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4251B1 - Light weight shoe sole having structure for shock absorption and elastic rebound - Google Patents
Light weight shoe sole having structure for shock absorption and elastic reboun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94251B1 KR101194251B1 KR1020120055863A KR20120055863A KR101194251B1 KR 101194251 B1 KR101194251 B1 KR 101194251B1 KR 1020120055863 A KR1020120055863 A KR 1020120055863A KR 20120055863 A KR20120055863 A KR 20120055863A KR 101194251 B1 KR101194251 B1 KR 10119425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idsole
- protrusion
- reinforcing member
- supported
- buffer spa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026—Composites, e.g. carbon fibre or aramid fibre; the sole, one or more sole layers or sole part being made of a composite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5—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 A43B13/127—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the midsole being multilayer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6—Pieced sole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5—Elasticated plates sandwiched between two interlocking components, e.g. thrustor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7—Resiliency achieved by the features of the material, e.g. foam, non liquid material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38—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 A43B13/41—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combined with heel stiffener, toe stiffener, or shank stiffen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충격 흡수 및 반발탄성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는 충격 흡수와 반발탄성을 발휘하는 구조를 갖는 경량 신발 솔이 개시된다. 충격 흡수와 반발탄성을 발휘하는 구조를 갖는 경량 신발 솔은 보강부재, 보강부재의 일면에 지지되는 제1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제1미드솔(first midsole), 및 보강부재의 타면에 지지되는 제2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제2미드솔(second midsole)를 포함하고, 제1돌기와 제2돌기는 서로 겹쳐지지 않는 비중첩 영역에서 보강부재에 지지된다.Disclosed is a lightweight shoe sole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improving shock absorption and rebound elasticity and exhibiting shock absorption and rebound elasticity that can contribute to weight reduction. The lightweight shoe sole having a structure that exhibits shock absorption and resilience has a reinforcing member, a first midsole formed integrally with a first protrusion supported on one surface of the reinforcing member, and a second support support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member. A protrusion includes a second midsole integrally formed, and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second protrusion are supported by the reinforcing member in a non-overlapping region which does not overlap each oth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신발 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충격 흡수 및 반발탄성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는 충격 흡수와 반발탄성을 발휘하는 구조를 갖는 경량 신발 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so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ghtweight shoe sole having a structure that can improve impact absorption and rebound elasticity, and exhibits impact absorption and rebound elasticity that can contribute to weight reduction.
일반적으로 신발은 발을 보호하기 위해 착용하도록 개발되었지만, 최근 삶의 질이 높아지면서 신발에 대한 인식 또한 많이 변화하고 있는 추세이다.In general, shoes were developed to be worn to protect the foot, but as the quality of life has increased recently, the perception of shoes is also changing.
특히, 운동화 한 켤레로 여러 가지 운동을 하던 예전과 달리, 최근에는 사용자의 니즈에 따라 걷기(walking), 뛰기(running), 등산, 축구, 테니스, 야구, 골프 등 다양한 용도에 맞게 특성화된 기능성 신발이 개발되고 있다.In particular, unlike the past, where a pair of sneakers were used for various sports, recently, functional shoes specialized for various uses such as walking, running, climbing, soccer, tennis, baseball, golf, etc. Is being developed.
일반적으로 신발은 크게 발등 및 관절 부위를 보호하는 갑피부분(upper part), 및 발바닥을 보호하는 밑창부분(sole part)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밑창부분을 통해서는 보행 및 주행시 충격이 신체로 전달될 수 있고, 밑창부분이 무거울 경우에는 사용자가 쉽게 피로감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밑창부위는 충격을 완충 및 흡수할 수 있으며 가벼운 구조로 제공될 수 있어야 한다.In general, shoes are composed of an upper part that protects the instep and the joint area, and a sole part that protects the sole of the foot. Through the sole portion, the impact can be transmitted to the body during walking and driving, and when the sole portion is heavy, the user can easily feel fatigue, so the sole portion can cushion and absorb the impact and be provided in a light structure. It should be possible.
이에 따라, 최근에는 보행 및 주행시 신체로 전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는 밑창부분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 미흡하여 이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Accordingly, in recent years, the impact transmitted to the body during walking and driving can be minimized, and various studies have been made on the sole portion that can contribute to light weight, but there is still insufficient development of it.
본 발명은 보행 및 주행시 신체로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충격 흡수 기능을 가짐과 동시에 다음 동작을 위한 에너지를 도와주는 반발탄성을 갖는 경량 신발 솔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ghtweight shoe sole having a resilient elasticity that has a shock absorbing function that can minimize the shock transmitted to the body during walking and driving, and at the same time helps energy for the next operation.
또한, 본 발명은 우수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장시간 착용시에도 신체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켜 발의 피로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경량 신발 솔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excellent fit, and provides a lightweight shoe sole that can minimize the fatigue of the foot by improving the body energy efficiency even when worn for a long time.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충격 흡수와 반발탄성을 발휘하는 구조를 갖는 경량 신발 솔은 보강부재, 보강부재의 일면에 지지되는 제1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제1미드솔(first midsole), 및 보강부재의 타면에 지지되는 제2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제2미드솔(second midsole)를 포함하고, 제1돌기와 제2돌기는 서로 겹쳐지지 않는 비중첩 영역에서 보강부재에 지지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weight shoe sole having a structure that exhibits shock absorption and resilience, the reinforcing member, the first projection supported on one surface of the reinforcing member integrally A first midsole formed and a second midsole integrally formed with a second protrusion support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member, wherein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second protrusion are formed in a non-overlapping region not overlapping each other. It is supported by the reinforcing member.
제1 및 제2돌기는 제1 및 제2미드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복수개가 제공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돌기의 사이에는 각각 제1 및 제2완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may be provid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midsoles, and first and second buffer spaces are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respectively. Can be.
제1 및 제2돌기의 형상, 크기 및 이격 간격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돌기의 형상, 크기 및 이격 간격에 의해 제1 및 제2완충공간의 형상 및 크기가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개의 제1 및 제2돌기가 각각 제1 및 제2미드솔의 길이 방향을 따라 대략 파도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및 제2돌기는 제1 및 제2미드솔의 폭 방향을 따라 연속적인 일체로 또는 불연속적인 복수개로 제공될 수 있다.The shape, size, and spacing of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can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required conditions and design specifications, and the first and second buffers are formed by the shape, size, and spacing of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The shape and size of the space can be changed.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may be formed to have a substantially wave shape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midsoles,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may be provided in a continuous or integral plurality in a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midsoles.
제1미드솔 및 제2미드솔은 동일한 탄성 및 경도를 갖도록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제1미드솔 및 제2미드솔이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first midsole and the second midsole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to have the same elasticity and hardness, but in some cases, the first midsole and the second midsole may be formed of different materials.
본 발명에서 제1돌기 및 제2돌기가 비중첩 영역에서 보강부재에 지지된다 함은, 평면 투명시 보강부재에 지지되는 제1돌기 및 제2돌기의 각 지지부위가 서로 겹쳐지지 않는 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평면투영시 제1돌기는 제2완충공간 영역 상에서 보강부재에 지지될 수 있고, 제2돌기는 제1완충공간 영역 상에서 보강부재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1완충공간 및 제2완충공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외부와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understood that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are supported by the reinforcing member in the non-overlapping region, so that the respective support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supported by the reinforcing member when the plane is transparent do not overlap each other. Can be. More specifically, in planar projection, the first protrusion may be supported by the reinforcing member on the second buffer space region, and the second protrusion may be supported by the reinforcement member on the first buffer space region. 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first buffer space and the second buffer space may be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일 예로, 보강부재는 제1미드솔 및 제2미드솔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탄성을 갖는 고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보강부재가 제1미드솔 및 제2미드솔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탄성을 갖는 저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보강부재 및 각 미드솔의 경도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reinforcing member may be formed of a high elastic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higher elasticity than the first midsole and the second midsole. In some cases, the reinforcing member may be formed of a low elastic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lower elasticity than the first midsole and the second midsole, and the hardness of the reinforcing member and each midsole may be chang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required conditions and design specifications. Can be.
보강부재의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보강부재는 제1돌기 및 제2돌기가 지지되는 보강플레이트, 및 제1미드솔 및 제2미드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면을 감싸도록 보강플레이트의 측단부에 일체로 절곡되는 보강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structure of the reinforcing member may be chang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required conditions and design specifications. For example, the reinforcing member includes a reinforcing plate on which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are supported, and a reinforcing rib integrally bent at a side end portion of the reinforcing plate to surround a sid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midsoles. It can be configured.
보강리브는 보행 및 주행시 발생할 수 있는 뒤틀림을 억제시킴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보행 및 주행을 보장할 수 있으며, 보강리브는 보강플레이트보다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T2>T1)로 형성될 수 있다.The reinforcement ribs may suppress warpage that may occur during walking and running, thereby ensuring more stable walking and running, and the reinforcing ribs may be formed with a relatively thicker thickness (T2> T1) than the reinforcing plates.
또한, 보행 및 주행시 보강부재의 유동성이 보다 안정적으로 확보될 수 있도록 보강플레이트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보강부재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미드솔에는 노출공이 형성될 수 있고, 보강플레이트의 일부는 노출공을 통해 제1미드솔의 저면으로 노출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cut may be formed in the reinforcing plate so that the fluidity of the reinforcing member may be more stably ensured during walking and driving. Meanwhile, an exposure hole may be formed in the first midsole disposed under the reinforcing member, and a part of the reinforcing plate may be expos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midsole through the exposure hole.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흡수와 반발탄성을 발휘하는 구조를 갖는 경량 신발 솔에 의하면, 보행 및 주행시 신체로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충격 흡수 및 분산 특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다음 동작을 위한 에너지를 도와주는 반발탄성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ightweight shoe sole having a structure that exhibits shock absorption and resilience can improve energy absorption and dispersion characteristics while minimizing the shock transmitted to the body during walking and driving, and at the same time, energy for the next operation. It can improve the resilient elastic properties to help and contribute to weight reduction.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제1미드솔의 제1돌기가 제2미드솔의 제2돌기와 서로 겹쳐지지 않는 비중첩 영역에서 고탄성 재질의 보강부재에 지지되게 함으로써, 보행 및 주행시 발생하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 및 분산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보강부재를 매개로 제1돌기 및 제2돌기를 통해 전달되는 충격력이 전체적으로 고르게 분산 및 흡수될 수 있기 때문에 충격 흡수 및 분산 특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Particular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rotrusion of the first midsole is supported by the reinforcing member made of a high elastic material in a non-overlapping region not overlapping with the second protrusion of the second midsole, thereby effectively absorbing and dispersing the shock generated during walking and driving. You can.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mpact force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through the reinforcing member can be uniformly dispersed and absorbed as a whole, the shock absorption and dispersion characteristics can be maximiz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돌기 및 제2돌기가 고탄성 재질의 보강부재에 지지되기 때문에, 다음 동작을 위한 에너지를 도와줄 수 있는 반발탄성 특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보행 및 주행 중 추진(take off)시 추진력(반발탄성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are supported by the reinforcing member made of a high elastic material,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resilient elastic properties that may help energy for the next operation. In other words, the propulsive force (rebound resilience) can be improved when the vehicle is taken off and off.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우수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보다 편안한 보행 및 주행을 보장할 수 있음은 물론, 장기간 착용시에도 신체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켜 발의 피로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xcellent fit, to ensure a more comfortable walking and running, as well as to improve the body energy efficiency even during long-term wearing can minimize the fatigue of the foot.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보강부재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제1완충공간 및 제2완충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우수한 충격 흡수 성능을 보장하면서 신발 솔을 보다 경량으로 제작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buffer space and the second buffer space are formed on both sides with the reinforcing member interposed therebetween, the shoe sole can be made lighter while ensuring excellent shock absorption performanc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측면에서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측면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 및 분산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ffectively absorbed and dispersed side impact even if the impact occurs in the sid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완충공간 및 제2완충공간 내부에 충진제를 충진함으로써, 제1완충공간 및 제2완충공간에 모래, 자갈 등과 같은 이물질이 유입됨에 따른 쿠션 저하 및 충격 흡수 성능 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illing the filler in the first buffer space and the second buffer space, the cushioning and shock absorbing performance degradation due to the inflow of foreign matter such as sand, gravel into the first buffer space and the second buffer space. It can prevent it beforehan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흡수와 반발탄성을 발휘하는 구조를 갖는 경량 신발 솔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흡수와 반발탄성을 발휘하는 구조를 갖는 경량 신발 솔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흡수와 반발탄성을 발휘하는 구조를 갖는 경량 신발 솔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흡수와 반발탄성을 발휘하는 구조를 갖는 경량 신발 솔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격 흡수와 반발탄성을 발휘하는 구조를 갖는 경량 신발 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량 신발 솔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신발 솔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신발 솔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0의 신발 솔의 E-E선 단면도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 lightweight shoe sole having a structure that exhibits shock absorption and rebound elastic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a lightweight shoe sole having a structure for demonstrating impact absorption and resilienc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ottom view showing a lightweight shoe sole having a structure for demonstrating impact absorption and resili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3.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3.
7 and 8 are views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a lightweight shoe sole having a structure that exhibits shock absorption and rebound elastic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lightweight shoe sole having a structure that exhibits shock absorption and resilie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bottom view showing a light shoe so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side view of the shoe sole of FIG. 10. FIG.
12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of the shoe brush of FIG. 10.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EE of the shoe brush of FIG. 10.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상기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For reference, the same numbers in this description refer to substantially the same elements and can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other drawings under the above-mentioned rules, and the contents which are judged to be obvious to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or repeated can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흡수와 반발탄성을 발휘하는 구조를 갖는 경량 신발 솔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흡수와 반발탄성을 발휘하는 구조를 갖는 경량 신발 솔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흡수와 반발탄성을 발휘하는 구조를 갖는 경량 신발 솔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3의 C-C선 단면도이다. 한편,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흡수와 반발탄성을 발휘하는 구조를 갖는 경량 신발 솔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 lightweight shoe sole having a structure for showing shock absorption and resili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lightweight shoe having a structure for showing shock absorption and resili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sole, Figure 3 is a bottom view showing a lightweight shoe sole having a structure for exhibiting shock absorption and resili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3,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3,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of FIG. On the other hand, Figures 7 and 8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a lightweight shoe sole having a structure exhibiting shock absorption and resilienc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탄성을 갖는 경량 신발 솔은 보강부재(300), 제1미드솔(100), 제2미드솔(200)을 포함한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lightweight shoe sole having a high elastic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inforcing
상기 보강부재(300)는 제1미드솔(100) 및 제2미드솔(200)의 사이에 제공되며, 보강부재(300)를 포함하는 제1미드솔(100) 및 제2미드솔(200)은 인솔(insole)(미도시)과 아웃솔(400)(outsole)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하에서는 보강부재(300)의 하부에 제1미드솔(100)이 배치되고 보강부재(300)의 상부에 제2미드솔(200)이 배치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1미드솔과 제2미드솔의 배치 위치가 서로 변경될 수 있다.The reinforcing
상기 제1미드솔(100)(first midsole)의 상면에는 제1돌기(110)가 일체로 형성된다. 일 예로, 상기 제1돌기(110)를 갖는 제1미드솔(100)은 통상의 고무 및 합성수지 등을 이용하여 통상의 발포 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제1미드솔(100)이 미발포체로 형성되거나 여타 다른 재질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상기 제1돌기(110)는 제1미드솔(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복수개가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각 제1돌기(110)의 사이에는 제1완충공간(120)이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제1돌기(110)의 형상, 크기 및 이격 간격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제1돌기(110)의 형상, 크기 및 이격 간격에 의해 제1완충공간(120)의 형상 및 크기가 변경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복수개의 제1돌기(110)가 제1미드솔(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대략 파도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The shape, size, and spacing interval of the
아울러, 상기 제1돌기(110)는 제1미드솔(100)의 폭 방향을 따라 연속적인 일체로 또는 불연속적인 복수개로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돌기(110)가 폭 방향을 불연속적인 복수개로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이와 같이, 상기 제1돌기(110)가 폭 방향을 따라 불연속적인 복수개로 형성된 경우에는 신발 솔의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으며, 측면에서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제1돌기(110) 사이에 형성된 여러개의 공간을 통해 측면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 및 분산시킬 수 있다. 즉, 제1돌기(110)가 폭 방향을 따라 불연속적인 복수개로 형성됨에 따라 각 제1돌기(110) 사이에는 소정 공간이 확보될 수 있기 때문에, 측면에서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측면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 및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하중 방향을 따른 충격 발생시 제1돌기(110) 사이의 공간을 따라 내부 공기가 유동될 수 있기 때문에, 충격 흡수 및 분산 특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As such, when the
상기 제2미드솔(200)(second midsole)은 제1미드솔(100)의 상부에 제공되고, 제2미드솔(200)의 저면에는 제2돌기(210)가 일체로 형성된다. 일 예로, 상기 제2돌기(210)를 갖는 제2미드솔(200)은 통상의 고무 및 합성수지 등을 이용하여 통상의 발포 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제2미드솔이 미발포체로 형성되거나 여타 다른 재질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상기 제2돌기(210)는 제2미드솔(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복수개가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각 제2돌기(210)의 사이에는 제2완충공간(220)이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제2돌기(210)의 형상, 크기 및 이격 간격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제2돌기(210)의 형상, 크기 및 이격 간격에 의해 제2완충공간(220)의 형상 및 크기가 변경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복수개의 제2돌기(210)가 제2미드솔(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대략 파도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The shape, size, and spacing interval of the
아울러, 상기 제2돌기(210)는 제1미드솔(100)의 폭 방향을 따라 연속적인 일체로 또는 불연속적인 복수개로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2돌기(210)가 불연속적인 복수개로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상기 제1미드솔(100) 및 제2미드솔(200)은 동일한 탄성 및 경도를 갖도록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제1미드솔 및 제2미드솔이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되어 서로 다른 탄성 및 경도를 갖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전술한 제1돌기(110) 및 제2돌기(210)는 서로 겹쳐지지 않는 비중첩 영역에서 보강부재(300)에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돌기(110) 및 제2돌기(210)가 비중첩 영역에서 보강부재(300)에 지지된다 함은, 평면 투명시 보강부재(300)에 지지되는 제1돌기(110) 및 제2돌기(210)의 각 지지부위가 서로 겹쳐지지 않는 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평면투영시 상기 제1돌기(110)는 제2완충공간(220) 영역 상에서 보강부재(300)에 지지될 수 있고, 상기 제2돌기(210)는 제1완충공간(120) 영역 상에서 보강부재(300)에 지지될 수 있다.The
한편, 상기 제1완충공간(120) 및 제2완충공간(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외부와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완충공간(120) 및 제2완충공간(220)이 각각 외부와 연통되도록 제1미드솔(100) 및 제2미드솔(200)의 폭 방향을 따라 일종의 터널 형태로 관통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1완충공간 및 제2완충공간 중 어느 하나만이 외부와 연통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다르게는 제1완충공간 및 제2완충공간이 일단이 막힌 터널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t least one of the
이와 같이, 상기 제1완충공간(120) 및 제2완충공간(220)이 외부와 연통된 구조는 일종의 개방된 공기챔버로 사용될 수 있는 바, 일반적으로 알려진 폐쇄된 공기챔버와 달리 충격 발생시 제1완충공간(120) 및 제2완충공간(220)의 공기가 제1완충공간(120) 및 제2완충공간(220)을 따라 이동하며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기 충격이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 및 분산될 수 있다.As such, the structure in which the
상기 보강부재(300)는 전술한 제1미드솔(100) 및 제2미드솔(200)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탄성을 갖는 고탄성 재질로 형성되며, 제1미드솔(100) 및 제2미드솔(200)의 사이에 개재되어 제1돌기(110) 및 제2돌기(21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제공된다.The reinforcing
일 예로, 보강부재는 제1미드솔 및 제2미드솔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탄성을 갖는 고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 폴리우레탄(TPU)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보강부재가 제1미드솔 및 제2미드솔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탄성을 갖는 저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보강부재 및 각 미드솔의 경도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reinforcing member may be formed of a high elastic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higher elasticity than the first midsole and the second midsole, and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polyurethane (TPU). In some cases, the reinforcing member may be formed of a low elastic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lower elasticity than the first midsole and the second midsole, and the hardness of the reinforcing member and each midsole may be chang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required conditions and design specifications. Can be.
상기 보강부재(300)는 통상의 발포 소재 또는 무발포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여타 다른 재질로도 형성될 수 있다.The reinforcing
상기 보강부재(300)의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보강부재(300)는 제1돌기(110) 및 제2돌기(210)가 지지되는 보강플레이트(310), 및 상기 제1미드솔(100) 및 제2미드솔(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면을 감싸도록 보강플레이트(310)의 측단부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일체로 절곡되는 보강리브(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강리브(320)는 보강플레이트(310)로부터 마치 갈비뼈(rib)와 같이 보강플레이트(310)의 주변을 형성될 수가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보강리브(320)가 제2미드솔(200)의 측단부를 감싸도록 보강플레이트(310)의 상부 측으로만 절곡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The structure of the reinforcing
상기 보강리브(320)는 소정 크기를 갖도록 복수개가 제공될 수 있으며, 보강플레이트(310)의 측단부를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리브(320)의 크기, 개수 및 이격 간격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The reinforcing
상기 보강리브(320)는 보행 및 주행시 발생할 수 있는 뒤틀림을 억제시킴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보행 및 주행을 보장할 수 있게 한다. 아울러, 상기 보강리브(320)에 의한 뒤틀림 억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보강리브(320)는 보강플레이트(310)보다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T2>T1)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별도의 보강리브를 배제하고 보강플레이트만을 단독적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reinforcing
또한, 상기 보행 및 주행시 보강부재(300)의 유동성이 보다 안정적으로 확보될 수 있도록 보강플레이트(31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개부(312)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절개부(312)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보강플레이트(310)의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을 따라 절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절개부(312)가 형성되는 구간 역시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아울러, 특정 구간(예를 들어, 전족, 중족, 후족) 별로 서로 다른 크기 및 형상을 갖는 절개부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at least one
더욱이, 상기 절개부(312)는 신발 솔의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고, 제1완충공간(120) 및 제2완충공간(220) 간의 공기 이동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충격 발생시 공기 이동에 따른 충격 흡수 및 분산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절개부(312)는 측면에서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보강플레이트(310)의 유동이 보장될 수 있게 함으로써 측면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 및 분산시킬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보강부재(300)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미드솔(100)에는 노출공(130)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보강플레이트(310)의 일부는 노출공(130)을 통해 제1미드솔(100)의 저면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노출공(130)은 제1미드솔(100)이 일종의 브릿지(bridge) 구조를 갖게 함으로써, 충격 흡수 기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하고, 노출공(130)에 의한 공간 설계를 통해 신발을 보다 경량으로 제작할 수 있게 한다.Meanwhile, an
상기 제1미드솔(100)의 저면에는 아웃솔(400)(outsole)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아웃솔(400)은 지면에 직접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미끄럼을 방지하고 안정감을 부여할 수 있는 재질 및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An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제1미드솔(1100)에는 제1돌기(1110)가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일종의 엠보싱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미드솔(1200)에는 제2돌기(1210)가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일종의 엠보싱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돌기(1110)와 제2돌기(1210)는 서로 겹쳐지지 않는 비중첩 영역에서 보강부재(1300)에 지지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7, the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제1미드솔(2100)의 제1돌기(2110) 및 제2미드솔(2200)의 제2돌기(2210) 중 적어도 하나는 폐루프(closed-loop)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돌기(2110) 및 제2돌기(2210)는 대략 중공의 원통형 폐루프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2돌기(2210)는 제1돌기(2110)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제1돌기(2110)의 내측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에서 보강부재(2300)에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2돌기가 제1돌기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또는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어, 제1돌기의 외측 영역에서 보강부재에 지지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1돌기 및 제2돌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여타 다른 폐루프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르게는, 제1돌기 및 제2돌기가 전체적인 신발 형상에 대응하는 폐루프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신발 형상에 대응하는 폐루프 형상을 갖는 제1돌기 및 제2돌기가 점진적으로 작은 크기 또는 큰 크기를 갖도록 이격되게 복수개가 제공될 수도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8, at least one of the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격 흡수와 반발탄성을 발휘하는 구조를 갖는 경량 신발 솔을 도시한 도면이다. 아울러,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동일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Figure 9 is a view showing a lightweight shoe sole having a structure for exhibiting shock absorption and resilie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same or equivalent portions as those 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re denoted by the same or equivalent reference numeral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완충공간 및 제2완충공간이 일종의 에어 챔버와 같이 빈 공간으로 제공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완충공간의 내부에 별도의 충진제가 충진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and illustrat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buffer space and the second buffer space are described as examples in which an empty space is provided, such as an air chamber, but in some cases, a separate filler is filled in the buffer space. Can be.
즉,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1완충공간(120) 및 제2완충공간(220)에는 충진제(510,520)가 충진될 수 있다. 상기 충진제(510,520)로서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충진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충진제(510,520)의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상기 제1완충공간(120) 및 제2완충공간(220)에 충진되는 충진제(510,520)로서는 초경량 소재인 발포 우레탄이 사용될 수 있다.That is, referring to FIG. 9,
이와 같은 구조는 제1완충공간(120) 및 제2완충공간(220)에 모래, 자갈 등과 같은 이물질이 유입됨에 따른 쿠션 저하 및 충격 흡수 성능 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다.Such a structure enables to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the cushion and the impact absorption performance due to the inflow of foreign matter such as sand and gravel into the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량 신발 솔을 도시한 저면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신발 솔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2는 도 10의 신발 솔의 D-D선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0의 신발 솔의 E-E선 단면도이다.FIG. 10 is a bottom view showing a light shoe so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side view showing the shoe brush of FIG. 10, FIG. 12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DD of the shoe brush of FIG. 10.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EE of the shoe brush of FIG. 10.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고탄성을 갖는 경량 신발 솔은 보강부재(3300), 제1미드솔(3100), 제2미드솔(3200)을 포함한다.10 to 13, the lightweight shoe sole having high elasticity includes a reinforcing
상기 보강부재(3300)는 미드솔 사이에 개재되는 보강플레이트(3310) 및 제2미드솔(3200)의 측면을 부분적으로 감싸는 보강측벽(3320)을 포함한다. 보강측벽(3320)은 사출물로서 보강플레이트(3310)과 일체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어 내부의 제2미드솔(3200) 구조가 보이도록 할 수가 있다. The
제1미드솔(3100)은 보강부재(3300)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면에는 제1돌기(3110)가 일체로 형성된다. 제1미드솔(3100)은 보강측벽(3320)이 형성된 보강부재(3300)의 외면을 부분적으로 수용할 수 있으며, 부분적으로 제1돌기(3110)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서는 내부의 보강부재(3300) 및 제2미드솔(3200)이 부분적으로 보이도록 할 수가 있다.The
제1돌기(3110) 및 제2돌기(3210)는 상하로 겹치지 않는 영역에서 기둥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플레이트(3310)를 지지할 수가 있다. The
구체적으로 도 12에서는 제1돌기(3110)가 가운데 위치하고 그 위로 제2완충공간(3220)이 제공되어 상하로 대응된다. 동시에 제2완충공간(3220)의 좌우로 제2돌기(3210)가 제공되며, 그 아래로 제1완충공간(3120)이 제공되어 상하로 대응될 수 있다. 도 12의 단면 위치에서는 제1완충공간(3120)을 통해 보강부재(3300)이 외부로 가시화될 수 있다. In detail, in FIG. 12, the
도 13에서는 제1미드솔(3100)에서 보강부재(330)의 양측을 지지하고, 가운데는 지지하지 않는다. 즉, 좌우로 제1돌기(3110)가 위치하고 그 위로 제2완충공간(3220)이 상하로 제공된다. 동시에 제2완충공간(3220) 사이로 제2돌기(3210)가 제공되는데, 경량화를 위해서 제2돌기(3210)의 내부에 별도의 공간이 추가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2돌기(3210)의 아래로 제1완충공간(3120)이 제공되어 상하로 대응될 수 있다. In FIG. 13, both sides of the reinforcing member 330 are supported by the
보강측벽(3320)은 제2완충공간(3220)을 외부에서 차단하며, 제2완충공간(3220)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강측벽(3320)은 제1미드솔(3100) 및 제2미드솔(3200) 사이에서 제2미드솔(3200)의 후반부를 U-자 단면으로 수용하기 때문에, 보행 및 주행시 발생할 수 있는 신발 솔의 뒤틀림을 억제시킬 수 있으며, 안정적인 보행 및 주행을 보장할 수 있게 한다.The reinforcing
또한, 보강측벽(3320)은 갑피의 측면 하부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갑피 아래 부분을 부분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착용자가 안정적으로 보행할 수도 있도록 보조할 수가 있다.In addition, the reinforcing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variously modified and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that it can be changed.
100 : 제1미드솔 110 : 제1돌기
120 : 제1완충공간 200 : 제2미드솔
210 : 제2돌기 220 : 제2완충공간
300 : 보강부재100: first midsole 110: first projection
120: first buffer space 200: second midsole
210: second projection 220: second buffer space
300: reinforcing member
Claims (13)
상기 보강부재의 일면에 지지되는 제1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제1미드솔(first midsole); 및
상기 보강부재의 타면에 지지되는 제2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제2미드솔(second midsole);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제1미드솔 및 상기 제2미드솔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탄성을 갖는 고탄성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제1돌기와 상기 제2돌기는 서로 겹쳐지지 않는 비중첩 영역에서 상기 보강부재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와 반발탄성을 발휘하는 구조를 갖는 경량 신발 솔.Reinforcing members;
A first midsole integrally formed with a first protrusion supported on one surface of the reinforcing member; And
And a second midsole integrally formed with a second protrusion support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member.
The reinforcing member is formed of a high elastic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high elasticity than the first midsole and the second midsole,
The first shoe and the second protrusion is a lightweight shoe sole having a structure that exhibits a shock-absorbing and rebound elasticity, characterized in that supported by the reinforcing member in a non-overlapping area that does not overlap each other.
상기 보강부재의 일면에 지지되는 제1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제1미드솔(first midsole); 및
상기 보강부재의 타면에 지지되는 제2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제2미드솔(second midsole);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돌기와 상기 제2돌기는 서로 겹쳐지지 않는 비중첩 영역에서 상기 보강부재에 지지되되,
상기 제1돌기 및 상기 제2돌기는 각각 이격되게 복수개가 제공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1돌기의 사이에는 제1완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제2돌기의 사이에는 제2완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돌기는 상기 제2완충공간 영역 상에서 상기 보강부재에 지지되고, 상기 제2돌기는 상기 제1완충공간 영역 상에서 상기 보강부재에 지지되며,
상기 제1완충공간 및 상기 제2완충공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외부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와 반발탄성을 발휘하는 구조를 갖는 경량 신발 솔.Reinforcing members;
A first midsole integrally formed with a first protrusion supported on one surface of the reinforcing member; And
And a second midsole integrally formed with a second protrusion support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member.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second protrusion is supported by the reinforcing member in a non-overlapping region that does not overlap each other,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and the second protrusions ar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first buffer space is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and a second buffer space is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The first protrusion is supported by the reinforcing member on the second buffer space region, and the second protrusion is supported by the reinforcement member on the first buffer space region.
At least one of the first buffer space and the second buffer space is lightweight shoe soles having a structure that exhibits shock absorption and resilience, characterized in that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상기 제1돌기 및 상기 제2돌기는 상기 제1 및 제2미드솔의 폭 방향을 따라 연속적인 일체로 또는 불연속적인 복수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와 반발탄성을 발휘하는 구조를 갖는 경량 신발 솔.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projections are lightweight shoes having a structure that exhibits shock absorption and rebound elasticity,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a plurality of continuous integral or discontinuous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midsole. brush.
상기 제1완충공간 및 상기 제2완충공간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충진제가 충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와 반발탄성을 발휘하는 구조를 갖는 경량 신발 솔.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t least one side of the first buffer space and the second buffer space is a lightweight shoe sole having a structure exhibiting shock absorption and resilien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ler is filled.
상기 보강부재의 일면에 지지되는 제1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제1미드솔(first midsole); 및
상기 보강부재의 타면에 지지되는 제2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제2미드솔(second midsole);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돌기와 상기 제2돌기는 서로 겹쳐지지 않는 비중첩 영역에서 상기 보강부재에 지지되되,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제1돌기 및 상기 제2돌기가 지지되는 보강플레이트, 및 상기 제1미드솔 및 상기 제2미드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면을 감싸도록 상기 보강플레이트의 측단부로부터 일체로 형성되는 보강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돌기 및 상기 제2돌기는 각각 이격되게 복수개가 제공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1돌기의 사이에는 제1완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제2돌기의 사이에는 제2완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돌기는 상기 제2완충공간 영역 상에서 상기 보강부재에 지지되고, 상기 제2돌기는 상기 제1완충공간 영역 상에서 상기 보강부재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와 반발탄성을 발휘하는 구조를 갖는 경량 신발 솔.Reinforcing members;
A first midsole integrally formed with a first protrusion supported on one surface of the reinforcing member; And
And a second midsole integrally formed with a second protrusion support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member.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second protrusion is supported by the reinforcing member in a non-overlapping region that does not overlap each other,
The reinforcement member is a reinforcement plate which is integrally formed from a side end portion of the reinforcement plate to surround the at least one side of the reinforcement plate, and the first midsole and the second midsole, the first projection and the second projection is supported. Including sidewalls,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and the second protrusions ar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first buffer space is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and a second buffer space is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Wherein the first protrusion is supported by the reinforcing member on the second buffer space region, and the second protrusion is supported by the reinforcing member on the first buffer space region. Lightweight shoe soles with a structure to make.
상기 보강측벽은 감싸는 상기 제1미드솔 또는 상기 제2미드솔의 측면 전부 또는 일부를 감싸며, 감싸는 상기 제1완충공간 또는 상기 제2완충공간으로의 이물질 진입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와 반발탄성을 발휘하는 구조를 갖는 경량 신발 솔.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reinforcing side wall surrounds all or part of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midsole or the second midsole that surrounds the shock absorbing and resilient elasticity, which blocks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first buffer space or the second buffer space. Lightweight shoe soles to demonstrate the structure.
상기 보강부재의 일면에 지지되는 제1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제1미드솔(first midsole); 및
상기 보강부재의 타면에 지지되는 제2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제2미드솔(second midsole);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돌기와 상기 제2돌기는 서로 겹쳐지지 않는 비중첩 영역에서 상기 보강부재에 지지되되,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제1돌기 및 상기 제2돌기가 지지되는 보강플레이트, 및 상기 제1미드솔 및 상기 제2미드솔 중 어느 하나의 측면을 감싸도록 상기 보강플레이트의 측단부로부터 일체로 형성되는 보강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2미드솔 및 상기 제1미드솔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보강측벽의 외면 전부 또는 일부를 부분적으로 덮으며,
상기 제1돌기 및 상기 제2돌기는 각각 이격되게 복수개가 제공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1돌기의 사이에는 제1완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제2돌기의 사이에는 제2완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돌기는 상기 제2완충공간 영역 상에서 상기 보강부재에 지지되고, 상기 제2돌기는 상기 제1완충공간 영역 상에서 상기 보강부재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와 반발탄성을 발휘하는 구조를 갖는 경량 신발 솔.Reinforcing members;
A first midsole integrally formed with a first protrusion supported on one surface of the reinforcing member; And
And a second midsole integrally formed with a second protrusion support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member.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second protrusion is supported by the reinforcing member in a non-overlapping region that does not overlap each other,
The reinforcing member is a reinforcing side wall which is integrally formed from the side end portion of the reinforcing plate so as to surround the side of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reinforcement plate and the first projection and the second projection and the second midsole. Includes, the other of the second midsole and the first midsole partially covers all or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side wall,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and the second protrusions ar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first buffer space is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and a second buffer space is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Wherein the first protrusion is supported by the reinforcing member on the second buffer space region, and the second protrusion is supported by the reinforcing member on the first buffer space region. Lightweight shoe soles with a structure to make.
상기 보강부재의 일면에 지지되는 제1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제1미드솔(first midsole); 및
상기 보강부재의 타면에 지지되는 제2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제2미드솔(second midsole);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제1돌기 및 상기 제2돌기가 지지되는 보강플레이트, 및 상기 제1미드솔 및 상기 제2미드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면을 감싸도록 상기 보강플레이트의 측단부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보강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1돌기와 상기 제2돌기는 서로 겹쳐지지 않는 비중첩 영역에서 상기 보강부재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와 반발탄성을 발휘하는 구조를 갖는 경량 신발 솔.Reinforcing members;
A first midsole integrally formed with a first protrusion supported on one surface of the reinforcing member; And
And a second midsole integrally formed with a second protrusion support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member.
The reinforcing member has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ide end portion of the reinforcing plate to surround the at least one side of the reinforcing plate, the first and second reinforcement and the second projection and the second projection is supported. It includes a reinforcing rib extending integrally,
The first shoe and the second protrusion is a lightweight shoe sole having a structure that exhibits a shock-absorbing and rebound elasticity, characterized in that supported by the reinforcing member in a non-overlapping area that does not overlap each other.
상기 보강리브는 상기 보강플레이트보다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와 반발탄성을 발휘하는 구조를 갖는 경량 신발 솔.The method of claim 10,
The reinforcing rib is a lightweight shoe sole having a structure that exhibits a shock absorption and resilien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relatively thick thickness than the reinforcing plate.
상기 보강플레이트에는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와 반발탄성을 발휘하는 구조를 갖는 경량 신발 솔.The method of claim 10,
Lightweight shoe sole having a structure to demonstrate shock absorption and resilien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ision is formed in the reinforcing plate.
상기 제1미드솔 및 상기 제2미드솔 중 상기 보강부재의 하부에 배치되는 미드솔에는 노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보강부재의 일부는 상기 노출공을 통해 저면으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와 반발탄성을 발휘하는 구조를 갖는 경량 신발 솔.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and 4 to 12,
Exposure holes are formed in the midsole disposed below the reinforcing member among the first midsole and the second midsole,
A portion of the reinforcing member is a lightweight shoe sole having a structure that exhibits shock absorption and resilience, characterized in that exposed to the bottom through the exposure hole.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4/240,711 US20140202031A1 (en) | 2011-08-25 | 2012-08-24 | Lightweight shoe sole having structure displaying shock absorption and rebound elasticity |
PCT/KR2012/006784 WO2013028037A2 (en) | 2011-08-25 | 2012-08-24 | Lightweight shoe sole having structure displaying shock absorption and rebound elasticit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10085064 | 2011-08-25 | ||
KR1020110085064 | 2011-08-25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94251B1 true KR101194251B1 (en) | 2012-10-29 |
Family
ID=47288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55863A Active KR101194251B1 (en) | 2011-08-25 | 2012-05-25 | Light weight shoe sole having structure for shock absorption and elastic rebound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20140202031A1 (en) |
KR (1) | KR101194251B1 (en) |
WO (1) | WO2013028037A2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18672B1 (en) * | 2013-03-11 | 2014-07-10 |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 Shoes soles |
KR101434516B1 (en) | 2013-05-03 | 2014-08-26 | 김규덕 | Eco shoes sol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684319B2 (en) * | 2013-04-18 | 2015-03-11 | 美津濃株式会社 | Sole sole structure |
US11399594B2 (en) * | 2013-05-07 | 2022-08-02 | Danielle M Kassatly | Footwear auxiliaries for synchronously toning leg muscles in order to straighten back posture |
US9615626B2 (en) * | 2013-12-20 | 2017-04-11 | Nike, Inc. | Sole structure with segmented portions |
USD737030S1 (en) * | 2013-12-23 | 2015-08-25 | Aerogroup International Holdings Llc | Shoe sole |
US9687044B2 (en) * | 2014-07-24 | 2017-06-27 | Nike, Inc. | Footwear with sole structure incorporating lobed fluid-filled chamber with protruding end wall portions |
US9820529B2 (en) * | 2015-02-20 | 2017-11-21 | Nike, Inc. | Asymmetric torsion plate and composite sole structure for article of footwear |
US9974359B2 (en) * | 2015-07-24 | 2018-05-22 | Chinook Asia Llc | Footwear having a sole with a plurality of chambers |
US11197514B2 (en) | 2016-02-29 | 2021-12-14 | Nike, Inc. | Layered sole structure for an article of footwear |
US10477918B2 (en) * | 2016-05-24 | 2019-11-19 | Under Armour, Inc. | Footwear sole structure with articulating plates |
WO2018106706A1 (en) * | 2016-12-05 | 2018-06-14 | Nike Innovate C.V. | Overmold direct attach sole |
US20190159547A1 (en) * | 2016-12-23 | 2019-05-30 | Tatsuya Nakatsuka | Shoe |
WO2018144756A1 (en) | 2017-02-01 | 2018-08-09 | Nike Innovate C.V. | Stacked cushioning arrangement for sole structure |
EP3568034B1 (en) * | 2017-04-11 | 2022-03-02 | NIKE Innovate C.V. | Articles of footwear including a multi-part sole structure |
CN118121006A (en) * | 2017-04-21 | 2024-06-04 |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 Sole structure with proprioceptive ele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ole structure |
USD813507S1 (en) * | 2017-08-16 | 2018-03-27 | Nike, Inc. | Shoe midsole |
US12171300B2 (en) * | 2019-03-28 | 2024-12-24 | Nike, Inc. | Sole structure of an article of footwear |
US11122857B2 (en) * | 2019-06-12 | 2021-09-21 | Wolverine Outdoors, Inc. | Footwear cushioning sole assembly |
CH717157A1 (en) * | 2020-02-20 | 2021-08-31 | On Clouds Gmbh | Sole for a running shoe. |
USD964717S1 (en) * | 2020-09-11 | 2022-09-27 | Saucony, Inc. | Footwear sole |
USD974723S1 (en) * | 2020-12-21 | 2023-01-10 | Saucony, Inc. | Footwear sole component |
USD943258S1 (en) * | 2021-03-04 | 2022-02-15 | Nike, Inc. | Shoe |
USD985918S1 (en) * | 2021-05-17 | 2023-05-16 | Putian Shenghui Sports Goods Co., Ltd. | Shoe outsole |
USD948188S1 (en) * | 2021-06-09 | 2022-04-12 | Nike, Inc. | Shoe |
USD949536S1 (en) * | 2021-06-09 | 2022-04-26 | Nike, Inc. | Shoe |
WO2023122761A1 (en) * | 2021-12-23 | 2023-06-29 | Newton Running Company, Inc. | Shoe sole construction with wave cushion |
USD1032168S1 (en) * | 2022-06-24 | 2024-06-25 | Nike, Inc. | Shoe |
USD1033025S1 (en) * | 2022-06-24 | 2024-07-02 | Nike, Inc. | Sho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514578A (en) * | 2005-11-02 | 2009-04-09 | プーマ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ルードルフ ダスレル シュポルト | Shoes, especially sports shoes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238129B2 (en) * | 1998-06-08 | 2001-12-10 | 美津濃株式会社 | Midsole structure for sports shoes |
JP3238132B2 (en) * | 1998-10-02 | 2001-12-10 | 美津濃株式会社 | Midsole structure for sports shoes |
JP2001008704A (en) * | 1999-07-02 | 2001-01-16 | Mizuno Corp | Midsole of sporting shoes |
JP3542755B2 (en) * | 2000-02-25 | 2004-07-14 | 美津濃株式会社 | Sole structure |
CA2373062A1 (en) * | 2000-06-12 | 2001-12-20 | Mizuno Corporation | Sole structure of athletic shoe |
JP4906153B2 (en) * | 2001-06-28 | 2012-03-28 | 美津濃株式会社 | Midsole structure for sports shoes |
JP3947658B2 (en) * | 2001-06-28 | 2007-07-25 | 美津濃株式会社 | Midsole structure for sports shoes |
KR100902651B1 (en) * | 2008-12-29 | 2009-06-15 | 하용호 | Functional shoes with both shock absorption and resilience |
KR101006923B1 (en) * | 2010-07-28 | 2011-01-10 | (주)지원에프알에스 | Shoe midsole |
-
2012
- 2012-05-25 KR KR1020120055863A patent/KR101194251B1/en active Active
- 2012-08-24 WO PCT/KR2012/006784 patent/WO2013028037A2/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2-08-24 US US14/240,711 patent/US20140202031A1/en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514578A (en) * | 2005-11-02 | 2009-04-09 | プーマ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ルードルフ ダスレル シュポルト | Shoes, especially sports shoes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18672B1 (en) * | 2013-03-11 | 2014-07-10 |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 Shoes soles |
KR101434516B1 (en) | 2013-05-03 | 2014-08-26 | 김규덕 | Eco shoes so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40202031A1 (en) | 2014-07-24 |
WO2013028037A2 (en) | 2013-02-28 |
WO2013028037A3 (en) | 2013-04-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94251B1 (en) | Light weight shoe sole having structure for shock absorption and elastic rebound | |
KR101178266B1 (en) | Customized shoe sole having multi-level cushion column | |
JP5207555B2 (en) | Shoe sole with replaceable shock absorbing member | |
US8621767B2 (en) |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support structure | |
KR101329615B1 (en) | Article of footwear | |
US8387279B2 (en) | Shoe sole for increasing instability | |
US5933983A (en) | Shock-absorbing system for shoe | |
US9451805B2 (en) | Article of footwear with support assembly having primary and secondary members | |
US8732984B2 (en) | Shock absorbing shoes with triangle shock absorbing space | |
KR101166466B1 (en) | Durability shoes for absorbing sock | |
KR101348703B1 (en) | Article of footwear | |
KR101253208B1 (en) | Article of footwear having structure for light weight and high elasticity | |
KR101265080B1 (en) | Article of footwear | |
KR101352091B1 (en) | Light weight article of footwear with high elasticity | |
KR101251572B1 (en) | Shock absorbing shoes with a triangle shock absorbing space | |
KR101625917B1 (en) | Article of footwear | |
KR101395840B1 (en) | Article of footwear | |
KR101354529B1 (en) | Article of footwear | |
KR101329616B1 (en) | Article of footwear | |
KR20120136258A (en) | Footwear sole having shock absorbing and repurcusion | |
KR101288036B1 (en) | Customized shoe sole having multi-level cushion column | |
KR101429377B1 (en) | Outsole for running shoes | |
KR200443935Y1 (en) | Active walking shoe sole | |
KR20130056814A (en) | Article of footwear | |
KR102001997B1 (en) | Shoes with a functional sole par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2060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2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8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0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1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0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10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1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0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17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0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0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3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
P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00717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7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1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1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