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03972B1 - 식판 세척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식판 세척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3972B1
KR101203972B1 KR1020120053270A KR20120053270A KR101203972B1 KR 101203972 B1 KR101203972 B1 KR 101203972B1 KR 1020120053270 A KR1020120053270 A KR 1020120053270A KR 20120053270 A KR20120053270 A KR 20120053270A KR 101203972 B1 KR101203972 B1 KR 101203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washing
unit
water
guide rai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3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수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일기업
성수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일기업, 성수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일기업
Priority to KR1020120053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39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3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397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2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conveyors
    • A47L15/241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conveyors the dishes moving in a horizontal plane
    • A47L15/245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conveyors the dishes moving in a horizontal plane the dishes being placed directly on the conveyors, i.e. not in dish 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37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rockery cleaned by brushes
    • A47L15/39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rockery cleaned by brushes with brushes on movable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6Blower arrangements

Landscapes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판 상,하면의 오목한 부분에 묻은 음식물을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으며, 그동안 제대로 세척되지 못했던 오목한 부분까지도 브러시가 접촉하여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하였으며, 식판 투입부에서 온수와 세제를 분사하면서 브러시에 의해 애벌 세척을 함으로써 번거로운 애벌세척공정을 생략할 수 있고, 세척 및 헹굼공정이 끝난 후 히터와 팬에 의해 식판에 뭍은 물기를 완전하게 건조 및 고온으로 살균처리함으로써 위생성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식판 투입부(100)와; 상기 식판 투입부(100)를 통해 식판(D)이 끼워져 이동하도록 식판의 폭만큼 좌우로 평행하게 이격설치된 1쌍의 가이드 레일(210)과, 상기 가이드 레일에 끼워진 식판(D)을 이송시키는 체인 컨베이어(220)를 포함하는 이송부(200)와; 상기 가이드 레일(210)의 상,하부에 배치되어 식판(D)의 표면 및 이면을 세척하기 위하여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상,하 회전브러시(310)와, 상기 가이드 레일(210)의 상,하부에 배치되어 세제가 혼합된 세척수와 헹굼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세척노즐(320)과, 상기 상,하 회전브러시(310) 사이에 상기 1쌍의 가이드 레일(210)을 교차하도록 고정설치되어 각각 식판(D)의 상,하면에 접촉하는 상,하부 1쌍의 고정 브러시(330)를 포함하는 세척부(300)와; 상기 세척부(300)에서 세척된 식판(D)의 물기를 제거하는 건조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식판 세척건조장치 {A MEAL TRAY WASHER}
본 발명은 식판 세척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학교 등 공중 급식시설에서 사용되고 있는 식판을 인력에 의존하지 않고 자동으로 세척 및 건조하는 것으로, 특히 식판 상,하면의 오목한 부분에 묻은 음식물을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으며, 그동안 제대로 세척되지 못했던 오목한 부분까지도 브러시가 접촉하여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하였으며, 식판 투입부에서 온수와 세제를 분사하면서 브러시에 의해 애벌 세척을 함으로써 번거로운 애벌세척공정을 생략할 수 있고, 세척 및 헹굼공정이 끝난 후 히터와 팬에 의해 식판에 뭍은 물기를 완전하게 건조 및 고온으로 살균처리함으로써 위생성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식판 세척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기술로서 특허 제707987호의 식판세척장치(2007.4.9.등록)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는 식판의 상,하면(전,후면)을 동시에 세척하기 위한 것으로, 세척브러시의 회전방향과 회전수를 조절하여 식판의 이송속도를 감속함과 더불어 식판의 전/후면을 동시에 세척하도록 되어 있으며, 식판의 세척시 세척시간을 단축하면서 효율적인 세척이 가능하도록 한 단체급식용 식판 식기 세척기 등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식판 세척기에 있어서는 식판 상,하면의 오목한 부분에 세척브러시가 미처 접촉하지 못하는 구역이 존재함으로써 세척완료 후 음식물찌꺼기가 달라붙어 있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특히, 식판의 테두리부 상,하부에 붙어있던 이물질은 브러시와 세척수가 미처 도달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세척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아 초벌(애벌) 세척 또는 세척 후 마무리 작업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해주어야만 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첫째, 식판의 투입, 이송, 세척, 건조작업을 일관되게 할 수 있고, 둘째, 별도의 애벌세척이 필요 없으며, 셋째, 세척과정에서 데드존이 없도록 하며, 넷째, 세척 완료 후 물기의 제거 및 완전 건조가 가능한 콤팩트한 식판 세척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식판 투입부와; 상기 식판 투입부를 통해 식판이 끼워져 이동하도록 식판의 폭만큼 좌우로 평행하게 이격설치된 1쌍의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에 끼워진 식판을 이송시키는 체인 컨베이어로 이루어지는 이송부와;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하부에 배치되어 식판의 표면 및 이면을 세척하기 위하여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상,하 회전브러시와,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하부에 배치되어 세제가 혼합된 세척수와 헹굼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세척노즐과, 상기 상,하 회전브러시 사이에 상기 1쌍의 가이드 레일을 교차하도록 고정설치되어 각각 식판의 상,하면에 접촉하되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하부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상,하부 1쌍의 고정 브러시로 이루어지는 세척부와; 상기 세척부에서 세척된 식판의 물기를 제거하는 건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식판 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상기 식판 투입부에는 식판에 부착된 잔반을 애벌세척하기 위하여 식판의 상,하부를 향하여 온수가 분사되도록 배치되는 온수 분사노즐과, 식판의 상,하부면에 접촉되도록 식판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애벌세척용 브러시와, 상기 온수분사노즐에서 분사된 세척액과 애벌 세척용 브러시에 의해 식판으로부터 분리된 잔반과 세척수를 분리하여 수거하기 위한 잔반 수거슈트가 구비되되 이 잔반 수거슈트의 하부에는 물과 잔반을 분리수거하기 위하여 상부는 개방되고 후면은 망체로 이루어진 잔반 수거함이 탈거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상기 이송부에는 식판의 후방 모서리에 접촉하여 밀어주는 밀대가 체인 컨베이어에 부착되되 이 밀대는 식판이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이동라인의 중심선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내측 후방으로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지고, 이 밀대의 설치간격은 식판의 길이보다 크게, 바람직하게는 식판 길이의 약 1.2~1.5배의 간격을 이루도록 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하부에 설치된 회전브러시도 식판 길이의 약 1.2~1.5배의 간격을 이루도록 배치하여 상류 측의 회전브러시는 이송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정회전하고, 하루 측의 회전브러시는 이송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이송방향을 따라 이송하던 식판이 상류측의 회전브러시에 의해 체인컨베이어의 속도보다 빠르게 전진하면서 고정브러시와 접촉하여 세척되고, 다시 하류에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브러시에 의해 이송라인의 역방향으로 후진하면서 고정브러시와 접촉하여 세척됨으로써 수용부가 형성된 식판의 상,하면이 고정브러시와 접촉하지 않는 부분이 없이 깨끗하게 세척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상기 건조부는 바람과 히터의 조합으로 물기의 신속한 제거 및 살균이 가능하도록 한 식판 세척건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식판 세척장치는 식판의 투입시 잔반이 1차 처리(식판 투입부에서 온수 및 세척수 분사)되고, 여기서 씻긴 잔반은 별도 회수 처리되고, 이송부에서 이송라인을 따라 식판이 이송될 때 밀대에 의해 식판의 모서리가 둥근 경우에도 중심을 잡은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이송되게 되며. 식판 이송시 회전브러시의 정회전동작과 역회전동작에 의해 식판이 전진 및 후진 동작을 반복하면서 고정브러시와 접촉하게 되므로 데드 존이 없이 깨끗한 세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고, 건조부에서는 바람과 히터의 조합에 의해 물기의 효과적인 제거 및 살균이 가능하게 되므로 위생적인 식판 세척이 가능한 등의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식판 세척 건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식판 세척 건조장치의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식판 세척 건조장치의 평단면도,
도 4는 식판 투입부의 사시도,
도 5는 식판 이송부의 사시도,
도 6은 식판 이송시 식판이 전후진되면서 세척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건조부의 측면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식판 세척 건조장치는 식판 투입부(100)와; 상기 식판 투입부(100)를 통해 식판(D)이 끼워져 이동하도록 식판의 폭만큼 좌우로 평행하게 이격설치된 1쌍의 가이드 레일(210)과, 상기 가이드 레일에 끼워진 식판(D)을 이송시키는 체인 컨베이어(220; 간략하게 한 줄의 실선으로 도시함)를 포함하는 이송부(200)와; 상기 가이드 레일(210)의 상,하부에 배치되어 식판(D)의 표면 및 이면을 세척하기 위하여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상,하 회전브러시(310)와, 상기 가이드 레일(210)의 상,하부에 배치되어 세제가 혼합된 세척수와 헹굼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세척노즐(320)과, 상기 상,하 회전브러시(310) 사이에 상기 1쌍의 가이드 레일(210)을 교차하도록 고정설치되어 각각 식판(D)의 상,하면에 접촉하는 상,하부 1쌍의 고정 브러시(330)를 포함하는 세척부(300)와; 상기 세척부(300)에서 세척된 식판(D)의 물기를 제거하는 건조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세척부(300)의 하부에는 식판의 세척에 사용되었던 세척수와 잔반 등의 오물을 포함하는 수거부(500)가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식판 투입부(100)는 이송부(200)와는 별도의 구동수단을 사용하여 식판을 연속적으로 자동 투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이는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101)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 스프라켓(102)이 회전하고, 이 구동스프라켓(102)의 전방에는 피동 스프라켓(103)이 이송 체인(104)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 이송 체인(104)에는 수평방향으로 이송바(105)가 연결되어 있어서 식판 투입부(100) 위에 식판(D)을 올리면 이송 체인(104)이 무한궤도 식으로 회전하면서 이송바(105)가 식판(D)의 후방에 접촉하여 밀어서 투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면 중 부호 106은 구동모터(101)의 동력을 구동 스프라켓(102)으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체인이다.
또, 부호 130은 상기 투입부(100)의 바닥 좌우측에 설치되는 가이드로 식판(D)이 길이방향으로 투입되도록 안내함과 동시에 식판이 이송라인의 중심으로 투입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또한, 부호 140은 투입부의 내측에 설치된 투입감지센서로 투입부에서의 식판 투입상태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제어기에서 후속하는 이송부와 세척부 및 건조부의 동작을 제어하게 되는데, 식판의 투입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이송부와 세척부 및 건조부의 동작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식판의 투입이 감지된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되었는데도 더 이상의 식판 투입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에는 후속하는 이송부와 세척부 및 건조부의 동작을 정지시키게 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투입감지센서(140)에서 식판의 투입이 감지된 후 다시 식판의 투입이 15초 이상 지연될 경우에는 이송부, 세척수, 세제의 투입이 정지되는데, 다만, 건조부의 팬과 히터는 지속적으로 구동된다.
또, 식판이 10분 이상 미투입될 경우에는 히터가 오프 상태로 전환되고, 팬만 10분간 회전하여 건조부의 열을 냉각시킨 후 정지하게 된다.
또한, 팬까지 정지하게 되면 급수관의 입구측에 설치된 솔레노이브 밸브가 개방되면서 식판 세척건조장치의 배관 내부에 남아있는 잔수를 모두 배출함으로써 음식물이나 세제로 인한 배관 내부의 오염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상기 식판 투입부(100)에는 식판(D)에 부착된 잔반을 애벌세척하기 위하여 식판의 상,하부를 향하여 온수가 분사되도록 배치되는 온수 분사노즐(107a,107b)이 설치되어 있고, 그 내측으로는 식판(D)의 상,하부면에 접촉되도록 식판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애벌세척용 브러시(108a,108b)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식판 투입부(100)의 상부측에는 덮개(109; 도 1 및 도 2 참조)가 힌지식으로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덮개(109)를 닫은 상태에서 개방된 측부를 통해서 식판을 투입하는 것에 의해 물이나 잔반이 외부로 튀지 않고 식판의 투입과 애벌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온수 분사노즐(107a,107b)은 하부 측과 상부 측이 상호 어긋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애벌세척용 브러시(108a,108b)도 하부 측이 상부 측보다 내측에 위치하도록 어긋나는 위치에 배치한다.
상기 덮개(109)는 그 상면이 투명소재로 이루어진 투시창을 형성함으로써 식판이 투입되면서 온수분사노즐에서 분사되는 물과 잔반이 애벌세척되는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상적인 투입 및 애벌세척상태의 점검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식판 투입부(100)는 단순한 식판의 투입구로서의 기능 외에도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세척 전에 온수와 세척액이 분사되므로 식판의 불림기능, 후속하는 세척공정에서의 세척이 확실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발휘하게 됨으로써 식판 세척기의 세척성능 향상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식판 투입부(100)의 하부 측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온수분사노즐(107a,107b)에서 분사된 온수와 애벌 세척용 브러시(108a,108b)에 의해 식판(D)으로부터 분리된 잔반과 세척수를 분리하여 수거하기 위한 잔반 수거슈트(110)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잔반 수거슈트(110)의 하부에는 물은 슈트(110)를 통해 수거부(500)로 배출되고 고형물인 잔반은 잔반 수거함(120)에 수거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잔반 수거함(120)은 외측으로 탈거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잔반 수거슈트(100)의 하부 즉, 잔반 수거함(120)의 후면을 통해 배출된 세척수는 세척수와 잔반 등의 오물을 포함하는 수거부(500)를 통해 재차 수거되며, 이 수거부(500)를 거친 후 고형물이 제거된 폐수만 배수구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수거부(500)는 식판 투입부(100)측에서 배출되는 세척수는 물론 이송부와 세척부에서 발생하는 오물과 세척수를 모두 수거할 수 있도록 중앙 하부로 경사진 깔대기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앙 하부에는 오물을 걸르기 위한 망형 바구니 형태의 배수트랩(510)이 설치된다.
상기 이송부(200)는 도 2의 정면도 및 도 3의 평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상으로 우측의 식판 투입부(100)를 통해 식판(D)이 끼워져 이동하도록 식판의 폭만큼 좌우로 평행하게 이격설치된 1쌍의 가이드 레일(210)과, 상기 가이드 레ㄴspl
(210)에 끼워진 식판(D)을 이송시키는 체인 컨베이어(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체인 컨베이어(200)는 구동모터(230)의 동력에 의해 무한궤도 식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체인 컨베이어(220)는 후방의 구동 스프라켓(201)과 전방의 피동 스프라켓(202) 사이에 무한궤도 형태의 체인 컨베이어(220; 도면상에서는 한 줄의 실선으로 도시됨)가 연결되어 있으며, 양측의 체인 컨베이어(220) 내측에는 도 3의 평면도에서와 같이 식판(D)의 후방 모서리에 접촉하여 밀어주는 밀대(222)가 부착되어 있는데, 이 밀대(222)는 식판(D)이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이동라인의 중심선을 따라 반듯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내측 후방으로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밀대(222)의 설치간격은 식판(D)의 길이보다 크게, 바람직하게는 식판 길이의 약 1.2~1.5배의 간격을 이루도록 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210)의 상,하부에 설치된 회전브러시(310)도 식판 길이의 약 1.2~1.5배의 간격을 이루도록 배치하여 상류 측의 회전브러시(310a)는 이송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정회전하고, 하류 측의 회전브러시(310b)는 이송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방향을 따라 이송하던 식판(D)이 상류측의 회전브러시(310a)에 의해 체인 컨베이어(220)의 속도보다 빠르게 전진하면서 상,하부 측의 고정브러시(330a,330b)와 접촉하여 세척되고, 다시 하류에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브러시(310b)에 의해 이송라인의 역방향으로 후진하면서 고정브러시(330a,330b)와 접촉하여 세척됨으로써 수용부가 형성된 식판(D)의 상,하면이 고정브러시(330a,330b)와 접촉하지 않는 부분이 없어 잔반이 그대로 달라붙은 상태로 배출되는 현상이 없도록 함으로써 세척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세척부(300)는 도 2, 도 3 및 도 5와 도 6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210)의 상,하부에 배치되어 식판(D)의 표면 및 이면을 세척하기 위하여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상,하 회전브러시(310a,310b)와, 가이드 레일(210)의 상,하부에 배치되어 세제가 혼합된 세척수와 헹굼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세척노즐(320)과, 상기 상,하 회전브러시(310a,310b) 사이에 상기 1쌍의 가이드 레일(210)을 교차하도록 고정설치되어 각각 식판(D)의 상,하면에 접촉하는 상,하부 1쌍의 고정 브러시(330a,330b)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회전브러시(310a,310b)의 회전방향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며,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건조부(400)는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과 히터의 조합으로 물기의 신속한 제거 및 살균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세척부(300)를 지나면서 세척 및 헹굼이 완료된 식판(D)은 건조부(400)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홈 형태의 가이드 레일(410)을 따라서 수평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이는 후속하는 식판(D)이 앞의 식판을 밀어서 내보내는 방식으로 이송되게 되므로, 건조부에는 별도의 이송수단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
또, 상기 가이드 레일(410)의 전방 상,하부에는 시로코 팬(420)에서 발생한 공기를 분사시켜 식판(D) 상,하면의 물기를 불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공기분사관(430)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 공기분사관(430)의 분사구는 직하방 또는 직상방이 아닌 식판의 배출방향을 향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공기분사관(430)에 형성되는 분사구는 식판의 폭 방향을 따라 좁고 긴 슬릿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고압의 공기가 식판 상,하면의 전 구역에 분사되도록 하여 물기의 제거를 효과적으M 로 할 수 있도록 한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건조부(400)에는 고온의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440)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히터(440)의 하부에는 고온의 열을 식판 쪽으로 집중시킬 수 있도록 격자형태의 막이 형성된 방열구(45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히터(440)의 상부에는 히터(400)에서 발생한 열이 상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단열부재(460)가 설치되어 있어 상부측의 제어기(600) 쪽으로 열이 전달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도면 중 부호 470은 히터(440)의 열이 측방향으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고 식판(D) 쪽으로 집중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열 차단판이고, 부호 480은 건조부(400)에서 흘러내린 물기를 수거부(500) 쪽으로 흘려보내기 위한 경사진 슈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식판 세척 건조장치는 제어기의 메인스위치를 온(ON) 상태로 하면 건조부(400)의 히터(440)와 시로코 팬(420)이 구동되어 건조 준비가 이루어지게 됨과 동시에 세척부(300)와 이송부(200)가 동작할 준비를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식판(D)을 투입부(100)에 투입하게 되면 식판 투입부에서 온수와 세정액이 분사되게 되고, 브러시(107a,107b)를 통과하면서 식판(D)에 달라붙은 잔반이 1차 제거됨과 동시에 식판에 달라붙은 잔반 등의 불림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식판 투입부(100)에서 식판은 구동 모터(101)와 가이드(130)에 의해 세척부(300)로 진입하게 되며, 센서(140)에 의해 진입신호가 감지되는 것에 의해 분사노즐(320)에서 물과 세제가 함께 분사되면서 회전브러시(310)가 회전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체인 컨베이어(220)가 구동되어 식판 투입부(100)에서 투입된 식판(D)을 받아 이송라인을 따라 이송시키게 된다.
세척부(300)의 이송라인을 따라 이송하는 식판(D)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순히 전방으로만 일정한 속도로 전진하면서 회전브러시(310) 및 고정브러시(330)와 접촉하지 않고, 회전브러시(310)의 정역방향 회전 즉,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류 측의 회전브러시(310a)는 식판(D)을 진행방향으로 더 빨리 밀어내고, 하류 측의 회전브러시(310b)는 이와 반대로 식판(D)을 역방향으로 되돌리는 작용을 하게 되므로 식판(D)은 전진하면서 고정브러시(330a,330b)와 구석구석 접촉하게 되고, 다시 후진하면서 고정브러시(330a,330b)와 접촉하게 되므로 요철 형태로 이루어진 식판(D)의 상,하면이 고정브러시(330a,330b)와 접촉하지 않는 부분이 없이 즉, 데드 존이 없이 전면적으로 접촉하게 되므로 세척이 이루어지지 않고 잔반 등이 달라붙은 상태로 남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세척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과정을 거친 후 세척부(300)의 말단에서는 세제없이 물 만이분사되어 헹굼이 이루어진 후, 건조부(400)로 투입되어 강한 바람과 고온의 히터 열기에 의해 물기가 완전히 건조된 후 외부로 배출되게 됨으로써 애벌세척이나 세척 완료후 재세척 또는 물기 건조가 필요없이 식판의 완벽한 세척과 건조 및 살균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식판 세척성능이 우수한 세척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100 : 식판 투입부 101 : 구동모터
102 : 구동 스프라켓 103 : 피동 스프라켓
104 : 이송 체인 105 : 이송바
106 : 동력전달체인 107a,107b : 온수 분사노즐
108a,108a : 애벌세척용 브러시
109 : 덮개 110 : 잔반 수거슈트
120 : 잔반 수거함 130 : 가이드
140 : 투입감지센서 200 : 이송부
201 : 구동 스프라켓 202 : 피동 스프라켓
210 : 가이드 레일 220 : 체인 컨베이어
222 : 밀대 230 : 구동모터
300 : 세척부 310a,310b : 회전브러시
320 : 분사노즐 330a,330b : 고정브러시
400 : 건조부 410 : 가이드 레일
420 : 시로코 팬 430 : 공기분사관
440 : 히터 450 : 방열구
460 : 단열부재 470 : 열 차단판
480 : 슈트 500 : 수거부
510 : 배수트랩

Claims (6)

  1. 식판 투입부(100)와; 상기 식판 투입부(100)를 통해 식판(D)이 끼워져 이동하도록 식판의 폭만큼 좌우로 평행하게 이격설치된 1쌍의 가이드 레일(210)과, 상기 가이드 레일에 끼워진 식판(D)을 이송시키는 체인 컨베이어(220)를 포함하는 이송부(200)와; 상기 가이드 레일(210)의 상,하부에 배치되어 식판(D)의 표면 및 이면을 세척하기 위하여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상,하 회전브러시(310)와, 상기 가이드 레일(210)의 상,하부에 배치되어 세제가 혼합된 세척수와 헹굼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세척노즐(320)과, 상기 상,하 회전브러시(310) 사이에 상기 1쌍의 가이드 레일(210)을 교차하도록 고정설치되어 각각 식판(D)의 상,하면에 접촉하는 상,하부 1쌍의 고정 브러시(330)를 포함하는 세척부(300)와; 상기 세척부(300)에서 세척된 식판(D)의 물기를 제거하는 건조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이송부(200)는 식판 투입부(100)를 통해 식판(D)이 끼워져 이동하도록 식판의 폭만큼 좌우로 평행하게 이격설치된 1쌍의 가이드 레일(210)과, 상기 가이드 레일(210)에 끼워진 식판(D)을 이송시키는 체인 컨베이어(220)를 포함하며, 상기 체인 컨베이어(200)는 구동모터(230)의 동력에 의해 무한궤도 식으로 회전하고,양측의 체인 컨베이어(220) 내측에는 식판(D)의 후방 모서리에 접촉하여 밀어주는 밀대(222)가 부착되되, 이 밀대(222)는 식판(D)이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이동라인의 중심선을 따라 반듯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내측 후방으로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판 세척건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식판 투입부(100)는 구동모터(101)에 의해 구동 스프라켓(102)이 회전하고, 상기 구동스프라켓(102)의 전방에는 피동 스프라켓(103)이 이송 체인(104)으로 연결되며, 상기 이송 체인(104)에는 수평방향으로 이송바(105)가 연결되어 식판 투입부(100) 위에 식판(D)을 올리면 이송 체인(104)이 무한궤도 식으로 회전하면서 이송바(105)가 식판(D)의 후방에 접촉하여 밀어서 투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식판 투입부(100)에는 식판(D)에 부착된 잔반을 애벌세척하기 위하여 식판의 상,하부를 향하여 온수가 분사되도록 배치되는 온수 분사노즐(107a,107b)이 설치되고, 상기 온수분사노즐(107a,107b)의 내측으로는 식판(D)의 상,하부면에 접촉되도록 식판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애벌세척용 브러시(108a,108a)가 설치되며, 상기 식판 투입부(100)의 상부측에는 덮개(109)가 힌지식으로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판 세척건조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식판 투입부(100)의 하부 측에는 상기 온수분사노즐(107a,107b)에서 분사된 온수와 애벌 세척용 브러시(108a,108b)에 의해 식판(D)으로부터 분리된 잔반과 세척수를 분리하여 수거하기 위한 잔반 수거슈트(110)가 구비되고, 상기 잔반 수거슈트(100)의 하부에는 물과 잔반을 분리수거하기 위하여 상부는 개방되고 후면은 망체로 이루어진 잔반 수거함(120)이 외측으로 탈거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판 세척건조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밀대(222)의 설치간격은 식판(D)의 길이보다 넓게 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210)의 상,하부에 설치된 회전브러시(310)도 식판 길이보다 넓게 하며, 상류 측의 회전브러시(310a)는 이송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정회전하고, 하류 측의 회전브러시(310b)는 이송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이송방향을 따라 이송하던 식판(D)이 상류측의 회전브러시(310a)에 의해 체인 컨베이어(220)의 속도보다 빠르게 전진하면서 상,하부 측의 고정브러시(330a,330b)와 접촉하여 세척되고, 다시 하류에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브러시(310b)에 의해 이송라인의 역방향으로 후진하면서 고정브러시(330a,330b)와 접촉하여 세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판 세척건조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400)는 세척부(300)를 지나면서 세척 및 헹굼이 완료된 식판(D)이 이송되는 가이드 레일(410)과, 상기 가이드 레일(410)의 전방 상,하부에는 설치되어 시로코 팬(420)에서 발생한 공기를 분사시켜 식판(D) 상,하면의 물기를 불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공기분사관(430)과,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440)가 설치되되, 상기 히터(440)의 하부에는 고온의 열을 식판 쪽으로 집중시킬 수 있도록 격자형태의 막이 형성된 방열구(450)가 형성되고, 상기 히터(440)의 상부에는 히터(400)에서 발생한 열이 상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단열부재(46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판 세척건조장치.
KR1020120053270A 2012-05-18 2012-05-18 식판 세척건조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203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270A KR101203972B1 (ko) 2012-05-18 2012-05-18 식판 세척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270A KR101203972B1 (ko) 2012-05-18 2012-05-18 식판 세척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3972B1 true KR101203972B1 (ko) 2012-11-22

Family

ID=47565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3270A Expired - Fee Related KR101203972B1 (ko) 2012-05-18 2012-05-18 식판 세척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39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77921A (zh) * 2018-02-06 2018-06-19 安徽理工大学 一种食堂餐盘自动回收装置
CN113082234A (zh) * 2021-04-14 2021-07-09 李娜 一种医疗器械的消毒设备及消毒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5831Y1 (ko) * 2000-01-07 2000-06-15 이종환 평면브러쉬가 구비된 세척기
KR100935955B1 (ko) * 2008-10-21 2010-01-12 채승병 식기세척 장치
KR101018662B1 (ko) 2008-05-13 2011-03-04 (주)굿모닝 케미칼 단체급식용 식판 식기세척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5831Y1 (ko) * 2000-01-07 2000-06-15 이종환 평면브러쉬가 구비된 세척기
KR101018662B1 (ko) 2008-05-13 2011-03-04 (주)굿모닝 케미칼 단체급식용 식판 식기세척기
KR100935955B1 (ko) * 2008-10-21 2010-01-12 채승병 식기세척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77921A (zh) * 2018-02-06 2018-06-19 安徽理工大学 一种食堂餐盘自动回收装置
CN113082234A (zh) * 2021-04-14 2021-07-09 李娜 一种医疗器械的消毒设备及消毒方法
CN113082234B (zh) * 2021-04-14 2023-08-18 李春意 一种医疗器械的消毒设备及消毒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1338760B2 (en) Conveyor dishwasher
KR100954691B1 (ko) 박스세척기
KR101070659B1 (ko) 에너지 절감형 식기세척장치
CN204931604U (zh) 一种全自动餐具收集清洗装置及系统
CN105852769A (zh) 一种自助式洗净机
KR100908211B1 (ko) 애벌설거지용 식판 세척기
KR101203972B1 (ko) 식판 세척건조장치
CN205072810U (zh) 一种全自动餐具收集清洗装置
CN101143086A (zh) 筷子清洗机
KR101688389B1 (ko) 식판 직립식 식판자동세척기
KR100767436B1 (ko) 매트 청소기
KR20150080853A (ko) 식판 세척용 세척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식판 자동 세척장치
JP3330526B2 (ja) 果菜洗浄装置
KR101265415B1 (ko) 자동식판세척장치
NL2015322B1 (en) Crate washing device and method.
KR101343564B1 (ko) 보온수단이 구비된 에너지 절감형 식기세척기
WO2017064543A1 (en) Dishwashing system
KR101052751B1 (ko) 자동 식기세척기
KR200276517Y1 (ko) 식기 및 불판 세척기
KR100668769B1 (ko) 식판 건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식판 자동세척기
KR101363604B1 (ko) 식기 세척기
KR20230000716A (ko) 식판 세정 시스템
KR101651193B1 (ko) 세정수의 안정된 공급이 가능한 식판 세척장치용 브러쉬 모듈을 구비한 식판 세척장치
KR20130005012U (ko) 애벌세척기의 식판이송구조
KR101786845B1 (ko) 컵 자동 세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71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1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9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1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11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