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5185B1 - Sandals with improved usability - Google Patents
Sandals with improved usabilit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05185B1 KR101205185B1 KR1020100069546A KR20100069546A KR101205185B1 KR 101205185 B1 KR101205185 B1 KR 101205185B1 KR 1020100069546 A KR1020100069546 A KR 1020100069546A KR 20100069546 A KR20100069546 A KR 20100069546A KR 101205185 B1 KR101205185 B1 KR 10120518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window
- insole
- sandals
- foot
- window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2—Sandals; Strap guides thereon
- A43B3/122—Sandals; Strap guides thereon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of the strap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2—Sandals; Strap guides thereon
- A43B3/126—Sandals; Strap guides thereon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layout of the strap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2—Sandals; Strap guides thereon
- A43B3/128—Sandals; Strap guides thereon characterised by the sole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본인의 발에 맞는 깔창으로의 교체가 용이하고, 보행 시 안정감을 보장하며, 발의 피로도를 대폭 줄일 수 있고, 티눈 등의 돌출 또는 상처 부위를 보호할 수 있으며, 걸림끈과 갑피와의 상호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사용편리성이 향상된 샌들에 관한 것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용편리성이 향상된 샌들은, 본창; 상기 본창 상부에 배열되는 깔창; 및 상기 본창에 결합되어 발등을 감싸게 되는 갑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본창 상부에 상기 깔창 삽입을 위한 수용공간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공간부 상단 둘레를 따라 안쪽으로 확장된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수용공간부에 상기 깔창이 억지끼움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replaced with the insole that fits the user's foot, ensures stability when walking,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fatigue of the foot, can protect the protruding or wound area of the corn, etc.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sandals with improved ease of use that can be easily combined and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order to implement this, sandals with improved us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window; An insole arranged above the main window; And an upper coupled to the main window to wrap the instep, wherein the upper part of the main window has an accommodation space for inserting the insole, and an engaging portion extending inward along an upper circumference of the accommodation space is formed. Ther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ole is fixed to the receiving space by interference fit.
Description
본 발명은 나무, 가죽, 비닐 등으로 바닥을 만들고 이를 가느다란 끈으로 발등에 매어 신게 만든 샌들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깔창 교체, 안정감 제공, 발의 피로도 절감, 티눈 등의 돌출 또는 상처 부위 보호, 걸림끈과 갑피 결합 및 분리 용이 등을 위한 사용편리성이 향상된 샌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sandals made of wood, leather, vinyl, etc. and made to be worn on a foot with a thin strap. Specifically, the insole is replaced, providing a sense of stability, reducing foot fatigue, protecting a projecting or wounded area such as cor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sandals with improved ease of use for easy engagement and separation of the strap and upper.
슬리퍼 등을 포함하는 샌들에 관한 기술로는,In the technique about the sandals including slippers,
대한민국실용신안공개 제20-1997-015922호(1997.05.23.공개, 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함) 『조립슬리퍼』가 제시되어 있는바,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1997-015922 (published on May 23, 1997, hereinafter referred to as `` advanced technology '') `` Assembling slippers '' is presented,
상기 선행기술은 합성수지제 슬리퍼의 바닥창의 사방 둘레에 결합홈을 형성하고 합성수지제의 슬리퍼 밴드가 일체로 형성된 슬리퍼의 테를 형성하여 테의 상단부가 결합홈에 삽입되게 바닥창을 테에 일체로 결합하여 이루어진 기술이다.
The prior art forms a coupling groove around all four sides of the sole of the slippers made of synthetic resin and forms a rim of the slippers in which the slipper band of synthetic resin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sole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rim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It is a technique made by.
상기 선행기술은 슬리퍼의 바닥창 상면에 배수나 통기, 지압 등을 위한 여러 가지 돌출구조를 형성할 수 있고, 밴드가 일체로 된 슬리퍼의 테를 바닥창과 결합하면 밴드가 일체로 된 슬리퍼가 되어 외관이 보기 좋아 상품가치가 높으며, 슬리퍼를 신고 다닐 때 밴드가 절단되거나 빠지는 일이 없이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신을 수 있게 한 조립슬리퍼를 제공한다.The prior art can form various protrusion structures for drainage, aeration, acupressure, etc.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ole of the slipper, and when combined with the sole of the sole of the band, the band becomes an integrated slipper It looks good and has a high value, and it provides an assembly slipper that makes it safer and more convenient to wear when slippers are worn.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사용자 본인의 발, 특히 발바닥 형상에 맞는 바닥창으로 교체가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However, the prior art has a problem that it is impossible to replace the sole to fit the shape of the foot of the user, in particular the sole of the user.
또 상기 선행기술은 보행 시 발의 아치(arch)를 기준으로 구부려졌다 펴졌다를 반복하게 되므로 통상 합성수지제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는 뒤발바닥을 지지하게 되는 영역의 변형 또한 쉬워 보행 시 안정감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the prior art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because it is repeatedly bent and stretched on the basis of the arch (arch) of the foot during walking, which is also easy to deform the area supporting the back of the foo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tability of walking is poor.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용편리성이 향상된 샌들은,Sandals with improved ease of 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창;Main window;
상기 본창 상부에 배열되는 깔창; 및An insole arranged above the main window; And
상기 본창에 결합되어 발등을 감싸게 되는 갑피;The upper is coupled to the main window wraps around the instep;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 / RTI >
상기 본창 상부에 상기 깔창 삽입을 위한 수용공간부가 형성되어 있고,An accommodation space for inserting the insole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window,
상기 수용공간부 상단 둘레에 안쪽으로 확장된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수용공간부에 상기 깔창이 억지끼움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locking portion extending inwardly is formed around the upper end of the accommodation space, so that the insole is fixed to the accommodation space by interference fit.
그리고 상기 본창은 뒤발바닥을 지지하게 되는 위치에 경질(硬質)의 플레이트가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the main window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ard plate is built in a position to support the bottom of the foot.
그리고 상기 본창은 뒤발바닥을 지지하게 되는 위치에 쿠션부재가 구비되되,And the main window is provided with a cushion member in a position to support the bottom of the foot,
상기 쿠션부재는 하부에 다수의 철부(凸部)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ushion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iron (부 部) is formed at the bottom.
한편,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 사이를 지나 상기 본창에 연결되고 단부(端部)에 단추결합부를 갖는 걸림끈을 더 포함하고,On the other hand, passing through the big toe and index toe further comprises a locking strap connected to the main window and having a button coupling portion at the end,
상기 갑피에는 상기 걸림끈의 단추결합부를 용이하게 끼워 고정하기 위한 T자형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upp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shaped cutout is formed to easily fit the button engaging portion of the locking strap.
본 발명에 따른 사용편리성이 향상된 샌들은,Sandals with improved us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첫째, 사용자 본인의 발에 맞게 선택한 깔창이나 맞춤형 깔창 등으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가장 큰 효과가 있다.First, there is the greatest effect that can be easily replaced with insoles or customized insoles selected for the user's feet.
둘째, 본창 내에 경질의 플레이트를 내장하여 보행 시 안정감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econ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guarantee a sense of stability when walking by embedding a hard plate in the main window.
셋째, 깔창에 뒤발바닥을 지지하는 쿠션부재를 마련하여 발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ird, by providing a cushion member for supporting the back of the sole on the insol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reduce the fatigue of the foot.
넷째, 깔창 하부에 각각의 발가락, 앞발바닥 및 뒤발바닥에 대응되는 다수의 단위패드로 이루어진 탄성패드부재를 마련하여 발의 피로도를 줄이고, 특히 티눈 등의 돌출부위나 상처부위 등에 해당하는 단위패드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ourth, to reduce the fatigue of the foot by providing an elastic pad member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unit pad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toe, forefoot and back of the foot in the lower part of the insole, in particular to remove the unit pad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s or wounds, such as corns It can be effective.
다섯째,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 사이를 지나는 걸림끈과, 이와 갑피와의 결합을 위한 T자형 절개부를 마련하여 걸림끈과 갑피와의 상호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분리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Fifth, by providing a T-shaped incision for coupling between the big toe and index toe, and the upper and the upper to facilitate the mutual coupling between the strap and the upper, as well as easy separation.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샌들에 있어 왼발용 샌들에서 수용공간부 및 걸림부를 나타내기 위한 분해 입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단면 구성도,
도 3은 본창 내에 플레이트가 내장된 것을 나타낸 단면 구성도,
도 4는 깔창에 쿠션부재가 구비된 것을 나타낸 단면 구성도,
도 5는 깔창에 탄성패드부재가 구비된 것을 나타낸 저면 구성도,
도 6은 걸림끈과 갑피와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입체 구성도,
도 7은 본창에 갑피 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 입체 구성도,
도 8은 중간창이 구비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다른 실시예의 중간창이 구비된 것을 나타낸 도면.1 is an exploded three-dimensional configuration diagram for showing the receiving space and the engaging portion in the sandals for the left foot in sand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FIG.
3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at the plate is built in the main window;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showing that the cushion member is provided on the insole,
5 is a bottom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at the insole is provided with an elastic pad member,
6 is a three-dimensional block diagram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strap and the upper,
Figure 7 is a three-dimensional configuration showing that the upper seating groove is formed in the main window,
8 is a view showing that the middle window is provided,
9 is a view showing that the middle window is provided in another embodim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설명에 앞서, 도 1을 기준으로 깔창 측을 상부 또는 상방, 본창 측을 하부 또는 하방이라 방향을 특정하기로 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the direction of the insole side is referred to as the upper side or the upper side, and the main side side to the lower side or the lower side will be specified.
아울러 도 4의 "A"는 쿠션부재의 저면 입체 구성도이고, 도 5의 "B"는 단위패드 일부를 뜯어낸 것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의 "C"는 걸림끈의 단추결합부와 갑피의 절개부가 상호 결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In addition, "A" of FIG. 4 is a bottom three-dimensional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cushion member, "B" of Figure 5 is a view showing a part of the unit pad removed, "C" of FIG. Figure showing that the cut portions of the mutual coupling.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용편리성이 향상된 샌들은,1 to 9, sandals with improved ease of 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크게 본창(10), 깔창(20) 및 갑피(30)로 이루어진다.It consists of the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Looking at each configuration,
본창(10)은The main window (10)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s. 1 and 2,
발 둘레 형상에 맞게 상응한 형태를 갖는 본체(11),
상기 본체 상부에 요입 형성된 수용공간부(12), 그리고An
상기 수용공간부(12) 상단 둘레에 안쪽으로 확장 형성된 걸림부(13)Hanging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
이때 상기 걸림부(13)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는데,At this time, the
제1 구현예로, 상기 수용공간부(12) 상단 둘레를 따라 연속되게 형성될 수 있고,In a first embodiment, it may be formed continuously along the upper circumference of the
제2 구현예로, 상기 수용공간부(12) 상단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비(非)연속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In a second embodiment, it may be formed non-continuously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upper circumference of the
제3 구현예로, 상기 수용공간부(12) 상단 둘레 중 전방 측 둘레와 후방 측 둘레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In a third embodiment, it may be formed around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upper circumference of the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제3 구현예로 이루어진 걸림부(13)를 도시하였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그리고 상기 본창(10)은 밑바닥에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밑창(14)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And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샌들에서On the other hand, in the sandals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창(10)의 본체(11)는 뒤발바닥을 지지하게 되는 위치에 경질(硬質)의 플레이트(15)가 내장된다. 상기 플레이트(15)는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 상기 본창(10)의 본체(11)에 내장된다.As shown in Figure 3, the
통상 상기 본창(10)은 착용 시 착용감을 높이고, 보행 시 발바닥의 아치(arch : 발바닥에서 움푹 들어간 부위)에 해당하는 영역이 용이하게 구부려졌다 펴졌다 할 수 있도록 연질(軟質)로 이루어지는데,Typically, the
이때 상기 본창(10)에서 뒤발바닥에 해당하는 영역에 상기 플레이트(15)가 내장됨으로서, 뒤발바닥에 해당하는 영역이 쉽게 구부러지는 등의 변형을 방지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그리고 상기 본창(10)은And the
도 4 및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뒤발바닥을 지지하게 되는 위치, 특히 힐센터에 해당하는 위치에 쿠션부재(21)가 구비되되,As shown in Figure 4 and 4 "A", the
상기 쿠션부재(21)는 쿠션 성능 향상을 위해 하부에 다수의 철부(凸部)(211)가 형성된다.
The
깔창(20)은
도 1,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s. 1, 2, 4 and 5,
상기 본창(10) 상부에 배열되는 것으로,To be arranged above the
상기 수용공간부(12)의 둘레 형상에 맞게 상응한 형태로 이루어진다.It is made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ircumferential shape of the receiving
결국 상기 깔창(20)은 상기 걸림부(13)를 지나 상기 수용공간부(12)에 억지끼움으로 고정된다.As a result, the
따라서 상기 깔창(20)은 상기 본창(10)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된다.Therefore, the
일 예로, 상기 본창(10)의 본체(11) 중심 측(즉, 발의 아치(arch)가 위치하게 되는 영역, 이하에서는 '아치서포터'라고 통칭하며, 이의 도면부호를 '23'이라 한다.)이 상부로 융기되는 형태가 되게 전후 양단부(兩端部)를 잡고 꺾게 되면, 상기 수용공간부(12)로부터 상기 깔창(20)을 쉽게 빼낼 수 있다.
For example, the
이때 상기한 '뒤발바닥'이라 함은 발바닥에 있어 움푹 들어간 부위인 아치(arch)와 발꿈치인 힐(heel) 사이의 발바닥을 의미하고, '앞발바닥'은 발가락과 아치 사이의 발바닥을 의미한다.In this case, the "back sole" refers to the sole between the arch and the heel, which is a recessed part of the sole, and the forefoot refers to the sole between the toes and the arch.
아울러 상기한 '힐센터'라 함은 뒤발바닥에 있어 지면과 닿을 때 접촉하게 되는 돌출 부위를 의미한다.In addition, the 'heel center' refers to a protruding portion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in the back of the foot.
그리고 상기 아치서포터(23)는 발의 아치 형상에 맞게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져, 보행 시 발의 아치를 안정적으로 받치게 됨으로서, 발의 피로도를 줄이고 보행 시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And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샌들에서On the other hand, in the sandals according to the invention
상기 깔창(20)은The
도 5 및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탄성패드부재(22)가 구비되되,5 and 5, the
상기 탄성패드부재(22)는 각각의 발가락, 앞발바닥 및 뒤발바닥에 대응되는 다수의 단위패드(221)로 이루어진다.The
이때 상기 각 단위패드(221)는At this time, each
내부패드(221a), 그리고 노치(notch)부(221c)에 의해 상기 내부패드(221a)와 연결되는 외부패드(221b)로 이루어져, 상기 노치부(221c)를 따라 상기 내부패드(221a)의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It consists of an
따라서 착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발에 맞게 필요에 따라 내부패드(221a)를 떼어낼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예를 들어, 티눈이나 사마귀, 굳은 살 등이 난 발가락에 해당하는 위치의 내부패드(221a)를 떼어내 제거함으로서, 보행 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For example, by removing the inner pad (221a) at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rn toe, warts, calluses, etc., the inconvenience of walking can be eliminated.
그리고 상기 깔창(20)은 최초 제작 시 사용자 개인에 맞게 맞춤형 제작될 수 있다.
And the
갑피(30)는
도 1,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s. 1, 6 and 7,
본 발명의 샌들을 착용하고 보행 시 벗겨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본창(10)에 결합되어 발등을 감싸게 되는 것으로,Wearing the sandal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upled to the
상기 본창(10)의 본체(11)와 밑창(14) 사이에 양단부(兩端部)가 각각 끼워진 상태로 고정된다.Both ends are fixed between the
이때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본창(10)의 본체(11) 양측면에 상기 갑피(30) 일부가 끼워지는 안착홈(111)을 형성하고, 접착제 등을 이용해 상기 안착홈(111)에 상기 갑피(30) 일부를 부착함으로서, 상기 본창(10)에 대한 상기 갑피(30)의 결합력 상승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7,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 on both sides of the
그리고 상기 갑피(30) 끝단부가 상기 본창(10)의 본체(11)와 밑창(14) 사이에 부착 고정되면, 밑창(14)이 불룩한 형태가 될 수 있으므로,And when the
본 발명에서는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갑피(30) 끝단부가 삽입되는 다수의 안착공간부(51)를 갖는 중간창(50)을 더 마련하였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8, the
상기 다수의 안착공간부(51)는 갑피(30)의 형상이나 연결 위치에 맞게 다양하게 변형 및 변경 가능할 것이고(일 예로 도 9참조), 상기 중간창(50)은 상기 본창(10)의 본체(11)와 상응한 둘레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lurality of
또 상기 중간창(50)은 상기 갑피(30) 끝단부와 상응한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한편,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샌들은On the other hand, sand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de of the above configuration
땀이나 물기 등으로 인해 발바닥이 쉽게 미끄러져, 발가락이 상기 본창(10) 앞쪽으로 빠져나올 수 있기에,The soles of the feet slip easily due to sweat or moisture, so that the toes can come out of the front of the
이를 방지하고자, 도 6 및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To prevent this, as shown in FIG. 6 and FIG. 6, "C".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 사이에 끼워지는 걸림끈(4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It may further comprise a locking
상기 걸림끈(40)은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 사이를 지나 상기 본창(10)의 본체(11)에 연결되고 단부(端部)에 단추결합부(41)를 갖고,The locking
상기 갑피(30)에는 상기 걸림끈(40)의 단축결합부(41)를 용이하게 끼워 고정하기 위한 T자형 절개부(31)가 형성된다.The upper 30 is formed with a T-shaped
상기 T자형 절개부(31)는 통상의 일자(-)자형에 비해 상기 단축결합부(41)의 끼움이 용이하면서 아울러 일자형에 가까운 결합력을 제공하게 된다.The T-shaped
일자형의 절개부는 결합력이 우수하나 상기 단축결합부(41)를 끼우거나 빼는 데 있어 어려움이 있다. 특히 상기 갑피(30)의 두께가 두껍거나 질긴 소재인 경우 더욱 어려움이 있다.
The straight cutout is excellent in bonding force, but there is a difficulty in inserting or removing the shortened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사용편리성이 향상된 샌들"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description has been made mainly on "sandals with improved ease of use" having a specific shape and structu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본창
11 : 본체 111 : 안착홈
12 : 수용공간부 13 : 걸림부
14 : 밑창 15 : 플레이트
20 : 깔창
21 : 쿠션부재 211 : 철부
22 : 탄성패드부재 221 : 단위패드
221a : 내부패드 221b : 외부패드
221c : 노치부
30 : 갑피
31 : 절개부
40 : 걸림끈
41 : 단추결합부
50 : 중간창
51 : 안착공간부10: Main window
11: body 111: seating groove
12: accommodating space portion 13: locking portion
14: Outsole 15: Plate
20: insole
21: cushion member 211: iron
22: elastic pad member 221: unit pad
221a:
221c: notch
30: upper
31: incision
40: hang strap
41: button coupling portion
50: mid window
51: seating space
Claims (4)
상기 본창(10) 상부에 배열되는 깔창(20); 및
상기 본창(10)에 결합되어 발등을 감싸게 되는 갑피(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본창(10) 상부에 상기 깔창(20) 삽입을 위한 수용공간부(1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공간부(12) 상단 둘레에 안쪽으로 확장된 걸림부(13)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수용공간부(12)에 상기 깔창(20)이 억지끼움으로 고정되며,
상기 본창(10)은 뒤발바닥을 지지하게 되는 위치에 쿠션부재(21)가 구비되되, 상기 쿠션부재(21)는 하부에 다수의 철부(凸部)(211)가 형성되고,
상기 본창(10)은 이의 하부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밑창(14)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본창(10)과 상기 밑창(14) 사이에 중간창(50)이 구비되되, 상기 중간창(50)은 상기 갑피(30)의 양 끝단부가 각각 삽입되도록 양단부에 안착공간부(51)가 형성되고,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 사이를 지나 상기 본창(10)에 연결되고 단부(端部)에 단추결합부(41)를 갖는 걸림끈(40)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갑피(30)에는 상기 걸림끈(40)의 단추결합부(41)를 용이하게 끼워 고정하기 위한 T자형 절개부(3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편리성이 향상된 샌들.Main window 10;
An insole 20 arranged above the main window 10; And
Upper 30 is coupled to the main window 10 to wrap the instep;
, ≪ / RTI >
An accommodation space 12 for inserting the insole 20 is formed on the main window 10,
A locking portion 13 extending inwardly is formed around the upper end of the accommodation space 12 so that the insole 20 is fixed to the accommodation space 12 by interference fit.
The main window 10 is provided with a cushion member 21 in a position to support the bottom of the back foot, the cushion member 21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convex parts (211) at the bottom,
The main window 10 further includes a sole 14 for preventing slipping at a lower portion thereof,
A middle window 50 is provided between the main window 10 and the sole 14, and the middle window 50 has seating space portions 51 formed at both ends thereof so that both ends of the upper 30 are respectively inserted. ,
Passing between the big toe and index toe further comprises a locking strap 40 connected to the main window 10 and having a button engaging portion 41 at the end,
The upper 30 has a T-shaped cutout portion 31 for easily fitting the button engaging portion 41 of the locking strap 40 is formed, characterized in that the ease of use sandal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69546A KR101205185B1 (en) | 2010-07-19 | 2010-07-19 | Sandals with improved usabilit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69546A KR101205185B1 (en) | 2010-07-19 | 2010-07-19 | Sandals with improved usability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8652A KR20120008652A (en) | 2012-02-01 |
KR101205185B1 true KR101205185B1 (en) | 2012-11-27 |
Family
ID=45833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69546A KR101205185B1 (en) | 2010-07-19 | 2010-07-19 | Sandals with improved usabilit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05185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24773B1 (en) * | 2020-04-09 | 2021-03-05 | 채건하 | Midsole with improved ventilation and antibacterial function and shoes containing such midsol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83653B1 (en) * | 2000-09-27 | 2003-05-14 | 이재명 | Shoes Sole |
KR200346303Y1 (en) * | 2003-12-23 | 2004-03-30 | 이선배 | the bottom piece structure of footwear |
KR100731793B1 (en) * | 2007-03-16 | 2007-06-25 | 손대근 | Shoe undercarriage |
-
2010
- 2010-07-19 KR KR1020100069546A patent/KR101205185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83653B1 (en) * | 2000-09-27 | 2003-05-14 | 이재명 | Shoes Sole |
KR200346303Y1 (en) * | 2003-12-23 | 2004-03-30 | 이선배 | the bottom piece structure of footwear |
KR100731793B1 (en) * | 2007-03-16 | 2007-06-25 | 손대근 | Shoe undercarriag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8652A (en) | 2012-02-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056149B2 (en) | Combination sock and shoe | |
US8959796B2 (en) | Footwear | |
US6836979B2 (en) | Shoe structure | |
EP2997843B1 (en) | Supporting plate apparatus for shoes | |
US10631592B2 (en) | Article of footwear | |
US20130255106A1 (en) | Assembled footwear | |
JP2006528519A5 (en) | ||
US20120304493A1 (en) | Fashion Shoe Having A Removable Insole and Footbed Cover | |
US20110314694A1 (en) | Sandal toe post and strap system | |
KR20100050273A (en) | Sandle with a changable insole | |
EP2453770B1 (en) | Article of footwear with thong portion including grooves | |
KR101205185B1 (en) | Sandals with improved usability | |
KR101314663B1 (en) | Unification portable shoese | |
US20210244129A1 (en) | Maternity footwear | |
KR101157454B1 (en) | Socks having simplicity shoes | |
KR101226345B1 (en) | Funtional sole for shoes | |
US20230180883A1 (en) | Footwear system and method having footwear upper linings for cushioning and shock absorption | |
KR101478206B1 (en) | Sneakers Possible to take advantage of slippers. | |
KR200401208Y1 (en) | A Sole Structure of Multi- Purpose Footwear | |
KR200314694Y1 (en) | Shoes having function of slippers | |
KR200495829Y1 (en) | Functional Shoes | |
KR200366524Y1 (en) | Pad for stature-rising socks | |
WO2012110978A1 (en) | An expandable shoe sole | |
KR102068301B1 (en) | self-assembly shoes | |
KR20120014464A (en) | Comfortable insole and sole with comfortable to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7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3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1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11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1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0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1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91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91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