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0182B1 - Floating artificial island structure - Google Patents
Floating artificial island struc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90182B1 KR101190182B1 KR1020120003072A KR20120003072A KR101190182B1 KR 101190182 B1 KR101190182 B1 KR 101190182B1 KR 1020120003072 A KR1020120003072 A KR 1020120003072A KR 20120003072 A KR20120003072 A KR 20120003072A KR 101190182 B1 KR101190182 B1 KR 1011901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oating
- earth
- receiving portion
- band
- underwat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0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28 Styrofoa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6 geotexti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61 styro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4—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bivalves, e.g. oysters or mussel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6—Artificial reef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경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수중 인공생태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토사를 수용하는 상면이 개방되고 둘레방향 또는 복수 방향으로 복수의 챔버(12a)가 형성되며 상호 탈착 가능토록 결합되는 망형의 복수의 블록을 포함한 토사 수용부(10); 상기 토사 수용부(10)가 일정 수심에서 부상될 수 있도록 상호 연접되는 2개의 상기 블록(12) 사이에 걸쳐지게 설치하기 위한 끼움홈(20d)이 형성된 블록 결합부를 구비하며 상기 토사 수용부(10)에 설치되는 부상부(2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인공생태구조물을 제시할 수 있다.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field of environmental technologies, and in particular, to an underwater artificial ecological structure.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arth surface receiving portion 10 including a plurality of blocks of the mesh is open to the upper surface for receiving the soil, the plurality of chambers (12a) are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r a plurality of directions and are coupled to be removable to each other; The earth and sand receiving portion 10 is provided with a block coupling portion formed with a fitting groove (20d) for installing so as to span between the two blocks 1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earth and sand receiving portion (10) can be floated at a certain depth Floating part 20 is installed in the); It can present an underwater artificial ecological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Description
본 발명은 환경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수중 인공생태구조물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field of environmental technologies, and in particular, to an underwater artificial ecological structure.
하천, 호수 등에서 수생식물에 대한 서식환경(습지)을 제공하기 위하여, 하천, 호수 등의 수면에 부유하도록 설치하는 구조물을 인공생태구조물이라 한다.In order to provide a habitat environment (wetland) for aquatic plants in rivers, lakes, etc., structures installed to float on the surface of rivers, lakes, etc. are called artificial ecological structures.
이는 수생식물의 서식처가 됨과 아울러, 수생동물에 대한 산란장을 제공함으로써, 생태환경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It serves as a habitat for aquatic plants and protects the ecological environment by providing a spawning ground for aquatic animals.
그런데, 종래의 인공생태구조물은 파도 등에 의해 수면과 함께 출렁거리기 때문에, 토사가 한쪽으로 쏠리면서 침수 및 전도, 토사 압력에 의해 파손되기 쉬운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토사가 한쪽으로 쏠림에 따라, 식생이 정착이 불안정해지며, 식생 정착 후에도 쉽게 식생이 이탈될 수 있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By the way, the conventional artificial ecological structure has a problem that it is easy to be damaged by inundation, conduction, and soil pressure while the soil is slid to one side due to the fluctuation with the surface due to waves and the like. In addition, as the earth and sand are directed to one side, the vegetation becomes unstable in settlement, and the vegetation is easily removed after the vegetation is settl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토사가 한쪽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중 인공생태구조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underwater artificial ecological structure that can prevent sedimentation to one side.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토사를 수용하는 상면이 개방되고 둘레방향 또는 복수 방향으로 복수의 챔버(12a)가 형성되며 상호 탈착 가능토록 결합되는 망형의 복수의 블록을 포함한 토사 수용부(10); 상기 토사 수용부(10)가 일정 수심에서 부상될 수 있도록 상호 연접되는 2개의 상기 블록(12) 사이에 걸쳐지게 설치하기 위한 끼움홈(20d)이 형성된 블록 결합부를 구비하며 상기 토사 수용부(10)에 설치되는 부상부(2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인공생태구조물을 제시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arth surface receiving por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blocks of the mesh is open so that the upper surface for receiving the earth and the plurality of chambers (12a) is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r a plurality of directions and are mutually detachable ( 10); The earth an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기 부상부(20)와 상기 블록(12)은 밴드(30)에 의해 하나로 묶이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floating
상기 부상부(20)에는 상기 밴드(30)가 묶이는 자리를 안내하는 밴드 홈(20e)이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부상부(20)는 상기 블록(12)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상기 토사 수용부(10)에는 상기 복수의 챔버(12a) 중 일부 또는 전체 챔버(12a)를 가로지르는 봉(40)이 설치되며, 상기 부상부(20) 중 일부 또는 전체가 상기 봉(40)에 결합될 수 있다. The earth and
상기 부상부(20)는 상기 봉(40)의 상측에 배치되어 밴드(30)에 의해 상기 봉(40)과 하나로 묶이며, 하측면에 상기 봉(40)이 끼워지는 끼움홈(20d)이 형성될 수 있다.The floating
상기 부상부(20)는 내부에 빈 밀폐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부상부(20)는 상기 토사 수용부(10)의 상측에 배치되어 밴드(30)에 의해 상기 토사 수용부(10)와 하나로 묶이며, 하측면에 상기 토사 수용부(10)가 끼워지는 끼움홈(20d)이 형성될 수 있다. The floating
상기 부상부(20)에는 상하 둘레방향을 따라 상기 밴드(30)가 묶이는 자리를 안내하는 밴드 홈(20e)이 형성될 수 있다. The
상기 부상부(20)는 상기 토사 수용부(10)의 상측, 하측에 각각 배치되어 밴드(30)에 의해 상기 토사 수용부(10)와 하나로 묶이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상기 부상부(20)는 상,하면이 각각 평면이며, 상하 사이의 둘레면이 상하방향에 대하여 상기 부상부(20)의 상면에서 하면을 향해 굴곡된 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floating
상기 복수의 챔버(12a)는 허니컴(honeycomb) 구조로 배열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본 발명은 토사가 복수의 챔버에 나눠 수용됨으로써, 파랑에 의해 토사가 한쪽으로 쏠리더라도 무게 중심이 분산되어, 침수 및 전도, 토사 압력에 의한 파손이 방지될 수 있으며, 식생이 안정적으로 정착 및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arth and sand ar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chambers,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is dispersed even if the earth is oriented to one side by the blue, so that damage due to inundation, fall and earth pressure can be prevented, and the vegetation is settled and maintained stably.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블록을 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요소를 추가하지 않고 부상부재에 의해 복수의 블록이 일체로 결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plurality of blocks can be integrally combined by the floating member without adding a separate element for combining the plurality of blocks.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블록이 특히 허니컴 구조로 배열됨에 따라 파랑에 보다 안정적인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ore stable effect on the blue as a plurality of blocks are arranged in a honeycomb structure in particular.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인공생태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도 1은 수중에 적용시 모식도.
도 2는 전체 조립 상태 사시도.
도 3은 부상부재 평면 사시도.
도 4는 부상부재 저면 사시도.
도 5는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2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중 인공생태구조물의 토사 수용부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중 인공생태구조물의 토사 수용부 평면도.1 to 6 relate to an underwater artificial ecologic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schematic diagram when applied in water.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ntire assembled state.
3 is a plan perspective view of the floating member.
Figure 4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floating member.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2.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2.
Figure 7 is a plan view of the soil receptacles of the artificial underwater eco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lan view of the earth and sand receiving portion of the artificial artificial ecological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인공생태구조물은 기본적으로 토사를 수용하는 상면이 개방된 수용 공간이 형성된 토사 수용부(10) 및, 토사 수용부(10)가 일정 수심에서 부상될 수 있도록 토사 수용부(10)에 설치된 부상부(2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s 1 to 6, the underwater artificial ecologic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a
특히, 토사 수용부(10)의 수용 공간은 토사 수용부(10)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의 챔버(12a)로 구획될 수 있다. 또는, 토사 수용부(10)의 수용공간은 복수 방향, 즉 메쉬(mesh)처럼 적어도 2방향 이상으로 복수의 챔버(12a)로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storage space of the
예컨대, 복수의 챔버(12a)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허니컴 구조로 배열되거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쉬(mesh)처럼 사각형의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 2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형 구조처럼 원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이중 특히 허니컴 구조는 다른 구조와 비교해볼 때, 상호 유기적으로 여러 방향에서 연결되며, 파랑에 대하여 다방향으로 저항할 수 있어, 보다 유리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lurality of
이러한 토사 수용부(10)는 일체형 구조로 형성되는 것보다는 다음과 같이 분리형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보다 유리할 수 있다. 즉, 분리형 구조의 토사 수용부(10)는 복수의 챔버(12a) 중 어느 한 챔버(12a)가 형성되며, 상호 탈착 가능토록 결합되는 복수의 블록(12)을 포함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분리형 구조의 토사 수용부(10)는 제조 및 운반, 시공이 용이하고, 복수의 블록(12) 중 일부 블록(12)의 보수, 교체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시공 후에도 필요에 따라 확장, 축소가 용이하다.The earth-receiving
블록(12)은 토사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된 챔버(12a)가 형성된다면, 어떻게 이루어지든 무방하다. 다만, 상술한 허니컴 구조를 위해 평면이 정육각형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The
블록(12)은 부상부(20)에 의해 용이하게 부상될 수 있도록 가능한 가볍게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므로, 각 면이 망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토사가 망형의 블록(12)의 격자(12b)를 통해 유실되지 않도록, 망형 블록(12)의 내부에는 부직포나 토목 섬유 등으로 이루어진 토사 주머니가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토사 주머니를 이용할 경우, 토사를 블록(12)에 수용하는 작업을 별도로 하지 않도록, 처음부터 토사를 토사 주머니에 담아서 운반 및 시공할 수 있다.The
블록(12)은 상단 테두리(12c)가 갈고리처럼 블록(12)의 내측에서 외측을 향해 절곡된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록(12)의 상단 테두리(12c)를 손으로 용이하게 잡을 수 있어 블록(12)의 상단 테두리(12c)가 손잡이 역할을 겸할 수 있다. 또한, 블록(12)의 상단 테두리(12c)에 부상부(20)가 끼워질 때, 블록(12)의 상단 테두리(12c)와 부상부(20)가 면접촉될 수 있어 상호 접촉면적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기 때문에, 블록(12)과 부상부(20)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부상부(20)는 기본적으로 스티로폼 등과 같이 용이하게 토사 수용부(10)를 부상시킬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되거나, 공압, 수압 등에 의해 플로팅(floating)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loating
이러한 부상부(20)는 부유가 용이하도록 구형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부유시 실질적으로 상하방향을 따라 구의 중심을 기준으로 구의 하측부만 물과 상호 작용하여 부유되는 바, 구형을 전체를 취하는 것보다 구형의 일부 형상만을 취하는 것이 보다 유리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loating
즉, 부상부(20)는 대략 반구처럼 상면(20a)이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부상부(20)는 하면(20b) 또한, 블록(12)의 상단 테두리(12c)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부상부(20)의 상면(20a)과 평행한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부상부(20)의 상하 사이의 둘레면(20c)은 부유가 용이토록 구형 구조처럼 상하방향에 대하여 부상부(20)의 상면(20a)에서 하면(20b)을 향해 굴곡된 곡면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부상부(20)는 블록(12)과의 결합이 용이하고, 연접하는 2개의 블록(12)을 상호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기둥처럼 길게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이러한 부상부(20)는 기본적으로 토사 수용부(10)의 상측에 배치되어, 토사 수용부(10)가 수중에 잠겨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부상부(20)의 하면(20b)에는 블록(12)과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 블록(12)의 상단 테두리(12c)가 끼워지는 끼움홈(20d)이 형성될 수 있다. 부상부(20)의 끼움홈(20d)은 부상부(20)의 길이방향(화살표 A)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부상부(20)의 끼움홈(20d)은 연접하는 2개의 블록(12)의 맞닿는 모서리, 즉 연접하는 2개의 블록(12)의 상단 테두리(12c)가 함께 하나의 끼움홈(20d)에 끼워질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부상부(20)의 끼움홈(20d)은 복수의 블록(12)이 부상부(20)를 통해 일체로 결합될 수 있게 하는 블록 결합부를 겸할 수 있으며, 하여 복수의 블록(12)을 일체로 결속하기 위한 별도의 요소나 작업을 추가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을 취할 수 있다.This floating
이러한 부상부(20)는 블록(12)과의 결합이 견고하면서 착탈이 용이하도록, 밴드(30)에 의해 하나로 묶일 수 있다. 이때, 전술처럼 망형의 블록(12)은 밴드(30)가 끼워질 수 있는 격자(12b)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밴드(30)가 끼워질 수 있도록 별도의 구조를 취하지 않아도 된다. 다만, 부상부(20)에는 밴드(30)가 묶이는 자리를 안내할 수 있도록 부상부(20)의 상하둘레방향을 따라 밴드 홈(20e)이 형성될 수 있다. 부상부(20)의 밴드 홈(20e)은 부상부(20)의 길이방향(화살표 A)을 따라 복수 형성될 수 있다.This floating
한편, 부상부(20)는 필요에 따라 토사 수용부(10)의 하측에 더 배치되어 밴드(30)를 통해 토사 수용부(10)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loating
또한, 부상부(20)는 블록(12)의 내측에 더 배치될 수 있다. 즉, 토사 수용부(10), 즉 일부 블록(12) 또는 전체 블록(12)에는 챔버(12a)를 가로지르는 봉(40)이 설치되며, 이 봉(40)의 상측에 부상부(20)가 밴드(30)에 의해 일체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부상부(20)가 토사 수용부(10)에 고르게 충분히 분산될 수 있어, 구조적 안정성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블록(12)의 내측에 배치된 부상부(20)는 식생 등에 의해 용이하게 은닉될 수 있다. 또한, 봉(40)이 부상부(20)의 끼움홈(20d)에 대응되는 형상, 크기로 형성됨에 따라, 부상부(20)의 배치 위치가 바뀌더라도 동일한 형상, 크기의 부상부(20)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블록(12)의 상단 테두리(12c)에 설치되는 부상부(20)에 의해 충분히 토사 수용부(10)가 부상될 수 있는 경우, 블록(12)의 내측에 배치되는 부상부(20)는 블록(12)의 상단 테두리(12c)에 설치되는 부상부(20)와 달리 내부에 빈 밀폐된 공간이 있는 중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봉(40)은 블록(12)과 용접 등에 의해 일체로 결합될 수 있고, 끼움 방식 등에 의해 탈착 가능토록 결합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floating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 토사 수용부 12; 블록
12a; 챔버 12b; 격자
12c; 상단 테두리 20; 부상부
20d; 끼움홈 20e; 밴드 홈
30; 밴드 40; 봉10;
12a;
12c;
20d;
30;
Claims (15)
상기 토사 수용부(10)가 일정 수심에서 부상될 수 있도록 상호 연접되는 2개의 상기 블록(12) 사이에 걸쳐지게 설치하기 위한 끼움홈(20d)이 형성된 블록 결합부를 구비하며 상기 토사 수용부(10)에 설치되는 부상부(2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인공생태구조물.An earth surface receiving portion 10 including a plurality of mesh-shaped blocks having an upper surface receiving the earth and sand and having a plurality of chambers 12a form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r a plurality of directions and being coupled to be detachable from each other;
The earth and sand receiving portion 10 is provided with a block coupling portion formed with a fitting groove (20d) for installing so as to span between the two blocks 1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earth and sand receiving portion (10) can be floated at a certain depth Floating part 20 is installed in the);
Underwater artificial ecological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상기 부상부(20)와 상기 블록(12)은 밴드(30)에 의해 하나로 묶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인공생태구조물.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loating part 20 and the block 12 is an underwater artificial ecological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band 30 is tied together.
상기 부상부(20)에는 상기 밴드(30)가 묶이는 자리를 안내하는 밴드 홈(20e)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인공생태구조물.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floating part 20 is an artificial underwater eco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band groove (20e) for guiding the place where the band 30 is tied.
상기 부상부(20)는 상기 블록(12)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인공생태구조물.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loating part 20 is an artificial aquatic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block (12).
상기 토사 수용부(10)에는 상기 복수의 챔버(12a) 중 일부 또는 전체 챔버(12a)를 가로지르는 봉(40)이 설치되며, 상기 부상부(20) 중 일부 또는 전체가 상기 봉(40)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인공생태구조물.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arth and sand receiving portion 10 is provided with a rod 40 across a portion or the entire chamber 12a of the plurality of chambers 12a, and part or all of the floating portion 20 is the rod 40 Underwater artificial ecological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상기 부상부(20)는 상기 봉(40)의 상측에 배치되어 밴드(30)에 의해 상기 봉(40)과 하나로 묶이며, 하측면에 상기 봉(40)이 끼워지는 끼움홈(20d)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인공생태구조물.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The floating portion 20 is disposed above the rod 40 and tied together with the rod 40 by a band 30, and a fitting groove 20d into which the rod 40 is fitted is provided at a lower side thereof. Underwater artificial ecological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상기 부상부(20)는 내부에 빈 밀폐된 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인공생태구조물.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The floating part 20 is an underwater artificial ecological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empty sealed space is formed therein.
상기 부상부(20)는 상기 토사 수용부(10)의 상측에 배치되어 밴드(30)에 의해 상기 토사 수용부(10)와 하나로 묶이며, 하측면에 상기 토사 수용부(10)가 끼워지는 끼움홈(20d)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인공생태구조물.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8,9,10,
The floating part 20 is disposed above the earth-receiving portion 10 and is tied to the soil-receiving portion 10 by a band 30, and the soil-receiving portion 10 is fitted to a lower side. Underwater artificial ecological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tting groove (20d) is formed.
상기 부상부(20)에는 상하 둘레방향을 따라 상기 밴드(30)가 묶이는 자리를 안내하는 밴드 홈(20e)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인공생태구조물.The method of claim 11,
Underwater artificial ecological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floating portion 20 is formed with a band groove (20e) for guiding the place where the band 30 is ti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부상부(20)는 상기 토사 수용부(10)의 상측, 하측에 각각 배치되어 밴드(30)에 의해 상기 토사 수용부(10)와 하나로 묶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인공생태구조물.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8,9,10,
The floating part 20 is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earth and sand receiving portion 10, respectivel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tied to the earth and sand receiving portion 10 by a band (30).
상기 부상부(20)는 상,하면이 각각 평면이며, 상하 사이의 둘레면이 상하방향에 대하여 상기 부상부(20)의 상면에서 하면을 향해 굴곡된 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인공생태구조물.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8,9,10,
The floating part 20 is an upper, lower surface, respectively, a plane, and the artificial aquatic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circumferential surfa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ides is curved curv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loating portion 20 toward the lower surfac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복수의 챔버(12a)는 허니컴(honeycomb) 구조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인공생태구조물.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8,9,10,
The plurality of chambers (12a) is an underwater artificial ecological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in a honeycomb (honeycomb) structur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03072A KR101190182B1 (en) | 2012-01-10 | 2012-01-10 | Floating artificial island struc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03072A KR101190182B1 (en) | 2012-01-10 | 2012-01-10 | Floating artificial island structur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90182B1 true KR101190182B1 (en) | 2012-10-15 |
Family
ID=47287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03072A Expired - Fee Related KR101190182B1 (en) | 2012-01-10 | 2012-01-10 | Floating artificial island struct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90182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678963A (en) * | 2019-10-18 | 2021-04-20 | 成都工业学院 | Artificial floating island suitable for bottom surface of hard river channe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79346Y1 (en) * | 1999-11-19 | 2000-04-15 | 제일모직주식회사 | Float for nursery |
-
2012
- 2012-01-10 KR KR1020120003072A patent/KR10119018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79346Y1 (en) * | 1999-11-19 | 2000-04-15 | 제일모직주식회사 | Float for nursery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678963A (en) * | 2019-10-18 | 2021-04-20 | 成都工业学院 | Artificial floating island suitable for bottom surface of hard river channe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CN112678963B (en) * | 2019-10-18 | 2024-02-06 | 成都工业学院 | Artificial floating island suitable for hard river bottom surfac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81259B1 (en) | Artificial ground reef | |
CN102985619A (en) | Barrier assembly for shoreline | |
KR101309593B1 (en) | Artificial plant island for preventing water bloom and purifying water | |
KR101046863B1 (en) | Benthic farming device | |
JP6007145B2 (en) | Artificial algae field and method for forming artificial algae field | |
KR101190182B1 (en) | Floating artificial island structure | |
KR102014747B1 (en) | the assembly type fish shelter unit block and the shelter structure | |
KR101892972B1 (en) | Multi-purpose buoyant member for floating solar power generation and floating structure system comprising the same | |
JP6216212B2 (en) | Sandbag and sandbag laying method | |
JP5832658B2 (en) | Breakwater structure with rubble removed | |
KR101191099B1 (en) | Natural harmonious revetment block with vegetation structure | |
KR101358391B1 (en) | Floating artificial island structure | |
JP4791282B2 (en) | Ukishima-style Aiba | |
KR101014848B1 (en) | Multi-Purpose Artificial Reef Using Top-Type Reef Block | |
KR20140117776A (en) | Cage culture buoy | |
KR101178087B1 (en) | Eco-friendly plantation floating island | |
WO2013054183A1 (en) | Dwelling module for protecting post-larvae, in particular in port infrastructures | |
KR101297419B1 (en) | ecology block for providing refugeof fish and terrestrial animal | |
KR100488920B1 (en) | Underwater spilway structure using a log for ecological environment | |
KR100701217B1 (en) | Eco Friendly Associates Block | |
KR101232213B1 (en) | Bag for keeping of form | |
KR101352951B1 (en) | Fish staying gabion and revetment protec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 |
KR100668435B1 (en) | Multifunctional Forced Reef | |
KR102069330B1 (en) | Multi-function floating eco-island | |
KR100668441B1 (en) | Vortex type forced ree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2020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1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5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206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1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0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10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0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17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0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08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1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7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