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81890B1 - 컬러양각 보강블록의 문양구현방법 - Google Patents

컬러양각 보강블록의 문양구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1890B1
KR101181890B1 KR1020120072379A KR20120072379A KR101181890B1 KR 101181890 B1 KR101181890 B1 KR 101181890B1 KR 1020120072379 A KR1020120072379 A KR 1020120072379A KR 20120072379 A KR20120072379 A KR 20120072379A KR 101181890 B1 KR101181890 B1 KR 101181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rtar
color
polymer
pattern
mol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2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교
Original Assignee
이용교
주식회사 지엔시에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교, 주식회사 지엔시에코 filed Critical 이용교
Priority to KR1020120072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18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1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189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8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vibrating or jol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8B3/0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6Quartz; San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54Pigments; Dy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Post-Treatments, Processing, Supply, Discharge, And Other Processes (AREA)

Abstract

컬러양각 보강블록을 적층하여 설치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적층된 컬러양각 보강블록의 폴리머 몰탈을 이룬 코팅부를 그라인더로 절삭하여 컬러양각 보강블록의 컬러부위를 노출하며 원하는 문양을 색인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절삭된 컬러양각 보강블록의 표면부에 폴리머 몰탈을 도포하여 컬러양각 보강블록의 컬러 부위를 커버하여 차단하는 제3단계와; 상기 폴리머 몰탈이 도포된 코팅부를 일정 기간 양생하는 제4단계와; 상기 폴리머 몰탈을 이룬 코팅부를 그라인더로 재절삭하여 컬러양각 보강블록의 컬러부위를 재노출하며 변경하고자 하는 문양을 재색인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컬러양각 보강블록의 문양구현방법을 제공하는바,
상기 제1단계에서는, 형틀에 몰탈을 주입하는 단계와; 주입된 상기 몰탈을 다짐기로 진동하며 다지는 진동다짐단계와; 상기 진동다짐단계를 수행한 몰탈을 내부진동기로 진동하며 다지는 재진동다짐단계와; 상기 진동다짐단계를 수행한 이후 몰탈 압축 강도 시험을 거쳐 강도 시험에 통과한 몰탈을 형틀에서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몰탈의 전면부에 폴리머 몰탈을 분사하며 도포하는 단계와; 도포된 상기 폴리머 몰탈을 경화하는 양생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형틀에 몰탈을 주입하는 단계에서는, 전방부에 컬러몰탈을 후방부에는 일반몰탈을 주입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재진동다짐단계에서는, 콘크리트 몰탈의 내부 기포를 제거하기 위하여 몰탈 타설 위치의 깊은 곳을 나무망치로 집중가격하여 형틀부근에서의 기포 생성을 유도하고, 나무망치로 형틀 아래에서부터 윗방향으로 이동하며 가격함과 동시에 내부진동기를 가하면서 공기와 물을 콘크리트 몰탈 상부방향으로 이동유도하며 제거할 수 있고,
상기 몰탈의 전면부에 폴리머 몰탈을 분사하며 도포하는 단계에서의 폴리머 몰탈은, 폴리머, 시멘트, 모래를 혼합한 물질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보강블록 자체에 색상을 첨가하여 정면을 향하도록 배치하여 적층하고, 원형의 점자식 돌출부위를 컬러로 만들고 그 위에 미세마이크로 폴리머 몰탈로 재코팅하여 현장에서 글씨를 색인하고자 하는 위치에 시공한 다음 문양, 글씨 등을 도안하여 상부에 코팅된 양각부분의 돌기부분을 화강석 그라인딩기로 그라인딩하여 원하는 문양, 글씨가 외부로 노출되어 정교한 문양과 글씨 등을 색인하여 주므로 인하여 장기적으로 블록이 부서지기 전에는 문양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며 장시간 경과하여 컬러가 퇴색시에는 돌기 부위에 몰탈 제조시에 사용한 도료와 시멘트를 혼합하여 도색하여 주므로 장기적인 수명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글씨 문양을 바꾸고자 할 경우 원래의 미세몰탈을 전면적으로 시공한 후 다시 도안하여 다른 문양을 만들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문양 변경에 따른 작업 가중을 덜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변경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컬러양각 보강블록의 문양구현방법{The Pattern Realizing Method Of Color Relief Reinforced Block}
본 발명은 컬러양각 보강블록의 문양구현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색감물질을 혼합하여 마련된 보강블록을 제공하되, 보강블록의 교체 없이도 새로운 문양의 변경을 항시적으로 가능케하는 컬러양각 보강블록의 문양구현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보강토 블록 시공시에 경관적 측면에서 간단한 모양이나 글씨를 새겨 지루함을 해소함과 아울러 미관을 제공하도록 컬러몰탈로 제조하여 문양을 만들고 있으나 정교하지 못하고 글씨를 만들 경우에 작업성이 까다로워 별도로 제작된 글씨 조형물을 블록벽면에 부착하는 형태로 제작되고 있다.
따라서 장기적인 노출 특성상 풍화작용 등에 의해 오래 견디지 못한 채 파괴되거 파손이 일어나 흉물스러운 상태로 놓여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상기 문제점들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기술들로는 공개특허 10-2007-0008286호, 공개특허 10-2011-0126274호, 등록특허 10-1030700호의 기술들이 있다.
상기 기술들은 블록 자체에 색상물을 혼합한 후 연마 수행에 의해 문양을 벽면에 구현토록 함으로써 별도로 제작해야 하는 문양 조형물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 비용이 절감되고 아울러 풍화작용 등에 의한 문양 조형물의 파손 문제점을 염려할 필요가 없게 된다.
그러나, 상기 기술들은, 일회성으로만 문양을 구현할 수밖에 없어 여전히 오랜 시간이 지나면 지루함을 느끼게 되고 문양을 변경하고자 할 경우에는 설치된 블록들을 해체한 후 다시 변경하고자 하는 문양대로 블록들을 설치해야하는 작업성의 까다로움과 이로 인하여 블록의 교체에 따른 부가적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공개특허 10-2007-0008286 공개특허 10-2011-0126274 등록특허 10-1030700
전술된 문제점들을 해소하고자 함에 있어 본 발명에 따른 컬러양각 보강블록의 문양구현방법은, 지루함 없는 미관을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문양을 변경할 경우 보강블록의 교체 없이 새로운 문양의 변경을 이루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적층된 보강블록을 교체 하지 않고 새로운 문양 변경을 이룸으로써 일회성이 아닌 반영구적인 문양 구현을 이루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강블록의 교체 없이 새로운 문양 변경이 가능함에 따라 보강블록을 교체함으로 수반되는 부가적 비용의 절감 및 작업성의 편리함을 제공하조가 함에 목적이 있다.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고자 함에 있어 본 발명에 따른 컬러양각 보강블록의 문양구현방법은,
컬러양각 보강블록을 적층하여 설치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적층된 컬러양각 보강블록의 폴리머 몰탈을 이룬 코팅부를 그라인더로 절삭하여 컬러양각 보강블록의 컬러부위를 노출하며 원하는 문양을 색인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절삭된 컬러양각 보강블록의 표면부에 폴리머 몰탈을 도포하여 컬러양각 보강블록의 컬러 부위를 커버하여 차단하는 제3단계와;
상기 폴리머 몰탈이 도포된 코팅부를 일정 기간 양생하는 제4단계와;
상기 폴리머 몰탈을 이룬 코팅부를 그라인더로 재절삭하여 컬러양각 보강블록의 컬러부위를 재노출하며 변경하고자 하는 문양을 재색인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컬러양각 보강블록의 문양구현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단계에서는,
형틀에 몰탈을 주입하는 단계와;
주입된 상기 몰탈을 다짐기로 진동하며 다지는 진동다짐단계와;
상기 진동다짐단계를 수행한 몰탈을 내부진동기로 진동하며 다지는 재진동다짐단계와;
상기 진동다짐단계를 수행한 이후 몰탈 압축 강도 시험을 거쳐 강도 시험에 통과한 몰탈을 형틀에서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몰탈의 전면부에 폴리머 몰탈을 분사하며 도포하는 단계와;
도포된 상기 폴리머 몰탈을 경화하는 양생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컬러양각 보강블록의 문양구현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형틀에 몰탈을 주입하는 단계에서는,
전방부에 컬러몰탈을 후방부에는 일반몰탈을 주입함으로 이루어지는 컬러양각 보강블록의 문양구현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재진동다짐단계에서는,
콘크리트 몰탈의 내부 기포를 제거하기 위하여 몰탈 타설 위치의 깊은 곳을 나무망치로 집중가격하여 형틀부근에서의 기포 생성을 유도하고, 나무망치로 형틀 아래에서부터 윗방향으로 이동하며 가격함과 동시에 내부진동기를 가하면서 공기와 물을 콘크리트 몰탈 상부방향으로 이동유도하며 제거하는 컬러양각 보강블록의 문양구현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몰탈의 전면부에 폴리머 몰탈을 분사하며 도포하는 단계에서의 폴리머 몰탈은, 폴리머, 시멘트, 모래를 혼합한 물질로 이루어지는 컬러양각보강블록의 문양구현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색감을 혼합하여 마련된 보강블록을 구비함으로써 지루함 없는 미관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들로는, 문양을 변경할 경우 보강블록의 교체 없이 새로운 문양의 변경을 이룰 수 있고, 한번 적층된 보강블록을 교체 하지 않고 새로운 문양 변경을 이룰 수 있으며, 일회성이 아닌 반영구적인 문양 구현도 이룰 수 있다.
아울러, 보강블록의 교체 없이 새로운 문양 변경이 가능함에 따라 보강블록을 교체함으로 수반되는 부가적 비용의 절감 및 작업성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고 장기적인 수명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컬러양각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컬러양각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진동다짐단계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컬러양각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재진동다짐단계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컬러양각블록을 이용한 설치도.
도 6은 본 발명의 컬러양각블록의 표면부인 코팅부 절삭하는 단계
도 7은 본 발명의 컬러양각블록의 문양 색인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강블록(10)에 있어 전방부는 컬러몰탈(12)로 이루어지고, 후방부는 일반몰탈(13)로 이루어지며, 중공부(14)에는 잡석이 충진되며, 컬러몰탈(12)로 이루어진 전면부의 표면부는 돌기(10a)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수개의 돌기(10a)로 배열형성된 표면부는 분사된 폴리머 몰탈(11a)로 이루어진 코팅부(11)를 이루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보강블록(10)을 설치한다.(S1)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때 설치되는 돌기(10a)를 이룬 컬러몰탈(12)의 보강블록(10)은 문양이 이루어질 수 있는 곳에 배치하여 설치하고 상기 보강블록의 설치된 부위 이외의 곳에는 식별이 용이하도록 돌기(10a)가 없는 무색의 일반블록을 배치하여 설치할 수 있다.
설치된 보강블록(10)의 코팅부(11)를 그라인더(60)로 절삭한다.(S2)
도 6,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때 각 보강블록(10)의 코팅부(11)를 그라인더(60)로 절삭하여 컬러 부분이 돌출되도록 하여 문양을 구현하게 된다.
이후에 새로운 문양으로 변경하기 위해서는 컬러로 이루어진 컬러몰탈(12) 표면부에 다시 폴리머 몰탈(11a)을 분사하여 도포토록 한다.(S3)
이때 표면부에 컬러 부위가 완전 차단 될 때까지 폴리머 몰탈(11a)를 분사하여 코팅부(11)를 이루고자함이 요구된다.
표면부 코팅부(11)를 이룬 보강블록(10)의 양생을 이루도록 한다(S4)
이때 컬러부위의 표면부에 폴리머 몰탈(11a)이 분사된 코팅부(11)가 양생되도록 일정 시간 건조하는 기간을 확보하도록 한다.
상기 코팅부(11)를 그라인더(60)로 다시 절삭한다.(S5)
이때 변경된 문양이 발현될 수 있도록 변경하고자 하는 보강블록(10) 부위의 코팅부(11)를 그라인더(60) 다시 절삭하여 새로운 컬러부분이 다시 돌출되면서 변경된 문양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계(S1)에서의 보강블록(10) 설치에 앞서, 보강블록(10)의 제조가 선행되어 수행된다.
형틀(100)에 몰탈을 주입하는 단계(S1-1)를 수행한다.
이때 형틀(100)에 몰탈을 주입함에 있어 전방부에는 컬러몰탈(12)을 주입하고, 후방부에는 일반몰탈(13)을 주입하도록 한다.
주입된 상기 몰탈을 진동하며 다지는 진동다짐단계(S1-2)를 수행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때 다짐기(30)를 이용하여 주입된 몰탈을 다지게 되는데 이 경우 다짐기(30)로 몰탈의 다짐을 수행함은, 콘크리트가 철근 및 매설물 등의 주위와 형틀(100)의 구석구석까지 잘 채워져 밀실한 콘크리트가 되도록 하기 위함이고, 형틀(100) 판에 접하는 콘크리트가 가급적 평탄한 표면을 얻기 위함이며, 철근 및 매설물과의 부착력 증대를 이루기 위함이다.
단, 너무 강하게 다짐하게 되면 콘크리트 표면에 기포가 생기거나 공극이 발생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주의가 요구된다.
진동다짐단계를 수행한 몰탈에 재진동다짐단계(S1-3)를 수행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때 타설 및 다짐이 완료된 몰탈이 경화하는 과정에서 수분과 기포가 발생하게 되는데 특히 상부 수평 철근 밑으로 집중되어 철근과의 부착력을 감소시키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실시되는 것이다.
따라서 재진동다짐 수행시 아직 굳지 않은 몰탈을 내부 진동기(40)로 다져 콘크리트의 수분과 기포를 제거함에 따라 콘크리트의 균질성이 얻어지는데, 좀더 보충적으로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내부진동기(40)는 될 수 있는 대로 연직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찔러 넣는다. 이 간격은 일반적으로 50cm 이하로 하고, 진동을 가하는 시간은 콘크리트의 윗면에 페이스트가 떠오를 때까지로 한다.
또한, 콘크리트 몰탈의 내부 기포를 제거함에 있어서는, 먼저 기포가 생성될 수 있도록 타설 위치의 깊은 곳을 나무망치(50)로 집중 가격하면 형틀(100) 부근에 기포가 생성되어 모여 들고, 이렇게 모여진 기포를 제거하도록 내부진동기(40)를 가하면서 나무망치(50)로 아래에서 위로 이동하며 가격 진동을 가하면 공기와 물과 가벼운 성분이 콘크리트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며 제거된다.
이때 형틀(100)의 한곳을 집중 타격하지 말고 아래부터 위로 공기가 유도되도록 가격하고, 내부진동기(40)는 반드시 수직으로 삽입한 후 수직으로 뽑아 올린다.
진동다짐단계를 수행한 이후 몰탈 압축 강도 시험을 거쳐 강도 시험에 통과한 접합한 몰탈을 형틀(100)에서 분리하는 단계(S1-4)를 수행한다.
이때 형틀(100)에서 분리되는 몰탈은 양생 기간 중에 있는 몰탈을 분리하도록 하는 바, 즉 굳기를 이룬 몰탈을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컬러몰탈(12)을 이룬 전면부에 폴리머 몰탈(11a)을 분사하면서 도포하는 단계(S1-5)를 수행한다.
이때 도포되는 폴리머 몰탈[polymer mortar]은, 탄성, 방수성, 접착성, 내식성 등의 특성을 갖는 것으로서 폴리머와 시멘트와 모래를 혼합한 물질로 구성된다.
즉, 폴리머 몰탈은 시멘트의 물을 뺏앗아 보강블록(10)을 탈수 및 건조시킴으로써 시멘트 경화체와 골재를 강고하게 결합시킨다.
양생하는 단계(S1-5)를 수행한다.
도포된 폴리머 몰탈(11a)을 경화토록 일정한 기간을 정하여 서늘한 곳에 보관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컬러양각 보강블록의 문양구현방법은, 색감을 혼합하여 마련된 보강블록을 구비함으로써 지루함 없는 미관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와, 문양을 변경할 경우 보강블록의 교체 없이 새로운 문양의 변경을 이룰 수 있고, 한번 적층된 보강블록을 교체 하지 않고 새로운 문양 변경을 이룰 수 있으며, 일회성이 아닌 반영구적인 문양 구현도 이룰 수 있으며, 아울러 보강블록의 교체 없이 새로운 문양 변경이 가능함에 따라 보강블록을 교체함으로 수반되는 부가적 비용의 절감 및 작업성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고 장기적인 수명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보강블록 10a: 돌기
11 : 코팅부 11a: 폴리머몰탈
12 : 컬러몰탈 13 : 일반몰탈
14 : 중공부
30 : 다짐기 40 : 내부진동기
50 : 나무망치 60 : 그라인더
100 : 형틀

Claims (6)

  1. 컬러양각의 보강블록(10)을 적층하여 설치하는 제1단계와;
    적층된 상기 보강블록(10)의 폴리머 몰탈(11a)을 이룬 코팅부(11)를 그라인더(60)로 절삭하여 보강블록(10)의 컬러부위를 노출하며 원하는 문양을 구현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절삭된 보강블록(10)의 표면부에 폴리머 몰탈(11a)을 도포하여 보강블록(10)의 컬러몰탈(12) 부위를 커버하여 차단하는 제3단계와;
    상기 폴리머 몰탈(11a)이 도포된 코팅부(11)를 일정 기간 양생하는 제4단계와;
    상기 폴리머 몰탈(11a)을 이룬 코팅부(11)를 그라인더(60)로 재절삭하여 보강블록(10)의 컬러몰탈(12) 부위를 재노출하며 변경하고자 하는 문양을 재구현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양각 보강블록의 문양구현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1단계에서는,
    형틀(100)에 몰탈을 주입하는 단계와;
    주입된 상기 몰탈을 다짐기(30)로 진동하며 다지는 진동다짐단계와;
    상기 진동다짐단계를 수행한 몰탈을 내부진동기(40)로 진동하며 다지는 재진동다짐단계와;
    상기 진동다짐단계를 수행한 이후 몰탈 압축 강도 시험을 거쳐 강도 시험에 통과한 몰탈을 형틀(100)에서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몰탈의 전면부에 폴리머 몰탈(11a)을 분사하며 도포하는 단계와;
    도포된 상기 폴리머 몰탈(11a)을 경화하는 양생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양각 보강블록의 문양구현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형틀(100)에 몰탈을 주입하는 단계에서는,
    전방부에 컬러몰탈(12)을 후방부에는 일반몰탈(13)을 주입함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양각 보강블록의 문양구현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진동다짐단계에서는,
    콘크리트 몰탈의 내부 기포를 제거하기 위하여 몰탈 타설 위치의 형틀(100) 깊은 곳을 나무망치(50)로 집중가격하여 형틀(100) 부근에서의 기포 생성을 유도하고, 나무망치(50)로 형틀(100) 아래에서부터 윗방향으로 이동하며 가격함과 동시에 내부진동기(40)를 가하면서 공기와 물을 콘크리트 몰탈 상부방향으로 이동유도하며 제거함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양각 보강블록의 문양구현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몰탈의 전면부에 폴리머 몰탈(을 분사하며 도포하는 단계에서의 폴리머 몰탈은,
    폴리머, 시멘트, 모래를 혼합한 물질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양각보강블록의 문양구현방법.
  6. 삭제
KR1020120072379A 2012-07-03 2012-07-03 컬러양각 보강블록의 문양구현방법 Active KR1011818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379A KR101181890B1 (ko) 2012-07-03 2012-07-03 컬러양각 보강블록의 문양구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379A KR101181890B1 (ko) 2012-07-03 2012-07-03 컬러양각 보강블록의 문양구현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1890B1 true KR101181890B1 (ko) 2012-09-11

Family

ID=47074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2379A Active KR101181890B1 (ko) 2012-07-03 2012-07-03 컬러양각 보강블록의 문양구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18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9567B1 (ko) * 2016-12-28 2017-10-25 비알테크(주) 앵커분력을 보강한 비탈사면용 콘크리트앵커블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9567B1 (ko) * 2016-12-28 2017-10-25 비알테크(주) 앵커분력을 보강한 비탈사면용 콘크리트앵커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1204063B2 (en) Artificial stone slab comprising vein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AU2012216408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a Translucent Multilayer Composite Construction Element with Integrated Facade Panel
KR101181890B1 (ko) 컬러양각 보강블록의 문양구현방법
KR101562612B1 (ko) 혼합실리콘을 이용하여 구조물에 문양을 형성하는 방법
US8920067B2 (en) Concrete decorative inlay process
KR101097120B1 (ko) 투수형 현무암 인조 판석과 그 제조방법
KR101226960B1 (ko) 목재 일체형 블럭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510418B1 (ko) 자연석 표면을 갖는 스플릿 옹벽블록 및 그 제조방법
JP4157120B2 (ja) 擬石の製造方法
KR101289049B1 (ko) 투수 및 공기순환 판석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
RU2446941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изделий, имитирующих природный камень
KR101345355B1 (ko) 무늬가 형성된 건축용 마감판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267290B1 (ko) 투수성 블록포장용 블록 및 투수성 블록포장의 시공방법
CN108589461B (zh) 一种中空模型及应用该中空模型的园林道路施工工艺
KR20100037342A (ko) 건물 저층 외벽용 문양 거푸집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75348A (ko) 맨홀
KR20090077341A (ko) 투수 보도블록 및 그 제조 금형
KR100741410B1 (ko) 흡수성 포장층의 시공방법
KR100976416B1 (ko) 자연석의 이미지를 갖는 블럭의 제조 방법
KR100720179B1 (ko) 옹벽 문양의 콘크리트 벽체 제조방법
KR20090109820A (ko) 친환경 스톤블록의 제조방법
JP3851323B2 (ja) 布基礎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0166990B1 (ko) 자연석 블록의 제조방법
KR20170121809A (ko) 혼합실리콘을 이용하여 구조물에 문양을 형성하는 방법
KR101046595B1 (ko) 도로경계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7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71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70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7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9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9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2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3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