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98844B1 - 차량의 고전압 부품 냉각장치용 공기흡입구 - Google Patents

차량의 고전압 부품 냉각장치용 공기흡입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8844B1
KR101198844B1 KR1020110072479A KR20110072479A KR101198844B1 KR 101198844 B1 KR101198844 B1 KR 101198844B1 KR 1020110072479 A KR1020110072479 A KR 1020110072479A KR 20110072479 A KR20110072479 A KR 20110072479A KR 101198844 B1 KR101198844 B1 KR 1011988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high voltage
air
slit
outer cas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2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해규
전윤철
이용진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2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88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8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884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271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 B60H1/00278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for the batt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60H1/00385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vehicles having an electrical drive, e.g. hybrid or fuel cell
    • B60H1/004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vehicles having an electrical drive, e.g. hybrid or fuel cell for vehicles having a combustion engine and electric drive means, e.g. hybrid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64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air 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08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 B60H3/0616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with provisions for replacing the filter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6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ai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2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HVAC devices with respect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60H2001/00242Devices in the rear area of the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271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 B60H2001/003Component temperature regulation using an air f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차량의 고전압 부품 냉각장치용 공기흡입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차량에 구비되는 고전압 전장부품을 냉각하도록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용 덕트(103)에 설치되는 공기 흡입구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용 덕트(103)와 연결되는 개구부(103a)에 배치되고, 복수개의 제1슬릿(112)을 구비하는 외부케이스 ; 상기 외부케이스(110)의 하부와 결합되고, 상기 제1슬릿(112)과 대응하는 상부면에 복수개의 삽입공(122)을 관통형성한 내부플레이트(120) ; 상기 삽입공(122)으로 삽입되어 걸리는 상부걸림리브(132)를 상부단에 구비하고, 상기 제1슬릿(112)과 대응하는 상부면은 개구되고, 상기 제1슬릿(112)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상기 흡입용 덕트(103)측으로 안내배출하도록 일측면에 복수개의 제2슬릿(134)을 개구형성하고, 바닥면이 밀폐된 복수개의 슬라이딩 스토리지(13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의 고전압 부품 냉각장치용 공기흡입구{Air Grill for Cooling the High Voltage Part in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에 구비되는 고전압 부품을 냉각하는 장치에 구비되는 공기흡입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차량 탑승자의 접근이 용이한 리어시트의 트림에 구비되는 흡입구를 통하여 물과 같은 이물질의 혼입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의 고전압 부품 냉각장치용 공기흡입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보디는 사람이 타는 부분이 주체이다. 상기 보디에는 도어, 펜더등의 외장부분이나 시트, 도어 트림, 패키지트레이 패널 등의 내장부분을 장착한다.
상기 보디는 운전자 및 탑승자에게 필요한 안정성, 공간, 쾌적함 등의 요소를 갖추고 있어야 한다. 여기서, 상기 패키지트레이 패널은 리어시트의 후방에 설치되어 리어시트를 지지하고, 차량의 실내와 트렁크룸을 차단시키며, 리어시트에 승차한 승차자가 각종 부품이나 서류를 보관한다.
차체의 뒤쪽 끝단에 트렁크가 배치되어 있고, 그 앞쪽으로 패키지트레이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패키지트레이 앞쪽으로는 리어시트가 배치된다.
한편, 두개의 동력원(내연기관+축전지)을 이용하여 구동되는 하이브리드 차량이나 수소를 연료로 사용하는 연료전지 차량의 경우에 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한 고전압 배터리, 인버터 LDC와 같은 고전압 전장부품들은 리어시트 뒤쪽에 위치한다.
상기 고전압 전장부품들은 자체적으로 열을 발생하기 때문에, 차량의 시스템의 안전 및 효율을 위해서는 고전압 전장부품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켜 주는 것이 필수적이다.
더구나 상기 고전압 전장부품들은 고전압을 발생해야 하는 부품의 특성상 수분과 접촉하게 되면 부품의 고장을 초래하게 되므로, 전장부품에서 발생한 열을 냉각하기 위한 방법은 실내 공기를 이용하여 냉각하는 공냉식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기존의 하이브리드 또는 연료전지 차량의 경우 차종마다 약간의 레이아웃의 차이는 있으나, 대부분 배터리 및 모터 유닛의 쿨링장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블로어 팬이 가동하면 실내측 패키지 트레이에서 연장되는 공기유입용 덕트를 통해 공기를 유입할 수 있고, 유입된 공기를 배터리 주변을 경유하게 한 후, 배터리 및 모터 유닛 일측의 공기유출용 덕트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이브리드 차량 또는 연료전치 차량의 리어시트의 트림에는 냉각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낮은 온도의 공기흡입이 가능하도록 쿨링장치의 공기유입용 덕트와 연결되는 흡입구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흡입구는 차량 탑승자의 접근이 가능하여 부주위로 인한 물, 음료수 등과 같은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이물질이 유입되면 고전압 부품의 쇼트에 기인하는 치명적인 부품고장의 원인이 되며, 안전성에도 치명적인 문제점이 되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차량 탑승자의 접근이 용이한 리어시트의 트림에 구비되는 흡입구를 통하여 물과 같은 이물질의 혼입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의 고전압 부품 냉각장치용 공기흡입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차량에 구비되는 고전압 전장부품을 냉각하도록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용 덕트에 설치되는 공기 흡입구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용 덕트와 연결되는 개구부에 배치되고, 복수개의 제1슬릿을 구비하는 외부케이스 ; 상기 외부케이스의 하부와 결합되고, 상기 제1슬릿과 대응하는 영역에 복수개의 삽입공을 관통형성한 내부플레이트 ; 상기 삽입공으로 삽입되어 걸리는 상부걸림리브를 상부단에 구비하고, 상기 제1슬릿과 대응하는 상부면은 개구되고, 상기 제1슬릿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상기 흡입용 덕트측으로 안내배출하도록 일측면에 복수개의 제2슬릿을 개구형성하고, 바닥면이 밀폐된 복수개의 슬라이딩 스토리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고전압 부품 냉각장치용 공기흡입구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외부케이스는 상기 내부플레이트의 앙단 테두리에 탄력적으로 걸리도록 양측 테두리에 제1걸림턱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걸림리브는 외측테두리에 상기 삽입공의 외측에 관통형성된 조립공에 탄력적으로 삽입되어 조립되도록 돌출형성되는 제2걸림턱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조립공은 상기 상부걸림리브의 상부면과 상기 내부플레이트의 상부면이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되도록 함몰형성된 함몰부에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외부케이스는 차량의 리어시트의 트림에 상기 공기흡입용 덕트와 연결되도록 개구형성된 개구부에 삽입되어 배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공기흡입용 덕트와 연결되도록 리어시트의 트림에 구비되는 개구부에 제1슬릿을 형성한 외부케이싱을 구비하고, 외부케이스와 조립되는 내부플레이트의 조립공에 상부면은 개구되고 바닥면은 밀폐되며 제1슬릿과 연통되는 제2슬릿을 형성한 슬라이딩 스토리지를 교체가능하도록 조립함으로써, 제1,2슬릿을 통하여 유입되는 냉각용 외부공기는 공기흡입용 덕트측으로 안내하는 반면에 외부공기와 더불어 유입되는 물과 음료수와 같은 이물질은 슬라이딩 스토리지의 바닥면에 의해서 차단되어 고여지고, 외부공기만 유입되기 때문에 이물질의 유입으로 인한 고전압 전장부품의 쇼트사고 및 고전압 전장부품에 대한 2차적인 고장원인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의 리어시트에 구비되는 흡입구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고전압 부품 냉각장치용 공기흡입구를 도시한 조립도와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고전압 부품 냉각장치용 공기흡입구를 도시한 조립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고전압 부품 냉각장치용 공기흡입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고전압 부품 냉각장치용 공기흡입구를 도시한 설치상태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고전압 부품 냉각장치용 공기흡입구(1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내부에 구비되는 고전압 부품을 냉각하도록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흡입용 덕트(103)의 개구부(103a)에 설치되어 물이나 음료수와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외부케이스(110), 내부플레이트(120) 및 슬라이딩 스토리지(130)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케이스(110)는 차량의 리어시트(101)의 트림(102)에 상기 공기흡입용 덕트(103)와 연결되도록 개구형성된 개구부(103a)에 삽입되어 배치된다.
이러한 외부케이스(110)의 전면에는 상기 공기흡입용 덕트(103)측으로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통로를 형성하도록 복수개의 제1슬릿(112)을 구비한다.
상기 외부케이스(110)는 상기 내부플레이트(120)의 앙단 테두리에 탄력적으로 걸리도록 양측 테두리에 제1걸림턱(114)을 구비한다.
상기 제1걸림턱(114)은 상기 내부플레이트(120)의 외부테두리를 감싸도록 대략 직하부로 연장되는 덮개부(116)의 하부단에 돌출형성된다.
상기 내부플레이트(120)는 상기 외부케이스(110)의 하부에 결합되는 대략 사각판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슬릿(112)과 대응하는 상부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삽입공(122)을 관통형성한다.
상기 삽입공(122)은 이를 통해 삽입되는 슬라이딩 스토리지(130)의 횡단면과 대략적으로 동일한 사각단면상의 사각공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내부플레이트(120)는 상기 외부케이스(110)의 양측 외부테두리에 돌출형성된 제1걸림턱(114)이 양측테두리에 탄력적으로 걸리는 걸림력에 의해서 상기 외부케이스(110)과 결합된다.
상기 슬라이딩 스토리지(130)는 상기 삽입공(122)으로 삽입되는 대략 직육면체상의 박스 구조물이며, 상기 외부케이스(110)의 제1슬릿(112)과 대응하는 슬라이딩 스토리지(130)의 상부면은 개구되고, 상기 제1슬릿(112)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상기 공기흡입용 덕트(103)측으로 안내배출하도록 일측면에 복수개의 제2슬릿(134)을 개구형성한다.
상기 슬라이딩 스토리지(130)의 바닥면은 상기 제1슬릿(112)을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을 일시 저장할 수 있도록 밀폐된다.
상기 슬라이딩 스토리지(130)의 개구된 상부에는 상기 삽입공(122)에 걸려 상기 공기흡입용 덕트(103)측으로 낙하되지 않도록 상부걸림리브(132)를 외측으로 돌출형성한다.
또한, 상기 상부걸림리브(132)는 외측테두리에 상기 삽입공(122)의 외측에 관통형성된 조립공(124)에 탄력적으로 삽입되어 조립되도록 돌출형성되는 제2걸림턱(132a)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조립공(124)은 상기 상부걸림리브(132)의 상부면과 상기 내부플레이트(120)의 상부면이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되도록 함몰된 함몰부(126)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외부케이스(110)의 제1슬릿(112)을 통해 강제 유입되는 냉각용 외부공기는 상기 내부플레이트(120)의 삽입공(122)에 탈착가능하도록 조립된 슬라이딩 스토리지(130)의 개구된 상부로 유입된 다음 상기 슬라이딩 스토리지(130)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2슬릿(134)을 통하여 공기흡입용 덕트(103)내로 안내유입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기흡입용 덕트(103)를 통해 유입되는 냉각용 외부공기에 의해서 차량의 내부에 구비되는 고전압 배터리, 인버터 LDC와 같은 고전압 전장부품을 냉각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외부케이스(110)의 제1슬릿(112)을 통해 외부공기와 더불어 물, 음료수와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면, 상기 이물질은 상기 내부플레이트(120)의 삽입공(122)에 조립된 슬라이딩 스토리지(130)의 제2슬릿(134)을 통하여 흡입공기용 덕트(103)를 통해 고전압 전장부품측으로 유입되지 않고 바닥면이 밀폐된 슬라이딩 스토리지(130)의 바닥면에 일시 저장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이물질이 저장된 슬라이딩 스토리지(130)는 상기 상부케이스(110)를 분리한 다음 상기 내부플레이트(120)의 삽입공으로부터 탈거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간편하고 신속하게 재조립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10 : 외부케이스 112 : 제1슬릿
115 : 덮개부 120 : 내부플레이트
122 : 삽입공 124 : 조립공
126 : 함몰부 130 : 슬라이딩 스토리지
132 : 상부걸림리브 134 : 제2슬릿

Claims (5)

  1. 차량에 구비되는 고전압 전장부품을 냉각하도록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용 덕트(103)에 설치되는 공기 흡입구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용 덕트(103)와 연결되는 개구부(103a)에 배치되고, 복수개의 제1슬릿(112)을 구비하는 외부케이스 ;
    상기 외부케이스(110)의 하부와 결합되고, 상기 제1슬릿(112)과 대응하는 상부면에 복수개의 삽입공(122)을 관통형성한 내부플레이트(120) ;
    상기 삽입공(122)으로 삽입되어 걸리는 상부걸림리브(132)를 상부단에 구비하고, 상기 제1슬릿(112)과 대응하는 상부면은 개구되고, 상기 제1슬릿(112)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상기 흡입용 덕트(103)측으로 안내배출하도록 일측면에 복수개의 제2슬릿(134)을 개구형성하고, 바닥면이 밀폐된 복수개의 슬라이딩 스토리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고전압 부품 냉각장치용 공기흡입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110)는 상기 내부플레이트(120)의 앙단 테두리에 탄력적으로 걸리도록 양측 테두리에 제1걸림턱(11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고전압 부품 냉각장치용 공기흡입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걸림리브(132)는 외측테두리에 상기 삽입공(122)의 외측에 관통형성된 조립공(124)에 탄력적으로 삽입되어 조립되도록 돌출형성되는 제2걸림턱(132a)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고전압 부품 냉각장치용 공기흡입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조립공(124)은 상기 상부걸림리브(132)의 상부면과 상기 내부플레이트(120)의 상부면이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되도록 함몰형성된 함몰부(126)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고전압 부품 냉각장치용 공기흡입구.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110)는 차량의 리어시트(101)의 트림(102)에 상기 공기흡입용 덕트(103)와 연결되도록 개구형성된 개구부(103a)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고전압 부품 냉각장치용 공기흡입구.
KR1020110072479A 2011-07-21 2011-07-21 차량의 고전압 부품 냉각장치용 공기흡입구 Expired - Fee Related KR1011988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2479A KR101198844B1 (ko) 2011-07-21 2011-07-21 차량의 고전압 부품 냉각장치용 공기흡입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2479A KR101198844B1 (ko) 2011-07-21 2011-07-21 차량의 고전압 부품 냉각장치용 공기흡입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8844B1 true KR101198844B1 (ko) 2012-11-07

Family

ID=47564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2479A Expired - Fee Related KR101198844B1 (ko) 2011-07-21 2011-07-21 차량의 고전압 부품 냉각장치용 공기흡입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884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2450A (ja) 2001-08-31 2003-03-12 Honda Motor Co Ltd 車両の物入れ構造
JP2006001413A (ja) 2004-06-17 2006-01-05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電子ユニット収納ボックスの外気導入構造
JP2007153072A (ja) 2005-12-02 2007-06-21 Toyoda Gosei Co Ltd ダクト装置
JP2010143301A (ja) 2008-12-17 2010-07-01 Calsonic Kansei Corp ダクトの車体固定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2450A (ja) 2001-08-31 2003-03-12 Honda Motor Co Ltd 車両の物入れ構造
JP2006001413A (ja) 2004-06-17 2006-01-05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電子ユニット収納ボックスの外気導入構造
JP2007153072A (ja) 2005-12-02 2007-06-21 Toyoda Gosei Co Ltd ダクト装置
JP2010143301A (ja) 2008-12-17 2010-07-01 Calsonic Kansei Corp ダクトの車体固定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43548B2 (en) Onboard battery for vehicle
JP5983054B2 (ja) ハイブリッド自動車のバッテリパック冷却構造
JP5966749B2 (ja)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パック冷却構造
JP5473698B2 (ja) 発熱体冷却装置
JP5997933B2 (ja) 高圧電装部品を備える電気車両
CN103579545B (zh) 用于车辆的电池包
JP6187163B2 (ja) 電池冷却構造
JP2013001382A (ja)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冷却構造
WO2010066106A1 (zh) 发动机发电机机组
US9893395B2 (en) Battery cooling structure
CN102725164B (zh) 车辆用电池单元的冷却结构
JP2012096716A (ja) 空冷式バッテリユニットの冷却用ダクト構造
JP5942611B2 (ja)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パック冷却構造
JP2017218030A (ja) バッテリパック
JP2007172939A (ja) 電池パック
KR102731555B1 (ko)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수납 장치
JP2023149159A (ja) バッテリユニット
KR101198844B1 (ko) 차량의 고전압 부품 냉각장치용 공기흡입구
JP6879815B2 (ja) 車載用バッテリー
KR100892524B1 (ko) 통합패키지 내부 배터리 및 고전압 부품의 냉각용 흡입부
JP2005310461A (ja) 電池パックの筐体構造
JP7576111B2 (ja) ダクト構造
JP2014015178A (ja) 車両用バッテリパックの冷却装置
JP7591082B2 (ja) バッテリ冷却機構
JP7646719B2 (ja) バッテリパ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7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1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11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