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00673B1 - 연결 코일 형성 장치 및 연결 코일의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연결 코일 형성 장치 및 연결 코일의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0673B1
KR101200673B1 KR1020107016977A KR20107016977A KR101200673B1 KR 101200673 B1 KR101200673 B1 KR 101200673B1 KR 1020107016977 A KR1020107016977 A KR 1020107016977A KR 20107016977 A KR20107016977 A KR 20107016977A KR 101200673 B1 KR101200673 B1 KR 101200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winding
line
unit
form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6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7586A (ko
Inventor
가오루 핫또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무라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무라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무라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00117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75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0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067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47Sheets; Stri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01F41/06Coil winding
    • H01F41/061Winding flat conductive wires or she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01F41/06Coil winding
    • H01F41/071Winding coils of special for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02Electromagnet, transformer or inductor
    • Y10T29/49071Electromagnet, transformer or inductor by winding or co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 Coil Winding Methods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평각선을 굽힘 가공하여 각통 형상 또한 병렬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및 제2의 각 코일을 효율적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당해 각 코일의 연결부를 용접이나 되접음을 하는 일 없이 동일 소재로 연결한다.
평각선(W)의 일단부에 각통 형상의 제1 코일부를 형성하는 제1 권선 헤드를 구비한 제1 코일 권선 가공 라인과, 이 제1 코일 권선 가공 라인과 평행 배치되고 평각선(W)의 타단부에 각통 형상의 제2 코일부를 형성하고 또한 양 코일부를 동일면 상에서 인접한 상태로 배치하는 제2 권선 헤드를 구비한 제2 코일 권선 가공 라인과, 각 코일 권선 가공 라인의 연장 상에 제1 코일부를 갖는 평각선(W)을 제1 코일 권선 가공 라인측으로부터 제2 코일 권선 가공 라인측으로 반입하는 코일 적재 유닛을 장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연결 코일 형성 장치 및 연결 코일의 형성 방법{LINKED COIL FORMATION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LINKED COILS}
본 발명은, 연결 코일 형성 장치 및 연결 코일의 형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리액터 코일로서 사용하는 데 적합한 연결 코일 형성 장치 및 연결 코일의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리액터는, 일반적으로 권선과 자성체 코어를 구비하고, 코어에 권선이 권회되어 코일을 구성함으로써 인덕턴스를 얻고 있다.
종래 리액터는, 승압 회로, 인버터 회로, 액티브 필터 회로 등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리액터로서는, 코어와 당해 코어에 권회된 코일을 다른 절연 부재 등과 함께 금속 등의 케이스 내에 수납하는 것이 많이 사용되도록 되고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차량 탑재용 승압 회로에 사용되는 리액터에 있어서는, 고 전류 영역 유역에 있어서의 높은 인덕턴스값을 얻기 위해 소정의 권취 직경과 권취수에 의해 형성한 단독 코일을 2개 병렬 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병렬 코일을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서로 역방향이 되도록 연결(접속)한 구조의 코일이 사용되고 있다.
이상과 같은 코일의 종래예로서, 상술한 2개의 코일을 각각 별개의 권선에 의해 형성하고, 각 권선의 연결측의 단부를, 연락용 터미널을 통해 용접함으로써 접속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다른 종래예로서, 병렬 형상으로 배열되는 동일 권취 방향의 2개의 코일을 1개의 평각선의 에지 와이즈 권취에 의해 형성하는 동시에, 서로 연속되는 상기 2개의 코일의 상호간에 걸쳐지는 평각선의 연결부를 길이 방향을 따라 둘로 접어 되돌리도록 하여, 상기 양쪽 코일의 단부면에 의한 외형 내에 수납하는 구성인 것도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2 참조).
또한, 2개의 코일을 연결부에 의해 일체로 형성하는 기술이 특허 문헌 3 내지 6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에 의해 일체로 형성한 2개의 코일을 1개의 선재로부터 절곡 가공하는 기술이 특허 문헌 7, 8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3-124039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허 제3737461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 특허 제3398855호 공보 특허 문헌 4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5-57113호 공보 특허 문헌 5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0-195725호 공보 특허 문헌 6 : 국제 공개WO2007/132558호 공보 특허 문헌 7 : 일본 특허 제3640207호 공보 특허 문헌 8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5-93852호 공보
그런데, 대부분의 경우, 리액터를 구성하는 코일 내에는, 예를 들어 대략 링 형상의 코어가 삽입되므로, 상기 코일을 배열하기 위해서는 높은 배열 정밀도가 요구된다. 이에 대해, 전술한 종래예의 코일에서는, 연락용 터미널을 통해 2개의 코일에 있어서의 권선의 연결측의 단부를 서로 연결하므로, 코일의 배열에 편차가 발생하기 쉬워, 코일 내에 코어를 삽입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 특허 문헌 1의 코일에서는, 양 코일과 연락용 터미널의 접속을 위해, 우선 각 권선이나 연락용 터미널의 연결측 단부의 피막을 박리하고 난 후에 당해 개소를 용접한다고 하는 작업이 필요해져, 그 결과 제조 작업이 매우 번잡해지고 있었다.
또한, 개별의 권선에 의해 형성된 2개의 코일을 연락용 터미널을 통한 용접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하므로, 아무리 해도 용접부의 신뢰성이 문제가 되어, 용접 성과에 따라 코일의 전기적 특성에 편차가 발생해 버린다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상기 특허 문헌 2의 코일에서는, 2개의 코일을 동일한 권선에 의해 형성하고, 연결부를 접어 되돌리도록 하고 있으므로, 되접은 후의 2개의 코일의 배열 정밀도를 확보하기 위한 코일 되접음용 공구가 필요해진다. 덧붙여, 되접음부의 공간이 필요해지는 동시에, 되접음 상태 여하에 따라 코일의 전기적 특성에 편차가 발생해 버릴 우려가 있다.
또한, 양 코일과 연락용 터미널과 접속 공정은 불필요하지만, 상술한 되접음을 위한 작업 공정이 필요해지므로, 그만큼 제조 작업이 번잡해진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특허 문헌 3 내지 6에 1개의 선재로부터 2개의 코일을 형성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고, 특허 문헌 7, 8에 그들 코일을 형성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되어 있지만, 이들 코일 형성 방법에서는 문제가 발생해 버린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1개의 선재를 각각의 단부로부터 각각 각형 권취함으로써 코일을 형성하는 것이므로, 권취할 때의 선재의 이송량 및 굽힘 상태에 따라서는, 2개의 코일 사이에 어긋남이 발생해 버리지만, 이들 특허 문헌에는 그 해결 방법이 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특허 문헌 7, 8 등의 형성 기술을 이용하는 경우, 이상(理想) 상태에서는 2개의 코일을 코일 사이의 어긋남을 발생하는 일 없이 형성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실제의 제조 과정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문제가 남아있는 것이다.
확실히, 특허 문헌 6에는, 2개의 코일 사이의 오프셋량을 보정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지만, 이 기술을 제조 장치에 관련시켜 2개의 코일을 효율적으로 제조하기 위해서는 개량해야 할 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평각선을 굽힘 가공하여 각통(角筒) 형상 또한 병렬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및 제2 각 코일을 효율적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당해 각 코일의 연결부를 용접이나 되접음을 하는 일 없이 동일 소재로 연결할 수 있는 연결 코일 형성 장치 및 연결 코일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연결 코일 형성 장치는, 소재 공급 영역으로부터 도입되는 평각선을 코일 소재로 하여 그 일단부를 순차 각형 권취하여 형성하는 각통 형상의 제1 코일부를 형성하는 제1 권선 헤드를 구비한 제1 코일 권선 가공 라인과, 이 제1 코일 권선 가공 라인에 소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코일 소재의 타단부에 상기 각통 형상의 제2 코일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당해 제2 코일부를 상기 제1 코일부에 동일면 상에서 인접한 상태로 배치하는 제2 권선 헤드를 구비한 제2 코일 권선 가공 라인과, 상기 소재 공급 영역의 반대측에서 상기 제1 및 제2의 각 코일 권선 가공 라인의 연장 상에 상기 제1 코일 권선 가공 라인에서 형성된 제1 코일부를 갖는 코일 소재를, 상기 제2 코일 권선 가공 라인측으로 반입하는 소재 전송 유닛을 장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연결 코일 형성 방법은, 제1 코일부와 제2 코일부가 연결부를 통해 동일면 상에서 연결되고 또한 서로 병렬 상태로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연결 코일의 형성 방법이며, 소재 공급 영역으로부터 평각선 등의 코일 소재를 제1 코일 권선 가공 라인으로 도입하고 당해 제1 코일 권선 가공 라인 상에서 그 일단부를 순차 각형 권취하여 각통 형상의 제1 코일부를 형성하는 제1 공정과, 이 제1 공정에서 형성된 제1 코일부를 일단부에 구비한 코일 소재의 당해 제1 코일부측을 소재 전송 유닛으로 송입하는 동시에, 상기 코일 소재의 길이를 그 타단부에 형성하는 제2 코일부용으로서 필요로 하는 길이로 절단하는 제2 공정과, 상기 제2 코일부 형성 부위인 타단부가 특정된 코일 소재를, 상기 소재 전송 유닛을 기능시켜 제2 코일 권선 가공 라인 상으로 전송하는 제3 공정과, 상기 소재 전송 유닛을 통해 전송되어 온 코일 소재를 상기 타단부로부터 제2 코일 권선 가공 라인으로 반입하는 동시에 당해 코일 소재의 상기 타단부에 각통 형상의 제2 코일부를 형성하고 또한 당해 제2 코일부를 상기 제1 코일부와 동일면 상에서 인접한 상태로 배치하는 제4 공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코일 소재의 일단부에 제1 코일부를 제1 코일 권선 가공 라인에서 형성하는 동시에, 이것에 연속해서 코일 소재의 타단부에 제2 코일부를 제2 코일 권선 가공 라인에서 형성하도록 하고, 이 동안에 소재 전송 유닛을 통해 제1 코일부가 형성된 코일 소재를 연속해서 제2 코일 권선 가공 라인으로 전송하도록 하였으므로, 코일 소재는 도입으로부터 각 코일의 가공 종료에 이르기까지 연속해서 일방향으로 순차 이행되므로, 각 코일을 신속하고 또한 효율적으로 가공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소재 전송 유닛을 병렬로 배치한 상기 제1 및 제2 코일 권선 가공 라인에 대응 가능하게 구성하였으므로, 제1 코일 권선 가공 라인에서 형성된 제1 코일부를 구비한 코일 소재를 소재 전송 유닛에 의해 제2 코일 권선 가공 라인으로 원활하고 또한 신속하게 전송하는 것이 가능해져, 이로 인해 연결 코일의 가공 생산 효율을 대폭으로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연결 코일 형성 장치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전체 평면도이다.
도 2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연결 코일 형성 장치를 도시하는 전체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연결 코일 형성 장치에 의해 형성된 연결 코일을 수납한 리액터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연결 코일 형성 장치에 의해 형성된 연결 코일을 도시하는 전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A부를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6은 상기 연결 코일 형성 장치의 헤드 이송 유닛의 초기 위치를 도시하는 평면 상세도이다.
도 7은 상기 연결 코일 형성 장치의 헤드 이송 유닛이 이동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 상세도이다.
도 8은 상기 연결 코일 형성 장치의 헤드 이송 유닛이 초기 위치로 복귀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 상세도이다.
도 9는 상기 연결 코일 형성 장치의 권선기 가대의 제2 라인 상의 장비군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있어서의 X 화살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XI 화살표도에 있어서 코일 반출 유닛만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상기 실시 형태의 연산 제어부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13은 상기 실시 형태의 연결 코일 형성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4는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연결 코일 형성 방법의 제1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연결 코일 형성 방법의 제2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연결 코일 형성 방법의 제2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연결 코일 형성 방법의 제3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연결 코일 형성 방법의 제4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연결 코일 형성 방법의 제4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상기 실시 형태의 제1 코일부와 제2 코일부의 상대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1은 상기 실시 형태의 코일 위치 측정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상기 실시 형태의 측정 펄스의 파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3은 상기 실시 형태의 코일 위치 측정 결과에서 코일간 리드가 기준 길이인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4는 상기 실시 형태의 코일 위치 측정 결과에서 코일간 리드가 긴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5는 상기 실시 형태의 코일 위치 측정 결과에서 코일간 리드가 짧은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6은 상기 실시 형태의 코일의 보정 치수를 구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7은 상기 실시 형태의 2개의 코일에서 보정치가 다른 것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8은 상기 실시 형태의 최종 권취 직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동작도로, 도 28의 (A)는 2턴 전의 상태, 도 28의 (B)는 (A)로부터 90도 회전한 상태도이다.
도 29는 상기 실시 형태의 최종 권취 직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동작도로, 도 29의 (A)는 도 28의 (B)와 동일한 위치의 상태, 도 29의 (B)는 (A)로부터 90도 회전한 상태를 도시하는 동작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에 관한 연결 코일 형성 장치의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전체 평면도이다.
도 31은 상기 제2 실시 형태의 연결 코일 형성 장치를 도시하는 전체 측면도이다.
도 32는 상기 제2 실시 형태의 포밍 유닛을 도시하는 전체 측면도이다.
도 33은 도 32의 M 화살표도로 포밍 유닛의 전체 정면도이다.
도 34는 도 33의 N 화살표도로 포밍 유닛의 전체 평면도이다.
도 35는 상기 제2 실시 형태의 포밍 유닛에 의한 리드부의 절곡 수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6은 상기 제2 실시 형태의 포밍 유닛에 의한 리드부의 절곡과 권선 가공의 관련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7은 상기 제2 실시 형태의 포밍 유닛에 의한 리드부의 절곡과 권선 가공의 관련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36의 다음 수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연결 코일 형성 장치 및 연결 코일의 형성 방법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도 2는, 상기 실시 형태의 연결 코일 형성 장치(20)의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또한, 도 3, 도 4는, 상기 연결 코일 형성 장치(20)에 의해 형성된 연결 코일(10)을 리액터 코일(이하, 연결 코일이라 함)(10)로서 적용한 리액터(1)의 전체 사시도이다.
우선, 도 3, 도 4에 기초하여 리액터의 설명을 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액터(1)는 예를 들어 강제 냉각 수단을 갖는 기기의 전기 회로에 사용되고, 연결 코일(10), 리액터 코어(2), 도시 생략한 보빈, 열전도성 케이스(3), 도시 생략한 절연 겸 방열 시트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리액터(1)는, 연결 코일(10) 내에 리액터 코어(2)가 삽입되고, 이들이 열전도성 케이스(3) 내에 수용된 후, 충전재(4)를 흘려 넣어 고정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열전도성 케이스(3)의 4코너에 있는 리액터 고정용 구멍(3A)은, 열전도성 케이스(3)를, 예를 들어 강제 냉각된 하우징 등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 구멍이다.
연결 코일(10)은, 1개의 평각선(W)이, 그 길이 방향 한쪽과 다른 쪽의 각 단부측으로부터 각형 권취하여 당해 각형 권취부가 각통 형상으로 적층된 상태로 형성된 제1 코일부(11) 및 제2 코일부(12)를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코일부(11) 및 제2 코일부(12) 사이에는, 당해 각 코일부(11, 12)를 동일면 상에서 연결하는 연결부(13)가 설치되고, 이 연결부(13)는 각 코일부(11, 12) 상호간에 위치하는 소재인 상기 평각선(W)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코일부(11) 및 제2 코일부(12)는 서로 병렬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각형 권취라 함은, 코일을 각통 형상으로 권취하는 것을 말하며, 코일을 원형으로 권취하는 환권(丸卷)과 대비되고 있다.
연결 코일(10)의 제1 코일부(11)와 제2 코일부(12)의 각각의 단부인 리드부(11A, 12A)는, 제2 코일 권선 공정의 최종 단계에서 2개의 코일이 접근하였을 때에, 서로의 코일부(11, 12)와 간섭하지 않도록 각 권선 공정이 개시되기 직전에, 도시한 바와 같이 90°구부러진다. 각 리드부의 피막은 박리되어 도체가 드러나 있고, 도시하지 않은 압착 단자 등을 설치하여 다른 전기 부품 등과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평각선(W)은 단면 각형 형상의 도선에 피막이 실시된 것이다.
그리고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제1 코일부(11)와 제2 코일부(12)의 연결부(13) 근방의 제2 코일부(12)측의 한 변의 부분(이하, 오프셋 부분이라 함)(14)은, 연결 코일(10)을 성형하였을 때에 발생하는 제1 코일부(11)의 축심과, 제2 코일부(12)의 축심의 거리의 편차를 없애기 위해 오프셋량을 갖게 하고, 또한 각통 형상의 외형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시켜 권선(이하, 오프셋 권취라 함)되어 있다. 그리고 이 오프셋 부분(14)은 제1 코일부(11)와 제2 코일부(12)를 연결하는 연결부(13)를 겸하고 있다.
도 4에 상세를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 코일(10)의 제1 코일부(11)와 제2 코일부(12)는 병렬 상태이고, 또한 서로 동일한 권취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2개의 코일부(11, 12)의 리드부(11A, 12A)는 각 코일부(11, 12)의 축 방향의 동일한 측에 있으므로, 리드부(11A, 12A)의 선단부에, 도시하지 않은 단자를 설치하는 경우에도 단자의 위치를 정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연결 코일(10)은, 그 제2 코일부(12)의 권취 종료 단부(12B)에 있어서, 평각선(W)을 제2 코일부(12)측으로부터, 각 코일부(11, 12) 사이의 간극 길이만큼 돌출시켜 대략 90도 굽힘 가공하고, 제1 코일부(11)의 적층 방향(도 4 중에 화살표 A로 나타냄)과 동일 방향(도 4 중에 화살표 B로 나타냄)으로, 제2 코일부(12)가 적층되도록, 또한 제1 코일부(11)의 권취 방향과는 동일 방향으로 각형 권취됨으로써, 제2 코일부(12)의 권취 종료 시점에서, 제1 코일부(11)와 제2 코일부(12)가 상기 연결부(13)를 통해, 연속해서 병렬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결부(13)가 제1 코일부(11)와 제2 코일부(12)의 각각의 리드부(11A, 12A)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연결 코일(10)을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장하였을 때, 예를 들어 상기 열전도성 케이스(3)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부 등에 간섭하는 일이 없다. 이것은, 연결부(13)를 위해, 케이스(3)의 저면에 형성되는 돌기부의 위치나 형상을 제한할 필요가 없어져, 이에 의해 설계의 자유도가 증가한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연결 코일(10)은 제1 코일부(11)의 각형 권취가 종료된 후에, 미리 제2 코일부(12)를 각형 권취하는 데 필요한 길이의 평각선(W)을 송출하고, 형성된 제1 코일부(11)를 한쪽의 단부에 갖는 평각선(W)의 다른 쪽의 단부로부터 제2 코일부(12)를 각형 권취하여 형성한 2련의 연결 코일(10)이다.
이로 인해, 제2 코일부(12)의 각형 권취 공정 중의 각 변을 형성할 때의 선재 이송 오차의 누적이, 제1 코일부(11)의 축심과 제2 코일부(12)의 축심의 거리의 편차로 되어 나타날 우려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코일부(11)와 제2 코일부(12)에는 대략 링 형상의 리액터 코어(2)의 2개소의 직선부가 삽입되므로, 제1 코일부(11)의 축심과 제2 코일부(12)의 축심의 거리는 높은 치수 정밀도가 요구된다.
따라서, 선재 이송 오차의 누적을 해소하기 위해, 제1 코일부(11)와 제2 코일부(12)의 연결부(13)를 형성하는 제2 코일부(12)측의 오프셋 부분(14)을, 제1 코일부(11)와 제2 코일부(12)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기 위한 여유 부분으로서 마련하고, 각형 권취하고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이 오프셋 부분(14)을 포함하는 부분의 각형 권취를 오프셋 권취라 한다.
다음에, 도 1, 도 2, 도 5에 기초하여, 상기 연결 코일(10)을 형성하는 본 발명의 연결 코일 형성 장치의 일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연결 코일 형성 장치(20)는, 소재 공급 영역인 평각선 공급부(A)측에 배치된 권선기 유닛(21)과, 이 권선기 유닛(21)과 인접하는 동시에 평각선 공급부(A)측과는 반대측에 배치된 소재 전송 유닛인 코일 적재 유닛(23)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종 장비를 제어하는 주 제어부(110)가 병설되어 있다.
권선기 유닛(21)에는, 대략 평탄면으로 된 상면(22A)을 갖는 권선기 가대(22)가 설치되고, 또한 코일 적재 유닛(23)에는 대략 평탄면으로 된 상면(24A)을 갖는 코일 적재 가대(24)가 설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권선기 유닛(21)과 코일 적재 유닛(23)에는, 양자(21, 23)에 걸쳐, 또한 소정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제1 코일 권선 가공 라인(이하, 제1 라인이라 함)(25)과 제2 권선 가공 라인(이하, 제2 라인이라 함)(26)이 설치되어 있다.
즉, 이들 제1 라인(25), 제2 라인(26)은, 권선기 유닛(21)에 있어서 코일 소재로서의 평각선(W)을 공급하는 보빈(도시 생략) 등의 상기 평각선 공급부(A)측 단부로부터, 코일 적재 유닛(23)의 반대측 단부로 연장된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 제1 라인(25)의 평각선 공급부(A)측을 평각선(W)의 이송 방향(K1)에 있어서의 흐름의 최상류로 하고, 이송 방향(K1)에 있어서의 흐름의 끝측을 하류로 한다. 또한, 제2 라인(26)에 있어서의 이송 방향(K2)의 상기 제1 라인(25)의 하류와 대향하는 위치를 상류로 하고, 제2 라인(26)에 있어서의 이송 방향(K2)의 흐름의 끝측을 최하류로 한다.
그리고 제1 라인(25)에 있어서, 평각선(W)의 일단부를 순차 각형 권취하여 각통 형상의 상기 제1 코일부(11)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2 라인(26)에 있어서는, 상기 제1 라인(25)에 있어서 형성된 평각선(W)의 상기 제1 코일부(11)의 반대측 단부에 상기 제2 코일부(12)가 형성되고, 최종적으로 양자(11, 12)가 병렬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 코일(10)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제1 라인(25)에 있어서, 상기 권선기 가대(22)의 상면(22A), 또한 평각선 공급부(A)측에는 제1 코일부(11)를 형성하기 위해 공급된 평각선(W)을 다음 공정으로 송출하는 제1 선 이송기(27)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제1 선 이송기(27)는, 상하에 배치된 한 쌍의 풀리(28)(도 2 참조)와, 이들 풀리(28)를 각각 장착한 한 쌍의 본체부(29)와, 이들 본체부(29)에 장비되어 한 쌍의 풀리(28)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한 쌍의 모터(30)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선 이송기(27)에서는 한 쌍의 풀리(28)에 의해 평각선 공급부(A)측으로부터 공급된 평각선(W)을 끼워 넣어, 한 쌍의 풀리(28)를 각각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평각선(W)을 다음에 송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권선기 가대(22)의 상면(22A)에 있어서 제1 선 이송기(27)의, 평각선(W)의 이송 방향(K1)의 흐름의 하류측 인접 위치에는 제1 권선 헤드(32)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제1 권선 헤드(32)에서는, 상기 제1 선 이송기(27)로부터 송출된 평각선(W)을, 그 일단부를 순차 각형 권취하여 각통 형상의 제1 코일부(11)가 형성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코일부(12)의 권선 공정의 최종 단계에서, 2개의 코일부(11, 12)가 접근하였을 때에 서로의 코일부(11, 12)에 간섭하지 않도록, 각 권선 공정이 개시되기 전에, 도시하지 않은 기구 등에 의해, 상기 리드부(11A)는 코일부(11)의 표면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90°구부러져 있다(도 3, 도 4 참조).
이 제1 권선 헤드(32)는, 도 5에 상세를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각선(W)의 90도 굽힘 가공을 실행하는 권선부(33)를 구비하고 있다. 이 권선부(33)는, 환축 형상의 고정 지그(33A)와 각봉(角俸) 형상의 권취 지그(33B)로 구성되고, 이들 고정 지그(33A) 및 권취 지그(33B)는 헤드 본체부(34)에 설치되어 있다.
고정 지그(33A)는 이송되어 오는 평각선(W)을 가이드하는 동시에, 그 평각선(W)의 굽힘 가공시에 폭 방향 일단부측 측면을 고정하는 것이다.
또한, 권취 지그(33B)는, 평각선(W)의 굽힘 가공시에 폭 방향 타단부측 측면을 고정 지그(33A)측으로 압박하는 동시에, 평각선(W)의 굽힘 가공 방향으로 일점 쇄선 R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90도 회전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각봉 형상의 권취 지그(33B)는, 그 선단부가 평각선(W)의 폭 방향 타단부측 측면과 접촉한 상태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권취 지그(33B)의 90도 굽힘 가공을 위한 회전은, 예를 들어 헤드 본체부(34) 등을 베이스(35)에 대해, 고정 지그(33A)를 중심으로 하여, 모터(38)에 의해 도 5 중, 일점 쇄선 R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부호 36은, 제1 권선 헤드(32)에 의해 형성되는 제1 코일부(11)를 수용하는 수용 부재(36)이다.
권선기 가대(22)의 상면에 있어서, 상기 제1 권선 헤드(32)의 평각선 이송 방향(K1)의 흐름의 하류측에는 코일 이송 가이드(37)가 배치되어 있다. 이 코일 이송 가이드(37)는, 제1 권선 헤드(32)에 의해 권선 가공된 제1 코일부(11)를 선두로 하여 송출된 평각선(W)을 다음 공정으로 송출하기 위해 가이드하는 것이며, 제1 권선 헤드(32) 근방으로부터 권선기 가대(22)의 상기 코일 적재 유닛(23)측 단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또한, 코일 이송 가이드(37)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각선(W)이 적재되는 저면부(37A)와, 이 저면부(37A)의 폭 방향 양단부에 기립 설치된 측벽부(37B)로 구성되고, 길이 방향 양단부를 상기 권선기 가대(22)의 상면(22A)에 기립 설치된 기둥 형상 부재(38)(도 2도 참조)로 지지하고 있다.
권선기 가대(22)의 상면에 있어서, 제1 권선 헤드(32)의 평각선 이송 방향(K1)의 흐름의 하류측에는 커터 유닛(40)이 배치되어 있다. 이 커터 유닛(40)은, 제1 권선 헤드(32)에 의해 완성된 제1 코일부(11)를 상기 코일 이송 가이드(37) 및 코일 적재 유닛(23)측으로 이송한 후, 제2 라인(26)에서 제1 코일부(11)의 반대측 단부에 제2 코일부(12)를 형성하기 위해 필요한 길이로 평각선(W)을 절단하는 것이다.
그리고 커터 유닛(40)은, 코일 이송 가이드(37)의 길이 방향의 도중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커터 유닛(40)은, 도 5에 상세를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설치대(41)와, 이 설치대(41)에 Y축 방향[평각선(W)의 흐름 방향(K1)과 직교 방향]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커터 본체부(42)를 구비하고 있다.
커터 본체부(42)에는, 도시하지 않은 날부(커터)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커터 본체부(42)를 상기 Y축 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당해 커터 본체부(42)에 설치된 커터에 의해, 송출된 상기 평각선(W)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커터 유닛(40)에 의한 평각선(W)의 절단은, 예를 들어 상기 적재 유닛(23)에 설치되어 있는 코일 도입 가이드(44)의 상기 하류측 단부 근방에 위치 센서를 설치해 두고, 그 위치 센서에서, 코일 이송 가이드(37)로부터 송출되는 평각선(W)의 제1 코일부(11)를 검출하였을 때, 평각선(W)의 타단부가 제2 코일부(12)를 형성하기 위해 필요한 길이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고, 따라서 그 위치에서 절단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커터 유닛(40)의 평각선 이송 방향(K1)의 흐름의 하류측, 또한 상기 코일 적재 유닛(23)의 상기 코일 적재 가대(24)의 상면에는, 일단부에 제1 코일부(11)가 형성된 평각선(W)을 가이드하여 적재하는 코일 도입 가이드(44)가 설치되어 있다.
코일 도입 가이드(44)는, 코일 적재 유닛(23)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까지의 전체 길이를 넘은 길이로 형성되고, 평각선(W)을 적재하는 저면부(44A)와, 이 저면부(44A)의 폭 방향 양단부에 기립 설치된 가이드부(44B)로 형성되어 있다.
코일 도입 가이드(44)는, 일단부에 제1 코일부(11)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제2 코일부(12)를 형성할 수 있는 길이로 되어 있는 평각선(W)의 전체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코일 도입 가이드(44)에는 코일 반송 트레이(45)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코일 반송 트레이(45)는, 그 상면에, 평각선(W)의 일단부에 형성된 제1 코일부(11)를 적재ㆍ보유 지지한 상태로, 코일 도입 가이드(44)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까지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코일 도입 가이드(44)의 일단부(47)에는, 코일 반송 트레이(45)를 매설시키거나 하여 고정하고, 또한 고정을 해제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코일 고정ㆍ해제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코일 반송 트레이(45)가 일단부(47)에 고정되어 있을 때 제1 코일부(11)가 코일 반송 트레이(45) 상에 적재되고, 그 위치에서 고정을 해제한 후, 코일 반송 트레이(45)가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코일 고정ㆍ해제 기구는, 예를 들어 실린더를 사용하면 바람직하다.
여기서, 코일 반송 트레이(45)가 코일 도입 가이드(44)에 고정되어 있을 때, 코일 반송 트레이(45)의 상면과, 코일 이송 가이드(37)로부터 송출되는 평각선(W)의 하면은 대략 동일한 높이 위치로 되어, 상기 코일 이송 가이드(37)를 경유하여 이송되어 오는 평각선(W)을 원활하게 코일 반송 트레이(45) 상으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코일 반송 트레이(45)가 코일 도입 가이드(44)를 슬라이드할 때에는, 코일 반송 트레이(45)가 예를 들어 실린더에 의해 밀어 올려진 후에 슬라이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코일 도입 가이드(44)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각선 이동 유닛(50)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라인(25)과 제2 라인(26) 사이를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평각선 이동 유닛(50)은, 코일 적재 유닛(23)의 코일 적재 가대(24)의 상면에, 제1 라인(25)측과 제2 라인(26)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판상의 지지 부재(51)와,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또한 상기 지지 부재(51)의 양단부측에 걸쳐진 가이드 막대(52)와, 코일 도입 가이드(44)의 일측면에 고착되고 당해 코일 도입 가이드(44)를 슬라이드시키는 구동원으로서의 실린더(53)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코일 도입 가이드(44)에 있어서의 저면부(44A)의 이면에는 가이드 막대(52)용 가이드 블록(54)이 설치되고, 한쪽 가이드부(44B)에는 실린더(53)의 로드에 연결되는 연결 부재(55)가 설치되어 있다.
평각선 이동 유닛(50)은,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실린더(53)를 구동시켜, 그 로드(53A)를 전진, 후퇴시킴으로써 코일 도입 가이드(44)가 제1 라인(25)과 제2 라인(26) 사이를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제1 라인(25)에 있어서, 코일 적재 유닛(23) 상의 코일 도입 가이드(44)측 단부에는 리드선 도입 기구(57)가 배치되어 있다.
이 리드선 도입 기구(57)는, 일단부에 제1 코일부(11)가 형성되고 타단부가 상기 커터 유닛(40)에 의해 절단된 평각선(W)을, 코일 적재 유닛(23)에 있어서 그 단부를 파지하여 절단 위치로부터 코일 도입 가이드(44)로 도입하는 것이다.
리드선 도입 기구(57)는, 평각선(W)의 후단부측의 상하면을 끼워 넣어 파지하는 척(도시 생략)을 갖는 파지 본체(58)와, 이 파지 본체(58)를 평각선(W)의 이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용 실린더(60)와, 이 이동용 실린더(60)를 지지하는 판상의 2개의 지지 부재(61)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파지 본체(58)에 설치된 척은, 상하 개폐 실린더(59)에 의해 개폐 구동된다.
지지 부재(61)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코일 적재 유닛(23)의 코일 적재 가대(24)의 상면(24A)에, 평각선(W)의 이송 방향(K1)으로 간격을 두고 기립 설치되어 있어, 이러한 지지 부재(61) 중 하나에 상기 이동용 실린더(60)가 장착되어 있다. 이동용 실린더(60)는, 그 로드(60A)가 상기 권선기 가대(22)측으로 전진 구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지지 부재(61) 사이에는, 로드(60A)를 사이에 두고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가이드 부재(62)가 걸쳐져 있다. 그리고 이러한 가이드 부재(62)에, 상기 파지 본체(58)가 설치되어 있다.
파지 본체(58)는, 상시 로드(60A)를 상기 코일 이송 가이드(37)측으로 최대한 전진시킨 위치로 이동되어 있고, 이 위치가 대기 위치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대기 위치로부터 로드(60A)가 가장 후퇴하였을 때의 이동 거리가, 상기 커터 유닛(40)에 의한 평각선(W)의 절단 위치와 코일 도입 가이드(44)의 권선기 가대(22)측 단부의 거리와 대략 동등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 결과, 일단부에 제1 코일부(11)가 형성된 평각선(W)이 코일 도입 가이드(44) 상에 적재되고, 평각선(W)의 타단부가 제2 코일부(12)를 형성할 수 있는 길이로 커터 유닛(40)에 의해 절단된 후, 상기 대기 위치에 있는 파지 본체(58)의 척에 의해 코일 도입 가이드(44) 상의 평각선(W)의 단부측을 파지하고, 이동용 실린더(60)의 로드(60A)를 후퇴시키면, 평각선(W)의 타단부 전부가 코일 도입 가이드(44) 상으로 도입되게 된다.
또한, 상기 이동용 실린더(60)는, 상기 제1 라인(25)에 있어서의 코일 도입 가이드(44)를 따른 외측에 설치되어 있다.
코일 적재 유닛(23)에 있어서 상기 제2 라인(26)을 따라, 또한 제2 라인(26)에 이동 탑재되었을 때의 코일 도입 가이드(44)의 외측에는, 상기 리드선 도입 기구(57)와 동일한 구성의 리드선 이송 기구(64)가 설치되어 있다.
이 리드선 이송 기구(64)는, 제2 라인(26)에 이동 탑재된 코일 도입 가이드(44)에 적재되어 있는 평각선(W)을, 권선기 가대(22) 상의 평각선(W)의 이송 방향(K2)의 최하류측에 배치된 제2 선 이송기(67)로 송입하는 것이다.
리드선 이송 기구(64)는, 상술한 바와 같이 리드선 도입 기구(57)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구성 부품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 리드선 이송 기구(64)와 리드선 도입 기구(57)는, 서로가 제1 라인(25)과 제2 라인(26)의 중심을 사이에 두고 대칭이 되는 배치, 즉 방향이 다르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리드선 이송 기구(64)의 파지 본체(58)는, 이동용 실린더(60)의 로드(60A)가 제2 라인(26)의 이송 방향(K2)의 상류측으로 최대한 후퇴한 위치가 대기 위치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2 라인(26)에 있어서, 코일 도입 가이드(44) 상에, 일단부에 제1 코일부(11)가 형성되고 타단부가 제2 코일부(12)를 형성할 수 있는 길이로 된 평각선(W)이 적재된 상태일 때, 상기 대기 위치에 있는 파지 본체(58)의 척에 의해 코일 도입 가이드(44) 상의 평각선(W)의 단부측을 파지하고, 이동용 실린더(60)의 로드(60A)를 전진시키면, 평각선(W)의 타단부가 상기 제2 선 이송기(67)로 보내지게 된다.
이 제2 선 이송기(67)는, 상기 제1 선 이송기(27)와 마찬가지로 한 쌍의 풀리(28), 본체부(29) 등을 구비하고, 전체적으로는 제1 선 이송기(27)와 대략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다.
단, 제2 선 이송기(67)에서는, 본체부(29) 및 평각선(W)을 끼워 넣는 상기 한 쌍의 풀리(28)가, 평각선(W)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인 평각선(W)의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Y축 방향으로 퇴피하고, 이때 평각선(W)의 통과를 허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선 이송기(67)는, 제1 선 이송기(27)의 배치의 방향을 180도 바꾼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즉, 한 쌍의 본체부(29) 및 풀리(28)는, 프레임(68)에 설치된 좌우의 슬라이드 축(69)을 따라 Y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다. 프레임(68)은, Y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지지 부재(70)와, 이들 지지 부재(70)의 양단부에 걸쳐진 상기 슬라이드 축(69)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프레임(68)은, 상기 권선기 유닛(21)에 있어서의 권선기 가대(22)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선 이송기(67)에는 설치 부재(86)를 통해 코일 수용 부재(81)가 장비되어 있다. 이 코일 수용 부재(81)는, 다음에 서술하는 제2 권선 헤드(82)에 의해 평각선(W)의 타단부에 제2 코일부(12)가 권선 가공됨에 따라, 당해 제2 코일부(12)에 접근하는 제1 코일부(11)가 제2 라인(26)에 위치하는 코일 도입 가이드(44)로부터 권선기 가대(22)측으로 이동 탑재되었을 때, 상기 제1 코일부(11)를 수용하는 것이다.
또한, 제2 선 이송기(67)는 전술한 바와 같이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제2 선 이송기(67)에 일체적으로 장비된 코일 수용 부재(81)도, 제2 선 이송기(67)가 Y축 방향으로 퇴피할 때 동시에 이동한다.
제2 라인(26)에 있어서의 제2 선 이송기(67)의, 평각선(W)의 흐름의 최하류측 인접 위치에는, 헤드 이송 유닛(72)이 배치되어 있다.
이 헤드 이송 유닛(72)은, 상기 제2 선 이송기(67)가 Y축 방향으로 퇴피한 경우에, 당해 제2 선 이송기(67) 대신에 평각선(W)을 최하류측으로 송입하고, 권선 가공의 실행을 보조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헤드 이송 유닛(72)은, 도 6 내지 도 8에 상세를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각선(W)의 이송 방향을 따라 왕복 슬라이드 가능하게 된 판상의 본체부(73)와, 이 본체부(73)를 지지하는 프레임(74)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74)은, 평각선(W)의 이송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지지 부재(75)와, 이들 지지 부재(75)의 양단부 사이에 걸쳐지고, 상기 본체부(73)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드 축(76)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74)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선 이송기(67)의 반대측에는, 본체부(73)를 슬라이드 구동시키는 구동원으로서의 모터(77)가 배치되어 있다. 이 모터(77)의 주축은 볼 나사(78)에 연결되어 있다.
본체부(73)의 이면에는, 상기 볼 나사(78)와 나사 결합되는 너트(79)와, 슬라이드 축(76)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80)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모터(77)를 구동시킴으로써, 볼 나사(78)와 너트(79)의 나사 결합에 의해, 본체부(73)가 슬라이드 축(76)을 따라 지지 부재(75) 사이에서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헤드 이송 유닛(72)의 본체부(73)의 상면에는 제2 권선 헤드(82)가 배치되어 있다.
제2 권선 헤드(82)는, 상기 제2 선 이송기(67) 혹은 헤드 이송 유닛(72)으로부터 송출된 평각선(W)의 타단부에, 당해 타단부를 순차 각형 권취하여 각통 형상의 상기 제2 코일부(12)를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제2 코일부(12)의 권선 공정의 최종 단계에서, 2개의 코일부(11, 12)가 접근하였을 때에 서로의 코일부(11, 12)에 간섭하지 않도록, 각 권선 공정이 개시되기 전에, 도시하지 않은 기구 등에 의해, 상기 리드부(12A)도 코일부(12)의 표면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90°구부러져 있다(도 3, 도 4 참조).
상기 제2 권선 헤드(82)는, 상기 제1 권선 헤드(32)의 구조와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동일 사용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 제2 권선 헤드(82)는, 제1 권선 헤드(32)의 배치의 방향을 180도 바꾼 상태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 코일부(12)를 수용하는 코일 수용 부재(83)에는, 실린더(105)에 의해 Y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해진 상면 가이드(83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105)는 코일 수용 부재(83)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상면 가이드(83A)는, 제2 권선 헤드(82)에 의한 제2 코일부(12)의 권선 가공이 종료되고, 제1 코일부(11)와의 사이에서 병렬 형상의 연결 코일(10)이 완성된 후, 그 연결 코일(10)을 코일 수용 부재(83)로부터, 평각선(W)의 이송 방향측으로 송출하거나, 혹은 고정 지그(33A)의 상방으로 빼내어 취출할 때, 코일 수용 부재(83) 및 고정 지그(33A)의 어디에도 간섭하지 않고 취출할 수 있도록 연결 코일(10)의 병렬 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1 및 도 31에서는 상면 가이드(83A)에 대해서는 생략되어 있다.
권선기 가대(22)의 제2 라인(26)을 따른 상면에는, 권선기 가대(22)에 있어서의 평각선(W)의 이송 방향의 양단부에 걸쳐 코일 반출 유닛(84)이 설치되어 있다. 이 코일 반출 유닛(84)은, 도 9 내지 도 11에 상세를 도시하는 바와 같이, 권선기 가대(22)의 평각선(W)의 이송 방향 양단부의 각각 2개소에 소정 간격을 두고 기립 설치된 2개의 기둥 형상 부재(85)와, 이들 기둥 형상 부재(85) 사이에 걸쳐진 척 유닛용 가이드 부재(87)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척 유닛용 가이드 부재(87)에는 척 유닛(88)이 결합되고, 이 척 유닛(88)은 평각선(W)의 이송 방향(K2)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척 유닛(88)은, 각형 형상의 상자 형상으로 형성된 슬라이드 본체(89)를 구비하고 있고, 이 슬라이드 본체(89)의 두께 방향(상하 방향) 측면에, 상기 2개의 척 유닛용 가이드 부재(87)에 결합되는 수평한 관통 구멍(89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 본체(89)의 측면에서 2개의 척 유닛용 가이드 부재(87)의 중간 위치에는, 관통 구멍(89A)과 평행하게, 또한 슬라이드 본체(89)의 길이 방향 대략 중앙부에 도달하는 척 이동 실린더(90)의 로드(90A)용 구멍(89B)이 형성되어 있다.
로드(90A)용 구멍(89B)에는, 상기 기둥 형상 부재(85)에 고착된 상기 척 이동 실린더(90)의 로드(90A)가 삽입되고, 로드(90A)의 선단부는 슬라이드 본체(89)의 상기 중앙부의 도시하지 않은 고정부에 걸려 있다. 또한, 상기 척 이동 실린더(90)는, 기둥 형상 부재(85)에 있어서 평각선(W)의 이송 방향(K2)의 흐름의 최하류측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척 이동 실린더(90)를 구동시켜, 그 로드(90A)를 전후 이동시킴으로써, 슬라이드 본체(89)가 척 유닛용 가이드 부재(87)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하게 된다.
슬라이드 본체(89)에는, 상기 연결 코일(10)을 파지하는 척 기구(91)가 설치되어 있다. 즉, 척 기구(91)는, 도 10,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 블록(93)을 통해 슬라이드 본체(89)에 설치되고, 이 지지 블록(93)은 슬라이드 본체(89)의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한쪽 측면, 또한 평면 각형의 돌출부(89C)에 상방으로 돌기하여 설치되어 있다.
척 기구(91)는 상하 이동용 실린더(94)에 연결되어 있다.
즉, 슬라이드 본체(89)의 상기 돌출부(89C)의 상면에는 지지 블록(93)이 설치되고, 이 지지 블록(93)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실린더용 구멍과, 척 기구(91)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축(95)용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척 기구(91)는 지지 블록(93)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고, 지지 블록(93)에 매달린 상태로 되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척 기구(91)의 하단부에는 연결부(96)가 설치되고, 이 연결부(96)의 상면에 상기 상하용 이동용 실린더(94)의 로드가 연결되고, 또한 연결부(96)에 있어서 로드의 양측에 상기 가이드축(95)이 기립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연결부(96)에는 하방으로 연장되어 척부(92)가 설치되어 있다. 척부(92)는 주지의 구조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하용 이동용 실린더(94)를 구동시키면, 그 로드가 전진 혹은 후퇴함으로써, 척 기구(91)가 하강, 혹은 상승한다. 그리고 척 기구(91)가 소정 위치까지 하강하였을 때 척부(92)가 폐쇄되어, 소정 위치로 이송되어 온 상기 제1 코일부(11)를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코일 반출 유닛(84)에는, 도 10,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본체(89)의 폭 방향 양측면에, 당해 슬라이드 본체(89)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이동 스토퍼 기구(98)가 설치되어 있다.
이 이동 스토퍼 기구(98)는, 슬라이드 본체(89)의 폭 방향 양측면에 설치된 실린더(99)와, 이 실린더(99)의 로드 선단부에 설치된 도시 생략된 스토퍼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 부재가 로드의 전후 이동, 즉 가이드 부재(87)의 직경 방향 이동에 의해 상기 가이드 부재(87)와 접촉ㆍ이격 가능해지고, 접근하여 접촉함으로써 가이드 부재(87)를 압박하고, 이에 의해 슬라이드 본체(89), 나아가서는 척 기구(91)의 이동을 정지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대향 배치된 기둥 형상 부재(85) 사이의 가이드 부재(87)의 반대측에는 센서 설치축(100)이 걸쳐져 있다. 이 센서 설치축(100)의 길이 방향 소정 위치에는, 코일 위치를 측정하는 코일 위치 측정 센서(101)가 설치되어 있고, 이 코일 위치 측정 센서(101)는 제2 코일부(12)의 권선 가공에 따라 당해 제2 코일부(12)측으로 접근하는 상기 제1 코일부(11)의 위치를 측정하는 것이다. 이 측정 센서(101)로서는, 예를 들어 투과형 포토 센서가 사용되고 있다.
이에 대해, 상기 슬라이드 본체(89)의 상면, 또한 상기 돌출부(89C)의 대각선 상에는 상기 센서(101)와 대응하는 센서 도그(10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센서(101)와 센서 도그(102)에 의해 길이 측정 수단(113)이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슬라이드 본체(89)가 평각선(W)의 이송 방향을 따라 이동할 때, 센서 도그(102)의 이동을 상기 센서(101)가 검출하고, 그 신호를 후술하는 주 제어부(110)로 송신하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코일 반출 유닛(84)의 척 유닛(88)과, 상기 제2 선 이송기(67)와, 상기 헤드 이송 유닛(72)의 상호의 관련을 도 6 내지 도 10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2 권선 헤드(82)와 상기 제2 선 이송기(67)의 연동에 의해 제2 코일부(12)의 권선이 진행됨에 따라, 평각선(W)의 타단부에 형성된 제1 코일부(11)는 제2 선 이송기(67)에 접근해 온다.
제1 코일부(11)가 제2 선 이송기(67)와 간섭하기 직전의 소정 위치에 도착하면, 그 위치에서 대기하고 있는 코일 반출 유닛(84)의 척 기구(91)를 하강시키는 동시에, 최하점에 도달하였을 때, 그 척부(92)를 폐쇄하여 제1 코일부(11)를 파지시킨다. 이때, 이동 스토퍼 기구(98)의 스토퍼 기능은 작동하고 있지 않은 상태이고, 또한 척 이동 실린더(90)는 피스톤의 어느 측에도 구동 공기압이 공급되어 있지 않은 미끄럼 이동 프리 상태이다.
계속해서, 제2 선 이송기(67)의 한 쌍의 풀리(28)에 의한 평각선(W)의 클램프를 해제하는 동시에, 제2 선 이송기(67)의 프레임(68) 및 풀리(28)를 Y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평각선(W)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퇴피시킨다.
그 후,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 지그(33A)에 직결된 도시 생략된 실린더에 의해, 고정 지그(33A)를 하방으로 구동함으로써 평각선(W)을 클램프하고, 또한 고정 지그(33A)에 의해 건 상태로 헤드 이송 유닛(72)의 모터(77)를 구동시키고, 볼 나사(78)와 너트(79)의 작용에 의해 본체부(73)를 이송함으로써 평각선(W)을 인출한다. 이때, 척 기구(91)는 움직임이 프리하고, 이동 스토퍼 기구(98)의 스토퍼 기능은 작동하고 있지 않은 상태이다.
다음에,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권선 헤드(82)에 의해 다음 변의 굽힘 가공을 하기 위해 평각선(W)을 인출한 후, 고정 지그(33A)에 의한 클램프를 개방하여, 헤드 이송 유닛(72)을 1변의 길이분 복귀시킨다. 이때, 제1 코일부(11)를 파지한 상태에서 척 기구(91)의 이동이 프리이면, 헤드 이송 유닛(72)의 복귀에 따라 움직이므로, 이동 스토퍼 기구(98)의 스토퍼 기능을 작동시킨다. 즉, 실린더(99)를 구동시켜, 그 로드 선단부의 패드를 가이드 부재(87)에 압박하여 척 기구(91)를 정지시킨다. 권선시에는, 스토퍼 기구(98)를 해제하여 척 기구(91)를 다시 이동 프리 상태로 한다.
도 6 내지 도 8의 동작을 반복하여, 제1 코일부(11) 및 제2 코일부(12)가 병설된 연결 코일(10)이 완성되면, 코일 수용 부재(83)를 연결 코일(10)이 제거 가능한 위치까지 슬라이드시킨 후에,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권선 헤드(82)의 위치로부터, 제1 코일부(11)를 파지한 상태로 척 기구(91)를 상승시키고, 슬라이드 본체(89)를 이동시켜 연결 코일(10)을 완성 연결 코일 반출 위치(B)까지 반송한다.
슬라이드 본체(89)는, 그 후, 코일 적재 유닛(23)측으로 이동하고, 초기 위치로 복귀되어, 거기서 대기하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연결 코일 형성 장치(20)에는, 상기 제1 코일부(11) 및 제2 코일부(12)를 형성하기 위해, 제1 권선 헤드(32) 및 제2 권선 헤드(82)의 가공 위치 설정 동작 등을, 외부 입력되는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타이밍으로 가변 제어하는 주 제어부인 연산 제어부(110)가 병설되어 있다.
상기 연산 제어부(110)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종 지령을 내리기 위한 입력부(111), 각종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112) 및 길이 측정 수단(113)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연산 제어부(110)는, 상기 제1 선 이송기(27), 제1 권선 헤드(32), 커터 유닛(40), 리드선 도입 기구(57), 평각선 이동 유닛(50), 리드선 이송 기구(64), 제2 선 이송기(67), 헤드 이송 유닛(72), 제2 권선 헤드(82), 코일 반출 유닛(84) 등과의 사이에서 신호의 교환을 행하고, 그들 기구의 제어를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연산 제어부(110)에는, 입력부(111)로부터 각종 정보에 기초하는 지령이 입력된다. 그리고 입력된 지령에 기초하여, 연산 제어부(110)와 제1 선 이송기(27) 사이에서는, 제1 가공 라인(25) 상에 있어서, 평각선 공급부(A)로부터 공급되는 평각선(W)의 이송량, 이송 속도 등이 제어된다.
연산 제어부(110)와 제1 권선 헤드(32) 사이에서는, 입력부(111)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하여, 연산 제어부(110)에 의해 권선부(33)에 의한 90도 굽힘 가공의 타이밍이나 굽힘 속도 등의 제어가 행해진다.
연산 제어부(110)와 커터 유닛(40) 사이에서는, 입력부(111)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하여, 연산 제어부(110)에 의해, 커터 유닛(40)의 커터 본체부(42)의 Y축 방향으로의 전진에 의한 평각선(W)의 소정 위치에서의 커터에 의한 절단 및 절단 후의 커터 본체부(73)의 초기 위치로의 복귀 등이 제어된다.
연산 제어부(110)와 리드선 도입 기구(57) 사이에서는, 입력부(111)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하여, 연산 제어부(110)에 의해, 일단부에 제1 코일부(11)가 형성되는 동시에 코일 도입 가이드(44)에 적재되고, 또한 커터 유닛(40)에 의해 절단된 평각선(W)의 타단부측을 파지하여, 코일 이송 가이드(37)로부터 코일 도입 가이드(44)로의 도입 동작이 제어된다.
즉, 상기 개폐 실린더(59)에 의한 평각선(W)의 타단부의 파지 타이밍, 척 이동용 실린더(60)의 구동, 개폐 실린더(59)의 개방 타이밍 등이 제어된다.
연산 제어부(110)와 평각선 이동 유닛(50) 사이에서는, 입력부(111)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하여, 연산 제어부(110)에 의해 코일 적재 유닛(23)의 코일 적재 가대(24) 상에 있어서, 내부에, 일단부에 제1 코일부(11)가 형성되고 타단부가 소정 길이로 절단된 평각선(W)이 적재된 코일 도입 가이드(44)를, 제1 가공 라인(25)으로부터 제2 가공 라인(26)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이 제어된다.
즉, 평각선 이동 유닛(50)의 실린더(53)의 구동 타이밍, 제1 가공 라인(25)으로부터 제2 가공 라인(26)으로 이동하는 코일 도입 가이드(44)의 이동 속도 등이 제어된다.
연산 제어부(110)와 리드선 이송 기구(64) 사이에서는, 입력부(111)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하여, 연산 제어부(110)에 의해 제2 가공 라인(26) 상에 위치하는 코일 도입 가이드(44)에 적재되어 있는 평각선(W)의 타단부를 파지하여 제2 선 이송기(67)로 송입하는 등의 제어가 행해진다.
즉, 상기 개폐 실린더(59)에 의한 평각선(W)의 타단부의 파지 타이밍, 척 이동용 실린더(60)의 구동, 개폐 실린더(59)의 개방 타이밍 등이 제어된다.
연산 제어부(110)와 제2 선 이송기(67) 사이에서는, 입력부(111)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하여, 연산 제어부(110)에 의해, 제2 권선 헤드(82)에서 평각선(W)의 타단부에 제2 코일부(12)를 형성하기 위해 당해 제2 권선 헤드(82)에 평각선(W)을 송출하거나, 혹은 필요에 따라서 평각선(W)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퇴피시키는 등의 제어가 행해진다.
즉, 제2 가공 라인(26) 상에 있어서, 제2 코일부(12)의 권선 가공이 진행됨에 따라 제2 코일부(12)측에 접근하는 제1 코일부(11)가 소정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제2 선 이송기(67)를 Y축 방향으로 퇴피시키는 타이밍 및 퇴피 속도 등의 제어가 행해진다.
연산 제어부(110)와 헤드 이송 유닛(72) 사이에서는, 입력부(111)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하여, 연산 제어부(110)에 의해, 제2 선 이송기(67)에 의한 평각선(W)의 이송 작용이 미치지 않은 경우에, 헤드 본체부(73)를 화살표 S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킴으로써, 평각선(W)을 이송시키는 제어 등이 행해진다.
연산 제어부(110)와 제2 권선 헤드(82) 사이에서는, 입력부(111)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하여, 연산 제어부(110)에 의해, 제2 선 이송기(67) 혹은 헤드 이송 유닛(72)으로부터 이송된 평각선(W)의 타단부에 제2 코일부(12)를 형성하기 위해, 권선부(33)에 의한 90도 굽힘 가공의 타이밍이나 굽힘 속도 등의 제어가 행해진다.
연산 제어부(110)와 코일 반출 유닛(84) 사이에서는, 입력부(111)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하여, 연산 제어부(110)에 의해, 일단부에 제1 코일부(11)가 형성된 평각선(W)이 형성 도중의 제2 코일부(12)에 접근하는 소정 위치에서, 제1 코일부(11)를 파지하는 동시에, 헤드 이송 유닛(72) 및 제2 권선 헤드(82)에 의한 제2 코일부(12)의 권선 가공에 추종하여, 연결 코일(10)의 완성 후에, 그 연결 코일(10)을 소정 위치로 반출시키는 등의 제어가 행해진다.
메모리(112)에는, 연산 제어부(110)에 의한 제어에 필요한 각종 정보,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제1, 제2 코일부(11, 12) 사이의 간극의 기준 치수(설정 치수), 평각선(W)의 폭 및 두께 치수, 각형 형상의 각통 형상으로 감아 올리는 적층 단수, 각형 각통 형상의 긴 변 치수 및 짧은 변 치수, 제1, 2 코일부(11, 12)를 형성하는 데 필요한 평각선(W)의 전체 길이 치수 등의 정보가 수용되어 있다.
또한, 연산 제어부(110)에는, 제2 코일부(12)의 완성 직전의 당해 제2 코일부(12)에 있어서의 최종 2턴 전의 상기 연결부(13)의 길이를 포함하고, 또한 당해 연결부(13)에 직교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각 코일부(11, 12)의 대응하는 코일변 상호간의 평행 간격을 연결 부위 길이로서 측정하고, 이것을 상기 연산 제어부(110)로 송입하는 상기 길이 측정 수단(113)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연산 제어부(110)는, 길이 측정 수단(113)에 의해 측정된 연결 부위 길이의 측정 데이터를 미리 특정(설정)되어 있는 상기 양 코일부(11, 12)의 배치 간격용과, 제2 코일부(12)에 설정되는 평각선 조정용을 포함하는 코일변용으로 배분하는 측정 데이터 배분 기능과, 이 배분된 측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2 권선 헤드(82)의 동작을 제어하고, 제2 코일부(12)의 마지막 각형 권취 부분의 일편에 소정의 오프셋량(F)을 설정하는 오프셋량 설정 기능 및 양 코일부(11, 12)의 배치 간격을 설정 제어하는 배치 간격 설정 제어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다음에, 도 14 내지 도 19를 참조로 하면서, 도 13의 흐름도에 기초하여, 본 실시 형태의 연결 코일 형성 장치(20)에 의한 연결 코일의 형성 방법을 설명한다.
또한, 도 13의 흐름도에서는, 다음 공정(ST)으로 이행할 때의 판단 공정, 즉 원하는 조건이 충족되어 있는지 여부의 판단은, 모든 공정에서 "예", 즉 충족되어 있다는 전제하에서 설명을 진행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연결 코일 형성 장치(20) 전체에 있어서의 연산 제어부(110)는, 도 14에만 나타내고, 평각선 이송 방향(K1, K2)의 표시, 최상류측과 최하류측 등의 표시도 도 14에만 나타낸다.
또한, 도 14 내지 도 19에 도시하는 연결 코일 형성 장치(20)의 구성 요소인 개개의 유닛 및 기구가, 도 3 내지 도 11에 도시하는 전술한 연결 코일 형성 장치(20)의 유닛 및 기구와 형상이 다르지만, 단순히 간략화한 것이며, 이하에는 동일 부재 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한다.
우선, 제1 라인(25)에 있어서는, 제1 코일부(11)와 제2 코일부(12)의 권선, 즉 연결 코일(10)을 형성하는 데 충분한 길이의 평각선(W)을 준비하고, 그 평각선(W)을, 선재 보빈 등의 평각선 공급부(A)로부터 공급하는 동시에, 제1 라인(25) 상의 제1 선 이송기(27)로 송입하고, 이 제1 선 이송기(27)로부터 평각선(W)을 제1 권선 헤드(32)로 송입한다.
계속해서, 제1 공정(ST1)으로서,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라인(25)에 있어서는 평각선(W)의 선단부를 제1 권선 헤드(32)에 있어서의 권선부(33)의 고정 지그(33A)와 권취 지그(33B) 사이에 통과시켜 권선 가능한 상태로 세트하는 동시에, 입력부(111)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하는 연산 제어부(110)의 구동에 의해 제1 권선 헤드(32)를 구동하여, 평각선(W)의 선단부를 헤드 본체부(34)의 권취 지그(33B)와 고정 지그(33A) 사이에 끼움 지지하면서, 권취 지그(33B)를 초기 위치로부터 도 5, 도 14 중에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 굽힘 가공을 실시한다. 이 90도 굽힘 가공과 제1 선 이송기(27)에 의한 소정 길이의 평각선(W)의 송출을 반복하여, 소정의 권취수까지 감아 올려 제1 코일부(11)를 완성시킨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코일부(11)의 리드부(11A)는, 권선 공정이 개시되기 직전에, 코일부(11)의 표면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90°구부러져 있다.
이 제1 코일부(11)의 완성의 판단은, 예를 들어 제1 권선 헤드(32)에 있어서의 권취 지그(33B)의 회전 횟수를 카운트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즉, 제1 코일부(11)의 완성까지의 권취 지그(33B)의 회전 횟수를 미리 설정하고, 그 회전 횟수를 메모리(112)에 저장시켜 두고, 설정된 회전 횟수에 도달하였을 때, 권취 지그(33B)가 회전하지 않도록, 또한 제1 선 이송기(27)의 선 이송 기능이 구동되지 않도록 연산 제어부(110)에 의한 제어가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라인(25)에 있어서는, 입력부(111)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하여 연산 제어부(110)에 의해, 선재 보빈 및 제1 선 이송기(27)를 구동시켜, 완성된 제1 코일부(11) 및 제2 코일부(12) 형성용 평각선(W)을 평각선 이송 방향(K)을 따라, 통상의 이송인 리드선 이송으로 송출하고, 제1 코일부(11)를 제1 권선 헤드(32)로부터 인출하는 동시에, 평각선 이송 방향(K1)의 하류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제1 권선 헤드(32)로부터 인출된 제1 코일부(11) 및 제2 코일부(12) 형성용 평각선(W)은, 코일 이송 가이드(37)를 경유하여, 코일 적재 유닛(23)의 제1 라인(25)측에서 대기하고 있는 코일 도입 가이드(44) 상으로 도입되고, 또한 그 코일 도입 가이드(44) 상을 이동한다.
제2 공정(ST2)으로서,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라인(25)에 있어서는, 제2 코일부(12) 형성용으로 충분한 길이의 평각선(W)이 인출된 후, 커터 유닛(40)의 구동에 의해 평각선(W)의 이송 방향 후단부를 절단한다.
그리고 이때 평각선(W)의 후단부는 코일 이송 가이드(37) 상에 있으므로, 권선기 유닛(21)측 단부에 대기하고 있는 리드선 도입 기구(57)의 파지 본체(58)로 평각선(W)의 타측 단부를 파지하고, 이동용 실린더(60)를 구동시켜 코일 이송 가이드(37)로부터 배출하여, 파지한 평각선(W)을 코일 도입 가이드(44)로 도입한다. 이에 의해, 평각선(W)의 후단부는 치수 LB분 코일 도입 가이드(44) 상으로 이동되는 동시에, 일단부의 제1 코일부(11)는 코일 도입 가이드(44)의 대략 최선단부에 적재되어 있다. 그리고 이 위치가 최적 위치이다.
또한, 절단한 평각선(W)의 제1 선 이송기(27)측의 단부는, 제1 선 이송기(27)의 한 쌍의 풀리(28)를 역회전시킴으로써, 절단 위치로부터 제1 권선 헤드(32)에 의한 권선 개시 위치까지 치수 LA분 복귀된다.
그 후, 제3 공정(ST3)으로서,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라인(25)에 있어서는, 제1 라인(25)의 리드선 도입 기구(57)의 파지 본체(58)에 의한 평각선(W)의 파지를 해제한 후, 평각선 이동 유닛(50)의 이동용 실린더(53)를 구동시켜, 제1 라인(25) 상에 있는 코일 도입 가이드(44)를 제2 라인(26)으로 이동시킨다.
이후, 제1 라인(25)에 있어서는, 제1 선 이송기(27)와 제1 권선 헤드(32)의 협동 작업에 의해, 다음 연결 코일(10)을 형성하기 위한 제1 코일부(11)의 권선 가공이 개시된다.
계속해서, 제1 라인(25)에 있어서는, 제1 선 이송기(27)와 제1 권선 헤드(32)의 협동 작업에 의해, 제1 코일부(11)의 권선 가공이 계속된다.
이에 대해, 제2 라인(26)에 있어서는, 당해 제2 라인(26) 상의 코일 도입 가이드(44)에 적재되어 있는 평각선(W)을 권선기 유닛(21)측으로 송입하기 위해, 리드선 이송 기구(64)를 구동시키고, 그 척부에 의해 평각선(W)의 타단부측을 파지하여 이동용 실린더(60)의 로드(60A)를 전진시켜, 평각선(W)을 코일 도입 가이드(44)로부터 제2 선 이송기(67)로 송입한다.
제1 라인(25)에 있어서는, 계속해서 제1 선 이송기(27)와 제1 권선 헤드(32)의 협동 작업에 의해 제1 코일부(11)의 권선 가공이 계속되는 것에 대해, 제2 라인(26)에 있어서는, 제2 권선 헤드(82)에 송입된 평각선(W)의 타단부에, 제2 선 이송기(67)의 선 이송과 제2 권선 헤드(82)의 고정 지그(33A) 및 권취 지그(33B)의 작용에 의해, 제4 공정(ST4)으로서 제2 코일부(12)의 권선 가공이 개시된다. 이 제2 코일부(12)의 권선 가공이 진행됨에 따라, 제1 코일부(11)가 제2 코일부(12)측으로 이동하여 접근한다.
또한 제2 코일부(12)의 권선이 진행되어, 제1 코일부(11)가 코일 이동 탑재 유닛(23)으로부터 완전히 벗어나면, 상기 평각선 이동 유닛(50)의 이동용 실린더(53)를 복귀시킴으로써, 코일 도입 가이드(44)를 제1 라인(25)으로 이동시킨다.
그 후,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라인(25)에 있어서는, 권선 가공이 종료되어 제1 코일부(11)가 완성되고, 전술한 제2 공정(ST2)과 마찬가지로 입력부(111)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하여 연산 제어부(110)에 의해, 선재 보빈 및 제1 선 이송기(27)를 구동시켜, 완성된 제1 코일부(11) 및 제2 코일부(12) 형성용 평각선(W)을 평각선 이송 방향(K)을 따라 리드선 이송으로 송출하고, 제1 코일부(11)를 제1 권선 헤드(32)로부터 인출하는 동시에, 평각선 이송 방향(K1)의 하류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코일 도입 가이드(44)가 아직 제2 라인(26) 상에 있는 경우는, 코일 도입 가이드(44)가 제1 라인(25)으로 복귀될 때까지 대기한다.
이에 대해, 제2 라인(26)에 있어서는, 제2 선 이송기(67)의 선 이송과 제2 권선 헤드(82)의 고정 지그(33A) 및 권취 지그(33B)의 작용에 의해, 제2 코일부(12)의 권취수가 소정 단수에 도달한 것이 확인된 후, 제2 선 이송기(67)의 이송 본체부(73)를 슬라이드 축(76)을 따라, 평각선(W)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인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제1 코일부(11)는 제2 선 이송기(67)의 근방 위치까지 이동하고 있다.
다음에, 제1 라인(25)에 있어서는, 상기 제2 공정(ST2)과 마찬가지로, 제2 코일부(12)의 형성용으로 충분한 길이의 평각선(W)의 단부를 커터 유닛(40)의 구동에 의해 절단하고, 코일 도입 가이드(44)로 도입한다.
또한, 절단된 평각선(W)의 제1 선 이송기(27)측의 단부가, 절단 위치로부터 제1 권선 헤드(32)에 의한 권선 개시 위치까지 복귀된다.
이에 대해, 제2 라인(26)에 있어서는, 제2 선 이송기(67) 대신에 헤드 이송 유닛(72)의 왕복에 의해 이송되는 평각선(W)을, 제2 권선 헤드(82)의 고정 지그(33A) 및 권취 지그(33B)의 작용에 의해, 제2 코일부(12)의 권선 가공을 계속한다.
이때, 제2 선 이송기(67)는 평각선(W)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퇴피되어 있으므로, 제1 코일부(11)가 제2 선 이송기(67)에 간섭하는 일은 없다.
다음에,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라인(25)에 있어서는, 리드선 도입 기구(57)의 파지 본체(58)에 의한 평각선(W)의 파지를 해제한 후, 평각선 이동 유닛(50)의 이동용 실린더(53)를 구동시켜, 코일 적재 유닛(23) 상에 있어서 코일 도입 가이드(44)를 제1 라인(25)으로부터 제2 라인(26)으로 이동시킨다. 그와 동시에, 제1 선 이송기(27)와 제1 권선 헤드(32)의 협동 작업에 의해, 다음 연결 코일(10)을 형성하기 위한 제1 코일부(11)의 권선 가공이 개시된다.
이에 대해, 제2 라인(26)에 있어서는, 헤드 이송 유닛(72)의 변 이송과 제2 권선 헤드(82)의 고정 지그(33A) 및 권취 지그(33B)의 작용에 의해, 제1 코일부(11)와 제2 코일부(12) 사이에서의 오프셋 조정 및 간격 조정을 하여, 평각선(W)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2 코일부(12)가 소정 단수에 도달하여 권선 가공이 완료되고, 이에 의해 1개의 연결 코일(10)이 완성된다.
그 후, 제1 라인(25)에 있어서는, 제1 선 이송기(27)와 제1 권선 헤드(32)의 협동 작업에 의해, 제1 코일부(11)의 권선 가공이 계속된다.
이에 대해, 제2 라인(26)에 있어서는, 완성된 연결 코일(10)이 코일 반출 유닛(84)에 의해 파지되고, 소정의 반송 장치에 이동 탑재된다.
이후에는, 상기 제1 공정(ST1)으로부터 제4 공정(ST4)까지의 공정이 반복되어, 원하는 수량의 연결 코일(10)이 생산된다.
여기서,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 코일(10)을 완성시키는 데 있어서, 최종 권취 공정을 실행할 때, 연산 제어부(110)에 의해 헤드 이송 유닛(72) 및 제2 권선 헤드(82)를 제어하고, 당해 헤드 이송 유닛(72)의 평각선 이송 기구를 작동시켜, 화살표 S(도 6 참조)로 나타내는 변 이송을 행하여, 우선 제1 코일부(11)와 제2 코일부(12)의 연결부(13)의 오프셋 조정이 행해진다. 제1 코일부(11)와 제2 코일부(12)의 간격은 미리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코일부(11)와 제2 코일부(12)의 오프셋 조정 완료 및 소정의 간격으로 된 연결 코일(10)이 완성된다.
다음에, 상기 제4 공정(ST4)에 있어서의 오프셋 조정의 상세를, 도 20 내지 도 28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20에 기초하여 제1 코일부(11)와 제2 코일부(12)의 상대 위치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각 코일부(11, 12)의 상대 위치도에 있어서의 코일 피치(X)는 미리 설정된 코일 간극(L2)의 값에 따라서, 제2 코일부(12)의 권선 공정 최종 턴으로 형성된다.
한편, 코일 어긋남(Y)은 최종 공정의 2턴 앞의 권선 동작에 있어서 제로가 되도록, 즉 제1 코일부(11)와 제2 코일부(12)가 어긋남 없이 배열되도록 위치 보정된다. 이 코일 어긋남(Y)은 제2 코일 권선 공정에 있어서의 평각선(W)의 이송 오차 등의 누적에 의한 것이다.
본 제1 실시 형태의 연결 코일 형성 장치에 의한 연결 코일 형성 방법에서는, 제2 코일 권선 중의 어느 시점에서 임의의 기준 위치로부터 제1 코일부(11)의 거리를 측정하고, 이 거리 데이터에 따라서 조정값인 오프셋부를 형성함으로써, 제2 코일 권선의 그 시점까지의 누적 오차를 해소하는 것이다.
이 거리 측정은, 위치 보정 동작이 행해지는 상기 최종 공정의 2턴 앞 이전에서 실행되어야 하지만, 가능하면 바로 앞인 최종 공정 3턴 앞이 바람직하다.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코일부(12)의 권선이 진행되어, 제1 코일부(11)가 선 이송 방향(H)을 따라 이동하고, 제2 코일부(12)측에 더욱 접근하여, 예를 들어 권선 완료로부터 3턴 이상(90도씩 3회 권선) 앞의 상태로 되면, 길이 측정 수단(113)을 구성하는 코일 측정 센서(101)와 센서 도그(102)에 의해, 제1 코일부(11)의 위치가 검출되어, 그 정보가 연산 제어부(110)(도 12 참조)로 전송된다.
측정 센서(10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센서 설치축(100)에 있어서 거리 측정용의 기준 위치(S)에 고정되어 있고, 이것에 대응하는 센서 도그(102)가 슬라이드 본체(89)에 설치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 본체(89)에는 제1 코일부(11)를 척하는 척부(92)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척부(92)에 보유 지지된 제1 코일부(11)와 센서 도그(102)의 위치 관계는 항상 동일하므로, 거리 측정용 기준 위치(S)로부터 센서 도그(102)까지의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제1 코일부(11)의 위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 측정은, 전술한 바와 같이 최종 턴으로부터 3턴 이상을 남긴 위치에서, 다음 굽힘 공정을 위해 평각선(W)을 이송할 때에 행해진다.
헤드 이송 유닛(72)에 의해 평각선(W)을 이송할 때에는, 모터(77)의 도시 생략된 제어 드라이버에 구동 펄스가 입력된다. 구동 펄스 1개당 헤드 이송 유닛(72)의 이동량은, 모터부의 감속비와 볼 나사의 나사 리드 길이로부터 산정되므로, 헤드 이송 유닛(72)이 동작 개시되어, 센서 도그(102)가 측정 센서(101)에 도달할 때까지 필요로 하는 펄스수를 카운트하면(도 22의 측정 펄스수 P), 이것을 센서 도그(102)로부터 거리 측정용 기준 위치(S)에 고정된 측정 센서(101)까지의 거리로 환산할 수 있다.
측정된 펄스에 기초하여 산정된 측정 센서(101)[측정 기준 위치(S)]로부터 센서 도그(102)까지의 거리[상기 코일 어긋남(Y)]는,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준 길이, 즉 적정 거리인 경우,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적정 거리보다 긴 경우,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적정 거리보다 짧은 경우라고 하는 3형태로 된다.
그리고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센서(101)와 센서 도그(102) 사이의 거리가 적정하다고 하는 것은, 제1 코일부(11)와 제2 코일부(12) 사이의 거리가, 도 23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 코일(10)을 형성하는 데 적정하다고 하는 것이다. 즉, 위치 보정 없이 권선하면, 도 23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 코일부(11, 12)는 기준 오프셋을 수반하여, 상기 코일 어긋남(Y)이 없는 상태로 된다.
또한,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센서(101)와 센서 도그(102) 사이의 거리가 길다고 하는 것은, 제1 코일부(11)와 제2 코일부(12) 사이의 거리가 적정값보다도 길다고 하는 것이며, 도 24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위치 보정 없이 권취하였을 때, 양 코일부(11, 12) 사이의 거리가 +측으로 어긋난다고 하는 것이다.
그로 인해, 도 24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어긋남분을 +측으로 오프셋하여(위치 보정하여) 권선함으로써, 제1 코일부(11)와 제2 코일부(12) 사이의 거리를 적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센서(101)와 센서 도그(102) 사이의 거리가 짧다고 하는 것은, 제1 코일부(11)와 제2 코일부(12) 사이의 거리가 적정값보다도 짧다고 하는 것이며, 도 25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위치 보정 없이 권취하였을 때, 양 코일부(11, 12) 사이의 거리가 -측으로 어긋난다고 하는 것이다.
그로 인해, 도 25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어긋남분을 -측으로 오프셋하여(위치 보정하여) 권선함으로써, 제1 코일부(11)와 제2 코일부(12) 사이의 거리를 적정하게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코일간 리드 길이가 각각 다른 경우에, 연결 코일을 형성하기 위해, 위치 보정 없이(오프셋부는 설치함) 권취 종료되었을 때, 각각의 제1, 제2 코일부(11, 12)의 상호 위치는 코일간 리드 길이의 장단(長短)에 따라서 어긋난다.
본 방법은, 코일간 리드 길이의 장단에 따라서 오프셋 길이를 바꿈으로써, 권선 종료시의 코일 어긋남(Y)을 보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전술한 도 24,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위치 보정하여 권취 종료한 도 24의 (C), 도 25의 (C)의 연결 코일이, 각각의 제1, 제2 코일부(11, 12)의 상호 위치의 어긋남이 없는 상태이며, 결국 코일 리드의 장단은 오프셋부의 어긋남으로 나타내어져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오프셋부를 설치하여, 위치 보정 없이 상호 위치가 어긋남 없이 권선된 경우의 코일간 리드 길이를 적정 길이로 설정한 것은, 적정 리드 길이보다 짧은 코일간 리드 길이의 코일을 보정 권선하였을 때에, 조정값인 오프셋부가 코일의 내경 내에 나타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26에 있어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코일 어긋남을, 정확한 연결 권선이 실행되는 기준 위치로부터의 거리(격차)로서 파악하고 있고, 1펄스(P)당 선 이송량이 L㎜이면, 상기 도 26의 (A)의 경우의 선 이송 보정량(F)을 다음과 같은 수학식 1에 기초하여 구하고 있다.
Figure 112010049002965-pct00001
이 수학식 1을 도 27의 (A), (B)에 기초하여 보충 설명하면, 측정한 2개의 제1 코일부(11)에 있어서, 오프셋부(14)의 오프셋량이, 도 27의 (A)와 도 27의 (B)에서 Δk 다르면, 그 부분의 선재 길이는 2×Δk가 된다. 상기 수학식 1에 있어서 (P1-P0)×L을 2로 나누는 것은, 이 이유에 의한다.
선 이송 보정량(F)이 설정되면, 그 보정량(F)이 오프셋 치수, 즉 조정값이 된다. 그리고 도 28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 통상의 이송 치수(여기서는, 긴 변 치수분)에 오프셋 치수(F)를 더한 보정 이송 치수(L1)가 설정되고, 그 보정 이송 치수(L1)가 되는 펄스(P)의 값으로 선 이송된다.
그 후, 이 보정 이송 치수(L1)로 제1 코일부(11)를 이송한 후, 도 28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권취 지그(33B)를 90도 회전시켜, 평각선(W)을 굽힘 가공하였을 때, 그 부분의 제2 코일부(12)의 긴 변 치수가 상기 오프셋 치수(F)를 더한 치수가 되어 나타나게 된다.
계속해서, 도 28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도 28의 (B)의 양 코일부(11, 12) 사이의 간극 치수(L2)를 확보하기 위해, 통상의 이송 치수, 즉 제1 코일부(11)의 짧은 변의 길이와 간극(L2)분의 이송 치수(L3)로 이송하고, 그 위치에서, 도 28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권취 지그(33B)를 90도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고, 이에 의해 최종 각형 권취 공정으로서, 평각선(W)을 굽힘 가공하였을 때, 양 코일부(11, 12) 사이의 간극(L2)이 정확하게 확보된다.
또한, 상기 간극 치수(L2)는, 양 코일부(11, 12)의 축심(W1, W2)이, 상기 코일 피치(X)와 일치하고 있을 때 필연적으로 정해지는 치수이며, 또한 코일 피치(X)는 미리 특정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연결 코일(10)의 제1 코일부(11)의 축심(W1)과 제2 코일부(12)의 축심(W2)의 거리를 미리 설정(특정)되어 있는 코일 피치(X)로 함으로써, 대략 링 형상의 연결 코어(2)의 2개소의 직선부가 삽입 가능해진다.
여기서, 상기 제2 선 이송기(67)가 제2 가공 라인(26)으로부터 퇴피하여, 제2 선 이송기(67)에 의한 평각선(W)의 이송 동작이 정지되어 있을 때, 특히 최종 2턴 앞의 상태로부터 최종 각형 권취까지의 제2 코일부(12)의 권취 동작은, 상기 입력부(111)의 지령에 의해 연산 제어부(110)를 구동시키고, 이 연산 제어부(110)에 의해, 상기 헤드 이송 유닛(72)의 본체부(73)를 평각선 이송 방향(K2)을 따른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켜, 각각의 위치에서, 고정 지그(33A)를 기점으로 하여 권취 지그(33B)를 90도 회전시킴으로써 행해진다.
즉, 도 28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 코일부(11, 12) 사이의 상기 보정 이송 치수(L1)가 되도록 선 이송 펄스수(P)가 설정되었을 때, 헤드 이송 유닛(72)이 고정 지그(33A)와 권취 지그(33B)를 탑재하는 제2 권선 헤드(82)를 S1의 위치까지 이동시킴으로써 평각선(W)을 보정 치수(L1) 길이 송출하고, 계속해서 S1의 위치에 있었던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고정 지그(33A)와 권취 지그(33B)가, 전술한 바와 같이 헤드 본체부(73)가 동일한 보정 치수(L1) 길이 복귀됨으로써, 굽힘 가공 위치(S2)까지 이동한다.
이때, 제1 코일부(11)를 파지하는 척부(92)의 설치 모체인 슬라이드 본체(89)의 이동 스토퍼 기구(98)의 스토퍼 기능을 동작시켜, 송출된 평각선(W)이 제2 권선 헤드(82)와 함께 복귀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굽힘 가공 위치(S2)의 위치에서, 도 23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90도의 굽힘 가공이 실시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양 코일부(11, 12) 사이의 최종 굽힘 가공시에는, 도 29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S2의 위치에 있었던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고정 지그(33A)와 권취 지그(33B)가, 전술한 바와 같이 헤드 이송 유닛(72)이 변 이송분 이동함으로써 굽힘 가공 위치(S3)까지 이동한다. 그리고 그 위치에서, 도 29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90도의 굽힘이 실시된다.
이상과 같은 본 제1 실시 형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1) 평각선(W)의 일단부에 제1 코일부(11)를 제1 코일 권선 가공 라인(25)에서 형성하는 동시에, 이것에 연속해서 평각선(W)의 타단부에 제2 코일부(12)를 제2 코일 권선 가공 라인(26)에서 형성하도록 하고, 이 동안에 코일 적재 유닛(23)을 통해 제1 코일부(11)가 형성된 평각선(W)을 연속해서 제2 코일 권선 가공 라인(26)으로 전송하도록 하였으므로, 평각선(W)은 도입으로부터 각 코일부(11, 12)의 가공 종료에 이르기까지 연속해서 일방향으로 순차 이행되므로, 각 코일부(11, 12)를 신속하고 또한 효율적으로 가공할 수 있다.
(2) 코일 적재 유닛(23)을 병렬로 배치한 제1 및 제2 코일 권선 가공 라인(25, 26)에 대응 가능하게 구성하였으므로, 제1 코일 권선 가공 라인(25)에서 형성된 제1 코일부(11)를 구비한 평각선(W)을 코일 적재 유닛(23)에 의해 제2 코일 권선 가공 라인(26)으로 원활하고 또한 신속하게 전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연결 코일(10)의 가공 생산 효율을 대폭으로 개선할 수 있다.
(3) 제1 코일부(11)와 제2 코일부(12)를 연결하는 연결부(13)가 양 코일부(11, 12)에 연속해서 설치되어 있으므로, 연결부(13)를, 용접이나 되접음을 필요로 하지 않고, 또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4) 제2 선 이송기(67)로부터 이송되는 평각선(W)에 제2 권선 헤드(82)에 의해 권선 가공이 행해지지만, 제2 코일부(12)의 권선 가공에 따라 제1 코일부(11)가 제2 코일부(12)에 접근하고, 제2 선 이송기(67)가 Y축 방향으로 퇴피하면, 제2 선 이송기(67)로부터 평각선(W)이 이송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제2 권선 헤드(82)는 헤드 이송 유닛(72)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고, 이 헤드 이송 유닛(72)이 평각선(W)의 이송 방향(K2)을 따라 왕복 이동할 수 있으므로, 제2 선 이송기(67)의 작용이 미치지 않게 된 경우라도 최종 권취 가공까지 행할 수 있다.
(5) 헤드 이송 유닛(72)의 본체부(73)의 왕복 이동이, 모터(77)에 직결된 볼 나사(78)와, 본체부(73)에 설치된 너트(79)의 나사 결합에 의해 행해지므로, 정확한 왕복 이동을 확보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제2 코일부(12)를 보다 정확하게 권선 가공할 수 있다.
다음에, 도 30 내지 도 37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본 제2 실시 형태의 연결 코일 형성 장치(120)는, 도 30, 도 3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연결 코일 형성 장치(20)에 제1 포밍 유닛(121) 및 제2 포밍 유닛(145)을 설치한 것이다.
즉, 각 포밍 유닛(121, 145)은, 포밍용 지그(136)에 의해, 제1 코일부(11) 및 제2 코일부(12)의 리드부(11A, 12A)를 자동적으로 포밍(절곡) 형성하는 것으로, 제1 라인(25) 및 제2 라인(26)의 각각에 배치되어 있다.
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 코일 형성 장치(120)의 제1 라인(25)에는 제1 권선 헤드(32)와 커터 유닛(40) 사이에 제1 포밍 유닛(121)이 배치되고, 제2 라인(26)에는 헤드 유닛(72)의 평각선(W)의 흐름의 최하류측에 제2 포밍 유닛(145)이 배치되어 있다.
이들 제1 포밍 유닛(121) 및 제2 포밍 유닛(145)의 구조는 동일하지만, 제1 포밍 유닛(121)에 대해 제2 포밍 유닛(145)이 180도 방향을 바꾸어 배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이하에는 제1 포밍 유닛(121)에 대해 구조를 설명한다. 또한, 제2 포밍 유닛(145)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32는 제1 포밍 유닛(121)의 전체 측면도이고, 도 33은 도 32의 M 화살표를 따라 자른 제1 포밍 유닛(121)의 전체 정면도이고, 도 34는 도 33의 N 화살표를 따라 자른 제1 포밍 유닛(121)의 전체 평면도이다.
이들 도 32 내지 도 3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포밍 유닛(121)은 상기 권선 유닛(21)의 권선기 가대(22)의 상면에 간격을 두고 기립 설치된 지지 부재(122)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 부재(122)는, 사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되고, 대향하는 이들 지지 부재(122)의 서로의 외측면에는, 제1 실린더(123)와 제2 실린더(124)가 각각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들 지지 부재(122) 사이에는, 그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2개의 가이드축(125)이 수평으로 걸쳐져 있다.
제1 실린더(123)는, 리드선 클램퍼 기구(126)를 상기 2개의 가이드축(125)을 따라 평각선(W)의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것이며, 제2 실린더(124)는 포밍 지그(136)를 2개의 가이드축(125)을 따라 평각선(W)의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것이다.
리드선 클램퍼 기구(126)는, 2개의 가이드축(125)에 결합되고, 또한 당해 가이드축(125)을 따라 이동하는 사각 상자 형상의 제1 슬라이드 부재(127)와, 이 제1 슬라이드 부재(127)의 상면 4코너에 기립 설치된 지지 기둥(128)과, 이들 지지 기둥(128)에 설치된 한 쌍의 하부 클램퍼(129A)와 상부 클램퍼(129B)로 이루어지는 클램퍼(129)와, 하부 클램퍼(129A)에 대해 상부 클램퍼(129B)를 상하 이동 가능하게 하는 클램퍼 구동 실린더(130)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1 슬라이드 부재(127)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1 실린더(123)의 로드(123A)가 연결되는 동시에, 이 로드(123A)와 제1 슬라이드 부재(127)는 연결 부재(139)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실린더(123)를 구동시켜 로드를 전후 이동시킴으로써, 제1 슬라이드 부재(127)를 가이드축(125)을 따라 왕복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클램퍼(129)는 전체 형상이 소정 길이의 각 기둥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 클램퍼(129A)에 대해 상부 클램퍼(129B)가 두껍게 형성되고, 또한 도 3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클램퍼(129B)의 제2 실린더(124)측 단부는 상방으로 감에 따라서 후퇴하는 경사면(129C)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클램퍼(129B)의 경사면에 이어지는 하면 일부는 얇게 깎여, 상부 클램퍼(129B)를 최대한 하강시켰을 때 하부 클램퍼(129A)와의 사이에서, 상기 제1 코일부(11)의 리드부(11A)의 판 두께부를 끼워 넣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하부 클램퍼(129A)의 제1 슬라이드 부재(127)의 이동 방향 전후 위치에는 둥근 막대 형상의 가이드 부재(131)가 수직으로 기립 설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 부재(131)는 상부 클램퍼(129B)에 형성된 삽입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되고, 또한 상부 클램퍼(129B)의 상하 이동을 허용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131)의 상부에는, 당해 가이드 부재(131)를 고정하는 실린더 설치판(132)이 고착되어 있다.
이 실린더 설치판(132)에는, 상부 클램퍼(129B)를 상하 이동시키는 상기 클램퍼 이동 실린더(130)가 상방을 향해 설치되고, 그 로드(130A)가 상부 클램퍼(129B)의 상면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클램퍼 이동 실린더(130)를 구동시켜 로드(130B)를 전후 이동시킴으로써, 상부 클램퍼(129B)가 하부 클램퍼(129A)에 대해 상하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수평한 가이드축(125)에는,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127)와 대향 배치된 제2 슬라이드 부재(135)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제2 슬라이드 부재(135)는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127)와 대략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슬라이드 부재(135)의 상면에는, 상기 포밍용 지그(136)를 지지하는 동시에 상하 이동 가능한 지그 지지 부재(137)가 상방으로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 지그 지지 부재(137)는, 도 3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면 형상이 볼록 형상, 즉 하부(137A)와 그 위의 돌출부(137B)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돌출부(137B)가 두 갈래로 나뉘고, 그 두 갈래부에 원판 형상의 상기 포밍용 지그(136)가 수용되어 있다.
이 포밍용 지그(136)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두께가, 리드부[11A(12A)]의 거의 전체 폭에 접촉할 수 있는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포밍용 지그(136)는, 핀(138)에 의해 돌출부(137B)의 두 갈래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지그 지지 부재(137)의 하부, 또한 돌출부(137B)를 끼운 양측에는, 수직한 가이드축(139)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가이드축(139)의 하단부는 상기 제2 슬라이드 부재(135)의 상면에 고착되고, 상단부는 가이드 고정 부재(140)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가이드 고정 부재(140)는 코일 배출 가이드(37)의 이면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슬라이드 부재(135)의 하면에는, 지그 지지 부재(137), 나아가서는 포밍용 지그(136)를 상하 이동시키는 지그 상하용 실린더(14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지그 상하용 실린더(141)의 로드는 제2 슬라이드 부재(135)를 상하로 관통시켜 설치되고, 로드의 선단부가 지그 지지 부재(137)의 하면에 연결되어 있다.
그로 인해, 지그 상하용 실린더(141)를 구동시켜 로드를 전후 이동시키면, 지그 지지 부재(137)가 가이드축(139)을 따라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2 슬라이드 부재(135)의 제2 실린더(124)측 단부는, 당해 제2 실린더(124)의 로드에 연결되어 있고, 제2 실린더(124)를 구동시켜 로드를 전후 이동시키면, 제2 슬라이드 부재(135)가 가이드축(125)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로 인해, 포밍용 지그(136)는 수평 이동 또한 상하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제2 실시 형태의 연결 코일 형성 장치(1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연결 코일 형성 장치(20)에 제1 포밍 유닛(121), 제2 포밍 유닛(145)을 설치한 것이며, 그 밖의 구조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 부재 및 동일 구조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다음에, 도 35의 (A) 내지 (D)에 기초하여, 이상과 같은 구성의 제1 포밍 유닛(121)에 의한 상기 리드부[11A(12A)]의 형성 동작을 설명한다.
도 35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각선(W)의 일단부에 있어서의 제1 코일부(11)의 1변분의 길이와 리드부(11A)의 길이분이 원점 위치, 즉 리드부(11A)를 절곡하는 포밍 위치로 이송되어 왔을 때, 포밍용 지그(136)는 초기 위치에 대기하고 있다. 이때, 클램퍼(129)는 포밍용 지그(136)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대기하는 동시에, 상부 클램퍼(129B)가 상승하여 하부 클램퍼(129A)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로부터 도 35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실린더(123)의 구동에 의해 클램퍼(129)가 화살표 P1 방향으로 전진하는 동시에, 클램퍼 이동 실린더(130)의 구동에 의해 상부 클램퍼(129B)가 이 화살표 Q1 방향으로 하강하여 하부 클램퍼(129A)와 협동하여, 평각선(W)의 제1 코일부(11)의 1변부를 파지한다.
그 후, 도 35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그 상하용 실린더(141)의 구동에 의해 포밍용 지그(136)를 화살표 Q2 방향으로 상승시키고, 1변부를 상부 클램퍼(129B)와 하부 클램퍼(129A) 사이에 끼워 넣은 상태에서, 리드부(11A)를 밀어 올린다.
다음에, 도 35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실린더(124)의 구동에 의해 포밍용 지그(136)를 화살표 P2 방향으로 전진시켜 리드부(11A)를 상부 클램퍼(129B)의 경사면(129C)에 압박하여 절곡한다. 이 경사는, 포밍용 지그(136)가 압박을 해제하여 원 위치로 복귀되었을 때에, 리드부(11A)가 스프링백에 의해 복귀되는 것을 예상한 것이다.
이에 의해, 제1 코일부(11)의 리드부(11A)가 제1 코일부(11)의 상면으로부터 상승한 상태로 할 수 있다. 즉, 리드부(11A)를 평각선(W)의 표면으로부터 당해 표면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곡할 수 있다.
리드부(11A)의 절곡 후는, 전술한 동작과 반대의 움직임에 의해, 포밍용 지그(136)는 초기 위치로 복귀되는 동시에 클램퍼(129)도 원점 위치로 복귀되고, 상부 클램퍼(129B)는 하부 클램퍼(129A)에 대해 개방된 상태로 대기하도록 작동된다.
이상과 같은 리드부(11A)의 포밍은, 제1 코일부(11)를 형성하기 전에 행하도록 되어 있다.
즉, 도 36의 (A) 내지 (C)로부터 도 37의 (D) 내지 (F)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각선(W)의 일측 및 타측 단부에, 우선 1회째의 권선 가공, 즉 90도의 굽힘 가공을 실시한 후에 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1회째의 권선 가공 후에 포밍을 행하는 것은, 포밍 위치가 1회째의 굽힘 코너에 가까운 경우, 먼저 포밍을 행하면, 90도로 상승한 리드부(11A)가 권취 지그(33B)와 간섭하여, 제1회째의 권선 가공을 할 수 없게 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함이다.
우선, 도 36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권선 헤드(32)의 고정 지그(33A)와 권취 지그(33B)의 끝쪽에, 권취 개시 리드부[11A(12A)] 길이와 제1 코일부(11)의 1변분의 길이를 합계한 길이의 선단부(W1)를 화살표 U1 방향으로 송출한 후, 도 36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 지그(33A)에 대해 권취 지그(33B)를 화살표 R 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 선단부(W1)를 절곡한다.
다음에, 도 36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곡한 선단부(W1)의 리드부[11A(12A)]를 포밍하기 위해 상기 포밍 위치까지 평각선(W)을 화살표 U1 방향으로 송출한다.
그 후, 도 37의 (D), (D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포밍 지그(136)에 의해, 리드부[11A(12A)]를 평각선(W)의 표면에 대해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곡한다.
계속해서, 도 37의 (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각선(W)을 포밍 위치로부터 제1 코일부(11)의 권선 가공을 개시하기 위해, 2회째의 굽힘 가공을 행하는 고정 지그(33A)와 권취 지그(33B)의 위치까지 화살표 U2 방향으로 복귀시켜, 도 37의 (F)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상의 권선 가공이 개시된다.
이에 의해, 제1 라인(25)에 있어서 제1 권선 헤드(32)에 의한 제1 코일부(11)의 형성은, 그 제1 코일부(11)의 리드부(11A)가 평각선(W)의 표면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의 상방으로 90도 절곡된 상태로 권선이 행해진다.
일단부에 제1 코일부(11)가 형성되어 있는 평각선(W)의 타단부에 제2 코일부(12)를 형성할 때도, 전술한 바와 같이 타측 단부를, 상기 제2 권선 헤드(82)의 평각선(W)의 이송 방향 끝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2 포밍 유닛(145)까지 송출하고, 제2 코일부(12)의 리드부(12A)를, 제2 포밍 유닛(145)의 상기 포밍용 지그(136) 등의 작용에 의해 절곡한 후,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권선 헤드(82)측으로 복귀시켜, 리드부(12A)가 절곡된 상태로 제2 코일부(12)의 권선 가공이 개시된다.
이상과 같은 본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1) 내지 (5)와 동일한 효과 외에,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6) 제1 코일부(11)의 리드부(11A) 및 제2 코일부(12)의 리드부(12A)가, 각 코일부(11, 12)의 권선 가공이 개시되기 전에, 제1 포밍 유닛(121), 제2 포밍 유닛(145)에 의해, 각각 평각선(W)의 평면에 대해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승하여 절곡되고, 그 상태에서 권선 가공이 개시된다. 따라서, 제2 코일부(12)의 권선이 진행되어, 그 최종 권취의 경우라도, 각각의 리드부(11A, 12A)가 제1 코일부(11) 및 제2 코일부(12)와 간섭하지 않아, 이에 의해 권선 정밀도가 높은 연결 코일(10)을 형성할 수 있다.
(7) 제1 코일부(11)의 리드부(11A) 및 제2 코일부(12)의 리드부(12A)가, 제1 포밍 유닛(121), 제2 포밍 유닛(145)에 의해, 각각 자동적으로 절곡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연결 코일(10)을 보다 효율적으로, 연속해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각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의 변형, 개량 등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코일 소재로서 평각선(W)을 사용하고, 이 평각선(W)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각각 제1 코일부(11)와 제2 코일부(12)를 형성하도록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코일 소재로서 둥근 막대 등의 선재를 사용해도 좋다.
또한, 상기 제2 실시 형태에서는, 권취 개시 리드부[11A(12A)] 길이와 제1 코일부(11)의 1변부의 길이를 합계한 길이의 선단부(W1)를 송출하고, 고정 지그(33A)와 권취 지그(33B)로 90도 절곡한 후, 제1 코일부(11)의 리드부(11A) 및 제2 코일부(12)의 리드부(12A)를 절곡하고 있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선단부(W1)를 송출한 후, 그 이송 방향을 따른 위치에서 리드부(11A, 12A)를 절곡하고, 그 후 제1 코일부(11)의 1변부를 절곡하면, 계속해서 제1 코일부(11)의 권선 가공으로 이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제2 실시 형태에서의 리드부(11A) 및 제2 코일부(12)의 절곡 후, 복귀시키는 공정이 불필요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2 선 이송기(67)가 퇴피한 후에는 헤드 이송 유닛(72)에 의해 평각선(W)을 송출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헤드 이송 유닛(72)과 동등한 모터와 볼 나사에 의한 이송 기구를, 제1 코일부(11)를 파지하는 척부(92)의 설치 모체인 슬라이드 본체(89)의 슬라이드 구동측에 설치하고, 헤드 이송 유닛(72)을 폐하여, 슬라이드 본체(89) 상의 척부(92)가 파지하는 제1 코일부(11)를 통해 평각선(W)을 송출하도록 해도 좋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리액터용 코일로서 사용되는 연결 코일을 형성할 때 등에 이용할 수 있다.
1 : 리액터
10 : 연결 코일
11 : 제1 코일부
12 : 제2 코일부
13 : 연결부
14 : 오프셋 부분
20 : 연결 코일 형성 장치
21 : 권선기 유닛
23 : 소재 전송 유닛인 코일 적재 유닛
25 : 제1 코일 권선 가공 라인
26 : 제2 코일 권선 가공 라인
27 : 제1 선 이송기
32 : 제1 권선 헤드
33 : 권선부
33A : 고정 지그
33B : 권취 지그
37 : 코일 이송 가이드
40 : 커터 유닛
44 : 코일 도입 가이드
45 : 코일 반송 트레이
50 : 평각선 이동 유닛
57 : 제1 반송 장치인 리드선 도입 기구
60 : 이동용 실린더
64 : 제2 반송 장치인 리드선 이송 기구
67 : 제2 선 이송기
72 : 헤드 이송 유닛
82 : 제2 권선 헤드
84 : 코일 반출 유닛
88 : 척 유닛
91 : 척 기구
92 : 척부
94 : 상하 이동용 실린더
98 : 이동 스토퍼 기구
101 : 코일 위치 측정 센서
102 : 센서 도그
110 : 주 제어부인 연산 제어부
111 : 입력부
112 : 메모리
113 : 길이 측정 수단
120 : 제2 실시 형태의 연결 코일 형성 장치
121 : 제1 포밍 유닛
126 : 리드선 클램퍼 기구
127 : 제1 슬라이드 부재
129 : 클램퍼
129A : 상부 클램퍼
129B : 하부 클램퍼
135 : 제2 슬라이드 부재
136 : 포밍용 지그
145 : 제2 포밍 유닛
A : 소재 공급 영역인 평각선 공급부
B : 반출 위치
W : 코일 소재인 평각선
K1 : 제1 코일 권선 가공 라인에 있어서의 평각선의 이송 방향
K2 : 제2 코일 권선 가공 라인에 있어서의 평각선의 이송 방향

Claims (12)

  1. 코일 소재를 평각선으로 하는 제1 코일부와 제2 코일부가 동일면 상에서 인접한 상태로 병설된 연결 코일을 형성하는 장치이며,
    소재 공급 영역으로부터 도입되는 코일 소재의 일단부를 순차 각형 권취하여 각통 형상의 상기 제1 코일부를 형성하는 제1 권선 헤드를 구비하여, 상기 제 1 코일부를 상기 제 1 권선 헤드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아직 권취되지 않은 상기 코일 소재의 타단부를 구비한 상태로 상기 제 1 코일부를 얻는, 제1 코일 권선 가공 라인과,
    상기 제 1 코일부의 상기 코일 소재의 타단부를 순차 각형 권취하여 각통 형상의 상기 제 2 코일부를 형성하는 제2 권선 헤드를 구비하는 제2 코일 권선 가공 라인과,
    상기 제1 코일 권선 가공 라인과 상기 제2 코일 권선 가공 라인은 소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 코일 권선 가공 라인으로 형성된 상기 제1 코일부를 상기 코일 소재의 타단부를 구비한 상태로 상기 제2 코일 권선 가공 라인에 이동시키는 소재 전송 유닛을 장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코일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 권선 가공 라인이,
    상기 소재 공급 영역으로부터 도입되는 상기 코일 소재를 직선 형상으로 배치하는 동시에 이것을 지지하여 상기 소재 전송 유닛의 방향으로 송출하는 제1 선 이송기와,
    이 제1 선 이송기로부터 송출되는 상기 코일 소재를 권선 가공하여 상기 제1 코일부를 형성하는 상기 제1 권선 헤드와,
    상기 소재 전송 유닛으로 송입된 코일 소재의 연속체를 상기 제2 코일부 형성에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는 커터 유닛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코일 형성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코일 권선 가공 라인이,
    상기 소재 전송 유닛을 통해 송입되는 코일 소재를 그 타단부로부터 도입하는 동시에 당해 코일 소재의 일단부에 형성된 상기 제1 코일부의 통과를 허용하는 제2 선 이송기와,
    이 제2 선 이송기로부터 송출되는 상기 코일 소재의 타단부에 상기 제2 코일부를 권선 가공하는 상기 제2 권선 헤드와,
    상기 제2 권선 헤드를 장비한 상태로 상기 코일 소재의 이동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여 상기 제2 권선 헤드에 의한 권선 가공의 실행을 보조하는 헤드 이송 유닛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코일 형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 권선 가공 라인이,
    상기 소재 공급 영역으로부터 도입되는 상기 코일 소재를 직선 형상으로 배치하는 동시에 이것을 지지하여 상기 소재 전송 유닛의 방향으로 송출하는 제1 선 이송기와,
    이 제1 선 이송기로부터 송출되는 상기 코일 소재를 권선 가공하여 상기 제1 코일부를 형성하는 상기 제1 권선 헤드와,
    상기 소재 전송 유닛으로 송입된 코일 소재의 연속체를 상기 제2 코일부 형성에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는 커터 유닛과,
    상기 제1 권선 헤드와 상기 커터 유닛 사이에 배치하는 동시에 상기 제1 권선 헤드에 의해 상기 제1 코일부를 형성하기 전에 상기 코일 소재의 일단부를 단자 설치용 리드부로 하여 상기 코일 소재의 표면으로부터 당해 표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곡하는 제1 포밍 유닛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코일 형성 장치.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코일 권선 가공 라인이,
    상기 소재 전송 유닛을 통해 송입되는 코일 소재를 그 타단부로부터 도입하는 동시에 당해 코일 소재의 일단부에 형성된 상기 제1 코일부의 통과를 허용하는 제2 선 이송기와,
    이 제2 선 이송기로부터 송출되는 상기 코일 소재의 타단부에 상기 제2 코일부를 권선 가공하는 상기 제2 권선 헤드와,
    상기 제2 권선 헤드를 장비한 상태로 상기 코일 소재의 이동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여 상기 제2 권선 헤드에 의한 권선 가공의 실행을 보조하는 헤드 이송 유닛과,
    이 헤드 이송 유닛의 상기 코일 소재의 이송 방향측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제2 권선 헤드에 의해 상기 제2 코일부를 형성하기 전에 상기 코일 소재의 타단부를 단자 설치용 리드부로 하여 상기 코일 소재의 표면으로부터 당해 표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곡하는 제2 포밍 유닛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코일 형성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코일 권선 가공 라인 상의 상기 소재 전송 유닛측에, 당해 코일 소재 전송 유닛으로부터 송입되는 코일 소재의 상기 일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1 코일부를 파지하는 동시에 상기 제2 권선 헤드에 의한 상기 제2 코일부의 권선 가공 동작에 추종하여 상기 제2 코일 권선 가공 라인 상을 이동하는 코일 반출 유닛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코일 형성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권선 헤드로부터 송출되는 상기 제1 코일부가 형성된 코일 소재를 상기 소재 전송 유닛을 향해 안내하는 코일 이송 가이드를 상기 제1 코일 권선 가공 라인의 상기 소재 전송 유닛측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코일 형성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 권선 가공 라인 상의 제1 선 이송기, 제1 권선 헤드, 커터 유닛 및 제1 포밍 유닛과, 상기 제2 코일 권선 가공 라인 상의 제2 선 이송기, 제2 권선 헤드, 헤드 이송 유닛 및 제2 포밍 유닛을 권선기 가대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코일 형성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코일의 제1 코일부와 제2 코일부의 상호 위치를 코일 사이의 장단에 따라서 오프셋 길이를 바꿈으로써 권선 종료시의 코일 어긋남을 보정하는 연산 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코일 형성 장치.
  10. 제1 코일부와 제2 코일부가 연결부를 통해 동일면 상에서 연결되고 또한 서로 병렬 상태로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연결 코일의 형성 방법이며,
    소재 공급 영역으로부터 평각선의 코일 소재를 제1 코일 권선 가공 라인으로 도입하고 당해 제1 코일 권선 가공 라인 상에서 그 일단부를 순차 각형 권취하여 각통 형상의 상기 제1 코일부를 형성하는 제1 공정과,
    이 제1 공정에서 형성된 제1 코일부를 일단부에 구비한 코일 소재의 당해 제1 코일부측을 소재 전송 유닛으로 송입하는 동시에, 상기 코일 소재의 길이를 그 타단부에 형성하는 제2 코일부용으로서 필요로 하는 길이로 절단하는 제2 공정과,
    상기 제2 코일부 형성 부위인 타단부가 특정된 코일 소재를, 상기 소재 전송 유닛을 기능시켜 제2 코일 권선 가공 라인 상으로 전송하는 제3 공정과,
    상기 소재 전송 유닛을 통해 전송되어 온 코일 소재를 상기 타단부로부터 제2 코일 권선 가공 라인으로 반입하는 동시에 당해 코일 소재의 상기 타단부에 각통 형상의 상기 제2 코일부를 형성하고 또한 당해 제2 코일부를 상기 제1 코일부와 동일면 상에서 인접한 상태로 배치하는 제4 공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코일 형성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정에서는, 상기 코일 소재의 일단부측 또한 단자를 설치하는 리드부와 상기 제1 코일부의 1변분을 포함하는 선단부를 90도 굽힘 가공하는 굽힘 가공 공정과,
    상기 선단부 중 굽힘 가공된 상기 리드부를 상기 코일 소재의 표면으로부터 당해 표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곡하는 제1 포밍 공정과,
    상기 절곡된 리드부를 갖는 상기 선단부에 이어지는 상기 코일 소재를 상기 제1 코일부의 1변분의 위치에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공정을, 상기 제1 코일부를 형성하기 전에 실시하고,
    상기 제4 공정에서는, 상기 코일 소재의 타단부측 또한 단자를 설치하는 리드부와 상기 제2 코일부의 1변분을 포함하는 선단부를 90도 굽힘 가공하는 굽힘 가공 공정과,
    상기 선단부 중 굽힘 가공된 상기 리드부를 상기 코일 소재의 표면으로부터 당해 표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곡하는 제2 포밍 공정과,
    상기 절곡된 리드부를 갖는 상기 선단부에 이어지는 상기 코일 소재를 상기 제2 코일부의 1변분의 위치에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공정을, 상기 제2 코일부를 형성하기 전에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코일 형성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코일의 제1 코일부와 제2 코일부의 상호 위치를 코일 사이의 장단에 따라서 오프셋 길이를 바꿈으로써 권선 종료시의 코일 어긋남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코일 형성 방법.
KR1020107016977A 2008-02-29 2009-02-25 연결 코일 형성 장치 및 연결 코일의 형성 방법 Active KR1012006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50591 2008-02-29
JPJP-P-2008-050591 2008-02-29
PCT/JP2009/053360 WO2009107633A1 (ja) 2008-02-29 2009-02-25 連結コイル形成装置および連結コイルの形成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7586A KR20100117586A (ko) 2010-11-03
KR101200673B1 true KR101200673B1 (ko) 2012-11-12

Family

ID=41016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6977A Active KR101200673B1 (ko) 2008-02-29 2009-02-25 연결 코일 형성 장치 및 연결 코일의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550125B2 (ko)
JP (1) JP5142339B2 (ko)
KR (1) KR101200673B1 (ko)
WO (1) WO20091076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11460A (zh) * 2007-02-05 2009-12-23 株式会社田村制作所 线圈及线圈的成形方法
US7538653B2 (en) * 2007-03-30 2009-05-26 Intel Corporation Grounding of magnetic cores
JP4960759B2 (ja) * 2007-05-01 2012-06-27 株式会社タムラ製作所 平角線の連結コイル巻線装置
JP5234422B2 (ja) * 2009-03-04 2013-07-10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リアクトル用コイル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リアクトル
JP5096605B2 (ja) * 2011-03-30 2012-12-12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外側コアの製造方法、外側コア、およびリアクトル
KR101215824B1 (ko) * 2011-05-19 2012-12-27 (주)창성 8자 형태의 적층 코일의 제조 방법
JP5942530B2 (ja) * 2012-03-28 2016-06-29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非接触充電システム及び電子機器
JP5995354B2 (ja) * 2012-06-13 2016-09-21 日特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エッジワイズコイルの巻線装置及びその巻線方法
DE112013004716T5 (de) * 2012-09-26 2015-06-1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Ankerwicklung für eine elektrische Maschine
US11878892B2 (en) 2015-09-22 2024-01-23 Infinity Physics, Llc Linear media handling system and devices produced using the same
IL258281B2 (en) 2015-09-22 2024-02-01 Glenn Auld Knierim Linear media management systems and devices produced by them
US10418172B2 (en) * 2016-12-07 2019-09-17 Astec International Limited Methods of forming coils for inductive components
KR101998827B1 (ko) * 2017-10-12 2019-10-01 김도영 변압기 코일 포밍시스템
CN113695494B (zh) * 2021-07-27 2024-11-19 宁波交通工程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封闭形状的多边形钢筋笼一体弯折机及钢筋笼折弯工艺
CN114210879B (zh) * 2021-10-25 2024-01-26 浙江新大塑料管件有限公司 一种pe热熔管件接线柱脚旋压设备
CN114937554B (zh) * 2022-07-22 2022-10-18 苏州进德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全自动T-core电感一体成型绕线机
DE102023128256A1 (de) * 2023-10-16 2025-04-17 Wafios Aktiengesellschaft Umformmaschine und Verfahren zur Spulenherstellung
CN117133543B (zh) * 2023-10-26 2024-01-16 顺特电气设备有限公司 一种饼式线圈自动绕线设备及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05803A (ja) 2006-05-11 2007-11-22 Tamura Seisakusho Co Ltd コイル及びコイルの成形方法
WO2007132558A1 (ja) * 2006-05-11 2007-11-22 Tamura Corporation コイル及びコイルの成形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98855B2 (ja) 1996-12-13 2003-04-21 東京精電株式会社 コイル部品の製造方法
JP2000195725A (ja) 1998-12-25 2000-07-14 Tdk Corp ラインフィルタコイル
JP2003124039A (ja) 2001-10-10 2003-04-25 Toyota Motor Corp リアクトル
JP3640207B2 (ja) 2001-10-25 2005-04-20 Tdk株式会社 平角コイル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3776349B2 (ja) 2001-12-19 2006-05-17 株式会社東郷製作所 コイル成形装置
JP3737461B2 (ja) 2002-07-22 2006-01-18 株式会社東郷製作所 コイル部品及びコイル部品の成形方法
JP2005057113A (ja) 2003-08-06 2005-03-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平角線連続コイ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コイル部品
JP4355547B2 (ja) 2003-09-19 2009-11-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平角導通線材を用いた角形コイル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4583798B2 (ja) * 2004-04-15 2010-11-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回転電機のコイル、回転電機およびコイルの製造方法
JP2006271121A (ja) * 2005-03-24 2006-10-05 Denso Corp 界磁コイルの製造方法及び界磁コイル
JP4059888B2 (ja) * 2005-03-31 2008-03-12 三映電子工業株式会社 矩形状コイルの製造方法及び矩形状コイルの製造装置
JP4474426B2 (ja) 2007-02-08 2010-06-02 株式会社タムラ製作所 コイルの成形方法及びその方法により製造されたコイ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05803A (ja) 2006-05-11 2007-11-22 Tamura Seisakusho Co Ltd コイル及びコイルの成形方法
WO2007132558A1 (ja) * 2006-05-11 2007-11-22 Tamura Corporation コイル及びコイルの成形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142339B2 (ja) 2013-02-13
US20100319802A1 (en) 2010-12-23
WO2009107633A1 (ja) 2009-09-03
US8550125B2 (en) 2013-10-08
JPWO2009107633A1 (ja) 2011-06-30
KR20100117586A (ko) 2010-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0673B1 (ko) 연결 코일 형성 장치 및 연결 코일의 형성 방법
JP3982480B2 (ja) マルチ圧着装置及び端子供給モジュール
CN110768490B (zh) 一种快速运输式绕线生产线
JP2009129961A (ja) 連結コイルの形成方法および連結コイル形成装置
CN104882269A (zh) 一种电感器自动绕线机
CN209328707U (zh) 一种直接与绕线机对接的电感线圈组装设备
JP2009262210A (ja) 長尺素材折曲げ装置および長尺素材折り曲げ方法
CN111029877B (zh) 一种罩极电机c片和i片的压接设备
CN215815588U (zh) 电子元件绕线切割一体机
JP2009261113A (ja) コイル搬出装置
JP4917577B2 (ja) 連結コイル形成装置および連結コイル形成制御方法
CN210443422U (zh) 自动化针脚绕线设备
CN212010721U (zh) 一种8头自动绕线机
CN116246882B (zh) 方形磁芯绕线机
CN114582623A (zh) 一种5g及新能源超高频元器件智能生产线
CN113178323B (zh) 电子元件绕线切割一体机
JP2005051916A (ja) コイル及び巻線方法及び巻線装置
JP2002025845A (ja) 巻線装置
CN210327330U (zh) 一种快速运输式绕线生产线
CN114131231A (zh) 适用于变压器焊接的磁芯焊接机构
JP6457804B2 (ja) 端子圧着治具セット補助装置および端子圧着システム
CN104801811B (zh) 引线焊接用组合工装和利用该工装的半自动焊接方法
CN214979164U (zh) 一种电感线圈焊接设备的上料裁切机构
CN110581017A (zh) 自动化针脚绕线设备
CN118650450B (zh) 一种水泵自动产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72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09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3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1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11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