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5932B1 - Steel pipe girder - Google Patents
Steel pipe gird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85932B1 KR101185932B1 KR1020120009188A KR20120009188A KR101185932B1 KR 101185932 B1 KR101185932 B1 KR 101185932B1 KR 1020120009188 A KR1020120009188 A KR 1020120009188A KR 20120009188 A KR20120009188 A KR 20120009188A KR 101185932 B1 KR101185932 B1 KR 10118593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l pipe
- lower steel
- side plates
- composite girder
- stee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4—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box-girder typ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68—Composite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관 합성 거더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 거더 이상의 강도와 강성을 발현하여 형하고를 최소로 줄일 수 있으면서도 견고한 교량이나 보도 육교를 시공할 수 있고, 가벼운 산화방지가스를 이용하여 강재의 구성요소와 산소의 접촉을 차단함으로써 산화를 방지하며, 산화방지가스의 누출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강관 합성 거더는, 상부 강관(10)과; 하부 강관(20)과; 상기 상부 강관과 하부 강관 사이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상부 강관과 하부 강관을 연결 및 강도를 보강하는 좌우 측판(30,40)과; 상기 상부 강관의 상부에 돌출되도록 결합되며 교량의 슬래브에 연결되는 전단 연결재(50)를 포함하여 콘크리트 슬래브 또는 강판 슬래브에 일체로 합성된다. 상기 상하부 강관의 내부, 상하부 강관과 좌우 측판 사이의 공간에 채워지는 유색의 산화방지가스가 포함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l pipe composite girder, which can express the strength and rigidity of the concrete girder and can reduce the mold height to a minimum, but can be constructed a bridge or sidewalk overpass, and using a light antioxidant gas and It is intended to prevent oxidation by blocking the contact of oxygen, and to easily check the leakage of the antioxidant gas with the naked eye.
Steel pipe composite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teel pipe (10); A lower steel pipe 20; Left and right side plates 30 and 40 coupled to both sides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teel pipes, respectively, to connect and strengthen the upper and lower steel pipes; It is combined to protrude to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steel pipe and integrally synthesized in a concrete slab or steel sheet slab including a shear connector 50 connected to the slab of the bridge. The inside of the upper and lower steel pipes, a colored antioxidant gas is fi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teel pipes and the left and right side plates.
Description
본 발명은 강관 합성 거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거더 이상의 강도와 강성을 발현하여 형하고를 최소로 줄일 수 있으면서도 견고한 교량이나 보도 육교를 시공할 수 있고, 가벼운 산화방지가스를 이용하여 강재의 구성요소와 산소의 접촉을 차단함으로써 산화를 방지하며, 산화방지가스의 누출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강관 합성 거더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l pipe composite girder, and more particularly, to express the strength and stiffness of concrete girder and to reduce the mold height to a minimum, and to construct a solid bridge or sidewalk overpass, and to use a light antioxidant ga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l pipe composite girder that prevents oxidation by blocking contact between components of and oxygen and makes it easy to visually check the leakage of the antioxidant gas.
교량이나 보도 육교 등(이하에서는 교량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에 있어서 거더의 역할은 상부에서 작용하는 고정하중 및 차량하중 등의 적재하중을 교량의 교각 또는 교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중요한 요소이다.The girder's role in bridges, sidewalks, and the like (hereinafter, referred to as bridges) is an important element that transfers loads such as fixed loads and vehicle loads that act on the upper portion of bridges or bridges.
기존 거더 교량의 형식은 크게 강재 거더와 콘크리트 거더 교량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 중 강재 거더 교량은 많은 수의 강재를 사용하여 용접 조립하므로 경제적인 측면에서 비싸고, 압축하중 작용시 압축하중에 의한 좌굴에 손상되기 쉬우므로 스티프너와 같은 보강재가 필요하며 제작 및 시공이 복잡해지고 강성이 작아 처짐 및 진동 등에 문제가 있으며, 유지관리시 꾸준히 강재 표면에 도장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Conventional girder bridges can be classified into steel girder and concrete girder bridge. Among them, steel girder bridge is welded and assembled using a large number of steels, so it is expensive in terms of economy, and it is easy to be damaged by buckling by compressive load when compressive load is applied. Therefore, reinforcement such as stiffener is required. There is a problem such as deflection and vibration is small,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must be painted on the steel surface steadily during maintenance.
한편, 콘크리트 거더 교량의 경우 콘크리트 자체의 무게가 무거워져 교량 전체에 작용하는 무게가 커져 교량 설계시 비경제적이며, 현장에서 모든 공정이 이루어져 시공이 복잡하며, 콘크리트의 특성상 균열 등이 문제가 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case of concrete girder bridge, the weight of concrete itself becomes heavy and the weight acting on the entire bridge becomes uneconomical for the design of the bridge. .
또한, 강재 거더는 형식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으나 크게 원형의 강관 거더와 스틸박스형 거더로 나누어진다.In addition, there are many kinds of steel girders according to the type, but largely divided into round steel pipe girders and steel box-type girders.
여기서, 상기 거더는 여러 개의 구조물을 수직 및 수평으로 서로 브레이싱함으로써 교량의 상판을 지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경우 다수의 강재를 용접하여 연결함에 따라 압축하중 작용시 압축하중에 의한 좌굴에 손상되기 쉬우므로 여러 개의 보강재를 별도로 다시 부착하거나 별도의 브레이싱을 필요로 할 뿐 아니라 제작 및 시공이 복잡하고, 작업성이 매우 떨어지며, 많은 보강재들의 필요로 재료의 소모가 많아 경제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Here, the girder supports the top plate of the bridge by bracing several structures vertically and horizontally with each other. However, as described above, welding and connecting a plurality of steels is likely to damage the buckling caused by the compressive load when the compressive load is applied. Therefore, it is not only necessary to reattach a plurality of reinforcing materials or to require separate bracing, but also to manufacture and construct a complicated construction. And, workability is very poo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conomical consumption of a lot of material to the need of many reinforcement.
이러한 강재 거더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강관 내부에 콘크리트를 충진한 강관 거더(선행기술문헌 참고)가 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steel girder there is a steel pipe girders (see prior art document) filled with concrete inside the steel pipe.
종래 콘크리트가 충진된 강관 거더는 강재 거더보다 강도 및 강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진동, 처짐 및 균열에 대한 사용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지만, 콘크리트에 의해 중량이 무거워 시공성이 떨어지고, 강관이 슬래브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견고한 고정수단을 요구하는 문제점이 있다.Conventional steel-filled steel pipe girders not only have better strength and rigidity than steel girders, but also have excellent usability against vibration, deflection and cracking, but are heavy due to the weight of concrete, resulting in poor workability and preventing steel pipes from leaving the slab. There is a problem requiring a rigid fastening means.
한편, 강재 거더는 산소와 접하기 때문에 산화가 발생되어 외부에서 녹이 보이는 문제점이 있고, 콘크리트 강재 거더는 강재와 산소간의 접촉을 방지하여 산화를 방지하는 기능도 수행하는데, 이러한 목적(산화방지)을 위해서는 하중이 너무 큰 단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steel girders are in contact with oxygen, so oxidation occurs and rust is seen from the outside. Concrete steel girders also prevent oxidation by preventing contact between steel and oxygen. The disadvantage is that the load is too large.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콘크리트 거더 이상의 강도와 강성을 발현하여 형하고를 최소로 줄일 수 있으면서도 견고한 교량이나 보도 육교를 시공할 수 있는 강관 합성 거더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to provide a steel pipe composite girder capable of constructing a solid bridge or sidewalk overpass while minimizing the mold height by expressing the strength and rigidity of the concrete girder to a minimum hav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중이 무거운 콘크리트 대신 가벼운 산화방지가스를 이용하여 강재의 구성요소와 산소의 접촉을 차단함으로써 산화를 방지하며, 산화방지가스의 누출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강관 합성 거더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oxidation by blocking the contact of the components of the steel and oxygen by using a light antioxidant gas instead of heavy concrete, and a steel pipe composite girder that can easily check the leakage of the antioxidant gas with the naked eye The purpose is to provide.
본 발명에 의한 강관 합성 거더는, 상부 강관과; 하부 강관과; 상기 상부 강관과 하부 강관 사이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상부 강관과 하부 강관을 연결 및 강도를 보강하는 좌우 측판과; 상기 상부 강관의 상부에 돌출되도록 결합되며 교량의 슬래브에 연결되는 전단 연결재를 포함하여 콘크리트 슬래브 또는 강판 슬래브에 일체로 합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teel pipe composite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teel pipe; Lower steel pipe; Left and right side plates respectively coupled to both sides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teel pipes to connect and reinforce the upper and lower steel pipes; Coupled to protrude on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steel pip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tegrally synthesized in the concrete slab or steel sheet slab including a shear connecting material connected to the slab of the bridge.
본 발명은 상기 상하부 강관의 내부, 상하부 강관과 좌우 측판 사이의 공간에 채워지는 유색의 산화방지가스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ide of the upper and lower steel pipes, colored antioxidant gas is fi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teel pipes and the left and right side plates.
본 발명에 의한 강관 합성 거더에 의하면, 상하부 강관과 좌우 측판에 의해 박스형태로 구성되어 큰 강도와 강성을 확보함으로써 기존 강재보다 강도가 매우 크기 때문에 사용수량이나 보강재의 수량을 대폭으로 절감할 수 있고, 콘크리트 거더와 비교하면, 중량이 가벼워 취급(운반, 시공)이 우수하다.According to the steel pipe composite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and lower steel pipes and the left and right side plates are formed in a box shape to secure a great strength and rigidity, so the strength is much greater than that of existing steels, and thus the amount of use and the number of reinforcement materials can be greatly reduced. Compared with concrete girder, the weight is light, so handling (conveying, construction) is excellent.
그리고, 산화방지가스를 통해 중량에 큰 변화를 주지 않으면서도 강재의 산화를 방지하여 산화 제거를 위한 보수 작업이 불필요하므로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특히 유색의 산화방지가스를 통해 육안으로 산화방지가스의 누출을 확인함으로써 산화방지가스의 보충 등 보수작업을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aintenance cost for oxidation removal is unnecessary because the oxidation of the steel is prevented without significant change in weight through the anti-oxidation gas, thereby reducing the repair cost, and in particular, the oxidation prevention with the naked eye through the colored antioxidant gas. By confirming the leakage of gas, maintenance work such as supplementation of antioxidant gas can be coped with quickly.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강관 합성 거더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강관 합성 거더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강관 합성 거더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강관 합성 거더의 상부 강관과 하부 강관 사이와 내부에 보강재가 적용된 측면도.
도 5는 도 4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강관 합성 거더가 콘크리트 슬래브와 연결되는 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강관 합성 거더가 콘크리트 슬래브와 연결되는 다른 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강관 합성 거더에 적용된 좌우 측판이 간격유지대로 연결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강관 합성 거더에 산화방지가스가 적용된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강관 합성 거더에 적용된 보강재의 다른 예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eel pipe composite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of a steel pipe composite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of a steel pipe composite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view of the reinforcement applied between and inside the upper and lower steel pipes of the steel pipe composite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view of FIG. 4.
Figure 6 is a front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steel pipe composite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concrete slab.
7 is a front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in which the steel pipe composite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concrete slab.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eft and right side plates applied to the steel pipe composite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ed to the interval maintaining.
9 is an exemplary view of applying an antioxidant gas to the steel pipe composite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other illustration of the reinforcement applied to the steel pipe composite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강관 합성 거더(100)는, 강관을 이용한 것으로, 종래 강관 거더와의 차이점은 강관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지 않고 큰 강도를 발현하는 것이며, 상부 강관(10), 하부 강관(20), 좌우 측판(30,40) 및 전단연결재(5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steel
상부 강관(10)과 하부 강관(20)은 강도면에서 탁월한 효과를 갖는 원형 강관이 바람직하며, 물론, 원형 단면으로 한정되지 않고 각형이나 타원형도 가능할 것이다.The
좌우 측판(30,40)은 상부 강관(10)과 하부 강관(20)을 연결하여 일체로 합성함으로써 강관 합성 거더(100)의 강도를 증진한다.The left and
좌우 측판(30,40)은 상부와 하부가 각각 상부 강관(10)과 하부 강관(20)의 측면에 용접 등으로 고정되며, 상하부 강관(10,20)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설치되거나 돌출될 수도 있다.The left and
좌우 측판(30,40)은 각각 단품으로서 각각의 고정 작업(용접 등)을 통해 상하부 강관(10,20)에 고정될 수도 있고, 또는 도 8에서 보이는 것처럼, 간격유지대(31)를 통해 일체로 연결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하부 강관(20) 위에 일체형의 좌우 측판(30,40)을 올린 후 고정하고 상부 강관(10)을 고정하는 방법이 가능하므로 고정 작업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간격유지대(31)는 좌우 측판(30,4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함과 더불어 좌우 측판(30,40)의 휨을 막을 수 있는 기능도 겸한다.The left and
상하부 강관(10,20)과 좌우 측판(30,40)에 의해 이들(10,20,30,4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 박스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공간은 콘크리트를 채우지 않고 상하부 강관(10,20)과 좌우 측판(30,40)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는 공간으로 사용되며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upper and
전단 연결재(50)는 교량 등 구조물의 슬래브에 결합되어 강관 합성 거더(100)를 슬래브와 일체로 합성하는 것으로, 강판 슬래브(1)(도 2 참고)와 콘크리트 슬래브(2)(도 6과 도 7참고)에 각각 적합한 형태로 형성되며, 도 1 내지 도 3에서 보이는 것처럼, 평판형일 수 있고, 또는 도 6에서 보이는 것처럼 "T"형 단면일 수 있으며, 또는 도 7에서처럼 다수의 스터드일 수 있다. 도 2에서처럼 강판 슬래브(1)(보도 육교 등)에 적용되는 경우 전단 연결재(50)가 강판 슬래브(1)에 용접 등으로 고정되고, 도 6과 도 7에서처럼, 콘크리트 슬래브(2)에 적용되는 경우 전단 연결배(50)는 콘크리트 슬래브(2)의 내부에 매설되도록 콘크리트 타설로 이루어지고, 결합 강도를 증대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슬래브(2)의 팽이부(2a)에 설치될 수 있다.
도 4와 도 5는 강도를 더욱 보강하기 위하여 상하부 강관(10,20) 사이와, 상하부 강관(10,20) 각각의 내부에 보강재(60,70,80)가 적용된 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하부 강관(10,20)과 좌우 측판(30,40) 사이의 공간에 보강재(60)(제1보강재라 칭함)가 적용된다. 도 10에서 보이는 것처럼, 보강재(60,70,80)와 전단보강재(50)는 일체형으로서 상하부 강관(10,20)을 관통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4 and 5 illustrate an example in which reinforcing
제1보강재(60)는 상부와 하부가 상부 강관(10)과 하부 강관(20)에 각각 용접 등으로 고정되어 상하부 강관(10,20)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며 좌우 측판(30,40)에 전가되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간격유지대(31)가 적용되는 경우 간격유지대(31)와 간섭되지 않도록 설치된다.The first reinforcing
제1보강재(60)는 평판이 상하부 강관(10,20) 사이에 전체적으로 형성되어 격벽의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고, 트러스 형태일 수도 있으며, 강관, 평판, 각관 등 다양한 제품이 사용 가능하다. 트러스 형태의 경우 하나의 트러스부재(판재, 빔, 앵글 등)가 사용되거나 다수개 판재(빔, 앵글 등)가 트러스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The first reinforcing
제2보강재(70,80)는 상부 강관(10)과 하부 강관(20) 내부에 각각 삽입되어 용접 등으로 고정되어 상부 강관(10)과 하부 강관(20) 각각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지지한다.The second reinforcing
제2보강재(70,80)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평판으로 한정되지 않고 십자형 단면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The second reinforcing
본 발명에 의한 강관 합성 거더(100)는 다수개가 함께 사용될 것이며, 근접되는 것들끼리 크로스빔(90)을 통해 연결된다. 즉 다수의 단위 강관 합성 거더가 크로스빔(90)으로 연결되어 일체로 합성된 거더를 형성하는 것이다.Steel
크로스빔(90)은 H 빔, 앵글, 평판 등이 사용 가능하다.The
좌우 측판(30,40), 전단 연결재(50), 제1,2보강재(60,70,80), 크로스 빔(90)은 강관 합성 거더(100)의 강도 보강을 위한 것이므로 스틸(steel) 등이 바람직하다.
The left and right side plates (30, 40), the
지금까지는 강관 합성 거더(100)의 구조적인 특징을 설명한 것이며, 본 발명은 콘크리트를 채우지 않고 상하부 강관(10,20) 등 구성요소가 산화되지 않도록 산화방지가스(질소 등)가 적용된다.Until now,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steel
도 9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강관 합성 거더(100)의 내부(상하부 강관(10,20)의 안, 상부 강관(10)과 하부 강관(20)의 사이)에 산화방지가스를 채울 수 있도록 제1,2블라인드 플레이트(11,12)(blind plate)가 적용된다. 블라인드 플레이트(11,12)의 적용에 의해 밀폐 공간이 형성되며, 이 공간에 산화방지가스를 주입한다.As shown in FIG. 9, the first gas can be filled in the inside of the steel pipe composite girder 100 (in the upper and
제1,2블라인드 플레이트(11,12)를 이용하여 산화방지가스를 주입할 수 있으며, 어느 하나 예를 들어 제1블라인드 플레이트(11)에 주입구(11a)(주입공간의 수량에 따라 달라짐)가 형성된다. The anti-oxidation gas may be injected using the first and second
산화방지가스의 손실을 우려하여 산화방지가스의 보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충은 수동과 자동 모두 가능하다.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replenishment of the antioxidant gas in consideration of the loss of the antioxidant gas, and the replenishment can be performed both manually and automatically.
수동 보충의 경우 관리자가 주입구(11a)를 통해 산화방지가스를 주입하고, 충진압력의 확인을 위하여 게이지가 적용될 수 있다.In the case of manual replenishment, the manager injects the antioxidant gas through the
자동 보충의 경우 산화방지가스의 충진량(충진압력)을 자동으로 계측하는 게이지, 게이지를 통해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현재 양(압력)과 기준 양(압력)을 비교하여 현재 양(압력)이 기준 양(압력) 이하로 떨어지면 산화방지가스 탱크에 저장된 산화방지가스를 강제로 주입하도록 펌프를 제어하는 컨트롤러가 구성될 수 있다.In the case of automatic replenishment, a gauge that automatically measures the filling amount (filling pressure) of the antioxidant gas, and compares the present amount (pressure) and the reference amount (pressure) obtained in real time through the gauge to compare the present amount (pressure) with the reference amount ( Pressure),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pump to forcibly inject the antioxidant gas stored in the antioxidant gas tank.
산화방지가스는 질소 등이 사용 가능하며, 누출을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유색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관리자는 강관 합성 거더(100) 주변에서 유색의 가스를 확인하면 산화방지가스의 누출을 알 수 있는 것이다.
Oxidation gas can be nitrogen, etc., it is colored to visually see the leak. Therefore, if the manager checks the colored gas around the steel pipe
블라인드 플레이트(11,12)는 산화방지가스를 채우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강관 합성 거더(100)의 강도도 보강하고 상하부 강관(10,20) 등의 외부 노출을 막는 목적으로도 사용 가능하다(도 1 내지 도 4참고)
The
10 : 상부 강관, 20 : 하부 강관
30, 40 : 좌우 측판, 31 : 간격유지대
50 : 전단 연결재, 60 : 제1보강재
70,80 : 제2보강재, 90 : 크로스빔10: upper steel pipe, 20: lower steel pipe
30, 40: left and right side plates, 31: spacing stand
50: shear connecting material, 60: first reinforcing material
70,80: second reinforcing material, 90: crossbeam
Claims (7)
하부 강관(20)과;
상기 상부 강관과 하부 강관 사이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상부 강관과 하부 강관을 연결 및 강도를 보강하는 좌우 측판(30,40)과;
상기 상부 강관의 상부에 돌출되도록 결합되며 교량의 슬래브에 연결되는 전단 연결재(50)를 포함하여 콘크리트 슬래브 또는 강판 슬래브에 일체로 합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합성 거더.An upper steel pipe 10;
A lower steel pipe 20;
Left and right side plates 30 and 40 coupled to both sides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teel pipes, respectively, to connect and strengthen the upper and lower steel pipes;
Steel pipe composite gir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posite is combined integrally with the concrete slab or steel plate slab including a shear connector (50) coupled to protrude to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steel pipe and connected to the slab of the bridge.
The steel pipe composite girder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reinforcing member has a truss shape in which a vertex is fixed to the upper steel pipe and the lower steel pip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09188A KR101185932B1 (en) | 2012-01-30 | 2012-01-30 | Steel pipe gird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09188A KR101185932B1 (en) | 2012-01-30 | 2012-01-30 | Steel pipe gird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85932B1 true KR101185932B1 (en) | 2012-09-26 |
Family
ID=47114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09188A KR101185932B1 (en) | 2012-01-30 | 2012-01-30 | Steel pipe gird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85932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33784B1 (en) * | 2017-04-27 | 2018-03-02 | (주)우진기술단 | Pedestrian bridge using pipe type bracket for girder fixing with upper flan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
KR102167960B1 (en) | 2020-03-31 | 2020-10-21 | (주) 대현이엔씨 | Steel Pipe Girder for Bridge with Improved Reinforcement Structure |
KR102433336B1 (en) * | 2022-02-18 | 2022-08-19 | 주식회사 하이드로코리아 | Steel pipe girder with guide-plat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70102B1 (en) | 1997-12-22 | 2000-10-16 | 이구택 | Circular steel pipe girder of bridge |
US7874036B2 (en) | 2008-09-16 | 2011-01-25 | Carlos Wong | Energy storage bridge |
-
2012
- 2012-01-30 KR KR1020120009188A patent/KR101185932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70102B1 (en) | 1997-12-22 | 2000-10-16 | 이구택 | Circular steel pipe girder of bridge |
US7874036B2 (en) | 2008-09-16 | 2011-01-25 | Carlos Wong | Energy storage bridge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33784B1 (en) * | 2017-04-27 | 2018-03-02 | (주)우진기술단 | Pedestrian bridge using pipe type bracket for girder fixing with upper flan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
KR102167960B1 (en) | 2020-03-31 | 2020-10-21 | (주) 대현이엔씨 | Steel Pipe Girder for Bridge with Improved Reinforcement Structure |
KR102433336B1 (en) * | 2022-02-18 | 2022-08-19 | 주식회사 하이드로코리아 | Steel pipe girder with guide-plat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43823B1 (en) | Girder compounded with the concrete and steel | |
KR101495039B1 (en) | A constructing method of structure using sandwich PC-wall | |
KR100964067B1 (en) | Steel girder for bridg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1103300B1 (en) | Steel box girder with increased cross section stiffness at continuous point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 |
CN105780989B (en) | A kind of twin beams building cover structure | |
CN104264895A (en) | Prestressed concrete F slab and frame structure system | |
KR101185932B1 (en) | Steel pipe girder | |
CN105369736A (en) | Outer anchoring structure of cable-stayed bridge tower body | |
KR20170083694A (en) | Roll forming steel plates built-up beam and steel frame using the same | |
CN109797716A (en) | A kind of aqueduct and its construction method of antiseep | |
KR102271672B1 (en) | Advanced Interlocking Girder adapt to Load Factor Resistance Design Method | |
RU2609504C1 (en) | Steel and concrete bridge span | |
CZ308615B6 (en) | Bridge constructions for bridges on roads | |
CN202187278U (en) | Bridge | |
CN208280454U (en) | Double steel plate Combination beam of steel and concrete | |
KR101546827B1 (en) | Steel plate girder improved coner fixing capacity and rahmen or box type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KR20090063393A (en) | Prestressed beam | |
KR101329372B1 (en) | Deflection control structure of deck plate of slim floor with demountable tendo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20120018570A (en) | Composite beam using deck plate having plulality of cap plate | |
KR100615471B1 (en) | Steel plate girder bridg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using steel composite beam | |
RU2395419C9 (en) | Automatic coupling assembly, method and device of its production | |
CN110439128A (en) | Steel building exempts from demoulding pour concrete package structure girder steel antirust construction technique using girder steel | |
US20140027940A1 (en) | Form, system and method for forming concrete diaphragms | |
KR20070111241A (en) | Steel girder bridge system with steel pipe lower flange | |
CN107964875A (en) | The PCSC shearing coupling arrangements of plate-girder overall assembled composite beam bridg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2031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3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0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9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9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0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9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9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8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7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7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7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0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90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2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