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87483B1 -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여 예인전차 내외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여 예인전차 내외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7483B1
KR101187483B1 KR1020110039939A KR20110039939A KR101187483B1 KR 101187483 B1 KR101187483 B1 KR 101187483B1 KR 1020110039939 A KR1020110039939 A KR 1020110039939A KR 20110039939 A KR20110039939 A KR 20110039939A KR 101187483 B1 KR101187483 B1 KR 101187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line
line communication
towing tank
towing
communication mode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9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반석호
안해성
이영연
황승현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039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74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7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748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0/00Hydrodynamic testing; Arrangements in or on ship-testing tanks or water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2203/54Aspects of powerline communications not already covered by H04B3/54 and its subgroups
    • H04B2203/5462Systems for power line communications
    • H04B2203/5495Systems for power line communications having measurements and testing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인전차 내부의 제 1 랜 포트가 예인수조 실험과 관련하여 생성되는 예인전차 내부의 데이터를 랜 선을 통하여 예인전차 내부의 제 1 전력선 통신 모뎀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1 전력선 통신 모뎀이 상기 제 1 랜 포트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전력선을 통하여 예인전차 외부의 제 2 전력선 통신 모뎀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전력선 통신 모뎀이 상기 제 1 전력선 통신 모뎀으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랜 선을 통하여 예인전차 외부의 제 2 랜 포트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여 예인전차 내외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예인전차 외부의 제 2 랜 포트가 예인수조 실험과 관련하여 생성되는 예인전차 외부의 데이터를 랜 선을 통하여 예인전차 외부의 제 2 전력선 통신 모뎀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2 전력선 통신 모뎀이 상기 제 2 랜 포트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전력선을 통하여 예인전차 내부의 제 1 전력선 통신 모뎀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전력선 통신 모뎀이 상기 제 2 전력선 통신 모뎀으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랜 선을 통하여 예인전차 내부의 제 1 랜 포트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여 예인전차 내외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여 예인전차 내외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data transferring method with power line communication in towing carriage}
본 발명은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여 예인전차 내외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각종 데이터를 예인전차 외부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 받을 때 무선 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예인전차의 전차레일 내 위치에 따라 신호의 강도가 달라져 통신 품질이 영향을 받게 되고, 유선통신 방식에 비해 통신 속도가 느리며, 보안에 취약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이란 전기를 공급하는 전력선을 매개체로 이용하여 음성 및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 기술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50~60Hz의 교류전류 신호에 수십 kHz에서 수십 mHz의 고주파 신호를 중첩시켜 데이터를 전송한다.
전력선 통신은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에 따라 크게 협대역 전력선 통신과 광대역 전력선 통신으로 구분되며 통신 속도는 주파수 대역에 비례한다. 전력선 통신은 별도의 통신용 회선을 설치하지 않고 기존의 전력선을 사용하기 때문에 경제성이 매우 뛰어나다.
본 발명은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을 이용하여 예인전차 내외간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예인전차 내부의 제 1 랜 포트가 예인수조 실험과 관련하여 생성되는 예인전차 내부의 데이터를 랜 선을 통하여 예인전차 내부의 제 1 전력선 통신 모뎀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1 전력선 통신 모뎀이 상기 제 1 랜 포트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전력선을 통하여 예인전차 외부의 제 2 전력선 통신 모뎀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전력선 통신 모뎀이 상기 제 1 전력선 통신 모뎀으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랜 선을 통하여 예인전차 외부의 제 2 랜 포트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여 예인전차 내외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예인전차 외부의 제 2 랜 포트가 예인수조 실험과 관련하여 생성되는 예인전차 외부의 데이터를 랜 선을 통하여 예인전차 외부의 제 2 전력선 통신 모뎀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2 전력선 통신 모뎀이 상기 제 2 랜 포트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전력선을 통하여 예인전차 내부의 제 1 전력선 통신 모뎀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전력선 통신 모뎀이 상기 제 2 전력선 통신 모뎀으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랜 선을 통하여 예인전차 내부의 제 1 랜 포트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여 예인전차 내외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예인전차의 전차레일 내 위치에 관계없이 신호의 강도가 일정하므로 통신 품질이 영향을 받지 않고, 예인전차 내외간의 통신 속도가 빠르며, 높은 수준의 보안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예인전차 내외간의 데이터 전송과정.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예인전차 내외간의 데이터 전송과정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전송용 레일의 내부 구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예인전차 내외간의 데이터 전송과정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를 보여준다.
본 발명에서 제 1 전력선 통신 모뎀(1) 및 제 1 랜 포트(2)는 예인전차(8) 내부에 위치하며, 예인수조(9) 실험 시 예인전차(8)와 함께 이동한다. 여기서, 예인전차(8)는 예인수조(9)의 양쪽 측면 가장자리에 설치된 전차레일(10)을 따라 예인수조(9)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전력 전송용 레일(3), 제 2 전력선 통신 모뎀(4) 및 제 2 랜 포트(5)는 예인전차(8) 외부에 위치하며, 일반적으로는 그 위치가 이동하지 않는다.
예인전차(8) 내부에서 제 1 전력선 통신 모뎀(1)과 제 1 랜 포트(2)는 랜 선(7)으로 서로 연결된다. 제 1 랜 포트(2)는 예인수조(9) 실험과 관련하여 생성되는 예인전차(8) 내부의 각종 데이터를 제 1 전력선 통신 모뎀(1)을 경유하여 예인전차(8) 외부와 주고받는다.
전력 전송용 레일(3)은 예인전차(8) 외부에 위치하며, 제 1 전력선 통신 모뎀(1)과 전력선(6)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전력 전송용 레일(3)은 바람직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인수조(9)의 전 길이구간에 걸쳐 설치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전송용 레일의 내부 구조를 보여준다. 전력 전송용 레일(3)은 제 1 도체(11), 제 2 도체(12), 예인전차 연동부(14) 및 스프링(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 1 도체(11)는 전력 전송용 레일(3)에 부착되어 전력 전송용 레일(3)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2 도체(12)는 제 1 도체(11)에 접한 상태에서 제 1 도체(11) 상을 슬라이딩하면서 이동한다. 이때 제 2 도체(12)는 전력선(6)과 연결되며 제 2 도체(12)와 제 1 도체(11)는 서로 접한 상태에 있으므로 제 2 도체(12)와 제 1 도체(11) 사이에서 전력이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예인전차 연동부(14)는 예인전차(8)에 연결되어 예인전차(8)와 함께 이동하며, 스프링(13)은 제 2 도체(12)와 예인전차 연동부(14) 사이에 설치되어 제 2 도체(12)를 제 1 도체(11) 쪽으로 밀어 올린다. 이러한 스프링(13)의 작용으로 제 2 도체(12)와 제 1 도체(11)는 항상 접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도체(12)는 예인전차 연동부(14)에 의하여 제 1 도체(11)의 전 길이 구간을 예인전차(8)와 함께 이동할 수 있으므로, 제 1 전력선 통신 모뎀(1)은 예인전차(8)의 운행이나 예인전차(8)의 전차레일(10) 내 위치에 관계없이 전력선(6)에 의하여 전력 전송용 레일(3)과 항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예인전차(8) 외부에서 제 2 전력선 통신 모뎀(4)과 제 2 랜 포트(5)는 랜 선(7)으로 서로 연결된다. 그리고 제 2 전력선 통신 모뎀(4)은 전력 전송용 레일(3)과 전력선(6)으로 연결된다. 제 2 랜 포트(5)는 예인수조(9) 실험과 관련하여 생성되는 예인전차(8) 외부의 각종 데이터를 제 2 전력선 통신 모뎀(4)을 경유하여 예인전차(8) 내부와 주고받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예인전차 내외간의 데이터 전송과정을 보여준다.
먼저, 본 발명에서 예인전차(8) 내부의 데이터가 예인전차(8) 외부로 전송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인전차(8) 내부의 제 1 랜 포트(2)는 예인수조(9) 실험과 관련하여 생성되는 예인전차(8) 내부의 각종 데이터(디지털 데이터 신호)를 랜 선(7)을 통하여 제 1 전력선 통신 모뎀(1)으로 전송한다(S1). 제 1 전력선 통신 모뎀(1)은 제 1 랜 포트(2)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바꾸어 전력선(6)을 통하여 예인전차(8) 외부의 제 2 전력선 통신 모뎀(4)으로 전송한다(S2). 제 2 전력선 통신 모뎀(4)은 제 1 전력선 통신 모뎀(1)으로부터 전송받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 신호로 바꾸어 랜 선(7)을 통하여 제 2 랜 포트(5)로 전송한다(S3). 이로써 예인전차(8) 내부의 데이터가 예인전차(8) 외부로 전송 완료되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 예인전차(8) 외부의 데이터가 예인전차(8) 내부로 전송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인전차(8) 외부의 제 2 랜 포트(5)는 예인수조(9) 실험과 관련하여 생성되는 예인전차(8) 외부의 각종 데이터(디지털 데이터 신호)를 랜 선(7)을 통하여 제 2 전력선 통신 모뎀(4)으로 전송한다(S1'). 제 2 전력선 통신 모뎀(4)은 제 2 랜 포트(5)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바꾸어 전력선(6)을 통하여 예인전차(8) 내부의 제 1 전력선 통신 모뎀(1)으로 전송한다(S2'). 제 1 전력선 통신 모뎀(1)은 제 2 전력선 통신 모뎀(4)으로부터 전송받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 신호로 바꾸어 랜 선(7)을 통하여 제 1 랜 포트(2)로 전송한다(S3'). 이로써 예인전차(8) 외부의 데이터가 예인전차(8) 내부로 전송 완료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예인전차(8)의 전차레일(10) 내 위치에 관계없이 신호의 강도가 일정하므로 통신 품질이 영향을 받지 않고, 예인전차(8) 내외간의 통신 속도가 빠르며, 높은 수준의 보안이 가능해진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제 1 전력선 통신 모뎀 2 : 제 1 랜 포트
3 : 전력 전송용 레일 4 : 제 2 전력선 통신 모뎀
5 : 제 2 랜 포트 6 : 전력선
7 : 랜 선 8 : 예인전차
9 : 예인수조 10 : 전차레일
11 : 제 1 도체 12 : 제 2 도체
13 : 스프링 14 : 예인전차 연동부

Claims (10)

  1. 삭제
  2. 예인전차 내부의 제 1 랜 포트가 예인수조 실험과 관련하여 생성되는 예인전차 내부의 데이터를 랜 선을 통하여 예인전차 내부의 제 1 전력선 통신 모뎀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1 전력선 통신 모뎀이 상기 제 1 랜 포트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전력선을 통하여 예인전차 외부의 제 2 전력선 통신 모뎀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전력선 통신 모뎀이 상기 제 1 전력선 통신 모뎀으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랜 선을 통하여 예인전차 외부의 제 2 랜 포트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여 예인전차 내외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력선 통신 모뎀과 상기 제 2 전력선 통신 모뎀은 각각 전력 전송용 레일과 전력선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여 예인전차 내외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전송용 레일은 예인수조의 전 길이구간에 걸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여 예인전차 내외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전송용 레일은,
    상기 전력 전송용 레일에 부착되어 상기 전력 전송용 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도체;
    상기 제 1 도체에 접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도체 상을 슬라이딩하면서 이동하는 제 2 도체;
    예인전차에 연결되어 예인전차와 함께 이동하는 예인전차 연동부 및;
    상기 제 2 도체와 상기 예인전차 연동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 2 도체를 상기 제 1 도체 쪽으로 밀어 올리는 스프링;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여 예인전차 내외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력선 통신 모뎀은 예인전차의 운행이나 예인전차의 전차레일 내 위치에 관계없이 전력선에 의하여 상기 전력 전송용 레일과 항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여 예인전차 내외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6. 삭제
  7. 예인전차 외부의 제 2 랜 포트가 예인수조 실험과 관련하여 생성되는 예인전차 외부의 데이터를 랜 선을 통하여 예인전차 외부의 제 2 전력선 통신 모뎀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2 전력선 통신 모뎀이 상기 제 2 랜 포트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전력선을 통하여 예인전차 내부의 제 1 전력선 통신 모뎀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전력선 통신 모뎀이 상기 제 2 전력선 통신 모뎀으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랜 선을 통하여 예인전차 내부의 제 1 랜 포트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여 예인전차 내외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력선 통신 모뎀과 상기 제 2 전력선 통신 모뎀은 각각 전력 전송용 레일과 전력선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여 예인전차 내외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전송용 레일은 예인수조의 전 길이구간에 걸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여 예인전차 내외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전송용 레일은,
    상기 전력 전송용 레일에 부착되어 상기 전력 전송용 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도체;
    상기 제 1 도체에 접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도체 상을 슬라이딩하면서 이동하는 제 2 도체;
    예인전차에 연결되어 예인전차와 함께 이동하는 예인전차 연동부 및;
    상기 제 2 도체와 상기 예인전차 연동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 2 도체를 상기 제 1 도체 쪽으로 밀어 올리는 스프링;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여 예인전차 내외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력선 통신 모뎀은 예인전차의 운행이나 예인전차의 전차레일 내 위치에 관계없이 전력선에 의하여 상기 전력 전송용 레일과 항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여 예인전차 내외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KR1020110039939A 2011-04-28 2011-04-28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여 예인전차 내외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Active KR101187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9939A KR101187483B1 (ko) 2011-04-28 2011-04-28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여 예인전차 내외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9939A KR101187483B1 (ko) 2011-04-28 2011-04-28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여 예인전차 내외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7483B1 true KR101187483B1 (ko) 2012-10-02

Family

ID=47287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9939A Active KR101187483B1 (ko) 2011-04-28 2011-04-28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여 예인전차 내외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7483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E557478T1 (de) Stromleitungskommunikationssytem auf einem flugzeug
CN102111189B (zh) 远距离高速电力线宽带通信方法
CN102316472B (zh) 基于lte的车载接入方法及系统
CN108011942A (zh) 一种电力巡检机器人的载波通讯系统
US7952846B2 (en) Power line communication method
CN103502039A (zh) 用于能量传输和用于感应通信的设备
KR101187483B1 (ko)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여 예인전차 내외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KR101225666B1 (ko)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예인전차 내외간의 데이터 전송장치
CN102647206B (zh) 一种接触网载波通信系统
CN201976101U (zh) 远距离高速电力线宽带通信装置
CN205122759U (zh) 一种高铁移动通信网络覆盖系统
CN101719781A (zh) 通过链状相连网络实现wifi远距离传输的方法
Belhassen et al. Proof of concept of vehicle to infrastructure power line communication link for tramway CCTV
CN103684577A (zh) 一种基于轨道交通电力接触网的移动通信系统、装置和方法
US8909148B2 (en) Communications system
US10001008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broadband communications over power cabling
CN102710270A (zh) 射频拉远单元及其自动频率预控方法及装置
CN204046594U (zh) 应用于轨交列车库的地面无线通信装置和无线通信系统
EP2987249B1 (en) Power-saving communication system having leaky transmission lines and amplifiers to extend wireless coverage and power control unit included therein
EP1533913A1 (en) System for transmitting data
CN216491074U (zh) 一种基于漏泄波导技术的轨道交通lte-m系统
CN206365057U (zh) 一种可支持无线电源的车载LTE‑Fi网关装置
WO2020098224A1 (zh) 一种信号处理装置及其实现信号调度的方法
CN105075171A (zh) 信令系统
CN105564467A (zh) 一种重联通信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4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8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25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9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9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2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2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1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