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7325B1 - An apparatus for treating food waste with centrifugal separator - Google Patents
An apparatus for treating food waste with centrifugal separa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87325B1 KR101187325B1 KR1020120012663A KR20120012663A KR101187325B1 KR 101187325 B1 KR101187325 B1 KR 101187325B1 KR 1020120012663 A KR1020120012663 A KR 1020120012663A KR 20120012663 A KR20120012663 A KR 20120012663A KR 101187325 B1 KR101187325 B1 KR 10118732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od waste
- centrifuge
- foreign matter
- discharged
- press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9000010794 food was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9461 vacuum packa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18044 dehyd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6297 de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3911 wate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788 cri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19 centrifu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865 dilu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19 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58 re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82 ultra-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3 weig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22—Crushing mills with screw-shaped crush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7/00—Elements of centrifuges
- B04B7/08—Rotary bowls
- B04B7/12—Inserts, e.g. armouring plates
- B04B7/16—Sieves or fil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원심분리기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날개몸체(430) 및 상기 날개몸체(430)의 외경측에 나선상으로 돌출 설치된 복수개의 안내날개를 포함하는 가압/파쇄부(400); 상기 가압/파쇄부(400)가 내부에 설치된 내부하우징(100); 상기 내부하우징(100)과 이격되어 설치된 외부하우징(200); 상기 내부하우징(100)의 하측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하우징(200)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가압/파쇄부(400)에서 가압 및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의 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210); 상기 외부하우징(200)과 연결되며 상기 가압/파쇄부(400)에서 가압 및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의 액체가 배출되는 배수공(110)을 포함하고, 상기 배수공(110)의 말단에는 원심분리기(111)가 설치되어 상기 배수공(110)으로부터 배출된 액체를 원심분리시켜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a centrifugal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ssure / crushing unit 400 including a wing body 430 and a plurality of guide wings protruding spirally on the outer diameter side of the wing body 430; An inner housing 100 in which the pressing / crushing unit 400 is installed; An outer housing 200 spaced apart from the inner housing 100; A discharge port 210 connected to a lower side of the inner housing 100 and installed through the outer housing 200 and discharging solids of the food waste that is pressurized and crushed by the pressing / crushing unit 400; It is connected to the outer housing 200 and includes a drain hole (110) for discharging the liquid of the food waste pressurized and crushed in the pressing / shredding unit 400, the centrifuge 111 at the end of the drain hole (110) Is installed is characterized by separating the foreign matter by centrifuging the liquid discharged from the drain hole (110).
Description
본 발명은 원심분리기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waste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 centrifuge.
일반적으로 음식물쓰레기는 수분이 다량함유되어 중량이 증가됨은 물론 다양한 형상을 갖는 음식물의 외형에 의해 공간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general, food waste has a problem that the space is increased due to the appearance of food having various shapes as well as the weight is increased by the large amount of moisture.
이에 상기와 같은 수분을 제거하면서 부피를 최소화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가 적용되고 있으며, 상기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쓰레기 투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파쇄하는 스크류를 구비하면서 수분만을 배출토록 스크린이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The food waste treatment device has been applied to minimize the volume while removing the water as described above, and the food waste treatment device has a main body having a food waste inlet and an outlet formed therein and a screw for crushing the input food waste to discharge only the water. The screen is made of a configuration provided.
이와같은 기술과 관련되어 종래의 특허 제755439호에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기술이 제시되고 있으며 그 구성은 도 1에서와 같이, 상부에 음식물쓰레기가 유입되는 투입구가 내주면에 삽입홈을 구비하여 형성되고, 상부와 하부 일측에는 음식물쓰레기로부터 분리된 침출수가 배출되도록 배수구(12)가 형성되며, 하면 일측에는 파쇄된 음식물이 배출되도록 제1배출공(50)이 형성되는 중공형상의 하우징(10); 상기 하우징의 투입구에 하향 연장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벽과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부에는 음식물쓰레기와 함께 유입된 물이 배출되는 배수망(21)과, 중앙에는 내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다수의 벽면날(23a)을 가진 드럼과, 하부에는 음식물이 압축되어 빠져나오는 침출수가 배출되도록 탈수망(23)이 각각 구비되는 중공의 원통형상의 내부케이스(20); 상기 내부케이스(20)의 배수망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삽입홈에 결합되는 고정돌기를 구비한 몸체 및 이 몸체의 외주연에 상기 내부케이스의 배수망에 접하는 나선형의 날개를 구비하여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상기 내부케이스의 하부로 안내하는 투입스크류(60); 상기 투입스크류의 몸체 하단에 밀착되어 상기 내부케이스의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외주연이 상기 내부케이스의 상기 벽면날 및 상기 탈수망과 접하는 다수의 스크류날개를 구비하여 회전함에 따라 상기 스크류날개의 상단이 상기 투입스크류의 날개의 하단과 밀착 교차되어 음식물쓰레기를 절단하고, 파쇄 및 압축탈수시키는 파쇄스크류(30); 상기 파쇄스크류와 함께 회전되도록 상기 파쇄스크류의 저면에 결합되고, 파쇄스크류의 배출턱과 배출턱 사이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2배출공이 형성되어 파쇄탈수된 음식물쓰레기를 상기 하우징의 제1배출공으로 안내하는 회전판(79); 및 상기 파쇄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In connection with such a technique, a technique of a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is proposed in the conventional patent No. 554539, and its configuration is as shown in FIG. 1, and an inlet through which food waste is introduced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groove i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그러나, 상기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배수구(12)를 통해 배출된 침출수에 다량의 음식물 미세 찌꺼기를 포함하고 있어 이를 그대로 하수관으로 배출하는 경우 수질 오염의 원인이 되고,However, the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includes a large amount of food fine debris in the leachate discharged through the
배수구(12)와 하수관을 연결하는 부위에 음식물 미세 찌꺼기가 침적되어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수명을 단축시키고, Food fines are deposited on the part connecting the
이를 방지하기 위해 배수구(12)와 하수관의 연결부위를 정기적으로 분해하여 청소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In order to prevent this, it was inconvenient to periodically disassemble and clean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수구(12)의 말단에 원심분리기를 설치하여 미세 음식물 찌꺼기를 하수관으로 배출되기 이전에 먼저 걸러주어 수질 오염을 사전에 예방하고,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improving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by installing a centrifuge at the end of the
원심분리기를 통해 걸러진 이물질은 거름망을 통해 배출시킴으로써 거름망만 정기적으로 교체하여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손쉽게 유지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foreign material filtered through the centrifuge is discharged through the strainer so that only the strainer can be replaced regularly to easily maintain the food waste disposal device.
본 발명에 따른 원심분리기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날개몸체(430) 및 상기 날개몸체(430)의 외경측에 나선상으로 돌출 설치된 복수개의 안내날개를 포함하는 가압/파쇄부(400); 상기 가압/파쇄부(400)가 내부에 설치된 내부하우징(100); 상기 내부하우징(100)과 이격되어 설치된 외부하우징(200); 상기 내부하우징(100)의 하측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하우징(200)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가압/파쇄부(400)에서 가압 및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의 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210); 상기 외부하우징(200)과 연결되며 상기 가압/파쇄부(400)에서 가압 및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의 액체가 배출되는 배수공(110)을 포함하고, 상기 배수공(110)의 말단에는 원심분리기(111)가 설치되어 상기 배수공(110)으로부터 배출된 액체를 원심분리시켜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a centrifugal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ssure / crush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원심분리기(111)의 상부는 연결관(113)과 열결되고, 상기 연결관(113)은 복수의 필터부재로 이루어진 필터유니트(500)와 연결되어, 상기 원심분리기(111)로부터 이물질이 제거된 액체가 상기 필터유니트(500)를 통해 재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원심분리기(111)의 하부는 이물질관(112)과 연결되어 상기 원심분리기(111)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이 배출되고, 상기 이물질관(112)에는 거름망(114)이 형성되어, 상기 이물질은 상기 거름망(114)에 걸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part of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거름망(114)은 상기 이물질관(112)의 말단에 형성되고 교체가능하고, 상기 거름망(114)을 통해 배출된 액체는 하수관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탈수스크린을 통해 배출된 침출수에 포함된 기름찌꺼기, 미세 음식물 입자가 원심분리기를 통해 무거운 이물질은 원심분리기의 하방에 위치한 이물질관(112)을 통해 배출되고, 이를 다시 거름망(114)으로 걸러 이물질이 제거된 액체만이 하수관으로 배출되고, 이물질은 거름망(114)을 주기적으로 교체하여 손쉽게 제거가능하며,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eavy debris contained in the oil residue, fine food particles contained in the leachate discharged through the dehydration screen through the centrifuge is discharged through the
원심분리기(111)의 상방에 위치하여 필터유니트(500)와 연결된 연결관(113)을 통해서는 액체와 가벼운 이물질이 배출되어 필터유니트(500)에 의해 재필터링되어 배출됨으로써 수질 오염이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Liquid and light foreign substances are discharged through the
도 1은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장치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장치를 도시한 결합상태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심분리기의 확대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처리장치의 고정스크류를 도시한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처리장치의 가압/파쇄부 장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포장유니트를 도시한다.1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conventional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2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upling state showing a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nlarged view of a centrifu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a fixing screw of th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lan view showing a pressing / crushing portion mounting state of th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shows a vacuum packaging unit according to the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도시한 분해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장치를 도시한 결합상태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심분리기의 확대도이고,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처리장치의 고정스크류를 도시한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Figure 2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mbined state showing th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centrifu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lan view and a side view of the fixing screw of th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처리장치의 가압/파쇄부 장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포장유니트를 도시한다.
In addition, Figure 6 is a plan view showing a pressing / crushing portion mounting state of th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shows a vacuum packag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가압/파쇄부(400)가 구비되는 내부하우징(100)과 상기 내부하우징(100)의 외경측에서 공간(S)을 갖도록 이격되는 외부하우징(200)으로 조립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하우징(100)과 외부하우징(200)의 상하단은 각각 서로 연결되는 구성으로 그 상부에 호퍼(300)가 연결된다.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ssembly structure of the
이때, 상기 가압/파쇄부(400)는 동력전달부(330)와 회전축(310)을 통하여 연결되고, 일정감속비로 회전한다.At this time, the pressing / crushing
더하여, 상기 내부하우징(100)의 하측에는 내부하우징과 연결되는 배출구(210)가 구비되고, 상기 외부하우징(200) 역시 공간(S)과 연결되도록 하는 배수공(110)이 설치된다.In addition, the lower side of the
이때, 상기 배수공(110)에는 복수의 필터부재로 이루어진 필터유니트(500)가 더 연결되고, 배수공(110)과 필터유니트(500) 사이에는 배출수를 가압 이송하기 위한 펌프(510)가 설치되어 배수공(110)으로부터 배출된 배출수가 필터유니트(500)에서 가압되면서 필터링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상기 가압/파쇄부(400)는, 대칭형상으로 회전축(310)양측에 점차로 축소되는 압착공간(401)을 형성토록 복수의 안내날개(410)가 내부하우징(10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날개몸체(430)의 외경측에 나선상으로 돌출된다.In addition, the pressing / crushing
이때, 상기 가압/파쇄부(400)가 내부하우징(100)에 장착시 상기 내부하우징의 내경측에는 안내날개(410)와 반대방향을 나선을 갖도록 복수의 벽면날(130)이 구비된다.In this case, when the pressing / crushing
한편, 상기 회전축(310)의 상부에는 고정스크류(710)와 탈수스크린(730)이 하우징에 장착되고, 투입날개(750), 교반기(770)는 회전축에 연결되어 일체로 회전토록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이때, 상기 고정스크류(710)는, 나선상의 판체(711)가 구비되면서 양단이 그리는 수평선이 일정한 높이(h)를 갖도록 설치되고, 상기 판체(711)의 일단이 파쇄스크류의 상단에 접하도록 설치된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상기 투입날개(750) 및 교반기(770)는 금속재로서 일측에 마그네트(760)가 구비되어 자성을 갖도록 설치된다.
In addition, the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장치를 도시한 결합상태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심분리기의 확대도이다.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upling state showing th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centrifu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수스크린(730)을 통해 분리 배출된 침출수는 배수공(110)을 통해 배출되고, 배출된 침출수는 원심분리기(111)로 인입되어 원심분리 원리에 의해 무거운 입자는 아래로 가라앉고 가벼운 입자 및 액체성분은 상승하여 배출되게 된다.3 and 4, the leachate separated and discharged through the dewatering
즉, 가벼운 극미세 입자 및 액체는 원심분리기(111)의 상부에 설치된 연결관(113)을 통해 배출되고, 연결관(113)으로 배출된 액체는 펌프(510)에 의해 일정압력으로 가압되면서 복수의 필터부재로 구성된 필터유니트(500)로 배출되고, 액체와 극미세 입자가 필터유니트(500)에서 재처리됨으로써, 극미세 이물질까지 필터링되어 필터링된 액체만이 하수구를 통해 배출되므로 수질오염이 예방되고, 하수구를 통해 배출시키지 않고 배출수를 재활용할 수도 있게 된다.That is, the light ultrafine particles and the liquid are discharged through the
또한, 무거운 미세 음식물 찌꺼기는 원심분리기(111)의 하방에 위치한 이물질관(112)을 통해 하수구로 배출되는데, 이물질관(112)의 말단에는 거름망(114)이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원심분리기(111)로부터 분리된 미세 음식물 찌꺼기가 거름망(114)에 의해 걸러지고, 거름망(114)을 주기적으로 교체함으로써, 이물질관(112)이 미세 음식물 찌꺼기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거름망(114)에 의해 미세 음식물 찌꺼기만 잔류하고 나머지 일부의 소량의 액체만이 하수구를 통해 배출되므로 하수도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vy fine food waste is discharged to the sewer through the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물질관(112)의 거름망(114)을 통과한 액체를 연결관(113)으로 연결시킴으로써, 소량이지만 필터유니트(500)에서 재처리하여 하수구로 배출시키면 보다 효과적으로 수질 오염을 방지할 수도 있다.
More preferably, by connecting the liquid passing through the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을 이하에서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below.
도2 내지 도7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본 발명은 호퍼(300)가 내부 하우징 및 외부하우징이 결합된 그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교반기(770)는, 교반과 포집이 가능토록 단부에 일정면적을 갖는 밀착판(775)이 구비되고, 노즐(800)을 통해 음식물쓰레기(P)에 물이 공급되는데, 호퍼(300)에 처리를 원하는 음식물쓰레기(P)를 투입한 후 처리장치를 가동하면 먼저 물이 노즐(800)을 통하여 투입되어 음식물쓰레기의 염분농도를 저하시키게 된다.2 to 7, the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이때, 상기 호퍼(300)는, 중량의 측정이 가능토록 설치되어 자동운전시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P)에 따라 투입되는 물의 양이 조절된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상기 호퍼(300)는 물이 투입되어도 되며 투입되지 않아도 된다.In addition, the
더하여, 상기 호퍼(300)에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면 음식물쓰레기의 무게 또는 비중에 의해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되는 수분이 탈수스크린(730)을 통하여 공간(S)로 배출된 후 외부하우징(200)에 연결되는 배수공(110)을 통하여 배출토록 된다.In addition, when the food waste is put into the
이때, 상기 배수공(110)에는 원심분리기(111)가 설치되어 무거운 이물질은 원심분리되어 하방으로 이물질관(112)을 통해 배출되고, 이물질관(112)에는 교체가능한 거름망(114)이 설치되어 이물질이 거름망(114)에 적층되고, 일부 소량의 액체만이 하수구를 통해 배출되고, 가벼운 이물질과 액체성분은 원심분리기(111)의 상방에 설치된 연결관(113)을 통해 복수의 필터부재로 이루어지면서 필터유니트(500)로 공급되며, 필터유니트(500)와 연결관(113) 사이에는 펌프(510)가 구비되어 배출수를 일정압력으로 가압하여 필터유니트(500)에 공급하여 배출수에 포함된 염분을 희석시 키거나 각종 이물질을 분리하여 배출수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수질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그리고, 상기 동력전달부(330)가 구동되면 회전축(310)이 일정감속비로 회전되어 가압/파쇄부(400)가 회전하면서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고, 회전축(310)에 연결된 교반기(770) 및 투입날개(750)도 동시에 회전되도록 한다.When the
또한, 투입날개(750)나 교반기(770) 또는 회전축(310)의 일측에 설치된 마그네트(760)를 통하여 음식물쓰레기중에 포함되는 금속성의 이물질을 포집하여, 가압/파쇄부(400)의 파손이나 고장을 방지한다.
In addition, through the
더하여, 상기 음식물쓰레기(P)는 교반기(770)을 통하여 균일하게 분포토록 하여 투입날개(750)측으로 향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food waste P is uniformly distributed through the
이때, 상기 투입날개(750)는, 내부하우징(100)과 외부하우징(200)이 결합된 상부의 내벽과 밀착되어 회전되는 구성으로 음식물쓰레기를 투입스크류(710)에 향하도록 하고, 상기 투입스크류(710)는, 나선상의 판체(711)가 구비되면서 양단이 그리는 수평선이 일정한 높이(h)를 갖도록 설치되면서 그 일단이 파쇄스크류의 상단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투입날개의 회전시 음식물쓰레기를 압축하면서 가압/파쇄부(400)에 공급한다.At this time, the
더하여, 상기 투입스크류(710)를 통하여 음식물쓰레기의 가압시 상기 투입스크류의 외경측에 위치하는 탈수스크린(730)을 통하여 수분이 분리 배출토록 된다.
In addition, the water is separated and discharged through the
상기 가압/파쇄부(400)는, 대칭형상으로 회전축(310)양측에 점차로 축소되는 압착공간(401)을 형성토록 복수의 안내날개(410)가 내부하우징(10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날개몸체(430)의 외경측에 나선상으로 돌출되는 구성으로 압착공간을 통하여 음식물쓰레기의 투입이 용이하면서도 회전과 동시에 압착이 가능토록 되고, 압착공간(401)에 의해 이물질의 끼임등에도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된다.The pressing / crushing
이때, 상기 가압/파쇄부(400)가 내부하우징(100)에 장착시 상기 내부하우징의 내경측에는 안내날개(410)와 반대방향을 나선을 갖도록 복수의 벽면날(130)이 구비되어 회전과 동시에 압착이 이루어지는 음식물 쓰레기를 수직방향으로 압착하면서 음식물을 벽면날과 안내날개의 상호작용에 의해 전단시켜 파쇄토록 한다.At this time, when the pressing / crushing
이상과 같이 가압/파쇄부(400)와 내부하우징(100)의 벽면날(130)의 상호 작용에 의해 가압 및 파쇄되는 음식물쓰레기는 배출구(210)를 통하여 외부에 배출토록 되고, 배출되는 고형 상태의 음식물쓰레기는 이송스크류(910)에 의해 진공포장유니트(900)로 이송되는데,As described above, the food waste that is pressurized and crushed by the interaction of the pressing / crushing
이송스크류(910)는 고형 상태의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구(210)로부터 진공포장유니트(900)까지 원활히 이송될 수 있도록 도와주고, 배출구(210)의 설치 높이와 관계없이 진공포장 유니트(900)의 높이에 따라 설치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The conveying
이송스크류(910)가 없는 경우에는 배출구(210)의 높이가 진공포장 유니트(900)보다 항상 높이 설치해야 하므로 설치의 한계가 있고, 자유낙하에 의한 진공포장 유니트(900)로의 이송에서도 한계가 있다.
If there is no conveying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포장유니트(900)를 도시한다.7 shows a
배출구(210)를 통하여 배출되는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이송스크류(910)에 의해 중량계(950)의 상측에 놓여진 포장지(960)로 이송되고, 일정량 이상이 되면 투입이 정지되면서 진공융착기(970)로서 융착되어 진공포장된다.The crushed food waste discharged through the
이때, 상기 중량계(950)는 좌,우이동토록 설치되어 배출구(210)와 연결된 이송스크류(910)간에 의해 융착시 간섭을 방지토록 한다.
At this time, the weighing
이상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한 변경,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is conventiona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Anyone who knows the knowledge of is easy to know.
100...내부하우징 111... 원심분리기
112...이물질관 113...연결관
114: 거름망 130...벽면날
200...외부하우징 230...브러쉬
240... 결합부 300...호퍼
310...회전축 330...동력전달부
400...가압/파쇄부 410...안내날개
500...필터유니트 900...진공포장유니트100 ...
112 ...
114:
200 ...
240 ... coupling 300 ... hopper
310 ...
400 ... Pressure / crushing
500 ...
Claims (4)
상기 가압/파쇄부(400)가 내부에 설치된 내부하우징(100);
상기 내부하우징(100)과 이격되어 설치된 외부하우징(200);
상기 내부하우징(100)의 하측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하우징(200)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가압/파쇄부(400)에서 가압 및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의 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210);
상기 외부하우징(200)과 연결되며 상기 가압/파쇄부(400)에서 가압 및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의 액체가 배출되는 배수공(110)을 포함하고,
상기 배수공(110)의 말단에는 원심분리기(111)가 설치되어
상기 배수공(110)으로부터 배출된 액체를 원심분리시켜 이물질을 분리시키며,
상기 원심분리기(111)의 하부는 이물질관(112)과 연결되어 상기 원심분리기(111)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이 배출되고,
상기 이물질관(112)에는 거름망(114)이 형성되어,
상기 이물질은 상기 거름망(114)에 걸러지며,
상기 거름망(114)은 상기 이물질관(112)의 말단에 형성되고 교체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원심분리기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A pressure / break unit 400 including a wing body 430 and a plurality of guide wings protruding spirally on the outer diameter side of the wing body 430;
An inner housing 100 in which the pressing / crushing unit 400 is installed;
An outer housing 200 spaced apart from the inner housing 100;
A discharge port 210 connected to a lower side of the inner housing 100 and installed through the outer housing 200 and discharging solids of the food waste that is pressurized and crushed by the pressing / crushing unit 400;
Is connected to the outer housing 200 and includes a drain hole 110 for discharging the liquid of the food waste pressurized and crushed in the pressing / shredding unit 400,
The centrifuge 111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drain hole 110
Centrifuging the liquid discharged from the drain hole 110 to separate the foreign matter,
The lower part of the centrifuge 111 is connected to the foreign matter pipe 112 is discharged foreign matter separated from the centrifuge 111,
The foreign matter pipe 112 is formed with a strainer 114,
The foreign matter is filtered by the strainer 114,
The strainer 114 is formed at the end of the foreign substance pipe 112 and replaceable food waste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a centrifuge.
상기 원심분리기(111)의 상부는 연결관(113)과 열결되고,
상기 연결관(113)은 복수의 필터부재로 이루어진 필터유니트(500)와 연결되어,
상기 원심분리기(111)로부터 이물질이 제거된 액체가 상기 필터유니트(500)를 통해 재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원심분리기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upper part of the centrifuge 111 is thermally connected with the connection pipe 113,
The connecting pipe 113 is connected to the filter unit 500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filter members,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comprising a centrifuge characterized in that the liquid is removed from the centrifuge 111 is reprocessed through the filter unit (500).
상기 거름망(114)을 통해 배출된 액체는 하수관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기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liquid discharged through the sieve (114) is a food waste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a centrifug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harge through the sewage pip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12663A KR101187325B1 (en) | 2012-02-08 | 2012-02-08 | An apparatus for treating food waste with centrifugal separa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12663A KR101187325B1 (en) | 2012-02-08 | 2012-02-08 | An apparatus for treating food waste with centrifugal separato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87325B1 true KR101187325B1 (en) | 2012-10-02 |
Family
ID=47287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12663A Expired - Fee Related KR101187325B1 (en) | 2012-02-08 | 2012-02-08 | An apparatus for treating food waste with centrifugal separa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87325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61045B1 (en) * | 2014-06-03 | 2014-11-13 | (주)동천기공 | Automatic process for animal carcasses for preventing infectious diseases |
KR20200089034A (en) | 2019-01-16 | 2020-07-24 | 정상균 | Food and food waste waste pre-treatment process non-gravity separator |
CN116943825A (en) * | 2023-08-02 | 2023-10-27 | 成都市产品质量监督检验研究院 | Solar garbage crushing and sorting equipment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74146B1 (en) * | 2007-07-19 | 2008-12-15 | 주식회사 영도테크 | Food waste treatment device |
JP2010158638A (en) | 2009-01-09 | 2010-07-22 | Alt:Kk | Circulation type water-feeder for apparatus of washing and crushing pet bottle |
KR101088014B1 (en) * | 2011-06-30 | 2011-11-30 | 이관희 | Food Waste Disposal Device |
-
2012
- 2012-02-08 KR KR1020120012663A patent/KR10118732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74146B1 (en) * | 2007-07-19 | 2008-12-15 | 주식회사 영도테크 | Food waste treatment device |
JP2010158638A (en) | 2009-01-09 | 2010-07-22 | Alt:Kk | Circulation type water-feeder for apparatus of washing and crushing pet bottle |
KR101088014B1 (en) * | 2011-06-30 | 2011-11-30 | 이관희 | Food Waste Disposal Device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61045B1 (en) * | 2014-06-03 | 2014-11-13 | (주)동천기공 | Automatic process for animal carcasses for preventing infectious diseases |
KR20200089034A (en) | 2019-01-16 | 2020-07-24 | 정상균 | Food and food waste waste pre-treatment process non-gravity separator |
CN116943825A (en) * | 2023-08-02 | 2023-10-27 | 成都市产品质量监督检验研究院 | Solar garbage crushing and sorting equipment |
CN116943825B (en) * | 2023-08-02 | 2024-03-12 | 成都市产品质量监督检验研究院 | Solar garbage crushing and sorting equipmen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827964B1 (en) | Rotating separator | |
JP5758110B2 (en) | Methane fermentation pretreatment equipment | |
CN100415379C (en) | Food waste disposal device | |
CN108296261A (en) | A kind of kitchen garbage pretreatment system and technique | |
KR100945273B1 (en) | Concentrating apparatus for organic wastewater | |
KR101187325B1 (en) | An apparatus for treating food waste with centrifugal separator | |
CN105478441B (en) | Remaining meal rubbish processing equipment | |
WO2018147577A1 (en) | Food waste reducing device with dehydrator for sink | |
KR20160137163A (en) | Vegetable waste disposal | |
US5378375A (en) | Apparatus and method of washing screenings | |
US8919246B2 (en) | Waste compactor | |
KR101309388B1 (en) | Solid and liquid separator for food waste | |
KR102379522B1 (en) | Concomitant comprehensive disposal apparatus with improved concomitant separation performance | |
CN221620326U (en) | Kitchen waste recycling device | |
CN207386143U (en) | A kind of Novel kitchen rubbish pretreatment unit of impurity good separating effect | |
KR20090093772A (en) | Apparatus for synthetically pretreating waste water | |
US5732618A (en) | Apparatus for separating liquid from a material | |
KR101192856B1 (en) | solid waste treatment apparatus | |
KR101088014B1 (en) | Food Waste Disposal Device | |
KR200470873Y1 (en) | Do Vegetable waste disposal device | |
KR101729608B1 (en) | A food garbage compressor, a food garbage treatment apparatus and a method for treating a food garbage | |
KR101144141B1 (en) | An apparatus for treating food waste with attachable brush | |
KR20130036084A (en) | Waste vegetable treatment apparatus | |
CN218945177U (en) | Sorting type magnetic separator | |
RU2426833C1 (en) | Installation and procedure for purification from oil, oil products and oil sli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2022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0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4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70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9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9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