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1869B1 - Mixed Solenoid Valve - Google Patents
Mixed Solenoid Valv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81869B1 KR101181869B1 KR1020090036346A KR20090036346A KR101181869B1 KR 101181869 B1 KR101181869 B1 KR 101181869B1 KR 1020090036346 A KR1020090036346 A KR 1020090036346A KR 20090036346 A KR20090036346 A KR 20090036346A KR 101181869 B1 KR101181869 B1 KR 10118186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lenoid
- valve
- type solenoid
- valve body
- typ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03—Multiple-way valves
- F16K31/061—Sliding valves
- F16K31/0613—Sliding valves with cylindrical slid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F16K11/065—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 F16K11/07—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with cylindrical slid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 F16K27/048—Electromagnetically actuated valv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6—Rectilinearly-movable arm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NC-NO 혼합형 솔레노이드 밸브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C-NO 혼합형 솔레노이드 밸브는 유체의 유출입을 위한 복수의 포트를 가지는 밸브 본체; 상기 밸브 본체 내에 장착되어 유체의 흐름을 절환시켜 주는 스풀; 상기 밸브 본체의 일측에 연결되며, 통전 시 상기 스풀을 하기의 NO형 솔레노이드 방향으로 밀어내는 NC형 솔레노이드; 및 상기 밸브 본체의 타측에 연결되며, 비통전 시 상기 스풀을 상기 NC형 솔레노이드 방향으로 밀어내는 NO형 솔레노이드를 포함한다.An NC-NO hybrid solenoid valve is provided. NC-NO mixed solenoid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valve body having a plurality of ports for the inflow and outflow of fluid; A spool mounted in the valve body for switching fluid flow; An NC type solenoid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valve body and pushing the spool in the direction of the NO type solenoid below when energized; And a NO type solenoid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valve body and for pushing the spool in the NC type solenoid direction when non-energized.
솔레노이드 밸브, 상시 폐쇄형 솔레노이드, 상시 개방형 솔레노이드, Solenoid valve, normally closed solenoid, normally open solenoid,
Description
본 발명은 NC-NO 혼합형 솔레노이드 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밸브의 일측에 NC(NORMAL CLOSE, 이하 NC로 표기)형 솔레노이드가 설치되고, 밸브의 타측에 NO(NORMAL OPEN, 이하 NO로 표기)형 솔레노이드가 설치됨으로써, 솔레노이드 밸브의 오작동 발생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NC-NO 혼합형 솔레노이드 밸브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NC-NO mixed solenoid valve, and more specifically, an NC (NORMAL CLOSE) type solenoid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valve, and NO (NORMAL OPEN, hereinafter NO) on the other side of the valve. By the installation of the solenoid type, it relates to a NC-NO mixed solenoid valve that can reduce the possibility of malfunction of the solenoid valve.
일반적으로 솔레노이드 밸브는 제어에 따라 인가되는 전류를 매개로 소정의 전자기력을 생성하는 코일과, 상기 코일에 의해 생성되는 전자기력을 매개로 축방향으로 가압되어 이동하는 플런져, 상기 플런져의 일측 선단부에 접촉되어 축방향으로 가압되어 이동하는 스풀 및, 상기 스풀을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수용하면서 작동유의 유/출입 통로를 형성하는 하우징으로 구성된다. In general, a solenoid valve includes a coil for generating a predetermined electromagnetic force through a current applied according to a control, a plunger that is pressurized in an axial direction through an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ed by the coil, and at one end of the plunger. It consists of a spool which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axial direction and moves, and a housing for movably receiving the spool therein to form an oil / exit passage of the working oil.
이러한 솔레노이드 밸브에는 NBR, VITON, 테프론 재질의 얇은 고무막으로 이루어진 다이아프램이 구비되어 비통전 시에는 유로를 막고 있다가, 통전이 되면 상부에 위치한 코일의 자력에 의해 상승하여 유로를 개방시키도록 할 수 있다. The solenoid valve is provided with a diaphragm made of a thin rubber membrane made of NBR, VITON, and Teflon to block the flow path when not energized. Can be.
한편, 솔레노이드 밸브는 상시 개방형인 NO 타입 솔레노이드와, 상시 폐쇄형인 NC 타입 솔레노이드로 구분된다. On the other hand, the solenoid valve is divided into a normally open type NO solenoid and a normally closed type NC solenoid.
여기서, 상시 폐쇄형(NC형) 솔레노이드 밸브는 비통전 시, 밸브가 닫혀 있다가 통전되면 밸브가 열리는 방식으로 현재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Here, the normally closed solenoid valve (NC type) is currently widely used in the manner that the valve is closed when the current is energized when the valve is closed.
한편, 상시 개방형(NO형) 솔레노이드 밸브는 비통전 시, 밸브가 열려 있다가 전압이 인가되어 통전되면 밸브가 닫히는 방식으로 최근 들어 그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normally open solenoid valve (NO type) has been recently utilized in such a way that the valve is open when the non-energized, the voltage is applied when the valve is closed when energized.
그러나, 이와 같은 솔레노이드 밸브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오작동이 일어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이물질 유입에 따른 오작동이 있을 수 있으며, 또는 전원 공급의 불안정으로 인한 오작동이나, 전원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도 유로가 정상적으로 차단되지 못하여 발생하는 오작동 등 다양한 원인들이 있을 수 있다.However, such a solenoid valve may malfunction due to various causes. In general, there may be a malfunction due to foreign material inflow, or malfunction due to instability of the power supply, or a flow path is normally blocked even when the power supply is cut off. There can be a variety of causes, including malfunctions caused by failure.
예컨대, 지하철 도어에 적용된 솔레노이드 밸브에서 상기와 같은 원인으로 인해 오작동이 발생하는 경우, 지하철 도어가 완전히 닫히지 않은 상태로 지하철이 운행되거나, 또는 운행 중인 지하철에서 갑자기 도어가 열리게 될 수 있어 자칫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For example, if a malfunction occurs in the solenoid valve applied to the subway door due to the above reasons, the subway may be operated without the subway door completely closed, or the door may suddenly open in a running subway. There is a problem that can lead to.
따라서, 솔레노이드 밸브의 오작동률을 현저히 감소시킴으로써, 솔레노이드 밸브가 적용되는 장치가 보다 안전하게 운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새로운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Therefore, 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malfunction rate of the solenoid valve, a new method for making the device to which the solenoid valve is applied can be operated more safely is required.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밸브의 일측에 NC형 솔레노이드가 설치되고, 밸브의 타측에 NO형 솔레노이드가 설치됨으로써, 솔레노이드 밸브의 오작동 발생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NC-NO 혼합형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C-NO mixed solenoid valve that can reduce the possibility of malfunction of the solenoid valve by installing the NC type solenoid on one side of the valve, and the NO type solenoid on the other side of the valve. It is.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C-NO 혼합형 솔레노이드 밸브는 유체의 유출입을 위한 복수의 포트를 가지는 밸브 본체; 상기 밸브 본체 내에 장착되어 유체의 흐름을 절환시켜 주는 스풀; 상기 밸브 본체의 일측에 연결되며, 통전 시 상기 스풀을 하기의 NO형 솔레노이드 방향으로 밀어내는 NC형 솔레노이드; 및 상기 밸브 본체의 타측에 연결되며, 비통전 시 상기 스풀을 상기 NC형 솔레노이드 방향으로 밀어내는 NO형 솔레노이드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NC-NO mixed solenoid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valve body having a plurality of ports for the inflow and outflow of the fluid; A spool mounted in the valve body for switching fluid flow; An NC type solenoid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valve body and pushing the spool in the direction of the NO type solenoid below when energized; And a NO type solenoid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valve body and for pushing the spool in the NC type solenoid direction when non-energized.
이때, NO형 솔레노이드는, 가동자와 고정자로 구성된 플런저를 구비하되, 상기 가동자는 상기 고정자의 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t this time, the NO-type solenoid is provided with a plunger composed of a mover and a stator, wherein the mover is located behind the stator.
또한, NO형 솔레노이드는, 수동으로 밸브 본체의 오리피스를 개폐하는 수동버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NO type solenoid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manual button for manually opening and closing the orifice of the valve body.
또한, NC형 솔레노이드와 NO형 솔레노이드에는 전원 공급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NC type solenoid and the NO type solenoi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supply is made at the same tim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NC-NO 혼합형 솔레노이드 밸브에 따르면, 밸브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구비되는 상시 NC형 및 NO형 솔레노이드의 동작을 통해, 밸브의 오작동 발생률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NC-NO mixed solenoid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always-type NC and NO-type solenoids provid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valv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occurrence rate of malfunction of the valve.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밸브만으로 2개의 밸브(NC형 솔레노이드 밸브, NO형 솔레노이드 밸브)를 사용하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어, 2개의 밸브로 이루어진 구조의 구현 시 요구되는 배관 및 기타 연결 상의 복잡성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는 등의 추가적인 장점도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lement a structure using two valves (NC type solenoid valve, NO type solenoid valve) with only one valve, the complexity of piping and other connections required when implementing the structure consisting of two valves There are additional advantages, such as being simplified.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 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e present embodiments merely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are common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which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C-NO 혼합형 솔레노이드 밸브의 비통전 시 동작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NC-NO 혼합형 솔레노이드 밸브의 통전 시 동작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during non-energization of the NC-NO mixed solenoid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when energizing the NC-NO mixed solenoid valve of FIG. 1.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C-NO 혼합형 솔레노이드 밸브는 밸브 본체(100), NC형 솔레노이드(200) 및 NO형 솔레노이드(3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ure 1 and 2, the NC-NO mixed solenoid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여기서, 밸브 본체(100)는 실린더와 연통되는 다수의 포트와 공기압이 유입되는 에어홀로 구성되고, 내부에 유체의 흐름을 절환시켜 주는 스풀(110)이 장착된 것으로, 통상의 솔레노이드 밸브에 적용되는 밸브 본체의 구성과 유사한 것으로 이해해도 무방할 것이다. Here, the
이러한 밸브 본체(100)의 양측에는 솔레노이드가 각각 설치되는데, 보다 자세하게는, NC형 솔레노이드(200)와 NO형 솔레노이드(300)가 밸브 본체(100)를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하나씩 설치된다. Solenoids are respectively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C-NO 혼합형 솔레노이드 밸브는, 스풀(1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으로 밸브 본체(100)의 양측에 각각 전압 인가 여부에 따라 유로의 개폐를 제어하는 솔레노이드가 설치되는데, 이때, 설치되는 솔레노이드로는 NC형 솔레노이드(200)와 NO형 솔레노이드(300)로 구성되며, 일측에는 NC형 솔레노이드(200)가 설치되고, 타측에는 NO형 솔레노이드(300)가 설치된다. In other words, the NC-NO hybrid solenoid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an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여기서, NC형 솔레노이드(200)는 전원 공급에 의하여 자기력을 생성하는 원통의 전자기 코일(210)과 상기 전자기 코일(210)의 내부에 위치되는 중공 원통형의 고정자(220)와, 선단에는 패킹 구비되고 타단에는 금속성의 플런저가 고정되는 가동자(230) 등으로 구성된다. Here, the NC-
이때, 가동자(230)는 금속 재질의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가 고정되는 플런저 로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가동자(230)의 플런저로드 외주연에는 플런저와 고정자(220)에 고정된 스토퍼 사이에 삽설되는 스프링이 감겨지고, 상기 구성요소의 외부에는 케이스가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에 체결되어 구성된다. At this time, the
이처럼, 본 발명의 NC-NO 혼합형 솔레노이드 밸브는, 밸브 본체(100)의 일측에 NC형 솔레노이드(200)가 설치됨으로써, 전압 인가 여부에 따라 밸브 본체(100) 내부의 스풀(110)을 동작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NC-NO mixed solenoid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한편, 본 발명의 밸브 본체(100)의 타측에는 상기 NC형 솔레노이드(200)와 반대로 동작하는 NO형 솔레노이드(300)가 설치된다. On the other hand, the other side of the
여기서, NO형 솔레노이드(300)는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전압이 인가되기 이전인 비통전 시, 밸브가 열려 있다가 전압이 인가되면 통전되어 밸브가 닫히도록 하는 장치인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종래 NO형 솔레노이드(300)가 적용되어도 무방 하다. Here, as described above, the NO-
즉, 본 발명의 NC-NO 혼합형 솔레노이드 밸브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를 구성하는 데에 있어, 밸브 본체(100)의 양측에 NC형 솔레노이드(200)와 NO형 솔레노이드(300)를 각각 설치하여 양 솔레노이드(200, 300)에 동시에 전압이 인가되고, 차단되는 경우에만 스풀(110)이 동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at is, the NC-NO mixed solenoid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1 and 2, in the configuration of the valve, the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스풀(110)은, 밸브 본체(100)의 일측에 마련된 NC형 솔레노이드(200)의 피스톤(240)과 접하며, 또한 타측의 NO형 솔레노이드(300)의 피스톤(340)과도 접하게 된다. To this end, the
이처럼, 본 발명은 전압 인가 여부에 따라 서로 반대의 동작을 수행하는 양 솔레노이드(200, 300)가 밸브 본체(10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정상적인 작동과정에 있어서는, 종래의 단일 솔레노이드 밸브와 동일하게 작동된다. 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wo solenoids (200, 300) to perform the opposite operation depending on whether the voltage is applied to each side of the valve body (100). However, in normal operation, it operates in the same way as a conventional single solenoid valve.
단, 본 발명의 NC형 솔레노이드(200)와 NO형 솔레노이드(300)에는 동시에 전압이 인가된다. However, the voltage is applied to the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NC-NO 혼합형 솔레노이드 밸브는, 가령, 본 발명에 구비된 두 개의 솔레노이드(200, 300) 중, 어느 하나의 솔레노이드에 오작동이 발생하더라도, 타측의 솔레노이드에 의해 밸브의 오작동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양 솔레노이드(200, 300) 중 어느 하나만 제대로 동작하면, 오작동이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rough the above configuration, the NC-NO mixed solenoid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even if a malfunction occurs in any one of the two solenoids (200, 300)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alve by the solenoid of the other side This prevents malfunction of the device.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if only one of both
본 발명은 두 개의 솔레노이드(200, 300)에 전압이 동시에 인가되거나, 혹은 동시에 차단되는 경우에만 밸브가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어느 한 솔레노이드에서 문제가 발생하여도 타측의 솔레노이드에 의해 정상 동작이 가능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alve operates only when the voltage is applied to the two solenoids (200, 300) at the same time, or at the same time. Accordingly, even if a problem occurs in one solenoid, the normal operation may be performed by the other solenoid.
가령, 본 발명의 NC-NO 혼합형 솔레노이드 밸브가 동작 대기 상태 즉, 비통전시라고 가정하면, NC형 솔레노이드(200)는 일반적인 동작 모드에 따라 오리피스가 막히게 되어 공기의 유입이 차단되고, 반면, NO형 솔레노이드(300)의 오리피스는 개방되어 공기가 유입된다. 이때 공기가 유입되는 NO형 솔레노이드(300) 측은 유입된 공기를 이용하여 피스톤(340)을 가압하게 되고, 이를 통해 스풀(110)은 NC형 솔레노이드(200)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NC-NO mixed solenoid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a standby state of operation, that is, non-energized, the
이때, 만약 전원 공급의 불안정 등의 이유로 어느 한 쪽의 솔레노이드 측에 의도하지 않은 전압인가가 이루어지게 된다면, 전압이 인가된 쪽의 솔레노이드는 통전 상태에 해당하는 동작을 취하게 될 것이다. At this time, if an unintended voltage is applied to either side of the solenoid due to instability of the power supply, the solenoid of the side to which the voltage is applied will take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energized state.
예컨대, 전압이 인가된 쪽의 솔레노이드가 NC형 솔레노이드(200)라고 가정한다면,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코일(210)에 의해 자력이 제공되고, 이에 따라 플런저가 후퇴하여 오리피스를 개방시키고, 개방된 오리피스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피스톤을 가압하여, 스풀(110)을 타측의 NO형 솔레노이드(300) 측으로 밀어내려 할 것이다.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solenoid on the side to which the voltage is applied is the
그러나, 정상 작동중인 NO형 솔레노이드(300)는, 오작동으로 인한 NC형 솔레 노이드(200)와 마찬가지로 같은 압력의 힘으로 피스톤(340)을 가압하여 스풀(110)을 NC형 솔레노이드(200) 측으로 밀어냄에 따라, 결과적으로는 양측이 서로 힘의 평형을 이루게 됨에 따라, 스풀(110)은 전혀 이동하지 않게 된다. However, the
이는, NC형 솔레노이드(200)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NO형 솔레노이드(300)가 오작동을 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This applies equally to the case where the
따라서, 본 발명은 양측의 솔레노이드 밸브(200, 300)에 동일하게 전압이 인가되거나, 또는 차단되는 경우에만 스풀(110)을 동작시키도록 하여 유체의 흐름을 절환시키도록 구성된 것으로,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솔레노이드 밸브의 오작동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switch the flow of fluid by operating the
이 외에도, NC형 솔레노이드(200)에는 임의로 밸브의 오리피스를 개폐할 수 있는 수동버튼(350)을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addition, the NC-
도 3은 도 1의 NO형 솔레노이드 밸브의 구성을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principal parts of the structure of the NO-type solenoid valve of FIG.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NC-NO 혼합형 솔레노이드 밸브는 가동자(330)가 고정자(320)의 후방에 배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NO형 솔레노이드(300)를 적용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in the NC-NO hybrid solenoid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a NO
다시 말해, 종래에는 가동자가 고정자보다 오리피스에 가까운 전방에 위치하여, 통전 시 입력포트(P)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의 압력에 의해 가동자가 오리피스 쪽으로 밀려 오리피스의 구멍을 막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In other words, in the related art, the mover is positioned closer to the orifice than the stator so that the mover is pushed toward the orifice by the pressure of external air flowing into the input port P when the energization is conducted, thereby blocking the hole of the orifice.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은 비통전시 가동자를 당기기 위한 힘이 많이 요구된 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외부 압력이 높은 경우 오리피스의 개방을 위해 가동자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데에 있어, 가동자의 동작 제어가 어려울 수 있다. However, such a configuration has a disadvantage that a lot of force is required to pull the mover during non-energization. In particular, when the external pressure is high, it may be difficult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over in returning the mover to the original position for opening the orific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밸브 본체의 일측에 결합되는 NO형 솔레노이드(300)의 가동자(330)를 고정자(320)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하고, 즉 가동자(330)가 고정자(320)보다 스풀(110) 측에 멀리 위치되는 고정자(320)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설치하고, 피스톤을 가압하기 위한 공기가 별도의 외부 배관을 통해 유입되지 않고, 밸브 본체(100)의 입력포트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이용하여 사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밸브 본체(100)와 NO형 솔레노이드(300)를 연결하는 내부 공기 유로가 별도로 형성된다. To this end, in the present invention, an internal air flow path connecting the
이때, 오리피스를 포함하는 구조물에는, 오리피스를 기준으로 상하 또는 좌우에 홀(hole)이 각각 추가되어 오리피스로 유입된 외부 공기가 상기 두 개의 홀을 통해 나가도록 구성된다. At this time, in the structure including the orifice, a hole (hole) is added to each of the top and bottom or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orifice so that the outside air introduced into the orifice exits through the two holes.
도 3을 참조하면, 여기서 오리피스는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입력 포트(P)에 해당하고, 상기 두 개의 홀은 출력 포트(A)에 해당한다. 한편, 설명되지 않은 R은 배기 포트로 후술되는 수동 버튼(350) 측에 마련된다. Referring to FIG. 3, an orifice corresponds to an input port P into which external air is introduced, and the two holes correspond to an output port A. FIG. On the other hand, R which is not described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이때, 오리피스 측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밸브 본체(100)에 유체의 유출입을 위해 형성된 복수의 포트 중 입력포트를 통해 유입된다. At this time, the air flowing into the orifice side is introduced through the input port of the plurality of ports formed for the inflow and outflow of the fluid in the valve body (100).
아울러, 본 발명은 오리피스를 임의로 개폐할 수 있는 수동 버튼(350)도 구비한다. 이러한 수동버튼(350)은 솔레노이드 밸브의 특성 상, 종래에는 NC형 솔레노이드 밸브에만 적용되었으나, 본 발명이 고정자(320)와 가동자(330)의 위치를 변 경함에 따라, 수동버튼(350)의 적용도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so has a
이때, 수동버튼(350)은 플런저와 수평 상으로 연장된 위치에 형성되며, 외력에 의한 푸쉬(push) 동작에 의해 임의로 가동자(330)를 동작시켜 오리피스 구멍을 개폐할 수가 있다. At this time,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NC-NO 혼합형 솔레노이드 밸브는, NO형 솔레노이드(300)의 가동자(330)와 고정자(320)의 구조를 변경하고, 공기가 유입되는 입,출력포트 및 배기 포트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가동자(3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배관이 요구되지 않아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NC-NO mixed solenoid valv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the structure of th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understand that.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C-NO 혼합형 솔레노이드 밸브의 비통전 시 동작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during non-energization of the NC-NO mixed solenoid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NC-NO 혼합형 솔레노이드 밸브의 통전 시 동작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NC-NO hybrid solenoid valve of FIG. 1 when energized. FIG.
도 3은 도 1의 NO형 솔레노이드 밸브의 구성을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principal parts of the structure of the NO-type solenoid valve of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밸브 본체 110 : 스풀100: valve body 110: spool
200 : NC형 솔레노이드 201 : 전원단자200: NC type solenoid 201: power supply terminal
210 : 코일 220 : 고정자210: coil 220: stator
230 : 가동자 240 : 피스톤230: mover 240: piston
300 : NO형 솔레노이드 301 : 전원단자300: NO type solenoid 301: power supply terminal
310 : 코일 320 : 고정자310: coil 320: stator
330 : 가동자 340 : 피스톤330: mover 340: piston
350 : 수동버튼350: Manual Button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36346A KR101181869B1 (en) | 2009-04-27 | 2009-04-27 | Mixed Solenoid Valv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36346A KR101181869B1 (en) | 2009-04-27 | 2009-04-27 | Mixed Solenoid Valv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17728A KR20100117728A (en) | 2010-11-04 |
KR101181869B1 true KR101181869B1 (en) | 2012-09-11 |
Family
ID=43404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36346A Active KR101181869B1 (en) | 2009-04-27 | 2009-04-27 | Mixed Solenoid Valv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81869B1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81353B1 (en) | 2023-12-08 | 2024-07-04 |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 Braking method by the vehicle brake system with plural pedal simulator |
KR102705142B1 (en) | 2023-12-08 | 2024-09-11 |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 Mixed solenoid valve |
KR102707738B1 (en) | 2023-12-08 | 2024-09-20 |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 Electronic braking system having a three-way solenoid valve |
KR102732666B1 (en) | 2023-12-08 | 2024-11-25 |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 Integrated electronic braking system |
KR102737616B1 (en) | 2023-12-08 | 2024-12-05 |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 Vehicle brake system |
KR20250087880A (en) | 2023-12-08 | 2025-06-17 | 한세모빌리티 주식회사 | Vehicle brake system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96066B1 (en) * | 2017-11-28 | 2019-07-04 | 피앤엠주식회사 | Bi-directinal Pump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14068Y1 (en) * | 2006-01-11 | 2006-04-14 | 주식회사 연우뉴매틱 | Pilot manual operation structure for iso-10mm solenoid valve coupling |
-
2009
- 2009-04-27 KR KR1020090036346A patent/KR10118186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14068Y1 (en) * | 2006-01-11 | 2006-04-14 | 주식회사 연우뉴매틱 | Pilot manual operation structure for iso-10mm solenoid valve coupling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81353B1 (en) | 2023-12-08 | 2024-07-04 |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 Braking method by the vehicle brake system with plural pedal simulator |
KR102705142B1 (en) | 2023-12-08 | 2024-09-11 |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 Mixed solenoid valve |
KR102707738B1 (en) | 2023-12-08 | 2024-09-20 |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 Electronic braking system having a three-way solenoid valve |
KR102732666B1 (en) | 2023-12-08 | 2024-11-25 |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 Integrated electronic braking system |
KR102737616B1 (en) | 2023-12-08 | 2024-12-05 |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 Vehicle brake system |
KR20250087880A (en) | 2023-12-08 | 2025-06-17 | 한세모빌리티 주식회사 | Vehicle brake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17728A (en) | 2010-11-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81869B1 (en) | Mixed Solenoid Valve | |
WO2021121170A1 (en) | Electro-hydraulic control valve for hydraulic operating mechanism, and electromagnetic pilot valve and pilot valve thereof | |
US10221957B2 (en) | Solenoid valve | |
CA2693851A1 (en) | Clog resistant pilot valve | |
CN110959084A (en) | Proportional valve for controlling a gaseous medium | |
CN106958667B (en) | Magnetic holding fuel oil change valve | |
KR101035101B1 (en) | Two stage air control valve | |
JP2003314736A (en) | Valve device with electromagnetic actuation | |
KR100858101B1 (en) | Solenoid valve | |
CN112746999A (en) | External leakage type reversing valve | |
CN214247839U (en) | External leakage type reversing valve | |
US20060249210A1 (en) | Pressure balanced dual seat three-way hydraulic valve | |
CN112555218B (en) | Valve body structure of reversing valve | |
KR101106466B1 (en) | NO type solenoid valve | |
CN109296575B (en) | A pilot-controlled on-off valve | |
CN210423899U (en) | Normally closed type electromagnetic valve control structure of electromagnetic proportional valve | |
US9360027B2 (en) | Proportional control valve | |
KR20120079956A (en) | Double poppet solenoid valve apparatus | |
CN218031571U (en) | Electromagnetic reversing valve with valve core reversing time adjustable | |
JP4987393B2 (en) | Pressure control valve | |
US10215200B2 (en) | Electrohydraulic control valve | |
CN115451176B (en) | Pilot-controlled electromagnetic valve | |
CN222010634U (en) | Pilot slide valve type pressure reducing valve | |
CN221723409U (en) | A pilot solenoid valve | |
KR20170058583A (en) | Solenoid valve for brake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4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3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111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30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PJ0201 |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
Patent event date: 20111228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11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20827 Appeal identifier: 2011101010471 Request date: 20111228 |
|
PB0901 |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11228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228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10506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
|
B601 |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
PB0601 |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Comment text: Report of Result of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20206 |
|
PJ1301 | Trial decision |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120827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111228 Decision date: 20120827 Appeal identifier: 2011101010471 |
|
PS0901 |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 ||
S901 |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 ||
GRNO |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 ||
PS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mand of revocation |
Patent event date: 20120829 Patent event code: PS07012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27 Patent event code: PS07011S01I Comment text: Notice of Trial Decision (Remand of Revo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9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9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8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9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8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8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8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81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2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1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90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90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