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8942B1 - Plate product using natural stone for floor and wall finishing - Google Patents
Plate product using natural stone for floor and wall finish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98942B1 KR101198942B1 KR20100069837A KR20100069837A KR101198942B1 KR 101198942 B1 KR101198942 B1 KR 101198942B1 KR 20100069837 A KR20100069837 A KR 20100069837A KR 20100069837 A KR20100069837 A KR 20100069837A KR 101198942 B1 KR101198942 B1 KR 10119894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base plate
- natural stone
- finishing
- cros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formed of corrugated or otherwise indented sheet-like material; composed of such layers with or without layers of flat sheet-like material
- E04C2/32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formed of corrugated or otherwise indented sheet-like material; composed of such layers with or without layers of flat sheet-like material with parallel corrug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1—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with edges in abutting relationship
- E04F2201/0107—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with edges in abutting relationship by moving the sheets, plates or panels substantially in their own plane, perpendicular to the abutting 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감용 판재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 크기와 두께로 형성되는 천연석 표면판과, 천연석 표면판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천연석 표면판에 부착 고정되는 보강판과, 천연석 표면판보다 크게 형성되어 보강판에 부착 고정되는 바탕판을 포함하는 마감용 판재에 있어서, 상기 바탕판은 상면 측으로 개구된 단면홈과 하면 측으로 개구된 단면홈이 교호 반복적으로 연속 형성된 허니콤 구조가 상하 대칭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바탕판 및 마감용 판재의 강도가 향상되고, 무게가 가벼워질 뿐만 아니라 바탕판의 상,하부의 구조가 안정적인 균형을 이뤄 바탕판의 변형이 방지되며, 이로 인해 바탕판의 접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te for finishing, comprising a natural stone surface plate formed of a predetermined size and thickness, a reinforcement plat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natural stone surface plate and fixed to the natural stone surface plate, and formed larger than the natural stone surface plate reinforcement plate In the finishing plate comprising a base plate that is fixed to the fixed plate, the base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oneycomb structure is formed in a vertically symmetrical structur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grooves opened to the upper surface side and the cross-sectional grooves opened to the lower surface side alternately continuously formed. Thus, the strength of the base plate and the finishing plate is improved, the weight is not only light, but also the structure of the top and bottom of the base plate achieves a stable balance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base plate, thereby improving the bonding strength of the base plate It becomes possible.
Description
본 발명은 마감용 판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리석이나 화강석 등과 같은 천연석 판재나 도기나 자기계통의 세라믹 판재를 바닥 및 벽에 마감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마감용 판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te for finish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plate for finishing to enable the use of natural stone plate, such as marble or granite, or ceramic plate of ceramic or magnetic system for finishing on the floor and wall.
오늘날 대리석이나 화강석 등과 같은 천연석 재료는 건축자재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천연석은 획일적이지 않은 자연미를 제공할 수 있는 자연친화적인 소재라는 장점 때문에, 건물을 고급스럽게 꾸미기 위하여 가시적인 부분 즉 건물의 외벽이나 내벽 및 바닥 등을 최종적으로 마감하기 위한 마감재로 흔히 사용되고 있다.Today, natural stone materials such as marble and granite are used in a variety of construction materials. In particular, natural stone is often used as a finishing material for finishing the visible part, that is, the exterior wall, inner wall and floor of the building, in order to decorate the building luxuriously because of the advantage of being a natural material that can provide non-uniform natural beauty. .
이러한 천연석은 일반적으로 판재형태로 가공된 상태에서 시공되는데, 압축강도, 충격강도 및 인장 강도 약하여, 그중에서도 판재형태인 경우 소재상 취성으로 인해 충격에 매우 약한 특성이 있어, 시공상의 파손위험이나 사용중의 파손위험 등을 감안하여, 종류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적어도 10mm 내지 30mm 정도의 두께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Such natural stone is generally constructed in the form of a plate, which is weak in compressive strength, impact strength, and tensile strength, and in the case of a plate, in particular, it is very weak to impact due to brittleness in the material, which is a risk of damage in construction or in use. In consideration of the risk of breakage, but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it is generally used in a thickness of at least 10mm to 30mm.
그러나, 10mm 내지 30mm 정도의 두께가 비록 얇다고 할 수 있으나, 천연석의 밀도는 매우 높으며, 따라서 상당한 중량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은 상당한 중량은 건물에 구조적인 부담을 줄 수 있으며, 따라서 천연석을 사용한 마감이 예정된 경우 설계단계에서부터 하중을 별도로 고려하여 구조설계에 반영하여야 함과 더불어, 기초공사비의 증가를 야기한다.However, although the thickness of about 10 mm to 30 mm can be said to be thin, the density of the natural stone is very high, and thus has a considerable weight. Such a considerable weight may put a structural burden on the building, and therefore, when a finish using natural stone is schedule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load separately from the design stage and to increase the cost of foundation work.
또한, 시공이나 운반을 위한 취급이 조심스러울 수밖에 없으며, 시공과정에서 수직과 수평을 질서정연하게 정렬시키는데 세심한 주의를 필요로 한 등 시공이 까다로움에 따라, 시공비 부담 또한 상당할 수밖에 없다.In addition, the handling for construction or transportation must be careful, and as construction is difficult, requiring careful attention to orderly alignment of the vertical and horizontal in the construction process, the construction cost burden is also considerable.
이와 같은 비용부담으로 인해, 천연석 재료는 일반적인 주택건설에는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못하고, 건축비의 여유가 있는 고급건축에 주로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Due to such a cost burden, natural stone material is not generally used in the construction of a general house, and is mainly applied to high-end constructions with a construction cost.
한편, 본 출원인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특허 공개공보 10-2009-012116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마감용 판재를 개발하였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applicant has developed a finishing plate as disclosed in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121166 in view of this point.
이러한 종래의 마감용 판재를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Such a conventional finishing plat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용 판재는, 소정의 길이와 폭으로 재단되는 소정 두께의 천연석 표면판(10)과, 이 천연석 표면판에 대응하는 길이와 폭으로 재단되어 천연석 표면판(10)의 하면에 부착되는 보강판(20), 및 천연석 표면판(10) 보다 소정 치수만큼 큰 길이와 폭을 갖도록 재단되어 보강판(20) 하면에 부착되는 바탕판(3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finishing plate is cut to a natural
이와 같은 천연석 표면판(10)과 보강판(20) 및 바탕판(30)은 접촉부위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하는 방식으로 일체화된다. 구체적으로, 핫멜트 계열의 접착제, 그 중에서도 습기경화형 우레탄 핫멜트 접착제를 핫멜트 도포기를 사용하여 대략 100 내지 150g 정도로 도포하거나, 초산비닐과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포함하는 냉압용 접착제를 사용하여 대략 100 내지 150g 정도로 도포한 다음, 롤프레스기(roll press machine) 또는 유압 냉압 프레스를 이용하여 대략 3~5㎏/㎠ 정도의 압력으로 30 내지 60분간 압착하고, 48시간 정도 상온 방치하여 접착제를 완전 경화시키는 바와 같은 일체화 과정을 거치게 된다.The natural
이러한 천연석 표면판(10)은 대리석이나 화강석 등과 같은 천연석 판재로 만들어지는 것으로서, 대략 3 내지 5㎜ 정도의 두께를 갖도록 가공되며, 길이와 폭은 다양한 치수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면의 모서리는 모따기 가공되는 것이 운반이나 시공을 위한 취급 중에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람직하다 하겠다.The natural
보강판(20)은 천연석 표면판(10)의 충격강도, 압축강도, 및 인장강도를 강화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것으로서, PE 등과 같은 플라스틱 판재를 사이에 두고 두 장의 알루미늄 판재가 상하에 부착된 알루미늄 복합판재 또는 유리섬유 판재, 섬유강화시멘트 보드(CRC 보드), 마그네슘 보드, 우레탄 폼 판재 등의 단일 판재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판재로 구성되되, 도 1에서는 단일판재를 예시하였다. 특히, 알루미늄 복합판재의 경우에는 플라스틱 판재와 알루미늄 판재 또한 접촉부위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하는 방식을 통해 일체화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와 같은 보강판(20)을 구비함에 따라, 천연석 표면판(10)의 충격강도, 압축강도 및 인장강도가 획기적으로 개선됨과 더불어, 완성된 천연석을 사용한 바닥 및 벽 마감용 판재가 충분한 내구성을 갖게 된다.The
그리고, 바탕판(30)은 합판, 고밀도섬유판, 삭편판 및 합성목재 등과 같은 목재류의 판재 또는 사출성형된 열가소성의 ABS 수지 또는 압축 성형된 열경화성의 멜라민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바탕판(30)은 길이방향 일측면과 폭방향 일단면에 각각 독립적인 형태의 측수용부(31) 및 끝수용부(33)가 형성되고, 반대편에는 이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측돌출부(32) 및 끝돌출부(34)가 돌출 형성된다. 특히, 측수용부(31) 및 끝수용부(33)는 상벽, 측벽, 하벽으로 둘러싸인 형태의 홈으로 형성되나, 상벽과 하벽은 각각 상벽과 하벽이 제거된 소정 단위치수의 상벽제거구간(37)과 하벽제거구간(38)이 교호 반복적으로 연속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가장자리의 소정부분을 제외한 바탕판(30)에는 상면측으로 개구되는 다수의 사각단면홈(미도시) 또는 육각단면홈(35)(이하 "육각단면홈" 으로 통칭하여 설명한다)으로 구성된 허니콤 구조가 형성된다. 이는 여러 이질 재료가 일체화된 구조의 마감용 판재가 평탄하게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작업이 더욱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육각단면홈(35)에는 그 중앙부를 관통하는 통기공(36)이 형성되는 바, 이 통기공(36)은 소정의 배열규칙에 따라 배열될 수 있는 것으로서, 모든 육각단면홈(35)에 각각 하나씩 구비될 수도 있으나, 어느 정도 간격을 갖는 배열형태를 갖도록 적절한 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통기공(36)은, 바탕판(30)과 보강판(20) 간의 접착에 사용되는 습기경화형 우레탄 핫멜트 접착제의 완전경화를 촉진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기공(36)을 통해 공기 중의 수증기가 바탕판(30)과 보강판(20) 사이의 습기경화형 우레탄 핫멜트 접착제에 제공될 수 있도록 하여 습기경화형 우레탄 핫멜트 접착제의 완전경화를 통한 접착력 향상을 가능하게 한다.
And, the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바탕판(30)은 그 상면이 개구된 육각단면홈(35)으로 구성된 허니콤 구조에 의해 이질 재료를 일체화할 수는 있으나, 이러한 허니콤 구조가 상면에만 형성되어 바탕판(30)의 상,하면이 비대칭 구조를 이룸으로써 구조적으로 하면에 비해 여백이 많은 상면이 취약하므로 제조된 바탕판(30)의 양단부가 경화되면서 상방향으로 휘어져 변형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그리고, 종래의 바탕판(30)이 열가소성의 ABS 수지로 성형되는 경우, 열가소성 재질의 바탕판(30)은 마감용 판재의 설치 특성상 실내 난방을 위한 배관의 열이 바탕판에 직접적으로 작용하게 됨으로써 바탕판(30)이 손쉽게 연화되어 변형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또, 종래의 바탕판(30)이 열경화성의 멜라민 수지로 성형되는 경우, 멜라민 수지를 구성하는 레진의 특성상 원가상으로 많은 부담을 주며 재사용이 불가하여 환경적으로 문제가 될 소지가 있었다.
In addition, when the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대리석이나 화강석 등과 같은 천연석 판재나 세라믹 판재를 바닥 및 벽에 마감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바탕판을 상하 대칭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바탕판 및 마감용 판재의 무게를 경량화하고, 상하 대칭 구조에 의한 안정적인 균형으로 인해 바탕판의 변형이 방지되며, 바탕판의 강도 및 접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마감용 판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base plate to enable the use of natural stone plate or ceramic plate such as marble or granite for finishing on the floor and walls in a vertically symmetrical structure By forming the weight of the base plate and the finishing plate light weight, the stable balance by the vertically symmetrical structure prevents deformation of the base plate, and provides a finishing plate that can improve the strength and bonding strength of the base plate. There is a purpose.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바탕판을 유리섬유를 포함하고 있는 열경화성의 BMC 또는 SMC 재질로 성형함으로써 BMC나 SMC를 구성하는 레진의 원가가 기존의 멜라민 수지에 비해 높지 않으며 유리섬유 등의 첨가물로 인해 전체적인 원가를 낮출 수 있고, 열에 대한 소재의 물성을 안정화시킬 수 있으며, 친환경적인 마감용 판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molding the base plate with a thermosetting BMC or SMC material containing glass fibers, the cost of the resin constituting the BMC or SMC is not higher than the conventional melamine resin, additives such as glass fibers This can lower the overall cost, stabilize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against heat, and provide an environmentally friendly finishing plate.
상술한 목적은, 일정 크기와 두께로 형성되는 천연석 표면판과, 천연석 표면판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천연석 표면판에 부착 고정되는 보강판과, 보강판에 부착 고정되는 바탕판을 포함하는 마감용 판재에 있어서, 상기 바탕판은 상면 측으로 개구된 단면홈과 하면 측으로 개구된 단면홈이 교호 반복적으로 연속 형성된 허니콤 구조가 상하 대칭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용 판재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is a finishing plate material comprising a natural stone surface plate formed in a predetermined size and thickness, a reinforcing plat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natural stone surface plate and fixed to the natural stone surface plate, and a base plate attached and fixed to the reinforcement plate In the above, the base plate is achieved by the finishing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honeycomb structure is formed in a vertically symmetrical structur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grooves open to the upper surface side and the cross-sectional grooves opened to the lower surface side alternately and continuously formed.
또, 상술한 목적은, 일정 크기와 두께로 형성되는 세라믹 판재와, 세라믹 판재에 부착 고정되는 바탕판을 포함하는 마감용 판재에 있어서, 상기 바탕판은 상면 측으로 개구된 단면홈과 하면 측으로 개구된 단면홈이 교호 반복적으로 연속 형성된 허니콤 구조가 상하 대칭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용 판재에 의해서도 달성된다.In addition, the above object is a finishing plate comprising a ceramic plate formed of a predetermined size and thickness, and a base plate attached to and fixed to the ceramic plate, wherein the base plate is opened to the lower surface side and the cross-sectional groove opening to the upper surface side A honeycomb structure in which cross-sectional grooves are formed repeatedly alternately is also achieved by a finishing plate material characterized by being formed in a vertically symmetrical structure.
그리고, 상기 바탕판의 단면홈에는 각각의 통기공이 천공 형성되되, 상기 바탕판의 하면 측으로 개구된 단면홈의 상면에는 소구경의 통기공이 천공되고, 상기 바탕판의 상면 측으로 개구된 단면홈의 하면에는 대구경의 통기공이 천공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바탕판은 열경화성 수지 중 유리섬유를 포함하고 있는 BMC 또는 SMC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each of the ventilation holes are formed in the cross-sectional grooves of the base plate, and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cross-sectional grooves open to the lower surface side of the base plate, holes of small diameters are drilled, and the cross-sectional grooves open to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base plate. The lower surface is preferably a perforated aperture of large diameter, the base plate is preferably formed of a BMC or SMC material containing glass fibers of the thermosetting resin.
본 발명의 마감용 판재에 따르면, 바탕판의 상,하면에 각각 상면 측으로 개구된 단면홈과 하면 측으로 개구된 단면홈을 교호 반복적으로 연속 형성하여 바탕판이 상하 대칭 구조를 갖게 됨으로써 바탕판 및 마감용 판재의 강도가 향상되고, 무게가 가벼워질 뿐만 아니라 바탕판의 상,하부의 구조가 안정적인 균형을 이뤄 바탕판의 변형이 방지되며, 이로 인해 바탕판의 접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finish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plate has a vertically symmetrical structure by repeatedly forming a cross-sectional groove open to the upper surface side and a cross-sectional groove opened to the lower surface side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ase plate, respectively, so that the base plate has a vertically symmetrical structure The strength of the plate is improved, the weight is not only light, but also the structure of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base plate to achieve a stable balance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base plate, thereby improving the bonding strength of the base plat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바탕판이 유리섬유를 포함하고 있는 BMC나 SMC 등과 같은 열경화성 재질로 성형됨으로써 기존의 멜라민 수지에 비해 원가적인 부담이 적으며, 잦은 열과의 접촉 시 바탕판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ase plate is molded from a thermosetting material such as BMC or SMC containing glass fibers, the cost burden is less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melamine resin, and the deformation of the base plate during frequent contact with heat is minimized. It can be effective.
도 1은 종래의 마감용 판재를 도시한 폭방향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 마감용 판재의 바탕판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감용 판재의 바탕판을 도시한 평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감용 판재의 바탕판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탕판을 도시한 폭방향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탕판에 세라믹 판재가 설치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in a width direction of a conventional plate for finishing.
Figure 2 is a bottom view showing a base plate of the conventional plate finishing.
Figure 3 is a plan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se plate of the plate for finis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se plate of the plate for finis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width direction showing the base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ceramic plate is installed on the base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종래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First, 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parts as in the prior art, and redundant explanations are omitted.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마감용 판재의 바탕판을 도시한 도면이다.3 to 5 is a view showing a base plate of the plate for finishing according to the invention.
본 발명의 마감용 판재는, 일정 크기와 두께로 형성되는 천연석 표면판(10)과, 천연석 표면판(10)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천연석 표면판(10)에 부착 고정되는 보강판(20)과, 천연석 표면판(10)보다 크게 형성되어 보강판(20)에 부착 고정되는 바탕판(100)을 포함하고, 서로 인접한 바탕판(100) 일측의 외측면에는 측수용부(31)와 끝수용부(33)가 형성되며, 이에 대응한 바탕판(100) 타측의 외측면에는 측돌출부(32)와 끝돌출부(34)가 형성되어 상호 결합된다.Finishing plate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atural
여기서, 상기 측수용부(31)와 끝수용부(33)는 종래와는 달리 상벽과 하벽이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하였으나, 측수용부(31)와 끝수용부(33)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Here, the
특히, 상기 바탕판(1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면과 하면에 각각 상면 측으로 개구된 사각형상의 단면홈(110)(이하 "상면 사각단면홈" 이라 한다)과, 하면 측으로 개구된 사각형상의 단면홈(120)(이하 "하면 사각단면홈" 이라 한다)이 도 5에서와 같이 교호 반복적으로 연속한 허니콤 구조가 상하 대칭 구조로 형성된다.In particular, the
즉, 바탕판(100)의 상면에 상면 측으로 개구된 하나의 사각단면홈(110) 주위의 하면에는 하면 측으로 개구된 하면 사각단면홈(120)이 상면 사각단면홈(110)을 포위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반대로, 하나의 하면 사각단면홈(120) 주위의 상면에는 상면 측으로 개구된 상면 사각단면홈(110)이 하면 사각단면홈(120)을 포위하는 형태로 형성된다.That is,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around the one
따라서, 허니콤 구조를 이루는 사각단면홈(110)(120)이 바탕판(100)의 상,하면에 각각 교호 반복적으로 연속하여 형성된 상하 대칭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바탕판(100)의 상,하부가 구조적으로 균형을 이뤄 안정화되므로 휨 등과 같은 변형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바탕판(100)의 강도가 향상되는 한편 무게를 줄일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또한, 허니콤 구조를 이루는 상,하면 사각단면홈(110)(120)은 열팽창률이 상이한 바탕판(100)과 보강판(20) 간의 접촉면적을 최소화시켜 열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열팽창률의 차이에 따른 바탕판(100)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upper and lower rectangular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바탕판(100)의 상,하면에 형성된 단면홈(110)(120)을 사각형상을 그 일례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육각형상이나 기타 얼마든지 다른 형상으로도 형성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그리고, 상기 바탕판(100)의 각 상,하면의 사각단면홈(110)(120)에는 그 중앙부를 관통하는 통기공(130)(140)이 각각 형성되는 바, 이 통기공(130)(140)은 소정의 배열규칙에 따라 배열될 수 있는 것으로서, 어느 정도 간격을 갖는 배열형태를 갖도록 적절한 수로 구비될 수도 있으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통기공(130)(140)이 모든 사각단면홈(110)(120)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는 것이 바탕판(100)의 무게 절감 측면에서 보다 유리하다.In addition, each of the upper and lower rectangular
한편, 보강판(20)과 접착되는 면을 갖는 하면 사각단면홈(120)의 내측 상면에는 소구경의 통기공(140)이 천공되고, 보강판(20)과 접착되지 않는 상면 사각단면홈(110)의 내측 하면에는 대구경의 통기공(130)이 천공된다.On the other hand,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rectangular
여기서, 하면 사각단면홈(120)에 천공된 소구경의 통기공(140)은 바탕판(30)과 보강판(20) 간의 접착에 사용되는 습기경화형 우레탄 핫멜트 접착제의 흘러 내림을 최소화하면서 접착제의 완전경화를 촉진하기 위한 것으로, 통기공(140)을 통해 공기 중의 수증기가 바탕판(30)과 보강판(20) 사이의 습기경화형 우레탄 핫멜트 접착제에 제공될 수 있도록 하여 습기경화형 우레탄 핫멜트 접착제의 완전경화를 통한 접착력 향상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상면 사각단면홈(110)에 천공된 대구경의 통기공(130)은 바탕판(100)의 변형이나 강도 저하에 영향을 주지 않는 구조적인 설계 범위 내에서 바탕판(100)의 무게를 최대한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러한 대구경의 통기공(130)을 공기 중의 수증기가 바탕판(100)과 보강판(20) 사이의 습기경화형 우레탄 핫멜트 접착제로 더 많이 제공될 수 있게 된다.Here, the small-
한편, 상기와 같이 형성된 바탕판(100)은 열경화성 재질 즉 BMC나 SMC와 같은 섬유 강화 열경화성 콤파운드를 압축 성형하여 형성함으로서, 바탕판(100)에 소정의 강성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이와 같은 바탕판(100)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열경화성 수지는 통상의 열압착기(Hot Press)로 성형할 수 있으며, 바탕판(100)과 보강판(20) 사이의 습기경화형 우레탄 핫멜트 접착제는 통기공(130)(140)을 통한 공기 중의 수증기가 공급되어 우레탄 반응을 생성시키고, 통상의 냉압기(Cold Press)로 상온에서 가압하여 접착시키는 공정이 선택될 수 있다.The thermosetting resin used to manufacture the
이때, 습기경화형 우레탄 핫멜트 접착제는 바탕판(100)과 보강판(20) 사이로 침투되어 매우 강력한 접착력을 나타내며, 발열이 일어나므로 프레스는 별도의 열을 가할 필요가 없이 상온에서 냉압기(Cold Press)로 가압하여도 완벽하게 접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At this time, the moisture-curable urethane hot melt adhesive penetrates between the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바탕판을 구비한 마감용 판재의 시공은 하기와 같다.Construction of the plate for finishing with a base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먼저, 본 발명의 바탕판(100) 위에 보강판(20)을 습기경화되는 접착제로서 부착 고정하고, 이 보강판(20) 위에 천연판 표면판(10)을 부착 고정하여 형성된 단위 마감용 판재를 여러개 준비한다.First, a unit finish plate material formed by attaching and fixing the reinforcing
이후, 준비된 다수의 마감용 판재는, 각 마감용 판재에 구비된 바탕판(100)의 측수용부(31)와 측돌출부(32) 간의 수평결합구조를 바탕으로 연속적으로 시공된다. 즉, 상벽제거구간(37)과 하벽제거구간(38)이 형성된 측수용부(31)와 측돌출부(32)를 구비하는 천연석 표면판(10)을 사용한 마감용 판재는 바닥이나 벽에 선시공된 마감용 판재의 측수용부(31)에 후시공되는 마감용 판재의 측돌출부(32)가 수용되도록 수평으로 밀어넣는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시공된다. 이와 같은 폭방향 결합에 이어 길이방향으로도 인접한 선시공된 마감용 판재의 끝수용부(33)에 후시공되는 마감용 판재의 끝돌출부(34)가 삽입되도록 밀어넣음으로써 한 장의 마감용 판재의 시공이 마무리된다. 이때, 바닥면과 벽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방식은 건식시공법이나 습식시공법이 사용될 수 있다.
Thereafter, the prepared plurality of finishing plates are continuously constructed based on the horizontal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탕판에 세라믹 판재가 설치된 예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ceramic plate is installed on a base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parts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are omitted. .
본 실시예에 따른 바탕판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실시예의 바탕판과 동일하므로 이의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상이한 세라믹 판재에 대해서만 집중적으로 설명키로 한다.Since the base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base plat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s shown in FIG. 6, repeat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only the different ceramic plate materials will be described intensively.
상기 세라믹 판재(40)는 점토질의 원료에 석영, 도석, 장석 등의 원료를 일정 두께(3~5㎜)와 밀도로 압축 성형한 후 1,200~1,300℃의 온도에서 소지를 소결시킨 다음 1,050~1,100℃에서 숙성시킨 후 유약 등을 발라 표면처리를 한 도기와 1,300~1,500℃의 고온로 소성하여 소결시킨 세라믹소재의 판재(타일)을 성형하게 된다.The
이와 같이 성형된 세라믹 판재(40)는 일정한 사이즈로 정밀재단과 모따기 가공을 한 후 바탕판(100)에 습기경화형 우레탄 핫멜트 접착제를 도포한 후 전술한 바와 같이 가공된 세라믹 판재(40)를 냉압프레스를 사용하여 부착한다.The
한편, 상기와 같은 세라믹 판재(40)가 바탕판(100)에 부착되어 구성된 마감용 판재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은 바탕판(100) 위의 천연석 표면판(10)과 보강판(20)의 2층구조를 3~5㎜의 두께를 갖는 세라믹 판재(40)의 1층구조로 대신할 수 있으므로 공정이 단순화되고 원가가 절감되는 보다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제품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은 보강판(20)의 접착공정과 천연석의 슬라이스 공정 및 추가적으로 변경된 바탕판(100) 부착시 보강판(20)의 두께 연마 등과 같은 다단계의 공정이 생략되므로 공정이 단순화된다.On the other hand, the finish plate is formed by attaching the
또한, 상기와 같은 세라믹 판재(40)는, 종래의 천연석 표면판과 마찬가지로 시공방법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메지(줄눈) 등으로 인해 오염의 문제가 심각하였으며, 바닥이나 벽시공시 접착면이 단단하고 매끄러워 시공 후 조그마한 충격에도 세라믹 판재(40)가 탈락되는 단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의 바탕판(100) 위에 세라믹 판재(40)를 부착 고정한 상태로 시공함으로써 시공이 용이하고, 시공 후 접착력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세라믹소재의 판재를 소형 규격에서 대형화가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In addition, the
그리고, 바닥시공시 향상된 시공성으로 시공비와 경량화로 인한 구조적인 부담도 줄일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tructural burden due to the construction cost and light weight by improved construction properties during floor construc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only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as described above,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or changes are pa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long to the claims.
10 : 천연석 표면판 20 : 보강판
30 : 바탕판 31 : 측수용부
32 : 측돌출부 33 : 끝수용부
34 : 끝돌출부 35 : 단면홈
36 : 통기공 37 : 상벽제거구간
38 : 하벽제거구간 40 : 세라믹 판재
100 : 바탕판 110,120 : 단면홈
130,140 : 통기공10: natural stone surface plate 20: reinforcement plate
30: the base plate 31: side receiving part
32: side protrusion 33: end receiving portion
34: end protrusion 35: section groove
36: vent 37: upper wall removal section
38: lower wall removal section 40: ceramic plate
100: base plate 110,120: section groove
130,140: Aerator
Claims (4)
상기 바탕판은 상면측 수직방향으로 개구된 단면홈과 하면측 수직방향으로 개구된 단면홈이 교호 반복적으로 연속 형성된 허니콤 구조가 상하 대칭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바탕판의 단면홈에는 각각의 통기공이 천공 형성되되, 상기 바탕판의 하면 측으로 개구된 단면홈의 상면에는 소구경의 통기공이 천공되고, 상기 바탕판의 상면 측으로 개구된 단면홈의 하면에는 대구경의 통기공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용 바닥 판재.
In the bottom plate for finishing comprising a natural stone surface plate formed of a predetermined size and thickness, a reinforcement plat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natural stone surface plate and fixed to the natural stone surface plate, and a base plate attached to the reinforcement plate,
The base plate has a honeycomb structur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grooves ope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upper surface side and the cross-sectional grooves ope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lower surface side are formed in a vertically symmetrical structure.
Each vent hole is formed in the cross-sectional groove of the base plate, and a small diameter vent hole is drilled in the top surface of the cross-sectional groove opened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plate, and the bottom of the cross-sectional groove opened toward the top surface of the base plate. There is a floor plate for finish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perforated hole of large diameter.
상기 바탕판은 열경화성 재질 중 유리섬유를 포함하고 있는 BMC 또는 SMC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용 바닥 판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base plate is a finishing bottom plat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BMC or SMC material containing glass fibers of the thermosetting material.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00069837A KR101198942B1 (en) | 2010-07-20 | 2010-07-20 | Plate product using natural stone for floor and wall finishing |
PCT/KR2011/004363 WO2012011667A2 (en) | 2010-07-20 | 2011-06-15 | Finishing board |
JP2011146795A JP2012026260A (en) | 2010-07-20 | 2011-06-30 | Interior/exterior plate materi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00069837A KR101198942B1 (en) | 2010-07-20 | 2010-07-20 | Plate product using natural stone for floor and wall finishing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17704A Division KR101241109B1 (en) | 2012-10-23 | 2012-10-23 | Plate product using natural stone for floor and wall finishing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8764A KR20120008764A (en) | 2012-02-01 |
KR101198942B1 true KR101198942B1 (en) | 2012-11-07 |
Family
ID=45497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00069837A Expired - Fee Related KR101198942B1 (en) | 2010-07-20 | 2010-07-20 | Plate product using natural stone for floor and wall finishing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2012026260A (en) |
KR (1) | KR101198942B1 (en) |
WO (1) | WO2012011667A2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S2902394T3 (en) * | 2017-05-15 | 2022-03-28 | Flooring Ind Ltd Sarl | A floor element for forming a floor covering and a floor covering |
JP7326649B2 (en) * | 2018-10-26 | 2023-08-16 | 寿屋フロンテ株式会社 | automotive sound insulation |
US10677275B1 (en) | 2019-02-18 | 2020-06-09 | Daltile Corporation | Floor element for forming a floor covering, a floor covering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floor element |
US11339576B2 (en) | 2019-09-17 | 2022-05-24 | Daltile Corporation | Floor element for forming a floor covering and a floor covering |
US11559961B2 (en) | 2019-09-17 | 2023-01-24 | Daltile Corporation | Pressing equipment, a plant and a method for forming a floor element |
GB2594030B (en) * | 2019-09-27 | 2022-07-13 | 238 Ltd | Foundation system |
GB2602732B (en) * | 2019-09-27 | 2023-11-01 | 238 Ltd | Foundation system |
US11359386B2 (en) | 2020-05-07 | 2022-06-14 | Dal-Tile Corporation | Floor element for forming a floor covering, a floor covering,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floor element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033936A (en) * | 2001-07-23 | 2003-02-04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Manufacturing method for building material |
KR200335562Y1 (en) * | 2003-08-04 | 2003-12-11 | 백대현 | Interior materials for door of the quality of the ABS copolymer manufacturing by vacuum forming method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61406A (en) * | 2000-03-17 | 2001-09-26 | Taiheiyo Cement Corp | Panel of honeycomb structure |
KR20040052631A (en) * | 2004-04-19 | 2004-06-23 | 홍성산업 주식회사 | Composite sandwich panel board |
KR100698017B1 (en) * | 2006-06-14 | 2007-03-23 | 최용호 | Marble Finishing Panel |
KR101037912B1 (en) * | 2008-05-20 | 2011-05-30 | 주식회사 이지테크 | Floor and wall finishing plates using natural stone |
-
2010
- 2010-07-20 KR KR20100069837A patent/KR10119894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1
- 2011-06-15 WO PCT/KR2011/004363 patent/WO2012011667A2/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1-06-30 JP JP2011146795A patent/JP2012026260A/en not_active Withdraw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033936A (en) * | 2001-07-23 | 2003-02-04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Manufacturing method for building material |
KR200335562Y1 (en) * | 2003-08-04 | 2003-12-11 | 백대현 | Interior materials for door of the quality of the ABS copolymer manufacturing by vacuum forming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2011667A3 (en) | 2012-04-19 |
WO2012011667A2 (en) | 2012-01-26 |
KR20120008764A (en) | 2012-02-01 |
JP2012026260A (en) | 2012-02-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98942B1 (en) | Plate product using natural stone for floor and wall finishing | |
US8359807B2 (en) | Plate product using natural stone for floor and wall finishing | |
KR100936934B1 (en) | Facing panels and the method | |
JP5400216B2 (en) | Composite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1649969B1 (en) | A Insulation end panels which can be Easily Dry-Finished and external wall insulation dry method using the same | |
KR101134067B1 (en) | Plate product using natural stone for floor and wall finishing | |
US20100218447A1 (en) | Thin brick and method for making | |
KR101241109B1 (en) | Plate product using natural stone for floor and wall finishing | |
KR20050073708A (en) | Monolithic stratiform composite pannel for a wall of building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wall with it | |
KR101338673B1 (en) | Flooring with connecting parts of its own | |
KR101768683B1 (en) | Suspension device for exterior materials in building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at | |
KR102144337B1 (en) | Fixing Structure for Thermal Break Insulation of Building Outer Wall | |
KR20020016082A (en) | Insulating plate for construction | |
KR100704012B1 (en) | Insulation tile for building and exterior of building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KR20110108855A (en) | Prefabricated Stone Board | |
KR100763242B1 (en) | Molded moldings for interior and exterior decoration of building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200300598Y1 (en) | Building composite panel | |
KR102714786B1 (en) | Thin and Lightweight Composite Board | |
KR20040028446A (en) | Building composite panel | |
KR101125552B1 (en) | Block for wall construction wall and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KR102266935B1 (en) | Manufacturing method for construction panel | |
CN213952775U (en) | Aluminium honeycomb decorative board and wallboard | |
EP4047152B1 (en) | Building panel and corresponding method for manufacturing a building panel | |
KR200312350Y1 (en) | Tile assembly which is mounted by PVC | |
KR20030072274A (en) | Marble tile and its manufacturing proces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7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2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209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02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MND | Amendm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21023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209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2040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2103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2102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209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2040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1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11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1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1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0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0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0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1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10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