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3476B1 - Inputting device of touch-screen, signal inputting method for electric device with the same, and signal inputting system for electric device with the same - Google Patents
Inputting device of touch-screen, signal inputting method for electric device with the same, and signal inputting system for electric device with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83476B1 KR101183476B1 KR1020110017713A KR20110017713A KR101183476B1 KR 101183476 B1 KR101183476 B1 KR 101183476B1 KR 1020110017713 A KR1020110017713 A KR 1020110017713A KR 20110017713 A KR20110017713 A KR 20110017713A KR 101183476 B1 KR101183476 B1 KR 10118347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uch screen
- conductive
- input device
- click button
- conductive memb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357 flat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41 sensory perception of touc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도성 클릭 버튼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 전도성 클릭 버튼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가 포함된 전자기기 신호 입력 시스템 및 전도성 클릭 버튼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가 포함된 전자기기 신호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터치스크린의 인터페이스 유연성(inflexibility)을 해치지 않으면서, 시각 자유 인터렉션이 가능하도록 터치스크린에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흡착하는 전도성 클릭 버튼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 전도성 클릭 버튼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가 포함된 전자기기 신호 입력 시스템 및 전도성 클릭 버튼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가 포함된 전자기기 신호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uch screen input device using a conductive click button, an electronic signal input system including a touch screen input device using a conductive click button, and an electronic signal input method including a touch screen input device using a conductive click button. As such, a touch screen input device using a conductive click button, which is directly adsorbed by the user on the touch screen, and a touch screen input device using a conductive click button without compromising the interface flexibility of the touch screen are provid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signal input method including an electronic signal input system and a touch screen input device using a conductive click butt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도성 클릭 버튼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 전도성 클릭 버튼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가 포함된 전자기기 신호 입력 시스템 및 전도성 클릭 버튼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가 포함된 전자기기 신호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터치스크린의 인터페이스 유연성(inflexibility)을 해치지 않으면서, 시각 자유 인터렉션이 가능하도록 터치스크린에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흡착하는 전도성 클릭 버튼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 전도성 클릭 버튼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가 포함된 전자기기 신호 입력 시스템 및 전도성 클릭 버튼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가 포함된 전자기기 신호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uch screen input device using a conductive click button, an electronic signal input system including a touch screen input device using a conductive click button, and an electronic signal input method including a touch screen input device using a conductive click button. As such, a touch screen input device using a conductive click button, which is directly adsorbed by the user on the touch screen, and a touch screen input device using a conductive click button without compromising the interface flexibility of the touch screen are provid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signal input method including an electronic signal input system and a touch screen input device using a conductive click button.
최근 연구에 따르면 모바일 환경에서 소프트 키보드를 이용한 텍스트 입력시(text entry) 촉각 피드백을 사용하였을 때, 사용하지 않았을 때보다 입력 정확도(Accuracy)와 평균 속도(Average Time)가 상승하는 것을 실험을 통해 증명하였다.Recent studies have demonstrated through experiments that when using tactile feedback with soft keyboards in mobile environments, the input accuracy and average time are higher than when not used. It was.
물리적 버튼은 직관적 촉각단서(clue)를 통해 시각-자유 인터렉션(Vision-free interaction)을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인터페이스의 형태가 고정되어 있다는 단점 때문에 현재는 터치스크린 기술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의 터치스크린 기술은 평평한 유리막을 이용한 인터렉션 방법만을 제공하여 그 촉각적 표현이 낮다. 따라서 이를 통해서는 시각-자유 인터렉션(Vision-free interaction)을 제공할 수 없다. Physical buttons can provide vision-free interaction through intuitive clues. However, touch screen technology is widely used because of the disadvantage of fixed interface. However, current touch screen technology provides only an interaction method using a flat glass film, and thus its tactile expression is low. Therefore, this cannot provide vision-free interaction.
또한 낮은 촉각단서로 터치 에러율이 높아지며, 작업의 수행속도 역시 낮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ouch error rate is increased due to low tactile cues, and the execution speed of the work is also lowered.
본 발명은 별도의 비용 추가 없이 물리적 단서를 추가하여 입력 에러를 줄이고,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보지 않으면서 터치스크린의 조작이 가능한 인터렉션을 구현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uch screen input device of a new concept that can add a physical clue without additional cost to reduce the input error, increase the efficiency, and implement the interaction that can be manipulated without touching the screen.
또한, 사용자가 필요할 때에 원하는 형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유연한 확장성을 가지는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를 제공하고, 기존의 터치스크린에 물리적 단서를 제공하여 노인이나 어린이 등 초보자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it provides a touch screen input device that is flexible and expandable so that users can use it when they need it, and provides a physical clue to the existing touch screen to help beginners such as the elderly or children. To provide a device.
또한, 촉각 이외의 청각적 요소를 추가하여 사용자와의 인터렉션을 더욱 높이는 새로운 개념의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new concept touch screen input device that further increases interaction with a user by adding auditory elements other than tactile.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problem solving means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클릭 버튼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는, 전도성 부재(10)와, 상기 전도성 부재(10)가 장착된 흡착 헤드부(20)와, 상기 전도성 부재(10)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전도성 부재(10)와 통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전도성 누름부(11)를 포함하는 클릭 버튼과, 상기 흡착 헤드부(20)를 터치스크린(100)에 흡착하여 고정시키는 흡착부(30)를 포함한다. The touch screen input device using the conductive click butt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전도성 부재(10)와, 상기 전도성 부재(10)가 장착된 흡착 헤드부(20)와, 상기 흡착 헤드부에 제공되고, 상기 전도성 부재(10)와 통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전도성 누름부(11)를 포함하는 클릭 버튼과, 상기 흡착 헤드부(20)를 터치스크린(100)에 흡착하여 고정시키는 흡착부(30)를 포함한다. In addition, as another embodiment, the
상기 전도성 부재(10)는, 상기 흡착 헤드부(20)를 기준으로 상측부는 상기 전도성 누름부(11)와 통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전도성 누름부(11)의 가압시 함께 가압되는 구조로 제공되고, 상기 흡착 헤드부(20)를 기준으로 하측부는 노출되어 제공되고, 해제 상태에서는 상기 터치스크린(100)과 접촉하지 않고, 동작 상태에서는 상기 터치스크린(100)과 접촉하도록 제공된다. The
상기 해제 상태란, 사용자가 상기 전도성 누름부(11)의 조작을 하지 않는 상태이고, 상기 동작 상태란, 사용자가 상기 전도성 누름부(11)에 가압을 하여 상기 전도성 부재(10)와 상기 터치스크린(100)과 접촉을 시도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The release state is a state in which the user does not operate the conductive pressing
상기 클릭 버튼은, 끝단이 상기 흡착 헤드부(20)에 고정되어 있고, 가압에 의한 변형시 소리를 발생시키는 구조인 판형 부재(14)와, 상기 판형 부재(14)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부재(15)를 포함한다. The click button is fixed to the
또한, 상기 클릭 버튼은, 끝단이 상기 전도성 부재(10)에 고정되어 있고, 가압에 의한 변형시 소리를 발생시키는 구조인 판형 부재(14)와, 상기 판형 부재(14)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부재(15)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lick button, the end is fixed to the
상기 흡착부(30)는 석션(suction)에 의해 상기 터치스크린(100)에 부착되는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본 발명에 의한 전도성 클릭 버튼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의 다른 실시예로서, 전도성 고무 재질로 형성되고, 해제 상태에서는 터치스크린(100)과 접촉하지 않고, 동작 상태에서는 상기 터치스크린(100)과 접촉하도록 제공되는 흡착 헤드부(20)와, 상기 흡착 헤드부(20)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흡착 헤드부(20)와 통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전도성 누름부(11)를 포함하는 클릭 버튼과, 비전도성 고무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흡착 헤드부(20)를 상기 터치스크린(100)에 흡착하여 고정시키는 흡착부(30)를 포함하고, 상기 클릭 버튼은, 끝단이 상기 흡착 헤드부(20)에 고정되어 있고, 가압에 의한 변형시 소리를 발생시키는 구조인 판형 부재(14)와, 상기 판형 부재(14)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부재(15)를 포함한다.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touch screen input device using the conductive click butt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formed of a conductive rubber material, and in contact with the
상기 해제 상태란, 사용자가 상기 전도성 누름부(11)의 조작을 하지 않는 상태이고, 상기 동작 상태란, 사용자가 상기 전도성 누름부(11)에 가압을 하여 상기 전도성 부재(10)와 상기 터치스크린(100)과 접촉을 시도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The release state is a state in which the user does not operate the conductive pressing
본 발명은 전도성 클릭 버튼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가 포함된 전자기기 신호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데, 전도성 부재(10)와, 상기 전도성 부재(10)가 장착된 흡착 헤드부(20)와, 상기 전도성 부재(10)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전도성 부재(10)와 통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전도성 누름부(11)를 포함하는 클릭 버튼과, 상기 흡착 헤드부(20)를 터치스크린(100)에 흡착하여 고정시키는 흡착부(30)를 포함하는 전도성 클릭 버튼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1)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스크린(100)을 가지는 전자기기에 신호를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1)를 상기 터치스크린(100)에 흡착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1)를 가압할 때 상기 전도성 부재(10)와 상기 터치스크린(100)과 접촉하는 영역의 터치 입력값을 소정의 신호가 되도록 상기 전자기기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inputting an electronic device signal including a touch screen input device using a conductive click button. The
사용자가 상기 전도성 누름부(11)를 가압하고, 이로 인해 상기 전도성 부재(10)가 상기 터치스크린(100)과 접촉시, 상기 소정의 신호를 상기 전자기기에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user may further include pressing the conductive pressing
상기 전도성 부재(10)는, 상기 흡착 헤드부(20)를 기준으로 상측부는 상기 전도성 누름부(11)와 통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전도성 누름부(11)의 가압시 함께 가압되는 구조로 제공되고, 상기 흡착 헤드부(20)를 기준으로 하측부는 노출되어 제공되고, 해제 상태에서는 상기 터치스크린(100)과 접촉하지 않고, 동작 상태에서는 상기 터치스크린(100)과 접촉하도록 제공되며, 상기 해제 상태란, 사용자가 상기 전도성 누름부(11)의 조작을 하지 않는 상태이고, 상기 동작 상태란, 사용자가 상기 전도성 누름부(11)에 가압을 하여 상기 전도성 부재(10)와 상기 터치스크린(100)과 접촉을 시도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The
또한, 본 발명은 전도성 클릭 버튼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가 포함된 전자기기 신호 입력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터치스크린(100)을 가지는 전자기기와, 전도성 부재(10)와, 상기 전도성 부재(10)가 장착된 흡착 헤드부(20)와, 상기 전도성 부재(10)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전도성 부재(10)와 통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전도성 누름부(11)를 포함하는 클릭 버튼과, 상기 흡착 헤드부(20)를 터치스크린(100)에 흡착하여 고정시키는 흡착부(30)를 포함하는 전도성 클릭 버튼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1)와, 상기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1)를 가압할 때 상기 전도성 부재(10)와 상기 터치스크린(100)과 접촉하는 영역의 터치 입력값을 소정의 신호가 되도록 상기 전자기기를 설정하는 제어모듈(40)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onic device signal input system including a touch screen input device using a conductive click button,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상기 전도성 부재(10)는, 상기 흡착 헤드부(20)를 기준으로 상측부는 상기 전도성 누름부(11)와 통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전도성 누름부(11)의 가압시 함께 가압되는 구조로 제공되고, 상기 흡착 헤드부(20)를 기준으로 하측부는 노출되어 제공되고, 해제 상태에서는 상기 터치스크린(100)과 접촉하지 않고, 동작 상태에서는 상기 터치스크린(100)과 접촉하도록 제공한다. The
상기 해제 상태란, 사용자가 상기 전도성 누름부(11)의 조작을 하지 않는 상태이고, 상기 동작 상태란, 사용자가 상기 전도성 누름부(11)에 가압을 하여 상기 전도성 부재(10)와 상기 터치스크린(100)과 접촉을 시도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The release state is a state in which the user does not operate the conductive pressing
본 발명은 별도의 비용 추가 없이 물리적 단서를 추가하여 입력 에러를 줄이고,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보지 않으면서 터치스크린의 조작이 가능한 인터렉션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ffect of reducing the input error, increasing the efficiency, and realizing the interaction of the touch screen without seeing by adding physical clues without additional cost.
또한, 사용자가 필요할 때에 원하는 형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유연한 확장성을 제공하고, 기존의 터치스크린에 물리적 단서를 제공하여 노인이나 어린이 등 초보자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a flexible expandability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desired form when needed, and providing physical clues to the existing touch screen can help beginners, such as the elderly or children.
또한, 촉각 이외에 청각적인 요소를 도입하여 사용자와의 인터렉션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an interaction with the user may be further improved by introducing an auditory element in addition to the tactile sens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는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의 작동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의 작동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의 사용 상태의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의 사용 상태의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의 사용 상태의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의 사용 상태의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의 사용 상태의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클릭 버튼의 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전도성 클릭 버튼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전도성 클릭 버튼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의 작동 설명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전도성 클릭 버튼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의 작동 설명도.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touch screen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uch screen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operation explanatory diagram of a touch screen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operation explanatory diagram of a touch screen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mbodiment of a state of use of the touch screen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mbodiment of a state of use of the touch screen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mbodiment of a state of use of the touch screen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mbodiment of a state of use of the touch screen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mbodiment of a state of use of the touch screen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mbodiment of a click button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uch screen input device using a conductive click butt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operation explanatory diagram of a touch screen input device using a conductive click butt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operation of the touch screen input device using the conductive click butt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용어가 동일하더라도 표시하는 부분이 상이하면 도면 부호가 일치하지 않음을 미리 말해두는 바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Even if the terms are the same, it is to be noted that when the portions to be displayed differ, the reference signs do not coincide.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실험자 및 측정자와 같은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The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terms set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a user's intention or custom such as an experimenter and a measurer, and the definition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의 일실시예로서, 전도성 부재(10)와, 상기 전도성 부재(10)가 장착된 흡착 헤드부(20)와, 상기 흡착 헤드부(20)를 터치스크린(100)에 흡착하여 고정시키는 흡착부(30)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를 제공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touch screen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ng principle of a touch screen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를 터치스크린 표면에 흡착(suction) 하여 고정한다.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는 일반적인 suction cup의 원리를 이용하고 있다. 흡착부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고 있으며, 내부 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내보내 진공상태(또는 저압 상태)를 만들어 표면에 부착되는 원리이다. The touch screen input device is fixed to the surface of the touch screen by suction. The touch screen input device uses the principle of a common suction cup. The adsorption part has a space inside, and it is a principle that is attached to the surface by making the vacuum (or low pressure) by sending air of the inside space to the outside.
따라서 흡착부의 하측은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나, 상측은 흡착 헤드부 및 전도성 부재의 결합에 의해 공기가 통하지 않도록 완전히 막혀있는 상태로 제작되어야 한다. Therefore, the lower side of the adsorption part is formed with an opening, but the upper side should be manufactured in a state where the air is completely blocked by the combination of the adsorption head and the conductive member.
본 발명의 핵심은 전도성 부재를 흡착부의 상측에 제공하고, 사용자의 신체를 이용하여 전도성 부재를 가압하면, 전도성 부재가 터치스크린 표면에 접촉하게 되어, 사용자의 신체와 터치스크린 표면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따라서 전도성 부재는 흡착부가 터치스크린 표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제공되어야 한다. 이 상태에서 터치 상태를 사용자가 만드려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신체를 전도성 부재에 접촉하여 압력을 가하여 전도성 부재를 터치스크린의 표면에 접촉시키는 원리이다. The co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ductive member on the upper side of the adsorption portion, and pressing the conductive member using the user's body, the conductive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touch screen surface, which electrically connects the user's body and the touch screen surface It is using the principle. Therefore, the conductive member should b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with the adsorption portion attached to the touch screen surface. In this state, when the user wants to make a touch state, the user's body is in contact with the conductive member to apply pressure to the conductive member to contact the surface of the touch screen.
도 2는 본 발명이 제시하는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이 제시하는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의 동작 설명도를 도시한다.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uch screen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3 and 4 illustrate the operation of the touch screen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흡착판(30)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를 터치스크린(100)에 흡착하여 고정시킨다. 흡착판의 상측에는 흡착 헤드부(20)가 제공되고, 이에 전도성 부재(10)가 제공된다. 흡착판(30)과 흡착 헤드부(20)가 연결되는 부분은 흡착판(30)이 터치스크린(100)에 끝까지 접촉되었을 경우에도 전도성 부재(10)와 일정 간격이 유지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이는 도 2에 흡착부(30)의 구조가 경사 부분과 수직 부분으로 구분되어 있고, 수직 부분이 이러한 목적으로 설계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핵심은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를 터치스크린에 부착한 상태에서 전도성 부재(10)와 터치스크린(100)이 서로 이격되어 있고, 외부에서 압력을 가하는 경우에만 접촉하게 되는 것에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상기 전도성 부재(10)는 상기 흡착 헤드부(20)를 기준으로 양측에 모두 노출되어 제공된다. 즉, 상측으로는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이 가능해야 하고, 하측으로는 터치스크린(100)과 접촉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전도성 부재(10)는 흡착 헤드부(20)에 양단이 일부 돌출되도록 삽입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The
전도성 부재는 도 2에 도시된 것은 하나의 실시예이며, 다양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The conductive member is one embodiment shown in FIG. 2 and may be provided in various shapes.
전도성 부재(10)는 고무 등의 탄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촉감을 향상시키고, 접촉면을 최대로 하기 위함이다. The
본 명세서에서, "해제 상태" 및 "동작 상태"의 용어를 사용하는데, 상기 해제 상태란, 사용자가 상기 전도성 부재(10)의 조작을 하지 않는 상태이고, 상기 동작 상태란, 사용자가 상기 전도성 부재(10)에 가압을 하여 상기 터치스크린(100)과 접촉을 시도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In this specification, terms of "release state" and "operation state" are used, wherein the release state is a state in which the user does not operate the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도성 부재(10)는 해제 상태에서는 상기 터치스크린(100)과 접촉하지 않고, 동작 상태에서는 상기 터치스크린(100)과 접촉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상기 흡착부(30)는 비전도성 고무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자연스러운 촉감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의 가압에 의하여 전도성 부재(10)가 터치스크린에 접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흡착 헤드부(20)도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흡착 헤드부(20) 및 상기 흡착부(30)는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uction cup의 일반적인 형태처럼 흡착 헤드부(20) 및 흡착부(30)의 연결부분은 공기가 통하지 않도록 완전히 밀폐되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in the general form of the suction cup,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도 5는 본 발명이 제시하는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의 사용 상태의 실시예이고, 도 6은 본 발명이 제시하는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의 사용 상태의 실시예이다. 5 is an embodiment of a use state of the touch screen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n embodiment of a use state of the touch screen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컨텍스트(context)에 따라 자유롭게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1)를 터치스크린(100)에 부착한다. 또한, 특정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1)를 조작한 경우, 터치스크린(100)을 통한 입력 신호를 특정 신호값으로 설정을 해놓을 필요가 있다. 이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성취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방법에 대해서는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는 사실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user freely attaches the touch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를 이용한 전자기기 신호 입력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터치스크린(100)을 가지는 전자기기와, 전도성 부재(10)와, 상기 전도성 부재(10)가 장착된 흡착 헤드부(20)와, 상기 흡착 헤드부(20)를 터치스크린(100)에 흡착하여 고정시키는 흡착부(30)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1)와, 상기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1)를 가압할 때 상기 전도성 부재(10)와 상기 터치스크린(100)과 접촉하는 영역의 터치 입력값을 소정의 신호가 되도록 상기 전자기기를 설정하는 제어모듈(40)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를 이용한 전자기기 신호 입력 시스템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electronic signal input system using a touch screen input device. The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또한, 이러한 시스템을 이용하여 신호를 입력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는 전도성 부재(10)와, 상기 전도성 부재(10)가 장착된 흡착 헤드부(20)와, 상기 흡착 헤드부(20)를 터치스크린(100)에 흡착하여 고정시키는 흡착부(30)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1)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스크린(100)을 가지는 전자기기에 신호를 입력하는 방법이고, 상기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1)를 상기 터치스크린(100)에 흡착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1)를 가압할 때 상기 전도성 부재(10)와 상기 터치스크린(100)과 접촉하는 영역의 터치 입력값을 소정의 신호가 되도록 상기 전자기기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addition, a method of inputting a signal using the system may be provided, which includes a
또한, 사용자가 상기 전도성 부재(10)를 가압하여 상기 전도성 부재(10)가 상기 터치스크린(100)과 접촉시, 상기 소정의 신호를 상기 전자기기에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presses the
본 발명의 주요한 특징 중의 하나는, 복수 개의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상황에 맞는 다양한 입력 배열을 형성할 수 있다는 점이다. 즉, 이는 현재까지의 촉감에 기반한 키패드 등이 가지는 유연성의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장점이 된다. 도 5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게임을 실행하는 배열을 구현한 것이고, 도 6은 일반적인 문자 입력 키보드의 배열을 구현한 것이다. One of the main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t is possible to form a variety of input arrangements for a user's situation by using a plurality of touch screen input devices. In other words, this is an advantage that can overcome the problem of the flexibility of the keypad and the like based on the touch to date. FIG. 5 illustrates an arrangement for executing a game using a touch screen, and FIG. 6 illustrates an arrangement of a general character input keyboard.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의 사용 상태의 실시예로서, 사용되지 않는 경우 전자기기의 뒷면(200)에 부착하여 보관하는 예를 설명하는 것이다. FIG. 7 illustrates an example of a state of use of the touch screen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ttached to and stored on the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1)의 크기를 다양하게 제조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구체적인 구조 및 모양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8 and 9 illustrate another embodiment of the touch screen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 that the touch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도성 클릭 버튼을 이용하는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touch screen input device using the conductive click butt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0은 클릭 버튼의 실시예이다. 클릭 버튼(40)은 누름부(41)와 누름부(41) 하측에 제공되는 판형 스프링(도면 미도시)으로 구성된다. 누름부(41)를 가압하면 누름부(41)가 판형 스프링을 변형시키고, 변형에 의해 소리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10 is an embodiment of a click button. The
도 11 내지 도 13은 전도성 클릭 버튼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의 사시도 및 작동상태를 설명하고 있다. 기본적인 원리에 대해서는 앞에서 설명한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이 누락된 것은 앞의 내용을 참조할 수 있다. 11 to 13 illustrate a perspective view and an operating state of a touch screen input device using a conductive click button. Since the basic principle is the same as the touch screen input device described above, the detailed description may be referred to the foregoing.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클릭 버튼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는, 전도성 부재(10)와, 상기 전도성 부재(10)가 장착된 흡착 헤드부(20)와, 상기 전도성 부재(10)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전도성 부재(10)와 통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전도성 누름부(11)를 포함하는 클릭 버튼과, 상기 흡착 헤드부(20)를 터치스크린(100)에 흡착하여 고정시키는 흡착부(30)를 포함한다. The touch screen input device using the conductive click butt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전도성 부재(10)와, 상기 전도성 부재(10)가 장착된 흡착 헤드부(20)와, 상기 흡착 헤드부에 제공되고, 상기 전도성 부재(10)와 통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전도성 누름부(11)를 포함하는 클릭 버튼과, 상기 흡착 헤드부(20)를 터치스크린(100)에 흡착하여 고정시키는 흡착부(30)를 포함한다.In addition, as another embodiment, the
본 발명의 주요 핵심은 인터렉션하는 과정에서 청각적인 요소 및 촉각적인 요소를 더욱 추가하기 위해 전도성 클릭 버튼을 사용하는 것에 있다. The main foc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use of conductive click buttons to further add audible and tactile elements in the course of interaction.
상기 전도성 부재(10)는, 상기 흡착 헤드부(20)를 기준으로 상측부는 상기 전도성 누름부(11)와 통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The
상기 전도성 누름부(11)의 가압시 함께 가압되는 구조로 제공되고, 상기 흡착 헤드부(20)를 기준으로 하측부는 노출되어 제공된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전도성 누름부(11)는 흡착 헤드부(20)에 삽입되어 제공되는데, 흡착 헤드부(20)에 대해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도 있으나, 공기의 밀폐를 위해 완전히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It is provided in a structure that is pressed together when the conductive pressing
또한, 해제 상태에서는 상기 터치스크린(100)과 접촉하지 않고, 동작 상태에서는 상기 터치스크린(100)과 접촉하도록 제공된다. In addition, in the released state, the
상기 해제 상태란, 사용자가 상기 전도성 누름부(11)의 조작을 하지 않는 상태이고, 상기 동작 상태란, 사용자가 상기 전도성 누름부(11)에 가압을 하여 상기 전도성 부재(10)와 상기 터치스크린(100)과 접촉을 시도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The release state is a state in which the user does not operate the conductive pressing
상기 클릭 버튼은, 가압에 의한 변형시 소리를 발생시키는 구조인 판형 부재(14)와, 상기 판형 부재(14)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부재(15)를 포함할 수 있다. 판형 부재(14)는 끝단이 상기 전도성 부재(10)에 고정될 수도 있고, 상기 흡착 헤드부(20)에 고정될 수도 있다. 스프링 부재(15)는 판형 부재(14)의 중심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전도성 부재(10)에 의해 한쪽 끝이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쪽 끝은 판형 부재(14)에 연결된다. The click button may include a
판형 부재(14)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판 스프링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전도성 누름부(11)는 상기 판형 부재(14) 상부에 제공된다. 전도성 누름부(11)를 가압시 변형에 의해 "딸깍"하는 소리가 발생하고, 압력을 제거하면 원상태로 회복되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The
도 12 및 도 13에서는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판형 부재(14)의 끝단이 흡착 헤드부(20)에 고정되는 경우에는, 판형 부재(14)의 폭이 전도성 부재(10)의 폭보다 작아야 하고, 전도성 부재(10)의 상부에는 판형 부재(14)가 놓여질 수 있도록 절개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판형 부재(14)의 상측에 전도성 누름부(11)가 위치하게 되어, 판형 부재(14) 및 전도성 부재(10)에 가압을 하는 구조이다.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in FIGS. 12 and 13, when the end of the
만일, 판형 부재(14)가 전도성 부재(10)에 고정되는 경우에는 위와 같이 절개 공간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의 형성없이 전도성 부재(10)의 상측에 고정시키고, 그 위에 전도성 누름부(11)를 위치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If the plate-shaped
다만, 중요한 것은 전도성 누름부(11)와 전도성 부재(10)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람의 신체로부터의 정전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제공되어야 한다. 판형 부재(14)를 전도성 재질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However, it is important that the conductive pressing
상기 흡착부(30)는 석션(suction)에 의해 상기 터치스크린(100)에 부착되는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본 발명에 의한 전도성 클릭 버튼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의 다른 실시예로서, 전도성 고무 재질로 형성되고, 해제 상태에서는 터치스크린(100)과 접촉하지 않고, 동작 상태에서는 상기 터치스크린(100)과 접촉하도록 제공되는 흡착 헤드부(20)와, 상기 흡착 헤드부(20)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흡착 헤드부(20)와 통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전도성 누름부(11)를 포함하는 클릭 버튼과, 비전도성 고무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흡착 헤드부(20)를 상기 터치스크린(100)에 흡착하여 고정시키는 흡착부(30)를 포함하고, 상기 클릭 버튼은, 끝단이 상기 흡착 헤드부(20)에 고정되어 있고, 가압에 의한 변형시 소리를 발생시키는 구조인 판형 부재(14)와, 상기 판형 부재(14)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부재(15)를 포함한다.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touch screen input device using the conductive click butt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formed of a conductive rubber material, and in contact with the
본 발명은 전도성 클릭 버튼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가 포함된 전자기기 신호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데, 전도성 부재(10)와, 상기 전도성 부재(10)가 장착된 흡착 헤드부(20)와, 상기 전도성 부재(10)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전도성 부재(10)와 통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전도성 누름부(11)를 포함하는 클릭 버튼과, 상기 흡착 헤드부(20)를 터치스크린(100)에 흡착하여 고정시키는 흡착부(30)를 포함하는 전도성 클릭 버튼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1)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스크린(100)을 가지는 전자기기에 신호를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1)를 상기 터치스크린(100)에 흡착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1)를 가압할 때 상기 전도성 부재(10)와 상기 터치스크린(100)과 접촉하는 영역의 터치 입력값을 소정의 신호가 되도록 상기 전자기기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inputting an electronic device signal including a touch screen input device using a conductive click button. The
사용자가 상기 전도성 누름부(11)를 가압하고, 이로 인해 상기 전도성 부재(10)가 상기 터치스크린(100)과 접촉시, 상기 소정의 신호를 상기 전자기기에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user may further include pressing the conductive pressing
또한, 본 발명은 전도성 클릭 버튼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가 포함된 전자기기 신호 입력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터치스크린(100)을 가지는 전자기기와, 전도성 부재(10)와, 상기 전도성 부재(10)가 장착된 흡착 헤드부(20)와, 상기 전도성 부재(10)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전도성 부재(10)와 통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전도성 누름부(11)를 포함하는 클릭 버튼과, 상기 흡착 헤드부(20)를 터치스크린(100)에 흡착하여 고정시키는 흡착부(30)를 포함하는 전도성 클릭 버튼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1)와, 상기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1)를 가압할 때 상기 전도성 부재(10)와 상기 터치스크린(100)과 접촉하는 영역의 터치 입력값을 소정의 신호가 되도록 상기 전자기기를 설정하는 제어모듈(도면 미도시)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onic device signal input system including a touch screen input device using a conductive click button,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을 가지고 있다면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으며,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권리범위가 정해짐을 밝혀둔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cope of the embodiments by the above embodiments, all hav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een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cope of the claims by the claims Note that is determined.
1 :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
10 : 전도성 부재
11 : 전도성 누름부
14 : 판형 부재
20 : 흡착 헤드부
30 : 흡착부
100 : 터치스크린
200 : 전자기기의 뒷면1: touch screen input device
10: conductive member
11: conductive pressing part
14: plate member
20: adsorption head
30: adsorption part
100: touch screen
200: back of the electronic device
Claims (15)
상기 전도성 부재가 장착된 흡착 헤드부와,
상기 전도성 부재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전도성 부재와 통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전도성 누름부를 포함하는 클릭 버튼과,
상기 흡착 헤드부를 터치스크린에 흡착하여 고정시키는 흡착부를 포함하는,
전도성 클릭 버튼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With a conductive member,
An adsorption head mounted to the conductive member;
A click button positioned above the conductive member and including a conductive pressing part connected to the conductive member so as to be energized;
Adsorption unit for adsorbing and fixing the adsorption head portion on the touch screen,
Touch screen input device using conductive click button.
상기 전도성 부재가 장착된 흡착 헤드부와,
상기 흡착 헤드부에 제공되고, 상기 전도성 부재와 통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전도성 누름부를 포함하는 클릭 버튼과,
상기 흡착 헤드부를 터치스크린에 흡착하여 고정시키는 흡착부를 포함하는,
전도성 클릭 버튼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With a conductive member,
An adsorption head mounted to the conductive member;
A click button provided on the suction head and including a conductive pressing portion connected to the conductive member so as to conduct electricity;
Adsorption unit for adsorbing and fixing the adsorption head portion on the touch screen,
Touch screen input device using conductive click button.
상기 전도성 부재는,
상기 흡착 헤드부를 기준으로 상측부는 상기 전도성 누름부와 통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전도성 누름부의 가압시 함께 가압되는 구조로 제공되고, 상기 흡착 헤드부를 기준으로 하측부는 노출되어 제공되고,
해제 상태에서는 상기 터치스크린과 접촉하지 않고,
동작 상태에서는 상기 터치스크린과 접촉하도록 제공되는,
전도성 클릭 버튼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conductive member,
The upper portion is connected to the conductive pressing portion so as to be energized based on the adsorption head portion, provided with a structure that is pressed together when the conductive pressing portion is pressed, the lower portion is exposed based on the adsorption head portion,
In the unlocked state, the touch screen is not in contact with
In operation, provided to contact with the touch screen,
Touch screen input device using conductive click button.
상기 해제 상태란, 사용자가 상기 전도성 누름부의 조작을 하지 않는 상태이고,
상기 동작 상태란, 사용자가 상기 전도성 누름부에 가압을 하여 상기 전도성 부재와 상기 터치스크린과 접촉을 시도하는 상태를 의미하는,
전도성 클릭 버튼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release state is a state in which the user does not operate the conductive pressing portion,
The operating state means a state in which a user tries to contact the conductive member and the touch screen by pressing the conductive pressing part.
Touch screen input device using conductive click button.
상기 클릭 버튼은,
끝단이 상기 흡착 헤드부에 고정되어 있고, 가압에 의한 변형시 소리를 발생시키는 구조인 판형 부재와,
상기 판형 부재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도성 누름부가 상기 판형 부재의 상측에 제공되는,
전도성 클릭 버튼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lick button,
A plate member having an end fixed to the suction head and configured to generate a sound upon deformation by pressing;
A spring member for providing a restoring force to the plate member;
The conductive pressing portion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plate member,
Touch screen input device using conductive click button.
상기 클릭 버튼은,
끝단이 상기 전도성 부재에 고정되어 있고, 가압에 의한 변형시 소리를 발생시키는 구조인 판형 부재와,
상기 판형 부재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도성 누름부가 상기 판형 부재의 상측에 제공되는,
전도성 클릭 버튼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click button,
An end is fixed to the conductive member, a plate-like member that is a structure for generating a sound upon deformation by pressing,
A spring member for providing a restoring force to the plate member;
The conductive pressing portion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plate member,
Touch screen input device using conductive click button.
상기 흡착부는 석션(suction)에 의해 상기 터치스크린에 부착되는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클릭 버튼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The method of claim 4,
The adsorption unit is provided in the form that is attached to the touch screen by suction (suction),
Touch screen input device using conductive click button.
상기 흡착 헤드부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흡착 헤드부와 통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전도성 누름부를 포함하는 클릭 버튼과,
비전도성 고무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흡착 헤드부를 상기 터치스크린에 흡착하여 고정시키는 흡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릭 버튼은,
끝단이 상기 흡착 헤드부에 고정되어 있고, 가압에 의한 변형시 소리를 발생시키는 구조인 판형 부재와,
상기 판형 부재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도성 누름부가 상기 판형 부재의 상측에 제공되는,
전도성 클릭 버튼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An adsorption head portion formed of a conductive rubber material and provided to be in contact with the touch screen without being in contact with the touch screen in a released state;
A click button located above the suction head and including a conductive pressing part connected to the suction head so as to conduct electricity;
Is formed of a non-conductive rubber material, and includes an adsorption portion for adsorbing and fixing the adsorption head portion to the touch screen,
The click button,
A plate member having an end fixed to the suction head and configured to generate a sound upon deformation by pressing;
A spring member for providing a restoring force to the plate member;
The conductive pressing portion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plate member,
Touch screen input device using conductive click button.
상기 해제 상태란, 사용자가 상기 전도성 누름부의 조작을 하지 않는 상태이고,
상기 동작 상태란, 사용자가 상기 전도성 누름부에 가압을 하여 상기 전도성 부재와 상기 터치스크린과 접촉을 시도하는 상태를 의미하는,
전도성 클릭 버튼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The release state is a state in which the user does not operate the conductive pressing portion,
The operating state means a state in which a user tries to contact the conductive member and the touch screen by pressing the conductive pressing part.
Touch screen input device using conductive click button.
상기 전도성 부재가 장착된 흡착 헤드부와,
상기 전도성 부재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전도성 부재와 통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전도성 누름부를 포함하는 클릭 버튼과,
상기 흡착 헤드부를 터치스크린에 흡착하여 고정시키는 흡착부를 포함하는 전도성 클릭 버튼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전자기기에 신호를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를 상기 터치스크린에 흡착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를 가압할 때 상기 전도성 부재와 상기 터치스크린과 접촉하는 영역의 터치 입력값을 소정의 신호가 되도록 상기 전자기기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도성 클릭 버튼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가 포함된 전자기기 신호 입력 방법.With a conductive member,
An adsorption head mounted to the conductive member;
A click button located above the conductive member and including a conductive pressing part connected to the conductive member so as to conduct electricity;
In the method for inputting a signal to an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touch screen using a touch screen input device using a conductive click button comprising a suction unit for absorbing and fixing the suction head to the touch screen,
Adsorbing the touch screen input device to the touch screen;
Setting the electronic device such that the touch input value of an area in contact with the conductive member and the touch screen becomes a predetermined signal when the touch screen input device is pressed;
Electronic signal input method including a touch screen input device using a conductive click button.
사용자가 상기 전도성 누름부를 가압하고, 이로 인해 상기 전도성 부재가 상기 터치스크린과 접촉시, 상기 소정의 신호를 상기 전자기기에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도성 클릭 버튼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가 포함된 전자기기 신호 입력 방법.The method of claim 10,
The user presses the conductive pressing portion, and thereby the conductive member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inputting the predetermined signal to the electronic device, in contact with the touch screen,
Electronic signal input method including a touch screen input device using a conductive click button.
상기 전도성 부재는,
상기 흡착 헤드부를 기준으로 상측부는 상기 전도성 누름부와 통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전도성 누름부의 가압시 함께 가압되는 구조로 제공되고, 상기 흡착 헤드부를 기준으로 하측부는 노출되어 제공되고,
해제 상태에서는 상기 터치스크린과 접촉하지 않고,
동작 상태에서는 상기 터치스크린과 접촉하도록 제공되며,
상기 해제 상태란, 사용자가 상기 전도성 누름부의 조작을 하지 않는 상태이고,
상기 동작 상태란, 사용자가 상기 전도성 누름부에 가압을 하여 상기 전도성 부재와 상기 터치스크린과 접촉을 시도하는 상태를 의미하는,
전도성 클릭 버튼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가 포함된 전자기기 신호 입력 방법.The method of claim 11,
The conductive member,
The upper portion is connected to the conductive pressing portion so as to be energized based on the adsorption head portion, provided with a structure that is pressed together when the conductive pressing portion is pressed, the lower portion is exposed based on the adsorption head portion,
In the unlocked state, the touch screen is not in contact with
In the operating state is provided to contact the touch screen,
The release state is a state in which the user does not operate the conductive pressing portion,
The operating state means a state in which a user tries to contact the conductive member and the touch screen by pressing the conductive pressing part.
Electronic signal input method including a touch screen input device using a conductive click button.
전도성 부재와, 상기 전도성 부재가 장착된 흡착 헤드부와, 상기 전도성 부재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전도성 부재와 통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전도성 누름부를 포함하는 클릭 버튼과, 상기 흡착 헤드부를 터치스크린에 흡착하여 고정시키는 흡착부를 포함하는 전도성 클릭 버튼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와,
상기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를 가압할 때 상기 전도성 부재와 상기 터치스크린과 접촉하는 영역의 터치 입력값을 소정의 신호가 되도록 상기 전자기기를 설정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전도성 클릭 버튼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가 포함된 전자기기 신호 입력 시스템.Electronic devices having a touch screen,
A click button comprising a conductive member, an adsorption head portion on which the conductive member is mounted, a conductive pressing portion located on an upper side of the conductive membe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ductive member, and the adsorption head portion on a touch screen. And a touch screen input device using a conductive click button including an adsorption unit fixed to the lens.
And a control module configured to set the electronic device such that the touch input value of an area in contact with the conductive member and the touch screen becomes a predetermined signal when pressing the touch screen input device.
Electronic signal input system with touch screen input device using conductive click button.
상기 전도성 부재는,
상기 흡착 헤드부를 기준으로 상측부는 상기 전도성 누름부와 통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전도성 누름부의 가압시 함께 가압되는 구조로 제공되고, 상기 흡착 헤드부를 기준으로 하측부는 노출되어 제공되고,
해제 상태에서는 상기 터치스크린과 접촉하지 않고,
동작 상태에서는 상기 터치스크린과 접촉하도록 제공하는,
전도성 클릭 버튼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가 포함된 전자기기 신호 입력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The conductive member,
The upper portion is connected to the conductive pressing portion so as to be energized based on the adsorption head portion, provided with a structure that is pressed together when the conductive pressing portion is pressed, the lower portion is exposed based on the adsorption head portion,
In the unlocked state, the touch screen is not in contact with
In the operating state to provide contact with the touch screen,
Electronic signal input system with touch screen input device using conductive click button.
상기 해제 상태란, 사용자가 상기 전도성 누름부의 조작을 하지 않는 상태이고,
상기 동작 상태란, 사용자가 상기 전도성 누름부에 가압을 하여 상기 전도성 부재와 상기 터치스크린과 접촉을 시도하는 상태를 의미하는,
전도성 클릭 버튼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입력 장치가 포함된 전자기기 신호 입력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The release state is a state in which the user does not operate the conductive pressing portion,
The operating state means a state in which a user tries to contact the conductive member and the touch screen by pressing the conductive pressing part.
Electronic signal input system with touch screen input device using conductive click butt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17713A KR101183476B1 (en) | 2011-02-28 | 2011-02-28 | Inputting device of touch-screen, signal inputting method for electric device with the same, and signal inputting system for electric device with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17713A KR101183476B1 (en) | 2011-02-28 | 2011-02-28 | Inputting device of touch-screen, signal inputting method for electric device with the same, and signal inputting system for electric device with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98039A KR20120098039A (en) | 2012-09-05 |
KR101183476B1 true KR101183476B1 (en) | 2012-09-17 |
Family
ID=47109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17713A Expired - Fee Related KR101183476B1 (en) | 2011-02-28 | 2011-02-28 | Inputting device of touch-screen, signal inputting method for electric device with the same, and signal inputting system for electric device with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83476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61461B1 (en) | 2015-07-05 | 2016-09-30 | 경규창 | Remote input apparatus for touchscreen |
KR101658798B1 (en) * | 2015-07-05 | 2016-09-23 | 경규창 | System for remote controlling touchscreen |
KR102000736B1 (en) * | 2015-11-16 | 2019-07-16 | 지예진 | Wireless tag for refrigerator |
KR102060257B1 (en) | 2018-11-28 | 2019-12-27 | 이상호 | Push button used by being attached on a touch panel |
KR102195979B1 (en) | 2020-03-13 | 2020-12-29 | 김정호 | Touch inputtinng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based on touchscreen |
KR102607196B1 (en) | 2021-04-27 | 2023-11-29 | 주식회사 우당기술산업 | Fire water spraying apparatus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15711B1 (en) | 2010-07-16 | 2011-02-22 | 정영훈 | Button Adapter Kits for Touchscreens |
-
2011
- 2011-02-28 KR KR1020110017713A patent/KR10118347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15711B1 (en) | 2010-07-16 | 2011-02-22 | 정영훈 | Button Adapter Kits for Touchscreen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98039A (en) | 2012-09-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83476B1 (en) | Inputting device of touch-screen, signal inputting method for electric device with the same, and signal inputting system for electric device with the same | |
CN103165328B (en) | Force feedback keyboard structure | |
US10203755B2 (en) | Inpu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input apparatus | |
TWI489503B (en) | Haptic feedback keyboard structure | |
CN103576880B (en) | External keyboard of electronic device and sheath of electronic device | |
US20130120265A1 (en) | Keypad with Electrotactile Feedback | |
KR101211189B1 (en) | Inputting device of touch-screen, signal inputting method for electric device with the same, and signal inputting system for electric device with the same | |
TW201229845A (en) | Touch control device and an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 |
KR20120019934A (en) | Keyboard pad for touch screen | |
CN101730416A (en) | Electronic equipment and key thereof | |
KR20120094978A (en) | Inputting device of touch-screen, signal inputting method for electric device with the same, and signal inputting system for electric device with the same | |
JP6063201B2 (en) | Operation device | |
US20140062683A1 (en) | Body sensing computer keyboard | |
TW201839789A (en) | Key structure | |
TWI615875B (en) | Thin type key structure | |
US9715976B2 (en) | Keyboard device | |
JP2003050658A (en) | Key inputting device | |
JP2014052666A (en) | Input support unit for touch panel | |
JP2014106584A (en) | Input device | |
CN109920678B (en) | Keyboard switch | |
TW201916074A (en) | Mechanical key structure | |
JP2011187087A (en) | Input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 |
TWM408714U (en) | Input device with swing operation | |
CN105990057A (en) | Keyboard with a keyboard body | |
CN209417705U (en) | An electronic device touch screen controller and electronic device component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2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2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9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9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2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8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