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6760B1 - 제스처 인식을 이용한 단말기 제어 방법 및 그 단말기 - Google Patents
제스처 인식을 이용한 단말기 제어 방법 및 그 단말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96760B1 KR101196760B1 KR1020100019000A KR20100019000A KR101196760B1 KR 101196760 B1 KR101196760 B1 KR 101196760B1 KR 1020100019000 A KR1020100019000 A KR 1020100019000A KR 20100019000 A KR20100019000 A KR 20100019000A KR 101196760 B1 KR101196760 B1 KR 10119676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external screen
- touch
- screen
- us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20—Movements or behaviour, e.g. gesture recogni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sychiatr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 있어서, 제스처 검출부의 일 실시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 있어서, 제스처 검출부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스처 인식에 따른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110, 210, 310: 프로젝터
120, 220, 320: 제스처 검출부
130: 제어부
140: 카메라
150: 저장부
221: 적외선 송신부
222: 적외선 수신부
Claims (17)
- 단말기의 외부 공간에 상기 단말기의 제어를 위한 외부 화면을 투영하는 프로젝터;
상기 프로젝터에 의해 투영된 외부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및 터치 위치를 검출하는 제스처 검출부;
상기 외부 화면이 투영되는 공간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외부 화면을 프로젝터에 제공하고, 상기 카메라의 촬영 영상으로부터 외부 화면의 배경 색상을 검출하여, 배경 색상과 구분되도록 상기 외부 화면의 기준 색상을 제어하고, 상기 외부 화면의 투영 이후에 상기 제스처 검출부를 통해 사용자의 터치 및 터치 위치가 검출되면, 상기 터치 위치에 대응하는 명령을 검출하여 실행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시분할 방식을 적용하여, 복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프로젝션의 시간 별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투영하도록 상기 프로젝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는
외장형으로 구현되어, 상기 단말기의 제어부와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처 검출부는
적외선 위치 센서, 초음파 위치 센서, RF 위치 센서, 및 카메라 중에서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 및 터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처 검출부가 카메라를 이용하여 터치 및 터치 위치를 검출하는 경우, 상기 제스처 검출부는 상기 외부 화면이 투영되는 위치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일체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처 검출부가 카메라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카메라로 촬영된 외부 화면에 대한 영상의 픽셀 변화로부터 터치 및 터치 위치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화면은
상기 단말기에서 현재 실행중인 기능에 대한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화면은
상기 단말기에서 멀티 태스킹에 의해 실행되는 복수의 기능에 대한 복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집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투영하는 복수의 프로젝션 파트로 이루어져, 상기 복수의 프로젝션 파트가 상기 복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각각 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화면의 터치 위치 별로 설정된 명령을 저장하고, 상기 터치 위치에 대응하는 명령을 상기 제어부로 제공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 단말기를 제어할 외부 화면이 투영될 단말기의 외부 공간을 촬영하여 상기 외부 화면의 배경 색상을 검출하고, 상기 배경 색상과 구분되도록 상기 외부 화면의 기준 색상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를 제어할 외부 화면을 상기 외부 공간에 투영하는 단계;
상기 투영한 외부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면, 상기 터치 위치에 대응하는 명령을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공간에 투영하는 단계는
시분할 방식에 따라서, 복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프로젝션 시간 별로, 서로 다른 공간에 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스처 인식을 이용한 단말기의 제어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단계는
적외선 위치 센서 또는 초음파 위치 센서 또는 RF 위치 센서를 통해 상기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스처 인식을 이용한 단말기의 제어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화면을 카메라로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의 픽셀변화를 통해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스처 인식을 이용한 단말기의 제어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화면은
상기 단말기에서 현재 실행중인 기능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스처 인식을 이용한 단말기의 제어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화면은
상기 단말기에서 멀티 태스킹에 의해 실행되는 복수의 기능에 대한 복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집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스처 인식을 이용한 단말기의 제어 방법. - 삭제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화면을 투영하는 단계는
복수의 프로젝션 파트를 통해, 상기 복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서로 다른 공간에 동시에 투영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스처 인식을 이용한 단말기의 제어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19000A KR101196760B1 (ko) | 2010-03-03 | 2010-03-03 | 제스처 인식을 이용한 단말기 제어 방법 및 그 단말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19000A KR101196760B1 (ko) | 2010-03-03 | 2010-03-03 | 제스처 인식을 이용한 단말기 제어 방법 및 그 단말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99965A KR20110099965A (ko) | 2011-09-09 |
KR101196760B1 true KR101196760B1 (ko) | 2012-11-05 |
Family
ID=44952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19000A KR101196760B1 (ko) | 2010-03-03 | 2010-03-03 | 제스처 인식을 이용한 단말기 제어 방법 및 그 단말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9676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29390A (ko) * | 2014-09-05 | 2016-03-15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KR102343365B1 (ko) | 2015-01-26 | 2021-12-27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객체표시 방법 |
-
2010
- 2010-03-03 KR KR1020100019000A patent/KR101196760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99965A (ko) | 2011-09-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455044B2 (en) | Motion detection system having two motion detecting sub-system | |
US9250790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method of processing information, and computer program storage device | |
US8670078B2 (en) | Two-sided remote control | |
US10969955B2 (en) | Electronic device | |
EP3627810B1 (en) | Proximity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 |
US20120218231A1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alibration of a Touch Screen | |
US20150186016A1 (en) |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window management of multiple screens | |
US20140062863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electronic blackboard system | |
EP3444752B1 (en) | Fingerprint recognition process | |
KR20160001602A (ko) | 폴더블 전자 장치의 인터페이싱 방법 및 그 폴더블 전자 장치 | |
US20150331491A1 (en) | System and method for gesture based touchscreen control of displays | |
CN103365549A (zh) | 输入装置、显示系统及输入方法 | |
CN104902186A (zh) | 一种相机程序快捷启动方法及应用该方法的移动终端 | |
KR102157224B1 (ko) | 사용자 단말 장치, 제어 방법 및 컨텐츠 제공 시스템 | |
CN109643203A (zh) | 一种双屏终端点亮屏幕的方法及终端 | |
KR20220108161A (ko) | 카메라 작동 방법 및 전자기기 | |
TW201510772A (zh) | 手勢判斷方法及電子裝置 | |
US20180188944A1 (en) |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CN109521940B (zh) | 移动终端装置、操作方法和存储介质 | |
JP2020160654A (ja) | 表示装置の制御方法及び表示装置 | |
KR101196761B1 (ko) | 제스처 인식을 이용한 콘텐츠 전송 방법 및 그 단말기 | |
KR101196760B1 (ko) | 제스처 인식을 이용한 단말기 제어 방법 및 그 단말기 | |
KR101134245B1 (ko) | 3차원 가상 리모콘을 포함한 전자기기 및 그의 구동 방법 | |
KR102333931B1 (ko) | 영상 투사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
EP3701709B1 (en) |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303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1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030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110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3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0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10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2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9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9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9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