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04809B1 - 운동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운동 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4809B1
KR101204809B1 KR1020107024414A KR20107024414A KR101204809B1 KR 101204809 B1 KR101204809 B1 KR 101204809B1 KR 1020107024414 A KR1020107024414 A KR 1020107024414A KR 20107024414 A KR20107024414 A KR 20107024414A KR 101204809 B1 KR101204809 B1 KR 101204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ffold
footrest
slide
movement
driving mean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4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2065A (ko
Inventor
요이치 시노미야
다카히사 오자와
다카오 고토
가즈히로 오치
나오토 시라사와
마사키 나가노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10002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4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480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4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cantilevered support elements pivoting about an axis
    • A63B22/005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cantilevered support elements pivoting about an axis the pivoting movement being in a vertical plane, e.g. steppers with a horizont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5Moveable platforms, e.g. vibrating or oscillating platforms for standing, sitting, laying or 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55Both knee and hip of a patient, e.g. in supine or sitting position, the feet being moved together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 plane
    • A61H1/0262Walking movement; Appliances for aiding disabled persons to wal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2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 A63B22/201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for moving a support element in reciprocating translation, i.e. for sliding back and forth on a guide track
    • A63B22/203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for moving a support element in reciprocating translation, i.e. for sliding back and forth on a guide track in a horizontal pl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201/1215Rotary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25Particular aspects relating to the orientation of movement paths of the limbs relative to the body; Rel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movements of the limbs
    • A63B2022/0028Particular aspects relating to the orientation of movement paths of the limbs relative to the body; Rel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movements of the limbs the movement path being non-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plane, e.g. support elements moving at an angle to the body-symmetrical-pla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운동 보조 장치는 사용자의 좌우의 발을 각각 탑재하는 좌측 발판 및 우측 발판과, 좌측 발판 및 우측 발판을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왕복 슬라이드 움직임을 제공하는 발판 구동 수단을 포함한다. 발판 구동 수단은 좌측 발판의 후단 측의 높이에 대한 좌측 발판의 전단 측의 높이를 왕복 슬라이드 움직임과 동기시켜 변화시키도록 구성된다. 발판 구동 수단은 좌측 발판과 우측 발판이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우측 발판 및 좌측 발판에 대해 왕복 슬라이드 움직임을 제공하며, 경로는 왕복 슬라이드 이동 스트로크의 양단에서의 양 궤적의 좌우 방향의 간격이 상이하게 된 거리만큼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서로 평행하지 않도록 연장되어 있다.

Description

운동 보조 장치{EXERCISE ASSISTING DEVICE}
본 발명은 사용자의 다리를 운동시키는 운동 보조 장치, 특히 사용자의 다리에 대해 타동 운동(passive exercise)을 시키는 운동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운동 보조 장치는 사용자의 신체에 대하여 외부에서 힘을 가함으로써 사용자의 근육을 신축시키는 타동 운동에 의해 운동 효과를 얻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자발적으로 근력을 발휘하는 것이 아니다.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2003-290386호(특허문헌 1) 및 10-55131호(특허문헌 2)에 운동 보조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1과 2의 장치는 사용자의 다리를 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 장치는 사용자가 서 있는 자세에서 사용하는 것이다. 이 장치에 의해 사용자는 무릎 골관절염의 예방이나 보행 훈련을 목적으로 하여 보행 운동을 모의할 수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훈련 장치는 사용자의 좌우의 발을 각각 탑재하는 한 쌍의 발판을 포함한다. 특허문헌 1의 훈련 장치에서, 좌우 한 쌍의 발판에 전후 좌우의 직진 왕복 운동을 조합한 이동을 부여함으로써, 의사적인 스케이팅 동작을 사용자가 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훈련 장치에서, 전후 이동에서의 좌우 발판의 위상 차를 0도 내지 360도의 범위로 설정된다. 마찬가지로, 좌우 방향에서의 좌우 발판의 위상 차를 0도 내지 360도 범위로 설정된다. 훈련 장치의 시동 직후에는 위상 차를 180도로 하고, 그 후 위상 차를 변화시켜 좌우 발판이 동일한 전후 방향으로 움직이는 기간을 증가시킨다. 좌우 발판은 구동 장치에 의해 이동되므로, 발판에 좌우의 발을 탑재한 사용자가 자발적 또는 능동적으로 운동을 행할 필요가 없으며, 좌우 발판의 이동에 따라 사용자의 다리에 타동 운동을 부여하게 된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훈련 장치는 사용자의 무게 중심을 전후 및 좌우로 변위시키도록 되어 있다. 훈련 장치가 사용자의 무게 중심을 변위시키면, 사용자에게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한 신경계 반사를 생기게 하여, 이러한 신경계 반상에 의해 근육을 신축시키는 것이므로, 중심 위치가 전후 및 좌우로 동시에 변위하도록 발판의 이동 궤적을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설정한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보행 체험 장치는 왼발 보행판, 오른발 보행판, 및 보행판 구동 장치를 포함하며, 좌우 한 쌍의 보행판을 보행판 구동 장치에 의해 구동시키는 동시에, 발의 높이와 발바닥의 경사 각도를 변화시키기 위해 보행판을 전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성도 구비하고 있고, 또한 발의 방향을 변화시키기 위해 좌우의 회전도 가능한 것으로 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훈련 장치는 사용자의 "발의 위치"와 "무게 중심의 위치"를 변위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스케이팅 동작을 하도록 되어 있다. 즉, 특허문헌 1의 훈련장치는 대퇴직근이나 햄스트링을 중심으로 한 근육을 단련시키는 것을 상정하고 있고, 이 때문에 비복근이나 가자미근과 같은 종아리의 근육을 신축시킬 수 있도록, 발판을 짐벌(gimbal)로 지지하여 발판의 경사 각도가 자유롭게 변화하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사용자가 훈련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다리에 근육이 거의 없으면, 안정된 운동을 할 수 없으며, 일반적으로 스케이팅 동작은 무릎에의 부담이 크므로, 무릎 관절염증의 예방을 위한 운동은 가능해도, 무릎 통증이 있는 사용자가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특허문헌 2의 보행 체험 장치는 다리 근육에 "보행시와 같은 신축을 행하게 하는 보행 동작을 모의"한 것을 상정한 것이며, 정맥 흐름의 촉진이라는 점에서는 바람직한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무릎 관절에의 부담은 보행시와 같은 정도이므로, 무릎 통증이 있는 사용자가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이러한 문제 때문에, 종아리 근육의 신축을 촉구하여 다리의 정맥 환류를 촉진하면서, 무릎 통증을 수반하지 않는 보행 체험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장치는 정맥 환류의 재건을 강하게 필요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종아리 근육의 신축을 촉구함으로써 정맥 환류의 촉진을 도모하면서도 무릎에 대한 부담이 적은 타동식의 운동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좌측 발판, 우측 발판, 및 발판 구동 수단을 포함한다. 좌측 발판과 우측 발판은 사용자의 왼발 및 오른발을 각각 탑재하기 위한 것이다. 발판 구동 수단은 좌측 발판 및 우측 발판을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드시키는 왕복 슬라이드 이동을 제공한다. 발판 구동 수단은 좌측 발판의 후단 측의 높이에 대한 좌측 발판의 전단 측의 높이를 왕복 슬라이드 이동과 동기되어 변화시키도록 구성된다. 발판 구동 수단은 우측 발판의 후단 측의 높이에 대한 우측 발판의 전단 측의 높이가 왕복 슬라이드 이동과 동기되어 변화시키도록 구성된다. 발판 구동 수단은 좌측 발판과 우측 발판이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우측 발판 및 좌측 발판에 대해 왕복 슬라이드 이동을 제공한다. 경로는 왕복 슬라이드 이동 스트로크의 양단에서의 양 궤적의 좌우 방향의 간격이 상이하게 된 거리만큼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서로 평행하지 않도록 연장되어 있다.
발판 구동 수단은 왕복 슬라이드 이동의 전단 측에서의 좌우 방향 간격을 왕복 슬라이드 이동의 후단 측에서의 좌우 방향 간격보다 크게 한 궤적을 갖도록 왕복 슬라이드 이동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발판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회전축에 의해 슬라이드 블록(slide block)에 장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라이드 블록은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발판의 전단 측 또는 후단 측에는 상하 이동용 기구(vertical motion applying mechanism)가 연결되어 있다. 상하 이동용 기구는 슬라이드 동작과 연동하여 상하 위치를 변화시켜 발판의 전단 측과 후단 측의 높이 위치를 변화시키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하 이동용 기구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링크(link)이며, 링크의 제1 단부는 발판(step)에 연결되고, 링크의 제2 단부는 고정 지점(fixed point)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하 이동용 기구는 링크가 회전할 때에 발판과 링크의 연결 지점의 높이를 변화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하 이동용 기구로서 캠 기구를 사용할 수 있다.
발판 구동 수단은 상하 이동용 기구를 통하여 슬라이드 블록에 슬라이드 동작의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발판 구동 수단은 슬라이드 블록에 왕복 슬라이드 이동을 행하게 하는 동력을 직접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하 이동용 기구는 왕복 슬라이드 동작에 따라 발판의 전단 측과 후단 측과의 높이 위치를 변화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운동 보조 장치는 발판을 배치하기 위한 상면(upper surface)을 갖는 기저부(base)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판 구동 수단은 기저부 내부에 설치되고, 기저부에는 사용자의 전방 및 측방에 위치하는 핸드레일(handrail)이 제공된다. 핸드레일은 발판 구동 수단을 정지시키기 위한 비상 정지 스위치(emergency stop switch)가 설치된다.
또한, 운동 보조 장치는 발판이 배치되는 상면을 갖는 기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판 구동 수단은 기저부 내부에 설치된다. 발판은 기저부의 상면보다 항상 높은 위치에 위치하며, 발판의 상면에는 발판과 발판 구동 수단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부(opening)가 형성된다. 기저부에는 개구부를 덮는 슬라이드 커버(slide cover)가 설치된다.
또한, 운동 보조 장치는 정보 표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보 표시 수단은 왕복 이동, 슬라이드 이동, 및 회전하는 발판에 발을 올려놓고 타동 운동을 행하는 사용자의 운동을 나타내는 운동 정보를 취득해서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운동 보조 장치는, 발판 구동 수단에 의한 좌측 발판 및 우측 발판의 왕복 슬라이드 이동의 궤적이 평행하지 않게 되어 있으며, 왕복 슬라이드 이동 스트로크의 양단에서의 궤적의 좌우 방향 간격이 상이하게 하고 있으므로, 사용자의 정면 방향으로 발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경우와 비교하여, 무릎 관절에 가해지는 전단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밸런스 유지에 필요한 신경계를 자극하고, 필요한 근육의 수축을 유발시키므로, 밸런스 훈련을 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좌측 발판 및 우측 발판의 전단 측과 후단 측과의 높이 위치 관계가 왕복 슬라이드 이동에 연동하여 변화되므로, 다리 관절에 저굴 및 배굴의 움직임을 부여할 수 있어 종아리의 근육을 신축시켜 정맥 환류의 촉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배굴 운동과 저굴 운동이 다리 위치의 이동과 동시에 행해지므로, 발바닥에 작용하는 체중 부하의 변화에 따라 큰 수축을 유발할 수 있다.
그리고, 발판 구동 수단은 왕복 슬라이드 이동의 전단 측에서의 좌우 방향 간격을 왕복 슬라이드 이동의 후단 측에서의 좌우 방향 간격보다 크게 한 궤적을 좌측 발판 및 우측 발판에 행하게 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다리의 이동 궤적이 정면 방향으로 V자형을 이루게 되기 때문에, 무릎 관절에 가해지는 전단력을 더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발판은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슬라이드 블록 상에 회전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전단 측 또는 후단 측에 상하 이동용 기구가 연결된다. 상하 이동용 기구는 슬라이드 동작과 연동하여 상하 위치를 변화시켜 발판의 전단 측과 후단 측의 높이 위치 관계를 변화시키는 것으로서, 이러한 동작을 발판에 행하게 하는 것을 간편한 기구로 행할 수 있다.
상하 이동용 기구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갖는 링크인 것이 바람직하다. 링크의 제1 단부의 각각의 발판에 연결되고, 링크의 제2 단부의 각각은 발판이다. 링크의 제2 단부는 고정 지점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하 이동용 기구는 링크가 회전할 때에 링크와 발판 간의 연결 지점의 높이를 변화시키도록 구성된다. 또는 상하 이동용 기구를 캠 기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 인해 발판의 회전에 대한 동작을 확실하게 얻을 수 있다.
발판 구동 수단은 상하 이동용 기구부를 통하여 슬라이드 블록에 슬라이드 동작의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발판 구동 수단은 슬라이드 블록에 왕복 슬라이드 동작을 행하게 하는 동력을 직접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이로 인하여, 상하 이동용 기구는 발판에 대하여 왕복 및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발판의 전단 측과 후단 측과의 높이 위치 관계를 변화시키는 것을 간편한 기구로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운동 보조 장치는 좌측 발판과 우측 발판을 배치하기 위한 상면을 갖는 기저부를 포함한다. 발판 구동 수단은 기저부 내부에 설치된다. 기저부에는 사용자의 전방 및 측방에 위치하는 핸드레일(handrail)이 제공된다. 핸드레일은 발판 구동 수단을 정지시키기 위한 비상 정지 스위치(emergency stop switch)가 설치된다. 이러한 핸드레일에 의해, 밸런스 기능이 저하되어 있는 사용자라도 안전하게 운동을 행할 수 있으며, 또한 핸드레일에 비상 정지 스위치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밸런스가 무너진 경우에도 비상 정지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운동 보조 장치는 좌측 발판 및 우측 발판이 배치되는 상면을 갖는 기저부를 더 포함한다. 발판은 기저부의 상면보다 항상 높은 위치에 위치한다. 발판의 상면에는 발판과 발판 구동 수단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부(opening)가 형성된다. 기저부에는 개구부를 덮는 슬라이드 커버(slide cover)가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의 발이 발판과 기저부 사이에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운동 보조 장치는 정보 표시 수단을 더 포함한다. 정보 표시 수단은 왕복 이동, 슬라이드 이동, 및 회전하는 상기 발판에 발을 올려놓고 타동 운동을 행하는 사용자의 운동을 나타내는 운동 정보를 취득해서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운동을 계속하는 것에 대한 의욕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 보조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발판과 발판 구동 수단을 나타내는 투시 평면도이다.
도 3은 발판 구동 수단의 동작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4는 발판 구동 수단의 다른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발판을 나타내지 않은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발판 구동 수단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9a는 발판 구동 수단의 다른 예의 동작을 나타낸 부분 측면도이다.
도 9b는 발판 구동 수단의 다른 예의 동작을 나타낸 부분 측면도이다.
도 9c는 발판 구동 수단의 다른 예의 동작을 나타낸 부분 측면도이다.
도 9d는 발판 구동 수단의 다른 예의 동작을 나타낸 부분 측면도이다.
도 10은 발판 구동 수단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투시 평면도이다.
도 12는 기저부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3은 기저부의 다른 예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4는 기저부의 또 다른 예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5a는 조작 패널의 디스플레이 표시의 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5b는 조작 패널의 디스플레이 표시의 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5c는 조작 패널의 디스플레이 표시의 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6은 상기의 블록 회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시한 예에 관한 운동 보조 장치는 좌측 발판(2), 우측 발판(2), 기저부(1), 핸드레일(3)[좌측 핸드레일(3) 및 우측 핸드레일(3)], 및 조작 패널(4), 및 발판 구동 수단(5)을 포함한다. 좌측 발판(2)과 우측 발판(3)은 기저부(1)의 위에 배치된다. 핸드레일(3)은 기저부(1)의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조작 패널(4)은 핸드레일(3)에 의해 유지되며 기저부(1)의 전방 측에 위치한다. 발판 구동 수단(5)은 기저부(1) 내에 설치된다. 사용자는 좌우의 핸드레일(3, 3)을 잡아 발판(2, 2)에 좌우의 발을 올려놓고, 이 상태에서 발판 구동 수단(5)을 작동시킨다. 이에 의해, 운동 보조 장치는 사용자의 다리가 타동 운동을 행하도록 한다.
발판(2, 2)은 사용자의 발바닥 전체를 올려놓을 수 있는 치수를 가지며, 그 상면은 마찰 계수를 크게 하는 재료로 이루어지거나, 발판이 높은 마찰 계수를 갖기 위한 형상을 갖는 상면을 가질 수 있다. 발판 구동 수단(5)에 의한 전후 좌우 방향에 대한 왕복 슬라이드 동작에 따라, 발판(2)의 전단 측과 후단 측의 높이 위치 관계를 변화시킴으로써, 발판(2)에 탑재한 사용자의 다리에 대하여, 그 발끝을 아래로 낮추는 저굴(plantar flexion) 동작과, 발끝을 올리는 배굴(dorsi flexion) 동작을 반복해서 행하게 한다. 이러한 동작을 행하게 하는 발판 구동 수단(5)을 도 2 및 도 3에 나타낸다.
여기서 나타내는 발판 구동 수단(5)은 발판(2)의 왕복 슬라이드 이동에 더하여,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발판(2)의 전단 측과 후단 측의 높이 위치 관계를 변화시키는 것이며, 베이스 판(50)[또는 기저부(1)의 바닥판]의 좌우 상면에 각각 가이드 레일(51)이 고정되어 있고, 각 가이드 레일(51)에는 가이드 레일(51)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한 슬라이더부를 바닥부에 구비한 슬라이드 블록(52)이 각각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각 슬라이드 블록(52)의 상면 측에는 회전축(rotation shaft: 53)이 형성되어 있고, 이 회전축(53)에 의해 플레이트형의 발판(2)이 회전축(53)의 축 주위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이들 발판(2, 2)은 그 일단(후단) 측과 베이스 판(50)이 링크(54)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링크(54)의 제1 단부와 베이스 판(50)의 연결부 및 링크(54)의 제2 단부와 발판(2)의 연결부에는 각각 유니버셜 조인트(60)가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 판(50) 상의 좌우의 슬라이드 블록(52) 사이에는 구동용의 모터(55)가 설치되고, 그 출력 축에는 웜(worm: 56)이 형성되어 있고, 한 쌍의 웜휠(worm wheel)(57)이 웜(56)의 좌우에 설치되어 있다. 웜(56)에 서로 맞물리는 웜휠(57, 57)은 각각 편심축(eccentric shaft)(58)을 구비하고 있고, 편심축(58)이 연결 로드(connecting rod)(59)에 의해 링크(54)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편심축(58)을 구비하는 웜휠(57)과 링크(54)는 가이드 레일(51)의 길이 방향에서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이 양자를 연결하는 연결 로드(59)의 제1 단부와 편심축(58)의 연결부 및 연결 로드(59)의 제2 단부와 링크(54)의 연결부에도 유니버셜 조인트(60)가 설치되어 있다.
모터(55)에 의해 웜(56) 및 웜휠(57)을 통하여 편심축(58)을 회전시키는 경우, 편심축(58)과 함께 크랭크 기구(crank mechanism)를 구성하는 연결 로드(59)는 링크(54)에 베이스 판(50) 측의 유니버셜 조인트(60)를 중심으로 한 요동(swing) 동작을 행하게 한다. 이 요동 동작 중, 가이드 레일(51, 15)의 길이 방향과 일치하는 성분의 이동에 의해, 슬라이드 블록(52) 및 발판(2)이 가이드 레일(51)에 따른 방향의 왕복 슬라이드 이동을 행한다.
도시한 예에서는 좌우의 가이드 레일(51)을 서로 평행하게 설치하지 않고, 가이드 레일(51, 51)을 전단 측 사이의 거리가 후단 측 사이의 거리보다 크도록 해서 베이스 판(50) 상에 설치함으로써, V자형 배치로 되어 있는 가이드 레일(51, 51)에 각각 장착된 슬라이드 블록(52) 및 발판(2)이 전방 측으로 이동할 때 측면으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이동한다.
V자형 배치로 되어 있는 양 가이드 레일(51)의 각도 α는 실질적으로 90도로 설정하고 있지만, 사용자의 무릎에 작용하는 전단력(shearing force)을 작게 할 수 있는 동시에 다리의 근육 수축이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각도라면, 이 각도로 한정되지 않고, 도 4 내지 도 7의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150도로 설정하는 경우도 있다. 베이스 판(50)을 기저부(1)에 대하여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각도 α를 가변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링크(54)의 요동 동작에 의해, 링크(54)와 발판(2)의 연결부는 상하 방향으로도 이동하고, 이에 따라 발판(2)은 회전축(53)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도 행하게 되지만, 슬라이드 동작의 스트로크의 중간 지점(도 3에서 우측 위와 우측 아래, 발판이 슬라이드 이동 중의 스트로크의 중간 지점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냄)에서는 발판(2)이 수평 상태로 되고, 스트로크의 한쪽(도 3의 좌측 위, 스트로크의 한쪽에 발판이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냄)에서는 링크(54)가 접속된 발판(2)의 후단 측이 상승하며, 스트로크의 다른 쪽(도 3의 좌측 아래, 스트로크의 다른 쪽 위에 발판이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냄)에서는 발판(2)의 후단 측이 하강하게 된다.
이 때문에, 발판(2)은 가이드 레일(51)에 따른 슬라이드 동작을 행하는 동시에, 전방 측으로 이동했을 때 발판(2)의 앞쪽이 낮아지는 회전 이동(rotation motion)을 하고, 후방 측으로 이동했을 때에는 발판(2)의 앞쪽이 상승하는 회전 이동을 행한다. 즉, 본 예에서는 발판 구동 수단(5)의 링크(54)가 왕복 슬라이드 동작과 발판(2)의 회전 이동의 양쪽 동작의 동력 전달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도 2로부터도 명백한 바와 같이, 발판(2)의 회전 중심이 되는 회전축(53)은, 발판(2)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또한 발판(2)의 길이 방향의 중앙보다 후단 가까이 있는 위치에 설치하고, 회전축(53)의 축 방향은 가이드 레일(51)의 길이 방향과 직교시키지 않고, 발판(2)의 전단 측(발끝 쪽)이 가이드 레일(51)보다 안쪽이 되도록 되어 있다.
좌측 발판 및 우측 발판(2, 2)의 간격은 그 전단 측이 후단 측보다 넓게 되어 있으며, 각도 β는 10도 내지 30도의 범위로 설정하고 있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다리의 근육을 이완시킨 상태에서 다리를 좌측 발판 및 우측 발판(2, 2)에 탑재할 수 있다.
또한, 발판 구동 수단에 의한 좌우의 발판(2)의 구동은 웜(56)과 서로 맞물리는 한 쌍의 웜휠(57) 중의 하나의 편심축(58)의 위치를 웜(56)과 맞물리는 다른 웜휠(57)의 편심축(58)과 어긋나게 해서, 우측 발판(2)이 전진할 때에는, 좌측 발판(2)이 후퇴하도록 하고, 좌측 발판(2)가 전진할 때에는 우측 다리 발판(2)가 후퇴하도록 해서, 서로 반대의 위상으로 동작하도록 설정하고 있다. 좌측 발판(2) 및 우측 발판(2)의 이동은 웜(56)에 서로 맞물리는 2개의 웜휠(57, 57)에 의해 좌우로 동력을 나누어 구현되므로, 항상 동기를 이룬다.
연결 로드(59)는 링크(54)가 아니라 슬라이드 블록(52)에 연결해도 된다. 이 경우, "슬라이드 블록(52)과 함께 발판(2)"이 슬라이드 이동할 때에, 베이스 판(50)과 발판(2)을 연결하고 있는 링크(54)가 베이스 판(50) 측의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링크(54)와 발판(2) 간의 접속점의 높이를 변화시킴으로써, 발판(2)에 회전축(53)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을 행하게 한다.
도 4 내지 도 7은 발판 구동 수단(5)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4 내지 도 7의 발판 구동 수단에서, 좌측 가이드 레일(51) 및 우측 가이드 레일(51)에 따라 좌측 슬라이드 블록(52) 및 우측 슬라이드 블록(52)을 전후 좌우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하고 있는 점과 슬라이드 블록(52) 상에 회전축(53)을 통하여 발판(2)을 배치하고 있는 점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같지만, 본 실시예의 좌측 슬라이드 블록(52) 및 우측 슬라이드 블록(52)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동시에, 모터(55)의 회전이 감속부(deceleration unit)(80)를 통하여 전달되는 출력축(81)에 크랭크 샤프트(82)를 설치하고, 이 크랭크 샤프트(82)와 좌우의 슬라이드 블록(52, 52)을 각각 연결하고, 크랭크 샤프트(82)의 회전에 의해 좌우의 슬라이드 블록(52, 52)이 함께 가이드 레일(51)에 따른 도 4 중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슬라이드 블록(52) 상의 각 발판(2)은 그 전단 가까이에 있는 부분이 각각 링크(54, 54)에 의해 베이스(50)에 연결되어 있고, 슬라이드 블록(52)의 슬라이드와 함께 발판(2)이 슬라이드 이동할 때, 발판(2)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상하 방향의 회전을 행한다. 그리고, 로드(83)의 양단 및 링크(54)의 양단은 유니버셜 조인트를 통하여 베이스(50) 또는 슬라이드 블록(52) 또는 발판(2)에 연결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로드(52, 52)를 통해서 동력이 전달되도록 하고 있지만, 좌우의 슬라이드 블록(52, 52) 사이를 단일의 로드로 직접 연결하고, "상기 실시예에 나타낸 편심축(58)"과 "연결 로드(59)"를 적어도 한쪽의 링크(54)에 연결함으로써, 발판(2)의 슬라이드 동작과 상하 회전 동작을 얻을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여기서의 슬라이드 블록(52)을 4개의 코너가 각각 링크(85)에 의해 베이스(50)에 연결되어 평행 링크(parallel link)를 구성하여, 상하 방향으로 조금 이동하는 도면 중의 화살표 방향의 슬라이드 동작을 행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슬라이드 블록(52) 상의 회전축(53)에 의해 발판(2)이 지지되어 있는 점 및 발판(2)의 전단 가까이에 있는 부분이 링크(54)에 의해 베이스(50)에 유니버셜 조인트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것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리고, 도 8은 한쪽 슬라이드 블록(52) 및 발판(2)만 나타내고, 다른 쪽의 슬라이드 블록(52) 및 발판(2)은 도시한 것과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도, 회전 구동되는 편심축(58)에 제1 단부를 연결한 연결 로드(59)의 제2 단부를 어느 하나의 링크(85) 또는 슬라이드 블록(52) 또는 링크(54)에 연결함으로써, 슬라이드 블록(52) 및 발판(2)의 왕복 슬라이드 동작과 발판(2)의 상하 회전 동작을 얻을 수 있다.
도 9에 발판 구동 수단(5)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이것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링크(54) 대신에, 캠 판(cam plate)(61)과 연결 플레이트(63)를 사용한 것이며, 베이스 판(50)에 고정된 캠 판(61)은 전후 방향과 상하 방향으로 변위하는 직선을 이루는 홈 모양의 캠(62)을 구비하고 있다.
연결 플레이트(63)는 경사 홈인 캠(62)에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직사각형의 캠 팔로워(64)를 일체로 구비하는 동시에 발판(2)의 후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샤프트(65)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발판(2)은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슬라이드 블록(52)에 회전축(5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연결 플레이트(63)에는 제1 단부가 회전 구동되는 편심축(67)에 연결되어 있는 암(68)의 제2 단부가 축(66)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연결 플레이트(63)의 하방 측에 배치한 편심축(67)을 회전시키는 경우, 암(68)이 연결 플레이트(63)를 캠(62)에 따라 이동시킨다. 이 경우, 연결 암(63)은 도면에 나타낸 자세를 유지한 채, 상하로 이동하면서 동시에 전후로도 이동한다.
이 때문에, "연결 암(63)에 연결되어 있는 발판(2)의 연결 암(63)과의 연결점인 후단 측"이 상하로 작동되는 동시에 발판(2)이 전후 방향으로도 이동하는 것이며, 발판이 전진할 때에는, 발판(2)의 후단 측이 들어 올려지고 발판(2)의 전단 측(발끝)이 하강하고, 발판(2)이 후퇴할 때는 발판(2)의 후단 측이 하강하고 전단 측(발끝)이 상승한다. 그리고, 본 예에서도 발판(2)의 슬라이드 방향과 회전축(53)의 축 방향이 직교하지 않아도 된다.
도 10은 발판 구동 수단(5)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고, 편심축(58)과 연결 로드(59)로 이루어지는 크랭크 기구에 의해 왕복 이동을 행하는 슬라이드 블록(52)에 회전축(53)으로 발판(2)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발판(2)의 전단 측의 하면에는 롤러형의 캠 팔로워(2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판(10) 상에는 캠 팔로워(27)를 안내하는 가이드 캠(17)이 설치되어 있다.
발판의 슬라이드 동작에 의해 롤러형의 캠 팔로워(27)가 주행하는 가이드 캠(17)은 발판(2)의 슬라이드 동작에 맞추어 발판(2)의 전단 측을 상하 이동에 의해 생기는 곡면을 이루는 홈 모양의 캠을 구비하고 있고, 발판(2)이 전방 측으로 이동했을 때는 발판(2)의 전단이 상방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발판(2)의 전단은 발판(2)의 후단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한다. 따라서, 발판(2)은 상면에 발을 탑재하고 있을 때, 저굴과 배굴의 움직임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예에서도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초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발판(2)의 각도 β를 발판(2)의 슬라이드 동작의 각도와 상이하게 할 수 있다.
발판 구동 수단(5)을 내부에 구비한 기저부(1)는 그 천정판(10)에 개구부(11)를 구비하고 있고, 천정판(10)보다 상방 측에 위치하는 발판(2)과 기저부(1) 내에 배치된 발판 구동 수단(5)은 개구부(11) 내에서 연결되어 있다. 또한, 발판(2)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판 구동 수단(5)에 의해 구동되는 경우, 발판(2)은 전후 방향으로 기울어진다. 그러나, 발판(2)의 전체 영역은 매 순간 천정판(10)보다 위쪽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발판(2)에 탑재한 발이 발판(2)의 외측으로 돌출해도, 천정판(10)과 베이스(1) 사이에 발이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판(2)의 주위 둘레에 스커트부(22)를 설치하는 동시에, 발판(2)의 주위를 둘러싸서 발판(2)의 전후 좌우 이동에 맞추어 천정판(10)에 대하여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 커버(24)를 설치하면 운동 보조 장치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판(2)의 외주 에지와 개구부(11)의 내주 에지와의 사이를 크게 벌려서, 발판(2)으로부터 발이 어긋난 경우라도, 천정판에 발이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양자의 사이를 주름 상자(bellows)와 같이 신축성이 있는 커버(25)로 연결하여 발판(2)의 외주 에지와 개구부(11)의 내주 에지와의 사이에 발이 끼지 않도록 해도 된다. 특히, 커버(25)를 천정판(10)이나 발판(2)의 표면과 다른 색이나 투명 재료로 형성하면, 발판(2)의 외주와 개구부(11)의 내주 사이의 커버(25)로 덮이는 간극 부분을 사용자가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어, 발판(2)으로부터 어긋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부의 내주 에지로부터 기저부(1) 내부를 향해 커버판(12)을 덮는 것도 바람직하다. 발이 미끄러지는 경우 발판(2)으로부터 발이 크게 튀어나와도, 발판(2)과 천정판(10)의 하면 사이에 발이 끼는 사태가 생기는 것을 커버판(12)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 외에, 발판(2) 상에 발을 고정하기 위한 스트랩(strap)과 같은 다리 고정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다리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도록 해도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한 운동 보조 장치를 사용하여 운동을 행하는 데 있어서는, 사용자가 핸드레일(3)을 잡은 상태로, 좌우의 발판(2, 2) 상에 좌측 발과 우측 발을 탑재하고, 조작 패널(4)에 배치되어 있는 조작 스위치를 동작시킴으로써, 발판 구동 수단(5)을 작동시키면, 전술한 바와 같이 좌우의 발판(2, 2)이 전후 좌우로의 이동을 역위상으로 행하는 동시에, 각 발판(2)은 전진시에 전단 측이 하강하고, 후퇴시에 후단 측이 하강하는 회전 동작을 행한다.
이 때문에, 발판(2, 2)에 발을 탑재한 사용자는 발판(2)의 움직임에 병행하여, 전후 또는 좌우로 발이 움직이도록 하는 동시에, 발판(2)의 회전에 의해 다리 관절에 저굴과 배굴의 동작이 가해지게 된다. 이 경우, 좌우의 발판(2, 2)은 180도의 위상 차를 가지고 전후 좌우로 움직이기 때문에, 발판(2) 상에 서 있는 사용자의 전후 방향의 중심 이동이 적고, 이 때문에 밸런스 기능이 저하되어 있는 사용자라도, 발판(2)의 이동으로 밸런스가 무너질 염려가 거의 없다. 또한, 좌우 방향에 대한 중심 이동이 있기 때문에, 밸런스 유지에 필요한 신경계를 자극하고, 필요한 근육의 수축을 유발시키므로, 공포감을 주지 않으면서 밸런스 훈련을 행하게 하는 데 적합하다.
발판(2, 2)의 전후 좌우 방향의 역위상의 움직임에 따른 발 위치의 변화는, 보행 운동과 비슷한 위치 변화를 갖기 때문에, 적어도 종아리의 근육을 보행시와 마찬가지로 신축시키게 된다. 또한, 전후 이동에서의 후단 위치에서는 발의 위치가 사용자의 중심보다 후방이 되기 때문에, 이 위치에서는 대퇴부의 뒤쪽부터 엉덩이 근육까지 긴장시킬 수 있다.
통상의 보행 운동에서는 주로 전후 방향으로 다리 위치를 이동시키게 되지만, 좌우 방향에 대한 이동도 조합시킨 움직임의 경우, 전후만 움직이거나 좌우만 움직이는 것과 비교해서, 사용자의 몸체에 비틀림이 생겨, 내장에 자극을 부여할 수 있고, 사용자의 밸런스를 보다 적극적으로 복합적인 방향으로 무너뜨리는 것이기 때문에, 종아리와 대퇴부의 보다 많은 근육군(내전근, 대퇴직근, 내측 광근, 외측 광근, 대퇴이두근, 반건양근, 반막양근 등)에 자극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타동 운동이며 부하가 가볍지만, 근육이 받아들이는 당량이 많아지므로, 2형 당뇨병의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배굴시에는 아킬레스건이 신장되기 때문에, 발목의 가동 범위를 넓힐 수 있다. 저굴시에는 발끝에 먼저 힘이 실리기 때문에 무지외반증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저굴과 배굴을 반복함으로써, 비복근이나 가자미근과 같은 종아리의 근육을 신축시킬 수 있고, 이들 근육의 신축은 다리부에서의 정맥 환류를 증가시켜 다리가 붓는 것을 해소할 수 있다.
조작 스위치의 동작에 의한 발판 구동 수단(5)의 작동은 조작 스위치의 재작동으로 정지하도록 하고 있으며, 미리 설정한 시간이 지나면 정지하도록 해도 되고, 또한 동작 기간을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좌우 발판(2, 2)의 전후 좌우의 슬라이드 동작의 위상 차는 웜휠(57)에 설치한 편심축(58)의 위치에 의해 정해지기 때문에, 결국은 웜휠(57)과 웜(56)을 서로 맞물리게 한 위치에 따라 정해지도록 함으로써, 서로 맞물리게 한 위치의 변경에 의해, 임의의 위상 차로 설정할 수 있고, 좌측 발판 및 우측 발판(2, 2)을 동일한 위상으로 이동시키는 것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동일한 위상으로 이동하는 경우, 사용자에는 전후의 중심 이동이 생기기 때문에, 다리 근육의 운동뿐만 아니라,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한 허리 뒤쪽의 근육도 운동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핸드레일(3)을 잡아 타동의 운동을 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밸런스가 무너져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지만, 도 1에 나타낸 예에서는 밸런스를 무너뜨린 경우의 안전성의 향상을 위해, 핸드레일(3)에 발판 구동 수단(5)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비상 정지 스위치(31)를 설치하여, 어떤 긴급 상황이 생기면, 핸드레일(3)을 잡는 손으로 비상 정지 스위치(31)를 용이하게 누르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발판(2)에 압력 센서 등으로 구성한 하중 검출 스위치(S)를 배치하고, 발판 구동 수단(5)과 발판(2)을 이동시키는 사이에 중량 검출 스위치(S)에 의해 중량이 검출되지 않게 된 때에 발판 구동 수단(5)을 정지시키도록 해도 되고, 이 경우 밸런스가 무너져서 발판(2)에서 발이 떨어진 경우, 자동으로 정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발판(2)의 구동 개시 시나 정지 시에는, 모터(55)의 속도를 서서히 변화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갑작스러운 가속이나 감속은 발판(2)의 움직임을 사용자의 발이 따라가지 못해서 밸런스가 무너질 염려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또한, 정지 시에는, 좌측 발판 및 우측 발판(2)이 함께 수평 상태로 되면 정지하도록 모터(55)의 회전을 제어함으로써, 발판(2)에 대한 탑재를 행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발판(2)에 설치한 하중 검출 스위치가 모두 온으로 되어 있지 않다면, 조작 스위치를 조작해도 발판 구동 수단(5)이 작동하지 않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런데, 이러한 종류의 타동식의 운동 보조 장치를 사용하는 운동은, 사용자에 목적 의식이 없으면 계속하는 것이 어렵다. 이 때문에 운동량의 측정 기능을 갖게 하는 동시에 목표 운동량을 설정할 수 있는 것으로 하고, 목표 운동량과 현재까지의 운동량을 비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면 된다.
예를 들어, 도 1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달의 목표 운동량을 설정하면, 하루의 측정 운동량의 누적값과 목표값의 관계를 조작 패널(4)의 디스플레이(41)에 선 그래프로 표시하거나, 도 1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목표 운동량을 달성하는 데 필요한 매일의 운동량을 그래프로 표시한다. 도 1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운동을 행한 날을 캘린더 상에 표시하는 운동 이력 표시 기능이나, 목표 운동량의 운동을 행했으면 그 보상이 되는 것을 디스플레이(41)에 표시되도록 해도 된다.
운동량을, 예를 들면 보행 거리로 환산해 보행 거리로서 표시하도록 해도 되고, 이 경우 디스플레이(41)에 주파 코스가 설정된 지도를 표시하고, 지도상의 스타트 지점부터 목표 지점을 향한 보행 거리를 지도의 코스 상에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며, 사용자로서도 목표 운동량의 달성을 즐길 수 있고, 주파 코스를 미리 여러 개 준비하여 두면, 주파하는 코스를 즐길 수 있다. 물론, 코스 도중의 실사 또는 컴퓨터 그래픽 영상이 디스플레이(41) 상에 표시되도록 하면 또한 즐거움이 증가한다.
도 16에 운동량의 측정 기능이나 이력 표시 기능 등을 구비한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도면부호 7은 발판 구동 수단(5)에서의 모터(55)를 위한 모터 구동 회로(71)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이며, 원칩 컴퓨터로 이루어지는 제어 회로(7)를 나타내며, 제어 회로(7)는 조작 패널(4)에 설치한 각종 스위치나 디스플레이(41)가 접속되어 있고, 운동 이력 정보나 목표 운동량, 지도 정보 등을 저장하는 기억부(72)가 접속되어 있으며, 조작 패널(4)로부터 입력된[또는 하중 검출 스위치(S)로 검출한] 사용자의 체중, 작동 시간 및 모터 속도 등을 참조하여 운동량을 산출한 하루의 운동량을 날짜와 함께 기억부(72)에 기억한 한 달분의 운동량을 기억부(72)로부터 호출하여 합계를 취하는 것에 의해 누적 운동량을 산출하는 동시에 목표 운동량이라는 비교를 행하거나 비교 결과를 디스플레이(41)에 표시하거나 누적 운동량의 보행 거리로의 환산 결과를 지도상에 표시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기억부(72)에의 기억은 여러 사용자가 행할 수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사용자의 운동량이나 운동 이력 등을 사용자에 제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41) 대신에, 음성 통지나 LED의 발광 등을 이용해도 되고, 또한 사용자의 심박수 등의 생리 정보를 취득하는 수단도 구비한 것으로 하고, 취득한 생리 정보를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것이 가능하도록 해도 된다.
1: 기저부 2: 발판 3: 핸드레일 4: 조작 패널 5: 발판 구동 수단

Claims (10)

  1. 사용자의 왼발 및 오른발을 각각 탑재하는 좌측 발판 및 우측 발판; 및
    상기 좌측 발판 및 상기 우측 발판을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드시키는 왕복 슬라이드 이동(reciprocating slide motion)을 제공하는 발판 구동 수단(step driving means)
    을 포함하며,
    상기 발판 구동 수단은 상기 좌측 발판의 후단 측의 높이에 대한 상기 좌측 발판의 전단 측의 높이를 왕복 슬라이드 이동과 동기해서 변화시키며,
    상기 발판 구동 수단은 상기 우측 발판의 후단 측의 높이에 대한 상기 우측 발판의 전단 측의 높이를 왕복 슬라이드 이동과 동기해서 변화시키고,
    상기 발판 구동 수단은 상기 좌측 발판과 상기 우측 발판이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우측 발판 및 상기 좌측 발판에 대해 왕복 슬라이드 이동을 제공하며,
    상기 경로는 왕복 슬라이드 이동 스트로크의 양단에서의 양 궤적의 좌우 방향의 간격이 상이하게 된 거리만큼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서로 평행하지 않도록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보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 구동 수단은, 왕복 슬라이드 이동의 전단 측에서의 좌우 방향 간격이 왕복 슬라이드 이동의 후단 측에서의 좌우 방향 간격보다 크게 한 왕복 슬라이드 이동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운동 보조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축에 의해 슬라이드 블록(slide block)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 블록은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발판의 전단 측 또는 후단 측에 상하 이동용 기구(vertical motion applying mechanism)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상하 이동용 기구는 상기 슬라이드 동작과 동기해서 상하 위치를 변화시켜 상기 발판의 전단 측과 후단 측의 높이 위치를 변화시키도록 구성된, 운동 보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이동용 기구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링크(link)이며,
    상기 링크의 제1 단부는 상기 발판(step)에 연결되고,
    상기 링크의 제2 단부는 고정 지점(fixed point)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상하 이동용 기구는 상기 링크가 회전할 때에 상기 발판과 상기 링크의 연결 지점의 높이를 변화시키도록 구성된, 운동 보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이동용 기구는 캠 기구(cam mechanism)인, 운동 보조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 구동 수단은 상기 상하 이동용 기구를 통하여 상기 슬라이드 블록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동력은 상기 슬라이드 블록의 슬라이드 동작을 행하도록 하는, 운동 보조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 구동 수단은 상기 슬라이드 블록에 왕복 슬라이드 이동을 행하게 하는 동력을 직접 전달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상하 이동용 기구는 상기 왕복 슬라이드 이동과 동기해서 상기 발판의 후단 측에 대한 상기 발판의 전단 측의 높이를 변화시키도록 구성된, 운동 보조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보조 장치는 상면(upper surface)을 갖는 기저부(base)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판은 상기 상면 상에 배치되며,
    상기 발판 구동 수단은 상기 기저부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기저부에는 사용자의 전방 및 측방에 위치하는 핸드레일(handrail)이 제공되며,
    상기 핸드레일은 상기 발판 구동 수단을 정지시키기 위한 비상 정지 스위치(emergency stop switch)가 설치된, 운동 보조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보조 장치는 상면을 갖는 기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발판은 상기 상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발판 구동 수단은 상기 기저부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발판은 상기 기저부의 상면보다 항상 높은 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발판의 상면에는 상기 발판과 상기 발판 구동 수단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부(opening)가 형성되고,
    상기 기저부에는 상기 개구부를 덮는 슬라이드 커버(slide cover)가 설치되어 있는, 운동 보조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보조 장치는 정보 표시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정보 표시 수단은 왕복 이동, 슬라이드 이동, 및 회전하는 상기 발판에 발을 올려놓고 타동 운동을 행하는 사용자의 운동을 나타내는 운동 정보를 취득해서 표시하도록 구성된, 운동 보조 장치.
KR1020107024414A 2008-03-31 2009-03-23 운동 보조 장치 Active KR1012048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WOPCT/JP2008/056443 2008-03-31
WOWO-P-PCT/JP2008/056443 2008-03-31
PCT/JP2008/056443 WO2009122559A1 (ja) 2008-03-31 2008-03-31 運動補助装置
PCT/JP2009/055695 WO2009122943A1 (ja) 2008-03-31 2009-03-23 運動補助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065A KR20110002065A (ko) 2011-01-06
KR101204809B1 true KR101204809B1 (ko) 2012-11-26

Family

ID=41134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4414A Active KR101204809B1 (ko) 2008-03-31 2009-03-23 운동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10021957A1 (ko)
EP (1) EP2263636A1 (ko)
KR (1) KR101204809B1 (ko)
CN (1) CN102036639B (ko)
TW (1) TW201002301A (ko)
WO (2) WO20091225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5104A (ko) * 2007-10-31 2010-07-28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운동 보조 기기
US8366591B2 (en) * 2009-06-24 2013-02-05 Sabanci University Reconfigurable ankle exoskeleton device
JP2012075587A (ja) * 2010-09-30 2012-04-19 Panasonic Corp 他動運動機器
KR101278018B1 (ko) * 2011-09-15 2013-06-24 김영기 척추 운동 장치
KR101288507B1 (ko) * 2011-09-16 2013-07-26 김영기 척추 운동 장치
KR101712918B1 (ko) 2014-08-14 2017-03-22 국방과학연구소 상호작용 힘을 통한 연속보행 인식방법 및 착용형 외골격 로봇
JP6449713B2 (ja) * 2015-04-23 2019-01-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動作補助装置
WO2019052204A1 (zh) * 2017-09-17 2019-03-21 邹剑寒 一种振动型运动装置
KR102012727B1 (ko) * 2017-10-26 2019-10-21 주식회사 유투유 체지방 분해 운동기구
TWI648647B (zh) * 2017-12-12 2019-01-21 上銀科技股份有限公司 Rehabilitation participation assessment method and rehabilitation machine
US11826609B2 (en) * 2018-05-07 2023-11-28 Hiwin Technologies Corp. Rehabilitation equipment
US20190336379A1 (en) * 2018-05-07 2019-11-07 Hiwin Technologies Corp. Rehabilitation equipment
CN108597296B (zh) * 2018-06-05 2024-04-05 珠海高斯科技有限公司 飞行模拟器的脚蹬操纵装置
TWI669144B (zh) * 2018-09-28 2019-08-21 樹德科技大學 腿部肌力復健機
DE102018133410A1 (de) * 2018-12-21 2020-06-25 Peter Wasmeier Bedienvorrichtung
CN112353643B (zh) * 2020-11-11 2023-05-23 武汉轻工大学 踝关节康复装置
CN112472388B (zh) * 2020-12-03 2024-05-14 华侨大学 一种变杆长曲柄滑块机构的拇外翻康复装置
TWI776644B (zh) * 2021-08-23 2022-09-01 長庚大學 用於降低高張力的訓練裝置
CN114569968B (zh) * 2022-02-22 2023-04-14 杭州康晟健康管理咨询有限公司 一种医疗康复用可调节力度的跟腱辅助恢复装置
US20240024187A1 (en) * 2022-07-25 2024-01-25 Hiwin Technologies Corp. Method for real-time adjustment of gait training parameter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74782A (en) * 1965-10-22 1968-03-26 Charles P. Izzo Exercising machine for skiers
US3911907A (en) * 1974-08-06 1975-10-14 Sangaree Dan E Planetary exercising machine
CA1021818A (en) * 1976-10-01 1977-11-29 A. Marcel Giguere Apparatus for progressive and controlled physiotherapy of the human foot after an accident
JPS5623561U (ko) * 1979-08-02 1981-03-03
JPS57131438A (en) * 1981-02-04 1982-08-14 Sakai Iriyou Kk Alternate moving and excercising apparatus for restoring walking function
JPH0425265Y2 (ko) * 1986-10-20 1992-06-16
US5049079A (en) * 1988-12-19 1991-09-17 John H. Peterson Closed loop ski simulation and instructional system
US5749811A (en) * 1994-11-02 1998-05-12 Wilson; Roger F. Skiing simulator
JPH09225062A (ja) * 1996-02-26 1997-09-02 Toyoda Raideingu Sukuule:Kk バランス器具
JP4020970B2 (ja) * 1996-06-27 2007-12-12 プレコ−ル インコ−ポレイテッド 静止身体鍛錬装置
JP2917128B2 (ja) 1996-08-08 1999-07-12 谷 白糸 歩行体験装置
JPH11155993A (ja) * 1997-11-27 1999-06-15 Konami Co Ltd 開口部覆い構造
EP1350500B1 (en) * 2000-12-07 2008-12-17 José Luis Galvez Campos System for exercising the lower extremities in seated persons
JP3899895B2 (ja) * 2001-10-26 2007-03-28 松下電工株式会社 訓練装置
JP3991747B2 (ja) * 2002-03-29 2007-10-17 松下電工株式会社 訓練装置
CN2548616Y (zh) * 2002-06-05 2003-05-07 谢雅宏 一种改进的康复用电动脚踏车
US6849032B2 (en) * 2002-11-20 2005-02-01 Fitness Botics, Inc. Exercise apparatus simulating skating motions
US7513854B1 (en) * 2004-06-10 2009-04-07 Stearns Kenneth W Elliptical exercise methods and apparatus
TWM262216U (en) * 2004-09-01 2005-04-21 Huang-Dung Jang Multi-functional exerciser capable of forming elliptical orbit
JP4996062B2 (ja) * 2005-05-26 2012-08-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運動補助装置
JP2007089651A (ja) * 2005-09-27 2007-04-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運動補助装置
US7381161B2 (en) * 2005-11-30 2008-06-03 Fitness Tools, Llc Exercise treadmill for pulling and dragging action
JP2007236881A (ja) * 2006-03-03 2007-09-20 Sadamu Mizobuchi 下肢屈伸装置
JP2007283004A (ja) * 2006-04-19 2007-11-01 Daito Denki Kogyo Kk 下肢運動補助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21957A1 (en) 2011-01-27
CN102036639B (zh) 2013-05-08
WO2009122943A1 (ja) 2009-10-08
TWI378790B (ko) 2012-12-11
CN102036639A (zh) 2011-04-27
KR20110002065A (ko) 2011-01-06
WO2009122559A1 (ja) 2009-10-08
TW201002301A (en) 2010-01-16
EP2263636A1 (en) 2010-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4809B1 (ko) 운동 보조 장치
CN101516315B (zh) 被动式运动辅助装置
WO2009122554A1 (ja) 運動補助装置
JPWO2009084577A1 (ja) 立位式他動運動機器
KR20100105746A (ko) 서 있는 자세로 사용하는 동력식 운동 기기
JP2011152232A (ja) 他動運動機器
WO2009122556A1 (ja) 運動補助装置
WO2009122557A1 (ja) 運動補助装置
JP3991747B2 (ja) 訓練装置
JP5281263B2 (ja) 他動式運動補助装置
EP1834620A1 (en) Apparatus for the oscillation of the foot and to activate the blood stream
JP2003116940A (ja) 足筋肉関節トレーニング装置
JP5149960B2 (ja) 運動補助装置
RU2402311C1 (ru) Устройство принудительного передвижения ног
JP2001070374A (ja) 足首用機能回復訓練具
HK1155354A (en) Exercise assisting device
HK1155057A (en) Exercise assisting device
HK1155058A (en) Exercise aiding apparatus
HK1154482A (en) Auxiliary exercise equipment
HK1133379A (en) Passive motion-type exercise assistance device
JP2008264292A (ja) 運動補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02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201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3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1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11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