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5030B1 - Slide apparatus of mobile equipments - Google Patents
Slide apparatus of mobile equipment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85030B1 KR101185030B1 KR1020100124286A KR20100124286A KR101185030B1 KR 101185030 B1 KR101185030 B1 KR 101185030B1 KR 1020100124286 A KR1020100124286 A KR 1020100124286A KR 20100124286 A KR20100124286 A KR 20100124286A KR 101185030 B1 KR101185030 B1 KR 10118503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se frame
- vibration
- mobile device
- slider
- vibration memb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7—Vibrating means for incoming c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진동 효과가 크면서도 부품이 차지하는 내부 공간을 줄이고 조립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모바일 기기에서 발생한 신호를 후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의 슬라이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슬라이드 장치는 베이스프레임과, 베이스프레임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슬라이더와, 베이스프레임과 슬라이더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는 탄성체와, 베이스프레임 또는 슬라이더에 장착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진동부재와, 진동부재의 진동 시 향을 발산할 수 있도록 진동부재와 베이스프레임 또는 슬라이더 사이에 개재되는 방향부재를 포함하여 모바일 기기 내부에서 진동부재가 차지하는 공간을 감소시키는 한편 진동부재의 조립 간소화에 따른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나아가 진동 시 향이 발산되도록 함으로써 모바일 기기에서 발생되는 신호들을 사용자에게 후각적으로 전달하여 사용자의 신호 인지 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 While the vibration effect is large, the internal space occupied by the component can be reduced, assembly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and a slide device of the mobile device is provided which can transmit a signal generated from the mobile device to the user. A slide apparatus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frame, a slider provided to be slidably movable in the base frame, an elastic body connected at both ends of the base frame and the slider, and a vibration of a plate shape mounted to the base frame or the slider. The member and the direction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vibration member and the base frame or the slider so as to diverge the vibration when the vibration member to reduce the space occupied by the vibration member in the mobile device while simplifying the assembly of the vibration member By improving the productivity, and by allowing the vibration to diverge, the signal generated from the mobile device can be transmitted to the user olfactoryly to extend the signal recognition range of the us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슬라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진동 시 향이 발산되는 모바일 기기의 슬라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id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lide device of a mobile device that the smell is emitted during vibration.
휴대폰으로 대표되는 모바일 기기(Mobile Equipments)는 바 타입(Bar type), 플립 타입(Flip type), 플립업 타입(Flip-up type), 폴더 타입(Folder type), 슬라이드 타입(Slide type), 가로보기 타입 등 사용되는 시대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진화해 왔다.Mobile equipments represented by mobile phones include bar type, flip type, flip-up type, folder type, slide type, and horizontal type. It has evolved into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times of use, such as view types, and the needs of users.
플립 타입의 모바일 기기는 커버튼부 만을 플립을 이용해 개폐하는 방식이며, 폴더 타입의 모바일 기기는 상부를 액정화면으로 하고 하부를 키버튼부로 하여 상하가 서로 접철되는 방식이다. 슬라이드 타입의 모바일 기기는 액정화면부가 위치한 상부가 키버튼부가 위치한 하부로부터 슬라이딩 되는 방식이며, 가로보기 타입의 모바일 기기는 폴더 타입 또는 슬라이드 타입에서 개방 동작 후 화면의 위치변경을 하는 것이다. The flip type mobile device is a method of opening and closing only the cover part using a flip, and the folder type mobile device is a method of folding up and down by using the upper portion as the LCD screen and the lower portion as the key button portion. The slide-type mobile device is a method in which the upper portion of the LCD screen portion slides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key button portion, and the horizontal-type mobile device changes the position of the screen after the opening operation in the folder type or the slide type.
이 중 슬라이드 타입의 모바일 기기는 일반적으로 액정화면부와 키버튼부가 마련된 단말기의 상하부 하우징 내부에 슬라이더와 베이스플레이트와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장치를 개재하여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Among them, the slide-type mobile device is generally slidable through a slide device made of a slider, a base plate, and an elastic body in upper and lower housings of a terminal provided with a liquid crystal display unit and a key button unit.
한편, 통상의 모바일 기기는 전화 착신 신호 또는 기타 기능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하는 신호를 사용자가 진동에 의해 인식할 수 있도록 부가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진동을 발생시키는 바이브레이터라 불리는 이 진동부재는 모터와 모터축에 마련되는 편심체로 구성되어, 신호 인가 시 편심체가 회전하면서 모터를 진동시키고, 모터는 장착된 모바일 기기를 진동시킨다. 종래의 바이브레이터는 일반적으로 모바일 기기의 단말기 하우징 또는 내부 PCB 기판에 설치되었다. 그런데, 바이브레이터를 단말기 하우징에 설치하면 진동 효과가 크다는 장점이 있지만 하우징에 바이브레이터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가 필요하며, PCB 기판에 실장하면 설치는 용이하나 하우징 내부 설치로 인해 진동 효과가 약하다는 단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a typical mobile device has an additional function so that a user can recognize a signal generated while performing an incoming call signal or other functions by vibration. The vibration member, which is called a vibrator for generating vibration, is composed of an eccentric body provided on the motor and the motor shaft, and when the signal is applied, the eccentric body vibrates while the motor vibrates, and the motor vibrates the mounted mobile device. Conventional vibrators have generally been installed in terminal housings or internal PCB substrates of mobile devices. However, when the vibrator is installed in the terminal housing,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vibration effect is large, but a structure for fixing the vibrator to the housing is required. .
또 한편, 통상의 모바일 기기는 전화 착신 신호 또는 기타 기능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하는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방식으로 상술한 진동(촉각) 외 벨(청각), 램프(시각) 등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이러한 통상적인 신호 전달 방식을 벗어난 새로운 신호 전달 방식을 도입하고자 하는 연구가 여러 방면에서 진행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mobile device uses the above-mentioned vibration (tactile), bell (hearing), lamp (visual), etc. in a manner of transmitting a signal generated while performing an incoming call signal or other functions to the user. However, in recent years,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in various fields to introduce new signal transmission methods beyond the conventional signal transmission methods.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착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진동 효과가 크면서도 부품이 차지하는 내부 공간을 줄이고 조립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모바일 기기의 슬라이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lide device of a mobile device which can reduce the internal space occupied by a part and improve assembly productivity while having a large vibration effect.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바일 기기에서 발생한 신호를 후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의 슬라이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lide device of a mobile device that can transmit a signal generated in the mobile device to the user olfactor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슬라이드 장치는 베이스프레임과, 베이스프레임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슬라이더와, 베이스프레임과 슬라이더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는 탄성체와, 베이스프레임 또는 슬라이더에 장착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진동부재와, 진동부재의 진동 시 향을 발산할 수 있도록 진동부재와 베이스프레임 또는 슬라이더 사이에 개재되는 방향부재를 포함한다. The slide device of 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base frame, a slider provided to be slidably movable in the base frame, an elastic bod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base frame and the slider, respectively, and to the base frame or the slider A plate-shaped vibration member to be mounted, and a direction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vibration member and the base frame or the slider so as to diverge the vibration when the vibration memb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슬라이드 장치의 상기 방향부재는 진동부재와 베이스프레임 또는 슬라이더를 결합시키는 접착테이프에 마련되는 모바일 기기의 슬라이드 장치.In addition, the direction member of the slide device of 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slide device of the mobile device is provided on the adhesive tape for coupling the vibration member and the base frame or the slid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슬라이드 장치의 상기 진동부재는 플레이트 형태를 가지며, 상기 방향부재는 진동부재와 상기 베이스프레임 또는 슬라이더 사이에 개재되는 접착테이프에 마련된다. In addition, the vibration member of the slide device of 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has a plate shape, the direction member is provided on the adhesive tape interposed between the vibration member and the base frame or the slid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슬라이드 장치의 상기 베이스프레임은 상기 슬라이더의 동작 시 가려지는 가림면과 상시 노출되는 노출면을 구비하며, 상기 진동부재는 상기 노출면에 마련된다. In addition, the base frame of the slide device of 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hielding surface and an exposed surface that is always expos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slider, the vibration member is provided on the exposed surfa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슬라이드 장치의 상기 베이스프레임에는 상기 진동부재를 설치하기 위한 가이드홈이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홈은 에칭 방식으로 마련되거나 프레스 방식으로 마련된다. In addition, the base frame of the slide device of 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guide groove for installing the vibration member, the guide groove is provided by an etching method or a press method.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슬라이드 장치는 진동부재를 베이스플레이트 또는 슬라이더에 플레이트 형태로 마련함으로써 모바일 기기 내부에서 진동부재의 차지 공간을 감소시키는 한편 진동부재의 조립 간소화에 따른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The slide device of 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charge space of the vibrating member in the mobile device by providing a vib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plate on the base plate or slider, while improving productivity according to the simplified assembly of the vibrating member.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슬라이드 장치는 진동부재와 함께 방향부재를 설치하여 진동 시 향이 발산되도록 함으로써 모바일 기기에서 발생되는 신호들을 사용자에게 후각적으로 전달하여 사용자의 신호 인지 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lide device of 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a direction member together with the vibration member so that the smell of vibration is divergent to transmit the signals generated from the mobile device to the user to extend the signal recognition range of the user. hav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슬라이드 장치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슬라이드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lide device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lide device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슬라이드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1 and 2 illustrate a slide device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슬라이드 장치는 베이스프레임(110)과, 슬라이더(120)와, 탄성체(130)와, 진동부재(14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slide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베이스프레임(110)은 휴대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 내부에 고정되는 판 상의 플레이트로 길이방향 양측에는 절곡된 걸림턱(112,114)이 각각 형성된다. The
슬라이더(120)는 베이스프레임(110)보다 작은 판 상의 플레이트로서, 그 양측에는 베이스프레임(110)의 양측 걸림턱(112,114)에 걸릴 수 있도록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마주보는 "ㄷ" 자 형태의 안내홈(122,124)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슬라이더(120)(또는 베이스프레임(110))는 베이스프레임(110)(또는 슬라이더(120)) 상에서 이탈 없이 양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다.
탄성체(130)는 슬라이더(120)의 양방향 슬라이딩이 탄성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양단 중 일단(132)은 슬라이더(120)에 결합되고, 타단(134)은 베이스프레임(110)에 결합되며, 중앙 부분에는 탄성부(136)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탄성체(130)는 외력이 작용하면 타단(134)을 기준으로 슬라이더(120)를 따라 소정 지점(일측과 타측의 거리가 짧아질 때)까지는 탄성 회전하고, 소정 지점을 지나면 탄성체(130)에 생성되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회전을 완료하면서 베이스프레임(110)과 슬라이더(120)를 반자동 슬라이딩 동작시킨다. 도면에서는 탄성체(130)의 일례로서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한국 특허등록 제721347호의 휴대폰 힌지 장치를 개시하였으나 이는 당업자가 적절히 변형 및 수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진동부재(140)는 전화 착신 신호 또는 기타 기능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하는 신호를 사용자가 진동에 의해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코인형, 원통형, 바형 등의 진동모터를 지칭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모바일 기기의 슬림화를 위해 베이스플레이트(110) 또는 슬라이더(120)의 면 상에 설치가능한 세라믹 진동부재(140)를 이용한다.The vibrating
세라믹 진동부재(140)는 전류가 인가되면 전기적 에너지가 기계적 에너지로 전환되면서 신축 작용을 하는 압전 소자를 이용한 것이다. 세라믹 진동부재는 한 쌍의 압전 소자 사이에 판형 탄성체를 설치하여, 압전 소자에 전류가 인가되면 탄성체가 상하로 진동하면서 1초에 수 만번의 진동이 발생되도록 한다. 이러한 세라믹 진동부재는 코인/원통형 진동부재에 비해 소비전력이 작을 뿐만 아니라, 두께가 0.3mm에 불과하여 공간 활용성이 매우 높다. The ceramic vibrating
세라믹 진동부재(14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110) 또는 슬라이더(120)의 면 상에 에칭 또는 프레스 방식으로 가이드홈(116)을 마련한 후, 이 가이드홈(116) 안에 설치된다.As shown in FIG. 2, the ceramic vibrating
세라믹 진동부재(140)는 가이드홈(116)에 접착 테이프(150)로 고정되며, 바람직하게는 방향부재(152)가 포함되어 있는 접착 테이프(150)를 이용한다. 따라서, 진동이 발생하면, 방향부재(152)로부터 향이 발산되면서 사용자에게 모바일 기기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촉각 및 후각적으로 전달한다. 또한, 접착 테이프(150)는 세라믹 진동부재(140)와 가이드홈(116) 사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너만 일부 접착하도록 마련된다. 접착 테이프(150)가 없는 세라믹 진동부재(140)와 가이드홈(116) 사이의 공간은 전원 인가 시 진동을 증폭시킨다. The ceramic vibrating
구체적으로 도 2에서는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중앙에 마련되는 케이블 관통홈(118) 양측에 있는 중공 사각형 형태의 가이드홈(116) 각 모서리에 세라믹 진동부재(140)를 접착 테이프(150)로 설치하고, 전원부(미도시)로부터 케이블 관통홈(118)을 통해 FPCB 케이블(미도시)로 세라믹 진동부재(140)에 전원을 인가하면, 진동과 동시에 향을 발산시키게 된다. Specifically, in FIG. 2, the ceramic vibrating
한편, 세라믹 진동부재(140)가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110)는 모바일 기기의 상하부 하우징과 직접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진동시킴으로써 진동 효과를 크게 높일 수 있다. 또한, 세라믹 진동부재(140)는 슬라이더(120)의 슬라이딩 동작에 방해되지 않도록 슬라이더 동작 시 가려지는 가림면(110a)을 회피해서 상시 노출되는 노출면(110b)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110..베이스프레임 120..슬라이더
130..탄성체 140..세라믹 진동부재
150..접착 테이프 152..방향부재110.Base frame 120.Slider
130.elastic 140.ceramic vibrating member
150.
Claims (6)
상기 베이스프레임에는 상기 진동부재를 설치하기 위한 가이드홈이 마련되고,
상기 방향부재는 진동부재와 베이스프레임을 결합시키는 접착테이프에 마련되되, 상기 접착테이프는 가이드홈의 모서리에만 설치되어 진동부재와 가이드홈 사이에 진동을 증폭시키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모바일 기기의 슬라이드 장치.A base frame, a slider provided to be slidably movable in the base frame, an elastic body connected at both ends of the base frame and the slider, a plate-shaped vibration member mounted to the base frame, and a vibration of the vibration member. It includes; a direction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vibration member and the base frame to emit a scent;
The base frame is provided with a guide groove for installing the vibration member,
The direction member is provided on the adhesive tape for coupling the vibration member and the base frame, the adhesive tape is installed only at the edge of the guide groove to form a space for amplifying vibration between the vibration member and the guide groove of the mobile device .
상기 베이스프레임은 상기 슬라이더의 동작 시 가려지는 가림면과 상시 노출되는 노출면을 구비하며,
상기 진동부재는 상기 노출면에 마련되는 모바일 기기의 슬라이드 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base frame has a shielding surface that is covered during operation of the slider and an exposed surface that is always exposed,
The vibration member is a slide device of the mobile device provided on the exposed surface.
상기 가이드홈은 에칭 방식으로 마련되는 모바일 기기의 슬라이드 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guide groove is a slide device of the mobile device is provided by the etching method.
상기 가이드홈은 프레스 방식으로 마련되는 모바일 기기의 슬라이드 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guide groove is a slide device of a mobile device that is provided by a press metho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24286A KR101185030B1 (en) | 2010-12-07 | 2010-12-07 | Slide apparatus of mobile equipment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24286A KR101185030B1 (en) | 2010-12-07 | 2010-12-07 | Slide apparatus of mobile equipment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63207A KR20120063207A (en) | 2012-06-15 |
KR101185030B1 true KR101185030B1 (en) | 2012-09-21 |
Family
ID=46683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24286A Expired - Fee Related KR101185030B1 (en) | 2010-12-07 | 2010-12-07 | Slide apparatus of mobile equipment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85030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258851A (en) | 2003-02-25 | 2004-09-16 | Citizen Watch Co Ltd | Touch panel unit |
-
2010
- 2010-12-07 KR KR1020100124286A patent/KR10118503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258851A (en) | 2003-02-25 | 2004-09-16 | Citizen Watch Co Ltd | Touch panel uni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63207A (en) | 2012-06-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236761B2 (en) | Vibrating motor | |
KR101250288B1 (en) | Haptic actuator | |
US9386367B2 (en) | Electronic apparatus with detachable speakers, a body unit and a control unit | |
JP2013131987A (en) | Electronic apparatus | |
WO2013103068A1 (en) | Electronic device | |
US20170341108A1 (en) | Linear vibration motor | |
EP2055083A2 (en) | Combination device of speaker and camera optical system | |
KR20130015342A (en) | Linear vibration device | |
US9148711B2 (en) | Micro-speaker | |
KR101797628B1 (en) | Apparatus for setting up vibration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pparatus for setting up vibration | |
US9426594B2 (en) | Miniature speaker | |
KR101468631B1 (en) | Vibrational transducer and haptic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 |
KR101664495B1 (en) | Haptic feed-back device of Mobile phone | |
US9578421B2 (en) | Miniature speaker | |
US9747762B1 (en) | Electronic device with sound generator | |
US20200153324A1 (en) | Vibration Motor | |
US9307327B2 (en) | Portable electroacoustic device | |
KR101185030B1 (en) | Slide apparatus of mobile equipments | |
KR101858969B1 (en) | Apparatus with magnetic brake for generating vibration in portable device | |
KR20130031528A (en) | Linear vibration motor | |
KR102167493B1 (en) | Actuator | |
JP2015012342A (en) | Electronics | |
KR20120063240A (en) | Mobile equipments | |
KR20210005331A (en) | Sound producing actuator | |
KR101123980B1 (en) | Vibration speak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0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2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9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9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