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87377B1 - 공기 주입식 타이어 수리용 공기 압축기 - Google Patents

공기 주입식 타이어 수리용 공기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7377B1
KR101187377B1 KR1020100019121A KR20100019121A KR101187377B1 KR 101187377 B1 KR101187377 B1 KR 101187377B1 KR 1020100019121 A KR1020100019121 A KR 1020100019121A KR 20100019121 A KR20100019121 A KR 20100019121A KR 101187377 B1 KR101187377 B1 KR 101187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air compressor
air
branch pipe
compression cylind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9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0044A (ko
Inventor
웬-산 초우
Original Assignee
웬-산 초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웬-산 초우 filed Critical 웬-산 초우
Priority to KR1020100019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7377B1/ko
Publication of KR20110100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0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7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737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B23/02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having reservo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3/00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 B29C73/16Auto-repairing or self-sealing arrangements or agents
    • B29C73/166Devices or methods for introducing sealing compositions into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22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by means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14Pistons, piston-rods or piston-rod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16Casings; Cylinders; Cylinder liners or heads; Fluid connections
    • F04B53/162Adaptations of cyli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1Kind or type liquid, i.e. in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60Fluid transf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80/00Materials; Properties thereof
    • F05B2280/40Organic materials
    • F05B2280/4004Rub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주입식 타이어 수리용 공기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로 다른 기능의 기능부재를 공기압축기의 통기관에 신속하게 연결할 수 있고, 또, 고무충전탱크 기능 부재를 공기압축기의 통기관에 신속하게 결합할 수 있어, 파손된 자동차 타이어에 고무를 충전하고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압축기는, 일단에 적어도 하나의 분기관이 마련된 배기시트를 형성하고, 각 분기관의 외단에 제1조인트가 마련되어 있는 공기압축실린더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기능부재는 배기시트의 분기관에 연결되고, 상기 기능부재에는 제2조인트가 설치되어 있으며, 기능부재가 제2조인트를 배기시트의 분기관 외단에 장착하여 소정 각도 회전함으로써 기능부재를 공기압축기에 신속하게 결합하거나 해체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공기 주입식 타이어 수리용 공기 압축기{AIR INJECTION TYPE AIR COMPRESSOR FOR REPAIRING TIRE}
본 발명은 공기 주입식 타이어 수리용 공기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로 다른 기능의 기능부재를 공기압축기의 통기관에 신속하게 연결할 수 있고, 또, 고무 충전탱크 기능 부재를 공기압축기의 통기관에 신속하게 결합해 파손된 자동차 타이어에 고무를 충전하고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압축기는 공기주입 작업에 널리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공기압축기는 공기압축실린더 및 모터에 의해 상기 압축실린더 내부에서 왕복운동하는 피스톤을 포함한다. 피스톤을 통해 압축실린더 내부에서 왕복운동함으로써 가스의 흡입, 압축 및 압력가스의 배출을 완성한다. 압축실린더 내부의 압력가스를 공기주입관, 압력계 및 압력조절밸브 등 기능을 가지는 공기압축기의 기능부재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압축실린더의 가스 배출단에 일반적으로 배기시트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배기시트에는 공기주입관, 압력계 및 압력조절밸브 등 기능부재를 연결하도록 복수개의 분기관이 연장되며, 동시에 가스 통로가 형성되어있다.
종래의 공기압축기의 공기주입관, 압력계 및 압력조절밸브 등 기능부재는 압축실린더의 배기시트에 연결되며, 일반적으로, 상기 공기주입관, 압력계 및 압력조절밸브의 연결단을 수나사를 가지는 조인트로 하고, 분기관 장치의 각 분기관 포트에는 각 기능부재와 수나사가 설치되어 있는 조인트에서 나사결합되도록 암나사로 가공 형성된다.
종래의 공기압축기의 공기주입관, 압력계 및 압력조절밸브 등 기능부재는 나사결합을 통해 공기압축기의 분기관에 연결되므로 조립이 매우 편리하지만, 상기 기능부재가 상기 압축실린더의 분기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면, 그 고정된 최종 장착위치가 항상 원하는 각도방향에 위치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압력계의 게이지면은 항상 사용자가 관찰하기 편한 상부 위치를 향하지 않는다. 상기 기능부재를 원하는 방향과 위치에 위치하게 하기 위해 상기 기능부재를 분기관에 고정할 수 없으며 이에 의해 쉽게 이탈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현재 타이어 수리용으로 사용되는 공지의 공기압축장치는 액상고무가 수용되어 있는 탱크를 공기압축기의 통기관에 신속하게 직접 연결할 수 없고, 또, 사용하지 않을 경우, 고무충전탱크를 쉽게 해체할 수 없기 때문에, 본 발명인은 사용자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각종 기능이 다른 기능부재를 공기압축기의 분기관에 신속하게 연결할 수 있는 설계를 고안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열심히 설계 한 결과 본 발명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기능부재로서의 고무충전탱크를 공기압축기의 통기관에 신속하게 결합할 수 있고, 파손된 타이어에 고무를 충전하고 공기를 주입하는 사용효과를 갖는 공기주입식 타이어 수리용 공기압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공기압축기에 압력계, 압력조절밸브, 공기주입관 등 기타 다른 기능부재를 신속하게 연결할 수 있고, 동시에 공기주입관, 압력계 또는 압력조절밸브 등 기능부재를 분기관의 소정의 위치에 확실하게 위치하도록 고정하는 공기주입식 타이어 수리용 공기압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해 구성된 공기압축기는 배출단을 가지는 압축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단은 배기시트에 연장되며, 상기 배기시트에는 적어도 하나의 분기관이 설치되며, 상기 분기관에 외주벽을 가지는 외단을 구비하고, 상기 외주벽에는 돌출된 제1조인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1조인트는 대향하는 2개의 제1측변을 가지고 상기 2개의 제1측변 사이는 제1거리를 가진다. 상기 공기압축기는 타이어 수리용 고무충전탱크, 공기주입관, 압력계 및 압력조절밸브와 같은 서로 다른 기능부재를 포함하며, 각 기능부재(예를 들어, 타이어 수리용 고무충전탱크, 공기주입관, 압력계, 압력조절밸브)의 일단에 제2조인트가 설치되며, 상기 제2조인트는 베이스부 및 두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두측벽 사이는 제2거리를 가지고, 상기 제2거리는 상기 제1조인트의 2개의 제1측변 사이의 제1거리와 같거나 작으며,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두측벽사이에 수납홈이 형성되며, 각 측벽의 외단에 상기 수납홈 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를 형성한다. 기능부재가(예를 들어, 타이어 수리용 고무충전탱크, 공기주입관, 압력계, 압력조절밸브) 상기 제2조인트의 수납홈을 상기 배기시트의 분기관의 외단에 장착하여 소정각도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2조인트의 두측벽이 상기 제1조인트의 2개의 제1측변의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두측벽의 내벽면 및 상기 2개의 플랜지가 상기 제1조인트의 2개의 제1측변과 감합됨으로써 각 기능부재가 상기 압축실린더에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다른 기능의 기능부재를 공기압축기의 통기관에 신속하게 연결할 수 있으며, 고무 충전탱크의 기능 부재를 공기압축기의 통기관에 신속하게 결합하여 파손된 자동차 타이어에 고무를 충전하고 공기를 주입하는 사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구성에 따른 공기압축기가 박스 내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입체도.
도2는 도1의 일부부재를 나타내는 입체도.
도3은 도2의 공기주입관 및 압력계를 압축실린더로부터 해체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도.
도4는 도2의 단면도.
도5는 도2의 압력계가 압축실린더에 장착되기 전의 동작 설명도.
도6은 도5의 제2조인트와 제1조인트의 결합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7은 본 발명의 박스의 구조설명도.
도8은 본 발명을 파손된 타이어의 수리와 공기주입에 적용한 것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9는 본 발명의 공기압축기와 고무충전탱크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10은 도9의 부분 단면도.
도11은 본 발명의 공기압축기와 고무충전탱크의 분해설명도.
도12는 본 발명의 공기압축기가 공기주입관을 이용해 직접 타이어에 공기를 주입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본 발명의 기타 목적, 장점 및 특징은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도면에 의해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1 내지 도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공기압축기(2) 및 상기 공기압축기(2)에 사용되는 배기관 장치(1)를 나타낸다. 상기 공기압축기(2)에는 대체로, 압축실린더(22)가 연결된 기판(29), 모터(23), 구동기어(231) 및 상기 모터(23)에 의해 상기 압축실린더(22) 내부에서 왕복운동하는 피스톤(24)이 설치되어 있다(도4 참조). 모터(23)는 구동기어(231)(한쌍의 맞물린 기어)와 축레버(232) 및 피스톤 로드(241)의 구동에 의해 피스톤(24)을 압축실린더(22) 내부에서 왕복운동시킴으로써, 가스를 흡입, 압축하고 압력가스를 배출한다. 공기압축기(2)의 주요부재는 모두 상, 하박스(20, 21) 내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공기압축기(2)는 압축실린더(22)의 상단에 배기시트(10)를 연장 설치하고, 상기 배기시트(10)는 상기 압축실린더(22)의 배출구단(221)으로부터 연신되어 압축된 공기를 저장할 수 있으며, 배기시트(10)에는 적어도 하나의 분기관(13)이 설치되어 있다. 분기관(13)을 설치한 목적은 압축실린더(22) 내부의 압축공기가 분기관 (13)을 통해 필요한 기능부재에 전송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공기압축기에서의 기능부재는 예를 들어 압력값을 나타내는 압력계(4), 공기주입노즐에 연결 가능한 공기주입관(3), 압력조절밸브(7), 파손된 타이어를 수리하기 위한 고무충전탱크(80)를 말한다. 그 외, 가스조절밸브 또는 안전밸브 등 배기시트(10) 내에 저장된 공기 압력과 관련된 부재들도 모두 기능부재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공기주입관(3), 압력계(4) 및 압력조절밸브(7)는 각각 상기 배기시트(10)에 연결되며, 상기 공기주입관(3)은 에어노즐 또는 공기주입 호스에 외접될 수 있어 압축실린더(22) 내의 압력가스가 공기주입관(3)을 통해 타이어 내에 주입되록 한다. 상기 압력계(4)는 압력가스의 압력값을 나타낼 수 있는 게이지면(41)을 포함하며, 상기 공기압축기(2)는 압력조절밸브(7)와 같은 기능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조는 상기 배기관 장치(1)가 공기주입관(3), 압력계(4), 압력조절밸브(7) 및 고무충전탱크(80) 등 기능부재에 의해 압축실린더(22)에 간편하게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배기시트(10)에는 복수개의 구조가 완전히 동일한 분기관(13)이 분할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각 분기관(13)은 통공(131)과 더불어 공기주입관(3), 압력계(4), 압력조절밸브(7) 및 고무충전탱크(80) 등 기능부재를 연결하기 위한 외단(132)을 가지며, 각 통공(131)은 배기시트(10)의 저장챔버(101) 내부에 연통되며, 상기 저장챔버(101)는 통공(222)을 통해 압축실린더(22)와 연통되어 압축실린더(22) 내부의 압력가스가 통공(222)의 밸브(5) 및 압축스프링부재(6)를 밀도록 해, 압력가스가 통공(222)을 통해 배기시트(10) 내의 저장챔버(101)에 전송되도록 한다. 다시 각 분기관(13)의 통공(131)을 거쳐 각 기능부재의 영역에 들어간다. 본 실시예에서, 분기관(13)은 공기주입관(3), 압력계(4), 압력조절밸브(7)에 연결되고, 실링커버(14)로 덮여진 다른 분기관(13)은 확장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밸브에 연결될 수 있으며, 특히 기능부재의 설치위치를 고려해야 할 경우, 서로 다른 기능부재를 적당한 분기관을 선택하여 연결할 수 있으며, 압력계(4)와 같이 압력조절밸브(7)와 위치를 서로 바꾸어 설치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상기 배기관 장치(1)는 제1조인트(11) 및 제2조인트(1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조인트(11)는 각 분기관(13)의 외단(132)에 설치되고, 상기 제2조인트(12)는 예를 들어 노즐(도시하지 않음)에서 연장된 공기주입관(3)의 연결단(31) 및 상기 압력계(4) 등 기능부재의 본체상 또는 상기 기능부재가 연장되어 연결된 중간부재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조인트(11)는 상기 분기관 외단(132)의 외주벽(133)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게 연장되어 대략 장방형 판체 형상의 외형으로 형성되며, 도6에 도시한바와 같이, 대향하는 2개의 제1측변(111), 대향하는 2개의 제2측변(112), 대향하는 2개의 제1회전각도(113) 및 대향하는 2개의 제2회전각도(114)를 가진다. 각 제1회전각도(113)와 제2회전각도(114)는 인접하는 제1측변(111)과 제2측변(112)을 연결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2개의 제1측변(111) 사이에는 제1거리(d1)를 가지며, 제1거리(d1)는 2개의 제2측변(112) 사이의 거리보다 크다. 또한 제1회전각도(113)는 원호형상을 나타내거나, 경사지게 절단한 절삭각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제2조인트(12)는 "
Figure 112010013715765-pat00001
" 형상의 단면을 나타내는 본체를 포함하며, 장방형 형상의 베이스부(121)와 상기 베이스부(121)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는 두측벽(122)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부(121)의 일단(내단(內端))은 상기 공기주입관(3)의 연결단(31) 또는 상기 압력계(4)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두측벽(122)은 상기 베이스부(121)의 외단면의 두단변(短邊)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두측벽(122) 사이에는 제2거리(d2)를 가지며, 제2거리(d2)는 제1조인트(11)의 2개의 제1측변(111) 사이의 거리(d1)와 같거나 작게 설정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121)와 상기 두측벽(122) 사이에 수납홈(124)을 형성하고, 각 측벽(122)의 외단에 상기 수납홈(124) 방향으로 수직되게 연장된 플랜지(123)를 형성하며, 상기 제2조인트(12)의 수납홈(124)의 내부에는 상기 베이스부(121)의 외측면으로부터 연장된 강관파일(126)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강관파일(126)의 둘레에는 밀봉링(127)이 형성되어 있다(도4참조).
도5 및 도6에 의하면, 압력계(4)를 배기시트(10)에 연결할 경우, 상기 압력계(4)의 제2조인트(12)에 설치된 수납홈(124)을 대응하는 분기관(13)의 외단(132)에 장착하고, 장착 시, 상기 제2조인트(12)의 두측벽(122)과 상기 제1조인트(11)의 2개의 제1측변(111)을 서로 어긋나게 형성하며, 상기 압력계(4)의 게이지면(41)은 일측을 향한다. 그리고, 도6의 화살표방향으로 상기 압력계(4)를 회전시킨다. 제1회전각도(113)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2조인트(12)의 두측벽(122)은 제1회전각도(113)를 통해 상기 제1조인트(11)에 대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제2조인트(12)의 두측벽(122)이 제1조인트(11)에 대응하는 2개의 제1측변(111)의 외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두측벽(122) 사이의 제2거리(d2)가 제1조인트(11)의 2개의 제1측변(111) 사이의 제1거리(d1)와 같거나 작아 상기 두측벽(122)의 내벽면 및 두 플랜지(123)가 상기 2개의 제1측변(111)에 감합된다. 도4는 제1조인트(11) 및 제2조인트(12)의 결합 단면도이다. 상기 결합상태에서 상기 압력계(4)의 게이지면(41)은 상부를 향하고 있어 관찰하기가 편리하다. 분기관(13)으로부터 출력되는 압축공기가 제2조인트(12)에 설치한 강관파일(126)의 통로(128)를 통해 압력계(4)에 작용해 압력값을 나타낸다.
제2회전각도(114)가 원호형 또는 경사진 절삭각을 이루지 않기 때문에 제2조인트(12)의 두측벽(122)이 제1조인트(11)에 위치한 2개의 제1측변(111)의 외측으로 회전하여 감합될 때, 제2회전각도(114)는 제2조인트(12)의 계속적인 회전을 막을 수 있어 위치결정된다. 압력계(4)가 도6의 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상기 제2조인트(12)의 두측벽(122)은 도4의 걸림위치로부터 도5의 이탈위치로 회전하여 상기 제2조인트(12)가 상기 제1조인트(11)와 분리될 수 있도록 하여 압력계(4)를 해체할 수 있다.
공기주입관(3)의 조립방식은 상기 압력계(4)의 조립방식과 같다. 제2조인트(12)의 수납홈(124)을 대응하는 분기관(13)의 외단(132)에 장착한 다음, 상기 제2조인트(12)를 회전시켜 두측벽(122)과 상기 제1조인트(11)의 2개의 제1측변(111)이 서로 감합되게 되어 매우 편리하다. 물론, 압력조절밸브(7)도 같은 방식으로 조립할 수 있다. 도4에 의하면, 공기주입관(3) 및 압력계(4)가 배기관 장치(1)의 대응 분기관(13)의 외단(132)에 연결된 후, 밀봉링(127)이 분기관 통공(131)의 내벽과 밀접하게 결합되어 압축실린더(22) 내부의 가스수송을 확보한다. 한편, 본 고안의 실링커버(14)의 구조는 상기 제2조인트(12)의 구조와 완전히 동일하여, 베이스(141), 측벽(142), 플랜지(143), 수납홈(144)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하여, 상기 실링커버(14)도 배기시트(10)에 별도 구비한 분기관(13)에 결합될 수 있다. 도5에서는 실링커버(14)을 간단하게 회전시키기 위해 베이스부(141)의 외단면에 돌출리브(140)가 설치되어 있다.
도8 내지 도11은 본 발명의 설계목적에 따라 타이어 수리용 고무충전탱크(80)가 더 구비되어 있다. 상기 고무충전탱크(80)에는 화학액상고무(82)를 수용가능한 내부공간(81)이 구비되고, 고무충전탱크(80)는 본 발명의 기능부재를 구성하는 일부분으로서, 고무충전탱크(80)의 상단부(85)에는 제2조인트(83)가 설치되어 있고, 제2조인트(83)에도 상기 강관파일(126), 통로(128) 등과 같은 기능을 가지는 입구노즐(86)이 설치되어 있으며, 입구노즐(86)의 후단에는 주입부(84)가 형성되고, 고무충전탱크(80)에 설치된 제2조인트(83)의 구조는 상기 기타 기능부재의 제2조인트(12)와 같으며, 베이스부(831), 두측벽(832), 수납홈(834)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조인트(83)를 이용해 공기압축기의 배기시트의 제1조인트(11)에 신속하게 장착될 수 있고, 압축공기는 상기 주입부(84)를 통해 고무충전탱크(80) 내부에 주입될 수 있어 화학액상고무(82)를 공기압축기의 압축공기에 의해 파손된 타이어(90)의 내부에 수송해 주입함으로써 파손된 타이어를 효과적으로 수리할 수 있는 효과에 도달할 수 있다. 상기 고무충전탱크(80)에는 하단부(88)에 위치한 개구단(87)이 더 설치되어 있으며, 개구단(87)에 내부공간(81)과 연통가능한 출구노즐(89)이 형성되고, 호스(801)의 일단은 상기 출구노즐(89)에 고정가능하고, 타단에는 에어노즐(802)이 설치되며, 상기 에어노즐(802)은 타이어(90)와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무충전탱크(80)는 공기압축기와 배합하여 타이어 수리에 사용된다. 도8 및 도10에 의하면 본 발명의 고무충전탱크(80)의 제2조인트(83), 주입부(84)는 그 상단부(85)에 설치되며, 고무충전탱크(80)의 출구노즐(89)은 그 하단부(88)에 설치되어, 고무를 충전하여 공기를 주입할 때, 압축공기가 액상고무(82)를 직접 밀어 출구노즐(89)로부터 파손된 타이어(90) 내에 이송함으로 액상고무(82) 내부를 통과하지 않기 때문에, 이송시의 저항력을 감소할 수 있고 기포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고무충전탱크(80)와 공기압축기는 직접결합방식을 채용하고 있으나, 종래의 고무충전탱크는 반드시 호스와 같은 제3부재를 통해 공기압축기와 결합된다. 한편, 본 발명의 고무충전탱크(80)에 설치된 제2조인트(83)는 공기압축기의 제1조인트(11)에 직접 결합될 수 있으며, 제3부재가 필요없고 조작이 간편하다. 타이어 수리 용도로 사용하지 않을 경우, 고무충전탱크(80)는 매우 용이하고 간편하게 사용자에 의해 해체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분기관(13)의 제1조인트(11)는 다른 기능부재인 공기주입관(3)에 장착될 수 있어,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주입관(3)을 통해 압력이 부족한 타이어(90)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어 타이어 충전용도를 겸비하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무충전탱크(80)를 공기압축기(2)에 신속하게 결합할 수 있고, 사용자가 간편하고 신속하게 파손된 타이어를 수리하고 공기를 주입하게 함과 함께, 본 발명에 의해 구성된 공기압축기(2)는 상기 배기관 장치(1)의 설계에 따라 공기주입 에어노즐이 연결된 공기주입관(3), 압력계(4) 또는 압력조절밸브(7) 등 기능부재를 공기압축기의 압축실린더(22)에 편리하게 장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기주입관(3), 압력계(4) 또는 압력조절밸브(7) 등 기능부재가 분기관(13)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원하는 설계목적 및 실시효과를 달성할 수 있었다. 공기압축기는 상, 하 박스(20, 21) 내부에 일체로 수용될 수 있으며, 상, 하 박스(20, 21)(도1 및 도7 참조)의 4단에는 정위볼트(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서로 고정된 스터드 볼트(203, 211)가 설치되며, 이렇게 공기압축기가 상, 하 박스체(20, 21) 내부에 은밀하게 수용되도록 한다. 상부 박스(20)에 돌출리브(201, 202)가 추가적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 하 박스(20, 21)가 서로 결합된 후, 돌출리브(201)도 상기 도1과 같이 제2조인트(12) 및 실커버(14)에 접촉될 수 있고, 돌출리브(202)는 기능부재의 압력계(4)의 배부면(背部面)에 접촉될 수 있어 느슨해지거나 이탈하지 않는다.
1: 배기관 장치
10: 배기시트
101: 공기저장탱크
11: 제1조인트
111: 제1측변
112: 제2측변
113, 114: 회전각도
12: 제2조인트
121: 베이스부
122: 측벽
123: 플랜지
124: 수납홈
126: 강관파일
127: 밀봉링
128: 통로
13: 분기관
131: 통공
132: 외단
133: 외주벽
14: 실링커버
140: 돌출리브
141: 베이스부
142: 측벽
143: 플랜지
144: 수납홈
2: 공기압축기
20: 상부 박스
21: 하부 박스
201, 202: 돌출리브
203, 211: 스터드볼트
22: 압축실린더
221: 배출구단
222: 통공
23: 모터
231: 구동기어
232: 축레버
24: 피스톤
241: 피스톤로드
29: 기판
3: 공기주입관
31: 연결단
4: 압력계
41: 게이지면
5: 밸브
6: 압축스프링부재
7: 압력조절밸브
80: 고무충전탱크
801: 호스
802: 에어노즐
81: 내부공간부
82: 액상고무
83: 제2조인트
831: 베이스부
832: 두측벽
834: 수납홈
84: 주입부
85: 상단부
86: 노즐
87: 개구단
88: 하단부
89: 링크부재
90: 타이어

Claims (5)

  1. 적어도 하나의 분기관이 설치된 배기시트를 구비하는 압축실린더가 설치되어 있고, 분기관에 대향하는 2개의 제1 측변을 포함하는 제1조인트가 마련되어 있는 공기압축기와;
    대향하는 두 측벽을 포함하는 제2조인트가 설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두 측벽이 상기 2개의 제1 측변과 엇갈리도록 상기 제2 조인트를 상기 제1 조인트에 장착한 후, 상기 두 측벽과 상기 2개의 제1 측변이 접하도록 상기 제2 조인트를 회전시켜 상기 기능부재의 제2 조인트 및 상기 분기관의 제1 조인트를 감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주입식 타이어 수리용 공기압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공기압축기에 모터, 구동기어가 연결된 기판을 구비하고, 기판은 배기시트를 가지는 압축실린더에 연장되어 연결되며, 상기 배기시트에는 적어도 하나의 분기관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분기관은 각 기능부재에 연결되고, 압축실린더 내부에는 피스톤이 설치되어 있으며, 피스톤은 상기 구동기어 및 모터의 구동을 받으며, 배기관 장치는 분기관에 설치된 제1조인트 및 기능부재상에 설치된 제2조인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조인트와 제2조인트는 서로 대응되게 연결되며, 상기 분기관에 외주벽을 가지는 외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조인트는 상기 외주벽에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1조인트는 대향하는 2개의 제2측변, 대향하는 2개의 제1회전각도 및 대향하는 2개의 제2회전각도를 더 포함하며, 각 제1회전각도와 제2회전각도는 인접하는 제1측변과 제2측변을 연결하고, 상기 2개의 제1측변과 제2측변은 사각형을 이루고, 상기 2개의 제1측변 사이에는 제1거리를 가지며, 상기 2개의 제1회전각도는 원호 형상을 나타내거나 경사지게 절단된 절삭각형상을 나타내며, 기능부재의 일단에는 제2조인트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조인트는 베이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두 측벽 사이는 제2거리를 가지고, 상기 제2거리는 상기 제1조인트의 2개의 제1측변 사이의 제1거리와 같거나 작으며,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두 측벽사이에 수납홈을 형성하고, 각 측벽의 외단에 상기 수납홈 방향으로 연장되게 플랜지를 형성하며, 기능부재는 상기 제2조인트의 수납홈을 상기 분기관의 제1조인트에 장착하여 소정각도 회전시켜 감합시킴으로써 기능부재가 상기 압축실린더의 배기시트에 용이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타이어 수리용 공기압축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부재가 타이어 수리용 고무충전탱크, 공기주입관, 압력계, 압력조절밸브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주입식 타이어 수리용 공기압축기.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고무충전탱크에 타이어 보강용 액상고무를 수용하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고무충전탱크의 일단에는 제2조인트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고, 타단에는 출구노즐이 설치되어 있으며, 타이어를 수리하는 사용상태일 경우, 상기 제2조인트의 높이가 출구노즐의 높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주입식 타이어 수리용 공기압축기.
  5. 모터, 구동기어가 연결된 기판을 구비하고, 기판은 배기시트를 가지는 압축실린더에 연장되어 연결되며, 압축실린더 내부에는 피스톤이 설치되어 있고, 피스톤은 상기 구동기어 및 모터의 구동을 받으며, 상기 배기시트에는 제1조인트가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분기관이 설치되어 있는 공기압축기와;
    내부에 화학액상고무를 수용할 수 있고, 상단부에 제2조인트가 설치된 고무충전탱크를 구비하는 공기주입식 타이어 수리용 공기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분기관에 외주벽을 가지는 외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조인트는 상기 외주벽에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1조인트는 대향하는 2개의 제1측변, 대향하는 2개의 제2측변, 대향하는 2개의 제1회전각도 및 대향하는 2개의 제2회전각도를 가지며, 각 제1회전각도와 제2회전각도는 인접하는 제1측변과 제2측변를 연결하며, 상기 2개의 제1측변과 상기 제2측변은 사각형을 이루고, 상기 2개의 제1측변 사이에는 제1거리를 가지며, 상기 2개의 제1회전각도는 원호 형상을 나타내거나 경사지게 절단된 절삭각형상을 나타내며, 상기 고무충전탱크의 일단에 제2조인트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조인트는 베이스부 및 두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두측벽 사이는 제2거리를 가지고, 상기 제2거리는 상기 제1조인트의 2개의 제1측변 사이의 제1거리와 같거나 작으며,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두측벽사이에 수납홈이 형성되며, 각 측벽의 외단은 상기 수납홈 방향으로 연장되어 플랜지를 형성하며, 고무충전탱크는 상기 제2조인트의 수납홈을 상기 분기관의 제1조인트에 장착하여 소정각도 회전시켜 감합함으로써, 고무충전탱크가 상기 압축실린더의 배기시트에 용이하고 신속하게 연결되도록 하여 타이어 수리 및 공기 주입의 효과를 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타이어 수리용 공기압축기.
KR1020100019121A 2010-03-03 2010-03-03 공기 주입식 타이어 수리용 공기 압축기 Expired - Fee Related KR101187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9121A KR101187377B1 (ko) 2010-03-03 2010-03-03 공기 주입식 타이어 수리용 공기 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9121A KR101187377B1 (ko) 2010-03-03 2010-03-03 공기 주입식 타이어 수리용 공기 압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0044A KR20110100044A (ko) 2011-09-09
KR101187377B1 true KR101187377B1 (ko) 2012-10-04

Family

ID=44952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9121A Expired - Fee Related KR101187377B1 (ko) 2010-03-03 2010-03-03 공기 주입식 타이어 수리용 공기 압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737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7666B1 (ko) * 2014-04-07 2017-09-13 웬-산 초우 공기압축기 장치
KR101801625B1 (ko) 2014-04-07 2017-11-27 웬-산 초우 공기압축기
KR101880347B1 (ko) * 2015-09-24 2018-07-19 유미 스마트 테크놀로지스 컴퍼니.,리미티드. 공기 압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784B1 (ko) * 2011-12-09 2013-09-09 계양전기 주식회사 모터 탈부착이 가능한 타이어 수리키트
CA2880534A1 (en) * 2012-02-02 2013-08-08 Active Tools International (Hk) Ltd. Integrated supplying apparatus for gas and sizing
TWM444270U (zh) * 2012-04-16 2013-01-01 Active Tools Int Hk Ltd 氣體與膠料的整合供應裝置(二)
CN116292176A (zh) * 2023-03-02 2023-06-23 绍兴上虞隆迪电器有限公司 车载式充气泵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4518Y1 (ko) * 2004-02-29 2005-05-16 웬-산 초우 타이어를 팽창시키는 콤비네이션용 공기 압축기
JP2005344570A (ja) 2004-06-01 2005-12-15 Sumitomo Rubber Ind Ltd 小型簡易コンプレッサ装置
JP2008168455A (ja) 2007-01-09 2008-07-24 Bridgestone Corp シーリング・ポンプアップ装置
KR100880304B1 (ko) * 2007-11-12 2009-01-28 웬-산 초우 공기 압축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4518Y1 (ko) * 2004-02-29 2005-05-16 웬-산 초우 타이어를 팽창시키는 콤비네이션용 공기 압축기
JP2005344570A (ja) 2004-06-01 2005-12-15 Sumitomo Rubber Ind Ltd 小型簡易コンプレッサ装置
JP2008168455A (ja) 2007-01-09 2008-07-24 Bridgestone Corp シーリング・ポンプアップ装置
KR100880304B1 (ko) * 2007-11-12 2009-01-28 웬-산 초우 공기 압축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7666B1 (ko) * 2014-04-07 2017-09-13 웬-산 초우 공기압축기 장치
KR101801625B1 (ko) 2014-04-07 2017-11-27 웬-산 초우 공기압축기
KR101880347B1 (ko) * 2015-09-24 2018-07-19 유미 스마트 테크놀로지스 컴퍼니.,리미티드. 공기 압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0044A (ko) 2011-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7377B1 (ko) 공기 주입식 타이어 수리용 공기 압축기
US8522833B2 (en) Device for sealing and inflating inflatable object
CN102596549B (zh) 穿孔修补套件
US8297944B2 (en) Air compressor having quick coupling device
CN101408155B (zh) 修补轮胎的充气装置
CN101403376B (zh) 空压机
US8671995B2 (en) Device for sealing and inflating inflatable object
JP6302545B2 (ja) 物体を封止し及び/又は膨張させるための装置及び自閉式ねじ継手
JP6985520B2 (ja) タイヤ修復システム
JP7350941B2 (ja) 緊急装置
EP2353848B1 (en) Device for sealing and inflating inflatable object
TWI430899B (zh) 可充氣及修補輪胎之空壓機
CN110886345B (zh) 一种压力罐
CN103671079A (zh) 一种气密性改良型气泵
TWI363006B (ko)
KR100975422B1 (ko) 연료충전 커플러
CN201106733Y (zh) 低压气圈封堵装置
CN203889025U (zh) 柔性永磁真空吸附联合封堵装置
TWI373561B (ko)
EP2399729B1 (en) Device for sealing and inflating inflatable object
US20160347011A1 (en) Tire sealant dispensing device
CN2265352Y (zh) 二元包装的喷射罐
JP5096510B2 (ja) 空気圧縮機
CN110039803A (zh) 一体式补胎工具
US20130004352A1 (en) Hose For A Piston-Chamber Combin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3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1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9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9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