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03961B1 -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문틀 - Google Patents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문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3961B1
KR101203961B1 KR1020100090292A KR20100090292A KR101203961B1 KR 101203961 B1 KR101203961 B1 KR 101203961B1 KR 1020100090292 A KR1020100090292 A KR 1020100090292A KR 20100090292 A KR20100090292 A KR 20100090292A KR 101203961 B1 KR101203961 B1 KR 101203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members
cover
holding
inser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0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8450A (ko
Inventor
박재신
Original Assignee
선창아이티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창아이티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선창아이티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0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3961B1/ko
Publication of KR20120028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8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3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396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2Frames composed of part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06Wooden frames
    • E06B1/08Wooden frames composed of several parts with respect to the cross-section of the frame itself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52Frames specially adapted for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Joining Of Corner Units Of Frames 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문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문틀을 이루는 각 부재들이 홀딩부재에 의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못이나 태커핀(tacker pin)과 같은 인서트부재의 노출을 방지하고,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조립식 문틀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벽체의 출입공간부 내부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바텀부재; 상기 바텀부재의 상부 중앙 영역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공간부가 형성되도록 각각 상기 바텀부재의 이웃한 상부 일부와 측부를 감싸는 상부커버부와 측부커버부를 포함하는 제1 및 제2 미들부재; 각각 상기 이격공간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상기 각 미들부재의 상부커버부와 상기 바텀부재에 개재(介在)되는 고정부와, 이에 외측 절곡되고 단부(端部)에 억지끼움형 결합부를 갖는 제1 및 제2 홀딩부재; 상기 각 미들부재의 상부커버부와 상기 각 홀딩부재의 고정부를 지나 상기 바텀부재에 박히게 되는 다수의 인서트부재; 및 상기 각 미들부재 중 도어의 닫힘 방향 측에 위치한 제1미들부재의 상부커버부 상부에 도어 안착공간부를 갖도록 하면서 상기 각 인서트부재의 헤드를 가리기 위한 양 덮개부, 이의 중앙에 배열되어 상기 이격공간부에 삽입되는 끼움부, 그리고 상기 양 덮개부와 끼움부 사이사이에 배열되어 상기 각 홀딩부재의 결합부와의 대응결합부를 포함하는 탑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탑부재의 양 덮개부가 인서트부재의 헤드를 가리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탑부재가 제1 및 제2 홀딩부재에 결합되어 고정됨으로써 그 위치를 설정하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홀딩부재가 문틀에 내장되는 형태로 배치됨으로써, 외부로 노출되는 구성요소들은 목재와 같은 친환경적인 재질로 제작하되, 상기 제1 및 제2 홀딩부재는 기계적성질이 우수한 금속 및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제작함으로써, 이의 결합부가 마모되어 결합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문틀{ASSEMBLY TYPE DOORFRAME}
본 발명은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문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문틀을 이루는 각 부재들이 홀딩부재에 의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못이나 태커핀(tacker pin)과 같은 인서트부재의 노출을 방지하고,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조립식 문틀에 관한 것이다.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문틀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375934호(2005.02.03. 등록, 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한다.) 『조립식 문틀 및 이에 장착되는 한 쌍의 프레임』이 제시되어 있는바,
상기 선행기술은,
벽면에 고정되는 판상의 고정합판과;
상기 고정합판에 의해 상기 벽면에 결합되며 문틀의 본체를 형성하는 가틀과;
상기 가틀의 상기 고정합판에 대향되는 면에 결합되어 문의 이동을 제한하며, 상기 가틀보다 소정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판상의 스토퍼와;
상기 가틀의 상기 스토퍼에 인접한 양측 모서리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프레임과;
상기 가틀의 가로방향 양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가틀을 마감하는 한 쌍의 트림;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태커(tacker, 일명 "타카"라고 함)의 사용을 최소화하고, 조립 후 태커핀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고 환경친화적 소재로 메인프레임과 보조프레임을 제작함으로써, 시공작업이 간편해지고 외관이 향상되어 고품질의 문틀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상기 선행기술은 메인프레임의 결합리브 및 보조프레임의 걸림판부가 스토퍼의 수용홈에 결합되어 상기 스토퍼의 고정을 위하여 체결된 태커핀을 가릴 수 있도록 하고는 있으나,
상기 스토퍼의 고정이 평평한 가틀의 상면에서 이루어짐으로써, 그 위치를 설정하기가 불편한 문제가 있다.
즉, 상기 스토퍼는 문(door)의 닫힘 시 그 움직임을 제한하는 것(본 발명의 "탑부재"에 해당)으로서, 문의 닫힘 시 문과 문틀의 외측면이 상호 일치되도록 하기 위해 스토퍼의 고정 위치를 정확하게 측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은 상기 스토퍼의 위치가 어긋날 경우, 상기 메인프레임 및 보조프레임의 위치까지 연쇄적으로 어긋나게 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상기 선행기술은 주요 구성요소들을 목재로 제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나, 이렇게 목재로 제작된 메인프레임 및 서브프레임은 이의 결합돌기 및 측면돌기가 트림과의 결합 시 쉽게 바스러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문틀은,
벽체의 출입공간부 내부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바텀부재;
상기 바텀부재의 상부 중앙 영역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공간부가 형성되도록 각각 상기 바텀부재의 이웃한 상부 일부와 측부를 감싸는 상부커버부와 측부커버부를 포함하는 제1 및 제2 미들부재;
각각 상기 이격공간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상기 각 미들부재의 상부커버부와 상기 바텀부재에 개재(介在)되는 고정부와, 이에 외측 절곡되고 단부(端部)에 억지끼움형 결합부를 갖는 제1 및 제2 홀딩부재;
상기 각 미들부재의 상부커버부와 상기 각 홀딩부재의 고정부를 지나 상기 바텀부재에 박히게 되는 다수의 인서트부재; 및
상기 각 미들부재 중 도어의 닫힘 방향 측에 위치한 제1미들부재의 상부커버부 상부에 도어 안착공간부를 갖도록 하면서 상기 각 인서트부재의 헤드를 가리기 위한 양 덮개부, 이의 중앙에 배열되어 상기 이격공간부에 삽입되는 끼움부, 그리고 상기 양 덮개부와 끼움부 사이사이에 배열되어 상기 각 홀딩부재의 결합부와의 대응결합부를 포함하는 탑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홀딩부재의 고정부 단부에는 후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미들부재의 상부커버부에는 상기 후크부와의 상호 결합을 위한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미들부재의 측부커버부와 상기 바텀부재에 개재되는 서브고정부와, 이에 외측 절곡되고 단부에 억지끼움형 서브결합부를 갖는 서브홀딩부재,
상기 제1미들부재의 측부커버부와 상기 서브홀딩부재의 서브고정부를 지나 상기 바텀부재에 박히게 되는 다수의 서브인서트부재, 그리고
상기 제1미들부재의 측부커버부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각 서브인서트부재의 헤드를 가리기 위한 상부 서브덮개부와, 벽체의 출입공간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단턱을 가리기 위한 연장덮개부와, 상기 서브덮개부와 상기 연장덮개부의 사이에 배열되어 상기 서브홀딩부재의 서브결합부와의 대응서브결합부를 갖는 마감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장덮개부에는 외측면에 장판 단부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문틀은,
탑부재의 양 덮개부가 인서트부재의 헤드를 가리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탑부재가 제1 및 제2 홀딩부재에 결합되어 고정됨으로써 그 위치를 설정하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홀딩부재가 문틀에 내장되는 형태로 배치됨으로써, 외부로 노출되는 구성요소들은 목재와 같은 친환경적인 재질로 제작하되, 상기 제1 및 제2 홀딩부재는 기계적성질이 우수한 금속 및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제작함으로써, 이의 결합부가 마모되어 결합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문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문틀의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도 2에서 탑부재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문틀의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문틀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문틀(이하, '문틀'이라고 한다)는 크게 바텀부재(100), 제1 및 제2 미들부재(200A, 200B), 제1 및 제2 홀딩부재(300A, 300B), 인서트부재(400) 및 탑부재(500)로 이루어진다.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바텀부재(100)는
벽체(10)의 출입공간부(11) 내부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것으로서,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앵커볼트나 콘크리트 못(미도시) 등에 의해 벽체(10)에 고정된다.
상기 바텀부재(100)는 후술될 다른 구성요소들을 결합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것이므로, 그 고정 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하여 벽체(10)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및 제2 미들부재(200A, 200B)는
상기 바텀부재(100)의 상부 중앙 영역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공간부(S1, 도 3 및 도 4 참조)가 형성되도록 상호 대향(對向)되게 배치되는 것으로서,
각각 상기 바텀부재(100)의 이웃한 상부 일부와 측부를 감싸는 상부커버부(210)와 측부커버부(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결국, 상기 제1 및 제2 미들부재(200A, 200B)는 각각 "ㄱ"자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바텀부재(100)의 상부 양측 모서리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미들부재(200A, 200B)의 상부커버부(210) 하측 단부에는 후술될 제1 및 제2 홀딩부재(300A, 300B)의 고정부(310)가 배치될 수 있도록 수용홈(211, 도 2 참조)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홀딩부재(300A, 300B)는
각각 상기 이격공간부(S1)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각 미들부재(200A, 200B)의 상부커버부(210)와 상기 바텀부재(100)에 개재(介在)되는 고정부(310), 그리고
상기 고정부(310)에 외측 절곡되고 단부(端部)에 결합돌기(321)를 갖는 억지끼움형 결합부(32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320)는 상협하광(上狹下廣) 형태의 상기 결합돌기(321)에 의해 화살표 형태를 갖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홀딩부재(300A, 300B)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상기 바텀부재(100) 또는 상기 각 미들부재(200A, 200B)에 상응하는 길이를 갖는 단일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격공간부(S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다수의 분체(分體, 301)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인서트부재(400)는
상기 각 미들부재(200A, 200B)와 상기 각 홀딩부재(300A, 300B)를 상기 바텀부재(100)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각 미들부재(200A, 200B)의 상부커버부(210)와 상기 각 홀딩부재(300A, 300B)의 고정부(310)를 지나 상기 바텀부재(100)에 박히되, 상기 각 미들부재(200A, 200B)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가 박히게 된다.
상기 인서트부재(400)는 상기 바텀부재(100)에 박히게 되는 두 삽입부(420)와, 상기 두 삽입부(420)를 상호 연결하는 헤드(410)로 이루어진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인서트부재(400)는 태커핀(tacker pin) 형태를 갖는다.
하지만, 필요에 따라 상기 인서트부재(400)는 못 또는 나사못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 경우 상기 헤드(410)는 못대가리가 될 것이다.
상기 탑부재(500)는
도어(door, 30)의 닫힘 시 그 움직임을 제한하는 것으로서,
상기 각 미들부재(200A, 200B) 중 도어(30)의 닫힘 방향 측에 위치한 제1미들부재(200A)의 상부커버부(210) 상부에 도어(30) 안착공간부(S2)를 갖도록 하면서 상기 각 인서트부재(400)의 헤드(410)를 가리기 위한 양 덮개부(510),
상기 양 덮개부(510) 중앙에 배열되어 상기 이격공간부(S1)에 삽입되는 끼움부(520), 그리고
상기 양 덮개부(510)와 상기 끼움부(520) 사이사이에 배열되어 상기 각 홀딩부재(300A, 300B)의 결합부(320)와 암수(雌雄)결합되는 대응결합부(5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탑부재(500)는 이의 대응결합부(530)와 상기 각 홀딩부재(300A, 300B)에 의해 상기 끼움부(520)를 상기 이격공간부(S1)에 대고 가압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즉, 상기 끼움부(520)를 상기 이격공간부(S1) 내에 위치시키는 것만으로 정확한 위치를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끼움부(520)가 상기 이격공간부(S1)에 삽입되면, 상기 각 홀딩부재(300A, 300B) 결합돌기(321)의 양측 하단부(下端部)가 상기 대응결합부(530)의 내벽에 파고들어 상기 탑부재(500)가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이때에 상기 각 홀딩부재(300A, 300B)는 조립이 완료된 문틀에 내장되는 형태로 배치됨으로써, 금속 또는 합성수지를 이용한 제작이 가능해지게 된다.
즉, 외부로 노출되는 구성요소들은 목재와 같은 친환경적인 재질로 제작하되, 상기 각 홀딩부재(300A, 300B)는 기계적성질이 우수한 재질로 제작함으로써, 상기 결합부(320)의 결합돌기(321)가 마모되어 상기 탑부재(500)에 대한 결합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틀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제1 및 제2 홀딩부재(300A, 300B)의 고정부(310) 단부에는 후크부(33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미들부재(200A, 200B)의 상부커버부(210)에는 상기 후크부(330)와의 상호 결합을 위한 걸림부(230)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걸림부(230)는 상기 수용홈(211) 단부가 상측으로 패여 형성되며, 상기 후크부(330)는 상기 고정부(310) 단부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후크부(330)가 상기 걸림부(230)에 수용되는 형태가 된다.
이에 의하면, 상기 각 미들부재(200A, 200B), 상기 각 홀딩부재(300A, 300B) 및 상기 탑부재(500)는 좌우방향으로의 충격에 대한 저항력이 증대되어, 도어(30)의 닫힘 동작 시 상기 탑부재(500)에 가해지는 충격에도 상기 각 미들부재(200A, 200B), 상기 각 홀딩부재(300A, 300B) 및 상기 탑부재(500)의 상호 결합력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틀은 서브홀딩부재(600), 서브인서트부재(700), 그리고 마감부재(8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서브홀딩부재(600)는
상기 제1미들부재(200A)의 측부커버부(220)와 상기 바텀부재(100)에 개재되는 서브고정부(610), 그리고
상기 서브고정부(610)에 외측 절곡되고 단부에 서브결합돌기(621)를 갖는 억지끼움형 서브결합부(620)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제1미들부재(200A)의 측부커버부(220) 하단부에 배치된다.
한편, 이때에 상기 제1미들부재(200A)의 측부커버부(220)에는 상기 서브홀딩부재(600)의 서브고정부(610)가 배치될 수 있도록 서브수용홈(221)이 형성되며, 상기 제1미들부재(200A)가 위치한 상기 바텀부재(100)의 일측 하단부에는 상기 서브홀딩부재(600)의 서브결합부(620) 하면이 받쳐질 수 있도록 받침부(110)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브인서트부재(700)는
상기 제1미들부재(200A)의 측부커버부(220)와 상기 서브홀딩부재(600)를 상기 바텀부재(100)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1미들부재(200A)의 측부커버부(220)와 상기 서브홀딩부재(600)의 서브고정부(610)를 지나 상기 바텀부재(100)에 박히되, 상기 제1미들부재(200A)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가 박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서브홀딩부재(600) 및 상기 서브인서트부재(700)는 그 제작 및 조립의 편의를 위해, 각각 상기 각 홀딩부재(300A, 300B) 및 상기 인서트부재(40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마감부재(800)는
상기 제1미들부재(200A)의 측부커버부(220)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각 서브인서트부재(700)의 헤드를 가리기 위한 상부 서브덮개부(810),
벽체(10)의 출입공간부(11)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단턱(12)을 가리기 위한 연장덮개부(820), 그리고
상기 서브덮개부(810)와 상기 연장덮개부(820)의 사이에 배열되어 상기 서브홀딩부재(600)의 서브결합부(620)와의 대응서브결합부(8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연장덮개부(820)에는 외측면에 장판(40) 단부(41) 안착홈(821)이 형성되는데,
상기 안착홈(821)은 시공 바닥면(20)에 깔리게 되는 장판(40)에서 바닥면(20)과 벽체(10)의 인접 수직면까지 올라오는 가장자리 단부(41)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부 기능을 하게 되고,
아울러 상기 안착홈(821)의 요입 깊이는 장판(40)의 두께와 상응하거나 이를 포함할 정도의 깊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장판(40)이 밀리거나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시공된 장판(40)의 단부(41)가 상기 마감부재(800)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아 외관이 미려해지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문틀"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벽체
11 ; 출입공간부 12 ; 단턱
20 ; 바닥면
30 ; 도어
40 ; 장판 41 ; 단부
100 ; 바텀부재 110 ; 받침부
200A, 200B ; 제1 및 제2 미들부재
210 ; 상부커버부 211 ; 수용부
220 ; 측부커버부 221 ; 서브수용홈
230 ; 걸림부
300A, 300B ; 제 및 제2 홀딩부재
301 ; 분체(分體)
310 ; 고정부 320 ; 결합부 330 ; 후크부
400 ; 인서트부재
410 ; 헤드 420 ; 삽입부
500 ; 탑부재
510 ; 덮개부 520 ; 끼움부 530 ; 대응결합부
600 ; 서브홀딩부재
610 ; 서브고정부 620 ; 서브결합부
700 ; 서브인서트부재
800 ; 마감부재
810 ; 서브덮개부
820 ; 연장덮개부 821 ; 안착홈
830 ; 대응서브결합부
S1 ; 이격공간부
S2 ; 안착공간부

Claims (4)

  1. 벽체(10)의 출입공간부(11) 내부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바텀부재(100);
    상기 바텀부재(100)의 상부 중앙 영역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공간부(S1)가 형성되도록 각각 상기 바텀부재(100)의 이웃한 상부 일부와 측부를 감싸는 상부커버부(210)와 측부커버부(220)를 포함하는 제1 및 제2 미들부재(200A, 200B);
    각각 상기 이격공간부(S1)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상기 각 미들부재(200A, 200B)의 상부커버부(210)와 상기 바텀부재(100)에 개재(介在)되는 고정부(310)와, 이에 외측 절곡되고 단부(端部)에 억지끼움형 결합부(320)를 갖는 제1 및 제2 홀딩부재(300A, 300B);
    상기 각 미들부재(200A, 200B)의 상부커버부(210)와 상기 각 홀딩부재(300A, 300B)의 고정부(310)를 지나 상기 바텀부재(100)에 박히게 되는 다수의 인서트부재(400); 및
    상기 각 미들부재(200A, 200B) 중 도어(30)의 닫힘 방향 측에 위치한 제1미들부재(200A)의 상부커버부(210) 상부에 도어(30) 안착공간부(S2)를 갖도록 하면서 상기 각 인서트부재(400)의 헤드(410)를 가리기 위한 양 덮개부(510), 이의 중앙에 배열되어 상기 이격공간부(S1)에 삽입되는 끼움부(520), 그리고 상기 양 덮개부(510)와 끼움부(520) 사이사이에 배열되어 상기 각 홀딩부재(300A, 300B)의 결합부(320)와의 대응결합부(530)를 포함하는 탑부재(5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 및 제2 홀딩부재(300A, 300B)의 고정부(310) 단부에는 후크부(33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미들부재(200A, 200B)의 상부커버부(210)에는 상기 후크부(330)와의 상호 결합을 위한 걸림부(23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문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미들부재(200A)의 측부커버부(220)와 상기 바텀부재(100)에 개재되는 서브고정부(610)와, 이에 외측 절곡되고 단부에 억지끼움형 서브결합부(620)를 갖는 서브홀딩부재(600),
    상기 제1미들부재(200A)의 측부커버부(220)와 상기 서브홀딩부재(600)의 서브고정부(610)를 지나 상기 바텀부재(100)에 박히게 되는 다수의 서브인서트부재(700), 그리고
    상기 제1미들부재(200A)의 측부커버부(220)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각 서브인서트부재(700)의 헤드를 가리기 위한 상부 서브덮개부(810)와, 벽체(10)의 출입공간부(11)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단턱(12)을 가리기 위한 연장덮개부(820)와, 상기 서브덮개부(810)와 상기 연장덮개부(820)의 사이에 배열되어 상기 서브홀딩부재(600)의 서브결합부(620)와의 대응서브결합부(830)를 갖는 마감부재(80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문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덮개부(820)에는 외측면에 장판(40) 단부(41) 안착홈(82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문틀.
  4. 삭제
KR1020100090292A 2010-09-15 2010-09-15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문틀 Active KR101203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292A KR101203961B1 (ko) 2010-09-15 2010-09-15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문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292A KR101203961B1 (ko) 2010-09-15 2010-09-15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문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8450A KR20120028450A (ko) 2012-03-23
KR101203961B1 true KR101203961B1 (ko) 2012-11-22

Family

ID=46133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0292A Active KR101203961B1 (ko) 2010-09-15 2010-09-15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문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39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691Y1 (ko) 2016-10-27 2019-03-08 주식회사 금오하이텍 리모델링용 조립식 문틀커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5934Y1 (ko) * 2004-08-19 2005-03-11 (주)근유 조립식 문틀 및 이에 장착되는 한 쌍의 프레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5934Y1 (ko) * 2004-08-19 2005-03-11 (주)근유 조립식 문틀 및 이에 장착되는 한 쌍의 프레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691Y1 (ko) 2016-10-27 2019-03-08 주식회사 금오하이텍 리모델링용 조립식 문틀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8450A (ko) 2012-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7916B1 (ko) 돔형 구조물
KR20130045993A (ko) 조립식 건축물의 벽체용 패널 및 그 시공방법
KR101136350B1 (ko) 천정판 고정구조
KR20100098852A (ko) 자력에 의하여 움직여지는 걸림구를 이용한 인테리어용 마감소재
KR101314873B1 (ko) 건축물의 천장 마감부재
KR101632323B1 (ko) 벽체 마감용 패널 및 그 시공방법
KR101203961B1 (ko)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문틀
KR200451548Y1 (ko)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문틀
KR101336959B1 (ko) 조립식 건축물의 모서리용 패널 및 그 시공방법
KR100459842B1 (ko) 문틀 및 그 시공방법
KR20100002876U (ko) 타일 마감 프레임 및 그 설치 구조
KR200464063Y1 (ko) 세대간 칸막이용 프레임
KR101591896B1 (ko)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는 발코니 리모델링 창호와 그 시공 방법
KR20030014450A (ko) 문틀 및 그 시공방법
KR200211399Y1 (ko) 문틀
KR101153279B1 (ko) 납골함 안치 유니트
KR101971133B1 (ko) 데크플레이트 연결구
KR100450630B1 (ko) 조립식 문틀
KR200455291Y1 (ko) 방화문의 장식판 고정 장치
KR200497761Y1 (ko) 분합창틀용 하부 마감 캡의 단부 지지구
KR100676414B1 (ko) 조립식 문틀 및 이에 장착되는 한 쌍의 프레임
KR102285770B1 (ko) 원터치 방식으로 체결이 가능한 패널용 수직프레임
KR100676409B1 (ko) 조립식 문틀 및 이에 장착되는 한 쌍의 프레임
KR100821903B1 (ko) 건축물 벽체의 조립식 기와장식 구조
KR200375934Y1 (ko) 조립식 문틀 및 이에 장착되는 한 쌍의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9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5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1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11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1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1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2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