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02333B1 - 배터리 팩 - Google Patents

배터리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2333B1
KR101202333B1 KR1020100054500A KR20100054500A KR101202333B1 KR 101202333 B1 KR101202333 B1 KR 101202333B1 KR 1020100054500 A KR1020100054500 A KR 1020100054500A KR 20100054500 A KR20100054500 A KR 20100054500A KR 101202333 B1 KR101202333 B1 KR 101202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s
secondary batteries
frame
support
adjac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4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4750A (ko
Inventor
한정엽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4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2333B1/ko
Priority to US13/011,604 priority patent/US9437847B2/en
Publication of KR20110134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4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2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233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1G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18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2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casings or racks
    • H01M50/222Inorganic material
    • H01M50/224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18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2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casings or racks
    • H01M50/227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18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2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casings or racks
    • H01M50/231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casings or racks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4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 H01M50/516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by welding, soldering or braz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관한 배터리 팩은, 이차 전지들이 서로 대략 평행하게 일 방향을 따라 이격되며 배치되어 이루어진 전지 열들이 연속적으로 인접하며 배치되어 형성되는 전지 그룹과, 전지 그룹을 둘러싸는 프레임과, 인접한 전지 열들의 사이에 배치되고 양측 면에 이차 전지들의 가장자리의 일부를 수용하는 지지홈들을 구비하며 양측 단부는 프레임에 결합하는 제1 리브들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배터리 팩{Battery pack}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차 전지들을 둘러싼 프레임에 설치된 리브들에 의해 이차 전지들이 지지되므로 이차 전지들의 조립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전동 자전거(electric bike)나 오토바이와 같은 장치에는 복수 개의 이차 전지들이 조합되는 배터리 팩(battery pack)이 장착된다.
배터리 팩이 작동하는 동안 발생하는 열로 인해 이차 전지들의 온도가 상승하므로, 열을 효율적으로 냉각하지 않으면 이차 전지의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배터리 팩은 주행 중에 충격과 진동이 전달되어도 이차 전지들이 탈락하지 않도록 이차 전지들을 원래의 조립 위치에 안정적으로 유지하여야 한다. 또한 복수 개의 이차 전지들을 조합하여 배터리 팩을 제조할 때에는 이차 전지들이 완전히 조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각각의 이차 전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작업을 실시하는데, 이차 전지들이 움직이거나 탈락하여 작업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차 전지들의 조립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배터리 팩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차 전지들을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는 배터리 팩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차 전지들을 연결하는 조립 작업이 용이한 배터리 팩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이차 전지들을 둘러싸는 프레임과, 이차 전지들의 가장자리를 수용하는 지지홈들을 구비하며 프레임에 결합된 제1 리브들을 구비하는 배터리 팩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배터리 팩은, 이차 전지들이 서로 대략 평행하게 일 방향을 따라 이격되며 배치되어 이루어진 전지 열들이 연속적으로 인접하며 배치되어 형성되는 전지 그룹과, 전지 그룹을 둘러싸는 프레임과, 인접한 전지 열들의 사이에 배치되고 양측 면에 이차 전지들의 가장자리의 일부를 수용하는 지지홈들을 구비하며 양측 단부는 프레임에 결합하는 제1 리브들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리브들의 양측 단부의 표면들의 각각은 프레임의 양측 단부의 표면들보다 내측을 향해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리브들의 양측 면에서 지지홈들의 위치가 서로 어긋나게 형성되어 인접한 전지 열들의 사이의 이차 전지들은 지그재그 모양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리브들은 전지 열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인접한 제1 리브들은, 프레임에 연결되는 단부에 공기가 유통하는 환기 통로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프레임은 프레임의 외부와 내부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환기 구멍들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리브들은 이차 전지들의 일측 단부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배터리 팩은, 제1 리브들에 대응하여 이차 전지들의 타측 단부에서 인접한 전지 열들의 사이에 배치되고 양측 면에 이차 전지들의 타측 단부의 가장자리의 일부를 수용하는 지지홈들을 구비하며 양측 단부는 프레임에 결합하는 제2 리브들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차 전지들은 원통형 이차 전지들일 수 있고, 지지홈들은 이차 전지들의 외측 원주면의 일부분에 대응하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차 전지들의 일측 단부에 대응하는 제1 리브들의 외측 표면은 이차 전지들의 일측 단부에 대응하는 프레임의 일측 표면보다 내측을 향해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고, 이차 전지들의 타측 단부에 대응하는 제2 리브들의 외측 표면은 이차 전지들의 타측 단부에 대응하는 프레임의 타측 표면보다 내측을 향해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배터리 팩은 이차 전지들의 일측 단부들의 일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연결탭과, 이차 전지들의 타측 단부들의 일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연결탭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배터리 팩은 제1 리브들의 외측에 결합하며 지지홈들을 향해 연장함으로써 이차 전지들의 일측 단부 면의 일부분을 지지하는 지지 돌기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배터리 팩은, 이차 전지들의 대략 중간 부분에서 제1 리브들 및 제2 리브들에 대응하도록 인접한 전지 열들의 사이에 배치되고 양측 면에 이차 전지들의 가장자리의 일부를 수용하는 지지홈들을 구비하며 양측 단부는 프레임에 결합하는 제3 리브들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배터리 팩은, 프레임에 설치된 리브들에 의해 이차 전지들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므로 배터리 팩 내에서 이차 전지들의 조립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이차 전지들을 지지하는 리브들에 의해 공기 유통을 위한 공간이 확보되므로 이차 전지들이 효과적으로 냉각될 수 있다. 또한 리브들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이차 전지를 연결탭에 연결할 수 있으므로 조립 작업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배터리 팩의 조립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터리 팩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배터리 팩에서 Ⅲ-Ⅲ의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배터리 팩의 일부분을 나타낸 일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배터리 팩이 조립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도록 Ⅳ-Ⅳ의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배터리 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한 배터리 팩의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배터리 팩의 조립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터리 팩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배터리 팩에서 Ⅲ-Ⅲ의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배터리 팩은, 복수 개의 이차 전지들(10)로 이루어진 전지 그룹(30)과, 전지 그룹(30)을 둘러싸는 프레임(40)과, 이차 전지들(10)을 지지하도록 프레임(40)에 설치된 제1 리브들(50)을 구비한다.
프레임(40)은 도면 상 상측의 일측 판(41)과, 일측 판(41)에 대응하여 연장하는 타측 판(42)과, 상기 일측 판(41)과 타측 판(42)의 양단을 각각 연결하는 측면판들(43, 44)을 구비한다. 프레임(40)은 일측 판(41)과 타측 판(42)과 측면판들(43, 44)에 의해 둘러싸이는 빈 공간이 형성되므로 이차 전지들(10)이 프레임(40)에 의해 장착되어도 이차 전지들(10)의 측면 표면은 공기와 접촉하므로 이차 전지들(10)의 냉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프레임(40)은 플라스틱과 같은 전기 절연성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또는 프레임(40)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소재로 틀을 성형한 후 그 표면을 전기를 절연하는 소재로 코팅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프레임(40)의 내부에는 이차 전지들(10)을 지지하는 제1 리브들(50)이 배치된다. 제1 리브들(50)은 프레임(4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복수 개가 배치된다. 제1 리브들(50)은 양측 면에 이차 전지들(10)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지지홈들(51)을 구비한다. 제1 리브들(50)의 일측 단부(50b)는 프레임(40)의 일측 판(41)에 결합하고, 타측 단부(50a)는 프레임(40)의 타측 판(42)에 결합한다.
프레임(40)과 제1 리브들(50)을 플라스틱을 사출하는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프레임(40)의 제조 방법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레임(40)을 먼저 제작한 후 제1 리브들(50)을 프레임(40)에 결합시키는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프레임(40)에 제1 리브들(50)에 결합할 때에는 프레임(40)의 일측 판(41)과 타측 판(42)에 결합용 홈을 형성하고, 결합용 홈에 제1 리브들(50)의 일측 단부(50b) 및 타측 단부(50a)를 삽입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는 프레임(40)에 제1 리브들(50)에 결합하기 위해 볼트와 같은 별도의 체결 수단이나 접착제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차 전지들(10)은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 조립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차 전지(10)의 일측 단부 면(10a) 타측 단부 면(10b)은 각각 프레임(40)의 양측 개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차 전지(10)의 일측 단부 면(10a)과 타측 단부 면(10b)은,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단자로 기능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이차 전지들(10)은 서로 대략 평행하게 일 방향을 따라 이격되며 배치되어 이루어진 전지 열들(20)을 형성한다. 즉 전지 열들(20)은 도면 상 상측 방향(Z 방향)을 따라 연장하여 배치된 이차 전지들(10)의 집합에 해당한다. 전지 열들(20)은 서로 연속적으로 인접하며 배치됨으로써 전지 그룹(30)을 형성한다. 도 1에서는 편의상 일부의 이차 전지들(10)만이 도시되었지만, 제1 리브들(50)에 의해 형성된 지지홈들(51)에 대응하는 이차 전지들(10)을 사용할 수 있다.
제1 리브들(50)은 인접한 전지 열들(20)의 사이에 배치되므로, 제1 리브들(50)의 양측 면에 형성된 지지홈들(51)에 이차 전지들(10)의 가장자리의 일부분이 수용될 수 있다. 제1 리브들(50)은 전지 열들(20)이 연장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차 전지들(10)은 원통형상으로 제조되므로, 이차 전지들(10)의 가장자리를 수용하는 지지홈들(51)들 이차 전지들(10)의 외측 원주면에 대응하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이차 전지들(10) 및 지지홈들(51)의 형상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를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차 전지들(10)은 직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지지홈들(51)은 각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제1 리브들(50)의 양측 면에서 지지홈들(51)이 형성되는 위치는 서로 어긋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인접한 전지 열들(20)에 포함된 이차 전지들(10)은 제1 리브들(50)을 중심으로 지그재그 모양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이차 전지들(10)은 벌집 모양의 형태를 이루도록 서로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차 전지들(10)의 배치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많은 이차 전지들(10)을 배치하면서도, 냉각을 위한 공기 유통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제1 리브들(50)은 프레임(40)에 연결되는 일측 단부(50b)나 타측 단부(50a)에 공기가 유통하는 환기 통로(53)를 구비할 수 있다. 프레임(40)은 프레임(40)의 내부와 외부의 공기가 유통할 수 있게 하는 복수 개의 환기 구멍들(40a, 40b)을 구비할 수 있다.
일측 판(41)에 형성된 환기 구멍들(40a)은 제1 리브들(50)의 환기 통로(53)와 연결되므로,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프레임(40)의 내부에서 이차 전지들(10)의 표면과 접촉하며 가열된 공기가 환기 통로(53)와 환기 구멍들(40a)을 통과하여 프레임(4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는 이와 반대로 프레임(40)의 외부의 공기가 환기 구멍들(40a)을 통해 프레임(40)의 내부로 유입된 후, 환기 통로(53)를 통해 이차 전지들(10)의 표면으로 흘러 이차 전지들(10)을 냉각시키는 작용을 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프레임(40)의 일측과 타측에는 외부로 노출된 이차 전지들(10)의 단부 면들(10a, 10b)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연결탭(91)과 제2 연결탭(92)이 설치된다. 제1 연결탭(91)과 제2 연결탭(92)은 이차 전지들(10)의 단부 면들(10a, 10b)에 용접됨으로써 이차 전지(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리브들(50)의 외측에는 지지홈들(51)을 향해 연장하여 이차 전지들(10)의 단부 면(10a, 10b)의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 돌기부(80)가 설치될 수 있다. 지지 돌기부(80)는 제1 리브들(50)과 별도로 제조되어 제1 리브들(50)에 결합되거나, 또는 사출 성형 등의 방법을 이용해 제1 리브들(50)을 제조할 때에 제1 리브들(50)의 외측에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프레임(40)은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전지 그룹(30)에서 최외곽에 배치된 이차 전지들(10)을 향해 내측 방향으로 소정거리 연장하는 돌출턱(41b, 42b)이 형성될 수 있다. 돌출턱(41b, 42b)은 최외곽에 배치된 이차 전지들(10)의 단부 면(10a, 10b)의 일부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배터리 팩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제1 리브들(50)의 지지홈들(51)에 이차 전지들(10)을 삽입하면, 돌출턱(41b, 42b)이나 지지 돌기부(80)에 의해 이차 전지들(10)이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따라서 이차 전지들(10)에 제1 연결탭(91)과 제2 연결탭(92)을 용접하는 작업이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배터리 팩이 사용되는 동안에도 이차 전지들(10)과 프레임(40) 및 제1 리브들(50)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차 전지들(10)의 일측 단부 면(10a)에 대응하는 제1 리브들(50)의 외측 표면(58)은 이차 전지들(10)의 일측 단부 면(10a)에 대응하는 프레임(40)의 일측 표면(48)보다 내측을 향해 이격된다. 또한 이차 전지들(10)의 타측 단부 면(10b)에 대응하는 제1 리브들(50)의 외측 표면(59)은 이차 전지들(10)의 타측 단부 면(10b)에 대응하는 프레임(40)의 타측 표면(49)보다 내측을 향해 이격된다.
이와 같이 제1 리브들(50)의 전체 길이를 프레임(40)의 전체 길이보다 작게 설계함으로써 재료비를 절감하고 구조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이차 전지들(10)의 효율적 냉각을 위한 공기 유통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배터리 팩의 일부분을 나타낸 일부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배터리 팩이 조립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도록 Ⅳ-Ⅳ의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배터리 팩에 있어서, 배터리 팩은 복수 개의 이차 전지들(10)로 이루어진 전지 그룹(30)과, 전지 그룹(30)을 둘러싸는 프레임(40)과, 이차 전지들(10)을 지지하도록 프레임(40)에 설치된 제1 리브들(50)을 구비한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난 실시예에서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난 실시예 변형하여 프레임(40)에 제1 리브들(150) 및 제2 리브들(160)이 설치된다. 이하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였다.
프레임(40)은 도면 상 상측의 일측 판(41)과 일측 판(41)에 대응하여 연장하는 타측 판(42)과 측면판들을 구비한다. 측면판들의 도시는 편의상 생략되었다. 일측 판(41)과 타측 판(42)에는 환기 구멍들(40a)이 형성된다. 또한 일측 판(41)과 타측 판(42)에는 이차 전지들(10)의 단부 면들을 지지하기 위한 돌출턱들(41b, 42b)이 형성된다.
이차 전지들(10)은 일 방향(Z 축 방향)을 따라 이격 되며 서로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어 전지 열들(20)을 형성한다. 전지 열들(20)은 서로 인접하게 연속적으로 배치됨으로써 전지 그룹(30)을 형성한다. 전지 그룹(30)은 프레임(40)에 의해 둘러싸인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리브들(150)은 이차 전지들(10)의 일측 단부(10d)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도록 배치되고, 제2 리브들(160)은 이차 전지들(10)의 타측 단부(10e)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도록 배치된다.
제1 리브들(150)과 제2 리브들(160)은 각각 인접한 전지 열들(20)의 사이에 배치되며, 양측 면에 이차 전지들(10)의 가장자리의 일부를 수용하는 지지홈들(151, 161)을 구비할 수 있다. 지지홈들(151, 161)은 각각 제1 리브들(150)과 제2 리브들(160)을 중심으로 지그재그 형태를 이루도록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리브들(150)과 제2 리브들(150)의 각각은 프레임(40)과 연결되는 단부에 공기가 유통하는 환기 통로(153, 163)를 구비할 수 있다.
프레임(40)의 일측과 타측에는 외부로 노출된 이차 전지들(10)의 단부 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연결탭(91)과 제2 연결탭(92)이 설치된다. 제1 연결탭(91)과 제2 연결탭(92)은 이차 전지들(10)의 단부 면들에 용접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이차 전지들(10)의 일측 단부(10d)에 대응하는 제1 리브들(150)의 외측 표면(158)은 이차 전지들(10)의 일측 단부(10d)에 대응하는 프레임(40)의 일측 표면(48)보다 내측을 향해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차 전지들(10)의 타측 단부(10e)에 대응하는 제2 리브들(160)의 외측 표면(169)은 이차 전지들(10)의 타측 단부(10e)에 대응하는 프레임(40)의 타측 표면(49)보다 내측을 향해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 리브들(150)의 외측 표면(158)으로부터 제2 리브들(160)의 외측 표면(169)까지 이르는 길이가 프레임(40)의 전체 길이보다 작도록 설계함으로써 재료비를 절감하고 구조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이차 전지들(10)의 효율적 냉각을 위한 공기 유통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프레임(40)에 형성된 환기 구멍들(40a)은 제1 리브들(150) 및 제2 리브들(160)의 환기 통로들(153, 163)과 연결되므로, 프레임(40)의 내부에서 이차 전지들(10)의 표면과 접촉하며 가열된 공기가 환기 구멍들(40a)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거나 외부의 공기가 프레임(40)의 내부로 유입되어 이차 전지들(10)을 냉각시킬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배터리 팩에서는 제1 리브들(150)과 제2 리브들(160)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됨으로써 제1 리브들(150)과 제2 리브들(160)의 사이에 공기 냉각을 위한 공간이 확보되므로, 도 5에 도시된 화살표 C 방향(Y 축 방향)을 따라 흐르는 공기 흐름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이차 전지(10)들이 효율적으로 냉각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배터리 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배터리 팩은 도 4 및 도 5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배터리 팩의 구조와 전체적으로 유사하며, 제1 리브들(150)과 제2 리브들(160)의 사이에 제3 리브들(170)이 배치되는 점이 변형되었다.
제1 리브들(150)은 이차 전지들(10)의 일측 단부(10d)의 가장자리를 지지하고, 제2 리브들(160)은 이차 전지들(10)의 타측 단부(10e)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며, 제3 리브들(170)은 이차 전지들(10)의 대략 중간 부분(10f)을 지지한다.
제3 리브들(170)은 제1 리브들(150) 및 제2 리브들(160)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므로, 인접한 전지 열들(20)의 사이에 배치되며 전지 열들(2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한다. 또한 제3 리브들(170)은 양측 면에 이차 전지들(10)의 가장자리의 일부를 수용하는 지지홈들(171)을 구비한다. 제3 리브들(170)의 양측 단부는 프레임(40)에 결합하며, 프레임(40)에 결합하는 단부에는 공기가 유통하는 환기 통로(173)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차 전지들(10)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로서 제1 리브들(150)과, 제2 리브들(160)과, 제3 리브들(170)을 사용함으로써, 이차 전지들(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리브들(150)과, 제2 리브들(160)과, 제3 리브들(170)의 사이에 공기의 유통을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이차 전지들(10)을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e: 타측 단부 50a: 타측 단부
10: 이차 전지 80: 지지 돌기부
10d: 일측 단부 40a, 40b: 환기 구멍들
10a: 일측 단부 면 41b, 42b: 돌출턱
10f: 중간 부분 43, 44: 측면판들
10b: 타측 단부 면 91: 제1 연결탭
20: 전지 열들 92: 제2 연결탭
30: 전지 그룹 160: 제2 리브들
40: 프레임 170: 제3 리브들
41: 일측 판 50, 150: 제1 리브들
42: 타측 판 58, 59, 158, 169: 외측 표면
48: 일측 표면 51, 151, 161, 171: 지지홈들
49: 타측 표면 50b: 일측 단부
53, 153, 163, 173: 환기 통로

Claims (16)

  1. 이차 전지들이 서로 평행하게 일 방향을 따라 이격되며 배치되어 이루어진 전지 열들이 연속적으로 인접하며 배치되어 형성되는 전지 그룹;
    상기 전지 그룹을 둘러싸는 프레임; 및
    인접한 상기 전지 열들의 사이에 배치되고, 양측 면에 상기 이차 전지들의 가장자리의 일부를 수용하는 지지홈들을 구비하며, 양측 단부는 상기 프레임에 결합하는, 제1 리브들;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리브들의 상기 양측 면에서 상기 지지홈들의 위치가 서로 어긋나게 형성되어, 인접한 상기 전지 열들의 사이의 상기 이차 전지들은 지그재그 모양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리브의 양측 면을 이루는 일측 면 및 타측 면 각각에는, 적어도 둘 이상 복수의 이차 전지들이 지지되며, 서로 이웃한 제1 리브들은 서로 이격되어 있는, 배터리 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브들의 양측 단부의 표면들의 각각은 상기 프레임의 양측 단부의 표면들보다 내측을 향해 이격되어 형성된, 배터리 팩.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브들은 상기 전지 열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배터리 팩.
  5. 제1항에 있어서,
    인접한 상기 제1 리브들은,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단부에 공기가 유통하는 환기 통로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의 외부와 내부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환기 구멍들을 구비하는, 배터리 팩.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브들은 상기 이차 전지들의 일측 단부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리브들에 대응하여 상기 이차 전지들의 타측 단부에서 인접한 상기 전지 열들의 사이에 배치되고, 양측 면에 상기 이차 전지들의 상기 타측 단부의 가장자리의 일부를 수용하는 지지홈들을 구비하며, 양측 단부는 상기 프레임에 결합하는 제2 리브들을 더 구비하는, 배터리 팩.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브들과 상기 제2 리브들은 각각 상기 전지 열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배터리 팩.
  9. 제1항, 제2항 또는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 전지들은 원통형 이차 전지들이고, 상기 지지홈들은 상기 이차 전지들의 외측 원주면의 일부분에 대응하는 곡면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브들과 상기 제2 리브들의 각각의 상기 양측 면에서 상기 지지홈들의 위치가 서로 어긋나게 형성되어, 인접한 상기 전지 열들의 사이의 상기 이차 전지들은 지그재그 모양으로 배치되는, 배터리 팩.
  11. 제7항에 있어서,
    인접한 상기 제1 리브들과 상기 제2 리브들의 각각은,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단부에 공기가 유통하는 환기 통로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의 외부와 내부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환기 구멍들을 구비하는, 배터리 팩.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 전지들의 상기 일측 단부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리브들의 외측 표면은 상기 이차 전지들의 상기 일측 단부에 대응하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 표면보다 내측을 향해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이차 전지들의 상기 타측 단부에 대응하는 상기 제2 리브들의 외측 표면은 상기 이차 전지들의 상기 타측 단부에 대응하는 상기 프레임의 타측 표면보다 내측을 향해 이격되어 형성된, 배터리 팩.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 전지들의 일측 단부들의 일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연결탭과, 상기 이차 전지들의 타측 단부들의 일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연결탭을 구비하는, 배터리 팩.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브들의 외측에 결합하며 상기 지지홈들을 향해 연장함으로써 상기 이차 전지들의 일측 단부 면의 일부분을 지지하는 지지 돌기부를 더 구비하는, 배터리 팩.
  16.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 전지들의 중간 부분에서 상기 제1 리브들 및 상기 제2 리브들에 대응하도록 인접한 상기 전지 열들의 사이에 배치되고, 양측 면에 상기 이차 전지들의 가장자리의 일부를 수용하는 지지홈들을 구비하며, 양측 단부는 상기 프레임에 결합하는, 제3 리브들을 더 구비하는, 배터리 팩.
KR1020100054500A 2010-06-09 2010-06-09 배터리 팩 Active KR101202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4500A KR101202333B1 (ko) 2010-06-09 2010-06-09 배터리 팩
US13/011,604 US9437847B2 (en) 2010-06-09 2011-01-21 Battery pa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4500A KR101202333B1 (ko) 2010-06-09 2010-06-09 배터리 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4750A KR20110134750A (ko) 2011-12-15
KR101202333B1 true KR101202333B1 (ko) 2012-11-16

Family

ID=45096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4500A Active KR101202333B1 (ko) 2010-06-09 2010-06-09 배터리 팩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437847B2 (ko)
KR (1) KR1012023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98839A4 (en) * 2011-04-12 2014-09-10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BLOCK OF CELLS
JP5916463B2 (ja) * 2012-03-26 2016-05-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車両
FR2990063B1 (fr) * 2012-04-30 2016-12-09 Batscap Sa Dispositif pour le maintien d'ensemble de stockage d'energie electrique
EP2811542B1 (en) * 2013-06-04 2018-07-25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US9608245B2 (en) 2014-09-30 2017-03-28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System for providing structural integrity of a battery module
DE102015121107A1 (de) * 2015-12-03 2017-06-08 Airbus Defence and Space GmbH Elektrische Energiespeichervorrichtung
GB2577258B (en) * 2018-09-18 2022-09-21 Mclaren Automotive Ltd Battery cell tray
KR102711971B1 (ko) * 2018-10-08 2024-10-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102711972B1 (ko) 2018-10-08 2024-10-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102617730B1 (ko) 2018-10-08 2023-12-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102220898B1 (ko) 2018-10-17 2021-02-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DE112019005708T5 (de) * 2018-11-13 2021-07-22 Rivian IP Holdings, LLC. Modularer Batteriesatzrahmen für Elektrofahrzeuge mit extrudierten Aluminium-Strukturbauteilen
CN112467286B (zh) 2019-09-09 2024-08-23 三星Sdi株式会社 电池组
CN119864579A (zh) 2019-09-09 2025-04-22 三星Sdi株式会社 电池组
DE102020207400A1 (de) 2020-06-16 2021-12-16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Batteriemodul
CN117999693A (zh) * 2022-06-17 2024-05-07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模块、电池及用电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5996A (ja) * 2000-05-19 2001-11-22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電気自動車用バッテリ構造及び電池モジュール
JP2009123398A (ja) * 2007-11-12 2009-06-04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バッテリ冷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24237B2 (ja) 1995-09-27 2004-05-10 ソニー株式会社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構造
CA2465635C (en) * 2001-11-01 2009-09-08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Battery power supply system
US7014949B2 (en) * 2001-12-28 2006-03-21 Kabushiki Kaisha Toshiba Battery pack and rechargeable vacuum cleaner
DE102004043828B4 (de) * 2004-09-10 2018-09-13 Robert Bosch Gmbh Batteriepack
KR100930474B1 (ko) 2005-12-08 2009-12-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모듈 제조용 조립식 스페이서
KR100853620B1 (ko) 2006-01-16 2008-08-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모듈 제조용 스페이서
CN101820053B (zh) 2005-12-27 2012-12-19 株式会社Lg化学 电池组间隔件
KR101256063B1 (ko) 2006-06-08 2013-04-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모듈
JP5057720B2 (ja) 2006-08-10 2012-10-24 三洋電機株式会社 パック電池
JP5004534B2 (ja) 2006-08-21 2012-08-22 三洋電機株式会社 パック電池
KR100862436B1 (ko) * 2006-11-29 2008-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냉각용 지지장치
US8252441B2 (en) 2007-08-31 2012-08-28 Micro Power Electronics, Inc. Spacers for fixing battery cells within a battery package casing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DE502008002337D1 (de) 2007-09-21 2011-02-24 Bosch Gmbh Robert Akkupack
US8455133B2 (en) 2008-01-29 2013-06-04 Cobasys, Llc Battery pack
KR101097258B1 (ko) * 2009-12-04 2011-12-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5996A (ja) * 2000-05-19 2001-11-22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電気自動車用バッテリ構造及び電池モジュール
JP2009123398A (ja) * 2007-11-12 2009-06-04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バッテリ冷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437847B2 (en) 2016-09-06
US20110305930A1 (en) 2011-12-15
KR20110134750A (ko) 2011-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2333B1 (ko) 배터리 팩
KR102276261B1 (ko) 전지 서브 모듈 캐리어, 전지 서브 모듈, 전지 시스템 및 자동차
KR101166023B1 (ko) 방열 효율이 향상된 팩 전지
EP2913864B1 (en) Rechargeable battery pack
US7968222B2 (en) Assemblable spacer for preparation of battery module
KR101097268B1 (ko) 방열효율 및 장착구조가 개선된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조립체
EP3154103B1 (en) Battery module including a housing floor with integrated cooling
JP6490105B2 (ja) グリッピング部が備えられているカートリッジを含んでいる電池モジュール
EP2690684B1 (en) Battery cell holder having connection reliability,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same
EP2808921B1 (en) Battery module
KR102705400B1 (ko) 자동차용 언더 바디
US20210167445A1 (en) Battery unit with temperature-regulating means built into the housing
EP2521203B1 (en) Battery module
JP5201296B2 (ja) 電源装置
KR20120051237A (ko) 배터리 모듈 케이스
KR20110062988A (ko) 배터리 팩
JP2013038054A (ja) 高電圧バッテリーパック用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
JP7515835B2 (ja)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これを含む電池パック
KR102717207B1 (ko) 배터리 모듈
JP6374100B2 (ja) 二次電池装置
KR101202332B1 (ko) 배터리 팩
KR102622141B1 (ko) 고전압 배터리 서브모듈
KR102484798B1 (ko) 배터리팩의 냉각 구조
KR100709180B1 (ko) 이차 전지 모듈
KR20220163131A (ko) 전지 모듈 및 이 전지 모듈을 포함하는 전지 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6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8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4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1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11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