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0819B1 - Cover connection structure of sensor lamp for ceiling insertion type - Google Patents
Cover connection structure of sensor lamp for ceiling insertion typ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80819B1 KR101180819B1 KR1020110051468A KR20110051468A KR101180819B1 KR 101180819 B1 KR101180819 B1 KR 101180819B1 KR 1020110051468 A KR1020110051468 A KR 1020110051468A KR 20110051468 A KR20110051468 A KR 20110051468A KR 101180819 B1 KR101180819 B1 KR 10118081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ver
- ceiling
- base
- stopper
- lamp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title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217 poly(methylsilsesqui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4—Recessed bases
- F21V21/048—Mounting arrangements for fastening lighting devices to false ceiling frame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구의 파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전구에서 발생되는 빛을 균일하게 확산시키도록 표면에 설치되는 커버를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는 천정 매입형 센서등의 커버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그 특징적인 구성은 천정(100)에 삽입되고 중앙에는 수용홈(11)이 형성되고 수용홈(11)의 내측 둘레면에는 나선홈(20)이 형성된 베이스(10)와, 상기 수용홈(11)의 내부에 고정되는 램프(30)와, 상기 램프(30)를 보호하도록 베이스(10)의 표면에 설치되고 외측 둘레면에는 나선돌기(60)가 형성된 커버(50)로 이루어진 천정 매입형 센서등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11)의 내측 둘레면에 형성된 나선홈(20)의 끝 단부에는 상기 커버(50)와 베이스(10)가 결합되기 위한 회전량을 제한하는 베이스용 스토퍼(70)가 마련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ver coupling structure, such as a ceiling-embedded sensor that can easily remove the cover installed on the surface to prevent damage to the bulb and at the same time to uniformly diffuse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bulb, the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Is inserted into the ceiling 100, the receiving groove 11 is formed in the center and the base 10, the spiral groove 20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11, the inside of the receiving groove 11 In the ceiling-embedded sensor or the like consisting of a fixed lamp 30 and the cover 50 is 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10 to protect the lamp 30, the outer periphery surface is formed with a spiral protrusion 60, The end of the spiral groove 20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11 is provided with a base stopper 70 for limiting the amount of rotation for coupling the cover 50 and the base 10.
Description
본 발명은 천정 매입형 센서등의 커버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구의 파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전구에서 발생되는 빛을 균일하게 확산시키도록 표면에 설치되는 커버를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는 천정 매입형 센서등의 커버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ver coupling structure such as a ceiling-embedded sensor,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easily separate the cover installed on the surface to prevent the breakage of the bulb and to uniformly diffuse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bulb.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ver coupling structure such as a ceiling embedded sensor.
일반적으로 조명기구는 천정에 설치하고 있으며, 그 설치상태에 따라서, 천정 표면에 설치되는 천정 돌출형 및 천정 내부에 매입되는 천정 매입형으로 크게 구분된다.In general, lighting fixtures are installed in the ceiling, an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state, it is divided into a ceiling protruding type installed on the ceiling surface and a ceiling embedded type embedded in the ceiling.
상기 천정 돌출형은 천정의 표면에 직접 설치하는 것으로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설치 후 등기구가 외부로 노출되므로 실내의 외관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다.The ceiling protrusion is installed directly on the surface of the ceiling, but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easily installed, but since the luminaire is exposed to the outside after installation, there is a problem that hinders the appearance of the interior.
한편, 천정 매입형은 천정에 삽입공을 형성한 후 그 삽입공에 등기구를 삽입하는 것으로서, 설치 후 등기구에 의한 외관 손상이 최소화 되므로 최근에는 매입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eiling recessed type is to insert the luminaire into the insertion hole after the insertion hole is formed in the ceiling, and since the appearance damage by the luminaire after installation is minimized, the recessed type is widely used in recent years.
특히, 점등되는 시간이 한정되는 현관용 등기구에는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선택적으로 점등된 후 일정시간 이후에는 자동으로 소등되는 센서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In particular, a sensor lamp that automatically turns off after a predetermined time after being selectively turned on by detecting a movement of a person has been widely used in a porch luminaire having a limited lighting time.
이러한 센서등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천정에 매입되는 베이스(10)와, 그 베이스(10)의 표면에 부착되는 램프(30) 및 상기 램프(3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램프(30)에서 발생되는 빛을 균일하게 확산시키기 위하여 베이스(10)의 표면에 결합되는 커버(50)로 크게 구분된다.Such a sensor or the like prevents the
상기 베이스(10)에는 램프(30)가 수용되는 수용홈(11)이 형성되어 있고, 그 수용홈(11)의 표면에는 램프(30)를 고정하기 위한 홀더(40)가 설치되어 있다.The
상기 홀더(40)에는 램프(30)가 나사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서, 램프(30)를 회전시킴으로서, 분리 또는 결합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수용홈(11)의 내측 둘레면에는 커버(50)를 결합하기 위한 나선홈(20)이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그리고, 베이스(10)의 표면에 설치되는 커버(50)는 유리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서, 램프(30)에서 발생되는 빛을 균일하게 확산시킬 수 있도록 중앙부가 돌출되어 있는 돔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커버(50)의 단부 외측 둘레면에는 나선홈(20)에 나사 결합되는 나선돌기(60)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d portion of the
따라서, 천정(100)에 형성된 통공으로 베이스(10)를 삽입한 후 별도의 고정수단(도면 미도시)을 이용하여 베이스(10)를 고정시키는 것이며, 홀더(40)에는 램프(30)를 나사 방식으로 결합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그리고, 상기 램프(3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베이스(10)의 표면에 커버(50)를 결합하는 것으로서, 이때에는 나선홈(20)과 나선돌기(60)가 나사 결합 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50)를 수용홈(11)에 근접되게 위치시킨 후 커버(50)를 회전시키면 상기 나선홈(20)과 나선돌기(60)가 나사 결합되어 커버(50)를 견고히 고정시키게 된다.In addition, the
이때 커버(50)의 견고한 고정을 위하여 상기 커버(50)가 더 이상 회전되지 않을 정도로 회전시키게 된다.At this time, the
상기와 같이 커버(50)를 결합하면 커버(50)와 베이스(10)가 나사 결합되어 고정력이 발생됨은 물론, 커버(50)의 상면과 베이스(10)의 저면이 긴밀히 접촉되어 고정력이 향상된다.When the
한편, 장시간 사용시 또는 외부의 환경에 의해서 램프(30)가 파손되거나 커버(50)의 내측 표면에 이물질이 모아지면 커버(50)를 분리하여야 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그러나 종래의 커버(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나선홈(20)과 나선돌기(60)의 결합력은 물론 베이스(10)와 커버(50)의 표면이 긴밀히 접촉되어 있으므로 돔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커버(50)가 분리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였다.However, since the
따라서, 상기 커버(50)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세심한 주의 및 장시간의 노력이 필요하였고, 심할 경우에는 부득이 커버(50)를 파손 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in order to separate the
이와 같이 커버(50)를 파손시킬 경우에는 램프(30)를 교체한 후 신품의 커버(50)를 결합하여야 하므로 유지비용이 과하하게 소요되었다.When the
또는 신품의 커버(50)를 구입하지 못할 경우에는 램프(30)가 외부로 노출되어 실내(현관의 천정)의 외관을 저해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Alternatively, when th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베이스의 표면에 설치되는 커버를 견고하게 고정함은 물론 상기 커버를 분리할 때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커버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천정 매입형 센서등의 커버 결합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its purpose is to securely fix the cover 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as well as to easily remove when the cover is used life of the cover It is to provide a cover coupling structure such as a ceiling-embedded sensor that can extend.
본 발명에 의한 천정 매입형 센서등의 커버 결합구조는 천정에 삽입되고 중앙에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수용홈의 내측 둘레면에는 나선홈이 형성된 베이스와, 상기 수용홈의 내부에 고정되는 램프와, 상기 램프를 보호하도록 베이스의 표면에 설치되고 외측 둘레면에는 나선돌기가 형성된 커버로 이루어진 천정 매입형 센서등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의 내측 둘레면에 형성된 나선홈의 끝 단부에는 상기 커버와 베이스가 결합되기 위한 회전량을 제한하는 베이스용 스토퍼가 마련된 것이다.Cover coupling structure such as a ceiling-embedded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ceiling and the receiving groove is formed in the center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piral groove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the lamp fixed to the interior of the receiving groove, In the ceiling-embedded sensor comprising a cover 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and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protect the lamp, the cover and the base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spiral groov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Base stopper for limiting the amount of rotation to be provided is provided.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용 스토퍼는 나선홈의 단부가 수용홈의 측면과 동일하거나 더 높게 형성된 것이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stopper is the end of the spiral groove is formed the same or higher than the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외측 둘레면에 형성된 나선돌기의 끝 단부에는 상기 커버와 베이스가 결합되기 위한 회전량을 제한하는 커버용 스토퍼가 마련된 것이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cover stopper for limiting the amount of rotation for coupling the cover and the base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spiral protrusion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ver.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커버용 스토퍼는 일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된 것이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stopper is formed to be bent to one side.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커버용 스토퍼는 나사산의 크기보다 커지도록 확장되게 형성된 것이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stopper is formed to be expanded to b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thread.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커버용 스토퍼에 형성된 나사산은 복수개의 바 형상이 등 간격으로 연속 형성된 것이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hread formed on the cover stopper is a plurality of bar shapes are continuously formed at equal intervals.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커버용 스토퍼에 형성된 나사산은 복수개의 반구 형상이 등간격으로 연속 형성된 것이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hreads formed on the cover stopper are a plurality of hemispherical shapes are continuously formed at equal intervals.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천정에 매입되게 설치되는 베이스의 표면에 분리/결합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의 결합량(회전량)이 스토퍼에 의해서 제한되므로 나사결합에 의한 고정력을 발생하고, 커버와 베이스의 접촉에 의한 고정력이 방지되므로 상기 커버를 분리할 때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oupling amount (rotation amount) of the cover that is detachably / coupled to the surface of the base installed to be embedded in the ceiling is limited by the stopper, a fixing force is generated by screwing, and the cover and the base Since the fixing force is prevented by the contact of the has a unique effect that can be easily removed when removing the cover.
도 1은 종래 센서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 센서등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등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센서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센서등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센서등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ensor and the lik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ventional sensor light is separated.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nsor 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nsor ligh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nsor of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nsor of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7 to 9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nsor of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등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센서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센서등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센서등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nsor 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parated state of the sensor 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nsor lamp of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parated state of the sen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7 to 9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nsor of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여기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천정(100)에 매입되는 베이스(10)가 마련되어 있되, 그 베이스(10)에는 램프(30)가 고정되는 수용홈(11)이 형성되어 있고, 그 수용홈(11)의 내측 둘레면에는 나선홈(20)이 형성되어 있다.As referred to herei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상기 나선홈(20)의 끝 단부에는 상기 커버(50)와 이후에 설명할 베이스(10)가 결합되기 위한 회전량을 제한하는 베이스용 스토퍼(70)가 마련되어 있되, 그 베이스용 스토퍼(70)는 나선홈(20)의 단부가 수용홈(11)의 측면과 동일하게 형성하거나, 상기 수용홈(11)보다 높게 형성하는 것이다.At the end of the
상기 수용홈(11)의 표면에는 램프(30)를 고정하기 위한 홀더(40)가 설치되어 있되, 그 홀더(40)는 램프(30)를 나사 결합 방식으로 결합 고정하는 것이다.The
그리고, 상기 베이스(10)의 표면에 설치되는 커버(50)가 마련되어 있되, 상기 커버(50)는 유리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있다.And, the
상기 커버(50)는 램프(30)에서 발생되는 빛을 균일하게 확산시킬 수 있도록 중앙부가 돌출되어 있는 돔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커버(50)의 단부 외측 둘레면에는 나선홈(20)에 나사 결합되는 나선돌기(60)가 형성되어 있다.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d portion of the
상기 나선돌기(60)의 끝 단부에는 상기 커버(50)와 베이스(10)가 결합되기 위한 회전량을 제한하는 커버용 스토퍼(80)가 마련되어 있되, 그 커버용 스토퍼(8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부가 절곡 형성하거나,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확장되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A
한편, 상기 베이스용 스토퍼(70)와 커버용 스토퍼(80)를 동시에 형성하거나 어느 일측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the base stopper 70 and the
그리고, 상기 커버용 스토퍼(80)에 형성된 나사산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개의 바 형상을 등 간격으로 연속 형성하되, 이와 같이 바 형상으로 형성할 경우에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6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hreads formed on the
또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개의 반구 형상을 등간격으로 연속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때에는 접촉면적이 감소되는 것이다.Further, as shown in Fig. 8, it is also possible to continuously form a plurality of hemispherical shapes at equal intervals, in which case the contact area is reduced.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먼저, 천정(100)에 형성된 통공으로 베이스(10)를 삽입한 후 별도의 고정수단(도면 미도시)을 이용하여 베이스(10)를 고정시키는 것이다.First, the
그리고, 상기 수용홈(11) 내부에 고정된 홀더(40)에는 램프(30)를 나사 방식으로 결합하는 것이다.Then, the
또한, 상기 램프(3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베이스(10)의 표면에 커버(50)를 결합하는 것으로서, 이때에는 나선홈(20)과 나선돌기(60)가 나사 결합 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50)를 수용홈(11)에 근접되게 위치시킨 후 커버(50)를 회전시키는 것이다.In addition, as the
상기 커버(50)를 회전시키면 나선홈(20)과 나선돌기(60)가 나사 결합되어 커버(50)를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When the
한편, 나선홈(20)의 끝단에 형성된 베이스용 스토퍼(70)가 나선돌기(60)의 단부에 접촉되거나, 나선돌기(60)의 끝단에 형성된 커버용 스토퍼(80)가 나선홈(20)의 단부에 접촉되면 상기 커버(50)는 더 이상 회전되지 않게 되는 것으로서, 커버(50)의 고정 작업이 완료된다.On the other hand, the
이때에는 도 4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10)의 저면과 커버(50)의 상면은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S. 4 and 6, the bottom surface of the
따라서, 장시간 사용시 또는 외부의 환경에 의해서 램프(30)가 파손되거나 커버(50)의 내측 표면에 이물질이 모아지면 커버(50)를 분리할 경우에는 커버(50)를 잡고,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상기 베이스(10)와 커버(50)의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커버(50)를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Since the gap is formed between the
이와 같이 상기 커버(50)가 간편하게 분리되므로 커버(50)를 손상시키지 않고도 램프(30)의 교체작업 및 커버(50)의 청소작업을 수행하게 되므로 커버(50)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것이다.Since the
10 : 베이스 11: 수용홈
20 : 나선홈 30 : 램프
50 : 커버 60 : 나선돌기
70 : 베이스용 스토퍼 80 : 커버용 스토퍼
100 : 천정 10: Base 11: receiving groove
20: spiral groove 30: lamp
50: cover 60: spiral protrusion
70: stopper for base 80: stopper for cover
100: ceiling
Claims (8)
상기 수용홈(11)의 내측 둘레면에 형성된 나선홈(20)의 끝 단부에는 상기 커버(50)와 베이스(10)가 결합되기 위한 회전량을 제한하는 베이스용 스토퍼(70)가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매입형 센서등의 커버 결합구조. The base 10 is inserted into the ceiling 100 and the receiving groove 11 is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d the base 10 having the spiral groove 20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11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receiving groove 11. In the ceiling embedded sensor or the like consisting of a lamp 30 and the cover 50 is 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10 to protect the lamp 30, the outer periphery surface is formed with a spiral protrusion 60,
At the end of the spiral groove 20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11 is provided a base stopper 70 for limiting the amount of rotation for coupling the cover 50 and the base 10 Cover coupling structure such as ceiling embedded sensor.
상기 베이스용 스토퍼(70)는 나선홈(20)의 단부가 수용홈(11)의 측면과 동일하거나 더 높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매입형 센서등의 커버 결합구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ase stopper 70 is a cover coupling structure, such as a ceiling-embedded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of the spiral groove 20 is formed equal to or higher than the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11).
상기 커버(50)의 외측 둘레면에 형성된 나선돌기(60)의 끝 단부에는 상기 커버와 베이스(10)가 결합되기 위한 회전량을 제한하는 커버용 스토퍼(80)가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매입형 센서등의 커버 결합구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t the end of the spiral protrusion 60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ver 50 is provided a cover stopper 80 for limiting the amount of rotation for coupling the cover and the base 10 is provided Cover coupling structure such as type sensor.
상기 커버용 스토퍼(80)는 일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매입형 센서등의 커버 결합구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cover stopper 80 is a cover coupling structure such as a ceiling-embedded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be bent to one side.
상기 커버용 스토퍼(80)는 나사산의 크기보다 커지도록 확장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매입형 센서등의 커버 결합구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cover stopper 80 is a cover coupling structure, such as a ceiling-embedded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be expanded to b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thread.
상기 커버용 스토퍼(80)에 형성된 나사산은 복수개의 바 형상이 등 간격으로 연속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매입형 센서등의 커버 결합구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screw thread formed on the cover stopper 80 is a cover coupling structure such as a ceiling-embedded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bar shapes are continuously formed at equal intervals.
상기 커버용 스토퍼(80)에 형성된 바 형상의 나사산은 6개가 등 간격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매입형 센서등의 커버 결합구조.The method of claim 6,
The cover coupling structure, such as a ceiling-embedded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the bar-shaped thread formed on the cover stopper 80 is formed at six equal intervals.
상기 커버용 스토퍼(80)에 형성된 나사산은 복수개의 반구 형상이 등간격으로 연속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매입형 센서등의 커버 결합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screw thread formed on the cover stopper 80 is a cover coupling structure such as a ceiling-embedded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hemispherical shapes are continuously formed at equal interval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51468A KR101180819B1 (en) | 2011-05-30 | 2011-05-30 | Cover connection structure of sensor lamp for ceiling insertion typ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51468A KR101180819B1 (en) | 2011-05-30 | 2011-05-30 | Cover connection structure of sensor lamp for ceiling insertion typ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80819B1 true KR101180819B1 (en) | 2012-09-07 |
Family
ID=47074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51468A KR101180819B1 (en) | 2011-05-30 | 2011-05-30 | Cover connection structure of sensor lamp for ceiling insertion typ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80819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54231B1 (en) * | 2014-03-27 | 2015-09-18 | (주)미래엔씨티 | system for sensing vehicle |
KR101888329B1 (en) * | 2018-02-05 | 2018-08-14 | 차성환 | SENSOR LIGHT SYSTEM BASED ON IoT |
KR102140667B1 (en) | 2019-08-08 | 2020-08-03 | 대림산업 주식회사 | Device for Mounting Sensors on Ceiling |
KR102327444B1 (en) * | 2021-01-04 | 2021-11-16 | 김삼채 | Sensor lights and the molding thereof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55923Y1 (en) | 2004-04-23 | 2004-07-09 | 이상문 | Decoration lamp cover |
KR200358941Y1 (en) | 2004-05-25 | 2004-08-11 | 김영수 | Embedded-type illuminating lamp |
-
2011
- 2011-05-30 KR KR1020110051468A patent/KR101180819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55923Y1 (en) | 2004-04-23 | 2004-07-09 | 이상문 | Decoration lamp cover |
KR200358941Y1 (en) | 2004-05-25 | 2004-08-11 | 김영수 | Embedded-type illuminating lamp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54231B1 (en) * | 2014-03-27 | 2015-09-18 | (주)미래엔씨티 | system for sensing vehicle |
KR101888329B1 (en) * | 2018-02-05 | 2018-08-14 | 차성환 | SENSOR LIGHT SYSTEM BASED ON IoT |
KR102140667B1 (en) | 2019-08-08 | 2020-08-03 | 대림산업 주식회사 | Device for Mounting Sensors on Ceiling |
KR102327444B1 (en) * | 2021-01-04 | 2021-11-16 | 김삼채 | Sensor lights and the molding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80819B1 (en) | Cover connection structure of sensor lamp for ceiling insertion type | |
JP2015032428A (en) | Led lighting device | |
CN103672449B (en) | Light fixture | |
KR200455157Y1 (en) | LED ceiling light | |
CN205155773U (en) | Lighting chandeliers and their lamp holders | |
CN102691979B (en) | Fixed structure and torch containing the fixed structure | |
CN205640561U (en) | Split drum -type lamp | |
JP2004087494A (en) | Lighting equipment | |
JP2005327631A (en) | Luminaire | |
KR20130032336A (en) | Cover connection structure of lighting lamp for ceiling insertion type | |
JP5464437B2 (en) | lighting equipment | |
KR20100007038U (en) | The LED light bulb | |
KR20110011747U (en) | Lighting module for scenery light | |
KR20100011808U (en) | The lighting case space preservation means | |
JP6471939B2 (en) | lighting equipment | |
KR100921141B1 (en) | Supporting devices for pendant lights | |
KR200421011Y1 (en) | Lighting | |
KR200314438Y1 (en) | The ceiling lamp | |
JP2010146856A (en) | Illumination fixture | |
JP2012178313A (en) | Lighting fixture with sensor | |
KR101314219B1 (en) | Cover for Hood Lamp | |
KR100961073B1 (en) | Ceiling mounted fluorescent light fixture with built-in speaker | |
CN209262808U (en) | Rail type head spot lamp | |
TWI629432B (en) | Lamp | |
JP5518958B2 (en) | LED light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60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9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9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1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6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