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5590B1 - Brewing apparatus for coffee maker - Google Patents
Brewing apparatus for coffee mak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85590B1 KR101185590B1 KR1020110012631A KR20110012631A KR101185590B1 KR 101185590 B1 KR101185590 B1 KR 101185590B1 KR 1020110012631 A KR1020110012631 A KR 1020110012631A KR 20110012631 A KR20110012631 A KR 20110012631A KR 101185590 B1 KR101185590 B1 KR 10118559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ston
- cylinder
- coffee
- spindle
- coffee particle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7
- 241001417527 Pempheridae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41000533293 Sesbania emerus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227 gr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788 cri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22 dr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프레임의 내부 일측에 위치되어 정/역회전되는 스핀들; 상기 스핀들의 상부 일측에 슬라이드피스톤과 테이핑스크류를 통해 연결되어 스핀들의 정/역회전에 따라 하강/상승 동작하는 상부피스톤; 상기 스핀들의 하부 일측에 베이스피스톤을 통해 연결되는 하부피스톤; 상기 상부피스톤과 하부피스톤 사이에 위치되도록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하부피스톤이 하측으로부터 삽입되며 커피입자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가지며 상기 상부피스톤의 하강시 커피입자가 압착되도록 하는 실린더; 상기 슬라이드피스톤과 베이스피스톤을 연결하여 상기 스핀들의 역회전시 상기 하부피스톤이 실린더의 수용공간 상측부를 향해 상승 동작하도록 하여 압착이 완료된 커피입자가 실린더의 상측부로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스핀들의 정회전시 상기 하부피스톤이 실린더의 수용공간 하측부를 향해 하강 동작되도록 하는 링크플레이트; 상기 실린더에 스핀들측으로부터 그 반대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의 상측부로 이동된 커피입자를 외부로 제거시키는 스위퍼; 상기 베이스피스톤의 가이드홈에 가이드되는 롤러를 통해 베이스피스톤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상부피스톤의 하강시에는 링크플레이트의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되는 롤러에 의해 스핀들측으로 회동되고 상기 하부피스톤의 상승시에는 베이스피스톤의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되는 롤러에 의해 상기 스위퍼측으로 회동되어 실린더 상측부로 이동된 커피입자가 외부로 제거되도록 상기 스위퍼를 스핀들측으로부터 그 반대측으로 회동시키는 액츄에이터; 상기 프레임의 상측부에 위치되며 상기 상부피스톤 일측에 상부피스톤의 상승 또는 하강 동작에 따라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슈트가이드를 통하여 실린더에 커피입자를 공급하는 슈트;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하부피스톤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고온고압의 물을 실린더에 공급하는 워터인렛; 및 상기 상부피스톤으로부터 프레임에 연결되어 커피입자의 압착 완료후 실린더의 커피액을 외부로 추출하는 커피액아웃렛 포함하는 커피머신용 양조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pindle is located on the inner side of the frame forward / reverse rotation; An upper piston connected to the upper one side of the spindle through a slide piston and a taping screw and lowering / rising according to forward / reverse rotation of the spindle; A lower piston connected to the lower one side of the spindle through a base piston; A cylinder which is fixed to the frame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piston and the lower piston, the lower piston is inserted from below and has an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the coffee particles are accommodated and the coffee particles are compressed when the upper piston is lowered; The slide piston and the base piston are connected so that the lower piston moves upward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receiving space of the cylinder during the reverse rotation of the spindle so that the compressed coffee particles are moved to the upper side of the cylinder,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pindle rotates forward. A link plate for lowering the piston toward the lower por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cylinder; A sweeper rotatably connected to the cylinder from the spindle side to the opposite side to remove the coffee particles moved to the upper side of the cylinder to the outside; I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base piston through a roller guided to the guide groove of the base piston, and when the upper piston descends, it is rotated to the spindle side by a roller moving along the guide groove of the link plate, and when the lower piston is raised, the base An actuator for rotating the sweeper from the spindle side to the opposite side so that the coffee particles moved to the sweeper side by the roller moving along the guide groove of the piston are removed to the outside; A chute for supplying coffee particles to the cylinder through a chute guide positioned at an upper side of the frame and rotatab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upper piston in accordance with a lifting or lowering operation of the upper piston; A water inlet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lower piston from the frame to supply high temperature, high pressure water to a cylinder from the outside; And is connected to the frame from the upper piston is provided with a coffee machine brew including a coffee liquid outlet for extracting the coffee liquid in the cylinder after the completion of the compression of the coffee particles.
Description
본 발명은 커피머신용 양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린더에 수용되는 커피입자를 압착시키는 압착수단의 구성을 간단히 하고 제조비용을 절감시키고 구성부의 동작을 개선시켜 커피입자의 압착 및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커피머신용 양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ewing machine for coffee machines, and more particularly, to simplify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sing means for pressing the coffee particles accommodated in the cylinder,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and improve the operation of the components to reduce the compression and removal of the coffee particles. It relates to a brew for a coffee machine that can be facilitated.
자동판매기를 통해 판매되는 즉석 음용 커피는 냉동 건조된 커피분말에 설탕이나 프림을 정해진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된다. 이러한 자동판매기용 냉동 건조 커피는 구매자의 기호에 따라서 설탕이나 프림 등을 혼합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맛과 향이 커피원두를 즉석에서 갈아서 커피액을 추출하는 원두커피에 비해 크게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커피원두를 즉석에서 갈아서 커피액을 추출하는 커피머신이 널이 사용되고 있다.Instant drinking coffee sold through vending machines is made by mixing sugar or prim in a fixed ratio in a freeze-dried coffee powder. Freeze-dried coffee for these vending machines not only can not mix sugar or prim according to the buyer's preference, but also has a disadvantage that the taste and aroma a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coffee beans to extract the coffee liquid by grinding the coffee beans on the fly. Therefore, in recent years, a coffee machine for grinding coffee beans on the fly and extracting a coffee liquid is used.
상기와 같은 커피머신에는 커피원두를 분쇄하기 위한 그라인더 및 분쇄된 커피입자를 이용하여 고온 및 고압의 물을 이용하여 커피액을 추출하는 양조기가 사용되고 있다. In such a coffee machine, a brewing machine for extracting coffee liquid using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water by using a grinder for grinding coffee beans and pulverized coffee particles is used.
상기와 같은 양조기는, 특허등록 제10-0218815호의 '커피머신의 양조기구로부터 커피찌꺼기 압축 덩어리를 방출하기 위한 장치' 등과 같이 개시된 바 있다.Such a brewing machine has been disclosed, such as 'apparatus for releasing compressed coffee grounds from the brewing device of the coffee machine' Patent No. 10-0218815.
도 1a는 종래의 양조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1b와 도 1c는 각각 도 1a의 양조기의 동작을 측단면도이다. 1A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brew, and FIGS. 1B and 1C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operation of the brew of FIG. 1A, respectively.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양조기(특허등록 제10-0218815호)는, 커피입자(C)가 수용된 실린더(1)의 하부가 하부피스톤(2)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서 구동스핀들(3)에 의해 상부피스톤(4)까지 상승 동작하여 실린더(1)의 커피입자(C)가 압착되고, 이때, 고온 고압의 물이 실린더(1) 내부로 공급되게 되며 이를 통하여 제조된 커피액이 실린더(1)의 외부로 추출된다. 이후, 실린더(1)가 구동스핀들(3)에 의해 하측부의 연결부재(5)까지 하강 동작하게 되고, 이때 하부피스톤(2)의 중공에 연결부재(5)가 삽입되면서 하부피스톤(2)이 실린더(1)의 상방으로 상승하면서 압착된 커피입자(C)를 실린더(1)의 상단 외부로 밀어내게 되고, 이어서 실린더(1)의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방출부(6)가 회동되어 상기 커피입자(C)가 외부로 제거된다. 이후, 실린더(1)가 구동스핀들(3)에 의해 원위치로 상승 동작하게 되고, 이때 상기 방출부(6)는 원위치로 회동하게 되며, 하부피스톤(2)의 중공으로부터 연결부재(5)가 삽입 해제되면서 하부피스톤(2)의 상단부가 실린더(1)의 하부에 위치된 상태를 가지게 된다. As shown in FIGS. 1A to 1C, in the conventional brewing machine (Patent Registration No. 10-0218815), the lower part of th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양조기는, 상기 실린더(1)에 수용된 커피입자(C)의 압착 및 제거 과정을 위한 구성부 즉, 압착수단의 구성부가 실린더(1), 하부피스톤(2) 및 상부피스톤(4) 이외에도, 상기 실린더(1)에 수용된 커피입자(C)의 압착시 상기 하부피스톤(2)의 상단부가 실린더(1)의 하측부에 위치되도록 하거나 상기 실린더(1)의 압착된 커피입자(C)의 제거시 상기 하부피스톤(2)의 상단부가 실린더(1)의 상측부에 위치되도록 하는 연결부재(5)를 더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그 구성이 복잡하여 조립과정이 매우 불편하고 또한, 이로 인하여 제조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brewing machine, the components for the process of pressing and removing the coffee particles (C) accommodated in the cylinder (1), that is, the components of the pressing means cylinder (1), the lower piston (2) and the upper piston In addition to (4), when the coffee particles (C) accommodated in the
또한, 상기 양조기는, 커피입자(C)의 제거시 상기 실린더(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방출부(6)가 회동되어 상기 커피입자(C)가 외부로 제거되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 방출부(6)는 구동스핀들(3)에 의해 실린더(1)의 하강 동작시 구동스핀들(3) 일측에 형성된 회동경로(7)를 따라 이동하다가 회동경로(7)의 하측단을 벗어나는 순간 탄성스프링(미도시) 등과 같은 탄성수단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회동되면서 커피입자(C)를 제거한 후 실린더(1)의 상승시 회동경로(7)의 하측단에 방출부(6)의 레그가 걸림되면서 원상태로 복귀되기 때문에, 반복 사용에 따른 탄성수단의 탄성력 상실시 커피입자(C)의 제거가 깨끗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brewing machine, when the coffee particles (C) is removed to rotate the discharge unit (6) rotatably installed in the cylinder (1) to remove the coffee particles (C) to the outside, the discharge unit ( 6 moves along the
또한, 상기 양조기는, 상기 실린더(1)의 하부에 하부피스톤(2)이 끼워지고 하부피스톤(2)의 하부 중공에 연결부재(5)가 끼워지는데, 이때 상기 하부피스톤(2)과 연결부재(5)의 외경에는 각각 오링(2a,5a)이 구비되어 각각 실린더(1) 및 하부피스톤(2)의 내경에 밀착되어 하부피스톤(2)이 상승 또는 하강할 때 그 움직임이 제한되도록 하여, 실린더(1)에 커피입자(C)의 수용시 또는 실린더(1)의 상승시에는 하부피스톤(2)의 상단부가 실린더(1)의 하측부에 위치된 상태를 가지도록 하고 실린더(1)로부터 커피입자(C)의 제거를 위한 하강시에는 하부피스톤(2)의 상단부가 실린더(1)의 상측부에 위치된 상태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In addition, the brewing machine, the lower piston (2) is fit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ylinder (1) and the connecting member (5) is inserted into the lower hollow of the lower piston (2), wherein the lower piston (2) and the connecting member O-rings (2a, 5a) are respectively provided at the outer diameter of (5)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diameter of the cylinder (1) and the lower piston (2) so that the movement is limited when the lower piston (2) is raised or lowered, When the coffee particles C are accommodated in the
따라서 상기 양조기의 압착수단인 실린더(1), 하부피스톤(2) 및 연결부재(5) 등의 반복 동작에 따라 상기 오링(2a,5a)이 마모되어 정상적인 기능을 가지지 못할 경우, 즉, 하부피스톤(2)의 오링(2a)이 마모되는 경우 실린더(1)에 커피입자(C)의 수용시 또는 실린더(1)의 상승시 하부피스톤(2)의 상단부가 실린더(1)의 하측부에 위치되지 않게 되어 커피입자(C)의 정량 수용이 어려운 문제점과 함께 상부피스톤(4)과의 압착시 갑작스런 하부피스톤(2)의 하강(예를 들면, 실린더(1)의 중앙부에 하부피스톤(2)의 상단부가 위치되었다가 상부피스톤(4)의 압착시 상단부가 실린더(1)의 하측부로 하강하는 경우)으로 인하여 압착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Accordingly, when the O-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린더에 수용되는 커피입자를 압착시키는 압착을 위한 구성부가 상/하부피스톤과 실린더로 간단히 구성되도록 할 수 있는 커피머신용 양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rew machine for a coffee machine which can be configured to simply press the upper and lower pistons and the cylinder for pressing the coffee particles contained in the cylinde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린더로부터 커피입자를 제거하는 방출을 위한 구성부가 구동스핀들의 회전에 따라 동작되는 액츄에이터에 의해 스위퍼가 물리적으로 회동 되도록 하여 커피입자의 효율적인 제거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커피머신용 양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onent for the discharge to remove the coffee particles from the cylinder coffee to enable the sweeper to be physically rotated by the actuator op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drive spindle to enable efficient removal of coffee particles It is to provide a brew for the machine.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린더의 커피입자 압착이 실린더의 하측부에 항상 하부피스톤의 상단부가 위치된 상태에서 하강 동작하는 상부피스톤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하여 커피입자의 효율적인 압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커피머신용 양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compression of the coffee particles of the cylinder can be made by the upper piston which moves downward in the state in which the upper end of the lower piston is always located at the lower side of the cylinder to enable efficient compression of the coffee particles. It is to provide a coffee machine brew.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에 의하면, 프레임의 내부 일측에 위치되어 정/역회전되는 스핀들; 상기 스핀들의 상부 일측에 슬라이드피스톤과 테이핑스크류를 통해 연결되어 스핀들의 정/역회전에 따라 하강/상승 동작하는 상부피스톤; 상기 스핀들의 하부 일측에 베이스피스톤을 통해 연결되는 하부피스톤; 상기 상부피스톤과 하부피스톤 사이에 위치되도록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하부피스톤이 하측으로부터 삽입되며 커피입자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에 상기 상부피스톤의 하강시 커피입자가 압착되도록 하는 실린더; 상기 슬라이드피스톤과 베이스피스톤을 연결하여 상기 스핀들의 역회전시 상기 하부피스톤이 실린더의 수용공간 상측부를 향해 상승 동작하도록 하여 압착이 완료된 커피입자가 실린더의 상측부로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스핀들의 정회전시 상기 하부피스톤이 실린더의 수용공간 하측부를 향해 하강 동작되도록 하는 링크플레이트; 상기 실린더에 스핀들측으로부터 그 반대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의 상측부로 이동된 커피입자를 외부로 제거시키는 스위퍼; 상기 베이스피스톤의 가이드홈에 가이드되는 롤러를 통해 베이스피스톤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상부피스톤의 하강시에는 링크플레이트의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되는 롤러에 의해 스핀들측으로 회동되고 상기 하부피스톤의 상승시에는 베이스피스톤의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되는 롤러에 의해 상기 스위퍼측으로 회동되어 실린더 상측부로 이동된 커피입자가 외부로 제거되도록 상기 스위퍼를 스핀들측으로부터 그 반대측으로 회동시키는 액츄에이터; 상기 프레임의 상측부에 위치되며 상기 상부피스톤 일측에 상부피스톤의 상승 또는 하강 동작에 따라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슈트가이드를 통하여 실린더에 커피입자를 공급하는 슈트;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하부피스톤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고온고압의 물을 실린더에 공급하는 워터인렛; 및 상기 상부피스톤으로부터 프레임에 연결되어 커피입자의 압착 완료후 실린더의 커피액을 외부로 추출하는 커피액아웃렛 포함하는 커피머신용 양조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pindle is located on the inner side of the frame forward / reverse rotation; An upper piston connected to the upper one side of the spindle through a slide piston and a taping screw and lowering / rising according to forward / reverse rotation of the spindle; A lower piston connected to the lower one side of the spindle through a base piston; A cylinder fixed to the frame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piston and the lower piston, the lower piston being inserted from the lower side, and allowing the coffee particles to be squeezed when the upper piston is lower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the coffee particles are accommodated; The slide piston and the base piston are connected so that the lower piston moves upward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receiving space of the cylinder during the reverse rotation of the spindle so that the compressed coffee particles are moved to the upper side of the cylinder,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pindle rotates forward. A link plate for lowering the piston toward the lower por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cylinder; A sweeper rotatably connected to the cylinder from the spindle side to the opposite side to remove the coffee particles moved to the upper side of the cylinder to the outside; I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base piston through a roller guided to the guide groove of the base piston, and when the upper piston descends, it is rotated to the spindle side by a roller moving along the guide groove of the link plate, and when the lower piston is raised, the base An actuator for rotating the sweeper from the spindle side to the opposite side so that the coffee particles moved to the sweeper side by the roller moving along the guide groove of the piston are removed to the outside; A chute for supplying coffee particles to the cylinder through a chute guide positioned at an upper side of the frame and rotatab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upper piston in accordance with a lifting or lowering operation of the upper piston; A water inlet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lower piston from the frame to supply high temperature, high pressure water to a cylinder from the outside; And is connected to the frame from the upper piston is provided with a coffee machine brew including a coffee liquid outlet for extracting the coffee liquid in the cylinder after the completion of the compression of the coffee particles.
여기서, 상기 링크플레이트는, 상기 슬라이드피스톤의 하측부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피스톤의 상측부에 타측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link plate, it is preferable that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slide piston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base piston.
또한, 상기 스위퍼는, 상기 실린더의 하측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액츄에이터에 의해 회동 동작하는 회동레그; 상기 회동레그로부터 실린더의 상측부까지 연장되는 연장레그; 상기 연장레그의 상단에 형성되어 회동레그의 회동시 실린더의 상기 하부피스톤의 상단부에 위치된 압착된 커피입자를 실린더로부터 프레임의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배출판; 및 상기 회동레그에 구비되어 상기 액츄에이터로부터 회동레그에 가해지는 회동력 제거시 회동레그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weeper may further include a pivoting leg rotatably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cylinder and pivoting by the actuator; An extension leg extending from the pivoting leg to an upper side of the cylinder; A discharge plat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extension leg to discharge the compressed coffee particles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lower piston of the cylinder from the cylinder to the outside of the frame when the rotation leg is rotated; And a return spring provided in the pivoting leg to return the pivoting leg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removing the pivoting force applied from the actuator to the pivoting leg.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베이스피스톤에 롤러를 통해 연결되는 헤더와; 상기 헤더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상부피스톤의 하강시에는 링크플레이트에 형성되는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되는 롤러에 의해 스핀들측으로 회동되고 상기 하부피스톤의 상승시 베이스피스톤에 형성되는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되는 롤러에 의해 스위퍼측으로 회동되어 회동레그에 회동력을 제공하는 바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ctuator may further include: a header connected to the base piston through a roller; The roller extends from the header and is rotated to the spindle side by a roller moving along a guide groove formed in the link plate when the upper piston descends, and moved by a guide groove formed in the base piston when the lower piston is raised.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body that is rotated to the sweeper side to provide the rotational force to the rotational leg.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실린더에 수용되는 커피입자를 압착시키는 압착을 위한 구성부가 상/하부피스톤과 실린더로 간단히 구성됨으로써, 조립을 간단히 할 수 있고 또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stituent portion for pressing the coffee particles contained in the cylinder is simply composed of the upper / lower piston and the cylinder, the assembly can be simplifi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또한, 상기 실린더로부터 커피입자를 제거하는 방출을 위한 구성부인 스위퍼와 액츄에이터가 스핀들의 회전에 따라 기계적으로 연동 동작됨으로써, 종래와 같이 탄성수단을 이용하는 것에 비하여 내구성이 향상되고 또한, 커피입자의 효율적인 제거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weeper and the actuator, which is a component for discharging coffee particles from the cylinder, are mechanically interlock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pindle, thereby improving durability compared to using elastic means as in the prior art, and efficiently removing coffee particles. Can be enabled.
또한, 상기 실린더의 커피입자 압착이 실린더의 하측부에 항상 하부피스톤의 상단부가 위치된 상태에서 하강 동작하는 상부피스톤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커피입자의 효율적인 압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pressing the coffee particles of the cylinder by the upper piston which moves downward in a state where the upper end of the lower piston is always located at the lower side of the cylinder, it is possible to enable efficient compression of the coffee particles.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a는 종래의 양조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b와 도 1c는 각각 도 1a의 양조기의 동작을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용 양조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a 내지 도 3c는 각각 도 2의 커피머신용 양조기를 나타낸 정면도 및 좌우 측면도.
도 4a 내지 도 4h는 도 2의 커피머신용 양조기의 일련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Figure 1a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brew.
1B and 1C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operation of the brew of FIG. 1A, respectively.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rew for a coffee machi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a to 3c is a front view and left and right side views respectively showing the coffee machine brew of Figure 2;
4A to 4H are side views showing a series of operating states of the coffee machine brew of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용 양조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a 내지 도 3c는 각각 도 2의 커피머신용 양조기를 나타낸 정면도 및 좌우 측면도이며, 도 4a 내지 도 4h는 도 2의 커피머신용 양조기의 일련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rew for a coffee machi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a to 3c is a front view and left and right side views respectively showing the coffee machine brew of Figure 2, Figures 4a to
도 2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용 양조기는, 프레임의 내부 일측에 위치되어 구동수단에 의해 정/역회전되는 스핀들(110), 상기 스핀들(110)의 상부 일측에 슬라이드피스톤(121)과 테이핑스크류(122)를 통해 연결되어 스핀들(110)의 정/역회전에 따라 하강/상승 동작하는 상부피스톤(120), 상기 스핀들(110)의 하부 일측에 베이스피스톤(131)과 함께 구비되는 하부피스톤(130), 상기 상부피스톤(120)과 하부피스톤(130) 사이에 위치되도록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하부피스톤(130)이 하측으로부터 삽입되며 커피입자(C)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에 상기 상부피스톤(120)의 하강시 커피입자(C)가 압착되도록 하는 실린더(140), 상기 슬라이드피스톤(121)과 베이스피스톤(131)을 연결하여 상기 스핀들(110)의 역회전시 상기 하부피스톤(130)이 실린더(140)의 수용공간 상측부를 향해 상승 동작하도록 하여 압착이 완료된 커피입자(C)가 실린더(140)의 상측부로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스핀들(110)의 정회전시 상기 하부피스톤(130)이 실린더(140)의 수용공간 하측부를 향해 하강 동작되도록 하는 링크플레이트(150), 상기 실린더(140)에 스핀들(110)측으로부터 그 반대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140)의 상측부로 이동된 커피입자(C)를 외부로 제거시키는 스위퍼(160), 상기 베이스피스톤(131)의 가이드홈(131a)에 가이드되는 롤러(171)를 통해 베이스피스톤(13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상부피스톤(120)의 하강시에는 링크플레이트(150)의 가이드홈(151)을 따라 이동되는 롤러(171)에 의해 스핀들(110)측으로 회동되고 상기 하부피스톤(130)의 상승시에는 베이스피스톤(131)의 가이드홈(131a)을 따라 이동되는 롤러(171)에 의해 상기 스위퍼(160)측으로 회동되어 실린더(140) 상측부로 이동된 커피입자(C)가 외부로 제거되도록 상기 스위퍼(160)를 스핀들(110)측으로부터 그 반대측으로 회동시키는 액츄에이터(170), 상기 프레임의 상측부에 위치되며 상기 상부피스톤(120) 일측에 상부피스톤(120)의 상승 또는 하강 동작에 따라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슈트가이드(181)를 통하여 실린더(140)에 커피입자(C)를 공급하는 슈트(180),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하부피스톤(130)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고온고압의 물을 실린더(140)에 공급하는 워터인렛(I) 및 상기 상부피스톤(120)으로부터 프레임에 연결되어 커피입자(C)의 압착 완료후 실린더(140)의 커피액을 외부로 추출하는 커피액아웃렛(O)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 2 to 3c, the coffee machine brewing machi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커피머신용 양조기의 프레임은, 직육면체 또는 다면체 또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coffee machine brew frame may hav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a polyhedron, or a cylindrical shape.
상기 스핀들(110)은, 상기 프레임의 내부 일측 즉, 배면측에 프레임의 높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구동수단에 의해 정/역회전되는 것으로, 프레임의 상측면과 하측면에는 베어링스핀들(111)이 더 구비되어 스핀들(11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배면측의 서포트스핀들(112)을 통해 보다 견고한 설치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The
상기 상부피스톤(120)은, 상기 스핀들(110)의 상부 일측에 슬라이드피스톤(121)과 테이핑스크류(122)를 통해 연결되어 스핀들(110)의 정/역회전에 따라 하강/상승 동작하면서 실린더(140)의 커피입자(C)를 압착하는 것으로, 바디 일부가 상기 프레임의 좌우측면의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가이드홈(미부호)에 가이드 가능한 상태로 지지되는 슬라이드피스톤(121)에 연결되고, 상기 슬라이드피스톤(121)의 일부가 스핀들(110)에 치합되는 테이핑스크류(122)에 연결되어 스핀들(110)의 회전 방향에 따라 하강 또는 상승 동작하게 된다.The
여기서, 상기 상부피스톤(120)은 후술된 커피액아웃렛(O)에 실린더(140)로부터 커피액이 추출되도록 하는 커피액 추출공(미도시)이 형성되며, 상기 커피액 추출공에는 공지의 필터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커피액의 찌꺼기를 필터링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상기 하부피스톤(130)은, 상기 스핀들(110)의 하부 일측에 베이스피스톤(131)과 함께 구비되어 후술된 실린더(140)의 압착 완료된 커피입자(C)를 실린더(140) 상측부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으로, 바디 일부가 베이스피스톤(131)에 연결되어 스핀들(110)의 회전 방향에 따라 후술된 링크플레이트(150)에 의해 실린더(140)의 수용공간 상측부를 향해 상승 동작하여 커피입자(C)가 실린더(140)의 상측부로 이동되도록 한 후 다시 수용공간 하측부를 향해 하강 동작한다. The
여기서, 상기 하부피스톤(130)은 상단부에 후술된 워터인렛(I)으로부터 실린더(140)에 고온고압의 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워터 분사공(미부호)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상기 실린더(140)는, 상기 상부피스톤(120)과 하부피스톤(130) 사이에 위치되도록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하부피스톤(130)이 하측으로부터 삽입되며 커피입자(C)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에 상기 상부피스톤(120)의 하강시 커피입자(C)가 압착되도록 하는 것으로, 하측부는 상기 하부피스톤(130)의 상단부가 이동 가능한 상태로 삽입되고 상측부는 상기 상부피스톤(120)의 하단부가 스핀들(110)의 회전에 따라 삽입되거나 삽입 해제된다.The
여기서, 상기 상부피스톤(120)과 하부피스톤(130)의 바디 외경에는 오링부재가 설치되어 실린더(140)에 수용된 커피입자(C)의 압착시 실린더(140)의 상측부와 하측부를 완전히 밀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an O-ring member is installed at the outer diameters of the
상기 링크플레이트(150)는, 상기 슬라이드피스톤(121)과 베이스피스톤(131)을 연결하여 상기 스핀들(110)의 역회전시 상기 하부피스톤(130)이 실린더(140)의 수용공간 상측부를 향해 상승 동작하도록 하여 압착이 완료된 커피입자(C)가 실린더(140)의 상측부로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스핀들(110)의 정회전시 상기 하부피스톤(130)이 실린더(140)의 수용공간 하측부를 향해 하강 동작되도록 하는 것으로, 일측이 상기 슬라이드피스톤(121)의 하측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베이스피스톤(131)의 상측부에 연결되며 길이방향으로 'L'자 형상의 가이드홈(151)이 형성되어 후술된 액츄에이터(170)의 롤러(171)가 가이드홈(151)을 따라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The
여기서, 상기 링크플레이트(150)의 타측은 상기 베이스피스톤(131)의 가이드홈(151)에 삽입되는 상기 액츄에이터(170)의 롤러(171)를 통해 상기 베이스피스톤(131)에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홈(151)에 가이드되는 롤러(171)를 통하여 하부피스톤(130)의 상하 이동 범위가 후술된 스위퍼(160)와 액츄에이터(170)의 동작 범위에 대응되도록 가변될 수 있다. Here, the other side of the
상기 스위퍼(160)는, 상기 실린더(140)에 스핀들(110)측으로부터 그 반대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140)의 상측부로 이동된 커피입자(C)를 외부로 제거시키는 것으로, 상기 실린더(140)의 하측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후술된 액츄에이터(170)에 의해 회동 동작하는 회동레그(161), 상기 회동레그(161)로부터 실린더(140)의 상측부까지 연장되는 연장레그(162), 상기 연장레그(162)의 상단에 실린더(140)의 원주에 대응되는 반원 형상을 가지며 형성되어 회동레그(161)의 회동시 실린더(140)의 상기 하부피스톤(130)의 상단부에 위치된 커피입자(C)(압착 덩어리)를 실린더(140)로부터 프레임의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배출판(163) 및 상기 회동레그(161)에 구비되어 상기 액츄에이터(170)로부터 회동레그(161)에 가해지는 회동력 제거시 회동레그(161)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복귀스프링(미부호)을 포함한다. The
상기 액츄에이터(170)는, 상기 베이스피스톤(131)의 가이드홈(131a)에 가이드되는 롤러(171)를 통해 베이스피스톤(13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상부피스톤(120)의 하강시에는 링크플레이트(150)의 가이드홈(151)을 따라 이동되는 롤러(171)에 의해 스핀들(110)측으로 회동되고 상기 하부피스톤(130)의 상승시에는 베이스피스톤(131)의 가이드홈(131a)을 따라 이동되는 롤러(171)에 의해 상기 스위퍼(160)측으로 회동되어 실린더(140) 상측부로 이동된 커피입자(C)가 외부로 제거되도록 상기 스위퍼(160)를 스핀들(110)측으로부터 그 반대측으로 회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피스톤(131)의 가이드홈(131a)에 롤러(171)를 통해 연결되는 헤더(172)와, 상기 헤더(172)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상부피스톤(120)의 하강시에는 링크플레이트(150)의 가이드홈(151)을 따라 이동되는 롤러(171)에 의해 스핀들(110)측으로 회동되고 상기 하부피스톤(130)의 상승시 베이스피스톤(131)의 가이드홈(131a)을 따라 이동되는 롤러(171)에 의해 스위퍼(160)측으로 회동되어 회동레그(161)에 회동력을 제공하는 바디(173)를 포함한다. The
상기 슈트(180)는, 상기 프레임의 상측부에 위치되며 상기 상부피스톤(120) 일측에 상부피스톤(120)의 상승 또는 하강 동작에 따라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슈트가이드(181)를 통하여 실린더(140)에 커피입자(C)를 공급하는 것으로, 외부로부터 커피입자(C)가 정량 공급되는 커피유입구(182)가 슈트가이드(181)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슈트가이드(181)는 상기 상부피스톤(120)의 상측부에 형성되는 돌기부재(미도시)가 가이드되는 가이드홈(미부호)이 형성되어 상부피스톤(120)의 상승 또는 하강 동작시 스핀들(110)측으로부터 그 반대측으로 회동되어 커피입자(C)의 공급과 압착된 커피입자(C)의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e
상기 워터인렛(I)과 커피액아웃렛(O)은, 각각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하부피스톤(130)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고온고압의 물을 실린더(140)에 공급하거나, 상기 상부피스톤(120)으로부터 프레임에 연결되어 커피입자(C)의 압착 완료후 실린더(140)의 커피액을 외부로 추출하는 것으로, 상기 구성부들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구성될 수 있고 이는 이미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water inlet I and the coffee liquid outlet O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피머신용 양조기의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coffee machine brew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실린더(120)가 프레임의 상단부로부터 일정거리 하강된 상태이고, 하부실린더(130)의 상단부가 실린더(140) 수용공간의 하측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슈트(180)의 커피유입구(182)에 커피입자(C)가 공급되어 슈트가이드(181)를 따라 실린더(140)의 수용공간에 수용된다.First, as shown in FIG. 4A, in a state where the
여기서, 상기 액츄에이터(170)의 롤러(171)는 링크플레이트(150)의 가이드홈(151) 하측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하부피스톤(130)의 베이스피스톤(131)의 가이드홈(131a)을 따라 스핀들(110)측으로 이동되어 액츄에이터(170)의 회동을 위한 간섭으로부터 스위퍼(160)가 자유로운 상태를 가지며 스핀들(110)측으로부터 그 반대측으로 회동 가능한 상태를 가지게 된다. Here, the
이후, 도 4b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핀들(110)의 정회전에 의해 상부피스톤(120)이 실린더(140)의 수용공간 상측부로 하강하면서 커피입자(C)를 압착하게 되고, 이때, 워터인렛(I)으로부터 실린더(140)의 하측부에 위치된 하부피스톤(130)의 워터 분사공을 통하여 고온 고압의 물이 실린더(140)에 분사되어 커피액이 생성되며, 이어서, 상기 커피액이 상부피스톤(120)의 커피액 추출공으로부터 커피액아웃렛(O)을 통해 추출된다.Thereafter, as shown in FIGS. 4B and 4C, the
여기서, 상기 실린더(140)는 상부피스톤(120)과 하부피스톤(130)에 의해 상측과 하측이 밀폐되는 챔버가 될 수 있고 커피입자(C)가 실린더(140)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피스톤(120)의 하강시 상기 슈트(180)의 슈트가이드(181)는 실린더(140)의 수용공간 외측으로 회동되어 상부피스톤(120)의 하강 동작에 대한 간섭을 방지하며, 상기 액츄에이터(170)의 롤러(171)는 하부피스톤(130)의 베이스피스톤(131)의 가이드홈(131a)을 따라 실린더(140)측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링크플레이트(150)의 가이드홈(151) 상측부를 따라 이동됨으로써, 하부피스톤(130)이 상부피스톤(120)의 압착을 위한 하강 동작시 연동 동작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어 커피입자(C)의 효율적인 압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Here, the
이후, 도 4d와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핀들(110)의 역회전에 의해 상부피스톤(120)이 실린더(140)의 수용공간 상측부로 상승하게 되고, 이때, 링크플레이트(150)를 통해 상부피스톤(120)에 연결된 하부피스톤(130)이 실린더(140)의 내부 상측부로 상승하게 되면서 하부피스톤(130)의 상단부에 의해 실린더(140) 수용공간의 압착된 커피입자(C)가 수용공간의 상단부로 노출되게 된다. Thereafter, as shown in FIGS. 4D and 4E, the
여기서, 상기 액츄에이터(170)의 롤러(171)는 상부피스톤(120)의 상승시 상부피스톤(120)의 상단부가 실린더(140)의 상단부로 노출될 때까지는 링크플레이트(150)의 가이드홈(151)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이동하여 액츄에이터(170)의 회동을 위한 간섭으로부터 스위퍼(160)가 자유로운 상태를 가지며 스핀들(110)측으로부터 그 반대측으로 회동 가능한 상태를 가지도록 한다. Here, the
이후,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핀들(110)의 지속적인 역회전에 의해 상부피스톤(120)이 프레임의 상측부 한계점까지 상승하게 되고, 이때, 액츄에이터(170)의 롤러(171)가 베이스피스톤(131)의 가이드홈(131a)을 따라 이동하면서 바디가(173)가 상기 스위퍼(160)측으로 회동하여 회동레그(161)에 회동력이 제공되며, 이어서, 상기 회동레그(161)의 회동에 따라 배출판(163)이 실린더(140)의 상단부를 지나치는 회동 동작을 통해 압착된 커피입자(C)가 실린더(140)의 외측으로 배출되게 된다. Then, as shown in Figure 4f, by the continuous reverse rotation of the
여기서, 상기 액츄에이터(170)의 롤러(171)는 하부피스톤(130)의 상단부가 실린더(140)의 상측부인 한계점까지 상승 완료시 링크플레이트(150)의 가이드홈(151) 중 경사진 부분과 베이스피스톤(131)의 가이드홈(131a)을 따라 스핀들(110)측으로 이동되면서 스위퍼(160)측으로 회동됨으로써, 실린더(140) 상측부로 이동된 커피입자(C)가 외부로 제거되도록 할 수 있고, 스핀들(110)의 회전에 따른 기계적인 힘을 통해 스위퍼(160)가 동작되도록 하여 커피입자(C)를 제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Here, the
이후, 도 4g와 도 4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핀들(110)의 정회전에 의해 상부피스톤(120)이 실린더(140)의 수용공간 상측부를 향해 일정거리 하강하여 정지하게 되고, 이때, 상기 하부실린더(130)의 상단부가 실린더(140)의 수용공간의 하측부에 위치되도록 하강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실린더(140)의 외측을 향해 회동된 스위퍼(160)에 가해지던 액츄에이터(170)의 회동력이 상실되면서 상기 스위퍼(160)가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면서 도 4a와 같은 초기 위치 상태를 가지게 된다. Then, as shown in Figure 4g and 4h, the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커피머신용 양조기에 의하면, 상기 실린더(140)에 수용되는 커피입자(C)를 압착시키는 압착을 위한 구성부가 상/하부피스톤(120,130)과 실린더(140)로 간단히 구성됨으로써, 조립을 간단히 할 수 있고 또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coffee machine brew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components for pressing to press the coffee particles (C) accommodated in the
또한, 상기 실린더(140)로부터 커피입자(C)를 제거하는 방출을 위한 구성부인 스위퍼(160)와 액츄에이터(170)가 스핀들(110)의 회전에 따라 기계적으로 연동 동작됨으로써, 종래와 같이 탄성수단을 이용하는 것에 비하여 내구성이 향상되고 또한, 커피입자(C)를 효율적인 제거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실린더(140)의 커피입자(C) 압착이 실린더(140)의 하측부에 항상 하부피스톤(130)의 상단부가 위치된 상태에서 하강 동작하는 상부피스톤(140)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커피입자(C)의 효율적인 압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sing of the coffee particles (C) of the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 범위와 청구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specific embodiments,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not to be determin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but should be determined by equivalents of the claims and the claims.
Claims (8)
상기 스핀들(110)의 상부 일측에 슬라이드피스톤(121)과 테이핑스크류(122)를 통해 연결되어 스핀들(110)의 정/역회전에 따라 하강/상승 동작하는 상부피스톤(120);
상기 스핀들(110)의 하부 일측에 베이스피스톤(131)과 함께 구비되는 하부피스톤(130);
상기 상부피스톤(120)과 하부피스톤(130) 사이에 위치되도록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하부피스톤(130)이 하측으로부터 삽입되며 커피입자(C)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에 상기 상부피스톤(120)의 하강시 커피입자(C)가 압착되도록 하는 실린더(140);
상기 슬라이드피스톤(121)과 베이스피스톤(131)을 연결하여 상기 스핀들(110)의 역회전시 상기 하부피스톤(130)이 실린더(140)의 수용공간 상측부를 향해 상승 동작하도록 하여 압착이 완료된 커피입자(C)가 실린더(140)의 상측부로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스핀들(110)의 정회전시 상기 하부피스톤(130)이 실린더(140)의 수용공간 하측부를 향해 하강 동작되도록 하는 링크플레이트(150);
상기 실린더(140)에 스핀들(110)측으로부터 그 반대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140)의 상측부로 이동된 커피입자(C)를 외부로 제거시키는 스위퍼(160);
상기 베이스피스톤(131)의 가이드홈(131a)에 가이드되는 롤러(171)를 통해 베이스피스톤(13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상부피스톤(120)의 하강시에는 링크플레이트(150)의 가이드홈(151)을 따라 이동되는 롤러(171)에 의해 스핀들(110)측으로 회동되고 상기 하부피스톤(130)의 상승시에는 베이스피스톤(131)의 가이드홈(131a)을 따라 이동되는 롤러(171)에 의해 상기 스위퍼(160)측으로 회동되어 실린더(140) 상측부로 이동된 커피입자(C)가 외부로 제거되도록 상기 스위퍼(160)를 스핀들(110)측으로부터 그 반대측으로 회동시키는 액츄에이터(170);
상기 프레임의 상측부에 위치되며 상기 상부피스톤(120) 일측에 상부피스톤(120)의 상승 또는 하강 동작에 따라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슈트가이드(181)를 통하여 실린더(140)에 커피입자(C)를 공급하는 슈트(180);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하부피스톤(130)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고온고압의 물을 실린더(140)에 공급하는 워터인렛(I); 및
상기 상부피스톤(120)으로부터 프레임에 연결되어 커피입자(C)의 압착 완료후 실린더(140)의 커피액을 외부로 추출하는 커피액아웃렛(O)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용 양조기.A spindle 110 positioned at one inner side of the frame to be rotated forward / backward;
An upper piston 120 connected to the upper one side of the spindle 110 through a slide piston 121 and a taping screw 122 to move down / up according to the forward / reverse rotation of the spindle 110;
A lower piston 130 provided with a base piston 131 on a lower side of the spindle 110;
Fixed to the frame so as to be located between the upper piston 120 and the lower piston 130, the lower piston 130 is inserted from the lower side and the lower of the upper piston 120 in the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the coffee particles (C) are accommodated Cylinder 140 to be compressed when the coffee particles (C);
When the slide piston 121 and the base piston 13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lower piston 130 moves upward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receiving space of the cylinder 140 when the spindle 110 is reversely rotated, the compressed coffee particles are completed. A link plate 150 for moving (C) the upper portion of the cylinder 140 and lowering the lower piston 130 toward the lower portion of the receiving space of the cylinder 140 when the spindle 110 is rotated forward;
A sweeper (160) rotatably connected to the cylinder (140) from the side of the spindle (110) to the opposite side to remove coffee particles (C) moved to an upper side of the cylinder (140) to the outside;
It is connected to the base piston 131 rotatably through the roller 171 guided to the guide groove 131a of the base piston 131, the guide groove of the link plate 150 when the upper piston 120 is lowered It is rotated toward the spindle 110 by the roller 171 moved along the 151 and the roller 171 moved along the guide groove 131a of the base piston 131 when the lower piston 130 is raised. An actuator (170) which rotates the sweeper (160) from the spindle (110) side to the opposite side so that the coffee particles (C) rotated to the sweeper (160) side and mov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ylinder (140) are removed to the outside;
Coffee particles (C) in the cylinder 140 through the chute guide 181, which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frame and is rotatably installed according to the upward or downward motion of the upper piston 120 on one side of the upper piston 120. Chute 180 for supplying the;
A water inlet (I)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lower piston 130 from the frame and supplying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water to the cylinder 140 from the outside; And
Coffee machine brew,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ffee liquid outlet (O) connected to the frame from the upper piston 120 to extract the coffee liquid of the cylinder 140 to the outside after the completion of the pressing of the coffee particles (C) .
상기 커피액아웃렛(O)에 실린더(140)로부터 커피액이 추출되도록 하는 커피액 추출공(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용 양조기.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upper piston 120,
Coffee machine brew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ffee liquid outlet (not shown) is formed in the coffee liquid outlet (O) to extract the coffee liquid from the cylinder (140).
상기 워터인렛(I)으로부터 실린더(140)에 고온고압의 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워터 분사공(미부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용 양조기.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lower piston 130,
Coffee machine brew,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water injection holes (unsigned) is formed so that the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water is supplied to the cylinder 140 from the water inlet (I).
상기 슬라이드피스톤(121)의 하측부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피스톤(131)의 상측부에 타측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용 양조기.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link plate 150,
Coffee machine brew, characterized in that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slide piston 121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base piston (131).
상기 실린더(140)의 하측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액츄에이터(170)에 의해 회동 동작하는 회동레그(161);
상기 회동레그(161)로부터 실린더(140)의 상측부까지 연장되는 연장레그(162);
상기 연장레그(162)의 상단에 형성되어 회동레그(161)의 회동시 실린더(140)의 상기 하부피스톤(130)의 상단부에 위치된 커피입자(C)(압착 덩어리)를 실린더(140)로부터 프레임의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배출판(163); 및
상기 회동레그(161)에 구비되어 상기 액츄에이터(170)로부터 회동레그(161)에 가해지는 회동력 제거시 회동레그(161)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복귀스프링(미부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용 양조기.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weeper 160,
A rotation leg 161 pivotably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cylinder 140 and pivoting by the actuator 170;
An extension leg 162 extending from the pivoting leg 161 to an upper side of the cylinder 140;
Coffee particles (C) (compression lump)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extension leg 162 and positioned at the upper end of the lower piston 130 of the cylinder 140 when the rotating leg 161 rotates from the cylinder 140. A discharge plate 163 for discharging to the outside of the frame; And
It includes a return spring (unsigned) which is provided in the rotation leg 161 to return the rotation leg 161 to the original position when removing the rotation force applied to the rotation leg 161 from the actuator 170. Coffee machine brew,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베이스피스톤(131)에 롤러(171)를 통해 연결되는 헤더(172)와;
상기 헤더(172)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상부피스톤(120)의 하강시에는 링크플레이트(150)에 형성되는 가이드홈(151)을 따라 이동되는 롤러(171)에 의해 스핀들(110)측으로 회동되고 상기 하부피스톤(130)의 상승시 베이스피스톤(131)에 형성되는 가이드홈(131a)을 따라 이동되는 롤러(171)에 의해 스위퍼(160)측으로 회동되어 회동레그(161)에 회동력을 제공하는 바디(17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용 양조기.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actuator 170,
A header 172 connected to the base piston 131 through a roller 171;
When the upper piston 120 extends from the header 172 and descends, the roller 171 moves along the guide groove 151 formed in the link plate 150 and rotates toward the spindle 110. Body which rotates to the sweeper 160 side by the roller 171 which is moved along the guide groove 131a formed in the base piston 131 when the piston 130 is raised (to provide the rotational force to the rotation leg 161 ( 173) coffee machine brew comprising a.
외부로부터 커피입자(C)가 정량 공급되는 커피유입구(182)가 슈트가이드(181)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슈트가이드(181)는 상부피스톤(120)의 상승 또는 하강 동작시 스핀들(110)측으로부터 그 반대측으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머신용 양조기.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hute 180,
The coffee inlet 182 through which the coffee particles C are quantitatively supplied from the outside is installed above the chute guide 181.
The chute guide 181 is a coffee machine brew,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lifting or lowering operation of the upper piston 120 is rotated from the spindle 110 side to the opposite side.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12631A KR101185590B1 (en) | 2011-02-14 | 2011-02-14 | Brewing apparatus for coffee maker |
PCT/KR2011/003553 WO2012111883A1 (en) | 2011-02-14 | 2011-05-13 | Brewer for coffee machi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12631A KR101185590B1 (en) | 2011-02-14 | 2011-02-14 | Brewing apparatus for coffee mak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92796A KR20120092796A (en) | 2012-08-22 |
KR101185590B1 true KR101185590B1 (en) | 2012-09-24 |
Family
ID=46672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12631A Expired - Fee Related KR101185590B1 (en) | 2011-02-14 | 2011-02-14 | Brewing apparatus for coffee maker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185590B1 (en) |
WO (1) | WO2012111883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3212846A1 (en) * | 2013-07-02 | 2015-01-08 |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 Coffee machine with a spindle brewing unit |
KR101645516B1 (en) * | 2016-02-25 | 2016-08-08 | (주)미스터커피 | Ground coffee chute device for coffee machines |
IT201700071896A1 (en) * | 2017-06-27 | 2018-12-27 | Carimali S P A Con Socio Unico | INFUSER DEVICE |
US20230414034A1 (en) * | 2020-10-15 | 2023-12-28 |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 Beverage machine with an arrangement for maintenanc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319068A (en) | 2001-04-19 | 2002-10-31 | Sanden Corp | Beverage extracting device for automatic vending machine |
JP2004321476A (en) | 2003-04-24 | 2004-11-18 | Hoshizaki Electric Co Ltd | Drink extractor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S2078720T3 (en) * | 1991-07-30 | 1995-12-16 | Sintra Holding Ag | COOKING DEVICE FOR A COFFEE MAKER AND PROCEDURE FOR THE PREPARATION OF COFFEE. |
CA2098492C (en) * | 1991-10-17 | 2000-12-12 | Andre Lussi | Coffee machine |
DK2055214T3 (en) * | 2007-10-29 | 2010-11-29 | Schaerer Ag | Brewing device for a coffee maker |
-
2011
- 2011-02-14 KR KR1020110012631A patent/KR10118559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1-05-13 WO PCT/KR2011/003553 patent/WO2012111883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319068A (en) | 2001-04-19 | 2002-10-31 | Sanden Corp | Beverage extracting device for automatic vending machine |
JP2004321476A (en) | 2003-04-24 | 2004-11-18 | Hoshizaki Electric Co Ltd | Drink extract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92796A (en) | 2012-08-22 |
WO2012111883A1 (en) | 2012-08-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059239B2 (en) | Brewing device for a coffee maker | |
KR101185590B1 (en) | Brewing apparatus for coffee maker | |
CN102813458B (en) | Automatic capsule falling device of capsule coffee machine | |
AU2018241173A1 (en) | Apparatus to prepare beverages | |
EP3659931B1 (en) | Automatic ground-coffee capsule manufacturing machine | |
RU2689611C2 (en) | Coffee machine and method of making cup of coffee | |
US8528464B2 (en) | Brewing facility for a coffee machine | |
KR101262177B1 (en) | A coffee extractor | |
JP2019069162A (en) | Beverage making apparatus and extraction device | |
EP2689697B1 (en) | Coffee machine convenient for package removing | |
CN114431709A (en) | Automatic coffee machine and working method | |
KR20090112956A (en) | Brewing Machine of Coffee Maker | |
TW201538087A (en) | Juice squeezing extractor with improved fastening structure of juice squeezing drum | |
CN210783982U (en) | Beverage extraction unit and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 |
CN204683342U (en) | The parts drives structure of coffee machine | |
CN117731161A (en) | Brewing device of hydraulic powder and coffee machine | |
KR20200092214A (en) | A Espresso coffee machine | |
RU2659942C2 (en) | Automatic machine for preparing coffee | |
CN218515571U (en) | Pressing rod type orange juice machine | |
KR101489809B1 (en) | The automatic espresso coffee machine with smart extracting device | |
CN210783971U (en) | Beverage extraction unit and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 |
CN220675806U (en) | Guide reset mechanism, powder sorting device and brewing device | |
CN222032096U (en) | Brewing unit and coffee machine | |
KR20130081014A (en) | Coffee extractor | |
CN113854864B (en) | Portable coffee grinder and coffee grinding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2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9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9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1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7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