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1552B1 - Ventilation system - Google Patents
Ventilation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81552B1 KR101181552B1 KR1020050074081A KR20050074081A KR101181552B1 KR 101181552 B1 KR101181552 B1 KR 101181552B1 KR 1020050074081 A KR1020050074081 A KR 1020050074081A KR 20050074081 A KR20050074081 A KR 20050074081A KR 101181552 B1 KR101181552 B1 KR 10118155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heat exchange
- exchange element
- air
- air suppl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1045 pre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154 acut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058 respiratory gaseous ex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열교환소자와 필터를 지지하는 지지대가 단일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환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ntilation system in which the total heat exchange element and the support for supporting the filter are composed of a single part.
본 발명에 의한 환기시스템은,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케이스(110)와; 상기 외부케이스(110) 내부에 설치되어, 실내외의 공기가 서로 열교환되도록 하는 전열교환소자(130)와; 상기 전열교환소자(130)의 일측에 설치되어, 공기중의 이물을 걸러내는 필터(132)와; 상기 전열교환소자(13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전열교환소자(130)와 필터(132)를 지지하는 지지대(140a,140b,140c,140d)와; 상기 외부케이스(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실외의 공기가 실내로 흡입되도록 하는 급기팬(150)과; 상기 외부케이스(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배기팬(170) 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대(140a,140b,140c,140d)는 단일 부품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환기시스템에 의하면, 원가절감 및 작업공수가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case 110 to form an appearance; A heat exchange element (130) installed inside the outer case (110) to allow heat exchange between the indoor and outdoor air; A filter 132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total heat exchange element 130 to filter foreign matter in the air; A support (140a, 140b, 140c, 140d)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otal heat exchange element (130) to support the total heat exchange element (130) and the filter (132); An air supply fan 150 installed inside the outer case 110 to allow outdoor air to be sucked into the room; Is installed inside the outer case 110, made of an exhaust fan 170 and the like to discharge the indoor air to the outside; The supports 140a, 140b, 140c, 140d are made of a single component. According to the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st reduction and the labor of man.
환기시스템, 전열교환소자, 필터, 지지대 Ventilation system, total heat exchange element, filter, support
Description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환기시스템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환기시스템의 전열교환소자와 프리필터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ilter and the total heat exchange element of the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a는 종래기술에 의한 환기시스템을 구성하는 지지대의 분해사시도.Figure 3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 constituting the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b는 종래기술에 의한 환기시스템을 구성하는 좌지지대 및 우지지대가 서로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Figure 3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eft support and the right support coupled to each other constituting the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환기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외관 구성을 보인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환기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전열교환소자가 제거된 상태의 환기시스템 내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ventilation system in a state in which the total heat exchange element constituting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emoved.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환기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전열교환소자가 설치된 상태의 환기시스템 내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ventilation system in a state where the total heat exchange element constitut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a는 본 발명에 의한 환기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우측단면도.7a is a right sectional view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b는 본 발명에 의한 환기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정단면도.7B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환기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분해사시도.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환기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지지대의 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 constitut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환기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지지대가 제조되는 과정을 보인 공정도.10 is a process chart showing a process of manufacturing a support constitut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환기시스템의 내부를 통해 공기가 유동하는 상태를 보인 평단면도.Figure 11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ir flows through the interior of the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점검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12 is a use state showing the open state of the inspection door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외부케이스 112. 상부캐비넷110.
114. 좌측판 116. 우측판114.
120. 외부공기 흡입구 122. 실내공기 배출구120. Outside
124. 실내공기 흡입구 126. 외부공기 배출구124.
130. 전열교환소자 132. 필터130.
140a. 상단지지대 140b. 하단지지대140a.
140c. 좌측지지대 140d. 우측지지대140c.
142. 소자지지부 144. 필터지지부142.
146. 연결지지부 148. 체결부146.
150. 급기팬 152. 급기팬하우징 150.
154. 급기모터 156. 급기모터마운트154. Supply Motor Mount 156. Supply Motor Mount
160. 급기안내판 162. 급기공160.
164. 급기브라켓 170. 배기팬164.
172. 배기팬하우징 174. 배기팬 회전축172. Exhaust
176. 배기모터 178. 배기모터마운트176. Exhaust
180. 배기브라켓 182. 배기안내판180. Exhaust Bracket 182. Exhaust Guide
184. 배기공 190. 베리어184.Exhaust Hole 190. Barrier
192. 중앙브라켓 194. 에어가이드192.Center Bracket 194.Air Guide
200. 점검도어 202. 소자도어200.
204. 팬도어 206. 경첩204.
본 발명은 환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열교환소자와 필터를 지지하는 지지대가 단일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환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ntil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ntilation system consisting of a single part of the total heat exchange element and the support for supporting the filter.
근래에 에너지 절약을 위한 방편과 소음 등의 문제로 점차 인간의 주거공간은 기밀화 및 단열화가 요구되는 경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폐쇄공간의 공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이산화탄소로 변함과 동시에 오염되어 생명체의 호흡을 저해하게 한다. Recently, due to problems such as energy saving measures and noise, human dwelling spaces are increasingly required to be airtight and insulated. However, the air in these closed spaces gradually changes to carbon dioxide and contaminates over time, thereby inhibiting the breathing of life.
따라서, 사무실이나 차량과 같이, 많은 사람이 협소한 공간에 머물게 된 곳은 수시로 환기를 시켜야 한다. 이 때 통상적으로 전열교환 방식을 이용한 환기시스템이 이용된다. 이것은 실내공기 온도를 유지하면서 외부공기를 급기하고, 실내 공기를 배기하기 위해서이다. Therefore, a place where many people stay in a narrow space, such as an office or a vehicle, should be frequently ventilated. In this case, a ventilation system using a total heat exchange method is usually used. This is for supplying outside air while exhausting the indoor air while maintaining the indoor air temperature.
도 1에는 종래 환기시스템의 외관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종래 환기시스템을 구성하는 전열교환소자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ventilation system,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a total heat exchange element constituting a conventional ventilation system is separated.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외관을 형성하고 있는 외부케이스(10) 한 측면에 외부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외부공기 흡입구(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부공기 흡입구(12)의 내부에는 상기 흡입구(12)로부터 흡입되는 외부공기가 아래에서 설명할 전열교환소자(14)로 도달할 수 있도록 전열교환소자(14)와의 사이에 흡입덕트(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어 외부공기의 통로가 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외부로부터 흡입되는 공기와 실내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열교환을 위해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열교환소자(14)가 상기 외부케이스(10)의 내부 중앙에 구비되는데, 일반적으로 마름모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구성된다.In order to exchange heat between the air sucked from the outside and the air discharged from the outside to the outside, an
상기와 같은 전열교환소자(14)는 통상 온도 차이가 발생하는 각각의 공기를 서로 다른 유로를 통하게 함으로써, 서로 다른 유로의 층을 형성하는 고효율의 열교환막에 의하여 잠열을 교환하는 습기와 현열을 교환하는 열에 의해서 전열교환을 일으키는 원리를 따른다.The
상기 외부공기 흡입구(12)로부터 전열교환소자(14)를 통과한 외부공기는 외부케이스(10)에 형성되어 있는 외부공기 급기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유동이 강제되어, 상기 흡입구(12)와는 반대측에 형성되어 있는 외부공기 급기구(16)를 통해 실내로 급기된다.The external air passing through the
한편, 상기 외부공기 급기구(16)의 측면에는 실내의 공기가 상기 환기시스템 의 외부케이스(10) 내부로 흡입되는 실내공기 흡입구(18)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공기 흡입구(12)의 측면에는 상기 실내공기 흡입구(18)로부터 환기시스템의 내부로 흡입된 실내공기가 배출되는 실내공기 배기구(20)가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전열교환소자(14)는 네 귀퉁이에는 전후로 길게 지지대(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지지대(22)는 상기 전열교환소자(14)와 프리필터(24)를 동시에 지지하게 된다. 상기 프리필터(24)는 외부의 공기중에 섞여있는 이물을 걸러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러한 프리필터(24)는 상기 전열교환소자(14)와는 별개로 형성되어 착탈된다. The total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와 같은 전열교환소자(14)의 좌우측에는 실내공기를 외부로 강제 배출하기 위한 팬(fan)과, 실외공기가 실내로 강제 유입되도록 하는 팬(fan)이 각각 구비된다.Although not shown, a fan for forcibly discharging indoor air to the outside and a fan for forcing outdoor air to flow into the room ar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상기 외부케이스(10)의 전면에는 상기 전열교환소자(14) 등이 출입할 수 있는 점검구(30)가 형성되고, 이러한 점검구(30)를 점검도어(32)가 선택적으로 차폐하게 된다. 상기 점검도어(32)는 상기 전열교환소자(14)의 전방에 설치되어 전열교환소자(14)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는 한편, 환기시스템 내부의 점검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한다.On the front of the
상기 외부케이스(10)의 전면 우측단에는 콘트롤박스(34)가 설치된다. 상기 콘트롤박스(34)의 내부에는 환기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는 각종 부품이 장착된다.The
도 3a와 도 3b에는 상기 지지대(22)의 구성이 세부적으로 도시되어 있다.3A and 3B show the configuration of the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22)는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좌지지 대(22')와 우지지대(22")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좌지지대(22')와 우지지대(22")에는 상기 전열교환소자(14)의 모서리를 지지하는 소자지지부(22a)와, 상기 프리필터(24)의 일단을 지지하는 필터지지부(22b)가 구비되며, 이러한 소자지지부(22a)와 필터지지부(22b) 사이에는 수직부(22c)가 형성된다.As shown therein, the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의 필터지지부(22b)가 형성되고, 이러한 필터지지부(22b)의 일단은 상방으로 수직 벤딩(bending)되어 수직부(22c)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부(22c)의 상단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일정 각도로 벤딩(bending)되어 소자지지부(22a)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좌지지대(22')와 우지지대(22")의 수직부(22c)가 각각 스팟용접(Spot Welding)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지지대(22)를 형성하게 된다.That is, as shown, a horizontal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환기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ventilation system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성에서는 상기 지지대(22)가 좌지지대(22')와 우지지대(22")로 구성되고, 이러한 좌지지대(22')와 우지지대(22")가 용접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따라서 용접의 결과에 따라 상기 좌지지대(22')와 우지지대(22")의 위치가 서로 달라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In the conventional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즉, 상기 좌지지대(22')와 우지지대(22")가 용접에 의해 서로 결합된 다음에는 좌지지대(22') 및 우지지대(22")의 상단 및 하단 위치는 정확히 일치하여야 상기 전열교환소자(14)의 고정이 가능해진다. 그런데, 용접 불량 발생시에는 이러한 좌지지대(22') 및 우지지대(22")의 높이가 서로 맞지않아 전열교환소자(14)의 설치가 곤란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after the left support 22 'and the
또한, 상기와 같이 좌지지대(22')와 우지지대(22")의 결합에 의해 지지대(22)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부품수가 많아지며, 좌지지대(22')와 우지지대(22")를 용접 등에 의해 결합하여야 하므로 작업공수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열교환소자 및 필터를 지지하는 지지대가 단일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환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a ventilation system in which the support for supporting the total heat exchange element and the filter is composed of a single part.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환기시스템은,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실내외의 공기가 서로 열교환되도록 하는 전열교환소자와; 상기 전열교환소자의 일측에 설치되어, 공기중의 이물을 걸러내는 필터와; 상기 전열교환소자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전열교환소자와 필터를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실외의 공기가 실내로 흡입되도록 하는 급기팬과;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배기팬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지지대는 단일 부품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outer case to form an appearance; An electrothermal exchange element installed inside the outer case to allow heat exchange between the outside and the air; A filter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total heat exchange element and filtering foreign matter in the air; A suppor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otal heat exchange element to support the total heat exchange element and the filter; An air supply fan installed inside the outer case to allow outdoor air to be sucked into the room; Is installed inside the outer case, and has a configuration including an exhaust fan for discharging the indoor air to the outside; The suppor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single part.
상기 지지대는, 상기 전열교환소자의 상단을 지지하는 상단지지대와, 상기 전열교환소자의 하단을 지지하는 하단지지대와, 상기 전열교환소자의 좌측단을 지지하는 좌측지지대와, 상기 전열교환소자의 우측단을 지지하는 우측지지대로 나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The support includes an upper support for supporting the upper end of the heat exchange element, a lower support for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heat exchange element, a left support for supporting the left end of the heat exchange element, and a right side of the heat exchange element.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divided into the right support supporting the end.
상기 지지대에는, 상기 전열교환소자의 모서리를 지지하는 소자지지부와, 상기 필터의 단부를 지지하는 필터지지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ment support for supporting the edge of the heat exchange element, and the filter support for supporting the end of the filter is formed.
상기 소자지지부와 필터지지부는, 단일의 평판으로부터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element support and the filter support are each formed from a single flat plate.
상기 소자지지부는, 단일 평판으로부터 일정 부분이 절개된 다음, 벤딩(bending)되어 형성되고; 상기 필터지지부는, 단일 평판으로부터 일정 부분이 절개되어 상기 소자지지부를 형성한 나머지 부분에 의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device support portion is formed by cutting a portion from a single plate and then bending it; The filter support portion is formed by a remaining portion formed by cutting a predetermined portion from a single flat plate to form the element support portion.
상기 소자지지부는, 단일 평판으로부터 일정 부분이 절개되어 수직 벤딩(bending)된 다음, 다시 측방으로 일정 각도로 재차 벤딩(bending)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device support part is formed by cutting a predetermined portion from a single plate and bending it vertically, and then bending it again at a predetermined angle laterally.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환기시스템에 의하면, 원가절감 및 작업공수가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st reduction and the labor of man.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환기시스템의 외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와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환기시스템의 내부 구성이 각각 도시되어 있다. 즉 도 5에는 전열교환소자가 탈거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전열교환소자가 설치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4 show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5 and 6 show internal configurations of the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That is, the state in which the total heat exchange element is removed is illustrated in FIG. 5, and the state in which the total heat exchange element is installed is illustrated in FIG. 6.
그리고, 도 7a와 도 7b에는 본 발명에 의한 환기시스템의 우측단면도 및 정단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도 8에는 본 발명에 의한 환기시스템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9와 도 10에는 본 발명에 의한 환기시스템을 구성하는 지지대의 사시도 및 제조되는 각 상태가 세부적으로 도시되어 있다.7A and 7B show a right sectional view and a front sectional view of the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FIG. 8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9 and 10 show the present invention. The perspective view and the respective states of manufacture of the supports constituting the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invention are shown in detail.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대략 사각박스 형상의 외부케이스(110)가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외부케이스(110)는 제품의 상측과 전후좌우 측면의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 구조물의 설치를 지지하여 보호하고, 외부로부터 이물이 제품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As shown in these figures, an
상기 외부케이스(110)는 크게 상부캐비넷(112)과, 좌측판(114), 우측판(116)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캐비넷(112)은 본 발명에 의한 환기시스템의 상면과 전후면을 차폐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판(112a), 전면판(112b) 그리고 후면판(112c)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상부캐비넷(112)은 측방에서 볼 때 '∩'형상을 가진다.The
상기 외부케이스(110)의 전면판(112b)에는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외부공기 흡입구(120)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상부캐비넷(112)의 전면판(112b) 우측단 부근에는 흡입구장착홀(120')이 형성되며, 이러한 흡입구장착홀(120')에 상기 외부공기 흡입구(120)가 설치된다.In the
상기 흡입구장착홀(1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부채꼴 형상으로 성형된다. 즉 원형에서 일부분이 차폐된 부채꼴 형상으로 성형되는데, 이러한 차폐된 부분은 아래에서 설명할 전열교환소자(130)의 우측단 모서리 부분과 대응되는 부분이다.The inlet mounting hole 120 'is shaped into a fan shape as shown. That is, a part of the circular shape is formed into a shielded fan shape, and the shielded part corresponds to the right end edge portion of the
상기 외부케이스(110)의 전면판(112b)에는 실내공기 배출구(122)가 더 설치된다. 상기 실내공기 배출구(122)는 상기 외부공기 흡입구(120)와 같이 전방으로 일정부분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연결덕트(도시되지 않음)와 결합되는 부분이다.The
따라서 상기 외부케이스(110) 전면판(112b) 좌측단 부근에는 배출구장착홀(122')이 형성된다. 즉 상기 배출구장착홀(122')은 상부캐비넷(112)의 전면판(112b)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실내공기 배출구(122)를 통해 공기가 유동하도록 하는 통로가 된다.Therefore, the outlet mounting hole 122 'is formed near the left end of the
상기 외부케이스(110)의 후면(배면) 우측단 즉, 상기 외부공기 흡입구(120)가 설치되는 위치의 반대측에는 실내공기 흡입구(124)가 형성된다. 상기 실내공기 흡입구(124)는 상기 외부케이스(110)의 후면판(112c) 우측단 부근에 형성되는 실내흡입구장착홀(124')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외부케이스(110)의 후면판(112c)으로부터 후방으로 소정크기로 돌출 설치된다. An
상기 실내흡입구장착홀(12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구장착홀(120')과 같이 부채꼴 형상으로 성형된다. 즉 아래에서 설명할 전열교환소자(130)의 후면 우측단 일부가 차폐되도록 부채꼴 형상을 가진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indoor suction hole mounting hole 124 'is shaped like a fan like the suction hole mounting hole 120'. That is, it has a fan shape so that a portion of the rear right end of the
상기 외부케이스(110)의 후면판(112c) 좌측단 즉, 상기 실내공기 배출구(122)가 설치되는 위치의 반대측에는 외부공기 배출구(126)가 설치된다. 상기 외부공기 배출구(126)는 상기 외부케이스(110)의 후면판(112c)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외부케이스(110)의 후면판(112c) 좌측단 부근에 형성되는 실내배출구장착홀(도시되지 않음)에 연결 설치된다.The
상기 외부케이스(110)의 내부 우측 공간에는 전열교환소자(130)가 구비된다. 상기 전열교환소자(130)는 사각기둥 형상을 가지며, 직교류형 플레이트 타입의 구조를 갖는다. 즉, 특수 가공지의 칸막이 판으로 급,배기 통로를 분리시켜 외기와 실내공기가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구성된다.The
따라서, 상기와 같은 전열교환소자(130)는 통상 온도 차이가 발생하는 각각의 공기를 서로 다른 유로를 통하게 함으로써, 서로 다른 유로의 층을 형성하는 고효율의 열교환막에 의하여 잠열을 교환하는 습기와 현열을 교환하는 열에 의해서 전열교환을 일으키게 된다. 즉, 상기 전열교환소자(130)에 사용되는 특수가공지는 공기는 관통하여 통과할 수 없고, 열과 수분만 통과 가능한 특징을 가지는 것이다.Therefore, th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전열교환소자(130)는 장치내의 급기와 배기 사이의 전열교환을 시행하여, 실외로 나가는 배기로부터 공기의 전열을 흡수하여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에 전달하므로써 실내 공기의 상태가 외부공기로부터 영향을 적게 받도록 한다. The total
또한 상기 전열교환소자(130)의 일측에는 전열교환소자(130)를 통과하는 공기 중의 이물을 걸러내는 필터(132)가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전열교환소자(130)를 통과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이 필터링되도록 하는 필터(132)가 상기 전열교환소자(130)의 하반부 좌측에 설치된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total
상기 전열교환소자(130)와 필터(132)는 지지대(140a,140b,140c,140d)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 즉, 상기 전열교환소자(130)의 상하 좌우에 각각 구비되는 상단에 구비되는 상단지지대(140a)와, 하단에 구비되는 하단지지대(140b), 그리고 좌우측에 구비되는 좌측지지대(140c) 및 우측지지대(140d)에 의해 상기 전열교환소자(130)와 필터(132)가 지지된다.The total
상기 지지대(140a,140b,140c,140d)는 단면이 마름모꼴을 가지는 상기 전열교환소자(130)의 하단 모서리를 고정 지지하는 것으로, 전후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 고, 상기 상단지지대(140a)와 하단지지대(140b)는 선단과 후단이 상기 상부캐비넷(112)의 전면판(112b)과 후면판(112c)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에 각각 고정 설치됨이 바람직하다.The support (140a, 140b, 140c, 140d) is to support the lower edge of the electrothermal
상기 좌측지지대(140c)는 아래에서 설명할 베리어(190)에 고정되고, 상기 우측지지대(140d)는 아래에서 설명할 에어가이드(194)에 고정 설치됨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지지대(140a,140b,140c,140d)는 단일 부품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지지대(140a,140b,140c,140d)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열교환소자(130)의 모서리를 지지하는 소자지지부(142)와, 상기 필터(132)의 단부를 지지하는 필터지지부(144)가 각각 형성되는데, 이러한 소자지지부(142)와 필터지지부(144)는, 단일의 평판으로부터 각각 형성된다.The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소자지지부(142)는 단일 평판으로부터 일정 부분이 절개된 다음, 벤딩(bending)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소자지지부(142)는 도 9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평판으로부터 일정 부분이 절개되어 상방으로 수직 벤딩(bending)된 다음, 다시 측방으로 일정 각도로 재차 벤딩(bending)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소자지지부(142)의 하측에는 수직을 이루는 연결지지부(146)가 더 형성된다. In more detail, the
그리고, 상기 소자지지부(14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번갈아가며 벤딩(bending)된 형상을 가진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번째 소자지지부(142)는 상기 연결지지부(146)의 상단으로부터 우측으로 일정 각도(수직에 대해 예각)로 벤딩(bending)된 형상을 가지며, 두번째 소자지지부(142)는 첫번째 소자지지부 (142)와는 반대로 좌측으로 일정 각도(수직에 대해 예각)로 벤딩(bending)된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서로 번갈아 좌우로 벤딩(bending) 형성된 상기 소자지지부(142)의 상면에 상기 전열교환소자(130)의 모서리가 지지되는 것이다.And, as shown, the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지지부(144)는 단일 평판으로부터 일정 부분이 절개되어 상기 소자지지부(142)를 형성한 나머지 부분에 의해 형성된다. 즉 도 9에서 절개되어 수직으로 벤딩(bending)되지 않고 남아있는 부분(수평을 이루는 부분)이 필터지지부(144)가 된다. 따라서 이러한 필터지지부(144)에 의해 상기 필터(132)의 일단이 지지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the
또한, 상기 지지대(140a,140b,140c,140d)의 양단에는 체결부(148)가 상방으로 수직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체결부(148)가 스크류(screw)에 의해 상기 상부캐비넷(112)의 전면판(112b)과 후면판(112c) 등에 고정 설치된다.In addition, the
도 10에는 상기 지지대(140a,140b,140c,140d)의 제조과정이 보다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10 shows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support (140a, 140b, 140c, 140d) in more detail.
먼저 (a)에서와 같이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평판에 (b)에서와 같이 소정 부분을 절개한다. 즉, 좌측부와 우측부의 일정 부분을 도시된 바와 같이, 규칙적으로 절개한다. 그리고 양단에는 스크류(screw)가 관통 가능한 체결공(148')을 천공 형성한다.First, a predetermined portion is cut as in (b) to a square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s in (a). That is, a portion of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is cut in a regular manner, as shown. And both ends to form a through
다음으로는 (c)에서와 같이, 절개된 부분을 상방으로 수직 벤딩(bending)한다. 그리고는 (d)에서와 같이 상방으로 벤딩(bending)된 부분의 상단부를 다시 우측 또는 좌측으로 일정각도(수직선에 대해 예각을 이루도록)로 벤딩(bending)하여 소자지지부(142)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소자지지부(142)는 좌측 또는 우측으로 번갈아 벤딩(bending)하여 형성한다. 즉, 첫번째 소자지지부(142)가 우측으로 벤딩된 경우에는 다음 소자지지부(142)는 좌측으로 벤딩(bending)하여 형성한다.Next, as in (c), the bent portion is vertically bent upwards. Then, as shown in (d), the upper end of the bent (bending) upper part is again bent to the right or left at a predetermined angle (to form an acute angl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line) to form the
이렇게 되면, 상기 소자지지부(142)와 필터지지부(144)의 형성이 완료된다. 즉,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평판으로부터 절개되어 벤딩되지 않고 남아있는 수평부분은 필터지지부(144)가 되고, 수직으로 벤딩되었다가 다시 좌우로 재차 벤딩된 부분은 소자지지부(142)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소자지지부(142)와 필터지지부(144) 사이의 수직부분은 연결지지부(146)가 된다.In this case, formation of the
다음은,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의 양단을 상방으로 수직 벤딩(bending)한다. 즉 평판의 양단에 체결공(148')이 형성된 부분을 상방으로 수직 벤딩(bending)한다. 이렇게 되면, 이 부분이 상기 체결부(148)가 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상기 지지대(140a,140b,140c,140d)가 형성된다.Next, as shown in (e), the both ends of the plate are vertically bent upwards. That is, the vertical bending of the portion where the fastening holes 148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flat plate. In this case, this part becomes the
상기 전열교환소자(130)의 좌측에는 급기팬(150)이 설치된다. 즉 상기 전열교환소자(130)의 후반부 좌측에는 급기팬(150)이 구비된다. An
상기 급기팬(150)은 상기 외부공기 흡입구(120)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강제 흡입되어, 상기 외부공기 배출구(126)로 강제 송출되도록 한다. 즉 공기의 유동을 강제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시로코팬(sirocco fan)으로 구성된다.The
상기 급기팬(150)의 외측에는 급기팬하우징(152)이 설치된다. 상기 급기팬하우징(152)은 상기 급기팬(150)을 감싸도록 급기팬(150)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급기팬(150)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게 된다.An air
상기 급기팬(150)의 내측에는 급기모터(154)가 구비된다. 상기 급기모터(154)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회전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급기팬(150)에 공급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급기팬(150)은 상기 급기모터(154)의 회전 동력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An
상기 급기모터(154)는 급기모터마운트(156)에 의해 고정 지지된다. 즉 상기 급기모터(154)의 하단부가 상기 급기모터마운트(156)에 고정된다. The
그리고 상기 급기모터(154)에는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급기팬 회전축(158)이 설치되며, 이러한 급기팬 회전축(158)의 상단은 상기 급기팬(150)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급기모터(154)의 회전 동력이 상기 급기팬 회전축(158)에 의해 상기 급기팬(150)에 전달된다.In addition, an air supply
상기 급기팬 회전축(158)은 상기 급기팬(150)의 회전 중심이 되는 것으로 상하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급기팬 회전축(158)은 상하로 형성되어 하단에는 급기모터(154)와 연결되고, 상단에는 상기 급기팬(150)이 연결 고정된다.The air supply
따라서 상기 급기팬(150)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급기팬 회전축(158)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공기의 토출이 이루어진다. 즉 상방 또는 하방에서 볼 때, 상기 급기팬 회전축(158)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공기가 토출되고, 이러한 공기는 상기 급기팬하우징(152)에 의해 안내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상기 급기팬하우징(152)의 하단에는 급기안내판(160)이 더 구비된다. 상기 급기안내판(16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는 상기 급기팬하우징(152)과 대응되 는 형상을 가지며, 내측에는 공기의 유동 통로가 되는 급기공(162)이 관통 형성된다.The air
그리고, 상기 급기팬하우징(152)의 상단에는 급기브라켓(164)이 구비된다. 상기 급기브라켓(164)은 상기 급기팬하우징(152)의 단면과 대응되는 평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급기팬하우징(152)을 고정하는 동시에 급기팬하우징(152)의 상부를 차폐한다.In addition, an
상기 전열교환소자(130)의 전반부 좌측에는 배기팬(170)이 설치된다. 즉 상기 실내공기 배출구(122) 후방에 상기 급기팬(150)과 같은 형상의 배기팬(170)이 설치되며, 이러한 배기팬(170)은 상기 실내공기 흡입구(124)를 통해 실내공간의 공기가 강제 흡입되어 상기 실내공기 배출구(122)로 강제 송출되도록 한다.An
상기 배기팬(170)의 외측에는 배기팬하우징(172)이 구비된다. 상기 배기팬하우징(172)은 상기에서 설명한 급기팬하우징(152)과 마찬가지로, 상기 배기팬(170)에 의해 강제 유동되는 공기를 안내하게 된다.An
상기 배기팬(170)의 중앙부에는 배기팬(170)의 회전 중심이 되는 배기팬 회전축(174)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배기팬(170)은 이러한 배기팬 회전축(174)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러한 배기팬 회전축(174)도 상기에서 설명한 급기팬 회전축(158)과 마찬가지로 상하 방향으로 설치된다.An exhaust
상기 배기팬(170)의 내측에는 상기 급기모터(154)와 대응되는 배기모터(176)가 구비되어, 상기 배기팬(170)에 회전 동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이러한 배기모터(176)는 배기모터마운트(178)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배기모터마운트(178)도 상기 급기모터마운트(156)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An
상기 배기팬하우징(172)의 하단부에는 배기브라켓(180)이 구비된다. 상기 배기브라켓(180)은 상기 배기팬하우징(172)의 하부를 차폐하여 상기 배기팬(170)에 의해 강제 송풍되는 공기가 상기 배기팬하우징(172)의 하측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상기 배기팬하우징(172)을 고정하는 역할도 겸한다.An
상기 배기팬하우징(172)의 상단부에는 상기 급기팬하우징(152)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급기안내판(160)과 대응되는 배기안내판(182)이 더 설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배기안내판(182)에는 배기공(184)이 관통 형성된다.An
이와 같이, 상기 전열교환소자(130)는 상기 외부케이스(110) 내부 공간의 일측(우측)에 설치되고, 상기 급기팬(150)과 배기팬(170)은 상기 외부케이스(110) 내부 공간의 다른 일측(좌측)에 나란히 설치된다. In this way, the
그리고 상기 급기팬(150)과 배기팬(170)은 설치높이가 서로 상이하게 된다.(도 7a참조) 즉, 상기 급기팬(150)은 상기 배기팬(170)보다 상대적으로 설치높이가 높게 된다. 따라서 상기 급기모터(154) 등의 부가적인 부품은 상기 급기팬(150)의 하측에 구비되는 반면, 상기 배기모터(도시되지 않음) 등의 부품은 상기 배기팬(170)의 상측에 설치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외부케이스(110)의 어느 일면(예로, 전면판)에는 콘트롤박스가 설치된다. 이러한 콘트롤박스의 내부에는 제어부가 형성되어, 환기시스템의 운전조건을 제어하게 된다. 즉, 전원을 단속하여 환기시스템을 온(on)/오프(off)시키며, 상기 배기팬(170)과 급기팬(150)의 팬 회전수를 제어하여 풍량을 조절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the control box is installed on any one surface (for example, the front plate) of the
또한, 상기 외부케이스(110)의 어느 일면(예로, 좌측판과 우측판)에는 환기시스템이 건물의 천정에 설치되도록 하는 천정고정구(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된다. In addition, one surface (eg, left and right plates) of the
상기 외부케이스(110)의 내부에는 내부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베리어(190)가 형성된다. 상기 베리어(19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급기팬하우징(152)과 배기팬하우징(172)의 외측을 차폐하여 상기 외부케이스(110) 내부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여, 상기 전열교환소자(130)의 내부를 통과한 흡입공기와 배기공기가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한다.Inside the
상기 베리어(190)는 스티로폴과 같은 가볍고 흡음기능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우측단에는 상기 전열교환소자(130)의 좌측단을 지지하는 좌측지지대(140c)가 전후로 길게 설치된다.The
상기 전열교환소자(130)와 배기팬(170) 및 급기팬(150) 사이에는 상기 급기모터마운트(156)와 전열교환소자(130)를 지지하는 중앙브라켓(192)이 더 설치된다. 즉, 상기 상부캐비넷(112)과 아래에서 설명할 점검도어(200) 사이에는 중앙브라켓(192)이 상하로 설치되어, 상기 전열교환소자(130)와 급기모터마운트(156) 등을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중앙브라켓(192)에는 상기 좌측지지대(140c) 및 급기모터마운트(156) 등이 체결된다.A
상기 전열교환소자(130)의 우측에는 에어가이드(194)가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우측판(116)의 좌측면에는 에어가이드(194)가 설치되어, 상기 외부공기 흡입구(120)와 실내공기 흡입구(124)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게 된다. 상기 에어가이드(194)는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상부캐비넷(112)의 전면판(112b) 하단부로부터 후면판(112c) 상단부에 걸쳐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An
상기 외부케이스(110)의 하부는 점검도어(200)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점검도어(200)는 상기 외부케이스(110)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자도어(202)와 팬도어(204)로 구성된다.The lower part of the
상기 소자도어(202)는 상기 전열교환소자(130)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팬도어(204)는 상기 급기팬(150)과 배기팬(170)의 하측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소자도어(202)는 상기 전열교환소자(130)를 점검하거나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에 개폐하며, 상기 팬도어(204)는 상기 급기팬(150)이나 배기팬(170) 등의 부품 점검과 교환시 개폐하게 된다.The
상기 소자도어(202)와 팬도어(204)는 힌지 결합에 의해 서로 체결되어, 선택적으로 회동하여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소자도어(202)의 좌측단과 상기 팬도어(204)의 우측단은 서로 경첩(206) 등에 의해 고정되며, 이러한 경첩(206) 등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The
그리고 상기 소자도어(202)의 우측단과 상기 팬도어(204)의 좌측단은 스크류(screw)에 의해 상기 우측판(116)과 좌측판(114)에 각각 고정 설치된다.The right end of the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환기시스템을 통해 실내외의 공기가 유동하는 상태를 설명한다. 도 11에는 본 발명에 의한 환기시스템의 평단면도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Hereinafter, a state in which air outside the room flows through the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1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된 바에 따라 환기 상태를 설명하면, 우선 사용자의 동작설정이 콘트롤박스(도시되지 않음) 내부의 제어부에 전달되며, 이러한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환기시스템이 작동한다.Referring to the ventilation state as shown, first, the user's operation setting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inside the control box (not shown), and the ventilation system operates according to the command of the control unit.
먼저 상기 급기팬(150)의 작동에 따라 실외의 공기가 상기 외부공기 흡입구(120)를 통해 환기시스템 내부로 흡입되고, 이러한 외부의 공기는 상기 전열교환소자(130)의 우측 상면을 통해 전열교환소자(130) 내부로 흡입된다. First, outdoor air is sucked into the ventilation system through the
이때 외부공기는 상기 전열교환소자(130)의 좌측 하부에 장착되어 있는 상기 필터(132)를 통과하면서 공기중의 이물이 걸러진 다음, 상기 전열교환소자(130) 내부로 유입된다. At this time, the foreign air is filtered through the
그리고 상기 외부공기 흡입구(120)를 통해 환기시스템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에어가이드(194)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전열교환소자(130)의 우측 상면으로 가이드된다.The air introduced into the ventilation system through the
상기 전열교환소자(130)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배출되는 실내공기로부터 열과 수분을 교환한 다음 전열교환소자(130)의 좌측 하면을 통해 토출된다.The air sucked into the total
상기 전열교환소자(13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급기팬(150)의 하부를 통해 급기팬(150) 중앙 부분으로 유입된 다음, 방사상으로 토출된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급기팬(150)의 중앙부로부터 외측으로 토출된다.Air passing through the total
상기 급기팬(150)에 의해 외측으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급기팬하우징(152)에 의해 안내되어 회전하다가 상기 외부케이스(110)의 외부공기 배출구(126)를 통해 실내공간으로 배출된다.The air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the
반면, 실내의 공기는 상기 배기팬(170)의 작동에 의해 외부로 배기되는데, 실내공기는 상기 실내공기 흡입구(124)를 통해 상기 외부케이스(110) 내부로 흡입된 다음, 상기 전열교환소자(130)의 우측 하부를 통해 전열교환소자(130)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에도 상기 외부케이스(1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에어가이드(194)에 의해 안내되기도 한다.On the other hand, indoor air is exhausted to the outside by the operation of the
상기 전열교환소자(130) 내부로 흡입된 실내공기는 외부로부터 흡입되는 외기와 열 및 수분을 교환한 다음, 상기 전열교환소자(130)의 좌측 상면을 통해 빠져나간다.The indoor air sucked into the
상기 전열교환소자(130)를 빠져나온 실내공기는 상기 배기팬(170)의 상부를 통해 급기팬(150) 중앙 부분으로 유입된 다음, 방사상으로 토출된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기팬(170)의 중앙부로부터 외측으로 강제 토출된다.The indoor air exiting the
상기 배기팬(170)에 의해 외측으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배기팬하우징(172)에 의해 안내되어 회전하다가 상기 외부케이스(110)의 실내공기 배출구(122)를 통해 외부로 배기된다.The air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the
한편 상기와 같은 환기시스템은 일반적으로 건물의 천정 등과 같이 높은 위치에 설치되며, 이러한 환기시스템의 내부에 구비되는 전열교환소자(130)나 내부 부품의 교환 또는 고장으로 인한 애프터서비스를 위해서는 상기 외부케이스(110) 하부를 차폐하는 점검도어(200)를 개방하게 된다. 즉, 상기 소자도어(202) 또는 팬도어(204)를 개방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such a ventilation system is generally installed in a high position such as a ceiling of a building, the outer case for the after-sales service due to the exchange or failure of the total
도 12에는 상기 점검도어(200) 중 소자도어(202)가 개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12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이와 같이, 상기 소자도어(202)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소자도어(202)의 우측단에 체결되어 있는 스크류(screw)를 풀어내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소자도어(202)는 소자도어(202)와 팬도어(204) 사이의 경첩(206)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도 12와 같이 하방으로 개방된다.As such, in order to open the
그리고, 이때에는 상기 전열교환소자(130)와 필터(132)는 하방으로 낙하하지 않는다. 즉 상기 전열교환소자(130)와 필터(132)의 하단부는 상기 하단지지대(140b)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므로, 상기 소자도어(202)가 개방되는 경우에도 하측으로 자유낙하 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many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어, 상기의 실시예서는 상기 상단지지대(140a), 하단지지대(140b), 좌측지지대(140c) 및 우측지지대(140d)가 모두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각각의 지지대(140a,140b,140c,140d)가 동일한 형상을 가지지 않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For example, the above embodiment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상기한 바와 같은 환기시스템에 의하면, 전열교환소자나 필터를 지지하는 지지대에는 전열교환소자를 지지하는 소자지지부와 필터를 지지하는 필터지지부가 각각 형성되며, 이러한 소자지지부와 필터지지부는 동일 평판으로부터 성형된다.According to the ventilation system as described above, an element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heat exchange element and a filter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filter are respectively formed in the support for supporting the heat exchange element or the filter, and the element support portion and the filter support portion are formed from the same plate. .
따라서, 종래와 같이 2개의 부품을 용접에 의해 결합하는 경우에 비해, 제조원가가 절감되며 작업공수가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2개의 부품 결합시 야기되는 불량도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as compared with the case of combining the two parts by welding as in the prior ar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reduced and the labor maneuver.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defect caused when the two parts are combined.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74081A KR101181552B1 (en) | 2005-08-12 | 2005-08-12 | Ventilation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74081A KR101181552B1 (en) | 2005-08-12 | 2005-08-12 | Ventilation syste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19281A KR20070019281A (en) | 2007-02-15 |
KR101181552B1 true KR101181552B1 (en) | 2012-09-10 |
Family
ID=43652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74081A Expired - Fee Related KR101181552B1 (en) | 2005-08-12 | 2005-08-12 | Ventilation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81552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902343A (en) * | 2021-01-28 | 2021-06-04 | 鲍岚 | Heat exchange type fan |
-
2005
- 2005-08-12 KR KR1020050074081A patent/KR10118155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19281A (en) | 2007-02-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81552B1 (en) | Ventilation system | |
KR20070019279A (en) | Ventilation system | |
HK1223677A1 (en) | Air purifying device | |
KR100662152B1 (en) | Ventilation system | |
KR100671565B1 (en) | Ventilation system | |
KR101995119B1 (en) | window-mounted air purifier | |
KR20070019277A (en) | Ventilation system | |
KR100641425B1 (en) | Ventilation system | |
KR100705057B1 (en) | Ventilation system | |
KR20070019280A (en) | Ventilation system | |
KR20070019278A (en) | Ventilation system | |
KR100895136B1 (en) | Ventilation system | |
KR101129751B1 (en) | Ventilation system | |
KR100671566B1 (en) | Ventilation system | |
KR20060098281A (en) | Ventilation system | |
JP4616607B2 (en) | Air conditioner | |
JP2018004211A (en) | Air blower | |
KR20060098284A (en) | Ventilation system | |
KR100936224B1 (en) | Damper system of ventilation system | |
JP2002276992A (en) | Ceiling-embedded type air conditioner | |
KR200274979Y1 (en) | Fixed heat exchanging ventilation device unioned with window | |
KR20110027509A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20060098282A (en) | Ventilation system | |
KR20060098297A (en) | Ventilation system | |
KR20060098286A (en) | Ventilation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81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07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5081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9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9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8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8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14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8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8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