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8116B1 - Steel grirder for bridge - Google Patents
Steel grirder for bridg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98116B1 KR101198116B1 KR1020120024909A KR20120024909A KR101198116B1 KR 101198116 B1 KR101198116 B1 KR 101198116B1 KR 1020120024909 A KR1020120024909 A KR 1020120024909A KR 20120024909 A KR20120024909 A KR 20120024909A KR 101198116 B1 KR101198116 B1 KR 10119811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l
- section
- cross
- section steel
- bridge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4—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box-girder typ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30—Metal
- E01D2101/32—Metal prestres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용 강재 거더에 관한 것으로, 외측으로 볼록한 곡선 단면으로 연장 형성된 제1반원단면강재와; 외측으로 볼록하고, 상기 제1반원단면강재와 마주보는 제2반원단면강재와; 폐곡선 단면을 포함하도록 이루어져 상기 제1반원단면강재와 상기 제2반원단면강재 중 어느 하나 이상과 접합된 폐단면 강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내부에는 외부와 차단되는 폐단면이 형성되어, 강재의 사용량을 최소화하면서 휨 모멘트에 대해 보다 높은 지지 능력을 구현하고 풍하중에 따른 저항이 최소화되고 세련된 외관을 그 자체로 구현할 수 있는 교량용 강재 거더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l girder for bridges, comprising: a first semicircular cross-section steel extending outwardly in a curved cross section; A second semicircular cross-section steel convex outward and facing the first semicircular cross-section steel; A closed cross section steel joined to any one or more of the first semicircular cross section steel and the second semicircular cross section steel to include a closed curve cross section; It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inside is formed a closed cross-section is cut off, to minimize the amount of steel used to implement a higher support capacity for the bending moment, the resistance to wind load is minimized, and can realize a stylish appearance by itself Provide steel bridge girders for bridges.
Description
본 발명은 교량용 강재 거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다 적은 양의 강재를 이용하여 작은 단면을 가지면서 높은 지지 능력을 가지며, 보강재의 사용량을 최소화하여 구조가 간단하며, 풍하중에 의한 영향을 덜 받음으로써 보다 견고한 교량을 시공할 수 있는 교량용 강재 거더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l girder for bridges, and more specifically, having a small cross section using a smaller amount of steel and having a high supporting ability, the structure is simple by minimizing the amount of reinforcement, and the influence of wind load A steel girder for bridges that can be constructed to be more rigid by receiving less.
교량, 건물, 터널 등의 토목 구조물은 구조물 자체의 자중, 풍압 등의 하중에 견딜 수 있는 구조 부재가 다수 사용되어 시공된다. 예를 들어, 교량은 차량이나 사람들이 통행하는 바닥판의 아래에 지지빔이 설치되어, 바닥판의 자중 및 차량 등의 통행에 따른 활하중을 지지한다. 이와 같이 토목 구조물은 다양한 구조 부재에 의해 자중 및 외력에 저항하면서 구조물을 유지시키도록 구성된다. Civil structures such as bridges, buildings, and tunnels are constructed using a large number of structural members that can withstand loads such as self-weight and wind pressure of the structure itself. For example, a bridge is provided with a support beam under a floor plate through which a vehicle or people pass, and supports a live load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floor plate and traffic of a vehicle. As such, the civil structure is configured by various structural members to maintain the structure while resisting self-weight and external forces.
도1a는 높은 지지 능력을 갖는 강박스 거더(10)에 의해 지지되도록 제작된 교량(1)이 도시되어 있다. 이 교량(1)은 지상에서 제작된 강박스 거더(10)를 교각이나 교대 등에 거치시킨 후, 그 위에 차량 등이 통행하는 바닥판 콘크리트(20)를 합성하여 시공된다. FIG. 1A shows a
교량(1)의 구조 부재로 사용되는 강박스 거더(10)는 상부 플랜지(11)와 하부 플랜지(12)가 중립축으로부터 멀리 이격된 지점에 위치하여 단면 계수가 높으므로, 고가의 강재를 많이 사용하여 높은 제작 비용이 소요됨에도 불구하고, 휨 모멘트에 저항하는 능력이 우수하여 장경간 교량에 널리 적용되는 구조 부재이다.
그러나, 강박스 거더(10)는 비틀림 강성을 발휘하는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내부에 다수의 종방향 보강재(14) 및 횡방향 보강재(15)를 배치해야 하는 데, 강박스 거더(10)의 내부에 보강재(14, 15)를 시공하는 공정은 강박스 거더(10)의 내부에서 작업자에 의해 행해지므로, 강박스 거더(10)의 제작 공정이 까다롭고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 뿐만 아니라, 강박스 거더(10)는 측면을 이루는 복부(13)가 수직 평판으로 형성되어 바람에 대해 큰 저항단면을 형성하므로, 풍하중(W1)에 보다 큰 영향을 받는 문제도 있었다. However, the
부수적으로는, 강박스 거더(10)로 교량(1)을 시공하는 경우에는 획일적인 직선 형태의 거더(10) 형상의 미관을 개선하고자,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 플레이트(30)를 거더(10)에 별도로 부착하기도 하는데, 미관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구조 부재가 아닌 곡면 플레이트(30)의 장착에 비용이 추가로 소요되는 문제도 있었다.
Incidentally, in the case of constructing the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강재의 사용량을 최소화하면서 휨 모멘트에 대해 보다 높은 지지 능력을 구현하는 교량용 강재 거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eel girders for bridges that realize a higher bearing capacity for bending moments while minimizing the amount of steel used.
이와 동시에, 본 발명은 내부에 보강재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비틀림 강성이 높아 비틀림 변형에 대해 높은 저항 능력을 갖는 교량용 강재 거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t the same tim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eel girder for bridges having high torsional rigidity and high resistance to torsional deformation even when no reinforcing material is provided therein.
또한, 본 발명은 풍하중에 의해 저항을 줄임으로써 외부에 설치된 상태에서도 풍하중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교량용 강재 거더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eel girder for bridges that can minimize the influence of the wind load even in the state installed outside by reducing the resistance by the wind load.
그리고, 본 발명은 별도의 부재를 장착하지 않더라도 그 자체로 세련된 미관을 구현하여 심미적 구조물을 시공하는 비용을 절감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nother object to reduce the cost of constructing an aesthetic structure by realizing a refined aesthetic by itself even without mounting a separate member.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외측으로 볼록한 곡선 단면으로 연장 형성된 제1반원단면강재와; 외측으로 볼록하고, 상기 제1반원단면강재와 마주보는 제2반원단면강재와; 폐곡선 단면을 포함하도록 이루어져 상기 제1반원단면강재와 상기 제2반원단면강재 중 어느 하나 이상과 접합된 폐단면 강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내부에는 외부와 차단되는 폐단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강재 거더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emi-circular cross-section steel extending in a curved convex outward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A second semicircular cross-section steel convex outward and facing the first semicircular cross-section steel; A closed cross section steel joined to any one or more of the first semicircular cross section steel and the second semicircular cross section steel to include a closed curve cross section; It is configured to include, there is provided a steel girder for bridges, characterized in that the closed cross section is formed to be cut off from the outside.
이는, 제1반원단면강재와 제2반원단면강재에 의해 외형이 반원 형상의 곡면으로 이루어진 중공 부재를 형성하고, 폐곡선 단면이 포함된 폐단면 강재가 제1반원단면강재와 제2반원단면강재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접합되어 중립축으로부터 멀리 이격된 위치에서 휨 강성을 보강함으로써, 주어진 강재 재료를 이용하여 단면 계수를 크게 할 수 있으므로, 휨 모멘트에 대하여 높은 저항 능력을 가지면서, 중심으로부터 이격 거리가 동일하거나 편차가 적은 곡면으로 외주면이 형성되어 높은 비틀림 강성을 구현하기 위함이다. It is formed by the first semi-circular cross-section steel and the second semi-circular cross-section steel to form a hollow member consisting of a semicircular curved surface, the closed cross-section steel containing the closed curve cross section of the first semi-circular cross-section steel and the second semi-circular steel By reinforcing the bending stiffness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neutral axis by bonding to any one or more, the section modulus can be increased by using a given steel material, so that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is the same while having a high resistance to the bending moment. In order to realize high torsional stiffnes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formed with a curved surface with little varia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강재 거더는 비틀림 강성이 높게 형성됨에 따라 종래의 박스 거더의 내부에 비틀림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설치되어야 했던 보강재 없이도 그 자체의 형상이 비틀리지 않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As such, the steel girder for bridg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intained in its twisted state without the reinforcement that had to be installed to reinforce the torsional rigidity in the conventional box girder as the torsional rigidity is formed high. .
이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강재 거더는 외주면이 곡면으로 형성됨에 따라 별도의 반원단면강재를 부착하는 공정을 거치지 않더라도 세련된 외관을 구현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풍하중에 의한 저항을 크게 완화할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eel girder for bridg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alize a refined appearance without the process of attaching a separate semi-circular cross-section steel a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formed into a curved surface, and at the same time can greatly reduce the resistance due to wind load The effect can also be obtained.
상기 폐단면 강재는 상기 교량용 강재 거더에 2개 이상 대칭으로 배열되어, 자중 등 일정한 방향으로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 하중 방향과 폐단면 강재의 배열 방향을 일치시킴으로써, 보다 높은 휨 모멘트에 효과적으로 저항 지지할 수 있다.Two or more closed section steels are symmetrically arranged in the bridge steel girders, and when the load is applied in a constant direction such as self-weight, the load direction matches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losed section steel, thereby effectively resisting higher bending moments. I can support it.
따라서, 상기 폐단면 강재는 외력에 의해 인장 또는 압축 응력이 최대로 작용하는 위치에 배열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Therefore, it is effective that the closed cross-section steel is arranged at the position where the tensile or compressive stress is maximized by the external force.
한편, 상기 교량용 강재 거더는 직선 형태로 연장 형성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라 종방향을 따라 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교량용 강재 거더는 종방향으로 하나의 몸체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다수의 분절 부재가 종방향으로 다수 연결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ridge steel girders may be formed extending in a straight form, it may be formed to have a curvatur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idge steel girders may be formed in one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ut a plurality of segment members may be 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그리고, 상기 폐단면 강재는 폐단면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이 폐단면에 긴장재를 내설하여 상기 긴장재를 긴장 정착하는 것에 의해 상기 교량용 강재 거더에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함으로써, 상기 교량용 강재 거더에 긴장재 설치를 위한 별도의 단면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하중으로 작용하는 휨 모멘트에 대하여 보다 높은 지지 능력을 간단히 구현할 수 있다. Since the closed cross section steel is provided with a closed cross section, a tension member is installed in the bridge steel girder by introducing a compressive prestress into the bridge steel girder by insisting a tension member on the closed cross section and tensioning the tension member. Even without having a separate cross section for, it is possible to simply implement a higher support capacity for the bending moment acting as a load.
이 때, 상기 교량용 강재 거더의 상기 폐단면 강재 내에 내설되는 긴장재에는 상기 폐단면 강재의 내벽과 상기 긴장재의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재가 종방향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부재의 종방향을 따라 곡률이 있더라도, 긴장재는 간격재에 의해 폐단면 강재의 내벽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폐단면 강재의 폐단면에 내설된 긴장재가 폐단면 강재의 내벽에 간섭되지 않으면서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강재 부재에 도입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tension member which is installed in the closed section steel of the bridge steel girder may be provided with a spacer for maintaining a distance between the inner wall of the closed section steel and the tension member at longitudinal intervals. Thus, even if there is curvatur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ember, the tension member can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from the inner wall of the closed section steel by the spacer, so that the tension material in the closed section of the closed section steel interferes with the inner wall of the closed section steel. It is possible to introduce compression prestress into the steel member without doing so.
한편, 상기 폐단면 강재에는 긴장재가 내설되어 상기 긴장재를 긴장 정착하는 것에 의해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도입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a tension material is built into the closed cross-section steel, the compression prestress may be introduced by the tension fixing of the tension material.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교량용 강재 거더는 교량의 바닥판을 지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교량의 하부 구조 상에 지지 부재로서 다수의 열로 거치되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교량용 강재 거더와; 상기 교량용 강재 거더의 상측에 설치된 바닥판 콘크리트를; 포함하고, 상기 폐단면 강재는 중력 방향으로 상하측에 각각 형성된 교량을 제공한다.
The steel girder for bridges thus configured may be used to support the bottom plate of the bridge. 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ridge steel gird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ich is mounted in a plurality of rows as a supporting member on a bridge substructure; A bottom plate concrete installed on an upper side of the bridge steel girder; It includes, the closed cross-section steel provides bridges respectively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in the direction of gravity.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1반원단면강재와 제2반원단면강재에 의해 외형이 곡면으로 이루어진 중공 부재를 형성하고, 폐곡선 단면이 포함된 폐단면 강재가 제1반원단면강재와 제2반원단면강재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접합되어 중립축으로부터 멀리 이격된 위치에서 휨 강성을 보강하도록 접합됨으로써, 강재의 사용량을 최소화하면서 휨 모멘트에 대해 보다 높은 지지 능력을 구현하는 교량용 강재 거더를 제공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hollow member having a curved shape by the first semicircular cross-section steel and the second semicircular cross-section steel, and the closed cross section steel including the closed curve cross section is formed of the first semicircular cross section steel and the second semicircular cross section steel. Bonded to any one or more of the semi-circular cross-section steel to reinforce the flexural rigidity at a position remote from the neutral axis, thereby providing a steel girder for the bridge to realize a higher support capacity for the bending moment while minimizing the amount of steel used.
또한, 본 발명은 제1반원단면강재와 제2반원단면강재를 이용하여 폐단면 형상을 구성함에 따라, 중심으로부터 각 부재의 위치까지의 거리 편차가 최소화되어, 보강재를 내부에 설치하지 않더라도 높은 비틀림 강성을 갖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closed cross-sectional shape is formed by using the first semicircular cross-section steel and the second semicircular cross-section steel, the distance deviation from the center to the position of each member is minimized, even if the reinforcement is not installed inside. An advantageous effect having rigidity can be obtained.
또한, 본 발명은 외주면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풍하중에 대해 높은 저항 능력을 가질 뿐 아니라, 그 자체로 세련된 외관을 구성하므로 교량, 아치, 탑 등의 토목 구조물이나 건축 구조물에 사용될 경우에 별도의 부재를 결합시키지 않더라도 세련된 외관을 구현할 수 있는 부수적인 잇점도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has a high resistance to the wind load becaus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formed as a curved surface, and by itself constitutes a sophisticated appearance, so that separate members when used in civil and architectural structures such as bridges, arches, towers, etc. Even without the combination, you can get the added benefit of creating a stylish look.
도1a는 종래의 강박스 거더를 이용하여 시공된 교량을 도시한 횡단면도
도1b는 도1의 'A'부분의 확대도
도2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강재 거더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2b는 도2a의 횡단면도
도3a 내지 도3d는 도2의 교량용 강재 거더의 제작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강재 거더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5a 내지 도5e는 도4의 교량용 강재 거더의 제작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강재 거더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강재 거더 및 아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강재 거더를 이용하여 시공된 교량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9는 도8의 절단선 X-X에 따른 단면도Figure 1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ridge constructed using a conventional steel box girder
FIG. 1B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A' of FIG. 1
Figure 2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teel girders for bridge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B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FIG. 2A
3a to 3d sequentially illustrate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teel girder for bridges of FIG.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teel girder for bridge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to 5e sequentially illustrate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teel girder for bridges of FIG.
Figure 6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teel girder for bridge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ridge steel girder and arc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ridge constructed using the steel girder for bridg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cutting line XX of FIG.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to clar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조용 강재부재(100)는, 외측으로 볼록한 곡선 단면으로 연장 형성된 제1반원단면강재(110)와, 외측으로 볼록하고 제1반원단면강재(110)와 마주보는 제2반원단면강재(120)와, 폐곡선 단면으로 형성되어 제1반원단면강재(110)와 제2반원단면강재(120)의 끝단과 각각 용접으로 접합된 폐단면 강재(130, 140)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반원단면강재(110, 120)와 폐단면 강재(130, 140)로 둘러싸여 외부와 차단되는 폐단면(101)이 형성된다. As shown in Figure 2a, the
이와 같이 구성된 교량용 강재 거더(100)는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단면 강재(130, 140)가 중심으로부터 부착가능한 최대한의 거리(H)만큼 이격된 위치에 하중(P)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180도 간격을 두고 상하로 배열됨으로써, 휨 모멘트에 저항하는 단면 계수가 극대화된다. 즉, 도2b에 도시된 폐단면 강재(130, 140)는 도2c에 도시된 폐단면 강재(130", 140")과 단면 계수를 증대시키는 측면에서 등가 관계에 있다. As shown in FIG. 2B, the
이에 더하여, 도2b에 도시된 폐단면 강재(130, 140)는 폐단면을 형성함으로써 그 자체의 비틀림 강성도 증대되어 외력에 대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면서, 교량용 강재 거더에 외력을 상쇄시키는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미리 도입하는 긴장재를 수용하는 폐단면의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도 폐단면 강재 이상의 작용을 한다.In addition, the closed cross-section steels 130 and 140 shown in FIG. 2B have a closed cross-section to increase their torsional rigidity, thereby stably supporting the external force, while compressing prestress to offset the external force to the steel girders for bridges. In addition to acting as a closed cross-section for accommodating the tension material to be introduced in advance to act more than a closed cross-section steel.
또한, 도2a에 도시된 교량용 강재 거더(100)는 전체적으로 외형이 곡면을 형성함으로써,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야외에 설치되는 경우에 풍하중(W2)에 대하여 편평한 판면으로 저항하지 않고 곡면으로 저항하므로, 바람의 유동을 반원단면강재(110, 120)를 타고 부드럽게 발산시켜 풍하중(W2)에 대한 저항을 도1a의 강박스 거더에 비하여 훨씬 적게 받는다. 따라서, 교량용 강재 거더(100)는 풍하중에 보다 효과적으로 저항하여 지지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얻어진다. In addition, the
이와 동시에, 외주면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별도의 부착물을 부재(100)의 측면에 부착하지 않더라도 그 자체로 세련된 미관을 구현하므로, 세련된 미관을 구현하고자 하는 구조물에 활용할 경우 보다 저렴하게 시공할 수 있는 잇점이 얻어진다. At the same time, sinc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formed as a curved surface to implement a refined aesthetics by itself even without attaching a separate attachment to the side of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강재 거더(100)는,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재 소재의 평판(130a)을 준비하고, 이를 롤벤딩하여 도3b에 도시된 폐단면 강재(130, 140)를 제작하고, 또 다른 평판(110, 120)을 준비하여 이를 롤 벤딩하여 반원 형태의 반원단면강재(110, 120)를 제작한 후, 도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단면강재(110, 120)의 끝단에 폐단면 강재(130, 140)를 용접(55, 55')으로 접합하여 제작된다. 상기 교량용 강재 거더(100)는 이와 같이 제작되는 것에 국한되지 않고 후술하는 제2실시예의 교량용 강재 거더(100')의 제작 방법의 일부 단계와 혼용하여 제작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강재 거더(100')를 상술한다. 다만,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전술한 제1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과 유사한 점에 대해서는 제2실시예의 구성에 대해서도 동일 또는 유사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제2실시예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강재 거더(100')는 폐단면 강재(140) 중 어느 하나에 긴장재(150)가 내설되고, 긴장재(150)의 양단에 정착판(70)을 설치한 후, 긴장재(150)를 긴장 정착하여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교량용 강재 거더(100')에 종방향을 따라 도입한다는 점에서 전술한 제1실시예의 교량용 강재 거더(100)의 구성과 차이가 있다. As shown in FIG. 4, in the
즉, 교량용 강재 거더(100')가 정해진 하나의 방향으로 휨 모멘트를 받는 경우에는, 교량용 강재 거더(100')의 폐단면 강재(130, 140)에 의하여 단면 계수를 증대시킴으로써 교량용 강재 거더(100')에 작용하는 휨 모멘트를 상쇄시키는 것에 더하여, 휨 모멘트가 작용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미리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함으로써, 교량용 강재 거더(100')에 작용하는 휨 모멘트를 보다 더 지지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bridge steel girder 100 'receives the bending moment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he cross section modulus is increased by the closed section steels 130 and 140 of the bridge steel girder 100', thereby increasing the cross section coefficient. In addition to canceling the bending moment acting on the girder 100 ', the compressive prestress is introduc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bending moment acts, thereby further reducing the bending moment acting on the steel girders 100' for the bridge. I can support it.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강재 거더(100')는 긴장재(150)를 긴장 정착하여 중립축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함에 따라, 교량용 강재 거더(100')는 볼록한 휨 변형이 발생된다. 따라서, 교량용 강재 거더(100')의 용도 및 설치에 따라, 교량용 강재 거더(100')는 미리 소정의 캠버만큼 휨 변형(도4의 점선)을 발생시켜 둘 수도 있다. 이를 통해, 교량용 강재 거더(100')의 중립축으로부터 편심된 폐단면 강재(140)에,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함에 따라 상방으로 볼록하게 발생되는 휨 변형을 미리 상쇄시켜,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상태에서도 곧은 형태의 교량용 강재 거더(100')를 제작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bridge steel girders (100 ')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ension-fixing the
상기와 같은 교량용 강재 거더(100')는,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 파이프(110')를 준비하고, 이를 고주파 벤딩하여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버(휨 변형)를 미리 형성한다. 그리고 나서, 도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버가 형성된 강관 파이프(110')를 절반으로 절단하여 제1반원단면강재(110)와 제2반원단면강재(120)를 제작한다. 한편,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롤벤딩으로 제작되거나 작은 강관 파이프로 선택되는 폐단면 강재(130, 140)를 준비하여, 도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55, 55')으로 반원단면강재(110, 120)와 폐단면 강재(130, 140)를 접합하여 캠버가 형성된 교량용 강재 거더를 제작한다. 그리고 나서, 도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력이나 자중에 의해 작용하는 휨 모멘트를 상쇄시키도록, 폐단면 강재(140)에 긴장재(140)를 삽입 설치하고, 유압잭(미도시)으로 긴장재(140)의 양단부를 소정의 힘(F)으로 잡아당긴 후, 정착판(70)에 정착함으로써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중립축으로부터 편심되는 폐단면 강재(140)에 도입하여 제작된다.
도면에는 폐단면 강재(130, 140) 중 어느 하나에만 긴장재를 삽입하여 압축 프리스레스를 도입하는 구성을 예로 들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전방위에서 하중이 발생되는 주탑, 기둥 등에 사용되는 구조용 강재부재는 폐단면 강재(130, 140)를 120도, 90도, 72도, 60도 등 소정의 회전각마다 분포시키고, 이 폐단면 강재에 긴장재를 삽입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함으로써, 전 방위에 대한 휨 강성을 증대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In the drawings, a configuration in which a compression material is introduced by inserting a tension member into only one of the closed cross-section steels 130 and 140 is illustrated as an example. The structural steel member distributes the closed section steels 130 and 140 at predetermined rotation angles, such as 120 degrees, 90 degrees, 72 degrees, and 60 degrees, and introduces a prestress by inserting a tension member into the closed section steels to provide a full orientation. It may also be configured to increase the bending stiffness.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폐단면 강재(130, 140) 내에 긴장재(150)를 긴장 정착하여 폐단면 강재(130, 140)에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수도 있다. 즉, 정착판의 크기가 폐단면 강재(130, 140)의 단면보다 작게 형성하는 경우에는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수 있고, 정착판의 크기가 폐단면 강재(240)의 단면과 간섭되게 형성하는 경우에는 폐단면 강재(130, 140)에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한편,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르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용 강재 거더(200)는 완성된 상태에서 소정의 캠버(또는 곡률)가 형성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교량용 강재 거더(200)에 소정의 캠버가 형성되면,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긴장재(250)가 폐단면 강재(240)의 내벽과 간섭되어, 긴장재(250)에 의해 폐단면 강재(240)가 파손되거나 국부적인 변형이 유발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6, the
따라서, 폐단면 강재(240)에 삽입 설치되는 긴장재(250)에는 미리 간격재(260)가 종방향 간격을 두고 간격재(260)가 미리 설치됨으로써, 교량용 강재 거더(200)가 캠버를 갖더라도 긴장재(250)는 폐단면 강재(240) 내에서 간격재(260)에 의해 폐단면 강재(240)의 내벽과 이격된 상태가 유지된다.Accordingly, the
구체적으로는, 긴장재(250)에는 종방향으로의 간격을 두고 한 쌍의 쐐기(262)가 고정되고, 이 쐐기(262)의 바깥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종방향으로 긴장재(250)를 따라 이동 가능한 한 쌍의 고정 너트(261)가 배열된다. 그리고 고정너트(261)에는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구형 간격재(260)의 종방향 양측의 수나사산과 맞물린다. 따라서, 간격재를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구형 간격재(260)를 위치시키고, 그 양측에 한 쌍의 쐐기(262)를 위치 고정하여 시킨 후, 그 양측에 고정 너트(261)로 구형 간격재(260)의 수나사부와 체결시키면, 구형 간격재(260)의 위치가 긴장재(250)상에서 견고하게 고정된다. Specifically, the pair of
긴장재(250)가 폐단면 강재(240) 내에 삽입되면서 구형 간격재(260)가 폐단면 강재(240)의 내벽과 접촉하면서 마찰이 발생되므로, 구형 간격재(260)는 이 마찰력을 견딜 수 있도록 쐐기(262)에 위치 고정되면 충분하다. 이를 위하여, 구형 간격재(260)는 내부에 긴장재(250)가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되고 쐐기(262)의 일부 이상을 수용하는 수용공이 형성된다. Since the
긴장재(250)가 폐단면 강재(240) 내에 삽입되면서 구형 간격재(260)가 폐단면 강재(240)의 내벽과 접촉하면서 발생되는 마찰력을 최소화하면서 긴장재(250)를 폐단면 강재(240)의 내벽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이격시키기 위하여, 간격재는 그 형상이 구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간격재는 타원형, 직사각형 등 긴장재(250)를 폐단면 강재(240)의 내벽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s the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강재 거더(200)는 소정의 캠버가 형성된다고 하더라도, 긴장재(250)에 높은 인장력을 가한 상태로 정착하는 과정에서 긴장재(250)가 폐단면 강재(240)의 내벽에 간섭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므로, 긴장재(250)를 긴장 정착하여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과정에서 긴장재(250)가 폐단면 강재(240)의 내벽과 접촉하여 폐단면 강재(240)가 파손되거나 국부적인 변형이 유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rough this, even if the
삭제delete
한편,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용 강재 거더(300)의 폐단면 강재(330, 140)는 원형 파이프 형상의 단면과 사각형 또는 다각형 파이프 형상의 단면이 혼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7,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교량용 강재 거더(100, 100', 200, 300, 400)와 이와 유사한 구성의 교량용 강재 거더를 이용하여 도8에 도시된 토목 구조물이 구성될 수 있다. 도8에 도시된 2경간 교량(1000)은 교각 및 교대(60)의 교좌 장치(60a) 상에 구조용 강재 거더(100, 100')를 다수의 열로 거치시키고, 그 위에 바닥판 콘크리트(500)를 합성하여 시공된다. 예를 들어, 상기 교량(1000)이 높은 공용 하중이 작용하는 장경간 교량인 경우에는, 제1경간(좌측)에서는 주탑(700)을 세우고 제2경간(우측)에서는 아치(600)를 세워, 케이블(601, 701)로 바닥판 콘크리트(500) 또는 구조용 강재 거더(100, 100')를 연결시켜 추가적인 지지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The civil engineering structure shown in FIG. 8 may be configured by using the
이 때, 바닥판 콘크리트(500)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거더로 사용된 구조용 강재 거더(100')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 콘크리트(500)로부터 전달되는 하중(W)에 의해 하방으로 휘는 휨 변형이 발생되므로, 이 휨 모멘트에 저항하기 위하여 폐단면 강재(130, 140)는 하중(W)의 방향에 일치하도록 배열되도록 180도 간격을 두고 상, 하측에 배열된다. 이와 같이, 폐단면 강재(130, 140)는 중립축으로부터 멀리 이격(H)된 위치에 배열되므로, 고가의 강재의 사용량을 최소화하면서 하중(W)에 의한 휨 모멘트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tructural steel girders 100 'used as the girder for supporting the
더욱이, 지지 거더로 사용되는 도9의 구조용 강재 거더는 원형 폐단면을 내부에 형성하므로, 중심으로부터 각 강재가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므로, 비틀림 강성에도 높은 저항 능력을 갖게 된다. 따라서, 반원단면강재(110, 120)의 내부에 별도의 보강재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U자형 거더나 박스형 거더와 달리, 그 자체로 비틀림 변위가 거의 발생되지 않는다. Moreover, since the structural steel girders of FIG. 9 used as support girders form a circular closed cross section therein, the respective steels are arranged at equal distances from the center, and thus have high resistance to torsional rigidity. Therefore, unlike the U-shaped girder or the box-shaped girder, the torsional displacement itself is hardly generated even if a separate reinforcement is not provided inside the semi-circular cross-section steels 110 and 120.
또한, 외형이 원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시각적으로도 세련된 미관을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량에 불어오는 바람에 의한 풍하중(W2)도 곡면을 따라 발산시키는 능력이 탁월하므로, 풍하중에도 탁월한 저항 능력을 구현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the outer shape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it can not only realize a visually refined aesthetic appearance, but also has an excellent ability to shed wind loads (W2) caused by the wind blowing on the bridge along the curved surface, thereby providing excellent resistance to wind loads. Can be.
한편, 교량(1000)의 주탑(700)으로 사용되는 교량용 강재 거더(700)는 다양한 방위로부터 풍하중이 작용하므로, 원형 폐단면 강재가 반원단면강재의 둘레에 골고루 분산 배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1반원단면강재와 제2반원단면강재에 의해 외형이 곡면으로 이루어진 중공 부재를 형성하고, 폐곡선 단면이 포함된 폐단면 강재가 제1반원단면강재와 제2반원단면강재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접합되어 중립축으로부터 멀리 이격된 위치에서 휨 강성을 보강하도록 접합됨으로써, 강재의 사용량을 최소화하면서 휨 모멘트에 대해 보다 높은 지지 능력을 구현하는 교량용 강재 거더를 제공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hollow member having a curved shape by the first semicircular cross-section steel and the second semicircular cross-section steel, and the closed cross section steel including the closed curve cross section is formed of the first semicircular cross section steel and the second semicircular cross section steel. Bonded to any one or more of the semi-circular cross-section steel to reinforce the flexural rigidity at a position remote from the neutral axis, thereby providing a steel girder for the bridge to realize a higher support capacity for the bending moment while minimizing the amount of steel used.
또한, 본 발명은 제1반원단면강재와 제2반원단면강재를 이용하여 폐단면 형상을 구성함에 따라, 중심으로부터 각 부재의 위치까지의 거리 편차가 최소화되어, 보강재를 내부에 설치하지 않더라도 높은 비틀림 강성을 갖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closed cross-sectional shape is formed by using the first semicircular cross-section steel and the second semicircular cross-section steel, the distance deviation from the center to the position of each member is minimized, even if the reinforcement is not installed inside. An advantageous effect having rigidity can be obtained.
또한, 본 발명은 외주면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풍하중에 대해 높은 저항 능력을 가질 뿐 아니라, 그 자체로 세련된 외관을 구성하므로 교량, 아치, 탑 등의 토목 구조물이나 건축 구조물에 사용될 경우에 별도의 부재를 결합시키지 않더라도 세련된 외관을 구현할 수 있는 부수적인 잇점도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has a high resistance to the wind load becaus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formed as a curved surface, and by itself constitutes a sophisticated appearance, so that separate members when used in civil and architectural structures such as bridges, arches, towers, etc. Even without the combination, you can get the added benefit of creating a stylish look.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 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폐단면 강재가 반원단면강재의 끝단에 접합된 구성을 예로 들었지만, 반원단면강재의 바깥면에 접합되는 구성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다. In the above,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y way of example,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mbodiments, and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within the scope described in the claims.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each closed cross-section steel has been exemplified a configuration that is bonded to the end of the semi-circular cross-section steel, the configuration is join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emi-circular cross-section steel also belongs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앞서 예로 든 실시예의 각 구성들은 특정 형상에 국한되어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각 실시예에 나타나지 않은 구성들을 조합하여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다양한 형태의 교량용 강재 거더를 구현할 수 있다.
In addition, each configuration of the above-exemplified embodiments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shape, and may be combined with components not shown in each embodiment to implement various types of steel girders for bridges described in the claims.
100, 100', 200, 300, 400: 교량용 강재 거더
110, 210: 제1반원단면강재
120, 220: 제2반원단면강재
130, 140, 230, 240: 폐단면 강재
150, 250: 긴장재100, 100 ', 200, 300, 400: steel girders for bridges
110, 210: first semicircular section steel
120, 220: second semicircular section steel
130, 140, 230, 240: closed section steel
150, 250: tension material
Claims (9)
단면이 원형이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강관 파이프를 절반으로 절단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 반원형태의 단면을 갖는 제1반원단면강재(110) 및 제2반원단면강재(120)와;
보강재가 내부에 결합되지 않는 폐단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교량에 설치된 상태에서 압축 응력과 인장 응력이 최대로 작용하는 상측과 하측에 180도 간격을 두고 각각 배치되고, 폭이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제1반원단면강재의 끝단과 상기 제2반원단면강재의 끝단이 각각 양측에 용접 접합되되, 상기 제1반원단면강재 및 상기 제2반원단면강재의 원호보다 반경 바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1반원단면강재 및 상기 제2반원단면강재에 양측이 각각 접합되는 한 쌍의 폐단면 강재(130, 1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원형 단면의 강관 파이프를 절단하여 형성된 상기 제1반원단면강재(110, 120)의 양끝단을 상기 폐단면 강재(130, 140)에 용접 접합하여 외부와 차단되는 폐단면(101)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 콘크리트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바닥판 콘크리트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강재 거더.
Steel girders for bridges that support loads acting on the concrete slabs of bridges,
A first semicircular cross-section steel 110 and a second semicircular cross-section steel 120 having a semicircular cross section formed by cutting a steel pipe pipe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half;
The reinforcement is made of a closed cross section which is not coupled to the inside, and are disposed at the upper and lower sides, respectively, with a maximum width and a compressive stress and a tensile stress in the state installed in the bridge, and are formed with the same width and the same size, respectively. The first semi-circular cross section so that the end of the first semi-circular cross section steel and the end of the second semi-circular cross section steel are welded to both sides, respectively, and protrude outward from the arc of the first semi-circular cross section steel and the second semi-circular cross section steel. A pair of closed cross-section steels (130, 140), each side of which is joined to a steel material and the second semi-circular cross-section steel;
It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end surface 101 is cut off from the outside by welding the both ends of the first semi-circular cross-section steel (110, 120) formed by cutting a steel pipe pipe of a circular cross section to the closed cross-section steel (130, 140) ) Is formed, and installed on the bottom side of the bottom plate concrete to support the load acting on the bottom plate concrete girder for bridges.
상기 교량용 강재 거더는 종방향을 따라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교량용 강재 거더는 종방향으로 다수 연결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강재 거더.
The method of claim 1,
The steel girder for bridges is formed to have a curvatur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teel girder for bridge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ridge is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폐단면 강재에는 긴장재(150)가 내설되어 상기 긴장재(150)를 긴장 정착하는 것에 의해 상기 교량용 강재 거더에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강재 거더.
The method of claim 1,
The steel girder for bridges, characterized in that the tension section 150 is embedded in the closed section steel to introduce compression prestress into the steel girder for bridges by tensioning the tension member 150.
상기 폐단면 강재(130, 140) 내에 내설되는 긴장재에는 상기 폐단면 강재(130, 140)의 내벽과 상기 긴장재(150)의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재(260)가 종방향 간격을 두고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강재 거더.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In the tension member installed in the closed cross-section steel (130, 140), the spacer 260 for maintaining a gap between the inner wall of the closed cross-section steel (130, 140) and the tension member 150 is installed at a longitudinal interval. Steel girder for bridges,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교량용 강재 거더의 상측에 설치된 바닥판 콘크리트를;
포함하고, 상기 폐단면 강재는 중력 방향으로 상하측에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A steel gird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ich is mounted in a plurality of rows as a supporting member on a lower structure of the bridge;
A bottom plate concrete installed on an upper side of the bridge steel girder;
The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the closed section steel i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respectively in the direction of gravit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24909A KR101198116B1 (en) | 2012-03-12 | 2012-03-12 | Steel grirder for bridg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24909A KR101198116B1 (en) | 2012-03-12 | 2012-03-12 | Steel grirder for bridg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98116B1 true KR101198116B1 (en) | 2012-11-12 |
Family
ID=47564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24909A Active KR101198116B1 (en) | 2012-03-12 | 2012-03-12 | Steel grirder for bridg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98116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13595B1 (en) * | 2019-05-10 | 2020-05-21 | 윤창식 | Steel pipe structure and manufactring method therof |
KR102166067B1 (en) * | 2020-04-02 | 2020-10-15 | 김난영 | Polyethylene floating pier for having strength reinforced buoyancy pipe |
KR20220047040A (en) * | 2020-10-08 | 2022-04-15 | 주식회사 가우리안 | Section structure of steel structure having the sam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45789Y1 (en) | 2003-12-22 | 2004-03-24 | 노윤근 | Steel prestressed concrete grider utilizing a steel pipe as a mold |
KR100904880B1 (en) | 2007-07-20 | 2009-06-29 | 코스피 주식회사 | Long span structure with composite arch and under tension and construction method |
KR100945050B1 (en) * | 2009-06-11 | 2010-03-05 | (주)리튼브릿지 | Steel concrete tube girder |
US7874036B2 (en) | 2008-09-16 | 2011-01-25 | Carlos Wong | Energy storage bridge |
-
2012
- 2012-03-12 KR KR1020120024909A patent/KR10119811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45789Y1 (en) | 2003-12-22 | 2004-03-24 | 노윤근 | Steel prestressed concrete grider utilizing a steel pipe as a mold |
KR100904880B1 (en) | 2007-07-20 | 2009-06-29 | 코스피 주식회사 | Long span structure with composite arch and under tension and construction method |
US7874036B2 (en) | 2008-09-16 | 2011-01-25 | Carlos Wong | Energy storage bridge |
KR100945050B1 (en) * | 2009-06-11 | 2010-03-05 | (주)리튼브릿지 | Steel concrete tube girder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13595B1 (en) * | 2019-05-10 | 2020-05-21 | 윤창식 | Steel pipe structure and manufactring method therof |
KR102166067B1 (en) * | 2020-04-02 | 2020-10-15 | 김난영 | Polyethylene floating pier for having strength reinforced buoyancy pipe |
KR20220047040A (en) * | 2020-10-08 | 2022-04-15 | 주식회사 가우리안 | Section structure of steel structure having the same |
KR102585160B1 (en) * | 2020-10-08 | 2023-10-05 | 주식회사 가우리안 | Section structure of steel structure having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22853B1 (en) | Composite girder for constructing bridge | |
WO2006031001A1 (en) | Steel-concrete sandwitch type hybrid beam and high strengh hybrid structure system using the same | |
KR101125917B1 (en) | Prestressed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 |
KR100964067B1 (en) | Steel girder for bridg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20170090610A (en) | Connection unit for coupling main steel girder and ancillary steel girder and, connection methods using the same | |
KR101198116B1 (en) | Steel grirder for bridge | |
KR101272278B1 (en) | Truss-arch type composite bridge | |
KR101286112B1 (en) | Composite girder with steel pipe and rahmen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JP2010281044A (en) | Mixed structural beam | |
KR101321699B1 (en) | Composite truss beam using double tube type pipe member and bridge therewith | |
EP2729637B1 (en) | Lattice member and self-supporting modular structure | |
KR101209363B1 (en) | Concrete block for seismic reinforcement of H-shaped column and seismic reinforcing method using the same | |
KR101438030B1 (en) | Composite beam with reinforced support member structure and the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 | |
JP2005200928A (en) | Reinforcement structure of columnar structure | |
KR101458091B1 (en) | Construction method for cable bridge using transverse prestressed girder | |
KR100767145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prestressed concrete temporary bridge that can be assembled and dismantled using lateral steel wire | |
KR101182680B1 (en) | I section composite girder, girder bridge and manufacturing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
JP5439016B2 (en) | Buried formwork | |
JP2016089550A (en) | Structure and method for joining reinforced concrete beam and steel-pipe column | |
KR101834423B1 (en) | Precast concrete beam with variable cross section | |
JP4277209B2 (en) | Building structure | |
JP6451383B2 (en) | Horizontal structure | |
JP6312130B2 (en) | Column beam structure and beam end members | |
KR100740512B1 (en) | Composite girder for beams | |
KR101938375B1 (en) | Prestressed bridge structure for reaction-force restraint using rahmen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2032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1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8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0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11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0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00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3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01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1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2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