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82662B1 - 인버터용 전력 모듈의 쿨링 팬 장치 - Google Patents

인버터용 전력 모듈의 쿨링 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2662B1
KR101182662B1 KR1020110050727A KR20110050727A KR101182662B1 KR 101182662 B1 KR101182662 B1 KR 101182662B1 KR 1020110050727 A KR1020110050727 A KR 1020110050727A KR 20110050727 A KR20110050727 A KR 20110050727A KR 101182662 B1 KR101182662 B1 KR 101182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unit
refrigerant
coolant
dispos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0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10050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26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2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266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34Arrangements for cooling, heating, ventilating or temperature compensation ; Temperature sensing arrangements
    • H01L23/46Arrangements for cooling, heating, ventilating or temperature compensation ; Temperature sensing arrangements involving the transfer of heat by flowing flui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버터용 전력 모듈의 쿨링 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인버터용 전력 모듈의 쿨링 팬 장치는 제어 PCB부, 제어 PCB부의 하단에 배치되는 EMI부, EMI부의 하단에 배치되는 버스바, 버스바의 하단에 배치되는 IGBT 모듈부 및 IGBT 모듈부의 하단에 배치되어 IGBT 모듈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키는 쿨링 팬부를 포함하고, 쿨링 팬부는 IGBT 모듈부의 하단과 접하되 IGBT 모듈부와 대응하여 위치하여 IGBT 모듈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여 IGBT 모듈부를 냉각시키는 핀-휜 냉각부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하는 쿨링상단부, 쿨링상단부의 옆면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냉매를 제공받는 냉매주입구, 쿨링상단부의 내부에 형성되되 냉매주입구로부터 제공되는 냉매를 핀-휜 냉각부에 제공하는 냉매분사구, 냉매분사구를 둘러싸면서 형성되어 냉매분사구와 냉매가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고, 쿨링 팬부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이 냉매분사구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열차단부, 냉매주입구가 배치되는 쿨링상단부의 옆면에 배치되어 핀-휜 냉각부를 거쳐 온도가 상승한 냉매를 외부로 배출하는 냉매배출구, 쿨링상단부의 하단에 배치되어 냉매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되 냉매분사구에서 분사되는 냉매를 냉매배출구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유도공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냉매유도부 및 냉매유도부의 하단과 쿨링상단부의 하단에 배치되어 쿨링상단부와 체결되고, 유도공을 통해 유도되는 냉매를 냉매배출구로 빠르게 배출될 수 있도록 내부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지게 형성되는 쿨링하단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인버터용 전력 모듈의 쿨링 팬 장치{Cooling Pan Device of Power Module for Using Inverter}
본 발명은 인버터용 전력 모듈의 쿨링 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버터용 전력 모듈에서 cooling pan의 핵심 역할은 IGBT 반도체에서 발생되는 열을 pin-fin 구조를 통해 냉각시키기 위한 cooling fluid를 수납하고 순환시키기 위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IGBT 반도체에서 발생되는 열을 pin-fin 구조를 통해 효율적으로 냉각시키기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IGBT 모듈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핀-휜 냉각부를 통해 냉각시키되, 열을 차단시킬 수 있는 열차단부 내에 포함된 냉매분사부를 핀-휜 냉각부들 사이에 배치하여 냉매를 제공함으로써, 핀-휜 냉각부의 density를 최적화하여 흐름(flow)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인버터용 전력 모듈의 쿨링 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인버터용 전력 모듈의 쿨링 팬 장치는 제어 PCB부, 제어 PCB부의 하단에 배치되는 EMI부, EMI부의 하단에 배치되는 버스바, 버스바의 하단에 배치되는 IGBT 모듈부 및 IGBT 모듈부의 하단에 배치되어 IGBT 모듈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키는 쿨링 팬부를 포함하고, 쿨링 팬부는 IGBT 모듈부의 하단과 접하되 IGBT 모듈부와 대응하여 위치하여 IGBT 모듈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여 IGBT 모듈부를 냉각시키는 핀-휜 냉각부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하는 쿨링상단부, 쿨링상단부의 옆면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냉매를 제공받는 냉매주입구, 쿨링상단부의 내부에 형성되되 냉매주입구로부터 제공되는 냉매를 핀-휜 냉각부에 제공하는 냉매분사구, 냉매분사구를 둘러싸면서 형성되어 냉매분사구와 냉매가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고, 쿨링 팬부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이 냉매분사구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열차단부, 냉매주입구가 배치되는 쿨링상단부의 옆면에 배치되어 핀-휜 냉각부를 거쳐 온도가 상승한 냉매를 외부로 배출하는 냉매배출구, 쿨링상단부의 하단에 배치되어 냉매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되 냉매분사구에서 분사되는 냉매를 냉매배출구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유도공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냉매유도부 및 냉매유도부의 하단과 쿨링상단부의 하단에 배치되어 쿨링상단부와 체결되고, 유도공을 통해 유도되는 냉매를 냉매배출구로 빠르게 배출될 수 있도록 내부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지게 형성되는 쿨링하단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냉매유도부의 하단에는 핀-휜 냉각부를 거쳐 온도가 상승한 냉매에서 발생하는 열을 차단하는 냉매열차단부가 형성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냉매유도부에 형성되는 유도공은 냉매주입구가 배치되는 쿨링상단부의 옆면과 마주보는 다른 옆면 근처에 배치되고, 냉매유도부는 냉매주입구에서 유도공으로 진행할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냉매유도부는 냉매주입구에서 유도공으로 진행할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면서 중앙 영역에서 바깥 테두리 영역으로 진행할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쿨링하단부는 유도공에서 냉매배출구로 진행할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냉매분사구는 핀-휜 냉각부와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되되,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는 핀-휜 냉각부들 사이에 배치되어 핀-휜 냉각부에 냉매를 제공하여 핀-휜 냉각부의 온도를 냉각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인버터용 전력 모듈의 쿨링 팬 장치는 IGBT 모듈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핀-휜 냉각부를 통해 냉각시키되, 열을 차단하는 열차단부내에 포함된 냉매분사부를 핀-휜 냉각부들 사이에 배치하여 냉매를 제공함으로써, 핀-휜 냉각부의 density를 최적화시켜 냉각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인버터용 전력 모듈의 쿨링 팬 장치는 IGBT 모듈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핀-휜 냉각부를 통해 냉각시키되, 냉매유도부와 쿨링하단부가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면서 형성됨으로써, 쿨링 팬부에 흐르는 냉매의 흐름이 개선될 수 있어 냉각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인버터용 전력 모듈의 쿨링 팬 장치는 냉각의 효율성이 개선됨에 따라,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인버터용 전력 모듈의 쿨링 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인버터용 전력 모듈의 쿨링 팬 장치 중 쿨링 팬부를 분해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인버터용 전력 모듈의 쿨링 팬 장치 중 쿨링상단부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냉매분사구와 열차단부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냉매유도부와 쿨링하단부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냉매유도부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인버터용 전력 모듈의 쿨링 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인버터용 전력 모듈의 쿨링 팬 장치 중 쿨링 팬부를 분해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인버터용 전력 모듈의 쿨링 팬 장치 중 쿨링상단부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냉매분사구와 열차단부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인버터용 전력 모듈의 쿨링 팬 장치(1000)는 제어 PCB부(100), EMI부(200), 버스바(300), IGBT 모듈부(400) 및 쿨링 팬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제어 PCB부(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로 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EMI부(200)는 제어 PCB부(100)의 하단에 배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EMI부(200)는 제어 PCB부(100)와 후술할 버스바(300), IGBT 모듈부(400) 사이에 배치되어 전자파 등을 차폐하는 것이다.
버스바(300)는 EMI부(200)의 하단에 배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버스바(3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Layer로 형성될 수 있다. 버스바(300)는 제어 PCB부(100), 후술할 IGBT 모듈부(400),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원공급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 PCB부(100), IGBT 모듈부(400), 전원공급장치(미도시)가 회로 동작하도록 하는 것이다.
IGBT 모듈부(400)는 버스바(300)의 하단에 배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IGBT 모듈부(400)는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로 구성되며, 대전력 인버터의 주 변환 소자로써, UPS 장치, 교류전동기의 가변전압 가변주파수 제어(철도차량용 등), 하이브리드 카, IH 등에 사용되는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제어 PCB부(100), EMI부(200), 버스바(300), IGBT 모듈부(400)는 종래의 기술을 통해 용이하게 알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쿨링 팬부(500)는 IGBT 모듈부(400)의 하단에 배치되어 IGBT 모듈부(400)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쿨링 팬부(500)는 쿨링상단부(510a), 냉매주입구(530), 냉매분사구(550), 열차단부(610), 냉매배출구(570), 냉매유도부(590), 냉매열차단부(630) 및 쿨링하단부(510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쿨링상단부(510a)는 IGBT 모듈부(400)의 하단과 접하되 IGBT 모듈부(400)와 대응하여 위치하여 IGBT 모듈부(400)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여 IGBT 모듈부(400)를 냉각시키는 핀-휜 냉각부(410)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하는 것이다. 이러한 쿨링상단부(510a)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핀-휜 냉각부(410)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어 IGBT 모듈부(400)에서 발생하는 열을 핀-휜 냉각부(410)를 통해 쿨링 팬부(500)의 내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냉매주입구(530)는 쿨링상단부(510a)의 옆면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냉매를 제공받는 것이다. 이러한 냉매주입구(530)는 쿨링상단부(510a)의 옆면에 배치되되 쿨링상단부(510a)의 옆면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냉매를 제공받아 쿨링 팬부(500)의 내부에 제공하는 것이다.
냉매분사구(550)는 쿨링상단부(510a)의 내부에 형성되되 냉매주입구(530)로부터 제공되는 냉매를 핀-휜 냉각부(410)에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냉매분사구(550)는 쿨링상단부(510a)에 배치되는 핀-휜 냉각부(410)와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되되,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는 핀-휜 냉각부(410)들 사이에 배치되어 핀-휜 냉각부(410)에 냉매를 제공하여 핀-휜 냉각부(410)의 온도를 냉각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냉매분사구(5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주입구(530)로부터 냉매를 제공받아 핀-휜 냉각부(410) 및 핀-휜 냉각부(410)와 이웃하는 핀-휜 냉각부 사이에 형성되어 핀-휜 냉각부(410)에 냉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냉매분사구(550)가 각각의 핀-휜 냉각부(410)마다 냉매를 제공함으로써, 핀-휜 냉각부(410)를 더욱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열차단부(610)는 냉매분사구(550)를 둘러싸면서 형성되어 냉매분사구(550)와 냉매가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고, 쿨링 팬부(500)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이 냉매분사구(55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다. 이러한 열차단부(610)는 냉매분사구(55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하되, 냉매분사구(550)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냉매분사구(550)를 둘러쌓아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열차단부(610)가 냉매분사구(550)를 둘러싸면서 형성됨으로써, 핀-휜 냉각부(410)를 냉각시켜 온도가 상승한 냉매에 의해 냉매분사구(550)의 온도가 상승하여 냉매분사구(550)의 내부에 있는 냉매의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즉, 열차단부(610)가 냉매분사구(550)를 둘러싸면서 형성되어 냉매분사구(550)에 전달되는 열을 미연에 차단함으로써, 냉매의 온도는 냉매분사구(550)에서 쿨링 팬부(500)의 내부로 분사되기 전까지 낮은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핀-휜 냉각부(410)를 더욱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냉매배출구(570)는 냉매주입구(530)가 배치되는 쿨링상단부(510a)의 옆면에 배치되어 핀-휜 냉각부(410)를 거쳐 온도가 상승한 냉매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냉매배출구(570)는 냉매주입구(530)가 배치되는 쿨링상단부(510a)의 옆면에 배치되어 쿨링상단부(510a)의 옆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냉매배출구(570)는 제품의 구조에 따라, 쿨링상단부(510a)의 옆면 또는 쿨링하단부(510b)의 옆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냉매배출구(570)가 쿨링하단부(510b)의 옆면에 배치되도록 도시하였으며, 도 2 및 도 3에서는 냉매배출구(570)가 쿨링상단부(510a)의 옆면에 배치되도록 도시하였다. 이와 같이, 냉매배출구(570)는 냉매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만 있다면 쿨링상단부(510a) 또는 쿨링하단부(510b)의 위치에 상관없이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냉매유도부(590)는 쿨링상단부(510a)의 하단에 배치되어 냉매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되 냉매분사구(550)에서 분사되는 냉매를 냉매배출구(570)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유도공(591)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냉매배출구(570)와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배출공(593)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냉매유도부(590)는 쿨링상단부(510a)의 하단에 배치되어 쿨링상단부(510a)에 배치되는 핀-휜 냉각부(410) 및 냉매분사구(550) 중첩되어 위치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냉매유도부(590)는 쿨링상단부(510a)에 흐르는 냉매가 핀-휜 냉각부(410)를 냉각시키는 동안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쿨링상단부(510a)와 쿨링하단부(510b) 사이에 형성되며, 핀-휜 냉각부(410)를 냉각시켜 온도가 상승한 냉매를 유도공(591)을 통해 냉매배출구(570)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또한, 유도공(591)은 쿨링상단부(510a)의 옆면에 형성되는 냉매주입구(530)와 서로 반대편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냉매유도부(590)에 형성되는 유도공(591)은 냉매주입구(530)가 배치되는 쿨링상단부(510a)의 옆면과 마주보는 다른 옆면 근처에 배치되는 것이다. 이는 냉매주입구(530)를 통해 제공되는 냉매가 핀-휜 냉각부(410)를 거친 후 유도공(591)을 통해 냉매배출구(570)로 배출되어야 하기 때문에 가능하면 냉매주입구(530)와 유도공(591)의 거리는 멀리 떨어져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핀-휜 냉각부(410)를 더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냉매유도부(590)가 쿨링상단부(510a)와 쿨링하단부(510b)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쿨링 팬부(500)의 내부가 2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어 냉매의 흐름을 더욱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냉매유도부(590)의 하단에는 핀-휜 냉각부(410)를 거쳐 온도가 상승한 냉매에서 발생하는 열을 차단하는 냉매열차단부(630)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냉매열차단부(630)가 형성됨으로써, 핀-휜 냉각부(410)를 거쳐 온도가 상승한 냉매에서 발생하는 열이 핀-휜 냉각부(410)를 냉각시키기 위해 냉매유도부(590)의 상단에 흐르는 냉매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핀-휜 냉각부(410)를 더욱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쿨링하단부(510b)는 냉매유도부(590)의 하단과 쿨링상단부(510a)의 하단에 배치되어 쿨링상단부(510a)와 체결되고, 유도공(591)을 통해 유도되는 냉매를 냉매배출구(570)로 빠르게 배출될 수 있도록 내부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쿨링하단부(510b)는 쿨링 팬부(500)의 내부에 유입된 냉매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쿨링상단부(510a)와 체결되는 것이다. 이때, 쿨링상단부(510a)와 쿨링하단부(510b) 사이에 탄력성이 있는 물질을 더 배치하여 쿨링상단부(510a)와 쿨링하단부(510b) 간의 체결을 더욱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쿨링하단부(510b)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쿨링 팬부(500)는 복수 개의 핀-휜 냉각부(410)마다 냉매분사구(550)가 대응되어 냉매를 제공함으로써, 핀-휜 냉각부(410)의 density를 최적화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냉매유도부와 쿨링하단부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5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냉매유도부(590)의 높이(h3,h4)가 다르게 형성되고, 쿨링하단부(510b)의 높이(h5,h6)도 다르게 형성되는 것이다.
냉매유도부(590)는 냉매주입구(530)에서 유도공(591)으로 진행할수록 높이(h3->h4)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고, 쿨링하단부(510b)는 유도공(591)에서 냉매배출구(570)로 진행할수록 높이(h5->h6)가 낮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냉매유도부(590)는 냉매주입구(530)에서 냉매주입구(530)가 배치되는 쿨링상단부(510a)의 옆면과 마주보는 다른 옆면 근처에 형성되는 유도공(591)으로 진행할수록 점진적으로 높이(h3->h4)가 낮아지는 것이다. 이에 따라, 냉매유도부(590)는 소정의 각도를 가지며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냉매유도부(590)가 냉매주입구(530)에서 유도공(591)으로 진행할수록 높이가 점진적으로 낮아지도록 형성됨으로써, 냉매분사구(550)를 통해 핀-휜 냉각부(410)에 제공되는 냉매의 순환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쿨링하단부(510b)는 유도공(591)에서 냉매배출구(570)로 진행할수록 높이(h5->h6)가 낮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쿨링하단부(510b)는 소정의 각도를 가지며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쿨링하단부(510b)가 유도공(591)에서 냉매배출구(570)로 진행할수록 높이(h5->h6)가 점진적으로 낮아지도록 형성됨으로써, 핀-휜 냉각부(410)를 냉각시켜 온도가 상승된 냉매를 냉매배출구(570)로 빠르게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쿨링 팬부(500)에 제공되는 냉매의 순환속도가 더욱 빠르게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냉매유도부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6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냉매유도부(590)의 높이(h1,h2)가 다르게 형성되는 것이다.
냉매유도부(590)는 냉매주입구(530)에서 유도공(591)으로 진행할수록 높이(h1->h2)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면서 중앙 영역에서 바깥 테두리 영역으로 진행할수록 높이(h1->h2)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냉매유도부(590)는 중앙 영역에서 외곽 영역으로 진행할수록 높이(h1->h2)가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것이다. 이에 따라, 냉매유도부(590)는 소정의 각도를 가지며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냉매유도부(590)가 중앙 영역에서 외곽 영역으로 진행할수록 높이(h1->h2)가 점진적으로 낮아지도록 형성됨으로써, 냉매분사구(550)를 통해 핀-휜 냉각부(410)에 제공되는 냉매의 순환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 또한, 핀-휜 냉각부(410)를 냉각시킨 냉매를 바깥 테두리 영역으로 유도함으로써, 온도가 오른 냉매를 통해 핀-휜 냉각부(410)의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500: 쿨링 팬부 510a: 쿨링상단부
510b: 쿨링하단부 530: 냉매주입구
550: 냉매분사구 570: 냉매배출구
590: 냉매유도부

Claims (6)

  1. 제어 PCB부;
    상기 제어 PCB부의 하단에 배치되는 EMI부;
    상기 EMI부의 하단에 배치되는 버스바;
    상기 버스바의 하단에 배치되는 IGBT 모듈부; 및
    상기 IGBT 모듈부의 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IGBT 모듈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키는 쿨링 팬부;를 포함하는 인버터용 전력 모듈의 쿨링 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쿨링 팬부는
    상기 IGBT 모듈부의 하단과 접하되 상기 IGBT 모듈부와 대응하여 위치하여 상기 IGBT 모듈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여 상기 IGBT 모듈부를 냉각시키는 핀-휜 냉각부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하는 쿨링상단부;
    상기 쿨링상단부의 옆면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냉매를 제공받는 냉매주입구;
    상기 쿨링상단부의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냉매주입구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냉매를 상기 핀-휜 냉각부에 제공하는 냉매분사구;
    상기 냉매분사구를 둘러싸면서 형성되어 상기 냉매분사구와 상기 냉매가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쿨링 팬부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이 상기 냉매분사구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열차단부;
    상기 냉매주입구가 배치되는 상기 쿨링상단부의 옆면에 배치되어 상기 핀-휜 냉각부를 거쳐 온도가 상승한 상기 냉매를 외부로 배출하는 냉매배출구;
    상기 쿨링상단부의 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냉매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되 상기 냉매분사구에서 분사되는 상기 냉매를 상기 냉매배출구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유도공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냉매유도부; 및
    상기 냉매유도부의 하단과 상기 쿨링상단부의 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쿨링상단부와 체결되고, 상기 유도공을 통해 유도되는 상기 냉매를 상기 냉매배출구로 빠르게 배출될 수 있도록 내부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지게 형성되는 쿨링하단부;를 포함하는 인버터용 전력 모듈의 쿨링 팬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유도부의 하단에는 상기 핀-휜 냉각부를 거쳐 온도가 상승한 상기 냉매에서 발생하는 열을 차단하는 냉매열차단부가 형성되는 인버터용 전력 모듈의 쿨링 팬 장치.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유도부에 형성되는 상기 유도공은 상기 냉매주입구가 배치되는 상기 쿨링상단부의 옆면과 마주보는 다른 옆면 근처에 배치되고,
    상기 냉매유도부는 상기 냉매주입구에서 상기 유도공으로 진행할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인버터용 전력 모듈의 쿨링 팬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유도부는 상기 냉매주입구에서 상기 유도공으로 진행할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면서 중앙 영역에서 바깥 테두리 영역으로 진행할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인버터용 전력 모듈의 쿨링 팬 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쿨링하단부는 상기 유도공에서 상기 냉매배출구로 진행할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되는 인버터용 전력 모듈의 쿨링 팬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분사구는 상기 핀-휜 냉각부와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되되,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는 상기 핀-휜 냉각부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핀-휜 냉각부에 냉매를 제공하여 상기 핀-휜 냉각부의 온도를 냉각시키는 인버터용 전력 모듈의 쿨링 팬 장치.
KR1020110050727A 2011-05-27 2011-05-27 인버터용 전력 모듈의 쿨링 팬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182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0727A KR101182662B1 (ko) 2011-05-27 2011-05-27 인버터용 전력 모듈의 쿨링 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0727A KR101182662B1 (ko) 2011-05-27 2011-05-27 인버터용 전력 모듈의 쿨링 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2662B1 true KR101182662B1 (ko) 2012-09-14

Family

ID=47113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0727A Expired - Fee Related KR101182662B1 (ko) 2011-05-27 2011-05-27 인버터용 전력 모듈의 쿨링 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26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82653A (en) * 2019-03-29 2020-09-30 Yasa Ltd Cooling arrangem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5087A (ja) 1998-05-11 1998-11-04 Hitachi Ltd インバータ装置
US5949640A (en) 1997-08-19 1999-09-07 Statpower Technologies Corp. Power inverter with re-orientable display panel and AC port modules
US7450388B2 (en) 2002-01-16 2008-11-11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Power converter connection configuration
US7579554B2 (en) 2005-05-25 2009-08-25 Sansha Electric Manufacturing Company Limited Heat sink arrangement for electrical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49640A (en) 1997-08-19 1999-09-07 Statpower Technologies Corp. Power inverter with re-orientable display panel and AC port modules
JPH10295087A (ja) 1998-05-11 1998-11-04 Hitachi Ltd インバータ装置
US7450388B2 (en) 2002-01-16 2008-11-11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Power converter connection configuration
US7579554B2 (en) 2005-05-25 2009-08-25 Sansha Electric Manufacturing Company Limited Heat sink arrangement for electrical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82653A (en) * 2019-03-29 2020-09-30 Yasa Ltd Cooling arrangement
GB2582653B (en) * 2019-03-29 2021-05-26 Yasa Ltd Cooling arrange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20182B2 (en) Semiconductor module cooler and semiconductor module
KR101189451B1 (ko) 인버터 스택
JP5700034B2 (ja) 半導体モジュール及び冷却器
US9903664B2 (en) Jet impingement cooling apparatuses having non-uniform jet orifice sizes
CN101510534B (zh) 用于功率半导体器件的冷却系统及包括该系统的功率模块
US9622390B2 (en) Apparatus for cooling inverter
CN113678247B (zh) 用于均匀冷却构件的装置和具有至少一个装置的机动车
EP2768017A1 (en) Cooler for semiconductor module, and semiconductor module
US20090205802A1 (en) Cooling device and vehicle provided with the same
US9171776B2 (en) Semiconductor cooling device
KR101914927B1 (ko) 전력용 반도체의 냉각 모듈
JP6237918B2 (ja) 電子部品の冷却器
TWI401705B (zh) 變壓器
KR101182661B1 (ko) 인버터용 전력 모듈의 쿨링 팬 장치
CN210075867U (zh) 液冷变频器系统
CN110758279B (zh) 用于车辆的集成控制器和车辆
KR101182662B1 (ko) 인버터용 전력 모듈의 쿨링 팬 장치
US20120067552A1 (en) Container data center
KR20130089329A (ko) 인버터 냉각장치
KR20180070270A (ko) 인버터 방열구조
CN107660011A (zh) 用于微波加热装置的冷却组件和微波加热装置
CN204438231U (zh) 烹饪电器
EP3496521B1 (en) Electronic component package
KR20210045155A (ko) 냉각 장치 및 그 냉각 장치를 이용한 인버터
CN206992093U (zh) 液冷散热装置及电机控制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18090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80908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