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두피 케어 조성물은 하수오, 인삼, 구기자, 솔잎, 당귀, 천궁, 약쑥, 숙지황, 백작약, 측백엽, 상백피, 한련초, 감초를 포함하는 한약재 혼합물의 한약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상세히는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두피 케어 조성물은 물 300 중량부에 대하여 하수오 2~6 중량부, 인삼 1~3 중량부, 구기자 1~2 중량부, 솔잎 1~3 중량부, 당귀 1~3 중량부, 천궁 1~3 중량부, 약쑥 1~3 중량부, 숙지황 1~3 중량부, 백작약 1~3 중량부, 측백엽 1~3 중량부, 상백피 1~3 중량부, 한련초 1~3 중량부, 감초 1~2 중량부를 포함하는 한약재 혼합물 14 내지 40 중량부를 혼합하여 추출된 한약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두피 케어 조성물의 각 구성물질 에 대해서 상세히 기술한다.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두피 케어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한약추출액을 제조하기 위해 하수오는 물 300 중량부에 대하여 2~6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수오는 마디풀과(Polygonaceae)의 다년생 초본인 하수오(Polygonum multiflorum Thunberg)의 덩이뿌리를 건조한 것으로 정의하고 있으며(전국한의과대학 본초학교수공편, 본초학, 서울, 영림출판사, 1991, 583-584), 한국을 비롯하여 중국?일본 등지에 널리 분포한다. 하수오는 크게 적하수오(Polygonum multiflorum Thunberg)와 백하수오(Cynan chum wilfordii Hemsley)의 두 가지로 구분되는데 우리나라에서 주로 재배되는 하수오는 백하수오이다. 하수오는 강장제, 강정제, 완화제로 신장의 기를 돋우고 근골을 튼튼하게 해주면서 탈모예방 및 발모촉진 효과가 있고, 모발을 윤택하고 검게 만드는 효과가 있다. 하수오의 뿌리에 함유된 성분으로는 레시틴(lecithin), 옥시메틸안트라키논 유도체, 탄닌 등이 있고, 그중 레시틴은 세포 구조와 대사 작용에 중요한 인지질(燐脂質)의 하나인데, 하수오는 레시틴이 풍부하여 체내 성장발육과 동화작용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수오에는 유기게르마늄을 다량 함유되어 있다. 유기 게르마늄에 함유된 산소를 방출하면 혈관 내에 많은 양의 산소가 공급되고, 이에 따라 모세혈관들이 보다 확장되어 혈류(血流)가 좋아지고, 빈사 직전의 세포가 부활되어 세포 내 화학반응(대사활동)이 활성화되게 된다. 따라서 하수오를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두피 케어 조성물로 사용시 체내의 세포, 특히 두피의 세포의 대사활동이 활발해지므로 두피 상태가 개선되어 두피에서 머리카락이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두피 케어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한약추출액을 제조하기 위해 하수오는 물 300 중량부에 대하여 2~6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중량부 미만을 사용할 경우에는 두피의 혈액순환 개선효과,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없으므로 바람직하지 않고, 6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그 약리효과에 비하여 비용이 많이 증가하고, 다른 한약재와의 약리효과의 조화에도 바람직하지 않은바 상기 범위의 함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두피 케어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한약추출액을 제조하기 위해 인삼은 물 300 중량부에 대하여 1~3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삼은 36종의 사포닌, 암 세포에 대한 증식 억제작용과 항산화활성을 가지는 폴리아세틸렌 화합물, 노화억제와 관련된 지지과산화 억제활성을 나타내는 폴리페놀(poly phenol) 화합물, 면역기능을 증가시키고 생체방어기능을 갖는 단백질 함유 다당체 및 항보체 활성 다당체 등의 산성 다당체, 단백질 조섬유 당질, 아데노신(Adenosin), 아미노산, 비타민 B1, B2, B12, C, 니코틴산, 판토텐산을 함유하고 있어 신체기능의 항상성을 유지시키는 아답토겐 활성(Adaptogen Activity)을 가지고 있으며, 피로회복과 스트레스 해소에 효과가 있고, 중금속을 해독하고 환경호르몬의 독성을 예방하며,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며 면역기능을 높여주어 노화방지에 효과적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모발에 적용시 모세포를 활성화시키고, 두피의 혈행을 좋게 하여 피부 혈류량을 증가시켜 탈모를 방지하는데 도움을 주며, 비타민과 아미노산 등의 성분을 통해 손상된 모발에 영양을 주어 모발을 건강하게 한다.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두피 케어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한약추출액을 제조하기 위해 인삼은 물 300 중량부에 대하여 1~3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중량부 미만을 사용할 경우에는 두피의 혈액순환 개선효과,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없으므로 바람직하지 않고, 3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그 약리효과에 비하여 비용이 많이 증가하고, 다른 한약재와의 약리효과의 조화에도 바람직하지 않은바 상기 범위의 함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두피 케어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한약추출액을 제조하기 위해 구기자는 물 300 중량부에 대하여 1~2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기자는 기와 혈의 순환을 도와주는 강장제이며 간장, 신장 기능을 좋게 하고 피부와 모발세포 조직의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하며, 다른 약재와 함께 사용시 약재의 기운을 더 높여주고, 탈모예방과 흰머리가 생기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비타민이 레몬의 두 배가 들어있고, 정력과 시력에 도움을 주며, 무릎, 허리 관절을 튼튼하게 하고 보습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두피 케어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한약추출액을 제조하기 위해 구기자는 물 300 중량부에 대하여 1~2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중량부 미만을 사용할 경우에는 두피의 혈액순환 개선효과,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없으므로 바람직하지 않고, 2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그 약리효과에 비하여 비용이 많이 증가하고, 산성 약재로서 pH가 낮아질 수 있으며, 다른 한약재와의 약리효과의 조화에도 바람직하지 않은바 상기 범위의 함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두피 케어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한약추출액을 제조하기 위해 솔잎은 물 300 중량부에 대하여 1~3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솔잎은 소나무의 잎으로 그 주요성분은 테르펜틴오일(Terpentine oil), 시네올(cineole), 살리니그린(Salinigrin), 코니페린(Coniferin), 피-사이멘(P-Cymen), 덴시피마릭산(Densipimaric acid), 레텐(Retene) 등과 엽록소, 단백질, 인, 철분, 미네랄, 지용성 비타민 A 및 비타민 C 등이 함유되어 있다. 한방의학서인 명의별록에는 솔잎을 사용하면 모발이 희어지는 것을 방지한다고 기재되어 있고, 목초강목에는 모발이 잘 부스러지는 것을 방지하며, 머리를 맑게 해주어 건망증에 효과가 있으며, 오장을 편하게 해주고, 고혈압, 여성의 미용, 불면증, 냉대하증 등 부인병 예방에도 효능이 있다고 개시하고 있다. 최근에는 솔잎이 생체조직의 산화환원과정의 촉진 작용, 수렴성 염증을 없애는 작용, 피를 멈추게 하는 작용이 있다고 밝혀졌다.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두피 케어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한약추출액을 제조하기 위해 솔잎은 물 300 중량부에 대하여 1~3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중량부 미만을 사용할 경우에는 두피의 신진대사를 촉진시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없으므로 바람직하지 않고, 3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그 약리효과에 비하여 비용이 많이 증가하고, 다른 한약재와의 약리효과의 조화에도 바람직하지 않은바 상기 범위의 함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두피 케어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한약추출액을 제조하기 위해 당귀는 물 300 중량부에 대하여 1~3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귀는 미나리과에 속하는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의 뿌리로, 데커신(decursin), 데커시놀(decursinol) 등의 쿠마린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진통, 배농, 지혈, 보혈, 강장작용이 있으며, 특히 혈액순환을 좋게 하여 두피와 모근을 건강하게 한다.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두피 케어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한약추출액을 제조하기 위해 당귀는 물 300 중량부에 1~3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중량부 미만을 사용할 경우에는 두피의 혈액순환 개선효과,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없으므로 바람직하지 않고, 3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그 약리효과에 비하여 비용이 많이 증가하고, 다른 한약재와의 약리효과의 조화에도 바람직하지 않은바 상기 범위의 함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두피 케어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한약추출액을 제조하기 위해 천궁은 물 300 중량부에 대하여 1~3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천궁(Cnidium officinale Makino)은 코니딜리드, 네오크니딜리드, 리구스틸리드, 크니디움산, 크니디움산에테르, 세다논산, 쿠마린, 만니톨 등을 주요성분으로 포함하며 혈액순환 개선작용, 및 항균작용이 우수한 약재로 알려져 있다. 천궁은 한방에서 뿌리줄기가 항균, 진정, 진통, 강장에 효능이 있어, 두통, 빈혈증, 부인병 등에 사용한다. 또한 천궁은 모발 및 피부에 적용시 피부조직 재생, 각질제거, 피부 진정 작용이 있고, 당귀와 같이 보혈과 혈액순환을 잘 되게 해주어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효과가 우수하고, 보습력을 강화하며, 건성피부를 윤택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당귀와 같이 쓰면 약효가 2배로 증대되며, 다른 약재의 효능을 더욱 강화시키고, 적은 양으로도 큰 기능을 발휘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두피 케어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한약추출액을 제조하기 위해 천궁은 물 300 중량부에 대하여 1~3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중량부 미만을 사용할 경우에는 혈액순환 개선, 모발 보습,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없으므로 바람직하지 않고, 3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그 약리효과에 비하여 비용이 많이 증가하고, 다른 한약재와의 약리효과의 조화에도 바람직하지 않은바 상기 범위의 함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두피 케어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한약추출액을 제조하기 위해 약쑥은 물 300 중량부에 대하여 1~3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약쑥은 항암, 살균, 독소분해, 정혈, 혈관의 수축이완을 좋게 하는 작용을 하고 면역 기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비타민 A, B1, B2, C, 칼슘, 칼륨, 인, 단백질, 미네랄 등이 풍부한 알카리성 약재로 피를 맑게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초강목 15권에 환부의 해열과 악종 등의 피부질환에 효과가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특히 두피가 불결한 상태로 되어 있거나 비듬이 축적됨으로써 번식된 세균으로 인하여 발생된 종양 등의 치료에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두피 케어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한약추출액을 제조하기 위해 약쑥은 물 300 중량부에 대하여 1~3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중량부 미만을 사용할 경우에는 두피 청결 및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없으므로 바람직하지 않고, 3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그 약리효과에 비하여 비용이 많이 증가하고, 다른 한약재와의 약리효과의 조화에도 바람직하지 않은바 상기 범위의 함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두피 케어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한약추출액을 제조하기 위해 숙지황은 물 300 중량부에 대하여 1~3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숙지황은 예로부터 보혈, 보음의 명약이라 불리며, 숙지황, 당귀, 천궁을 함께 쓰면 조혈작용이 있어 빈혈에 좋고, 대표적인 혈을 보하는 약으로서 간과 신을 보호하는 효능이 있으며, 성장 호르몬과 골수를 보충하고, 수염과 모발을 검게 하는 효능이 탁월하다. 또한, 숙지황은 혈당량을 줄이고 중추신경계통을 흥분시켜 혈압을 높이며, 이뇨작용, 심장수축작용이 있어서 보혈약, 강장약, 이뇨촉진제로 쓰이며, 신장 보호 약, 빈혈, 병후쇠약, 자궁출혈, 결핵성 쇠약에도 사용된다.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두피 케어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한약추출액을 제조하기 위해 숙지황은 물 300 중량부에 대하여 1~3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중량부 미만을 사용할 경우에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없으므로 바람직하지 않고, 3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그 약리효과에 비하여 비용이 많이 증가하고, 다른 한약재와의 약리효과의 조화에도 바람직하지 않은바 상기 범위의 함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두피 케어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한약추출액을 제조하기 위해 백작약은 물 300 중량부에 대하여 1~3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백작약은 모란과 Paeoniaceae에 속한 Paeonia Lactiflora 품종으로서, 한방에서는 뿌리를 씻은 뒤 말린 것 또는 끓는 물에 담갔다 꺼낸 뒤 말린 것을 작약 또는 백작약이라고 하고, 특히 작약의 뿌리를 적작약이라 하며, 작약 뿌리의 껍질을 벗긴 것은 백작약이라고 한다. 백작약의 뿌리는 진통, 복통, 토혈, 빈혈, 타박상 등의 약재로 쓰였다. 또한, 화장품 원료로서 피부 미백과 항산화 등 다양한 효능과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두피와 모발에서는 모발을 외부의 손상으로부터 보호하고, 두피에 보습을 제공해 주며, 모발 성장을 유도하고 가려움과 비듬을 억제하는 효능과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두피 케어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한약추출액을 제조하기 위해 백작약은 물 300 중량부에 대하여 1~3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중량부 미만을 사용할 경우에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없으므로 바람직하지 않고, 3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그 약리효과에 비하여 비용이 많이 증가하고, 다른 한약재와의 약리효과의 조화에도 바람직하지 않은바 상기 범위의 함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두피 케어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한약추출액을 제조하기 위해 측백엽은 물 300 중량부에 대하여 1~3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백엽은 혈열을 내려주어 두피염, 항균, 방부, 탈모방지 및 발모효과가 있고, 차가운 성질로 인해 열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탈모를 치료하고 모발을 검게 하며 모발을 나게 한다.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두피 케어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한약추출액을 제조하기 위해 측백엽은 물 300 중량부에 대하여 1~3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중량부 미만을 사용할 경우에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없으므로 바람직하지 않고, 3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그 약리효과에 비하여 비용이 많이 증가하고, 다른 한약재와의 약리효과의 조화에도 바람직하지 않은바 상기 범위의 함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두피 케어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한약추출액을 제조하기 위해 상백피는 물 300 중량부에 대하여 1~3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백피는 뽕나무(Morus alba L.) 및 동속 근속식물 근피의 코르크층을 제거한 것으로, 겨울에 뿌리를 캐내 깨끗이 씻어 신선할 때 코르크층을 벗겨내고 세로로 갈라서 나무망치로 두드려 목부와 피부를 분리시켜 백피만 취한 것이다. 상기 상백피의 맛은 달고, 성질은 차다. 주요 성분으로는 움벨리페론(Umbelliferone), 스코폴레틴(Scopoletin), 플라보노이드(Flavonoid) 성분의 모루신(Morusine), 멀베린(Mulberrin), 멀베로크로멘(Mulberrochromene), 시클로멀베린(Cyclomulberrin), 시클로멀베로크로멘(Cyclomulberrochromene)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아세틸콜린(Acetyl Choline)과 작용이 유사한 항염성분이 함유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항암제인 시타라빈(Cytarabine)에 의해 유도한 성분이 탈모에 있어서도 모낭수를 증가시키고 육모를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이는 상백피 중 플라보놀계 화합물에 의한 효과임이 입증되었다.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두피 케어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한약추출액을 제조하기 위해 상백피는 물 300 중량부에 대하여 1~3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중량부 미만을 사용할 경우에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없으므로 바람직하지 않고, 3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그 약리효과에 비하여 비용이 많이 증가하고, 다른 한약재와의 약리효과의 조화에도 바람직하지 않은바 상기 범위의 함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두피 케어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한약추출액을 제조하기 위해 한련초는 물 300 중량부에 대하여 1~3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련초는 젊은 사람의 상열(上熱)로 인한 탈모에 적합하며 열을 내리고 지혈효과가 우수하며, 항균, 항염, 항곰팡이 효과가 있고, 피를 맑게 하고 면역기능을 강화시키며, 종기와 가려움증의 치료에 좋다. 특히, 한련초는 수염과 흰머리를 검게하고,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두피 케어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한약추출액을 제조하기 위해 한련초는 물 300 중량부에 1~3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중량부 미만을 사용할 경우에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없으므로 바람직하지 않고, 3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그 약리효과에 비하여 비용이 많이 증가하고, 다른 한약재와의 약리효과의 조화에도 바람직하지 않은바 상기 범위의 함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두피 케어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한약추출액을 제조하기 위해 감초는 물 300 중량부에 대하여 1~2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초는 대표적인 한방약재로 독성물질의 해독에 좋고, 허약한 비위기능을 도우며, 72종의 광물성약, 1200종의 약초들의 각 성분이 조화를 이루게 한다. 또한, 피로회복, 소염, 대장균 번식 억제, 세포 생성, 노화방지에 효과가 있다. 감초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주성분으로는 글리시리진, 글라브라산, 플라보노이드, 샤포나레틴 등이 있다. 감초에는 항염작용, 조직수복작용, 피지조절, 해독작용, 약성 조화(중화제) 등의 기능이 있으며, 특히 두피를 건강하게 유지해 준다. 콩과식물인 감초의 뿌리와 근경이며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다. 글리시리진은 글리시르헥산(glycyrrhetic acid)의 2-글루쿠로나이드로서 감초의 단맛 성분이다. 감초의 추출물은 티로시나이제의 작용을 억제하는 기능이 있어 멜라닌 합성을 방해하는 효능을 가졌으며 색소제거제로서는 코직산이나 비타민C 보다 매우 큰 효능이 있음이 밝혀졌다. 해독작용 및 염증을 제거하는 천연 항생제로써 유명한 감초는 여드름, 습진에 좋으며 세포재생, 소염, 진정작용이 있어 기능성 한방화장품의 원료로 빠지지 않는다. 또한 모발 및 피부에 적용시 피부를 진정, 보호하고 영양을 공급하여. 피부를 윤택하게 한다. 화장품의 유독물질을 중화하여 제거하거나 낮추고 모든 약물과 조화를 이루게 한다.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두피 케어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한약추출액을 제조하기 위해 감초는 물 300 중량부에 대하여 1~2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중량부 미만을 사용할 경우에는 그 효과를 얻을 수 없으므로 바람직하지 않고, 2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그 약리효과에 비하여 비용이 많이 증가하고, 다른 한약재와의 약리효과의 조화에도 바람직하지 않은바 상기 범위의 함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두피 케어 조성물은 게르마늄 원소 보충과 혈행개선효과, 영양 보충에 의한 탈모방지효과, 발모촉진 및 양모효과, 한약재료 간의 상호보완작용효과를 갖는다. 이하에서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첫째,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두피 케어 조성물은 게르마늄 원소 보충과 혈행 개선효과가 있다.
모근에 공급되는 모든 물질 및 산소는 다 혈액을 통해 공급되기 때문에 모근으로의 혈액 공급은 모발 성장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탈모를 치료할 때는 활혈(活血), 행혈(行血)을 시켜 주는 한약재와 탈모가 생긴 국소 부위에 혈관의 운동을 촉진시켜 혈액 순환량을 늘려주고 혈관을 확장시켜 혈액 공급을 늘려주는 역할을 하는 약재를 써야한다. 한편, 모발이 성장할 수 있도록 영양을 운반하는 역할을 하는 모세혈관은 자율신경의 영향을 받아 확대되거나 축소되는데 자율신경 조절의 이상으로 인해 모세혈관이 축소되면 영양 공급이 약해지므로 성장기를 단축시키고 탈모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는 게르마늄의 보충과 혈행개선 효과를 얻기 위해 유기 게르마늄의 공급원으로 하수오를 사용하고, 활혈(活血)을 위해 당귀를 사용하며, 청혈(淸血)을 위해 당귀, 한련초, 약쑥을 사용하고, 혈액순환을 촉진하게 하기 위해 인삼, 당귀, 천궁, 솔잎, 하수오, 구기자, 백작약을 사용하여 그 추출액을 탈모방지 및 발모용 두피 케어 조성물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둘째,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두피 케어 조성물은 영양 보충에 의한 탈모방지효과가 있다.
모발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주원료인 단백질(18종의 아미노산)과 비타민, 미네랄 등이 필수 영양소이다. 단백질은 보통의 식사를 통해 충분히 보충할 수 있으나 세포 내에서 효소의 작용을 도와 신진대사를 증진시키는 비타민, 미네랄이 부족하면 탈모를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는 영양 보충을 통한 탈모방지효과를 얻기 위해 3대 명약이라 불리는 하수오, 인삼, 구기자와 보혈제로 사용되는 당귀, 하수오, 숙지황을, 사물탕의 재료로 사용되는 당귀, 숙지황, 천궁, 백작약을 사용하여 그 추출액을 탈모방지 및 발모용 두피 케어 조성물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셋째,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두피 케어 조성물은 발모촉진 및 양모효과가 있다. 하수오, 구기자, 숙지황, 측백엽, 상백피를 포함하여 탈모를 방지하고, 솔잎, 측백엽, 상백피, 한련초를 포함하여 발모를 촉진하며, 상기에서 설명한 게르마늄의 보충, 혈행개선 및 영양보충 약재에 의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약재의 상승 작용효과가 있는 것이다.
넷째,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두피 케어 조성물은 한약재의 상호보완에 의한 조화로운 작용효과를 가지고 있다. 각 약재마다 함유하고 있는 성분의 차이로 인하여 각 약재는 서로 다른 작용을 하고, 그 성질도 서로 상이하므로 적은 양으로 최대의 효과를 보려면 약재 간의 조화로운 사용 및 적정한 양의 사용이 중요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는 게르마늄의 보충과 혈행개선 효과를 얻기 위해 유기 게르마늄의 공급원으로 하수오를 사용하고, 3대 명약이라 불리는 하수오, 인삼, 구기자와 보혈제로 사용되는 당귀, 하수오, 숙지황을, 사물탕의 재료로 사용되는 당귀, 숙지황, 천궁, 백작약을 적정량을 사용하여 각 약재 성분이 적절한 조화를 이룸으로 인해 각 약재가 적은 양으로도 최대의 효과를 볼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두피 케어 조성물에 사용된 각 약재의 효과 및 상호보완 작용은 도 1에 도시된 내용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은 하수오, 인삼, 구기자, 솔잎, 당귀, 천궁, 약쑥, 숙지황, 백작약, 측백엽, 상백피, 한련초, 감초를 포함하는 한약재 혼합물의 한약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용 두피 케어 조성물을 이용한 헤어 제품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두피 케어 조성물을 이용한 헤어 제품에 대해서 자세히 기술한다.
먼저, 본 발명은 헤어 제품으로 하수오, 인삼, 구기자, 솔잎, 당귀, 천궁, 약쑥, 숙지황, 백작약, 측백엽, 상백피, 한련초, 감초를 포함하는 한약재 혼합물의 한약추출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용 샴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샴푸는 하수오, 인삼, 구기자, 솔잎, 당귀, 천궁, 약쑥, 숙지황, 백작약, 측백엽, 상백피, 한련초, 감초를 포함하는 한약재 혼합물의 한약추출액 60~85 중량부, 계면활성제 10~30 중량부, 첨가제 5~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계면활성제로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가 있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솔비트지방산에스테르, POE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POE 알킬에테르, POE 지방산에스테르, POE 경화피마자유, POE 피마자유, POEㆍPOP(폴리옥시에틸렌ㆍ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POEㆍPOP 알킬에테르,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라우린산알카놀아미드, 알킬아민옥시드, 수소첨가대두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소듐 라우릴 술페이트, 암모늄 라우릴 술페이트, 암모늄 라우레트 술페이트, 소듐 라우레트 술페이트, 소듐 트리데세트 술페이트, 암모늄 세틸 술페이트, 소듐 세틸술페이트, 암모늄 코코일 이세티오네이트, 소듐 라우로일 이세티오네이트, 소듐 라우로일 락틸레이트, 트리에탄올아민 라우로일 락틸레이트, 소듐 카프로일 락틸레이트, 소듐 라우로일 사르코시네이트, 소듐 미리스토일 사르코시네이트, 소듐 코코일 사르코시네이트, 소듐 라우로일 메틸 타우레이트, 소듐 코코일 메틸 타우레이트, 소듐 라우로일 굴루타메이트, 소듐미리스토일 글루타메이트 및 소듐 코코일 글루타메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라놀린 유도체 제 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쪽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술포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아미드아민형 등의 양쪽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샴푸는 계면활성제로 상기에 기재된 것을 포함한 두피 또는 모발용 헤어 제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공지의 계면활성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순식물성 성분이면서 저자극성인 올리브 계면활성제, 코코베타인 계면활성제, 애플 계면활성제, 코룸 계면활성제, 라우릴글로코사이드 계면활성제, 코코글루코사이드 계면활성제, 코나코파 계면활성제, LES 계면활성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10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시 세척작용이 약하고, 30 중량부 이상 사용시 두피에 자극이 될 수 있는바 10~3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첨가제는 방부제, 항산화제, 금속이온봉쇄제(Chelating Agent) 등의 보존제와 보습제, 산도조절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샴푸는 방부제 또는 살균제로 두피 또는 모발용 헤어 제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공지의 방부제를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두피에 순하고 자극이 적은 천연성분인 나트로틱스(Natrurotics), 멀티 나트로틱스(Multi naturotics), 천연방부제, 천연한방방부제나 데하이드로 아세틱 애시드(Dehydroacetic acid), 포타슘 소르베이트(Potassium Sorbate)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샴푸는 항산화제로 두피 또는 모발용 헤어 제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아미노산(예를 들면, 글라이신, 히스티딘, 티로신, 트립토판) 및 이들의 유도체, 이미다졸(예를 들면, 유로칸산) 및 유도체, 펩타이드, 예컨대 D,L-카르노신, D-카르노신, L-카르노신 및 유도체(예를 들면, 안세린), 토코페롤 및 유도체(예컨대, 비타민-E-아세테이트), 천연 비타민 E, 비타민 A 및 유도체의 혼합물(비타민-A-팔미테이트 및 -아세테이트), 프로폴리스 등의 공지의 항산화제를 사용할 수 있으나, 더욱 바람직하게는 토코페롤, 프로폴리스 같은 천연 성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샴푸는 금속이온봉쇄제(Chelating Agent)로 두피 또는 모발용 헤어 제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EDTA-2NA, 테트라소듐 이미노디석시네이트(Tetrasodium Iminodisuccinate), 소듐피테이트(Sodium Phytate), 트리소듐포스페이트(Trisodium Phosphate), 파이틱 애시드(phytic acid) 등의 공지의 금속이온봉쇄제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샴푸는 보습제로 두피 또는 모발용 헤어 제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미네랄 오일, 라놀린, 카프릭/카프릴릭 트라이글리세르알데하이드, 콜레스테롤, 실리콘,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라이콜, 폴리프로필렌 글라이콜,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젖산, 소듐 락테이트, 피롤리돈 카복실산, 우레아, 인지질, 콜라겐, 엘라스틴, 세라마이드, 레시틴 소르비톨, PEG-4 등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두피에 순하고 자극이 적은 천연성분으로 이루어진 천연 아미노산계 습윤제(제품명 : 내츄럴베타인), 실크아미노산, 글리세린, 비타민 계 습윤제(제품명 : 뷰플렉스, 디판테놀), 올리브잎사귀추출물(제품명 : 올리BT)나 듀얼 PD 등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샴푸는 산도조절제로 천연물질에서 추출된 구연산류, 글루콘산류, 호박산, 뉴트럴티 등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샴푸에서 상기 첨가제는 5~1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샴푸는 한약추출액을 물에 희석하지 아니하고 원액 그대로 사용하고 또한 그 함량도 60~85 중량부로 다량 포함하고 있어,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효과가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샴푸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계면활성제 및 보존제, 보습제, 산도조절제 같은 첨가제를 천연에서 추출된 성분을 사용하여 두피 및 모발에 순하고 자극이 없어 지속적 사용시 두피 및 모발상태를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샴푸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순식물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고 그 함량도 시중에서 판매하는 샴푸에 비해 낮으며, 또한, 점증제, 유화제를 포함하고 있지 않아, 일반 시중에서 판매하는 샴푸에 비해 점도가 낮고 거품의 크기가 작으므로 일반 샴푸를 사용해온 사람들이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샴푸를 처음 사용시 다소 익숙치 않은 느낌이 들 수 있으나,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샴푸가 점도가 낮고 거품의 크기가 작다고 하여 두피 및 모발의 세척효과가 일반 샴푸에 비해 결코 낮지 않음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샴푸를 사용시에는 최적의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효과를 얻기 위해 모발을 물로 적시기 전에 적절한 양의 샴푸를 두피 및 모발에 골고루 도포하고 두피 마사지를 2~3분 한 후 미온수로 헹궈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샴푸의 다른 실시예는 하수오, 인삼, 구기자, 솔잎, 당귀, 천궁, 약쑥, 숙지황, 백작약, 측백엽, 상백피, 한련초, 감초를 포함하는 한약재 혼합물의 한약추출액 40~60 중량부에 계면활성제 30~50 중량부, 첨가제 5~1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상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샴푸는 그 점도가 낮고 거품의 크기가 작아, 모발이 긴 여성들에게는 불편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샴푸는 시중의 거품이 많이 생성되는 일반 샴푸를 사용해온 소비자와 모발이 긴 여성들의 기호를 맞추기 위해 계면활성제 중량부를 30~50 중량부로 하고, 첨가제 5~15 중량부로 하여 계면활성제 및 첨가제 중량부를 증가시키고, 그에 따라 한약추출액은 40~60 중량부로 감소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첨가제는 샴푸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부제, 항산화제, 금속이온봉쇄제(Chelating Agent) 등의 보존제, 보습제, 산도조절제, 점증제를 포함한다. 다만 보존제, 보습제, 산도조절제의 종류는 상기 제1실시예의 샴푸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천연성분의 보존제, 보습제, 산도조절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샴푸는 상기 제1실시예의 샴푸와 달리 첨가제로 점증제를 더 포함한다. 두피 또는 모발용 헤어제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점증제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글루카메이트, 폴리스테아레이트, 구아검, 쟁탄검, 폴리쿼터과 같은 천연 성분의 점증제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샴푸에 첨가제로 유화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만약 유화제를 더 넣어 사용할 경우 바람직하게는 올리브리퀴드 같은 천연성분의 유화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샴푸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사용된 한약추출액은 물 300 중량부에 하수오 2~6 중량부, 인삼 1~3 중량부, 구기자 1~2중량부, 솔잎 1~3 중량부, 당귀 1~3 중량부, 천궁 1~3 중량부, 약쑥 1~3 중량부, 숙지황 1~3 중량부, 백작약 1~3 중량부, 측백엽 1~3 중량부, 상백피 1~3 중량부, 한련초 1~3 중량부, 감초 1~2 중량부를 포함하는 한약재 혼합물 14 내지 40 중량부를 넣어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약추출액의 작용효과는 상기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두피 케어 조성물에서 기술한 것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샴푸의 제2실시예는 한약추출액을 물에 희석하지 아니하고 원액 그대로 사용하고 또한 그 함량도 40~60 중량부로 다량 포함하고 있어,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효과가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샴푸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계면활성제 및 보존제, 보습제, 산도조절제, 점증제 같은 첨가제를 천연에서 추출된 성분을 사용하여 두피 및 모발에 순하고 자극이 없어 지속적 사용시 두피 및 모발상태를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샴푸의 제2실시예는 상기 제1실시예의 샴푸에 비해 계면활성제 및 첨가제의 중량이 증가되어 거품이 잘 생기므로 일반 샴푸의 사용에 익숙한 소비자나 모발이 긴 여성들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의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샴푸의 사용방법은 일반 샴푸의 사용방법과 동일하게 모발에 미온수를 적신 후 적절한 양의 샴푸를 두피 및 모발에 골고루 도포하고 2~3분 마사지 후에 미온수로 헹궈내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헤어 제품으로 하수오, 인삼, 구기자, 솔잎, 당귀, 천궁, 약쑥, 숙지황, 백작약, 측백엽, 상백피, 한련초, 감초를 포함하는 한약재 혼합물의 한약추출액 87~97 중량부에 첨가제 3 내지 13 중량부를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용 헤어토닉을 제공한다.
상기 탈모방지 및 발모용 헤어토닉에 사용된 한약추출액은 물 300 중량부에 하수오 2~6 중량부, 인삼 1~3 중량부, 구기자 1~2중량부, 솔잎 1~3 중량부, 당귀 1~3 중량부, 천궁 1~3 중량부, 약쑥 1~3 중량부, 숙지황 1~3 중량부, 백작약 1~3 중량부, 측백엽 1~3 중량부, 상백피 1~3 중량부, 한련초 1~3 중량부, 감초 1~2 중량부를 포함하는 한약재 혼합물 14 내지 40 중량부를 넣어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첨가제는 헤어토닉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부제, 항산화제, 금속이온봉쇄제(Chelating Agent) 등의 보존제, 보습제, 산도조절제, 에센셜오일, 알코올을 포함한다.
상기 첨가제 중 보존제, 보습제, 산도조절제는 상기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샴푸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천연성분의 보존제, 보습제, 산도조절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헤어토닉은 첨가제로 에센셜 오일과 알코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헤어토닉에 사용되는 에센셜 오일로는 그레이프프루트, 네롤리, 니아울리, 레몬그라스, 라벤더, 라임, 로즈, 로즈우드, 로즈마리, 마조람, 만다린, 메이챙, 멜리사, 미르, 바질, 발레리안, 베르가못, 베티버, 블랙페퍼, 사이프러스, 샌달우드, 스피아민트. 시나몬, 시더우드, 시트로넬라, 야로우, 오렌지, 유칼립투스, 일랑일랑, 자스민, 제라늄, 주니퍼, 진저, 카모마일, 캐롯시드, 클라리세이지, 타임, 티트리, 파인, 피톤치드, 팔마로사, 패츌리, 페티그레인, 페퍼민트, 펜넬, 프랑킨센스, 히솝 에센셜 오일 등이 있으나 더욱 바람직하게는 페파민트 에센셜 오일, 스피민트 에센셜 오일 같은 청량감을 주는 에센셜 오일을 사용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헤어토닉에 사용되는 알코올로는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벤질 알코올, 헥실 알코올 등에서 택일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첨가제는 보존제 1~6 중량부, 보습제 1~6 중량부, 에센셜 오일 0.1~0.9 중량부, 알코올 0.1~0.9 중량부를 포함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헤어토닉은 하수오, 인삼, 구기자, 솔잎, 당귀, 천궁, 약쑥, 숙지황, 백작약, 측백엽, 상백피, 한련초, 감초를 포함하는 한약재 혼합물의 한약추출액 87~97 중량부에, 첨가제 3 내지 13 중량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헤어토닉의 대부분의 구성성분이 한약추출액으로 이루어져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효과가 매우 우수하며, 에센셜 오일, 알코올 등의 첨가제를 포함하여 두피에 청량감을 주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헤어 제품으로 샴푸와 헤어토닉을 예를 들어 기술하였으나 이외에도 헤어컨디셔너, 헤어로션, 헤어린스, 헤어트리트먼트, 헤어크림, 헤어팩, 두피팩, 두피로션, 두피크림, 모발염색제, 모발용 웨이브제, 모발 탈색제, 헤어젤, 헤어글레이즈, 헤어 무스, 헤어 스프레이 등의 각종 헤어 제품에 각 제품의 특성에 맞게 상기 한약추출액과 첨가제의 중량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한약추출액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고압추출기에 물 300 중량부와 하수오, 인삼, 구기자, 솔잎, 당귀, 천궁, 약쑥, 숙지황, 백작약, 측백엽, 상백피, 한련초, 감초를 포함하는 한약재 혼합물 14 내지 40 중량부를 넣고 14 내지 25℃에서 10시간에서 15시간 정도 유지하여 한약재를 연화하는 단계(S1); 상기 연화단계(S1) 후 100℃~140℃, 0.15MPa에서 4시간에서 6시간 가열하는 단계(S2); 상기 가열하는 단계(S2) 중 고압추출기의 밸브를 조절하여 고압추출기 내부의 증기를 배출시키는 단계(S3); 상기 가열단계(S2)와 증기배출 단계(S3)를 거친 후 고압추출기의 내부의 온도가 30℃~40℃가 될 때까지 10~15시간 뜸들이는 단계(S4); 상기 뜸들이는 단계(S4) 후 한약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S5)를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용 한약추출액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한약추출액 제조방법을 각 단계별로 상세히 기술한다.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한약추출액을 제조하기 위해 먼저 하수오, 인삼, 구기자, 솔잎, 당귀, 천궁, 약쑥, 숙지황, 백작약, 측백엽, 상백피, 한련초, 감초를 포함하는 한약재를 각각 계량하여 한약재 혼합물을 준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약재 혼합물은 하수오 2~6 중량부, 인삼 1~3 중량부, 구기자 1~2중량부, 솔잎 1~3 중량부, 당귀 1~3 중량부, 천궁 1~3 중량부, 약쑥 1~3 중량부, 숙지황 1~3 중량부, 백작약 1~3 중량부, 측백엽 1~3 중량부, 상백피 1~3 중량부, 한련초 1~3 중량부, 감초 1~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고압추출기에 물 300 중량부와 상기 한약재 혼합물 14 내지 40 중량부를 넣고 14 내지 25℃에서 10시간에서 15시간 정도 유지시킨다.
상기 한약재 혼합물을 물에 담글 때 추출액 중에 한약재의 잔재나 부유물이 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한약재 혼합물을 한약재 추출보자기에 싸서 물에 침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한약재를 고온에서 추출하기 전에 미리 저온에서 일정 시간 유지시킴으로 인하여 한약재가 연화(軟化)되어 이후의 단계에서 연화된 한약재의 내부 성분이 용액 내로 쉽게 용출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연화단계(S1)를 거친 후 100℃~140℃, 0.15MPa에서 4시간에서 6시간 가열한다(S2). 본 발명에서는 고온(100℃~140℃), 고압(0.15MPa)의 조건하에서 한약재를 추출하므로 저온에서 추출하는 것이 비해 추출시간이 단축되고, 추출시간이 단축됨으로 인해 한약재가 타지 않으며, 또한, 한약재 내부 성분이 용액 내로 충분히 추출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열하는 단계(S2) 중에는 고압추출기의 밸브를 조절하여 고압추출기 내부의 증기를 2~3회 이상 배출시키는 단계(S3)를 거친다.
한약재에는 인체에 유익한 성분도 있지만 유해한 성분도 일정 함유하고 있는데, 상기와 같이 증기를 배출시키는 단계를 통해 고압추출기 내부에서 증발된 유해성분들이 배출되어 최종 한약재 추출액에 포함된 각 약재 추출물의 효능을 더 높일 수 있으며, 추출액의 향과 맛이 순하고 부드러운 효과가 있다.
상기 가열단계(S2)와 증기배출 단계(S3)를 거친 후 고압추출기의 내부의 온도가 30℃~40℃가 될 때까지 10~15시간 뜸들이는 단계(S4)를 거친다.
상기 뜸들이는 단계를 수행함으로 인해 각 한약재의 성분과 고유의 향이 증발 내지 휘발되지 않고, 추출액에 유지, 보존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한약재 혼합물에서 정유성분(essential oil)을 함유하고 있는 하수오, 인삼, 측백엽, 상백피, 천궁, 당귀, 약쑥, 솔잎의 각 정유성분이 추출액에 유지, 보존되게 하기 위해 상기 뜸들이는 단계는 필수적인 것이다. 따라서 상기 뜸들이는 단계를 거친 한약추출액에는 상기 정유성분을 그대로 포함하고 있어 사용시 사용자의 두피와 머리카락에 유분을 제공하여 보습효과 및 코팅 효과가 있는 것이다.
상기 뜸들이는 단계(S4) 후 한약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S5)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한약추출액 제조방법에 의해 추출된 한약추출액의 양은 원료 한약재의 비율, 추출시간, 가열단계 중 증기 배출횟수에 따라 달라지만 물 300 중량부와 한약재 혼합물 14 내지 40 중량부 사용하여 추출시 약 280 내지 290 중량부가 수득되어 매우 높은 수득율을 얻을 수 있다(수득율 : 93 % 이상).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한약추출액의 제조
고압추출기에 하수오 400g, 인삼 200g, 구기자 160g, 솔잎 200g, 당귀 200g, 천궁 200g, 약쑥 200g, 숙지황 200g, 백작약 200g, 측백엽 200g, 상백피 200g, 한련초 200g, 감초 160g를 포함하는 한약재 혼합물을 한약추출보자기에 쌓아 넣고, 물 30kg을 부어 상기 한약재 혼합물을 침적시킨 후 상온에서 12시간 정도 유지시켜 한약재 혼합물을 연화시킨다.
그후 고압추출기의 온도 및 압력설정을 125℃, 0.15MPa로 하고 가열시간은 6시간 이내로 하여 물과 한약재 혼합물을 가열처리한다.
한편, 상기 가열처리 중에 고압추출기의 밸브를 조절하여 고압추출기 내부의 증기를 2~3회 이상 배출시킨다.
5시간 정도 가열처리 후 고압추출기의 가열을 중단하고, 내부의 온도가 30℃~40℃가 될 때까지 10~15시간 뜸들인 후, 고압추출기에서 한약재 혼합물을 내부에 포함하고 있는 한약추출보자기를 제거하고, 고압추출기 내부의 추출액을 적정 용기에 부어 본 발명의 한약추출액을 얻었다. 수득된 한약추출액의 중량은 약 28.5kg 정도였다. 이렇게 제조된 한약추출액을 이용하여 이하의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샴푸, 탈모방지 및 발모용 헤어토닉을 제조하였다.
2. 샴푸의 제조
(1) 샴푸 1 제조
상기 한약추출액 420g, 올리브계면활성제 54g, 코코베타인계면활성제 36g, 코룸계면활성제 42g, 실크아미노산 9g, 네츄럴베타인 9g, 뷰플렉스 9g, 나트로틱스 12g, 프로폴리스 6g, EDTA-2NA 2.4g, 산도조절제를 포함하여 샴푸 1 600g을 제조하였다.
(2) 샴푸 2 제조
상기 한약추출액 300g, LES계면활성제 144g, 코코베타인계면활성제 96g, 실크아미노산 9g, 네츄럴베타인 9g, 디판테놀 12g, 나트로틱스 12g, 프로폴리스 6g, EDTA-2NA 2.4g, 폴리스테아레이트 9g, 산도조절제를 포함하여 샴푸 2 600g을 제조하였다.
3. 헤어토닉의 제조
상기 한약추출액 552g, 실크아미노산 6g, 네츄럴베타인 6g, 뷰플렉스 6g, 나트로틱스 12g, 프로폴리스 9g, EDTA-2NA 2.4g, 알코올 3g, 페파민트 오일 3g, 산도조절제를 포함하여 헤어토닉 600g을 제조하였다.
4.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시험
상기 제조된 샴푸 1, 2와 시중에서 판매되는 일반샴푸(제품명:엘라스틴 볼륨컨트롤 샴푸, 제조원: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및 탈모방지샴푸(제품명:려, 제조원: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를 탈모가 이미 진행된 30~70세 남자 40명을 각 10명씩 A, B, C, D의 네그룹으로 나누어 A그룹에는 본 발명의 샴푸 1, B그룹에는 본 발명의 샴푸 2, C그룹에는 일반샴푸(제품명:엘라스틴 볼륨컨트롤 샴푸, 제조원: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D그룹에는 탈모방지샴푸(제품명:려, 제조원: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를 40일 동안 1일 1회 샴푸하도록 한 후 아래의 시험을 실시하였다.
(1) 두피 상태 및 탈모 감소에 대한 피험자 설문조사
상기 A, B, C, D 그룹에 각 샴푸의 사용 전과 사용 후의 두피 상태 및 탈모 감소에 느낌에 대해 설문한 결과는 아래 표 1과 같다.
설문 내용은 샴푸의 사용 후 두피 가려움증이 줄어들었는지, 사용 후 두피 각질이 줄어들었는지, 사용 후 탈모가 감소하였는지 여부였으며, 설문결과 두피 가려움증 및 두피각질이 줄었고, 탈모가 감소하였다고 응답한 피험자는 아래 표 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샴푸를 사용한 A, B 그룹에서 일반 샴푸 및 타사의 탈모방지샴푸를 사용한 C, D 그룹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았다.
설문내용 A(인원수) B(인원수) C(인원수) D(인원수)
사용 후 두피 가려움증이 줄어들었다. 9명 8명 2명 3명
사용 후 두피 각질이 줄었다. 9명 9명 1명 3명
사용 후 탈모가 감소하였다. 10명 8명 0명 1명
(2) 모발의 인장 강도 비교 실험
모발의 인장 강도 실험이란 모발이 당기는 힘에 의해 끊어지기 전까지 견딜 수 있는 힘을 말하는 것으로써, 상기 A, B, C, D 그룹의 각 피험자의 샴푸의 사용 전과 사용 후의 모발의 인장강도를 측정한 결과는 아래 표 2와 같다.
아래의 인장강도결과는 각 피험자별로 샴푸의 사용 전과 사용 후 각각 10개의 머리카락을 뽑아 측정한 인장강도의 평균값이다.

피험자
A B C D
사용 전 (Kg) 사용 후
(Kg)
사용 전
(Kg)
사용 후
(Kg)
사용 전
(Kg)
사용 후
(Kg)
사용 전
(Kg)
사용 후
(Kg)
1 0.100 0.112 0.080 0.090 0.130 0.120 0.097 0.095
2 0.098 0.140 0.110 0.130 0.090 0.080 0.098 0.088
3 0.097 0.116 0.090 0.100 0.099 0.080 0.120 0.100
4 0.112 0.125 0.080 0.100 0.079 0.079 0.099 0.100
5 0.094 0.153 0.110 0.150 0.120 0.110 0.088 0.087
6 0.088 0.120 0.120 0.140 0.110 0.099 0.094 0.088
7 0.099 0.135 0.079 0.090 0.080 0.080 0.112 0.099
8 0.120 0.165 0.099 0.120 0.090 0.087 0.970 0.070
9 0.098 0.154 0.090 0.110 0.110 0.090 0.098 0.080
10 0.097 0.132 0.130 0.150 0.080 0.070 0.100 0.098
따라서 상기의 결과를 통해 일반샴푸 및 시중의 탈모방지샴푸를 사용한 다른 그룹은 모발의 인장강도의 변화가 거의 없음에 비해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샴푸를 사용한 A, B 그룹의 피험자는 모발의 인장강도가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발모 상태, 모발 영양상태, 세정상태 비교 실험
상기 A, B, C, D 그룹의 피험자의 각 샴푸의 사용 전과 사용 후의 발모 상태, 모발 영양상태, 세정상태를 실험한 결과는 아래 표 3과 같다. 발모 상태, 모발 영양상태, 세정상태는 육안, 돋보기, 현미경으로 새로 나는 모발의 수, 기존 모발 및 새로 자라는 모발의 두께, 두피 상태 등을 살펴본 결과이다.
구분 A(인원수) B(인원수) C(인원수) D(인원수)
발모상태 좋음 9명 8명 1명 2명
보통 1명 1명 2명 4명
변화없음 0명 1명 7명 4명
모발 영양상태 좋음 10명 9명 2명 3명
보통 0명 1명 2명 3명
변화없음 0명 0명 6명 4명
세정상태 좋음 9명 9명 1명 4명
보통 0명 1명 4명 5명
변화없음 1명 0명 5명 1명
또한, 상기 A그룹의 피험자 1인을 대표로 샴푸 1의 사용 전과 사용 40일 후를 촬영한 사진은 각각 도 2 및 도 3으로서,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샴푸를 1일 1회 40일 사용한 것만으로도 우수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효과가 있음을 명확히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시험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두피 케어 조성물인 한약추출액을 일정 함량 함유하고 있는 샴푸는 탈모방지, 발모, 육모 효과와 모발 및 두피상태 개선 등의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용 두피 케어 조성물인 한약추출액을 함유하는 헤어샴푸, 헤어토닉을 포함한 기타 헤어 제품도 상기의 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낼 것임은 본원 출원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물 300 중량부와 하수오, 인삼, 구기자, 솔잎, 당귀, 천궁, 약쑥, 숙지황, 백작약, 측백엽, 상백피, 한련초, 감초를 포함하는 한약재 혼합물 14 내지 40 중량부를 넣고 14 내지 25℃에서 10시간에서 15시간 정도 유지하여 한약재를 연화하는 단계(S1);
    상기 연화단계(S1) 후 100℃~140℃, 0.15MPa에서 4시간에서 6시간 가열하는 단계(S2);
    상기 가열하는 단계(S2) 중 고압추출기의 밸브를 조절하여 고압추출기 내부의 증기를 배출시키는 단계(S3);
    상기 가열단계(S2)와 증기배출 단계(S3)를 거친 후 고압추출기의 내부의 온도가 30℃~40℃가 될 때까지 10~15시간 뜸들이는 단계(S4);
    상기 뜸들이는 단계(S4) 후 한약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S5)를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용 한약추출액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한약재 혼합물은 하수오 2~6 중량부, 인삼 1~3 중량부, 구기자 1~2중량부, 솔잎 1~3 중량부, 당귀 1~3 중량부, 천궁 1~3 중량부, 약쑥 1~3 중량부, 숙지황 1~3 중량부, 백작약 1~3 중량부, 측백엽 1~3 중량부, 상백피 1~3 중량부, 한련초 1~3 중량부, 감초 1~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용 한약추출액 제조방법.
KR1020120029008A 2012-03-21 2012-03-21 탈모방지 및 발모용 두피 케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헤어 제품 Expired - Fee Related KR101206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9008A KR101206998B1 (ko) 2012-03-21 2012-03-21 탈모방지 및 발모용 두피 케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헤어 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9008A KR101206998B1 (ko) 2012-03-21 2012-03-21 탈모방지 및 발모용 두피 케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헤어 제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6998B1 true KR101206998B1 (ko) 2012-11-30

Family

ID=47565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9008A Expired - Fee Related KR101206998B1 (ko) 2012-03-21 2012-03-21 탈모방지 및 발모용 두피 케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헤어 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6998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545B1 (ko) * 2016-03-30 2016-10-05 광덕에스씨 (주) 발모효과 및 탈모방지 효과가 증진된 천연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두발세정제
KR101687749B1 (ko) 2015-06-18 2016-12-19 주식회사 기린화장품 거품형 샴푸
KR101715076B1 (ko) * 2015-09-18 2017-03-10 전순호 석창포를 주재료로 하는 기능성 샴푸 및 그 제조방법
KR102041995B1 (ko) * 2019-05-31 2019-11-08 주식회사 모셀 로즈마리 커피 한약재를 이용한 두피질환 개선 및 탈모방지 발모기능이 있는 분말형 천연한방샴푸 및 그 제조방법
KR102051521B1 (ko) * 2018-07-03 2019-12-03 차혜영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200099493A (ko) * 2019-02-14 2020-08-24 김창호 탈모 예방을 위한 천연 한방 헤어 에센스의 제조방법
CN113893210A (zh) * 2021-10-12 2022-01-07 周媛 一种防脱发洗发水制备工艺
KR20220070676A (ko) 2020-11-23 2022-05-31 김은실 천연약재 달인 물을 이용한 경피용 영양액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660B1 (ko) 2006-03-08 2007-10-0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모발 성장 촉진 조성물
KR100822835B1 (ko) * 2007-10-22 2008-04-16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두피 및 모발 개선을 위한 생약재 추출물 및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660B1 (ko) 2006-03-08 2007-10-0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모발 성장 촉진 조성물
KR100822835B1 (ko) * 2007-10-22 2008-04-16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두피 및 모발 개선을 위한 생약재 추출물 및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7749B1 (ko) 2015-06-18 2016-12-19 주식회사 기린화장품 거품형 샴푸
KR101715076B1 (ko) * 2015-09-18 2017-03-10 전순호 석창포를 주재료로 하는 기능성 샴푸 및 그 제조방법
KR101662545B1 (ko) * 2016-03-30 2016-10-05 광덕에스씨 (주) 발모효과 및 탈모방지 효과가 증진된 천연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두발세정제
KR102051521B1 (ko) * 2018-07-03 2019-12-03 차혜영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200099493A (ko) * 2019-02-14 2020-08-24 김창호 탈모 예방을 위한 천연 한방 헤어 에센스의 제조방법
KR102274948B1 (ko) 2019-02-14 2021-07-08 김창호 탈모 예방을 위한 천연 한방 헤어 에센스의 제조방법
KR102041995B1 (ko) * 2019-05-31 2019-11-08 주식회사 모셀 로즈마리 커피 한약재를 이용한 두피질환 개선 및 탈모방지 발모기능이 있는 분말형 천연한방샴푸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70676A (ko) 2020-11-23 2022-05-31 김은실 천연약재 달인 물을 이용한 경피용 영양액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3893210A (zh) * 2021-10-12 2022-01-07 周媛 一种防脱发洗发水制备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6998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용 두피 케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헤어 제품
KR101509608B1 (ko) 두피 및 모발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263181B1 (ko) 발모촉진 양모 및 탈모방지용 두피 케어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샴푸
KR101373636B1 (ko) 천연물 복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CN102805722B (zh) 一种含天然成分提取物的嫩白精华乳液及其制备方法
KR100893106B1 (ko) 발모용 조성물
CN105616283A (zh) 一种植物精粹修护面霜
KR102025250B1 (ko) 소리쟁이 조성물을 이용한 탈모방지, 발모촉진 및 지루성 피부염 치료 샴푸의 제조방법
CN108938513B (zh) 一种清肤祛痘美颜霜及其制备方法
KR102506318B1 (ko) 소리쟁이를 함유한 지루성두피염 및 탈모완화용 샴푸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소리쟁이를 함유한 지루성두피염 및 탈모완화용 샴푸
KR20180137101A (ko) 마사지용 화장료 조성물
CN108653013A (zh) 一种植物保湿水润晒后修复霜及其制备方法
KR101196523B1 (ko) 천연물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발모제 조성물
CN105125472B (zh) 一种含有天然提取物的滋养乌发洗发膏及其制备方法
CN107412095A (zh) 魔瘦纤体配方、制备方法及使用方法
KR101307718B1 (ko) 아토피, 여드름 및 건선 피부 개선용 한방 비누
CN114146014B (zh) 一种复方烟酸薄荷酯植物多糖乳膏及其制备方法
KR100701606B1 (ko)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633380B1 (ko) 특정 생약추출 혼합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용 한방화장료 조성물
CN105662970B (zh) 一种滋养发根去油去屑乳液及其制备方法
US20160367473A1 (en) Hair loss prevention and restoration solution
CN111973523A (zh) 一种马齿苋抗敏修护面膜及其制备方法
KR101944259B1 (ko) 천연소재를 이용한 발모제 조성물
KR101163069B1 (ko) 주름 및 잡티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94437B1 (ko)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샴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2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2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6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1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11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5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1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