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8236B1 - Apparatus for lighting control of lighting devic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lighting control of light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88236B1 KR101188236B1 KR1020110033854A KR20110033854A KR101188236B1 KR 101188236 B1 KR101188236 B1 KR 101188236B1 KR 1020110033854 A KR1020110033854 A KR 1020110033854A KR 20110033854 A KR20110033854 A KR 20110033854A KR 101188236 B1 KR101188236 B1 KR 10118823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hase
- control signal
- signal
- resistor
- phase contro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소자 조명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위상제어 신호를 입력으로 한 발광소자 조명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 조명 제어 장치는 제1저항, 제2저항, 제1FET, 다이오드 소자 및 캐패시터를 포함하되, 상기 위상제어 신호의 일단부에 제1저항의 일단부 및 제1FET의 드레인(D)이 연결되고, 제1저항의 타단부가 제1FET의 게이트(G)와 다이오드 소자의 (-)단자에 병렬로 연결되고, 다이오드 소자의 (+)단자는 위상제어 신호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제1FET의 소스(S)에는 직렬연결된 제2저항-캐패시터의 일단부와 연결되고, 직렬연결된 제2저항-캐패시터의 타단부는 위상제어 신호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캐패시터가 발광소자에 대한 온오프 신호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신호 검출부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 emitting device lighting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ight emitting device illumination control device using a phase control signal, wherein the light emitting device illumination control device includes a first resistor, a second resistor, a first FET, a diode element, and a capacitor. One end of the first resistor and the drain D of the first FET ar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phase control signal,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resistor is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gate G of the first FET and the negative terminal of the diode element. The positive terminal of the diode element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phase control signal, and the source S of the first FET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resistor-capacitor connected in series, and the second resistor-capacitor connected in series The other end of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phase control signal, the capacitor provides a phase signal detection unit, characterized in that for detecting the on-off signal for the light emitting device.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발광소자 조명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위상제어신호가 있을 때에는 조명제어장치가 켜지고 위상제어신호가 없으면 조명제어장치는 꺼짐은 물론, 위상제어신호의 위상에 따라 조도를 제어함에 있어서 전류를 제어하여 열 발생을 줄이고 전력소비를 감소시키고자 하는 발광소자 조명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 emitting device lighting control device. More specifically, when there is a phase control signal, the lighting control device is turned on, and if there is no phase control signal, the lighting control device is turned off, as well as controlling the current in controlling the illumination according to the phase of the phase control signal, thereby reducing heat generation and power. A light emitting device lighting control device for reducing consumption.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The contents described in this section merely provide background information o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constitute the prior art.
조명등에는 여러 종류가 있으나 주로 형광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고 최근 들어 LED램프(Lamp)의 사용이 증가 추세에 있다.There are many types of lamps, but mainly fluorescent lamps are used, and the use of LED lamps (Lamp) is increasing in recent years.
형광등에는 전자식 안정기가 사용되고 LED램프에는 구동장치가 사용되며, 형광등용 전자식 안정기 또는 LED램프용 구동장치 등을 조명제어장치라고 한다.Electronic ballasts are used for fluorescent lamps, and driving devices are used for LED lamps, and electronic ballasts for fluorescent lamps or driving devices for LED lamps are called lighting control devices.
조도조절용 조명제어장치(이하 간단히 조명제어장치라 한다.)는 전원 외에 조도조절용 제어신호를 별도로 받게 되는데 조도조절용 제어신호는 방식에 따라 통신을 이용하는 방식, 직류 전압을 이용하는 방식 및 교류전원의 위상제어신호를 이용하는 방식 등이 있다. 본 발명은 특히 교류전원의 위상제어신호를 이용하는 방식에 대한 것이다.The illumination control device for illumination control (hereinafter referred to simply as an illumination control device) receives a separate illumination control signal in addition to the power supply. The illumination control signal is controlled by communication, DC voltage, and phase control of AC power. And a method using a signal. The present invention particularly relates to a method of using a phase control signal of an AC power source.
도 1은 조명 제어장치의 한 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lighting control device.
도 1에 도시하듯이 조명제어 장치(100)는 위상폭 검출부(110), 위상신호 검출부(120), 구동부(130), 제1정류부(140), 제2정류부(150) 및 평활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조명제어 장치(100)는 위상제어신호를 받아 정류한 후 위상제어신호의 유무를 검출하여 조명제어장치를 ON/OFF 하는 기능과 위상제어신호의 펄스폭을 검출하여 조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갖는다.The
도 1에서 위상제어 신호가 제2정류부(150)에 입력되면 제2정류부(150)는 정류된 위상제어 신호를 출력한다.In FIG. 1, when the phase control signal is input to the
위상폭 검출부(110)는 제2정류부(150)로부터 정류된 위상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위상폭을 감지하여 조도 제어신호를 발생한다.The
위상신호 검출부(120)는 제2정류부(150)로부터 정류된 위상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조명신호, 즉, 온오프(On/Off) 신호를 발생한다.The
구동부(130)는 위상폭 검출부(110)로부터 조도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발광소자(170)에 대한 구동전류를 발생하고 위상신호 검출부(120)로부터 온오프(On/Off) 신호를 수신하여 구동부(130)의 온오프(On/Off) 상태를 제어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발광소자(170)의 온오프를 제어한다.The
도 2는 위상폭 검출부(110) 및 위상신호 검출부(120)를 포함하는 회로의 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회로에서 정류된 위상제어 신호(즉, FET1의 드레인 전압)의 파형, FET1의 전류, C1의 전압을 도시한 그래프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ircuit including a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입력으로는 위상제어 신호가 공급된다. 위상제어 신호는 대개 교류전원을 트라이악으로 위상제어함으로써 얻어진다.As shown in Fig. 2, a phase control signal is supplied to a power input. Phase control signals are usually obtained by phase-controlling an AC power supply with a triac.
정류된 위상제어 신호는 제2정류부(150)에 의해 위상제어 신호를 정류함으로써 얻어진다. The rectified phase control signal is obtained by rectifying the phase control signal by the second rectifying
정류된 위상제어 신호의 턴 온 구간의 폭을 β라고 하고 그 최소값을 βmin이라고 하면, 조도는 β가 βmin일 때 최소가 되고 β가 증가함에 따라 조도가 증가하게 된다.When the width of the turn-on period of the rectified phase control signal is β and the minimum value is β min , the illuminance becomes minimum when β is β min and the illuminance increases as β increases.
도 2의 회로는 구동부의 온오프 신호와 조도 제어신호를 인가하기 위하여 구동부(130)에 대한 온오프 신호 및 조도 제어신호를 얻기 위하여 사용되는 회로의 일종이다. 즉, 도 2의 회로는 정류된 위상제어 신호에 파형이 존재하면 전류제어회로(즉, 구동부(130))를 켜고 정류된 위상제어 신호에 파형이 존재하지 않으면 전류제어회로를 끄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하여, 위상제어 신호를 도 2에 도시한 회로로 입력하여 FET1, R1, ZD1 및 C1으로 구성된 전원회로를 사용한다. C1에는 ZD1의 전압에서 FET1의 턴온전압을 뺀 전압이 유지되며, C1의 전압이 낮아지면 FET1을 통하여 전류가 많이 공급되어 C1의 전압이 높아지고 C1의 전압이 높아지면 FET1을 통하여 흐르는 전류가 적게 되어 C1의 전압이 낮아지도록 하는 방법으로 C1의 전압을 원하는 값으로 유지한다. 따라서 일정한 C1에 의해, 정류된 위상제어 신호에 파형이 존재하면 PC1이 켜지고 정류된 위상제어 신호에 파형이 존재하지 않으면 PC1은 꺼진다. PC1은 C1의 평활작용에 의해(펄스로 동작하지 않고) 연속신호로 동작한다. PC1의 출력인 온오프 신호는 조명제어장치의 구동부로 보내진다.2 is a type of circuit used to obtain an on-off signal and an illuminance control signal for the
한편, R1, ZD1, FET1, C1, R3, PC1과 별개의 회로로 구성된 R4, TR1, PC2, R5, FET2는 위상폭 검출회로로서 정류된 위상제어 신호의 파형이 존재하는 구간에만 PC2가 켜지고 존재하지 않는 구간에서는 PC2가 꺼진다. PC2는 펄스신호로 동작하며 PC2의 출력은 위상폭 신호를 그대로 받아 조명제어장치의 구동부로 보내진다.On the other hand, R4, TR1, PC2, R5, and FET2, which are separate circuits from R1, ZD1, FET1, C1, R3, and PC1, are phase width detection circuits, and PC2 is turned on only in a section where the waveform of the rectified phase control signal exists. If not, PC2 is turned off. PC2 operates as a pulse signal and the output of PC2 receives the phase width signal as it is and is sent to the driver of the lighting control device.
도 3에서, FET1의 드레인전압이 도 3a와 같은 파형을 나타낼 때,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FET1의 전류는 β의 전 구간에 걸쳐 흐르지 않고 정류된 위상제어 신호의 위상이 시작되는 지점에서 아주 짧은 구간에서 집중적으로 흐른다. 왜냐하면 β 구간의 초기에 도 3c와 같이 C1이 충전되어 C1의 전압이 상승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FET1의 전류가 흐르는 구간은 FET1 드레인의 전압이 높은 구간이고, FET1 드레인의 전압은 대개 300 V 내외로 높은 전압을 갖고, C1의 전압은 대개 10 V 내외이므로 대부분의 전압이 FET1에서 강하되어 FET1에서 많은 손실로 발생하여 전력손실이 많아지고 열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한다.In FIG. 3, when the drain voltage of the FET1 exhibits the waveform as shown in FIG. 3A, as shown in FIG. 3B, the current of the FET1 does not flow over the entire period of β, but at the point where the phase of the rectified phase control signal starts. Intensive flow in short intervals. This is because C1 is charged at the beginning of the β period, and the voltage of C1 increases. However, the period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FET1 is the period where the voltage of the drain of FET1 is high, and the voltage of the drain of FET1 has a high voltage of about 300 V, and the voltage of C1 is usually about 10 V, so most of the voltage drops from FET1 and thus FET1 This is caused by a lot of losses in the power loss is a lot of heat generation problem occurs.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위상제어신호가 있을 때에는 조명제어장치가 켜지고 위상제어신호가 없으면 조명제어장치는 꺼짐은 물론, 위상제어신호의 위상에 따라 조도를 제어함에 있어서 전류를 제어하여 열 발생을 줄이고 전력소비를 감소시키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re is a phase control signal, the lighting control device is turned on, if there is no phase control signal, the lighting control device is turned off, as well as the current in controlling the illumination according to the phase of the phase control signal The main purpose is to control heat generation and reduce power consumption.
또한, 위상폭 검출회로와 위상신호 검출회로를 하나의 회로로 구성함으로써 회로를 단순화하여 경제성을 높이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urpose is to simplify the circuit and increase the economic efficiency by configuring the phase width detection circuit and the phase signal detection circuit as one circuit.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위상제어 신호를 입력으로 한 발광소자 조명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 조명 제어 장치는 제1저항, 제2저항, 제1FET, 다이오드 소자 및 캐패시터를 포함하되, 상기 위상제어 신호의 일단부에 제1저항의 일단부 및 제1FET의 드레인(D)이 연결되고, 제1저항의 타단부가 제1FET의 게이트(G)와 다이오드 소자의 (-)단자에 병렬로 연결되고, 다이오드 소자의 (+)단자는 위상제어 신호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제1FET의 소스(S)에는 직렬연결된 제2저항-캐패시터의 일단부와 연결되고, 직렬연결된 제2저항-캐패시터의 타단부는 위상제어 신호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캐패시터가 발광소자에 대한 온오프 신호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 조명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ght emitting device lighting control device using a phase control signal as input, wherein the light emitting device lighting control device includes a first resistor, a second resistor, a first FET, and a diode device. And a capacitor, wherein one end of the first resistor and the drain D of the first FET ar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phase control signal,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resistor of the gate G of the first FET and the diode device. It is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 terminal, the (+) terminal of the diode element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phase control signal, the source (S) of the first FET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resistor-capacitor connected in series,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esistor-capacitor connected in series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phase control signal, and the capacitor detects an on-off signal for the light emitting device.
상기 발광소자 조명 제어 장치는, 상기 위상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그 위상폭을 감지하여 조도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위상신호 검출소자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위상신호 검출소자의 일단부는 상기 위상제어 신호의 일단부 및 제1저항의 일단부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위상신호 검출소자의 타단부는 상기 제1FET의 드레인이 연결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device illumination control device further includes a phase signal detection device that receives the phase control signal, senses a phase width thereof, and generates an illuminance control signal, and one end of the phase signal detection device includes a phase control signal. One end and one end of the first resistor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and the other end of the phase signal detecting element may be connected to the drain of the first FET.
상기 발광소자 조명 제어 장치는, 상기 위상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그 위상폭을 감지하여 조도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위상신호 검출소자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위상신호 검출소자는 상기 제2저항, 상기 캐패시터과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제1FET의 소스와 위상제어 신호의 타단부와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device illumination control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phase signal detection device that receives the phase control signal, senses a phase width thereof, and generates an illumination control signal, wherein the phase signal detection device comprises: the second resistor, the capacitor; It may be connected in series and connected between the source of the first FET and the other end of the phase control signal.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위상제어신호가 있을 때에는 조명제어장치가 켜지고 위상제어신호가 없으면 조명제어장치는 꺼짐은 물론, 위상제어신호의 위상에 따라 조도를 제어함에 있어서 전류를 제어하여 소비전력을 감소시키고 열 발생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re is a phase control signal, the lighting control device is turned on, and when there is no phase control signal, the lighting control device is turned off, and in addition, the current in controlling the illumination according to the phase of the phase control signal. By controlling the power consumption, it reduces the power consumption and heat generation.
또한, 위상폭 검출부와 위상신호 검출부를 하나의 회로로 구성함으로써 회로를 단순화하여 경제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configuring the phase width detector and the phase signal detector in one circuit, the circuit can be simplified to increase the economic efficiency.
도 1은 조명 제어장치의 한 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위상폭 검출부(110) 및 위상신호 검출부(120)를 포함하는 회로의 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회로에서 정류된 위상제어 신호(즉, FET1의 드레인 전압)의 파형, FET1의 전류, C1의 전압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상신호 검출부(320)의 회로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회로에서 FET1의 드레인 전압의 파형(도 5a), FET1의 전류(도 5b), 캐패시터(C1)의 전압(도 5c)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상신호 검출부(320)의 회로도에서 PC2의 위치를 달리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lighting control device.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ircuit including a
FIG. 3 is a graph showing the waveform of the rectified phase control signal (ie, the drain voltage of FET1), the current of FET1, and the voltage of C1 in the circuit of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ircuit diagram of the phase signal detector 3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graph showing the waveform of the drain voltage of FET1 (FIG. 5A), the current of FET1 (FIG. 5B), and the voltage of capacitor C1 (FIG. 5C) in the circuit of FIG. 4.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the position of PC2 is changed in the circuit diagram of the phase signal detector 32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 of this invention, terms, such as 1st, 2nd, A, B, (a), (b), can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n elem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조명제어 장치(100)를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light emitting device
도 1에 도시하듯이, 위상제어신호를 받아 위상제어신호의 유무를 검출하여 조명제어장치를 ON/OFF 하는 기능과 위상제어신호의 펄스폭을 검출하여 조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갖는 발광소자 조명제어 장치(100)는 위상폭 검출부(110), 위상신호 검출부(120), 구동부(130), 제1정류부(140), 제2정류부(150) 및 평활부(16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구성요소의 일부는 생략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1, a light emitting device lighting control having a function of receiving a phase control signal and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phase control signal to turn on / off the lighting control device and a function of detecting illuminance by detecting a pulse width of the phase control signal. The
위상제어 신호가 제2정류부(150)에 입력되면 제2정류부(150)는 위상제어 신호를 정류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위상제어 신호를 제2정류부(150)에 의해 직류로 정류하여 온오프신호 및 조도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가정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위상제어 신호를 정류하지 않고 사용할 수도 있다.When the phase control signal is input to the
위상폭 검출부(110)는 제2정류부(150)로부터 정류된 위상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위상폭을 감지하여 조도 제어신호를 발생한다.The
위상신호 검출부(120)는 제2정류부(150)로부터 정류된 위상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조명신호, 즉, 온오프(On/Off) 신호를 발생한다.The
구동부(130)는 위상폭 검출부(110)로부터 조도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발광소자(170)에 대한 구동전류를 발생하고 위상신호 검출부(120)로부터 온오프(On/Off) 신호를 수신하여 구동부(130)의 온오프(On/Off) 상태를 제어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발광소자(170)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여기서 발광소자(170)로는 LED, 형광등 등 다양한 조명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구동부(130)를 구동하는 전원은, 주전원이 제1정류부(140)에 입력되고 제1정류부(140)가 정류된 주전원을 출력하면 평활부(160)를 통하여 정류된 주전원이 평활되어 구동부(130)로 입력된다. 구동부(130)로 입력된 정류된 주전원은 구동부(130)의 제어에 따라 발광소자(170)에 인가되어 발광을 하도록 제어된다. 여기서 주전원은 일반 교류전원일 수도 있다. 구동부(130)는 정류된 주전원에 대하여 고주파 스위칭을 통하여 교류(발광소자가 형광등인 경우) 또는 직류(발광소자가 LED인 경우)로 변환되어 발광소자 부하(형광등 또는 LED)를 구동하게 된다. 이때 부하에 흐르는 전류는 조도 제어신호에 따라 발광소자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조절하여 조도를 제어하게 된다.When the main power is input to the
발광소자 조명제어 장치(100)는 정류된 위상제어 신호에서 신호가 있을 때는 발광소자(170)가 켜지지만 신호가 없으면 발광소자(170)는 완전히 OFF 되도록 제어하고, 정류된 위상제어 신호의 위상이 앞으로 가게 되면 발광소자(170)의 조도가 밝아지고 위상이 뒤로 가게 되면 발광소자(170)의 조도가 어두워지도록 제어한다. 이를 위하여 발광소자 조명제어 장치(100)는 정류된 위상제어 신호를 받아 정류한 후 신호의 유무를 검출하여 발광소자(170)를 ON/OFF 하는 기능을 하도록 위상신호 검출부(120)를 구비하고, 정류된 위상제어 신호의 신호의 펄스폭을 검출하여 조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갖도록 위상폭 검출부(110)를 구비한다.The light emitting device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 위상폭 검출부(110)의 기능은 위상신호 검출부(120)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위상신호 검출부(120)는 제2정류부(150)로부터 정류된 위상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온오프(On/Off) 신호를 발생하고, 정류된 위상제어 신호의 위상폭을 감지하여 조도 제어신호를 발생한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function of 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상신호 검출부(120)의 회로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에서 위상폭 검출부(110)의 기능은 위상신호 검출부(120)에 포함되어 구현된 것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ircuit diagram of the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상신호 검출부(120)는 제1저항(R1), 제2저항(R2), 제1FET(FET1), 다이오드 소자, 캐패시터(C1) 및 위상신호 검출소자를 포함한다. 여기서, 위상신호 검출소자는 위상폭 검출부(110)를 구현한 것으로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토커플러(PC2)를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상신호 검출부(120)에서 다이오드 소자의 일 예로는 도 4에서와 같이 제너다이오드(ZD1)를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As shown in FIG. 4, the
도 4에서, 정류된 위상제어 신호의 일단부에 제1저항(R1)의 일단부 및 포토커플러(PC2)의 일단부가 병렬로 연결되고, 포토커플러(PC2)의 타단부에 제1FET(FET1)의 드레인(D)이 연결되고, 제1저항(R1)의 타단부가 제1FET(FET1)의 게이트(G)와 제너다이오드(ZD1)의 (-)단자에 병렬로 연결되고, 제너다이오드(ZD1)의 (+)단자는 정류된 위상제어 신호의 타단부에 연결된다. 제1FET(FET1)의 소스(S)에는 직렬연결된 제2저항(R2)-캐패시터(C1)의 일단부와 연결되고, 직렬연결된 제2저항-캐패시터(C1)의 타단부는 정류된 위상제어 신호의 타단부에 연결된다. 여기서 제2저항-캐패시터(C1)의 위치는 서로 바뀌어도 무관하다.In FIG. 4, one end of the first resistor R1 and one end of the photocoupler PC2 are connected in parallel to one end of the rectified phase control signal, and the first FET FET1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photocoupler PC2. Drain D is connected, the other end of the first resistor R1 is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gate G of the first FET FET1 and the negative terminal of the zener diode ZD1, and the zener diode ZD1 The positive terminal of)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rectified phase control signal. A source S of the first FET1 is connected to one end of a second resistor R2 capacitor C1 connected in series,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esistor capacitor C1 connected in series is rectified phase control signal.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Here, the positions of the second resistor-capacitor C1 may be interchanged.
도 5는 도 4의 회로에서 FET1의 드레인 전압의 파형(도 5a), FET1의 전류(도 5b), 캐패시터(C1)의 전압(도 5c)을 도시한 그래프이다.FIG. 5 is a graph showing the waveform of the drain voltage of FET1 (FIG. 5A), the current of FET1 (FIG. 5B), and the voltage of capacitor C1 (FIG. 5C) in the circuit of FIG. 4.
ZD1의 전압은 일정하고 C1의 전압도 리플성분이 약간 있기는 하나 거의 일정하며, FET1의 게이트-소오스 문턱(Thredhold) 전압도 일정하므로 R2의 전압도 일정하게 된다. 이를 수식으로 표시하면 (VR2 = VZD1 - VC1 - VGSth)가 된다(단, VR2: R2의 전압, VZD1: ZD1의 전압, VC1: C1의 전압, VGSth: FET1의 게이트-소오스 문턱(Thredhold) 전압). 그러므로 R2에 흐르는 전류 IR2는 IR2=VR2/R2 가 되어 VR2가 일정하면 IR2도 일정하게 된다. The voltage of ZD1 is constant and the voltage of C1 is almost constant although there is some ripple component, and the voltage of R2 is constant because the gate-source threshold voltage of FET1 is also constant. When this display by a formula is the (V R2 = V ZD1 - - V C1 V GSth) ( However, V R2: R2, the voltage, V ZD1: the ZD1 voltage, V C1: the C1 voltage, V GSth: FET1 of the gate Source threshold voltage. Therefore, the current IR2 flowing in R2 becomes IR2 = VR2 / R2, and if VR2 is constant, IR2 is also constant.
따라서, 도 5에서, FET1에는 일정전류가 흐르게 된다. 전류는 FET1의 드레인 전압이 높은 부분뿐만 아니라 낮은 부분에서도 고르게 흐르게 되므로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FET1에서의 손실은 드레인-소오스 전압×드레인(혹은 소오스) 전류가 되므로 드레인 전압이 높은 곳에서 전류가 흐르는 것보다 드레인 전압이 낮은 곳에서 전류 흐르는 게 손실이 훨씬 적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위상신호 검출부(120)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레인 전압이 낮은 곳에서도 FET1에 전류가 흐르므로 드레인전압이 높은 곳에서 전류가 집중되어 흐르는 도 3의 파형을 갖는 도 2의 회로보다 전력소비도 적고 열도 적게 발생된다.Thus, in Fig. 5, a constant current flows through FET1. The current flows evenly in the high and low parts of the drain voltage of FET1, minimizing losses. In other words, the loss in FET1 becomes drain-source voltage x drain (or source) current, so that the loss of current flows at a lower drain voltage is much less than that at a high drain voltage. Therefore, as shown in FIG. 5, the
또한, 종래의 방식에 비해 전류가 고르게 흐르므로 위상폭 검출부(110)로서 PC2를 별도의 회로로 구성하지 않고, 도 4와 같이 FET1의 드레인에 직렬로 삽입하는 구성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urrent flows more uniformly than the conventional method, the phase
정류된 위상제어 신호의 위상폭이 PC2에 의해 검출되어 구동부(130)로 전달되며, C1에 의해 발생하는 온오프 신호는 C1과 병렬로 연결되는 제3저항(R3)-포토커플러(PC1) 직렬회로에 의해 검출되어 구동부(130)로 전달될 수 있다.The phase width of the rectified phase control signal is detected by PC2 and transmitted to the
도 2와 같은 종래의 방식의 회로에서는 FET1에 전류가 위상 신호 전 구간에서 고르게 흐르지 않고 위상의 시작부분에서만 집중적으로 흐르므로 PC2를 FET1에 직렬로 삽입할 수 없고 별도의 위상폭 검출회로를 사용하여야 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PC2를 FET1에 직렬로 삽입할 수 있으므로 회로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the conventional circuit as shown in FIG. 2, since the current flows in the FET1 intensively only at the beginning of the phase instead of evenly in the entire phase signal section, the PC2 cannot be inserted in the FET1 in series and a separate phase width detection circuit should be used.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C2 can be inserted in series into the FET1, the circuit configuration can be simplifie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상신호 검출부(120)의 회로도에서 PC2의 위치를 달리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the position of PC2 is different from the circuit diagram of the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상폭 검출부(110)로서 PC2를 FET1의 소오스에 직렬로 삽입하여 정류된 위상제어 신호의 위상폭(β)을 검출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6, the phase
도 6에서, PC2의 위치는 FET1의 소스와 제2저항(R2)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거나, 제2저항(R2)과 C1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거나, C1과 정류된 위상제어전원의 타단부와의 사이에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즉, PC2는 제2저항(R2), C1과 직렬로 연결되어 FET1의 소스와 정류된 위상제어전원의 타단부와의 사이에 연결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In FIG. 6, the position of PC2 is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source of the FET1 and the second resistor R2, or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second resistor R2 and C1, or the other end of the phase control power source rectified with C1. It can be connected in series between and. That is, PC2 may be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second resistor R2 and C1 to be connected between the source of FET1 and the other end of the rectified phase control power supply.
이와 같이, 위상제어신호를 검출하는 방식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소비전류를 최소로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조명제어장치는 수십 내지 수백개가 한꺼번에 사용되기 때문에 아주 적은 소비전류라도 줄여야 하기 때문이다.As such, it is very important to minimize the current consumption in the manner of detecting the phase control signal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because the lighting controller has to reduce even a very small current consumption because tens or hundreds are used at the same tim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That is, all of the components may operate selectively in combination with one or more of them.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such as " comprises, "" comprising," or "having ", as used herein, mean that a component can be implanted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But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other elem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s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unless expressly defined to the contrary.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위상제어신호가 있을 때에는 조명제어장치가 켜지고 위상제어신호가 없으면 조명제어장치는 꺼짐은 물론, 위상제어신호의 위상에 따라 조도를 제어함에 있어서 전류를 제어하여 열 발생을 줄이고 전력소비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발생하고 회로를 단순화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re is a phase control signal, the lighting control device is turned on, and when there is no phase control signal, the lighting control device is turned off, and heat is generated by controlling current in controlling illumination according to the phase of the phase control signal. It is a useful invention that can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and simplify the circuit.
Claims (3)
상기 발광소자 조명 제어 장치는 제1저항, 제2저항, 제1FET, 다이오드 소자 및 캐패시터를 포함하되,
상기 위상제어 신호의 일단부에 제1저항의 일단부 및 제1FET의 드레인(D)이 연결되고, 제1저항의 타단부가 제1FET의 게이트(G)와 다이오드 소자의 (-)단자에 병렬로 연결되고, 다이오드 소자의 (+)단자는 위상제어 신호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제1FET의 소스(S)에는 직렬연결된 제2저항-캐패시터의 일단부와 연결되고, 직렬연결된 제2저항-캐패시터의 타단부는 위상제어 신호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캐패시터가 발광소자에 대한 온오프 신호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 조명 제어 장치.In the light emitting device lighting control apparatus using a phase control signal as an input,
The light emitting device lighting control device includes a first resistor, a second resistor, a first FET, a diode element and a capacitor,
One end of the first resistor and the drain (D) of the first FET ar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phase control signal,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resistor is parallel to the gate (G) of the first FET and the (-) terminal of the diode element. (+) Terminal of the diode element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phase control signal, and the source (S) of the first FET is connected in series with a second resistor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apacitor and the second resistor connected in series. And the other end of the capacitor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phase control signal, wherein the capacitor detects an on / off signal for the light emitting device.
상기 발광소자 조명 제어 장치는,
상기 위상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그 위상폭을 감지하여 조도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위상신호 검출소자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위상신호 검출소자의 일단부는 상기 위상제어 신호의 일단부 및 제1저항의 일단부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위상신호 검출소자의 타단부는 상기 제1FET의 드레인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 조명 제어 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light emitting device lighting control device,
And a phase signal detecting element for receiving the phase control signal and detecting a phase width thereof to generate an illumination control signal.
One end of the phase signal detecting element and one end of the phase control signal and one end of the first resistor are connected in parallel, and the other end of the phase signal detecting element is connected to the drain of the first FET; Lighting control device.
상기 발광소자 조명 제어 장치는,
상기 위상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그 위상폭을 감지하여 조도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위상신호 검출소자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위상신호 검출소자는 상기 제2저항, 상기 캐패시터과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제1FET의 소스와 위상제어 신호의 타단부와의 사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 조명 제어 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light emitting device lighting control device,
And a phase signal detecting element for receiving the phase control signal and detecting a phase width thereof to generate an illumination control signal.
And the phase signal detecting element is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second resistor and the capacitor and is connected between the source of the first FET and the other end of the phase control signa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33854A KR101188236B1 (en) | 2011-04-12 | 2011-04-12 | Apparatus for lighting control of light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33854A KR101188236B1 (en) | 2011-04-12 | 2011-04-12 | Apparatus for lighting control of lighting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88236B1 true KR101188236B1 (en) | 2012-10-09 |
Family
ID=47287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33854A KR101188236B1 (en) | 2011-04-12 | 2011-04-12 | Apparatus for lighting control of lighting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88236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730287B2 (en) | 2014-06-23 | 2017-08-08 | Silicon Works Co., Ltd. | Lighting apparatus and dimming regulation circuit thereof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170240A (en) | 2008-01-16 | 2009-07-30 | Sharp Corp | LED dimmer |
-
2011
- 2011-04-12 KR KR1020110033854A patent/KR101188236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170240A (en) | 2008-01-16 | 2009-07-30 | Sharp Corp | LED dimmer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730287B2 (en) | 2014-06-23 | 2017-08-08 | Silicon Works Co., Ltd. | Lighting apparatus and dimming regulation circuit thereof |
KR101812941B1 (en) * | 2014-06-23 | 2017-12-28 |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 Lighting apparatus and dimming regulation circuit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515611B1 (en) | Lighting device and illumination apparatus | |
KR101239999B1 (en) |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a light source | |
US8339053B2 (en) | LED dimming apparatus | |
KR101337241B1 (en) | Power apparatus for led lighting and led lighting apparatus | |
US20130127356A1 (en) | Led driving power supply apparatus and led lighting apparatus | |
US9485816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immable LED driver | |
KR101002600B1 (en) | LED lighting control circuit | |
TWM503722U (en) | Light emitting device power supply circuit with dimming function and control circuit thereof | |
JP2014110244A (en) | Led lighting apparatus, current regulator for the same, and current regulating method | |
US9320100B2 (en) | Lighting apparatus | |
KR20100023770A (en) | Circuit arrangement for operating at least one semiconductor light source | |
KR20180017076A (en) | Switching converter and its control circuit, lighting device using same, electronic device | |
KR101536108B1 (en) | Control circuit and voltage generating method for led lighting apparatus | |
EP3058794B1 (en) | Drive unit for a lighting element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 |
JP7256384B2 (en) | Power supply devic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and ripple suppression method | |
KR101674550B1 (en) | dimming control device of LED lamp using switch on-off signal | |
KR101188236B1 (en) | Apparatus for lighting control of lighting device | |
KR20140070126A (en) |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the illumination apparatus | |
JP2014131420A (en) | Power-supply device | |
KR101267957B1 (en) | Apparatus for control of led lamp | |
JP6694408B2 (en) | LED power supply device and LED lighting device | |
KR20140053650A (en) | Light Emitting Diode Lighting Device | |
JP6101744B2 (en) | Switching power supply | |
KR20150078614A (en) | Power driver for LED(light emitting diode) illumin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2119576B1 (en) | Voltage tracking circuit and buck converter with protecting function from over voltag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4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70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9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9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