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99907B1 - 자동차 시트용 와이어 서스펜션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자동차 시트용 와이어 서스펜션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9907B1
KR101199907B1 KR1020110006402A KR20110006402A KR101199907B1 KR 101199907 B1 KR101199907 B1 KR 101199907B1 KR 1020110006402 A KR1020110006402 A KR 1020110006402A KR 20110006402 A KR20110006402 A KR 20110006402A KR 101199907 B1 KR101199907 B1 KR 101199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tension
support
suspension assembly
back fra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6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5022A (ko
Inventor
조찬기
Original Assignee
(주)디에스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에스시 filed Critical (주)디에스시
Priority to KR1020110006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9907B1/ko
Publication of KR20120085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5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9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990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6Lumbar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자동차 시트 내부의 시트백 프레임에 설치되는 와이어 서스펜션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 프레임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고, 양단이 시트백 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와이어와, 상기 지지와이어의 상측 또는 하측에 이격하여 설치되고, 양단이 세로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지지와이어의 일측에 감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텐션와이어;를 포함하되, 서로 인접하는 상기 지지와이어와 상기 텐션와이어, 또는 상기 텐션와이어 간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클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클립은 플레이트 형태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하 양단에서 각각 내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부와, 절곡부의 끝단에 형성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용 와이어 서스펜션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자동차 시트용 와이어 서스펜션 어셈블리{WIRE SUSPENSION ASSEMBLY FOR CAR SEAT}
본 발명은 와이어 서스펜션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시트 내부의 시트백 프레임에 설치되어, 탑승자의 등 부위를 지지하는 자동차 시트용 와이어 서스펜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내부에는 탑승자가 앉을 수 있도록 시트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시트는 탑승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시트 쿠션과 등을 지지하는 시트백, 탑승자의 팔을 올려 놓을 수 있는 암레스트 및 머리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로 이루어진다.
그 중 본 발명과 관련이 있는 시트백을 자세히 살펴보면, 시트백의 내부에는 시트백의 뼈대가 되는 시트백 프레임이 설치되고, 시트백 프레임의 내부에는 탑승자의 등을 지지하는 와이어 서스펜션 어셈블리가 설치된다.
이러한 와이어 서스펜션 어셈블리는 시트백 프레임의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텐션와이어와, 텐션와이어의 양단에 각각 세로방향으로 배치되어 다수개의 텐션와이어를 고정시키는 한 쌍의 경계와이어로 이루어지는데, 다수개의 텐션와이어를 모두 경계와이어에 고정시켜야 함에 따라 공정이 복잡하여 제조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종래 세로방향으로 배치되는 경계와이어를 삭제하고,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텐션와이어 상호간을 서로 연결하여 고정함으로써 제조공정을 단순화시키는 한편, 제조비용과 제조시간의 절감 효과가 있는 자동차 시트용 와이어 서스펜션 어셈블리에 관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자동차 시트 내부의 시트백 프레임에 설치되는 자동차 시트용 와이어 서스펜션 어셈블리에 있어서, 시트백 프레임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고 양단이 시트백 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와이어, 및 지지와이어의 상측 또는 하측에 이격하여 설치되고 양단이 세로방향으로 절곡되어 지지와이어의 일측에 감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텐션와이어를 포함하는 자동차 시트용 와이어 서스펜션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이때, 서로 인접하는 지지와이어와 텐션와이어, 또는 텐션와이어 간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클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클립은, 플레이트 형태의 몸체와, 몸체의 상하 양단에서 각각 내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부와, 절곡부의 끝단에 형성되는 걸림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지지와이어의 직경은 텐션와이어와 동일하거나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와이어의 상하 양측에 배치되는 텐션와이어는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자동차 시트용 와이어 서스펜션 어셈블리는, 시트백 프레임에 가로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와이어를 설치하고, 지지와이어의 상측 또는 하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텐션와이어를 가로방향으로 설치하되, 텐션와이어의 양단을 세로방향으로 절곡시켜 지지와이어의 일측에 감아서 고정시킴으로써 제조 가능하며 이때, 서로 인접하는 지지와이어와 텐션와이어, 또는 텐션와이어 간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클립으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용 와이어 서스펜션 어셈블리에 의하면, 종래 시트백 프레임의 세로방향으로 설치되어 텐션와이어를 고정하는 경계와이어가 삭제됨에 따라 제조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고, 텐션와이어의 양단이 세로방향으로 절곡되어 인접하는 지지와이어 또는 텐션와이어의 일측에 감겨서 고정됨에 따라, 자동차 주행시 발생되는 충격을 텐션와이어가 시트백의 전후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면서 흡수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용 와이어 서스펜션 어셈블리의 전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클립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용 와이어 서스펜션 어셈블리의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용 와이어 서스펜션 어셈블리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용 와이어 서스펜션 어셈블리의 전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클립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용 와이어 서스펜션 어셈블리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용 와이어 서스펜션 어셈블리(10)는 자동차 시트(미도시) 내부의 시트백 프레임(1)에 설치되는데, 시트백 프레임(1)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고 양단이 시트백 프레임(1)의 양측에 각각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와이어(20)와, 지지와이어(20)의 상측 또는 하측에 이격하여 설치되고 양단이 세로방향으로 절곡되어 지지와이어(20)의 일측에 감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텐션와이어(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탑승자의 등 부위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지지와이어(20)는, 시트백 프레임(1)을 가로질러 시트백 프레임(1)의 가로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설치되는데, 시트백 프레임(1)의 세로방향으로 소정 간격 서로 이격하여 다수개가 배치되며, 지지와이어(20)의 양단에는 고리 모양의 후크부(22)가 형성되어 시트백 프레임(1)의 양측에 구비되는 걸림부(미도시)에 걸려서 고정된다.
또한, 지지와이어(20)의 상측 또는 하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텐션와이어(30)가 시트백 프레임(1)을 가로질러 시트백 프레임(1)의 가로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설치되는데, 시트백 프레임(1)의 세로방향으로 소정 간격 서로 이격하여 다수개가 배치된다.
도 1에는 최상단에 지지와이어(20)가 배치되고 그 하단에 2개의 텐션와이어(30)가 배치되며, 2개의 텐션와이어(30) 하단에 다시 지지와이어(20)가 배치되고, 이 지지와이어(20)의 하단에 다시 텐션와이어(30)가 배치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러한 지지와이어(20)와 텐션와이어(30)의 개수 및 배치형태는 충격흡수성능과 제조비용 및 시간을 고려하여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와이어(20)의 상하 양측에 인접하여 각각 배치되는 텐션와이어(30)는 상측과 하측에 각각 하나씩의 텐션와이어(30)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하나의 텐션와이어(30)가 지지와이어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텐션와이어(30)의 양단은 세로방향으로 절곡되어 인접하는 지지와이어(20) 또는 다른 텐션와이어(30)의 일측에 감겨서 고정되는데, 따라서 종래와 같이 텐션와이어(30)의 양단을 고정하는 경계와이어를 따로 제작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감겨서 고정된 부위를 중심으로, 지지와이어(20)에 대하여 텐션와이어(30)가 시트백 프레임(1)의 전후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 가능함에 따라, 자동차 주행중 발생되어 시트에 전달되는 충격을 충분히 흡수하여 탑승자에게 안락한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지지와이어(20)는 시트백 프레임(1)에 고정되어 탑승자의 등 부위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전체적으로 지지하여야 하므로, 강성을 고려하여 지지와이어(20)의 직경은 텐션와이어(30)의 직경보다 더 굵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와이어(20)와 텐션와이어(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꼴 형태의 굴곡부(21,31)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굴곡부(21,31)의 신축에 의해 지지와이어(20)와 텐션와이어(30)는 각각 길이방향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하중에 의해 텐션와이어(30)와 지지와이어(20)의 배치형태가 어긋나게 되거나 영구변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텐션와이어(30) 상호간 또는 텐션와이어(30)와 지지와이어(20)를 서로 연결하여 와이어 서스펜션 어셈블리(10)의 전체적인 강성을 보강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 연결클립(40)이 적용된다.
즉, 인접하는 텐션와이어(30) 상호간, 또는 텐션와이어(30)와 지지와이어(20)를 연결클립(40)으로 세로방향으로 연결하게 되는데, 이때 연결클립(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서 폭보다 길이가 긴 플레이트 형태의 몸체(41)와, 몸체(41)의 상하 양단에서 각각 내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부(42)와, 절곡부(42)의 끝단에 형성되는 걸림턱(4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연결클립(40)의 걸림턱(43)에 텐션와이어(30) 또는 지지와이어(20)의 외주면이 걸려서 연결클립(40)의 상하 양측으로 각각 탄성 바이어스된다.
또한, 연결클립(40)의 폭과 길이 등 규격은, 연결하고자 하는 텐션와이어(30) 상호간, 또는 텐션와이어(30)와 지지와이어(20) 사이의 간격과, 가해지는 하중을 고려하여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이때, 세로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다수의 지지와이어(20)와 텐션와이어(30)는 그 중간부가 사출성형에 의한 합성수지 재질의 연결튜브(50)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따라서 연결클립(40)은 세로방향으로 절곡되는 텐션와이어(30)의 양 측부에 각각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용 와이어 서스펜션 어셈블리(10)의 하단에는 고정와이어(60)가 배치되며, 이 고정와이어(60)는 연결클립(40)에 의해 지지와이어(20) 또는 텐션와이어(30)와 연결된다.
여기서 고정와이어(60)는, 중간부가 사다리꼴 형태로 후방으로 절곡되어, 고정클립(2)에 의해 시트백 프레임(1)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하단고정부(61)와, 상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양측이 하단고정부(61)의 양측과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묶음클립(3)으로 결합되고 양단이 시트백 프레임(1)의 양측에 고정되는 'U'자 형태의 양단고정부(62)와, 양단고정부(62)의 양측을 가로질러 배치되고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굴곡부(63a)가 형성되며 양단이 양단고정부(62)의 양측에 묶음클립(3)으로 결합되는 텐션부(6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양단고정부(62)의 양쪽 끝단부는 외측으로 연장된 후 다시 아래 방향으로 절곡되어 'ㄱ'자 형태의 결합부(62a)를 각각 형성하고, 이 결합부(62a)는 시트백 프레임(1)의 양측에 마련되는 고리 형태의 브래킷(미도시)에 걸려서 고정되며, 마모와 소음방지를 위해 고무나 합성수지 재질의 커버가 결합부(62a)에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양단고정부(62)는 제작의 편의를 위해 좌?우측 각각 하나씩 2개의 피스(piece)가 제작된 후 묶음클립(3)에 의해 한쪽 끝단이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양단고정부(62)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렇게 서로 결합되는 부위는 상측으로 절곡되어 사다리꼴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용 와이어 서스펜션 어셈블리(10)의 조립 및 작동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고리 모양의 후크부(22)가 양단에 각각 형성되는 지지와이어(20)를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평행하게 다수개 배치하고, 지지와이어(20) 사이에 다수개의 텐션와이어(30)를 배치하는데, 텐션와이어(30)의 양단을 인접하는 지지와이어(20) 방향으로 절곡시켜 지지와이어(20)의 양측에 각각 감아서 고정한다.
이때, 지지와이어(20)와 텐션와이어(30)는 길이방향으로 사다리꼴 형태의 굴곡부(21,31)가 다수 형성되며, 지지와이어(20)와 텐션와이어(30)의 길이방향 중간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연결튜브(50)가 사출성형되어, 지지와이어(20)와 텐션와이어(30), 또는 텐션와이어(30) 간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지지와이어(20)와 텐션와이어(30)의 길이방향 양 측부에는 연결클립(40)을 결합하여, 상하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지지와이어(20)와 텐션와이어(30), 또는 텐션와이어(30) 간을 연결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용 와이어 서스펜션 어셈블리(10)의 하단에는 고정클립(2)에 의해 시트백 프레임(1)에 고정되는 고정와이어(60)가 이격하여 설치되며, 연결클립(40)에 의해 지지와이어(20) 또는 텐션와이어(30)에 연결된다.
설치시에는 고정와이어(60)의 양단이 시트백 프레임(1)의 양측에 구비되는 브래킷에 걸려서 고정되고, 고정와이어(60)의 하단이 고정클립(2)에 의해 시트백 프레임(1)의 하단부에 고정되며, 지지와이어(20)의 양단에 구비되는 후크부(22)가 시트백 프레임(1)의 양측에 구비되는 걸림부에 결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용 와이어 서스펜션 어셈블리(10)에 의하면, 텐션와이어(30)들을 고정하기 위해 종래와 같이 별도의 경계와이어를 준비해야 할 필요가 없고, 텐션와이어(30)는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굴곡부(31)의 신축에 의해 탄성변형할 뿐만 아니라, 양단이 지지와이어(20)에 감겨 있으므로 지지와이어(20)에 대하여 시트백 프레임(1)의 전후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동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1 : 시트백 프레임 2 : 고정클립
3 : 묶음클립
10 : 자동차 시트용 와이어 서스펜션 어셈블리
20 : 지지와이어 21 : 굴곡부
22 : 후크부
30 : 텐션와이어 31 : 굴곡부
40 : 연결클립 41 : 몸체
42 : 절곡부 43 : 걸림턱
50 : 연결튜브
60 : 고정와이어 61 : 하단고정부
62 : 양단고정부 62a : 결합부
63 : 텐션부 63a : 굴곡부

Claims (7)

  1. 자동차 시트 내부의 시트백 프레임에 설치되는 와이어 서스펜션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 프레임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고, 양단이 시트백 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와이어; 및
    상기 지지와이어의 상측 또는 하측에 이격하여 설치되고, 양단이 세로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지지와이어의 일측에 감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텐션와이어;를 포함하되,
    서로 인접하는 상기 지지와이어와 상기 텐션와이어, 또는 상기 텐션와이어 간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클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클립은,
    플레이트 형태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하 양단에서 각각 내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부와, 절곡부의 끝단에 형성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용 와이어 서스펜션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와이어의 직경은 상기 텐션와이어와 동일하거나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용 와이어 서스펜션 어셈블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와이어의 상하 양측에 배치되는 상기 텐션와이어는 일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용 와이어 서스펜션 어셈블리.
  6. 삭제
  7. 삭제
KR1020110006402A 2011-01-21 2011-01-21 자동차 시트용 와이어 서스펜션 어셈블리 Active KR101199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6402A KR101199907B1 (ko) 2011-01-21 2011-01-21 자동차 시트용 와이어 서스펜션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6402A KR101199907B1 (ko) 2011-01-21 2011-01-21 자동차 시트용 와이어 서스펜션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5022A KR20120085022A (ko) 2012-07-31
KR101199907B1 true KR101199907B1 (ko) 2012-11-09

Family

ID=46715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6402A Active KR101199907B1 (ko) 2011-01-21 2011-01-21 자동차 시트용 와이어 서스펜션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99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6390B1 (ko) 2020-08-26 2021-02-17 주식회사 라온테크 차량시트 내장와이어 벤딩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0271A (ja) 1999-06-24 2001-01-09 Delta Kogyo Co Ltd シートの背中支持構造
JP2004024474A (ja) 2002-06-25 2004-01-29 Shiroki Corp ランバーサポート装置
JP2006026315A (ja) 2004-07-21 2006-02-02 Johnson Controls Technol Co 自動車用ランバーサポート
US20090026811A1 (en) * 2005-01-19 2009-01-29 L&P Swiss Holding Company Support Structure for a Seat with a Table Function and Corresponding Seat Suspension Arrange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0271A (ja) 1999-06-24 2001-01-09 Delta Kogyo Co Ltd シートの背中支持構造
JP2004024474A (ja) 2002-06-25 2004-01-29 Shiroki Corp ランバーサポート装置
JP2006026315A (ja) 2004-07-21 2006-02-02 Johnson Controls Technol Co 自動車用ランバーサポート
US20090026811A1 (en) * 2005-01-19 2009-01-29 L&P Swiss Holding Company Support Structure for a Seat with a Table Function and Corresponding Seat Suspension Arrange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6390B1 (ko) 2020-08-26 2021-02-17 주식회사 라온테크 차량시트 내장와이어 벤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5022A (ko) 2012-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10871B2 (en) Vehicle seat
WO2012086803A1 (ja) 乗物用シート
CN105015387B (zh) 交通工具用座椅
US8714641B2 (en) Vehicle seat
JP6619012B2 (ja) 背もたれ、及びそれを含んだ座席
JP7112005B2 (ja) シート
US20160200232A1 (en) Vehicle seat
US20150042134A1 (en) Vehicle seat
CN103097186B (zh) 车用座椅
CN104507745A (zh) 交通工具用座椅
JP2012136063A (ja) 乗物用シート
JP2013517182A (ja) 車両座席、特には、自動車座席
JP6123508B2 (ja) 支持体
KR101199907B1 (ko) 자동차 시트용 와이어 서스펜션 어셈블리
JP7594210B2 (ja) 乗物用シート
CN209467023U (zh) 一种汽车座椅靠背固定结构
JP2024009351A (ja) 乗物用シート及び製造方法
KR101199908B1 (ko) 자동차 시트용 와이어 서스펜션
JP5989856B2 (ja) 乗物用シート
KR20120095047A (ko) 차량용 시트백 서스펜션 어셈블리와 그 제조방법
JP5932007B2 (ja) 乗物用シート
JP6086302B2 (ja) 不等分割式の車両用シート構造
KR20120095048A (ko) 자동차 시트용 서스펜션 어셈블리와 그 제조방법
CN202098317U (zh) 车辆座椅用钢丝悬挂组件
JP5753614B2 (ja) 乗物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1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8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1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11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0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0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0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