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3864B1 - Hub system for supporting voice/data share among wireless communication stations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Hub system for supporting voice/data share among wireless communication stations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83864B1 KR101183864B1 KR1020120001068A KR20120001068A KR101183864B1 KR 101183864 B1 KR101183864 B1 KR 101183864B1 KR 1020120001068 A KR1020120001068 A KR 1020120001068A KR 20120001068 A KR20120001068 A KR 20120001068A KR 101183864 B1 KR101183864 B1 KR 10118386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less communication
- hub system
- devices
- short
- communication device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7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6399 behavior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397 bl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194 climb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128 head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057 finger m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9 industrial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2—Inter-networking arrange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25—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implemented as integrated speech network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04W84/20—Leader-follower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선통신 기기들 간의 음성이나 데이터의 공유를 지원하기 위한 허브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헬멧(안전모)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무선 헤드셋 등 3대 이상의 다양한 무선 기기간에 음성이나 데이터가 실시간 공유되도록 지원할 수 있는 허브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ub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the sharing of voice or data betwe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and more particularly, to voice or data between three or more various wireless devices such as a wireless headset attached to a helmet (ha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ub system and a method for supporting real time sharing.
무선통신 기기들 간에 음성이나 데이터를 주고 받는 많은 기술이 있다. 예를 들어, 무전기나 무선 헤드셋 등을 통해 양자 간에 음성 통화 교신을 하거나, 이동 통신 단말기 등 단말기들 간에 음성 통화 교신을 하거나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There are many technologies for exchanging voice and data betwe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For example, a voice call can b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through a radio or a wireless headset, or a voice call can be communicated or data can be exchanged between terminals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최근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나 인터넷 단말 등을 이용해 3자 이상이 원격 회의를 하거나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었지만, 일정 거리 이내에서 교신하는 수단을 이용하여 3자 이상이 음성이나 데이터를 공유하여 주고 받기 위하여 이러한 기술을 이용하기에는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Recently, a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in whic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n internet terminal can be used for at least three parties to conduct a remote conference or share data.However, at least three persons can share a voice or data using a means of communication within a certain distance. There is a costly problem in using such a technique to send and receive.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헬멧(안전모)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무선 헤드셋 등 일정 거리 이내에서 교신하는 3대 이상의 다양한 무선 기기간에 음성이나 데이터가 실시간 공유되도록 지원할 수 있는 허브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real-time voice or data between three or more various wireless devices that communicate within a certain distance, such as a wireless headset attached to the helmet (hat) It is to provide a hub system and a method capable of supporting sharing.
먼저, 본 발명의 특징을 요약하면,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등록된 무선 통신 기기 간의 일정 거리 내에서의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허브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 통신용 RF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3이상의 무선 통신 기기들에 대한 무선 통신용 고유 코드의 등록을 수행하는 허브 제어기; 및 등록된 상기 무선 통신 기기들의 고유 코드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 기기들 중 어느 하나에서 고유 코드와 함께 발신하는 음성 정보 또는 데이터 패킷이 포함된 RF 신호를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허브 제어기는, 수신된 해당 고유 코드의 등록 여부를 인증하여, 상기 무선 통신 기기들 중 2 이상의 나머지 기기들이 상기 음성 정보 또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나머지 기기들에 대해 등록된 고유 코드와 함께 상기 음성 정보 또는 데이터 패킷이 포함된 RF 신호를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송신하되, 상기 무선 통신 기기들의 마이크와 스피커를 이용한 3 이상의 다자간 음성 통화 또는 상기 무선 통신 기기들의 데이터 통신으로 3 이상의 다자간 데이터 공유를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First, to summarize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ccordance with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ub system for support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in a certain distance between the register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F signals for wireless communication; A hub controller for performing registration of a unique code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t least thre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And a memory storing unique codes of the register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and receiving,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 RF signal including voice information or a data packet transmitted from on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together with the unique code. The hub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authenticate the registration of the received unique code so that two or more remaining device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receive the voice information or data packet. The RF signal including the voice information or the data packet together with the unique code is transmitt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 three or more multiparty voice calls using the microphone and the speaker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or the data communic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are three or more. It is characterized by multi-party data sharing.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허브 시스템을 이용해 등록된 무선 통신 기기 간의 일정 거리 내에서의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허브 시스템에서 3이상의 무선 통신 기기들에 대한 무선 통신용 고유 코드의 등록을 수행하고, 상기 허브 시스템은, 상기 무선 통신 기기들 중 어느 하나에서 고유 코드와 함께 발신하는 음성 정보 또는 데이터 패킷이 포함된 RF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해당 고유 코드의 등록 여부를 인증하여, 상기 무선 통신 기기들 중 2 이상의 나머지 기기들이 상기 음성 정보 또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나머지 기기들에 대해 등록된 고유 코드와 함께 상기 음성 정보 또는 데이터 패킷이 포함된 RF 신호를 송신하되, 상기 무선 통신 기기들의 마이크와 스피커를 이용한 3 이상의 다자간 음성 통화 또는 상기 무선 통신 기기들의 데이터 통신으로 3 이상의 다자간 데이터 공유를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for support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registered using a hub system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three or mor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in the hub system Registering a unique code, the hub system receives an RF signal including voice information or data packets transmitted from on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with the unique code, and whether the received unique code is registered An RF signal containing the voice information or data packet with a unique code registered for the remaining devices so as to authenticate two or mor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to receive the voice information or data packet. 3 or more using a microphone and a speaker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Liver characterized in that for a voice call, or more than 3 share conference data to a data communic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상기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 지그비,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등 다양한 통신 방식일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may be various communication schemes such as Bluetooth, Zigbee, or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상기 무선 통신 기기들은 각각 상기 허브 시스템과 무선 통신하는 방식과 동일한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전자기기와 연동하며,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을 위한 키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키입력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키입력 수단을 통해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을 위한 키입력을 상기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Each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interoperates with an electronic device in the sam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s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with the hub system, and includes one or more key input means corresponding to a key for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The key input for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can be transmitt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상기 무선 통신 기기들 중 어느 하나라도 상기 허브 시스템에 마스터로 등록되고, 나머지는 슬레이브로 등록되며, 상기 허브 시스템은 전자기기의 동작을 위한 키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키입력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키입력 수단을 통해 직접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을 위한 키입력을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키입력 수단을 통해 생성된 신호가 무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마스터의 중계부로 전달된 후 상기 마스터의 중계부를 통해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을 위한 키입력을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Any on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is registered as a master in the hub system, the other is registered as a slave, and the hub system includes one or more key input means corresponding to a key for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key The key input for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is directly transmitted through an input means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or the signal generated through the key input means is transmitted to the relay part of the master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then through the relay part of the master. The key input for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may be transmitted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상기 허브 시스템은 상기 슬레이브로 등록된 무선 통신 기기의 상태를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표시하거나, 키입력 수단의 동작에 따라 상기 마스터의 스피커를 통해 상기 슬레이브로 등록된 무선 통신 기기의 상태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The hub system may display the stat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registered as the slave as a display means, or output the stat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registered as the slave through the speaker of the master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key input means. have.
상기 허브 시스템은 다른 키입력 수단의 동작에 따라 상기 슬레이브로 등록된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기기의 동작 또는 동작 중지를 제어할 수 있다.The hub system may control the operation or stop of operation of one or mor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registered as the slave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other key input means.
상기 키입력 수단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버튼, 음성 인식을 통해 동작하는 센서, 또는 사용자의 행동을 인식하는 센서를 통해 동작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The key input means may generate an operation signal through a button operated by a user, a sensor operated through voice recognition, or a sensor recognizing a user's behavior.
본 발명에 따른 허브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헬멧(안전모)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무선 헤드셋 등 일정 거리 이내에서 교신하는 3대 이상의 다양한 무선 기기간에 음성이나 데이터가 실시간 공유되도록 지원할 수 있으므로, 택배 운전, 건축 작업장 등 산업현장이나 자전거, 암벽등반, 패러글라이딩과 같은 레저 활동을 하는 그룹 내의 무선 기기를 소지한 자들 간에 저렴한 비용으로 작업지시 및 업무를 공유하기 편리하며, 또한, 무선 기기 또는 허브 시스템을 이용해 이와 연동되는 MP3 플레이어, 스마트폰 등 전자기기의 작동을 위한 키입력이 자유로와 양손이 자유롭지 않은 상황에서 작업효율을 높이고 안전성을 유지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hub system and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real-time sharing of voice or data between three or more various wireless devices that communicate within a certain distance, such as a wireless headset attached to the helmet (safety helmet), driving home delivery It is convenient to share work orders and tasks at low cost among those who possess wireless devices in groups such as industrial construction sites, construction sites, and leisure activities such as bicycles, rock climbing, paragliding, etc. By using it, the key input for the operation of electronic devices such as MP3 players and smartphones can be freely used and both hands can be freely used to increase work efficiency and maintain safety.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허브 시스템을 포함한 무선 통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헬멧에 장착된 무선 통신 기기의 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허브 시스템을 포함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에 구비된 버튼의 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허브 시스템을 포함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허브 시스템에 구비된 버튼의 예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 hub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ampl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mounted to a helmet.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 hub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ample of a button provide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 hub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ample of a button provided in the hub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like elements throughout.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허브 시스템(110)을 포함한 무선 통신 시스템(1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허브 시스템(110), 허브 시스템(110)과 일정 거리 내에서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동하여 음성이나 데이터를 공유하는 3 이상의 무선 통신 기기(120, 130)을 포함하고, 무선 통신 기기(120, 130)는 각각 허브 시스템(110)과 무선 통신하는 방식과 동일한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전자기기와도 연동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W/C, Wireless Communication)은, 블루투스, 지그비,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등 이동통신 기지국 등의 지원없이도 일정 거리(예, 5km) 내에서 근거리 통신할 수 있는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 방식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기존에는 무전기, 인터컴, 또는 무선 헤드셋 등을 통해 양자 간에 음성 통화 교신을 할 수 있었지만, 일정 거리 이내의 무선 통신으로 3 이상의 다자간 음성 통화가 공유되도록 하는 기술은 없었다. 본 발명에서는 허브 시스템(110)을 통해 마이크(M)와 스피커(S)를 구비한 3 이상의 무선 통신 기기들(120, 130)이 서로 다자간 실시간 음성 통화가 공유되도록 지원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기존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들 간에 데이터를 공유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지만, 일정 거리 이내의 무선 데이터 통신으로 3 이상의 다자간 데이터 공유를 위한 기술은 없었다. 본 발명에서는 허브 시스템(110)을 통해 위와 같은 무선 통신으로 3 이상의 무선 통신 기기들(120, 130)이 서로 다자간 데이터 공유를 위해서도 적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공유되는 데이터는 파일 형태, 또는 스트리밍 형태의 데이터 패킷으로서, 문서, 이미지, 동영상, 음악 등 디지털 멀티미디어 데이터일 수 있다. Previously, voice calls could b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through radios, intercoms, or wireless headsets, but there was no technology for sharing three or more multiparty voice calls within a certain distance. In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예를 들어, 무선 통신 기기들(120, 130)은 도 2와 같이 무선 헤드셋 형태로 헬멧(안전모)에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택배 운전, 건축 작업장 등 산업현장이나 자전거, 암벽등반, 패러글라이딩과 같은 레저 활동을 하는 그룹 내의 사용자들이 무선 통신 기기(120, 130)를 소지할 수 있으며 무선 통신 기기(120, 130)를 소지한 자들 간에 음성 통화나 데이터 공유를 통해 저렴한 비용으로 작업지시 및 업무를 공유하기 편리하게 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위와 같은 작업장이나 레저 활동 시에 양손이 자유롭지 않은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MP3 플레이어, 스마트폰 등 소지하고 있는 전자기기를 자유롭게 동작 시킬 수 없다. 종래에는 위와 같이 양손이 자유롭지 않은 상황에서 무전기, 인터컴, 또는 무선 헤드셋 등을 통해 교신하면서 이러한 기기를 이용해 전자기기를 동작시킬 수 없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무선 통신 기기(120, 130)가 각각이 도 3과 같이 음성이나 데이터 공유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선 통신으로 사용자가 소지한 전자기기를 무선 제어할 수 있도록 하였다. In the workplace or leisure activities as described above, a situation in which both hands are not free may occur. Accordingly, the user may not freely operate an electronic device possessed by an MP3 player or a smartphone. Conventionally, in the situation where both hands are not free as described above, it was not possible to operate the electronic device using such a device while communicating through a radio, an intercom, or a wireless headse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예를 들어, 무선 통신 기기(120, 130)는 도 4와 같이 사용자가 소지한 전자기기를 무선 제어할 수 있는 다양한 버튼들(도 1에서 B로 표시됨)을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가 무선 통신 기기(120, 130)를 이용해 무선 제어하기 위한 버튼(B)으로서, MP3 플레이어의 동작, 정지, 일시정지, 다음곡, 이전곡 등의 기능 동작을 위한 키에 대응되는 버튼들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무선 통신 기기(120, 130)에서의 버튼의 조작에 따라 해당 전자기기의 동작을 위한 키입력이 무선 통신 방식으로 이루어져, 해당 전자기기의 해당 기능 동작을 수행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MP3 플레이어의 동작으로 음악이 선곡되어 재생될 수 있으며, 정지, 일시정지 등의 버튼 선택으로 해당 기능의 동작이 무선제어 가능하고 다음곡, 이전곡 등의 버튼 선택으로 해당 기능의 동작이 무선제어 가능하다. 여기서, MP3 플레이어를 예로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무선 통신 기기(120, 130)에서의 버튼의 조작에 따라,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왑폰(WAP phone: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phone), 모바일 게임기(mobile play-station), 기타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 휴대 단말의 통화 키, 재생 키, 녹음 키 등을 동작시킬 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노트북 PC, 데스크탑 PC, 팜 PC(Palm Personal Computer) 등이나, 경우에 따라 다른 가정용 또는 산업용 다양한 전기 전자 기기에 구비된 키 입력을 무선 통신 기기(120, 130)가 대신하도록 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이와 같이 무선 통신 기기(120, 130)에서의 무선 제어로 동작되는 전자기기의 동작 시에 해당 전자기기의 음성 출력은 무선 통신으로 무선 통신 기기(120, 130)에 전송되어, 무선 통신 기기(120, 130)에 구비된 스피커(S)를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스피커(S)의 출력은 무선 통신 기기(120, 130)에 구비된 볼륨 버튼(도 4 참조)을 통하여 음량이 조절될 수 있다. 도 1과 같이, 허브 시스템(110)은 위와 같은 3 이상의 무선 통신 기기(120, 130) 간의 음성이나 데이터 공유를 지원하기 위하여, 무선 통신용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W/C, Wireless Communication), 3이상의 무선 통신 기기들(120, 130)에 대한 무선 통신용 고유 코드의 등록을 수행하는 허브 제어기(112), 및 등록된 무선 통신 기기들(120, 130)의 고유 코드를 저장하는 메모리(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As such, when the electronic device operates under the wireless control of the
블루투스, 지그비,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등 무선 통신을 위하여 무선 통신 기기들(120, 130)과 허브 시스템(110)은 각각 무선 통신용 고유 코드를 관리하며,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제1 무선 통신 기기(#1)에서 관리되는 무선 통신용 고유 코드와 함께 위와 같은 음성 정보(예, 음성 통화 정보) 또는 데이터 패킷(예, 파일 또는 스트리링 데이터 형태)이 포함된 RF 신호를 발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허브 시스템(110)의 무선 통신부(W/C)가 해당 RF 신호를 수신하고, 허브 제어기(112)는 메모리를 참조해 무선 통신부(W/C)를 통해 수신된 해당 고유 코드의 등록 여부를 인증하여, 무선 통신 기기들 중 2 이상의 나머지 기기들(예, 도 3에서 #2, #3)이 제1 무선 통신 기기(#1)에서 수신된 음성 정보 또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나머지 기기들(예, 도 3에서 #2, #3)에 대해 등록된 고유 코드와 함께 해당 음성 정보 또는 데이터 패킷이 포함된 RF 신호를 무선 통신부(W/C)를 통해 송신할 수 있다(S10).For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Zigbee, or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communication, the
마찬가지로, 제2 무선 통신 기기(#2)도 위와 같은 음성 정보 또는 데이터 패킷을 허브 시스템(110)으로 전송하고 허브 시스템(110)이 이를 제1 무선 통신 기기(#1)와 제3 무선 통신 기기(#3)로 전송하여 공유되도록 할 수 있으며(S20), 제3 무선 통신 기기(#3)도 위와 같은 음성 정보 또는 데이터 패킷을 허브 시스템(110)으로 전송하고 허브 시스템(110)이 이를 제1 무선 통신 기기(#1)와 제2 무선 통신 기기(#2)로 전송하여 공유되도록 할 수 있다(S30).Similarly, the second wireless
한편, 위와 같이, 사용자 또는 제조사가 3이상의 무선 통신 기기들(120, 130)에 대한 무선 통신용 고유 코드의 등록 설정을 통하여, 허브 제어기(112)가 이들의 등록을 수행함으로써 메모리(도시되지 않음)에 해당 무선 통신 기기들(120, 130)의 고유 코드를 등록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도 5와 같이, 사용자 또는 제조사는 허브 시스템(110)과 연동하는 무선 통신 기기들 중 어느 하나(130)를 지정하여 마스터로 등록하고, 나머지는 슬레이브(120)로 등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허브 제어기(112)가 이들의 등록을 수행함으로써 메모리(도시되지 않음)에 해당 무선 통신 기기들의 고유 코드를 마스터/슬레이브로 구분하여 등록 저장할 수 있다(S50).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user or manufacturer through the registration setting of the unique code for wireless communication for the three or mor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120, 130), the
이에 따라, 허브 시스템(110)과 연동하는 무선 통신 기기들 중 어느 하나를 소지하는 사용자 중 마스터 기기(130)를 소지한 자는, 도 4와 같이 마스터 기기에 구비된 다양한 버튼들(도 1에서 B로 표시됨)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소지한 전자기기를 무선 제어할 수도 있지만, 도 6과 같이, 허브 시스템(110)에 구비된 다양한 버튼들(도 1에서 HB로 표시됨)을 이용하여도 사용자가 소지한 전자기기를 무선 제어할 수도 있다.Accordingly, a person possessing the
예를 들어, 마스터 기기(130)가 무선 헤드셋인 경우에, 도 2와 같이 헬멧 등에 부착되어 사용되면, 운전 중이나 작업 중 등의 경우에 마스터 기기(130)에 구비된 버튼(B)의 조작이 쉽지 않을 수 있으므로, 마스터 기기(130)의 사용자는 위와 같은 허브 시스템(110)을 함께 소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마스터 기기(130)의 사용자는 사용자의 주머니, 팔찌, 허리띠 등에 장착한 허브 시스템(110)을 이용하여 전자기기의 무선 제어를 더욱 손쉽게 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
사용자는 마스터 무선 통신 기기(130)에 구비된, 전자기기(예, MP3 플레이어)의 무선 제어용 버튼(B)을 이용해 전자기기(예, MP3 플레이어)의 동작, 정지, 일시정지, 다음곡, 이전곡 등의 기능 동작을 위한 신호를 발생시켜, 블루투스, 지그비 등의 무선 통신 방식으로 해당 제어 신호를 전자기기(예, MP3 플레이어)로 전송하여 전자기기(예, MP3 플레이어)의 해당 동작을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6과 같이, 허브 시스템(110)에 구비된 다양한 버튼들(도 1에서 HB로 표시됨)을 이용하여도 사용자가 소지한 전자기기를 무선 제어할 수도 있다. 허브 시스템(110)에 구비된 다양한 버튼들(도 1에서 HB로 표시됨)은 무선 통신 기기에 구비되는 버튼(B)과 동일할 수도 있지만, 이외에도 전자기기(예, MP3 플레이어)의 기능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다른 버튼들을 더 구비할 수 있다. The user operates, stops, pauses, next songs, and previouss the electronic device (e.g., MP3 player) using the button B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e.g., MP3 player) of the electronic device (e.g., MP3 player). By generating a signal for operating a function such as a song,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an electronic device (eg, an MP3 player)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Bluetooth, Zigbee, etc. to control the corresponding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eg, an MP3 player). 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various buttons (indicated by HB in FIG. 1) provided in the
예를 들어, 사용자가 허브 시스템(110)에 구비된, 전자기기(예, MP3 플레이어)의 무선 제어용 버튼(HB)을 이용해 전자기기(예, MP3 플레이어)의 동작, 정지, 일시정지, 다음곡, 이전곡 등의 기능 동작을 위한 신호를 발생시켜, 블루투스, 지그비 등의 무선 통신 방식으로 해당 제어 신호를 전자기기(예, MP3 플레이어)로 직접 전송하여 전자기기(예, MP3 플레이어)의 해당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외에도, 허브 시스템(110)에서 발생한 전자기기(예, MP3 플레이어) 제어 신호는 마스터 무선 통신 기기(130)의 중계부(도 1에서 R)를 통하여 전자기기(예, MP3 플레이어)로 무선 전송함으로써 해당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S60). 무선 통신 기기들은 설정에 따라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기기로 언제든지 변경될 수 있으므로 도 1에 표시하지 않았지만 마스터 이외에 모든 무선 통신 기기들이 위와 같은 중계부(R)를 구비할 수 있다. 즉, 허브 시스템(110)의 버튼(HB)의 조작에 따른 신호가 무선 통신 방식으로 마스터(130)의 중계부(R)로 전달된 후 마스터(130)의 중계부(R)를 통해 전자기기(예, MP3 플레이어)의 동작을 위한 키입력이 무선 통신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에도 허브 시스템(110)에서의 무선 제어로 동작되는 전자기기의 동작 시에 해당 전자기기의 음성 출력(음악 소리, 휴대폰 통화 소리 등)은 무선 통신으로 마스터 무선 통신 기기(130)에 전송되어, 마스터 무선 통신 기기(130)에 구비된 스피커(S)를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스피커(S)의 출력은 마스터 무선 통신 기기(130)에 구비된 볼륨 버튼을 통하여 음량이 조절될 수 있다. For example, a user operates, stops, pauses, or plays the next piece of electronic device (eg, an MP3 player) using a button HB of the electronic device (eg, an MP3 player) provided in the
도 6과 같이, 허브 시스템(110)에는 위와 같이 슬레이브로 등록된 무선 통신 기기(12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예, LED, LCD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허브 시스템(110)에 구비된 소정 버튼의 조작에 따라 마스터(130)의 스피커(S)를 통해 슬레이브로 등록된 무선 통신 기기(120)의 동작 상태를 음성으로 출력(예, "현재 연결된 무선 통신기기는 #1, #2, #3입니다")하도록 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기기(120)의 동작 상태는 현재 허브 시스템(110)과 통신 연결이 원활한 지 여부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the
또한, 도 6과 같이 허브 시스템(110)에 구비된 소정 버튼의 조작에 따라 슬레이브(120)로 등록된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기기의 동작 또는 동작 중지를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허브 시스템(110)을 소지한 사용자는 슬레이브로 등록된 무선 통신 기기의 공유를 제한하고자 하는 경우에, 간단히 해당 무선 통신 기기에 대응된 허브 시스템(110) 상의 버튼을 눌러 해당 무선 통신 기기에 대하여는 더 이상 공유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때에는 허브 시스템(110)의 무선 통신 기기(12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예, LED, LCD 등)에는 해당 무선 통신 기기의 연결이 되지 않았다는 표시로서 LED를 오프하거나 LCD 상에 해당 기기에 대응된 부분의 표시를 텍스트 또는 기타 태그 형태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6, an operation or an operation stop of one or mor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registered as the
여기서, 무선 통신 기기(120, 130)에 구비되는 키입력 수단(B)과 허브 시스템(110)에 구비되는 키입력 수단(HB)을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버튼인 것으로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키입력 수단으로서 음성 인식을 통해 동작하는 센서, 또는 사용자의 행동을 인식하는 센서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해당 동작을 위한 신호가 발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Here, the key input means (B) provided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20, 130) and the key input means (HB) provided in the hub system (110)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button operated by a user, but as described above As a key input means, a sensor operating through voice recognition, a sensor recognizing a user's behavior, or the like may be used, and through this, a signal for a corresponding operation may be generated.
예를 들어, 택배 운전, 건축 작업장 등 산업현장이나 자전거, 암벽등반, 패러글라이딩과 같은 레저 활동을 하는 그룹 내의 사용자들이, 무선 통신 기기(120, 130) 또는 허브 시스템(110)에 음성(예, 켜, 꺼, 다음, 이전 등)을 입력하면 구비된 음성 인식 센서가 해당 동작 신호(예, 디지털 값)를 발생시켜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버튼을 누르는 것과 같은 기능을 실현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users in an industrial site such as courier driving, a construction workshop, or a group of people engaged in leisure activities such as bicycles, rock climbing, paragliding, or the like, may use voice (eg, When inputting on, off, next, previous, etc., the equipped voice recognition sensor may generate a corresponding operation signal (eg, a digital value) to realize a function such as pressing a button as described above.
또는, 사용자가 손/손가락, 발, 머리 또는 헬멧 등에 무선 통신 기기(120, 130) 또는 허브 시스템(110)을 장착하고, 사용자가 손으로 8자를 그리거나, 발로 차는 행동을 하거나, 머리를 끄떡거릴 때 행동 인식을 위한 자이로 센서 등을 통해 켜기, 끄기, 다음곡, 이전곡 등에 대한 버튼을 누르는 것과 같은 해당 동작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키입력을 위한 사용자의 행동은, 사용자의 손이나 손가락의 움직임으로서, 원 그리기, 8자 그리기, 기타 텍스트나 기호를 그리기 등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발의 움직임으로서, 차기, 원 그리기, 8자 그리기, 기타 텍스트나 기호를 그리기 등일 수 있고, 사용자의 머리의 움직임으로서, 상하 끄덕이기, 가로 젓기 등일 수 있다.Alternatively, the user attaches the
또한, 사용자가 헬멧 등에 무선 통신 기기(120, 130) 또는 허브 시스템(110)을 장착하고, 사용자가 눈을 감고 뜨는 등의 행동을 이미지 센서 등을 통해 인식하여, 버튼을 누르는 것과 같은 해당 동작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때의 키입력을 위한 사용자의 행동은, 오른쪽 눈이 깜박임, 왼쪽 눈이 깜박임, 양쪽 눈이 깜박임 등과 이들의 연속 동작 등일 수 있다.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In addition, a user attaches the
허브 시스템(110)
허브 제어기(112)
무선 통신(W/C, Wireless Communication)
마이크(M)
스피커(S)
버튼(B/HB)
무선 통신 기기(120/130)Hub system (110)
Hub controller (112)
Wireless communication (W / C)
Microphone (M)
Speaker (S)
Button (B / HB)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20/130)
Claims (8)
근거리 무선 통신용 RF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마이크와 스피커를 구비하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용인 3이상의 무선 통신 기기들에 대한 무선 통신용 고유 코드의 등록을 수행하는 허브 제어기; 및 등록된 상기 무선 통신 기기들의 고유 코드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 기기들 중 어느 하나에서 고유 코드와 함께 발신하는 음성 정보 또는 데이터 패킷이 포함된 RF 신호를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허브 제어기는, 수신된 해당 고유 코드의 등록 여부를 인증하여, 상기 무선 통신 기기들 중 2 이상의 나머지 기기들이 상기 음성 정보 또는 상기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나머지 기기들에 대해 등록된 고유 코드와 함께 상기 음성 정보 또는 데이터 패킷이 포함된 RF 신호를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송신하되,
상기 음성 정보에 대한 상기 무선 통신 기기들 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지원으로 각각의 마이크와 스피커를 통한 3 이상의 다자간 음성 통화를 지원하거나,
상기 데이터 패킷에 대한 상기 무선 통신 기기들 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지원으로 다자간 디지털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공유를 지원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 시스템.A hub system for supporting multi-party communication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possessed by three or more users, and supported by any one of the user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 RF signal for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 hub controller configured to register a unique code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respect to three or mor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f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having a microphone and a speaker; And a memory storing unique codes of the register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Receives an RF signal including voice information or a data packet transmitted from on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together with a unique cod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e hub controller is configured to authenticate the registration of the received unique code so that two or more remaining device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receive the voice information or the data packet. Transmitting the RF signal including the voice information or data packet together with a cod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 or more multi-way voice call through each microphone and speaker to support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for the voice information,
Hub system for supporting multi-party digital multimedia data sharing by support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for the data packet.
상기 허브 시스템에서, 마이크와 스피커를 구비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용인 3이상의 무선 통신 기기들에 대한 무선 통신용 고유 코드의 등록을 수행하고,
상기 허브 시스템은, 상기 무선 통신 기기들 중 어느 하나에서 고유 코드와 함께 발신하는 음성 정보 또는 데이터 패킷이 포함된 근거리 무선 통신용 RF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해당 고유 코드의 등록 여부를 인증하여, 상기 무선 통신 기기들 중 2 이상의 나머지 기기들이 상기 음성 정보 또는 상기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나머지 기기들에 대해 등록된 고유 코드와 함께 상기 음성 정보 또는 데이터 패킷이 포함된 RF 신호를 송신하되,
상기 음성 정보에 대한 상기 무선 통신 기기들 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지원으로 각각의 마이크와 스피커를 통한 3 이상의 다자간 음성 통화를 지원하거나,
상기 데이터 패킷에 대한 상기 무선 통신 기기들 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지원으로 다자간 디지털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공유를 지원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Supports multi-party communication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in a certain distance betwe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possessed by three or more users through a hub system, but any one of the users possesses the hub system to support the multi-party communication As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for
In the hub system, registration of a unique code for wireless communication for at least thre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f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having a microphone and a speaker,
The hub system receives an RF signal for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cluding voice information or a data packet transmitted from on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together with a unique code,
The voice together with the unique code registered for the remaining devices in order to authenticate whether or not the corresponding unique code is received, so that two or more remaining device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receive the voice information or the data packet. Transmit an RF signal containing information or data packets,
3 or more multi-way voice call through each microphone and speaker to support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for the voice information,
And supporting multi-party digital multimedia data sharing by support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for the data packet.
상기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 지그비,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The method of claim 2,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may include Bluetooth, ZigBee, or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상기 허브 시스템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하나 이상의 키입력에 따라 해당 기능의 동작을 수행하는 다른 전자기기와 연동하고,
상기 허브 시스템은 상기 다른 전자기기의 동작을 위한 키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키입력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키입력 수단을 통해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을 위한 키입력을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The method of claim 2,
The hub system is interlocked with another electronic device that performs an operation of a corresponding function according to one or more key inputs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he hub system includes one or more key input means corresponding to a key for the operation of the other electronic device, and transmits the key input for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in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hrough the key input mean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상기 무선 통신 기기들 중 어느 하나라도 상기 허브 시스템에 마스터로 등록되고, 나머지는 슬레이브로 등록되며,
상기 키입력 수단을 통해 생성된 신호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마스터로 등록된 마스터 무선 통신 기기의 중계부로 전달된 후 상기 마스터 무선 통신 기기의 중계부를 통해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을 위한 키입력을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ny on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is registered as a master in the hub system, and the other is registered as a slave,
The signal generated by the key input means is transmitted to the relay unit of the maste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registered as the master in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then the key input for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is performed through the relay unit of the maste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characterized by transmitt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상기 허브 시스템은 상기 슬레이브로 등록된 무선 통신 기기의 상태를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표시하거나, 상기 키입력 수단의 동작에 따라 상기 마스터 무선 통신 기기의 스피커를 통해 상기 슬레이브로 등록된 무선 통신 기기의 상태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The method of claim 5,
The hub system displays the stat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registered as the slave by a display means, or voices the stat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registered as the slave through a speaker of the maste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key input mean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put.
상기 허브 시스템은 다른 키입력 수단의 동작에 따라 상기 슬레이브로 등록된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기기의 동작 또는 동작 중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The method of claim 5,
And the hub system controls an operation or an operation stop of at least on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registered as the slav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another key input means.
상기 키입력 수단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버튼, 음성 인식을 통해 동작하는 센서, 또는 사용자의 행동을 인식하는 센서를 통해 동작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4 to 7,
And the key input means generates an operation signal through a button operated by a user, a sensor operated through voice recognition, or a sensor recognizing a user's behavio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01068A KR101183864B1 (en) | 2012-01-04 | 2012-01-04 | Hub system for supporting voice/data share among wireless communication stations and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01068A KR101183864B1 (en) | 2012-01-04 | 2012-01-04 | Hub system for supporting voice/data share among wireless communication stations and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83864B1 true KR101183864B1 (en) | 2012-09-19 |
Family
ID=47113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01068A Expired - Fee Related KR101183864B1 (en) | 2012-01-04 | 2012-01-04 | Hub system for supporting voice/data share among wireless communication stations and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83864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097377A1 (en) * | 2016-11-28 | 2018-05-31 | 조선대학교 산학협력단 | Personal cloud speaker |
KR101874437B1 (en) | 2016-12-14 | 2018-07-05 | (주)헬스원 | Plural wireless devices and communication used in the sam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80694A (en) | 2002-08-22 | 2004-03-11 | Toshiba Corp | Voice transmission system |
JP2005516557A (en) | 2002-01-30 | 2005-06-02 | モトローラ・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Video conferencing system and operation method |
JP2010050695A (en) * | 2008-08-21 | 2010-03-04 | Nittetsu Elex Co Ltd | Communication system |
-
2012
- 2012-01-04 KR KR1020120001068A patent/KR10118386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516557A (en) | 2002-01-30 | 2005-06-02 | モトローラ・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Video conferencing system and operation method |
JP2004080694A (en) | 2002-08-22 | 2004-03-11 | Toshiba Corp | Voice transmission system |
JP2010050695A (en) * | 2008-08-21 | 2010-03-04 | Nittetsu Elex Co Ltd | Communication system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097377A1 (en) * | 2016-11-28 | 2018-05-31 | 조선대학교 산학협력단 | Personal cloud speaker |
KR101874437B1 (en) | 2016-12-14 | 2018-07-05 | (주)헬스원 | Plural wireless devices and communication used in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24481B1 (en) | The Portable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The Smart Watch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CN103634205B (en) | The vehicle entertainment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instant messaging/social networking application | |
US9729687B2 (en) | Wearable communication device | |
US9667765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laying data communications in a Bluetooth network | |
JP5661935B2 (en) | Method and wearable device for user | |
US20160198319A1 (en) |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vely coupling a wearable computer with one or more non-wearable computers | |
CN104394500B (en) | The method and device of terminal is found using wearable device | |
KR101183737B1 (en) | A multi earphone device capable recognizing actions and a method of recognizing actions thereof | |
JP2015041829A (en) | Communication system | |
KR101237947B1 (en) | Hand Fre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Electric/Electronic Device Based on Recognition of User Movement | |
KR20090032210A (en) | Portable terminal with Bluetooth module and Bluetooth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 |
CN106970699A (en) | Method for controlling volume, system, Wearable and terminal | |
US20120244803A1 (en) |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 |
KR101183864B1 (en) | Hub system for supporting voice/data share among wireless communication stations and method thereof | |
JP2014204429A (en) | Voice dialogue method and apparatus using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 |
CN106412810B (en) |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 |
KR20150009072A (en) |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ng mode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 |
CN104281431B (en) | The method and device that audio plays | |
CN106371632B (en) | A kind of intelligent wearable device | |
CN106125881B (en) |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working condition | |
KR20070013069A (en) | Character interworking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same | |
KR102521821B1 (en) | Unmanned terminal controller for a blind person | |
KR101076500B1 (en) | A method and a apparatus of communication at local area for mobile phone | |
KR20110040500A (en) | Portable terminal connectable by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with audio output device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 |
CN102932509B (en) | Electronic terminal with dynamic adjustment ke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0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2010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0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3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61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9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9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1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7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17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0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