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85397B1 - 풍력 발전기의 타워를 계측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풍력 발전기의 타워를 계측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5397B1
KR101185397B1 KR1020100080400A KR20100080400A KR101185397B1 KR 101185397 B1 KR101185397 B1 KR 101185397B1 KR 1020100080400 A KR1020100080400 A KR 1020100080400A KR 20100080400 A KR20100080400 A KR 20100080400A KR 101185397 B1 KR101185397 B1 KR 101185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measurement data
tower
measuring
calcula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0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7711A (ko
Inventor
김성한
김준길
박영준
박진형
정영모
최두진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0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5397B1/ko
Publication of KR20120057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7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5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539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0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21/04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by measuring coordinates of p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3/00Assembly, mounting or commissioning of wind motors;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F03D13/20Arrangements for mounting or supporting wind motors; Masts or towers for wind motors
    • F03D13/201T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7/00Monitoring or testing of wind motors, e.g. diagnostics
    • F03D17/027Monitoring or testing of wind motors, e.g. diagnostics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 being monitored or tested
    • F03D17/034Tow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1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dia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2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e.g. determining profi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2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3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roughness or irregularity of surfa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73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using multipath or indirect path propagation signals in position determin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210/00Aspect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any group under G01B, e.g. of wheel alignment, caliper-like sensors
    • G01B2210/58Wireless transmission of information between a sensor or probe and a control or evaluation uni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8Onshore wind turb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Wind Motor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Abstract

풍력 발전기 타워의 계측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기 타워의 계측 시스템은 타워 섹션의 일측 플랜지 및 타측 플랜지 근처에 각각 설치되어 신호를 송신하는 복수의 송신기; 일측 플랜지 및 타측 플랜지 상의 기 정의된 지점 및 타워의 몸통에 부착한 공통 기준점에 접촉되어 복수의 송신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일측 플랜지 및 타측 플랜지 상의 계측 지점의 3차원 위치를 측정하는 수신기; 수신기와 연결되고, 수신기가 측정한 계측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무선 모듈; 및 무선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계측 데이터를 토대로 일측 플랜지 및 타측 플랜지 각각에 대한 평탄도, 경사각, 진원도, 동축도 및 원통도를 계산하여 하나의 글로벌 좌표에 통합하여 출력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풍력 발전기의 타워를 계측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TOWER OF AEROGENERATOR}
본 발명은 풍력 발전기의 타워를 계측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풍력 발전기의 타워를 제작할 때 필수적으로 검사할 계측 항목을 계측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풍력 발전기는 크게 지중에 일부가 매설되어 고정되는 타워, 불어오는 바람에 의해 회전하는 블레이드, 블레이드의 회전에 의한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발전기로 구성된다.
여기서, 타워를 제작할 때 필수적으로 검사해야 될 계측 항목 즉 평탄도(flatness), 경사각(tilt angle), 진원도, 동축도 및 원통도가 존재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이러한 타워의 계측 항목을 작업자에 의한 수작업에 의하여 계측한다. 예를 들어, 간단한 치수 측정/마킹용 툴(예: 줄자 등), 지그(jig), 단순한 레이저 레벨 측정 장치 등에 의존하여 수행하고 있고, 이러한 방법으로는 플랜지(Flange)의 평탄도와 경사각 외에는 계측이 어렵다. 타워의 정밀한 품질 검사를 위해서는 플랜지의 내경 및 외경의 진원도를 측정해야 하는데, 이는 정밀성이 요구됨에도 수작업에 의해서는 정밀하게 계측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계측시 시간이 많이 걸린다.
또한, 작업자의 피로 누적으로 인한 작업 효율 저하의 문제는 물론, 계측 정밀도가 작업자의 컨디션에 따라 좌우되어 많은 문제점으로 작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실내 위치 측정 시스템(IGPS, Indoor GPS)을 이용하여 풍력 발전기의 타워에 관한 복수의 계측 항목을 용이하게 계측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풍력 발전기의 타워 계측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타워 섹션으로 구성되는 풍력 발전기 타워를 계측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타워 섹션의 일측 플랜지 및 타측 플랜지 근처에 각각 설치되어 신호를 송신하는 복수의 송신기; 상기 일측 플랜지 및 타측 플랜지 상의 기 정의된 지점 및 타워의 몸통에 부착한 공통 기준점에 접촉되어 상기 복수의 송신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일측 플랜지 및 상기 타측 플랜지 상의 계측 지점의 3차원 위치를 측정하는 수신기; 상기 수신기와 연결되고, 상기 수신기가 측정한 계측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무선 모듈; 및 상기 무선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계측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일측 플랜지 및 상기 타측 플랜지 각각에 대한 평탄도, 경사각, 진원도, 동축도 및 원통도를 계산하여 상기 공통 기준점을 기준으로 설정한 하나의 글로벌 좌표에 통합하여 출력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풍력 발전기의 타워 계측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하나 이상의 타워 섹션으로 구성되는 풍력 발전기 타워를 계측하는 시스템의 계측 방법에 있어서, 타워 섹션의 일측 플랜지 근처에 설치된 복수의 송신기 및 수신기를 이용하여 공통 기준점을 측정하고 플랜지 검사를 위한 계측 지점을 계측하는 단계; 상기 타워 섹션의 타측 플랜지 근처로 이동한 복수의 송신기 및 수신기를 이용하여 상기 공통 기준점을 측정하고 상기 플랜지 검사를 위한 계측 지점을 계측하는 단계; 상기 일측 플랜지 및 상기 타측 플랜지 각각에 대한 계측 데이터를 이용하여 플랜지의 평탄도, 경사각, 진원도, 동축도 및 원통도를 계산하는 단계; 및 계산된 상기 평탄도, 경사각, 직원도, 동축도 및 원통도를 상기 타워 섹션에 설치된 공통 기준점의 계측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준으로 설정한 하나의 글로벌 좌표에 통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Indoor GPS(IGPS)를 이용하여 종래에 계측이 불가능하였던 타워 동축도와 원통도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 비해 보다 빠르고 정밀하게 평탄도와 경사각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진원도와 평탄도의 계측이 하나의 계측 시스템으로 계측된 결과가 아니었던 것과 달리 Indoor GPS(IGPS)를 이용한 하나의 계측 시스템으로 계측하게 되어 체계적이고 통일된 계측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기의 타워 구조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기의 타워 계측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탄도, 경사각, 진원도, 동축도 및 원통도를 계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기 타워의 제작 시뮬레이션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기 타워의 계측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기의 타워를 계측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기의 타워 구조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풍력 발전기의 타워는 각각 개별적으로 수송되는 복수의 타워 섹션(100)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타워 섹션(100)은 바닥(Bottom) 섹션, 중앙(Middle) 섹션 및 상단(Top)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섹션(100)의 길이 및 개수는 적용분야 및 구조체의 높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타워 섹션(100)의 단면은 일반적으로 원형이며, 상향으로 테이퍼(taper)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기의 타워 계측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풍력 발전기의 타워를 구성하는 섹션(100)에는 좌표의 기준을 설정하기 위한 공통 기준점(common points)(101)이 마킹(marking)되어 있다.
타워 계측 시스템은 공통 기준점(101)에 기초하여 섹션(100) 양측의 플랜지(103, 105)의 계측 항목을 글로벌 좌표(Global Coordinate)로 구성하고, 이러한 글로벌 좌표 상에서 평탄도(flatness), 경사각(tilt angle), 진원도(out??of??roundness), 동축도(Coaxiality) 및 원통도(cylindricity)를 계산한다.
이러한 타워 계측 시스템은 3차원 계측 시스템인 IGPS(Indoor Global Position System) 방식을 이용한다. 여기서, IGPS는 GPS의 개념을 도입한 실내위치추적시스템이다. 즉, 다수개의 송신기를 실내에 장착하고, 수신기를 특정 위치에 놓으면, 그곳의 상대적인 3차원 좌표값을 구할 수 있게 하는 개념이다.
IGPS를 사용하는 타워 계측 시스템은 송신기(transmitter)(200), 수신기(receiver)(300), 무선 모듈(400) 및 제어 장치(500)를 포함하고, 실내 공간에 설치된다.
송신기(200)는 플랜지(103, 105)의 치수 또는 위치를 계측하기 위한 전파 신호 또는 레이저 신호를 발신하는 트랜스미터(Transmitter)이다. 이러한 송신기(200)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광 송신기일 수 있다.
수신기(300)는 송신기(200)가 발신하는 전파 신호 또는 레이저 신호를 감지하며, 포인트 투 포인트(Point to Point) 방식 또는 접촉 방식일 수 있다. 이러한 수신기(300)는 벡터바(vector bar)일 수 있다. 벡터바는 일측 끝이 측정 지점을 가리키며, 수신기(300)가 움직이면 이 움직이는 위치에 따른 인접한 위치까지의 방향 및 거리가 제어 장치(500)의 모니터에 표시된다.
무선 모듈(400)은 수신기(300)의 케이블과 연결되고, 수신기(300)가 측정한 위치 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한다.
제어 장치(500)는 무선통신 및 계측 운영프로그램을 탑재한다. 제어 장치(500)는 수신기(300)의 하부 촉침을 타워 섹션(100)의 플랜지(103, 105)에 접촉시킬 때, 그 지점의 3차원 좌표를 검출하여 처리한다. 제어 장치(500)는 동일 좌표계 구성을 위한 공통 기준점을 측정하고, 양측의 플랜지 좌표를 공통 기준점을 기준으로 매칭하여 각 플랜지의 로컬 좌표를 하나의 글로벌 좌표로 통합한다.
이때, 제어 장치(500)는 하나의 글로벌 좌표 상에서 타워 섹션(100)의 평탄도, 경사각, 진원도, 동축도 및 원통도를 측정한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탄도, 경사각, 진원도, 동축도 및 원통도를 계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의 (a)의 계측 지점 1은 양측 플랜지(103, 105)의 가장자리를 의미한다. 제어 장치(500)는 수신기(300)로부터 수신기(300)가 3차원 측정한 양측 플랜지(103, 105)의 계측 지점 1에 대한 외경 측정 데이터를 획득한다.
이때, 수신기(300)는 도 3의 (b)처럼 굵은 화살표가 나타내는 양측 플랜지(103, 105)의 가장자리에 대한 3차원 좌표인 외경 측정 데이터를 획득한다. 그러면, 제어 장치(500)는 수신기(300)로부터 전달받은 외경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도 4와 같은 평균 평면을 생성한다.
도 4에서처럼, 제어 장치(500)는 외경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하나의 원을 만들고, 원의 센터를 원점으로 하는 좌표계를 생성하여 평균 평면의 법선 방향 즉 Z 축 방향의 차이를 계산하여 평탄도를 산출한다. 즉, Z 축 방향으로 외경 계측 데이터의 Z 축 성분의 높이 값에 기초하여 양측 플랜지(103, 105)의 평탄도가 계산된다.
또한, 다시 도 3의 (a)에서 계측 지점 2는 도 3의 (b)에서 얇은 화살표가 나타내는 지점이다. 제어 장치(500)는 수신기(300)로부터 획득한 계측 지점 1과 계측 지점 2에 대한 3차원 좌표인 외경 측정 데이터 및 내경 측정 데이터를 모두 플랜지 좌표계로 변환한다. 여기서, 플랜지 좌표계는 외경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평균 평면을 X, Y 축으로 하고, 평균 평면과 수직으로 Z 축을 생성한 좌표계를 말한다.
그러면, 평균 평면의 원의 중심에 생긴 좌표계 기준으로 데이터가 바뀌고, 이를 이용하여 계측 지점 1과 계측 지점 2의 Z 축 성분의 차이를 계산하면 외경과 내경의 높이 단차를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높이 단차가 경사각 즉 플랜지 틸트로 계산된다.
또한, 진원도는 양측 플랜지(103, 105)가 이상적인 원에 근접하는 정도를 나타내며, 도 5에서와 같이 외경 계측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평균 평면이 플랜지 좌표계를 기준으로 X,Y 방향으로 벗어난 정도가 계산된다.
또한, 동축도는 도 6과 같이 계산된다. 즉 제어 장치(500)는 도 6에서처럼 일측 플랜지(103)의 로컬 좌표계와 타측 플랜지(105)의 로컬 좌표계에서 각각 Z 축 방향으로 가상의 직선을 생성하고, 두 직선이 플랜지의 센터를 연결한 직선과 이루는 각도를 동축도로 산출한다.
또한, 원통도는 도 7과 같이 계산된다. 즉 제어 장치(500)는 도 7에서처럼 각 플랜지(103, 105)의 평균 원을 기준으로 로컬 좌표계의 Z 축 방향으로 가상의 원통을 생성한다. 그리고 이를 기준으로 상대 플랜지가 벗어난 정도를 원통도로 산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기 타워의 제작 시뮬레이션을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제어 장치(500)는 풍력 발전기의 복수의 타워 섹션의 조합을 시뮬레이션 해볼 수 있다. 바닥 플랜지 좌표를 기준으로 탑 플랜지의 좌표와 자세 정보를 분석하여 복수의 타워 섹션의 조합의 정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타워를 가상으로 설치해보면서 실제 설치시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을 설치 전에 가상적으로 검사할 수 있다.
그러면, 이상 설명한 구성을 토대로 풍력 발전기 타워에 대한 계측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기 타워의 계측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운용자에 의해 타워 섹션(100)의 일측 플랜지(103)가 위치한 Station 1.에 복수의 송신기(200)가 설치된다(S101).
그러면, 복수의 송신기(200)에 대한 캘리브래이션(calibration) 과정이 수행되고, 제어 장치(500)에서 인도어 지피에스 셋업을 위해 사용될 관련 소프트웨어를 셋업 및 체크가 이루어진다(S103).
여기서, 캘리브레이션 과정은 번들링 작업 및 리스케일링 작업을 포함한다. 번들링 작업은 사용자가 임의로 배치한 송신기(200)의 영역 내에서,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된 임의의 포인트로부터 역으로 송신기(200)의 위치를 설정하는 작업을 말한다. 또한, 리스케일링 작업은 번들링 작업을 통해 설정된 좌표계 내의 스케일 팩터를 조정하여 전 구간 내 동일한 스케일 벡터가 적용되도록 하는 작업이다.
이후, 제어 장치(500)는 수신기(300)를 이용하여 글로벌 좌표를 구성하기 위한 공통 기준점(101)을 측정한다(S105). 그리고 도 3 내지 도 7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플랜지 1에 대한 평탄도, 경사각, 진원도, 동축도 및 원통도를 측정한다(107).
다음, 운용자는 Station 1.에 설치된 송신기(200)를 타측 플랜지(105)가 위치한 Station 2.로 이동시킨다(S109). 그리고, 복수의 송신기(200)에 대한 캘리브래이션(calibration) 과정 및 제어 장치(500)의 셋업 과정이 재수행된다(S111).
그리고 제어 장치(500)는 수신기(300)를 이용하여 글로벌 좌표를 구성하기 위한 공통 기준점(101)을 재측정한다(S113). 그리고 도 3 내지 도 7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플랜지 2에 대한 평탄도, 경사각, 진원도, 동축도 및 원통도를 측정한다(S115).
다음, 제어 장치(500)는 S105 단계와 S113 단계에서 측정된 공통 기준점을 일치시켜, 각각의 공통 기준점을 기준으로 측정된 각각의 평탄도, 경사각, 진원도, 동축도 및 원통도의 계측 데이터를 하나의 글로벌 좌표에서 표시한다(S117). 즉 플랜지 1 및 플랜지 2에 대한 각각의 계측 데이터를 동일한 좌표계에서 구현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타워 섹션 101: 공통 기준점
103, 105: 플랜지 200: 송신기
300: 수신기 400: 무선 모듈
500: 제어 장치

Claims (10)

  1. 하나 이상의 타워 섹션으로 구성되는 풍력 발전기 타워를 계측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타워 섹션의 일측 플랜지 및 타측 플랜지 근처에 각각 설치되어 신호를 송신하는 복수의 송신기;
    상기 복수의 송신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일측 플랜지 및 상기 타측 플랜지 상의 계측 지점의 3차원 위치를 측정하는 수신기;
    상기 수신기와 연결되고, 상기 수신기가 측정한 계측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무선 모듈; 및
    상기 무선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계측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일측 플랜지 및 상기 타측 플랜지 각각에 대한 평탄도, 경사각, 진원도, 동축도 및 원통도를 계산하여 하나의 글로벌 좌표에 통합하여 출력하는 제어 장치
    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 타워의 계측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공통 기준점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일측 및 타측 플랜지의 계측 데이터를 매핑하여 상기 하나의 글로벌 좌표로 통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기 타워의 계측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일측 플랜지 및 상기 타측 플랜지 각각에 대한 외경 측정 데이터 및 내경 측정 데이터를 상기 무선 모듈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외경 측정 데이터 및 상기 내경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2차원 방향의 평면 및 상기 평면에서 수직으로 3차원 축이 생성된 플랜지 좌표계를 생성하며, 상기 2차원 방향의 평면에서 상기 3차원 축 방향의 차이를 계산하여 상기 평탄도를 산출하고, 상기 플랜지 좌표계 상에서 상기 외경 측정 데이터와 상기 내경 측정 데이터 간의 높이를 계산하여 상기 경사각을 산출하며, 상기 2차원 방향의 평면이 2차원 방향으로 이탈한 정도를 계산하여 상기 진원도를 산출하는 풍력 발전기 타워의 계측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일측 플랜지에 대해 산출된 로컬 좌표값과 상기 타측 플랜지에 대해 산출된 로컬 좌표값을 통해 가상의 직선을 생성하여 상기 직선이 상기 일측 플랜지 및 상기 타측 플랜지와 이루는 각도를 계산하여 상기 동축도로 산출하는 풍력 발전기 타워의 계측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일측 플랜지 및 상기 타측 플랜지 각각의 로컬 좌표를 기준으로 법선 방향으로 가상의 원통을 생성하여 상기 원통이 상기 일측 플랜지 및 상기 타측 플랜지를 이탈한 정도를 상기 원통도로 산출하는 풍력 발전기 타워의 계측 시스템.
  6. 하나 이상의 타워 섹션으로 구성되는 풍력 발전기 타워를 계측하는 시스템의 계측 방법에 있어서,
    타워 섹션의 일측 플랜지 근처에 설치된 복수의 송신기 및 수신기를 이용하여 공통 기준점을 측정하고 플랜지 검사를 위한 계측 지점을 계측하는 단계;
    상기 타워 섹션의 타측 플랜지 근처로 이동한 복수의 송신기 및 수신기를 이용하여 상기 플랜지 검사를 위한 계측 지점을 계측하는 단계;
    상기 일측 플랜지 및 상기 타측 플랜지 각각에 대한 계측 데이터를 이용하여 플랜지의 평탄도, 경사각, 진원도, 동축도 및 원통도를 계산하는 단계; 및
    계산된 상기 평탄도, 경사각, 직원도, 동축도 및 원통도를 상기 타워 섹션에 설치된 공통 기준점의 계측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준으로 설정한 하나의 글로벌 좌표에 통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 타워의 계측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하는 단계는,
    상기 일측 플랜지 근처에 설치된 복수의 송신기가 송신하는 신호에 따라 측정된 공통 기준점 및 상기 일측 플랜지에 대한 계측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타측 플랜지 근처에 설치된 복수의 송신기가 송신하는 신호에 따라 측정된 공통 기준점 및 상기 타측 플랜지에 대한 계측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된 각각의 공통 기준점을 일치시켜 상기 일측 플랜지에 대한 계측 데이터 및 상기 타측 플랜지에 대한 계측 데이터를 상기 하나의 글로벌 좌표로 통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 타워의 계측 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일측 플랜지 및 상기 타측 플랜지 각각에 대한 외경 측정 데이터 및 내경 측정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외경 측정 데이터 및 상기 내경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2차원 방향의 평면 및 상기 평면에서 수직으로 3차원 축이 생성된 플랜지 좌표계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2차원 방향의 평면에서 상기 3차원 축 방향의 차이를 계산하여 상기 평탄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플랜지 좌표계 상에서 상기 외경 측정 데이터와 상기 내경 측정 데이터 간의 높이를 계산하여 상기 경사각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2차원 방향의 평면이 2차원 방향으로 이탈한 정도를 계산하여 상기 진원도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 타워의 계측 방법.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일측 플랜지에 대해 산출된 로컬 좌표값과 상기 타측 플랜지에 대해 산출된 로컬 좌표값을 통해 가상의 직선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직선이 상기 일측 플랜지 및 상기 타측 플랜지와 이루는 각도를 계산하여 상기 동축도로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 타워의 계측 방법.
  10.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일측 플랜지 및 상기 타측 플랜지 각각의 로컬 좌표를 기준으로 법선 방향으로 가상의 원통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원통이 상기 일측 플랜지 및 상기 타측 플랜지를 이탈한 정도를 상기 원통도로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 타워의 계측 방법.
KR1020100080400A 2010-08-19 2010-08-19 풍력 발전기의 타워를 계측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185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0400A KR101185397B1 (ko) 2010-08-19 2010-08-19 풍력 발전기의 타워를 계측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0400A KR101185397B1 (ko) 2010-08-19 2010-08-19 풍력 발전기의 타워를 계측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7711A KR20120057711A (ko) 2012-06-07
KR101185397B1 true KR101185397B1 (ko) 2012-09-24

Family

ID=46609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0400A Expired - Fee Related KR101185397B1 (ko) 2010-08-19 2010-08-19 풍력 발전기의 타워를 계측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53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4008B1 (ko) * 2013-08-16 2020-07-14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풍력 발전기의 모션 측정 장치 및 방법
CN106170677B (zh) 2014-02-11 2019-12-17 易兹镭射公司 用于测量法兰表面的几何表面特性的方法和系统
CN106524946A (zh) * 2016-10-27 2017-03-22 西南科技大学 一种隔水管自动对接检测装置
CN114894126B (zh) * 2022-05-07 2023-11-10 中国科学院电工研究所 一种实现高精度磁场输出的同轴测量工装、超导磁体结构及其装调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7711A (ko) 2012-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77098B2 (en) Antenna test system
Franceschini et al. Distributed large-scale dimensional metrology: new insights
CN101387501B (zh) 超大型工件圆形截面形状与方位测量装置及方法
CN103558459B (zh) 一种外场天线方向图的测试方法
CN101517358B (zh) 使用室内全球定位系统的三维测量系统和重新标度方法
JP5701165B2 (ja) 寸法測定用機器
CN102384717B (zh) 采用标准杆的工作空间测量定位系统快速定向方法
CN102706277B (zh) 一种基于全方位点约束的工业机器人在线零位标定装置及方法
US9182435B2 (en) Method and software for spatial pattern analysis
US20090322516A1 (en) Object location and reporting system for harsh rf environments
KR101185397B1 (ko) 풍력 발전기의 타워를 계측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1394676A (zh) 一种在无线网络中实现精确几何定位的方法
CN105222711A (zh) 一种基于激光测距技术的合拢管现场测量装置及测量方法
CN102425990B (zh) 工作空间测量定位系统网络状态监测方法
CN104807435A (zh) 基站天线的姿态测量系统及方法
KR101202833B1 (ko) 수준측량을 위한 측지측량용 토털 스테이션
Maisano et al. A comparison of two distributed large-volume measurement systems: the mobile spatial co-ordinate measuring system and the indoor global positioning system
CN110022574A (zh) 一种uwb室内定位基站的自动配置方法
KR20180076969A (ko) 보온핀의 설치 위치 표시장치 및 그를 이용한 표시 방법
CN105323794B (zh) 一种确定接入点位置的方法及装置
CN207515747U (zh) 一种基于bim的平整度评估装置
CN109407079B (zh) 一种基于姿态传感器校准的区域定位方法
CN104613981A (zh) 一种惯导动态定向精度测试系统
CN112526483A (zh) 一种融合空间定位的三维激光扫描设备及其定位定向方法
CN105241378B (zh) 基于激光跟踪技术的变电站3d实景重绘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7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9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9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