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96216B1 - 평형유지장치를 구비하는 초음파 진단장치 및 초음파 진단장치의 평형을 유지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평형유지장치를 구비하는 초음파 진단장치 및 초음파 진단장치의 평형을 유지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6216B1
KR101196216B1 KR1020100102573A KR20100102573A KR101196216B1 KR 101196216 B1 KR101196216 B1 KR 101196216B1 KR 1020100102573 A KR1020100102573 A KR 1020100102573A KR 20100102573 A KR20100102573 A KR 20100102573A KR 101196216 B1 KR101196216 B1 KR 101196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ance
main body
unit
ultrasonic diagnostic
equilibriu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2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1017A (ko
Inventor
허남용
Original Assignee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2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6216B1/ko
Publication of KR20120041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1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6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621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19Inertial sensors, e.g. accelerometers, gyroscopes, tilt switch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형유지장치를 구비하는 초음파 진단장치 및 초음파 진단장치의 평형을 유지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초음파 진단장치가 일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신속한 무게중심의 변경이 이루어짐으로써, 장치의 쓰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평형유지장치를 구비하는 초음파 진단장치 및 초음파 진단장치의 평형을 유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평형유지장치를 구비하는 초음파 진단장치는 초음파 진단장치의 본체부와, 본체부의 평형상태를 감지하여 본체부의 전복을 방지하는 평형유지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평형유지장치를 구비하는 초음파 진단장치 및 초음파 진단장치의 평형을 유지하는 방법{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WITH BALANCING DEVICE AND METHOD FOR BALANCING THE SAME}
본 발명은 평형유지장치를 구비하는 초음파 진단장치 및 초음파 진단장치의 평형을 유지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초음파 진단장치가 일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신속한 무게중심의 변경이 이루어짐으로써, 장치의 쓰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평형유지장치를 구비하는 초음파 진단장치 및 초음파 진단장치의 평형을 유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초음파 진단장치는 대상체의 체표로부터 체내의 소망 부위를 향하여 초음파 신호를 조사하고, 반사된 초음파 신호(초음파 에코신호)의 정보를 이용하여 연부조직의 단층이나 혈류에 관한 이미지를 무침습으로 얻는 장치이다.
초음파 진단장치는 X선 진단장치, CT스캐너(Computerized Tomography Scanner), MRI(Magnetic Resonance Image), 핵의학 진단장치 등의 다른 영상진단장치와 비교할 때, 소형이고 저렴하며, 실시간으로 표시 가능하고, X선 등의 피폭이 없어 안전성이 높은 장점이 있어, 심장, 복부, 비뇨기 및 산부인과 진단을 위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초음파 진단장치를 포함하는 의료장비의 하중이 25kg 이상인 경우, 해당 의료장비의 25%에 해당되는 무게로 밀었을 경우 넘어지지 않아야 되는 규정이 있는데, 최근 디자인의 슬림화로 인해 이러한 규정을 충족하기가 쉽지 않다. 특히, 초음파 진단장치를 포함하는 의료장비에 바퀴가 구비되는 경우, 별도로 초음파 진단장치를 구속하는 고정수단을 채택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초음파 진단장치 등의 장치가 외력에 의해 기울어지더라도, 무게중심 변경을 통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평형유지장치를 구비하는 초음파 진단장치 및 초음파 진단장치의 평형을 유지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평형유지장치를 구비하는 초음파 진단장치는: 초음파 진단장치의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평형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본체부의 전복을 방지하는 평형유지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평형유지장치는: 바퀴가 설치되며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의 평형상태를 감지하는 평형감지부; 및 상기 평형감지부에 연동되어 상기 본체부의 평형을 조절하는 평형조절부;를 포함한다.
상기 평형감지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감지부; 및 상기 제1감지부와 이격되게 상기 베이스부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2감지부;를 구비한다.
상기 평형조절부는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평형조절부재를 구비한다. 또한 평형조절부는 상기 평형조절부재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부의 평형을 조절하는 무게조절부재;를 더 구비한다.
상기 평형조절부재는 양방향 솔레노이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초음파 진단장치의 평형을 유지하는 방법은: (a) 본체부의 평형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및 (b) 상기 본체부가 기울어진 경우 평형유지장치를 동작시켜 상기 본체부를 평형상태로 복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본체부가 들린 방향으로 무게조절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본체부의 평형을 유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평형유지장치를 구비하는 초음파 진단장치 및 초음파 진단장치의 평형을 유지하는 방법은 평형유지장치를 이용하여 본체부의 평형을 유지함으로써, 초음파 진단장치가 기울어져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평형유지장치를 구비하는 초음파 진단장치 및 초음파 진단장치의 평형을 유지하는 방법은 바퀴가 설치되는 베이스부에 평형조절부를 설치함으로써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형유지장치가 구비된 초음파 진단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평형유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형유지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진단장치의 평형을 유지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형유지장치의 일측이 들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형유지장치가 평형을 유지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형유지장치의 타측이 들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평형유지장치를 구비하는 초음파 진단장치 및 초음파 진단장치의 평형을 유지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형유지장치가 구비된 초음파 진단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평형유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형유지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진단장치(10)는 본체부(11)와, 초음파를 송수신하는 프로브(12)와, 장치의 조작에 필요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각종 스위치 및 키 등을 구비한 컨트롤패널(13)과, 초음파 진단 결과를 영상으로 구현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14), 및 본체부(11)의 평형상태를 감지하여 본체부(11)의 전복을 방지하는 평형유지장치(100)를 포함한다.
초음파 진단장치(10)의 본체부(11)는 프로브를 통해 송신되는 초음파 신호를 송신 집속시키고 프로브를 통해 수신되는 초음파 신호를 수신 집속시키는 빔 포머(미도시)와, 빔 포머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프레임 데이터를 형성하는 데이터 형성부(미도시)와, 프레임 데이터에 기초하여 대상체의 2차원 또는 3차원 영상을 형성하는 프로세서(미도시)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미도시) 등을 포함한다.
평형유지장치(100)는 베이스부(102)와, 평형감지부(110), 및 평형조절부(12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평형유지장치(100)가 본체부(11)의 하측, 즉 무게중심의 하측인 본체부(11)의 하측에 평형유지장치(100)가 설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베이스부(102)는 본체부(11)의 일측에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부(102)는 본체부(11)의 하측에 위치되며, 베이스부(102)에는 바퀴(104)가 구비된다. 바퀴(104)는 베이스부(102)에 직접 설치될 수도 있고, 다른 브라켓 등에 의해 베이스부(102)에 설치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평형감지부(110)는 베이스부(102)에 구비되어 본체부(11)의 평형상태를 감지한다. 평형감지부(110)는 베이스부(102)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감지부(112) 및 제1감지부(114)와 이격되게 베이스부(102)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2감지부(114)를 구비한다. 제1감지부(112)와 제2감지부(11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02)의 저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감지부(112)와 제2감지부(114)가 베이스부(102)의 저면에 직접 설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제1감지부(112)와 제2감지부(114)는 바퀴(104)나 바퀴(104)가 설치된 브라켓부(미도시)에 설치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제1감지부(112)와 제2감지부(114)로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구비하여 바닥에서 반사되는 광을 감지하여 본체부(11)의 평형상태를 감지하는 광센서가 채용될 수도 있고, 바닥에 음파를 전송하여 돌아오는 음파를 감지하는 음파센서가 채용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센서들이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제1감지부(112)와 제2감지부(114)는 본체부(11)의 평형 상태를 빠르게 감지할 수 있도록 베이스부(102)의 양측 단부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형조절부(120)는 평형감지부(110)에 연동되어 본체부(11)의 평형을 조절한다. 평형조절부(120)는 베이스부(102) 또는 본체부(11)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50)는 평형감지부(110)로부터 본체부(11)의 평형 상태를 전달받고, 본체부(11)의 평형 상태에 따라 평형조절부(120)의 동작을 제어하여 본체부(11)의 평형 상태를 조절한다.
일 실시예로서, 평형조절부(120)는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평형조절부재(129)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평형조절부재(129)가 양방향 솔레노이드를 구비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평형조절부재(129)는 제어부(150)에서 송신되는 신호에 연동되어 본체부(11)가 들린 방향으로 이동되어 본체부(11)의 평형을 조절한다.
평형조절부(120)는 본체부(11)의 평형을 조절하는 무게조절부재(126)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무게조절부재(126)는 평형조절부재(129)의 양측에 설치되며, 평형조절부재(129)에 연동되어 이동되며 본체부(11)의 평형을 조절한다. 무게조절부재(126)는 평형조절부재(129)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1무게추(122)와, 제1무게추(122)와 이격되게 평형조절부재(129)의 타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2무게추(124)를 구비한다. 또한 무게조절부재(126)는 평형조절부재(129)가 이동하면서 이탈되지 않도록 평형조절부재(129)의 이동을 제한하는 멈춤턱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무게조절부재(126)는 평형조절부재(129)보다 폭이나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진단장치의 평형을 유지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진단장치의 평형을 유지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형유지장치의 일측이 들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형유지장치가 평형을 유지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형유지장치의 타측이 들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진단장치의 평형을 유지하는 방법은 평형감지부(110)에 의해 초음파 진단장치(10)의 들림, 즉 평형상태를 감지하고(S10), 초음파 진단장치(10)에 들림이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S20). 만약, 초음파 진단장치(10)에 들림이 발생될 경우 평형조절부(120)를 동작시켜 본체부(11)를 평형상태로 복귀시킨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음파 진단장치(10)의 우측(도면 기준)이 들린 경우 본체부(11)가 들린 방향으로 평형조절부(120), 보다 구체적으로 무게조절부재(126: 도 2 참조)를 이동시켜 본체부(11)의 평형을 유지한다(S30). 이와 같이 무게조절부재(126)를 본체부(11)가 들린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무게 중심이 우측으로 이동되어 본체부(11)의 들린 측이 아래로 내려오게 되어 평형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음파 진단장치(10)의 좌측이 들린 경우에는 평형조절부(120), 보다 구체적으로 무게조절부재(126: 도 2 참조)를 좌측으로 이동시켜 본체부(11)의 평형을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평형유지장치를 이용하여 본체부의 평형을 유지함으로써, 초음파 진단장치가 기울어져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바퀴가 달린 초음파 진단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초음파 진단장치뿐 아니라 다른 의료장비 등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초음파 진단장치 100 : 평형유지장치
102 : 베이스부 104 : 바퀴
110 : 평형감지부 120 : 평형조절부
126 : 무게조절부재 129 : 평형조절부재

Claims (8)

  1. 초음파 진단장치의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평형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본체부의 전복을 방지하는 평형유지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평형유지장치는 상기 본체부의 평형상태를 감지하는 평형감지부, 상기 평형감지부에 연동되어 상기 본체부의 평형을 조절하는 평형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유지장치를 구비하는 초음파 진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형유지장치는 바퀴가 설치되며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베이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평형감지부와 평형조절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유지장치를 구비하는 초음파 진단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평형감지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감지부; 및
    상기 제1감지부와 이격되게 상기 베이스부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2감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유지장치를 구비하는 초음파 진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형조절부는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평형조절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유지장치를 구비하는 초음파 진단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평형조절부는 상기 평형조절부재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부의 평형을 조절하는 무게조절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유지장치를 구비하는 초음파 진단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평형조절부재는 양방향 솔레노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유지장치를 구비하는 초음파 진단장치.
  7. (a) 본체부의 평형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및
    (b) 상기 본체부가 기울어진 경우 평형유지장치를 동작시켜 상기 본체부를 평형상태로 복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진단장치의 평형을 유지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본체부가 들린 방향으로 무게조절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본체부의 평형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진단장치의 평형을 유지하는 방법.
KR1020100102573A 2010-10-20 2010-10-20 평형유지장치를 구비하는 초음파 진단장치 및 초음파 진단장치의 평형을 유지하는 방법 Active KR101196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2573A KR101196216B1 (ko) 2010-10-20 2010-10-20 평형유지장치를 구비하는 초음파 진단장치 및 초음파 진단장치의 평형을 유지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2573A KR101196216B1 (ko) 2010-10-20 2010-10-20 평형유지장치를 구비하는 초음파 진단장치 및 초음파 진단장치의 평형을 유지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1017A KR20120041017A (ko) 2012-04-30
KR101196216B1 true KR101196216B1 (ko) 2012-11-05

Family

ID=46140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2573A Active KR101196216B1 (ko) 2010-10-20 2010-10-20 평형유지장치를 구비하는 초음파 진단장치 및 초음파 진단장치의 평형을 유지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62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2908B1 (ko) 2018-08-14 2023-10-23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캐스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의료 장치
KR20220078946A (ko) * 2020-12-04 2022-06-13 알피니언메디칼시스템 주식회사 가변형 프레임 어셈블리를 구비한 초음파 진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1017A (ko) 2012-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5145B1 (ko) 휴대형 초음파 진단기기
KR101222848B1 (ko) 초음파 진단장치의 프로브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32122A (ko) 삼차원 프로브 장치
EP3718482B1 (en) Ultrasound diagnost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80033075A (ko) 의료용 진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의료용 진단 방법
KR102530174B1 (ko) 초음파 영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051601B1 (ko) 충격 패턴 인식 초음파 장치 및 방법
KR101196216B1 (ko) 평형유지장치를 구비하는 초음파 진단장치 및 초음파 진단장치의 평형을 유지하는 방법
US20070276244A1 (en) Responsive medical diagnostic ultrasound imaging system and method
KR101196210B1 (ko) 유체를 이용한 자동평형유지장치 및 방법
US20190307423A1 (en) Probe rack and ultrasound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KR101023655B1 (ko) 접촉을 통해 컨트롤 패널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초음파 진단기
JP5353394B2 (ja) X線撮像装置
JP2006122548A (ja) 画像診断装置
JP2005021475A (ja) 超音波診断装置
KR20120054409A (ko) 이동형 초음파진단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53782A (ko) 컨트롤패널을 구비하는 초음파진단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010598B1 (ko) 초음파 진단장치
KR102716320B1 (ko) 초음파 진단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21023545A (ja) X線撮影装置
KR20100055676A (ko) 초음파 진단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277770B1 (ko) 삼차원 프로브 장치의 제어방법
KR20110027988A (ko) 초음파 진단장치의 프로브 및 그 진동을 억제하는 방법
KR20200116832A (ko) 초음파 진단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020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11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102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1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0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10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0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