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90037B1 - 차량용 임팩트패드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차량용 임팩트패드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0037B1
KR101190037B1 KR20100090636A KR20100090636A KR101190037B1 KR 101190037 B1 KR101190037 B1 KR 101190037B1 KR 20100090636 A KR20100090636 A KR 20100090636A KR 20100090636 A KR20100090636 A KR 20100090636A KR 101190037 B1 KR101190037 B1 KR 101190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act pad
foam
steel plate
impact
vehic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20100090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8648A (ko
Inventor
김형섭
Original Assignee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이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00090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0037B1/ko
Publication of KR20120028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8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0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003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임팩트패드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임팩트패드 어셈블리는 도어트림의 내면에 부설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발포 임팩트패드와, 상기 발포 임팩트패드의 내부로 인입되어 배치되고, 상기 발포 임팩트패드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분산하는 스틸플레이트와, 상기 스틸플레이트에 형성되고, 발포체가 채워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임팩트패드 어셈블리{Impact pad assembly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측면 충격흡수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도어의 내부에 부설하는 차량용 임팩트패드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도어는 도어트림과 도어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차량의 도어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도어의 도어트림과 도어패널이 모든 충격을 받게 된다. 이때, 도어를 구성하고 있는 도어트림 또는 도어패널이 차량의 실내로 진입되어 탑승자에게 상해를 입히게 된다.
따라서, 차량의 도어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흡수하기 위하여 차량의 도어의 도어트림과 도어패널 사이에 완충부재를 부설한다. 이때, 도어에 설치된 완충부재는, 차량의 도어 측에 충격이 가해지면 도어에서 탑승자의 신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발포성 완충부재가 저감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런 종래의 완충부재는 충격력이 완충부재의 중앙에 수직으로 미치면 충격력의 분산이 비교적 양호하나, 완충부재에 미치는 충격량이 완충부재에 경사지게 미치거나 주위에 미치는 경우 완충부재가 흡수하는 충격량은 양호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이를 위해, 도어패널에 접하는 완충부재의 일측면에 경질 플라스틱 또는 금속재질로 형성된 충격분산패널을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부착한다. 그러나, 완충부재의 일측면에 부착한 충격분산패널은 도어 내부로 유입되는 먼지와 습기에 의해 오염되어 충격흡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충격분산패널이 경질의 플라스틱 재질인 경우에는 가해진 충격으로 인해 충격분산패널이 깨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편, 충격분산패널이 금속 재질인 경우에는 습기에 의해 부식되어 녹이 발생하고 발생한 녹이 흘러 내림으로서 실내의 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발포 성형되는 완충부재의 어느 위치에 충격력이 미쳐도 변형이 균일하게 되도록 하여 충격흡수를 양호하게 함과 동시에, 오염 또는 부식 등에 의해 성능이 저하되지 않고, 내구성이 향상된 차량용 측면 충격흡수 어셈블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차량의 측면 충돌 시, 충격이 가해지는 위치에 관계없이 충격을 분산시켜 충격 흡수를 용이하게 하는 차량용 임팩트패드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도어트림의 내면에 부설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발포 임팩트패드와, 상기 발포 임팩트패드의 내부로 인입되어 배치되고, 상기 발포 임팩트패드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분산하는 스틸플레이트와, 상기 스틸플레이트에 형성되고, 발포체가 채워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을 포함하는 차량용 임팩트패드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스틸플레이트는, 상기 발포 임팩트패드의 일측면으로부터 적어도 상기 스틸플레이트의 두께 이상 인입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홀의 내면에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차량의 측면 충돌 시, 발포 임팩트패드의 내부로 인입되어 배치된 스틸플레이트에 의해 충격력을 분산시킴으로써 탑승자의 신체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먼지와 습기로부터 스틸플레이트의 오염을 방지하여 충격력 흡수를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발포 임팩트패드로부터 스틸플레이트의 이탈을 방지하며, 발포 임팩트패드와 스틸플레이트의 체결력을 향상시킴으로써 내구성을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랑용 임팩트패드 어셈블리가 부설된 도어트림의 상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랑용 임팩트패드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랑용 임팩트패드 어셈블리(10)가 부설된 도어트림(20)의 상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차량용 임팩트패드 어셈블리(10)는 발포 임팩트패드(11)를 포함한다.
발포 임팩트패드(11)는 차량의 도어트림(20)의 내면에 배치된다. 이때, 발포 임팩트패드(11)는 차량의 측면 충돌 시 탑승자가 부상을 입기 쉬운 위치와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탑승자의 골반 및 대퇴부 부위 등과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발포 임팩트패드(1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 홀(14)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어트림(20)의 내면에는 열에 의해 변형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스부(14)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트림(20)의 내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보스부(14)가 발포 임팩트패드(11)의 적어도 하나의 체결 홀(15)에 삽입되어 열융착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차량용 임팩트패드 어셈블리(10)는 스틸플레이트(12)를 포함한다. 이때, 스틸플레이트(12)의 면적은 발포 임팩트패드(11)의 일측면의 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스틸플레이트(12)의 면적은 발포 임팩트패드(11)의 상기 일측면의 면적의 크기를 소정 비율로 축소한 크기의 면적일 수 있다.
스틸플레이트(12)는 상기 발포체가 채워지는 적어도 하나의 홀(13)을 포함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홀(13)은 다양한 형상 및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홀(13)의 형상은 원형, 삼각형, 다각형, 일자(-)형 및 십자(+)형 등이 다양한 형상 및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스틸플레이트(12)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13)은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홀(13)은 동일한 면적으로 형성되거나, 서로 다른 면적으로 형성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스틸플레이트(12)에 동일한 면적을 가지는 원형 형상의 홀(13)이 복수개로 형성되며, 각 홀(13)은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배치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한편, 스틸플레이트(12)는 발포 임팩트패드(11)의 상기 일측면으로부터 소정 깊이(S) 내부로 인입되어 배치된다. 이때, 발포 임팩트패드(11) 내부로 스틸플레이트(12)를 인입시키는 방법은, 발포 임팩트패드(11)에 홈(도면 미도시)을 형성하여 스틸플레이트(12)를 삽입하거나, 성형 금형에 스틸플레이트(12)가 발포 임팩트패드(11)에 상기 일측면으로부터 소정 깊이(S)로 인입될 수 있도록 배치한 후 발포 성형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발포 임팩트패드(11)에 스틸플레이트(12)가 인입되는 방법은, 성형 금형에 스틸플레이트(12)가 발포 임팩트패드(11)에 상기 일측면으로부터 소정 깊이(S)로 인입될 수 있도록 배치한 후 발포 성형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스틸플레이트(12)는 발포 임팩트패드(11)의 상기 성형 금형에 스틸플레이트(12)를 상기 일측면으로부터 소정 깊이(S)로 인입될 수 있도록 배치한 후 발포 성형될 수 있다.
이때, 스틸플레이트(12)가 발포 임팩트패드(11)의 인입되어지는 깊이(S)는 상기 일측면으로부터 적어도 스틸플레이트(12) 두께(T) 이상일 수 있다. 따라서, 스틸플레이트(12)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다.
또한, 스틸플레이트(12)에 형성된 복수개의 홀(13)에 상기 발포체가 채워지게 됨으로써, 발포 임팩트패드(11)와 스틸플레이트(12)의 체결을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이상 상기와 같은 차량용 임팩트패드 어셈블리(10)는 발포 임팩트패드(11)에 충격이 가해지면 발포 임팩트패드(11)에 소정 깊이(S)로 인입되어 배치된 스틸플레이트(12)에 의해 충격력이 분산된다.
따라서, 발포 임팩트패드(11)에 가해지는 충격력이 상기 일측면에 수직으로 작용하지 않을 경우에도 스틸플레이트(12)에 의해서 발포 임팩트패드(11)의 전 표면에 균등하게 분산되어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스틸플레이트(12)가 발포 임팩트패드(11)의 내부로 소정 깊이(S) 인입되어 배치됨에 따라 도어트림(20)의 내부로 유입되는 먼지 또는 습기 등에 의해 부식되어 녹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충격력 흡수를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으며, 스틸플레이트(12)에 발생한 녹이 흘러내려 실내로 유입되는 것 또한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발포 임팩트패트(11)가 가해진 충격을 흡수하여 충격량을 저감시키는 과정에서 스틸플레이트(12)가 발포 임팩트패드(1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틸플레이트(12)가 발포 임팩트패드(11)의 체결력이 향상됨에 따라 차량용 임팩트패드 어셈블리(10)의 내구성을 더욱더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임팩트패드 어셈블리(1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랑용 임팩트패드 어셈블리(100)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임팩트패드 어셈블리(100)는 적어도 하나의 홀(130)이 형성되는 스틸플레이트(120)를 포함한다. 스틸플레이트(120)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130)은 내면에 돌기(13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기(131)는 나사산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나사산 형상의 돌기(131)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홀(130)은 다양한 형상 및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홀(130)의 형상은 원형, 삼각형, 다각형, 일자(-)형 및 십자(+)형 등이 다양한 형상 및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스틸플레이트(120)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130)은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홀(130)은 동일한 면적으로 형성되거나, 서로 다른 면적으로 형성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스틸플레이트(120)에 나사산 형상의 돌기(131)가 형성된 홀(130)이 동일한 면적을 가지는 원형 형상으로 복수개가 형성되며, 각 홀(130)은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배치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따라서, 각 홀(130)에 형성된 상기 나사산 형상의 돌기(131)에 의해 상기 발포체와 스틸플레이트(120)의 접촉 면적 및 그에 따른 체결력이 증가하여, 발포 임팩트패드(110)와 스틸플레이트(120)가 더욱더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상술한 스틸플레이트(120)에 형성된 복수개의 홀(130)의 내면에 돌기(131)를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 다른 구성 기능 및 효과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임팩트패드 어셈블리(10)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100: 차량용 임팩트패드 어셈블리
11, 110: 발포 임팩트패드 12, 120 : 스틸플레이트
13, 130 : 홀 14, 140 : 보스부
15, 150 : 체결 홀 20 : 도어트림
T : 스틸플레이트의 두께 131 : 돌기

Claims (3)

  1. 도어트림의 내면에 부설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발포 임팩트패드와,
    상기 발포 임팩트패드의 내부로 인입되어 배치되고, 상기 발포 임팩트패드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분산하는 스틸플레이트와,
    상기 스틸플레이트에 형성되고, 발포체가 채워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되되,
    상기 각 홀은 내면에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임팩트패드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틸플레이트는,
    상기 발포 임팩트패드의 일측면으로부터 적어도 상기 스틸플레이트의 두께 이상 인입되어 배치되는 차량용 임팩트패드 어셈블리.
  3. 삭제
KR20100090636A 2010-09-15 2010-09-15 차량용 임팩트패드 어셈블리 Active KR101190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90636A KR101190037B1 (ko) 2010-09-15 2010-09-15 차량용 임팩트패드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90636A KR101190037B1 (ko) 2010-09-15 2010-09-15 차량용 임팩트패드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8648A KR20120028648A (ko) 2012-03-23
KR101190037B1 true KR101190037B1 (ko) 2012-10-12

Family

ID=46133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90636A Active KR101190037B1 (ko) 2010-09-15 2010-09-15 차량용 임팩트패드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003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8838A (ja) * 2005-01-17 2005-06-02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衝撃吸収パッド取付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8838A (ja) * 2005-01-17 2005-06-02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衝撃吸収パッド取付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8648A (ko) 2012-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45637A1 (en) Forward Structure of a Motor Vehicle
KR20200028529A (ko) Fmh 리브를 자동차용 헤드 라이너에 용착하는 방법 및 fmh 리브를 갖춘 자동차용 헤드 라이너
US6808206B2 (en) Impact absorbing member
EP0967124B1 (en) Shock absorbing material
JPH11129840A (ja) 衝撃吸収部材
JP2013121746A (ja) 衝撃吸収体、及び衝撃吸収体を備えた車両用ドアトリム
JP2000006741A (ja) 衝撃吸収材
KR101190037B1 (ko) 차량용 임팩트패드 어셈블리
US10358102B2 (en) Protective radiator shroud for a motor vehicle, and motor vehicle
JP2005145383A (ja) 車両内装部材
US9517742B2 (en) Shock absorber member for vehicle, vehicle door panel assembly including shock absorber member and vehicle including door panel assembly
US7832781B2 (en) Map pocket close-out as integrated pelvic bolster for vehicle door
KR101140172B1 (ko) 차량의 임팩트패드용 발포 금형구조
KR20120017559A (ko) 차량용 임팩트패드 어셈블리
JP3597571B2 (ja) 車両用ピラーの内装部品組付構造
JP3891478B2 (ja) 自動車用内装部品
JP2002048178A (ja) 衝撃吸収材
JPH0885342A (ja) 自動車用内装部品
JPH1044777A (ja) 車両用ドア構造
KR100445176B1 (ko) 자동차의 측면 충격 흡수구조
JP2001163139A (ja) 頭部保護材
US20240051490A1 (en) Energy absorbing material for improved vulnerable road user performance for a vehicle
US20070138833A1 (en) Energy absorption device
KR100683223B1 (ko) 자동차의 범퍼구조
JP5179343B2 (ja) 衝撃吸収パッドの取り付け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9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3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0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10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8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