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6194B1 - Sewage storage and discharge apparatus - Google Patents
Sewage storage and discharge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96194B1 KR101196194B1 KR1020120091521A KR20120091521A KR101196194B1 KR 101196194 B1 KR101196194 B1 KR 101196194B1 KR 1020120091521 A KR1020120091521 A KR 1020120091521A KR 20120091521 A KR20120091521 A KR 20120091521A KR 101196194 B1 KR101196194 B1 KR 10119619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wage
- discharge
- level
- storage tank
- valv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6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5
- 239000002244 precipi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22—Adaptations of pumping plants for lifting sewage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수 배출 전에 저장된 오수를 일정 시간 교반시켜 침전물의 유동 및 배출이 용이하도록 한 오수 저장 및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오수 유입구가 구비되며, 유입된 오수가 저장되는 저장탱크, 저장탱크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분기배출관, 저장탱크 외부에 위치하고 한 쌍의 분기배출관과 연결되는 주배출관, 저장탱크 내의 한 쌍의 분기배출관에 설치되는 한 쌍의 배출펌프, 주배출관에 설치되는 제 1 개폐밸브, 분기배출관과 제 1 개폐밸브 사이의 주배출관에서 분기되어 저장탱크의 하부와 연결되는 오수순환관 및 오수순환관에 설치되는 제 2 개폐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wage storage and discharging device for allowing the flow and discharge of sediment by stirring the stored sewage before the discharge of the sewage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sewage inlet is provided, and the storage tank, the storage tank inside the storage tank and the stored sewage A pair of branch discharge pipes connected to the outside, a main discharge pipe located outside the storage tank and connected to a pair of branch discharge pipes, a pair of discharge pumps installed on a pair of branch discharge pipes in the storage tank, and a first discharge pipe installed in the main discharge pipe. And a second on / off valve installed on the sewage circulation pipe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torage tank and branched from the main discharge pipe between the on / off valve, the branch discharge pipe and the first on / off valve.
Description
본 발명은 오수 저장 및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집수되는 오수를 저장함과 아울러 필요한 시점에 배출하도록 구성되되, 적정한 교반을 통하여 오수에 포함된 고형물이 침전, 축적 및 경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오수 저장 및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wage storage and discharg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store the collected sewage and to discharge at the required time, to prevent the solids contained in the sewage to settle, accumulate and harden through proper stirring It relates to sewage storage and discharge devices that can be used.
일반적으로 건물 등에서 발생하는 오수는 지하에 마련된 오수 탱크에 저장되었다가 일정량에 이르면 펌프와 같은 배출 장비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처리되게 된다.In general, the sewage generated in buildings, etc. is stored in the sewage tank provided in the basement and reaches a certain amoun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equipment such as a pump to be treated.
이와 같은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2-0012547호(2012.2.10.공개)가 있으며, 이 기술은 오수의 수위에 따라 메인 및 보조펌프를 작동시켜 오수를 배출하는 지하 오수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Such a technology is disclosed in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12547 (published on February 2, 2012), this technology is the underground sewage discharge to discharge the sewage by operating the main and auxiliary pumps according to the level of sewage Relates to a device.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장시간 오수를 저장하는 경우에 오수에 포함되는 비중이 큰 고형물이 바닥에 침전되고, 침전된 고형물은 다시 경화되어 배출 펌프가 작동하더라도 외부로 쉽게 배출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such a prior art has a problem that when a large amount of sewage is stored for a long time sewage solids are precipitated on the bottom, and the precipitated solids are cured again so that the discharge pump is not easily discharged to the outside.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오수 배출 전에 저장된 오수를 일정 시간 교반시켜 침전물의 유동 및 배출이 용이하도록 한 오수 저장 및 배출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wage storage and discharging device to facilitate the flow and discharge of sediment by stirring the stored sewage for a predetermined time before discharge of sewage.
또한, 본 발명은 오수를 장시간 저장하더라도 일정 간격으로 교반시켜 오수의 장시간 저장으로 인한 침전물의 경화 발생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 오수 저장 및 배출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wage storage and discharge devic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hardening of the sediment due to the long-term storage of the sewage by stirring at regular intervals even if the sewage is stored for a long time.
또한, 본 발명은 구성이 복잡하지 않고 단순하며 종래 기술을 크게 변경하지 않으면서도 오수의 저장과 필요시 배출이 용이한 오수 저장 및 배출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wage storage and discharge device that is easy to store and discharge when necessary, without complicated configuration, simple and without greatly changing the prior art.
또한, 본 발명은 고장 발생이 적고, 다양한 형태의 오수의 저장 및 배출이 가능하도록 한 오수 저장 및 배출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wage storage and discharge device that is less likely to cause a failure, it is possible to store and discharge various types of sewage.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오수 저장 및 배출장치는,As a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ors sewage storage and discharge device,
오수 유입구가 구비되며, 유입된 오수가 저장되는 저장탱크,The storage tank is provided with a sewage inlet, and the stored sewage,
저장탱크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분기배출관,A pair of branch discharge pipes connecting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storage tank,
저장탱크 외부에 위치하고 한 쌍의 분기배출관과 연결되는 주배출관,Main discharge pipe located outside the storage tank and connected to a pair of branch discharge pipe,
저장탱크 내의 한 쌍의 분기배출관에 설치되는 한 쌍의 배출펌프,A pair of discharge pumps installed in a pair of branch discharge pipes in the storage tank,
주배출관에 설치되는 제 1 개폐밸브,A first on-off valve installed in the main discharge pipe,
분기배출관과 제 1 개폐밸브 사이의 주배출관에서 분기되어 저장탱크의 하부와 연결되는 오수순환관 및A sewage circulation pipe branched from the main discharge pipe between the branch discharge pipe and the first opening / closing valve and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torage tank;
오수순환관에 설치되는 제 2 개폐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on-off valve installed in the sewage circulation pipe.
그리고 배출펌프, 제 1 및 제 2 개폐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And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charge pump, the first and second on-off valve,
상기 제어부는 오수를 배출하는 정상운전시에는 제 1 및 제 2 개폐밸브를 모두 개방하도록 제어하여 오수의 배출과 동시에 배출되는 오수의 일부가 탱크의 하부로 순환되도록 구성되며, 정상운전 이전의 예비운전시에는 제 2 개폐밸브만 개방하도록 제어하여 오수 배출 이전에 일부 오수가 순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open both the first and second on-off valves during the normal operation of discharging sewage so that a part of the sewage discharged at the same time as the discharge of the sewage is circulated to the lower part of the tank.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control only to open the second on-off valve to circulate some sewage prior to the discharge of sewage.
그리고 저장탱크 내에서 오수의 수위를 각각 감지하도록 설치되되, 저장탱크 저면으로부터 서로 이격되어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제 1 내지 제 3 수위센서 및And installed in the storage tank to detect the level of sewage, respectively, the first to third water level sensor sequentially install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from the bottom of the storage tank and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It further comprises an alarm means for generating an alarm,
상기 제어부는 제 1 내지 제 3 수위센서로부터 입력되는 검출신호에 따라 각 배출펌프와 제 1 및 제 2 개폐밸브의 가동 여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며,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each discharge pump and the first and second on-off valves according to detection signals input from the first to third water level sensors.
제 1 수위센서는 단일 배출펌프의 가동 시점에 해당되는 수위인 제 1 수위의 도달 여부를 검출하고, 제 2 수위센서는 양 배출펌프의 가동 시점에 해당되는 제 2 수위를 검출하며, 제 3 수위센서는 만수위로서 경보를 발생시키게 되는 수위인 제 3 수위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irst level sensor detects whether the first level, which is the level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time of the single discharge pump, is reached, and the second level sensor detects the second level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time of both the discharge pumps, and the third level. The sensor is configured to detect a third level, the level at which an alarm is generated as a full level.
그리고 제어부는,And the control unit,
저장탱크 내 오수의 도달 수위가 제 1 수위 미만인 경우, 일정 시간(Ta) 경과 여부를 판단하고, 일정 시간 Ta 이상 경과한 경우에는 배출펌프를 가동시키고 제 1 개폐밸브는 폐쇄되며 제 2 개폐밸브는 개방되도록 제어하고,When the water level of the sewage in the storage tank is less than the first level, it is determined whether a predetermined time Ta has elapsed, and when a predetermined time Ta or more has elapsed, the discharge pump is operated and the first on-off valve is closed and the second on-off valve is closed. Control it to open,
저장탱크 내 오수의 도달 수위가 제 1 수위 이상이고 제 2 수위 미만인 경우, 단일 배출펌프만 가동시키고 제 1 및 제 2 개폐밸브가 개방되도록 제어하되, 이전에 일정 시간 Tb 동안 배출펌프를 가동시키고 제 1 개폐밸브는 폐쇄되며 제 2 개폐밸브는 개방되도록 제어하며,If the sewage level of the sewage in the storage tank is above the first level and below the second level, only the single discharge pump is operated and the first and second open / close valves are controlled, but the discharge pump is operated for a predetermined time Tb and The 1 on-off valve is closed and the second on-off valve is controlled to open,
저장탱크 내 오수의 도달 수위가 제 2 수위 이상이고 제 3 수위 미만인 경우, 양 배출펌프를 가동시키고 제 1 및 제 2 개폐밸브가 개방되도록 제어하되, 이전에 일정 시간 Tc 동안 배출펌프를 가동시키고 제 1 개폐밸브는 폐쇄되며 제 2 개폐밸브는 개방되도록 제어하며,If the sewage level of the sewage in the storage tank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cond level and less than the third level, operate both discharge pumps and control the first and second open / close valves to open, but operate the discharge pump for a predetermined time Tc before The 1 on-off valve is closed and the second on-off valve is controlled to open,
저장탱크 내 오수의 도달 수위가 제 3 수위 이상인 경우, 경보를 발생시킴과 함께 양 배출펌프를 가동시키고 제 1 및 제 2 개폐밸브를 모두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n the water level of the sewage in the storage tank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ird level, an alarm is generated and both discharge pumps are operated and the first and second on / off valves are controlled to be opened.
그리고 상기 오수순환관의 단부는 저장탱크의 내측 하부 일측에 위치되되, 오수 배출시 요동가능하도록 가요성 재료로 제작되고, And the end of the sewage circulation pipe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inner lower side of the storage tank,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o as to be able to swing during discharge of sewage,
상기 저장탱크의 내측 저면은 경사지게 형성되되, 오수순환관의 단부가 위치하는 부분이 낮도록 구성되며,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tank is formed to be inclined,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sewage circulation pipe is configured to be low,
상기 오수순환관에는 오수순환관 단부의 상하 요동을 방지하기 위해 가이드 플레이트가 결합되어 구비되되,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오수순환관 단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ewage circulation pipe is provided with a guide plate coupled to prevent the up and down fluctuation of the end of the sewage circulation pipe, the guide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inclined downwar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end of the sewage circulation pipe.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을 통해, 본 발명인 오수 저장 및 배출장치는, 오수 배출 전에 저장된 오수를 일정 시간 교반시켜 침전물이 유동 및 배출이 용이하고, 오수를 장시간 저장하더라도 일정 간격으로 교반시켜 오수의 장시간 저장으로 인한 침전물의 경화 발생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구성이 복잡하지 않고 단순하며 종래 기술을 크게 변경하지 않으면서도 오수의 저장과 필요시 배출이 용이하며, 고장 발생이 적고, 다양한 형태의 오수의 저장 및 배출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Through the problem solving means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ors sewage storage and discharge device, by stirring the stored sewage before the discharge of the waste water for a certain time, the sediment is easy to flow and discharge, even if the waste water stored for a long time by stirring the waste water of Hardening of sediment due to long-term storage does not occur, the composition is not complicated and simple, and it is easy to store and discharge sewage without requiring major changes in the prior art, less breakdown, storage of various types of sewage And possible discharg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수 저장 및 배출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수 저장 및 배출장치의 오수 배출과정의 일예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수 저장 및 배출장치의 오수 순환과정의 일예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수 저장 및 배출장치의 제어과정의 주요부를 간략히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수 저장 및 배출장치의 저장탱크 저면 및 오수순환관의 단부를 간략히 도시한 부분도이다.1 is a view briefly showing a sewage storage and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briefly showing an example of the wastewater discharge process of the wastewater storage and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briefly showing an example of the wastewater circulation process of the wastewater storage and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low chart briefly showing the main parts of the control process of the sewage storage and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artial view briefly showing the end of the storage tank bottom and sewage circulation pipe of the sewage storage and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오수 저장 및 배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wastewater storage and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수 저장 및 배출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수 저장 및 배출장치의 오수 배출과정의 일예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수 저장 및 배출장치의 오수 순환과정의 일예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수 저장 및 배출장치의 제어과정의 주요부를 간략히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수 저장 및 배출장치의 저장탱크 저면 및 오수순환관의 단부를 간략히 도시한 부분도이다.
1 is a view briefly showing a sewage storage and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briefly showing an example of the wastewater discharge process of the sewage storage and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5 is a view brief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wastewater circulation process of a wastewater storage and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flowchart briefly illustrating main parts of a control process of the wastewater storage and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The bottom part of the storage tank of a wastewater storage and discharge apparatus, and the end part of a wastewater circulation pipe are simplified views.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수 저장 및 배출장치는, 오수 유입구가 구비되며 유입된 오수가 저장되는 저장탱크(1), 저장탱크(1)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분기배출관(2), 저장탱크(1) 외부에 위치하고 한 쌍의 분기배출관(2)과 연결되는 주배출관(3), 저장탱크(1) 내의 한 쌍의 분기배출관(2)에 설치되는 한 쌍의 배출펌프(4), 주배출관(3)에 설치되는 제 1 개폐밸브(5), 분기배출관(2)과 제 1 개폐밸브(5) 사이의 주배출관(3)에서 분기되어 저장탱크(1)의 하부와 연결되는 오수순환관(6) 및 오수순환관(6)에 설치되는 제 2 개폐밸브(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 1, the wastewater storage and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tank (1) is provided with a wastewater inlet, the pair of connecting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storage tank (1) for storing the introduced wastewater Branch discharge pipe (2), the main discharge pipe (3) located outside the storage tank (1) and connected to a pair of branch discharge pipe (2), a pair installed in a pair of branch discharge pipe (2) in the storage tank (1) Discharge pump (4), the first on-off valve (5) installed in the main discharge pipe (3), branched off from the main discharge pipe (3) between the discharge pipe (2) and the first on-off valve (5) storage tank (1)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open and close valve (7) installed in the sewage circulation pipe (6) and the sewage circulation pipe (6)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서는, 배출펌프(4)가 가동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탱크(1)에 저장된 오수는 분기배출관(2)과 주배출관(3)을 거쳐 외부로 배출되게 되는데, 이때 배출되는 오수의 일부를 오수순환관(6)을 통해 저장탱크(1)의 하부로 회수하여 분출시킴으로써 저장탱크(1)의 하부에 퇴적된 침전물을 교반시켜 배출되는 오수와 함께 배출시켜 침전물이 오랫동안 방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ischarge pump 4 is operated, as shown in FIG. 2, the wastewater stored in the
특히 오수가 장시간 저장되는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주기로 배출펌프(4)를 가동함과 동시에 제 1 개폐밸브(5)를 폐쇄하고 제 2 개폐밸브(7)만 개방함으로써, 탱크 내 오수가 저장탱크(1) --> 분기배출관(2) --> 주배출관(3) --> 오수순환관(6) --> 저장탱크(1)로 순환하고, 이때 순환하는 오수는 저장탱크(1) 내 하부에 고속으로 분출되어 침전물을 교반시켜 침전물의 장시간 방치로 인한 경화를 방지한다.
In particular, when the waste water is stored for a long time, as shown in Figure 3, by operating the discharge pump (4) at a constant cycle, at the same time by closing the first on-off valve (5) and opening only the second on-off valve (7), Sewage in the tank is circulated to the storage tank (1)-> branch discharge pipe (2)-> main discharge pipe (3)-> sewage circulation pipe (6)-> storage tank (1). Is sprayed at a high speed in the lower portion in the storage tank (1) to agitate the precipitate to prevent hardening due to long standing of the precipitate.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배출펌프(4), 제 1 및 제 2 개폐밸브(5,7)를 제어하는 제어부(8)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8)는 오수를 배출하는 정상운전시에 제 1 및 제 2 개폐밸브(5,7)를 모두 개방하도록 제어하여 오수의 배출과 동시에 배출되는 오수의 일부가 탱크의 하부로 순환되도록 하며, 정상운전 이전의 예비운전시에는 제 2 개폐밸브(7)만 개방하도록 제어하여 오수 배출 이전에 일부 오수가 순환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오수 배출 전에 오수를 순환시켜 충분히 교반시킨 후에 오수를 배출함과 아울러 배출 중에도 항상 오수를 지속적으로 순환시키도록 자동 제어하게 된다.Through this, the present invention is automatically controlled to circulate the sewage before the discharge of the sewage, and to discharge the sewage after fully stirring, and to continuously circulate the sewage during discharge.
필요에 따라 배출펌프(4), 제 1 및 제 2 개폐밸브(5,7)는 수동으로 조작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If necessary, the discharge pump 4 and the first and second on-off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저장탱크(1) 내에서 오수의 수위를 각각 감지하도록 설치되되 저장탱크(1) 저면으로부터 서로 이격되어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제 1 내지 제 3 수위센서(9,10,11)와,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수단이 더 구비되고, 제어부(8)는 제 1 내지 제 3 수위센서(9,10,11)로부터 입력되는 검출신호에 따라 각 배출펌프(4)와 제 1 및 제 2 개폐밸브(5,7)의 가동 여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데, 여기서, 제 1 수위센서(9)는 단일 배출펌프(4)의 가동 시점에 해당되는 수위인 제 1 수위의 도달 여부를 검출하고, 제 2 수위센서(10)는 양 배출펌프(4)의 가동 시점에 해당되는 제 2 수위를 검출하며, 제 3 수위센서(11)는 만수위로서 경보를 발생시키게 되는 수위인 제 3 수위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to detect the water level of the sewage in the
따라서, 저장탱크(1)의 바닥으로부터 제 1 수위센서(9), 제 2 수위센서(10) 및 제 3 수위센서(11)의 순으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8)는, 저장탱크(1) 내 오수의 도달 수위가 제 1 수위 미만인 경우에는, 일정 시간(Ta) 경과 여부를 판단하고, 일정 시간 Ta 이상 경과한 경우에는 배출펌프(4)를 가동시키고 제 1 개폐밸브(5)는 폐쇄되며 제 2 개폐밸브(7)는 개방되도록 제어한다.Specifically, the
이 경우에는 저장탱크(1) 내 오수의 양이 소량이어서 오수의 배출이 필요 없으나, 장시간 동안 오수의 미배출로 인해 일어나는 침전물이 발생 및 경화 작용을 방지하기 위해 오수를 강제 순환시키는 것이다.
In this case, since the amount of sewage in the
그리고 제어부(8)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탱크(1) 내 오수의 도달 수위가 제 1 수위 이상이고 제 2 수위 미만인 경우에, 단일 배출펌프(4)만 가동시키고 제 1 및 제 2 개폐밸브(5,7)가 개방되도록 제어하되, 이전에 일정 시간 Tb 동안 배출펌프(4)를 가동시키고 제 1 개폐밸브(5)는 폐쇄되며 제 2 개폐밸브(7)는 개방되도록 제어한다.And, as shown in FIG. 4, the
이 경우에는 저장탱크(1) 내 오수의 양이 많지 않으므로 단일 배출펌프(4)로만 오수의 배출이 이루어지며, 오수의 배출 전에 일정 시간 Tb 동안 오수를 순환시켜 저장탱크(1) 내의 오수를 교반시키게 된다.
In this case, since the amount of sewage in the
그리고, 저장탱크(1) 내 오수의 도달 수위가 제 2 수위 이상이고 제 3 수위 미만인 경우, 양 배출펌프(4)를 가동시키고 제 1 및 제 2 개폐밸브(5,7)가 개방되도록 제어하되, 이전에 일정 시간 Tc 동안 배출펌프(4)를 가동시키고 제 1 개폐밸브(5)는 폐쇄되며 제 2 개폐밸브(7)는 개방되도록 제어한다.In addition, when the water level of the sewage in the
이 경우에는 저장탱크(1) 내 저장된 오수의 양이 많으므로 양 배출펌프(4)로 오수의 배출이 이루어지며, 오수의 배출 전에 일정 시간 Tc 동안 오수를 순환시켜 저장탱크(1) 내의 오수를 교반시키게 된다.
In this case, since the amount of stored sewage in the
마지막으로, 저장탱크(1) 내 오수의 도달 수위가 제 3 수위 이상인 경우, 경보를 발생시킴과 함께 양 배출펌프(4)를 가동시키고 제 1 및 제 2 개폐밸브(5,7)를 모두 개방되도록 제어하는데, 저장탱크(1) 내 오수의 양이 과다한 경우(배출량에 비해 유입량이 과다한 경우)에는 오수를 순환시키는 예비과정을 생략하고 오수를 신속히 배출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Finally, when the sewage level of the sewage in the
예시적으로, Ta는 30일, Tb는 30분, Tc는 20분과 같이 정할 수 있는 데, Ta>Tb>Tc가 바람직하며, Tb>Tc로 하는 것은 저장된 오수의 양이 많은 경우에는 순환시간을 줄임으로써 신속히 오수를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For example, Ta may be set as 30 days, Tb as 30 minutes, and Tc as 20 minutes, and Ta>Tb> Tc is preferable, and Tb> Tc is a cycle time when the amount of stored sewage is large. To reduce the discharge of wastewater quickly.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수순환관의 단부(12)는 저장탱크(1)의 내측 하부 일측에 위치되되, 오수 배출시 요동가능하도록 가요성 재료로 제작되고, 저장탱크(1)의 내측 저면은 경사지게 형성되되, 오수순환관의 단부(12)가 위치하는 부분이 낮도록 구성된다.And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5, the
이를 통해, 오수순환관의 단부(12)는 오수 배출시 요동하면서 다양한 방향으로 오수를 배출하게 되어 일방향으로만 오수를 배출하는 것에 비해 저장탱크(1) 저면의 침전물을 골고루 전체적으로 유동 및 부유시킬 수 있고, 특히 저장탱크(1)의 저면의 경사로 인해 배출되는 오수는 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침전물의 부유를 용이하게 하는 특징이 있다.Through this, the
여기서, 오수순환관(6)에는 오수순환관 단부(12)의 상하 요동을 방지하기 위해 가이드 플레이트(13)가 결합되어 구비되되,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3)는 오수순환관 단부(12)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오수순환관 단부(12)의 수평 요동은 가능하되 상하 수직 요동을 방지하고 오수순환관의 단부(12)를 통해 배출되는 오수의 유동이 하방향을 향하도록 하여 저면에 누적 경화된 침전물도 제거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1: 저장탱크 2: 분기배출관
3: 주배출관 4: 배출펌프
5: 제 1 개폐밸브 6: 오수순환관
7: 제 2 개폐밸브 8: 제어부
9: 제 1 수위센서 10: 제 2 수위센서
11: 제 3 수위센서 12: 오수순환관(의) 단부
13: 가이드 플레이트1: storage tank 2: branch discharge pipe
3: main discharge pipe 4: discharge pump
5: 1st open / close valve 6: sewage circulation pipe
7: 2nd opening / closing valve 8: control part
9: first level sensor 10: second level sensor
11: third level sensor 12: end of sewage circulation pipe
13: guide plate
Claims (5)
저장탱크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분기배출관,
저장탱크 외부에 위치하고 한 쌍의 분기배출관과 연결되는 주배출관,
저장탱크 내의 한 쌍의 분기배출관에 설치되는 한 쌍의 배출펌프,
주배출관에 설치되는 제 1 개폐밸브,
분기배출관과 제 1 개폐밸브 사이의 주배출관에서 분기되어 저장탱크의 하부와 연결되는 오수순환관 및
오수순환관에 설치되는 제 2 개폐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저장 및 배출장치
The storage tank is provided with a sewage inlet, and the stored sewage,
A pair of branch discharge pipes connecting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storage tank,
Main discharge pipe located outside the storage tank and connected to a pair of branch discharge pipe,
A pair of discharge pumps installed in a pair of branch discharge pipes in the storage tank,
A first on-off valve installed in the main discharge pipe,
A sewage circulation pipe branched from the main discharge pipe between the branch discharge pipe and the first opening / closing valve and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torage tank;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on-off valve installed in the sewage circulation pipe
Sewage Storage and Drainage
배출펌프, 제 1 및 제 2 개폐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어부는 오수를 배출하는 정상운전시에는 제 1 및 제 2 개폐밸브를 모두 개방하도록 제어하여 오수의 배출과 동시에 배출되는 오수의 일부가 탱크의 하부로 순환되도록 구성되며, 정상운전 이전의 예비운전시에는 제 2 개폐밸브만 개방하도록 제어하여 오수 배출 이전에 일부 오수가 순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저장 및 배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t further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charge pump, the first and second on-off valve,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open both the first and second on-off valves during the normal operation of discharging sewage so that a part of the sewage discharged at the same time as the discharge of the sewage is circulated to the lower part of the tank.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control only to open the second on-off valve to circulate some sewage prior to sewage discharge
Sewage Storage and Drainage
저장탱크 내에서 오수의 수위를 각각 감지하도록 설치되되, 저장탱크 저면으로부터 서로 이격되어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제 1 내지 제 3 수위센서 및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어부는 제 1 내지 제 3 수위센서로부터 입력되는 검출신호에 따라 각 배출펌프와 제 1 및 제 2 개폐밸브의 가동 여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며,
제 1 수위센서는 단일 배출펌프의 가동 시점에 해당되는 수위인 제 1 수위의 도달 여부를 검출하고, 제 2 수위센서는 양 배출펌프의 가동 시점에 해당되는 제 2 수위를 검출하며, 제 3 수위센서는 만수위로서 경보를 발생시키게 되는 수위인 제 3 수위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저장 및 배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First to third water level sensor is installed to detect the level of sewage in the storage tank, respectively, sequenti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from the bottom of the storage tank and
It further comprises an alarm means for generating an alarm,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each discharge pump and the first and second on-off valves according to detection signals input from the first to third water level sensors.
The first level sensor detects whether the first level, which is the level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time of the single discharge pump, is reached, and the second level sensor detects the second level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time of both the discharge pumps, and the third level. The sensor is configured to detect a third level, the level at which an alarm is generated as a full level
Sewage Storage and Drainage
제어부는,
저장탱크 내 오수의 도달 수위가 제 1 수위 미만인 경우, 일정 시간(Ta) 경과 여부를 판단하고, 일정 시간 Ta 이상 경과한 경우에는 배출펌프를 가동시키고 제 1 개폐밸브는 폐쇄되며 제 2 개폐밸브는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저장탱크 내 오수의 도달 수위가 제 1 수위 이상이고 제 2 수위 미만인 경우, 단일 배출펌프만 가동시키고 제 1 및 제 2 개폐밸브가 개방되도록 제어하되, 이전에 일정 시간 Tb 동안 배출펌프를 가동시키고 제 1 개폐밸브는 폐쇄되며 제 2 개폐밸브는 개방되도록 제어하며,
저장탱크 내 오수의 도달 수위가 제 2 수위 이상이고 제 3 수위 미만인 경우, 양 배출펌프를 가동시키고 제 1 및 제 2 개폐밸브가 개방되도록 제어하되, 이전에 일정 시간 Tc 동안 배출펌프를 가동시키고 제 1 개폐밸브는 폐쇄되며 제 2 개폐밸브는 개방되도록 제어하며,
저장탱크 내 오수의 도달 수위가 제 3 수위 이상인 경우, 경보를 발생시킴과 함께 양 배출펌프를 가동시키고 제 1 및 제 2 개폐밸브를 모두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저장 및 배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control unit,
When the water level of the sewage in the storage tank is less than the first level, it is determined whether a predetermined time Ta has elapsed, and when a predetermined time Ta or more has elapsed, the discharge pump is operated and the first on-off valve is closed and the second on-off valve is closed. Control it to open,
If the sewage level of the sewage in the storage tank is above the first level and below the second level, only the single discharge pump is operated and the first and second open / close valves are controlled, but the discharge pump is operated for a predetermined time Tb and The 1 on-off valve is closed and the second on-off valve is controlled to open,
If the sewage level of the sewage in the storage tank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cond level and less than the third level, operate both discharge pumps and control the first and second open / close valves to open, but operate the discharge pump for a predetermined time Tc before The 1 on-off valve is closed and the second on-off valve is controlled to open,
When the sewage level of the sewage in the storage tank is higher than the third level, an alarm is generated and both discharge pumps are operated and the first and second on / off valves are controlled to be opened.
Sewage Storage and Drainage
상기 오수순환관의 단부는 저장탱크의 내측 하부 일측에 위치되되, 오수 배출시 요동가능하도록 가요성 재료로 제작되고,
상기 저장탱크의 내측 저면은 경사지게 형성되되, 오수순환관의 단부가 위치하는 부분이 낮도록 구성되며,
상기 오수순환관에는 오수순환관 단부의 상하 요동을 방지하기 위해 가이드 플레이트가 결합되어 구비되되,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오수순환관 단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저장 및 배출장치
The method of claim 4,
An end of the sewage circulation pipe is located at one side of the inner lower side of the storage tank, and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o as to be oscillable upon discharge of sewage,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tank is formed to be inclined,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sewage circulation pipe is configured to be low,
The sewage circulation pipe is provided with a guide plate coupled to prevent the up and down fluctuation of the end of the sewage circulation pipe, the guide plate is installed inclined downwar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end of the sewage circulation pipe
Sewage Storage and Drainage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91521A KR101196194B1 (en) | 2012-08-21 | 2012-08-21 | Sewage storage and discharge apparatus |
PCT/KR2012/010425 WO2014030808A1 (en) | 2012-08-21 | 2012-12-04 | Foul-water storage and discharge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91521A KR101196194B1 (en) | 2012-08-21 | 2012-08-21 | Sewage storage and discharge apparatu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96194B1 true KR101196194B1 (en) | 2012-11-05 |
Family
ID=47563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91521A Active KR101196194B1 (en) | 2012-08-21 | 2012-08-21 | Sewage storage and discharge apparatus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196194B1 (en) |
WO (1) | WO2014030808A1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76019B1 (en) * | 2014-07-22 | 2015-12-09 | 주식회사 조은펌프 |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with dual sensing way |
KR101638617B1 (en) | 2015-03-20 | 2016-07-11 | 장준영 | Sewage ejector of underground |
KR101786743B1 (en) * | 2017-04-27 | 2017-10-18 | 주식회사 티비 | Emergency operation system of pump |
KR102065694B1 (en) | 2019-03-27 | 2020-01-13 | 펌프랜드주식회사 | Wastewater discharge device and management system for it |
KR102575469B1 (en) * | 2023-05-18 | 2023-09-06 | 주식회사 보성엠앤피 | Treating system of dirty water and drainage with function crushing precipitate |
KR102580942B1 (en) * | 2023-02-22 | 2023-09-19 | 장준영 | Sewage ejector of underground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202020104218U1 (en) * | 2020-07-22 | 2020-08-03 | Heinrich Kunz | Lifting system for waste water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8713211D0 (en) * | 1987-06-05 | 1987-07-08 | Secr Defence | Sewage treatment plant |
JP2000015002A (en) * | 1998-06-30 | 2000-01-18 | Life Box:Kk | Sewage treatment facility |
WO2001072647A1 (en) * | 2000-03-25 | 2001-10-04 | R3 Management Limited | Process and apparatus for treating sewage or like sludge |
JP5248938B2 (en) * | 2008-07-03 | 2013-07-31 | セパレ−タ−システム工業株式会社 | Sewage treatment equipment |
-
2012
- 2012-08-21 KR KR1020120091521A patent/KR101196194B1/en active Active
- 2012-12-04 WO PCT/KR2012/010425 patent/WO2014030808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76019B1 (en) * | 2014-07-22 | 2015-12-09 | 주식회사 조은펌프 |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with dual sensing way |
KR101638617B1 (en) | 2015-03-20 | 2016-07-11 | 장준영 | Sewage ejector of underground |
KR101786743B1 (en) * | 2017-04-27 | 2017-10-18 | 주식회사 티비 | Emergency operation system of pump |
KR102065694B1 (en) | 2019-03-27 | 2020-01-13 | 펌프랜드주식회사 | Wastewater discharge device and management system for it |
KR102580942B1 (en) * | 2023-02-22 | 2023-09-19 | 장준영 | Sewage ejector of underground |
KR102575469B1 (en) * | 2023-05-18 | 2023-09-06 | 주식회사 보성엠앤피 | Treating system of dirty water and drainage with function crushing precipitat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4030808A1 (en) | 2014-02-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96194B1 (en) | Sewage storage and discharge apparatus | |
JP2009257061A (en) | Low tank device | |
US10570895B2 (en) | Pump system | |
JP2012021483A (en) | Pressurized water-discharging type pump system | |
JP2011245385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sand in settling basin | |
KR101258565B1 (en) | Apparatus for controlling rainwater inflow mounted to storm overflow chamber | |
KR101532275B1 (en) | A water storage tank which can discharge sludge | |
CN110397142A (en) | A system and method for flushing and diverting municipal sewage pipes | |
US20130228227A1 (en) | Siphon actuated filtration process | |
JP2010115571A (en) | Water treatment device | |
JP4412548B2 (en) | Manhole pump station | |
JP4957748B2 (en) | Washing machine | |
RU2618063C1 (en) | Horizontal sediment tank with sediment vacuum dewatering | |
KR101350969B1 (en) | Apparatus for automatically removing accumulations in upward pipe-line of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 |
KR101674417B1 (en) | Drainage system using siphon phenomenon | |
KR101401030B1 (en) | Discharge flow control system using siphonage | |
JP6538400B2 (en) | Pumping and drainage system | |
KR101221100B1 (en) | Apparatus for sewage treatment | |
CN106759828A (en) | A kind of combined system of online treatment storage pond and energy-conservation drainage pumping plant | |
KR100941871B1 (en) | Overflow preventing system of sewage of collection tank | |
CN209259826U (en) | A kind of waste water pretreatment system pipe arrangement | |
CN204728366U (en) | A kind of light current well dewatering installation | |
RU163822U1 (en) | SEWER PUMPING STATION | |
JP4644562B2 (en) | Water intake method in waterway | |
KR200368336Y1 (en) | Water Supply System by Tim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2082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1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0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10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0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26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8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0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0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0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02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0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2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