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87807B1 - 수퍼캐패시터 용량을 최대로 이용하는 인버터 회로 - Google Patents

수퍼캐패시터 용량을 최대로 이용하는 인버터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7807B1
KR101187807B1 KR1020100048580A KR20100048580A KR101187807B1 KR 101187807 B1 KR101187807 B1 KR 101187807B1 KR 1020100048580 A KR1020100048580 A KR 1020100048580A KR 20100048580 A KR20100048580 A KR 20100048580A KR 101187807 B1 KR101187807 B1 KR 101187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ercapacitor
voltage
inverter
output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8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9127A (ko
Inventor
정수만
Original Assignee
정수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수만 filed Critical 정수만
Priority to KR1020100048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7807B1/ko
Publication of KR20110129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91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7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780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0Details of 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4Arrangements for preventing response to transient abnormal conditions, e.g. to lightning or to short duration over voltage or oscillations; Damping the influence of DC component by short circuits in AC networ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5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dynamic converters
    • H02M7/5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dynamic converters using mechanical contact-making and -breaking parts to interrupt a single potential
    • H02M7/6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dynamic converters using mechanical contact-making and -breaking parts to interrupt a single potential with electromagnetically-operated vibrating contacts, e.g. chopp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3Energy storage using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수퍼캐패시터 용량을 최대로 이용하는 인버터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직류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인버터와, 인버터의 입력측에 연결되며, 입력 전원의 순간 정전시 충전된 전하를 인버터로 출력하여 정전 보상을 수행하는 수퍼캐패시터와, 수퍼캐패시터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감지하고, 감지된 수퍼캐패시터의 출력 전압과 기 설정된 전압을 비교하며, 수퍼캐패시터의 출력측 전압이 기 설정된 전압 미만이면 스위칭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출력하는 전압 감지부와, 인버터와 수퍼캐패시터 사이에 연결되고, 전압 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 온, 오프 구동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며, 반복적인 온, 오프 구동에 의한 전자에너지의 축적 또는 방출을 토대로 수퍼캐패시터의 전압보다 높은 출력전압을 발생시켜 인버터로 공급하는 승압 초퍼회로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높은 정전용량을 갖는 수퍼캐패시터의 사용 효율을 크게 증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수퍼캐패시터 용량을 최대로 이용하는 인버터 회로{Inverter circuit being capable of maximum usage of super capacitor's capacity}
본 발명은 수퍼캐패시터 용량을 최대로 이용하는 인버터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UPS(uninterrupted power supply), 인버터 회로 등에서는 백 리플(back ripple) 감소용으로 캐패시터를 사용하며, 안정된 인버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수μF(마이크로 패러드)의 정전용량을 가진 DC 캐패시터를 사용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또한, 최근에는 순간 정전시 이를 보상하기 위하여 수퍼캐패시터(고용량 캐패시터, 울트라(ultra) 캐패시터로도 불리움)를 사용한 인버터 회로가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이와 같은 일반적인 수퍼캐패시터를 사용한 인버터 회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회로도로서, 통상적으로 인버터(3)의 입력측에 수퍼캐패시터(1)가 연결되어 있다.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하는 도중 순간적인 정전이 발생되면 수퍼캐패시터(1)에 충전된 전하가 인버터(3)로 공급되며, 순간적인 정전이 해소되고 전력이 다시 공급되면 수퍼캐패시터(1)의 충전이 이루어진다. 이때 인버터(3)로 공급되는 수퍼캐패시터(1)의 전압은 용량의 40 내지 50% 정도의 전압이며, 재 충전시 과전류로 인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남은 전압을 최대한 방전시키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인버터 회로를 설계할 때 수퍼캐패시터의 정전용량을 일반적인 무정전 전원장치의 배터리 기준으로 회로를 설계하기 때문에 높은 수퍼캐패시터의 용량이 필요하고, 수퍼캐패시터의 용량을 최대한 사용하지 못하여 비효율적인 구성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내부의 에너지 저장용량이 큰 수퍼캐패시터를 최대한으로 사용하게 되면 재 전력투입이나 저전압시에 과도한 충전으로 인하여 초기에 대전류의 전류공급이 필요하고, 대전류의 전류공급에 의하여 발생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류제한회로를 구성하여야 하는 기술적인 문제점이 있었기 때문에 최대 50%의 정전용량만 사용하고 나머지는 그대로 손실처리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따라 수퍼캐패시터의 용량을 50% 이상 최대한으로 이용하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순간적인 정전시 수퍼캐패시터의 정전용량을 최대한 이용하면서 정전 보상을 수행하도록 하는 수퍼캐패시터 용량을 최대로 이용하는 인버터 회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퍼캐패시터의 잔여 정전용량을 감지하여 일정 수치 미만인 경우 자동으로 승압 회로를 동작시켜 수퍼캐패시터의 정전용량이 대략 20 프로를 유지할 때까지 최대한 정전 보상에 이용하도록 하는 수퍼캐패시터 용량을 최대로 이용하는 인버터 회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퍼캐패시터 용량을 최대로 이용하는 인버터 회로는, 직류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인버터와, 인버터의 입력측에 연결되며, 입력 전원의 순간 정전시 충전된 전하를 인버터로 출력하여 정전 보상을 수행하는 수퍼캐패시터와, 수퍼캐패시터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감지하고, 감지된 수퍼캐패시터의 출력 전압과 기 설정된 전압을 비교하며, 수퍼캐패시터의 출력측 전압이 기 설정된 전압 미만이면 스위칭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출력하는 전압 감지부, 그리고 인버터와 수퍼캐패시터 사이에 연결되고, 전압 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 온, 오프 구동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며, 반복적인 온, 오프 구동에 의한 전자에너지의 축적 또는 방출을 토대로 수퍼캐패시터의 전압보다 높은 출력전압을 발생시켜 인버터로 공급하는 승압 초퍼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전압 감지부의 수퍼캐패시터의 출력 전압과 비교하는 기 설정 전압은 수퍼캐패시터 정전용량의 50 프로가 되는 전압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수퍼캐패시터 정전용량의 20 프로 미만의 전압이 될 때까지 승압 초퍼회로부로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압 감지부에서 승압 초퍼회로부로 출력되는 스위칭 제어신호는 50 프로의 듀티비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승압 초퍼회로부는, 베이스 단자가 전압 감지부와 연결되어 전압 감지부로부터 인가되는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 온, 오프 스위칭을 수행하는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수퍼캐패시터의 출력단과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단자 사이에 연결되고, 스위칭 트랜지스터가 온 되면 수퍼캐패시터에서 방출되는 에너지를 축적하며, 스위칭 트랜지스터가 오프되면 축적된 에너지를 인버터로 방출하는 코일과, 코일의 출력측에 연결되어 인버터로 흐르는 전류가 역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다이오드, 그리고 인버터와 병렬로 접속되며, 코일에서 인버터로 공급되는 부하전압을 평활시키는 캐패시터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수퍼캐패시터 용량을 최대로 이용하는 인버터 회로에 따르면, 수퍼캐패시터의 잔여 정전용량이 50 프로 미만인 경우 자동으로 승압 회로를 동작시켜 수퍼캐패시터의 정전용량이 대략 20 프로 남을 때까지 정전 보상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높은 정전용량을 갖는 수퍼캐패시터의 사용 효율을 크게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수퍼캐패시터를 사용한 인버터 회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퍼캐패시터 용량을 최대로 이용하는 인버터 회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회로에서 수퍼캐패시터의 잔여 정전용량이 50 프로 이상일 때와 50 프로 미만일 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수퍼캐패시터 용량을 최대로 이용하는 인버터 회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퍼캐패시터 용량을 최대로 이용하는 인버터 회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회로도이며, 도 3은 도 2의 회로에서 수퍼캐패시터의 잔여 정전용량이 50 프로 이상일 때와 50 프로 미만일 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버터 회로는, 인버터(10), 수퍼캐패시터(20), 전압 감지부(30), 승압 초퍼회로부(40) 등으로 구성된다.
인버터(10)는 UPS 등의 순간 정전 보상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으로서, 직류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수퍼캐패시터(20)는 인버터(10)의 입력측에 연결되며, 입력 전원의 순간 정전시 충전된 전하를 인버터(10)로 출력하여 정전 보상을 수행한다.
전압 감지부(30)는 수퍼캐패시터(20)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감지하고, 감지된 수퍼캐패시터(20)의 출력 전압과 기 설정된 전압을 비교하며, 수퍼캐패시터(20)의 출력측 전압이 기 설정된 전압 미만이면 스위칭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승압 초퍼회로부(40)로 출력한다.
이때 상술한 전압 감지부(30)에 기 설정되어 있는 수퍼캐패시터(20)의 출력 전압과 비교하는 전압은 수퍼캐패시터(20) 정전용량의 50 프로가 되는 전압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전압 감지부(30)는 수퍼캐패시터(20)의 정전용량의 20 프로 미만의 전압이 될 때까지 승압 초퍼회로부(40)로 스위칭 제어신호를 반복적으로 출력한다. 이때 전압 감지부(30)에서 승압 초퍼회로부(40)로 출력되는 스위칭 제어신호는 50 프로의 듀티비를 갖도록 구성되므로 최대 2배의 전압 상승이 가능하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퍼캐패시터(20)의 정전용량이 50 프로 이상인 경우에는 수퍼캐패시터(20)에 충전된 전하가 인버터(10)로 출력되며, 50 프로 미만인 경우에는 전압 감지부(30)에서 출력되는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 승압 초퍼회로부(40)가 동작되어 수퍼캐패시터(20)의 정전용량이 대략 20 프로가 남을 때까지 정전 보상이 이루어진다.
승압 초퍼회로부(40)는 부스트 업(boost up) 회로로서, 인버터(10)와 수퍼캐패시터(20) 사이에 연결되고, 전압 감지부(30)로부터 입력되는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 온, 오프 구동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며, 반복적인 온, 오프 구동에 의한 전자에너지의 축적 또는 방출을 토대로 수퍼캐패시터(20)의 전압보다 높은 출력전압을 발생시켜 인버터(10)로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술한 승압 초퍼회로부(40)는, 베이스 단자가 전압 감지부(30)와 연결되어 전압 감지부(30)로부터 인가되는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 온, 오프 스위칭을 수행하는 스위칭 트랜지스터(Q)와, 수퍼캐패시터(20)의 출력단과 스위칭 트랜지스터(Q)의 콜렉터 단자 사이에 연결되고, 스위칭 트랜지스터(Q)가 온 되면 수퍼캐패시터(20)에서 방출되는 에너지를 축적하며, 스위칭 트랜지스터(Q)가 오프되면 축적된 에너지를 인버터(10)로 방출하는 코일(L1)(L2)과, 코일(L1)(L2)의 출력측에 연결되어 인버터(10)로 흐르는 전류가 역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다이오드(D), 그리고 인버터(10)와 병렬로 접속되며 코일(L1)(L2)에서 인버터(10)로 공급되는 부하전압을 평활시키는 캐패시터(C)를 포함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퍼캐패시터 용량을 최대로 이용하는 인버터 회로의 동작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수퍼캐패시터(20)에 전하가 정상적으로 충전된 이후, 순간적인 정전 등이 발생하면, 수퍼캐패시터(20)에 충전된 전하가 후단의 인버터(10)로 출력되어 정전을 보상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퍼캐패시터(20)의 잔여 정전용량이 50 프로 이상인 경우(즉 인버터(10)에 정상적인 전압이 공급되는 경우)이면, 수퍼캐패시터(20)에 충전된 전하가 인버터(10)로 출력된다.
이러한 동작 과정에서 수퍼캐패시터(20)의 잔여 정전용량이 50 프로 미만이 되는 경우, 전압 감지부(30)는 이를 감지하여 스위칭 제어신호를 발생시킨 후, 발생된 스위칭 제어신호를 승압 초퍼회로부(40)로 출력한다.
그러면 전압 감지부(30)에서 출력되는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 승압 초퍼회로부(40)가 동작되어 수퍼캐패시터(20)의 정전용량이 대략 20 프로가 남을 때까지 인버터(10)로 전압이 공급되어 정전 보상이 이루어진다.
즉 승압 초퍼회로부(40)의 스위칭 트랜지스터(Q)가 전압 감지부(30)로부터 인가되는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 온 되면 코일(L1)(L2)에 에너지가 축적되고, 스위칭 트랜지스터(Q)가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 오프되면 코일(L1)(L2)에 축적된 에너지가 캐패시터(C)와 인버터(10)로 공급된다.
이때 인버터(10)로 공급되는 전압은 입력전압인 수퍼캐패시터(20)의 전압보다 크며, 스위칭 제어신호의 듀티비(본 발명에서는 50 프로로 설계되어 최대 2배 정도의 정전 보상이 가능하며, 기존 제품의 수량이나 용량보다 최대 1/3 정도로 동일한 효과를 볼 수 있음) 제어를 토대로 출력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수퍼캐패시터(20)의 잔여 정전용량이 50 프로 미만인 경우에는 충전 상태 문제 등으로 인하여 더 이상 동작을 수행하지 않던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수퍼캐패시터(20)의 전압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수퍼캐패시터(20)의 정전용량이 대략 20 프로가 남을 때까지 승압 초퍼회로부(40)의 승압 동작을 토대로 인버터(10)로 전압을 공급하여 정전 보상을 수행함으로써, 수퍼캐패시터(20)의 정전용량을 최대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인버터
20 : 수퍼캐패시터
30 : 전압 감지부
40 : 승압 초퍼회로부
Q : 스위칭 트랜지스터
L1, L2 : 코일
D : 다이오드
C : 캐패시터

Claims (5)

  1. 직류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인버터,
    상기 인버터의 입력측에 연결되며, 입력 전원의 순간 정전시 충전된 전하를 상기 인버터로 출력하여 정전 보상을 수행하는 수퍼캐패시터,
    상기 수퍼캐패시터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감지하고, 감지된 상기 수퍼캐패시터의 출력 전압과 기 설정된 전압을 비교하며, 상기 수퍼캐패시터의 출력측 전압이 기 설정된 전압 미만이면 스위칭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출력하는 전압 감지부, 그리고
    상기 인버터와 상기 수퍼캐패시터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전압 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 온, 오프 구동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며, 반복적인 온, 오프 구동에 의한 전자에너지의 축적 또는 방출을 토대로 상기 수퍼캐패시터의 전압보다 높은 출력전압을 발생시켜 상기 인버터로 공급하는 승압 초퍼회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압 감지부의 상기 수퍼캐패시터의 출력 전압과 비교하는 기 설정 전압은, 상기 수퍼캐패시터 정전용량의 50 프로가 되는 전압으로 설정하는 수퍼캐패시터 용량을 최대로 이용하는 인버터 회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감지부는,
    상기 수퍼캐패시터 정전용량의 20 프로 미만의 전압이 될 때까지 상기 승압 초퍼회로부로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수퍼캐패시터 용량을 최대로 이용하는 인버터 회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감지부에서 상기 승압 초퍼회로부로 출력되는 스위칭 제어신호는 50 프로의 듀티비를 갖는 수퍼캐패시터 용량을 최대로 이용하는 인버터 회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압 초퍼회로부는,
    베이스 단자가 상기 전압 감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전압 감지부로부터 인가되는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 온, 오프 스위칭을 수행하는 스위칭 트랜지스터,
    상기 수퍼캐패시터의 출력단과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단자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가 온 되면 상기 수퍼캐패시터에서 방출되는 에너지를 축적하며,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가 오프되면 축적된 에너지를 상기 인버터로 방출하는 코일,
    상기 코일의 출력측에 연결되어 상기 인버터로 흐르는 전류가 역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다이오드, 그리고
    상기 인버터와 병렬로 접속되며, 상기 코일에서 상기 인버터로 공급되는 부하전압을 평활시키는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수퍼캐패시터 용량을 최대로 이용하는 인버터 회로.
KR1020100048580A 2010-05-25 2010-05-25 수퍼캐패시터 용량을 최대로 이용하는 인버터 회로 Active KR101187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8580A KR101187807B1 (ko) 2010-05-25 2010-05-25 수퍼캐패시터 용량을 최대로 이용하는 인버터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8580A KR101187807B1 (ko) 2010-05-25 2010-05-25 수퍼캐패시터 용량을 최대로 이용하는 인버터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9127A KR20110129127A (ko) 2011-12-01
KR101187807B1 true KR101187807B1 (ko) 2012-10-05

Family

ID=45498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8580A Active KR101187807B1 (ko) 2010-05-25 2010-05-25 수퍼캐패시터 용량을 최대로 이용하는 인버터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78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517B1 (ko) * 2013-10-11 2015-03-06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전원 제어회로 및 전원제어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7044A (ja) * 1997-06-04 1998-12-18 Toshiba Fa Syst Eng Kk 電力変換装置
JPH11299129A (ja) * 1998-04-17 1999-10-29 Hitachi Ltd 電源並列接続型無停電電源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7044A (ja) * 1997-06-04 1998-12-18 Toshiba Fa Syst Eng Kk 電力変換装置
JPH11299129A (ja) * 1998-04-17 1999-10-29 Hitachi Ltd 電源並列接続型無停電電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9127A (ko) 2011-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8783B1 (ko) 무정전 전원 장치
US7432617B2 (en) Uninterruptible power system
US10447155B2 (en) Power source device
RU2539313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обеспечения поддержки электропитания на нагрузке
KR102273767B1 (ko) 양방향 dc-dc 컨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US20130264879A1 (en) Low power consumption backup power system
CN101715271A (zh) 应急镇流器系统
CN103078615A (zh) 一种延迟电路及其方法
JP6225672B2 (ja) 給電設備及びその運転方法
CN112117920B (zh) 电源供应器及其控制方法及电源供应系统
CN103023308A (zh) 电源供应电路及具有适应性使能电荷泵的电源供应电路
KR101187807B1 (ko) 수퍼캐패시터 용량을 최대로 이용하는 인버터 회로
KR102741348B1 (ko) 무정전 전원 시스템
KR102343689B1 (ko) 양방향 dc-dc 컨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CN112994207A (zh) 电容控制电路以及供电系统
CN103368248A (zh) 低功率消耗的备援电力系统
JP2011186583A (ja) 回路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5287241A (ja) 電力変換装置
JP5664251B2 (ja) 電力供給安定化装置及び電力供給安定化装置制御方法
JP2008035573A (ja) 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を用いた蓄電装置
JP2023044246A (ja) 電子機器
JP2003067065A (ja) バッテリ内蔵型電力変換装置
TWI524627B (zh) To avoid excessive discharge of the battery module power supply
US9960636B2 (en) Power supply system and direct-current converter thereof
KR101371703B1 (ko) 직류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6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9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9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1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2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1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2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