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0338B1 - 하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하수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80338B1 KR101180338B1 KR20110137585A KR20110137585A KR101180338B1 KR 101180338 B1 KR101180338 B1 KR 101180338B1 KR 20110137585 A KR20110137585 A KR 20110137585A KR 20110137585 A KR20110137585 A KR 20110137585A KR 101180338 B1 KR101180338 B1 KR 10118033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udge
- tank
- sewage
- contact
- inle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8—Biological phosphorus removal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05—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15—Combinations of activated sludge treatment with precipitation, flocculation, coagulation and separation of phosphat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2—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 C02F3/305—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denitrific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수처리장치의 본체(10) 입구에는 큰 부피의 협잡물을 필터링하기 위한 스크린부(20); 상기 스크린부(20)의 차기공정에는 슬러지와 오수와 교반함과 동시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교반기(31)를 갖는 저류조(30); 상기 저류조(30)의 차기공정에는 슬러지와 오수를 교반함과 동시에 용존산소농도를 증가시키는 송풍기(S)와 연결된 공기교반기(41)를 갖는 반응전환조(40); 상기 반응전환조(40)의 차기공정에는 원수에 포함된 부유물질 또는 미생물을 흡착하는 접촉여재를 갖는 접촉호기조(50);
상기 접촉호기조(50)의 차기공정에는 상부에 월류웨어(61)(71)가 설치되고, 일측에는 전 공정에서 원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설치된 유입정류부(62)(72)와 하부에는 슬러지를 포집하는 슬러지포집부(63)(73)를 갖는 제1, 2침전조(60)(70);
상기 제1,2침전조(60)(70)에서 포집된 슬러지를 수용하는 슬러지농축조(80)와, 소독조(91)와 방류조(92)를 갖는 소독방류조(9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류조(30)의 바닥면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오수유입구(32a); 상기 오수유입구(32a)보다 상측에는 상기 송풍기(S)와 연결된 공기유입구(32b); 상기 오수유입구(32a)와 공기유입구(32b)에 의해 오수와 공기가 합쳐지는 T"관(32c); 상기 T"관(32c)에는 유입된 오수와 공기를 차기공정으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공급관(32d)을 포함하는 오수이송라인(32)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상기 접촉호기조(50)의 차기공정에는 상부에 월류웨어(61)(71)가 설치되고, 일측에는 전 공정에서 원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설치된 유입정류부(62)(72)와 하부에는 슬러지를 포집하는 슬러지포집부(63)(73)를 갖는 제1, 2침전조(60)(70);
상기 제1,2침전조(60)(70)에서 포집된 슬러지를 수용하는 슬러지농축조(80)와, 소독조(91)와 방류조(92)를 갖는 소독방류조(9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류조(30)의 바닥면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오수유입구(32a); 상기 오수유입구(32a)보다 상측에는 상기 송풍기(S)와 연결된 공기유입구(32b); 상기 오수유입구(32a)와 공기유입구(32b)에 의해 오수와 공기가 합쳐지는 T"관(32c); 상기 T"관(32c)에는 유입된 오수와 공기를 차기공정으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공급관(32d)을 포함하는 오수이송라인(32)이 마련되어 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오수처리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된 스크린부의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된 저류조의 이송라인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된 제1~3접촉여재의 확대도.
도 6내지 7은 본 발명에 적용된 제1,2 침전조의 확대도.
30: 저류조 40: 반응전환조
50: 접촉호기조 60: 1차 침전조
70: 2차 침전조 80: 슬러지농축조
90: 소독방류조
Claims (14)
- 하수처리장치의 본체(10) 입구에는 큰 부피의 협잡물을 필터링하기 위한 스크린부(20); 상기 스크린부(20)의 차기공정에는 슬러지와 오수와 교반함과 동시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교반기(31)를 갖는 저류조(30); 상기 저류조(30)의 차기공정에는 슬러지와 오수를 교반함과 동시에 용존산소농도를 증가시키는 송풍기(S)와 연결된 공기교반기(41)를 갖는 반응전환조(40); 상기 반응전환조(40)의 차기공정에는 원수에 포함된 부유물질 또는 미생물을 흡착하는 접촉여재를 갖는 접촉호기조(50);
상기 접촉호기조(50)의 차기공정에는 상부에 월류웨어(61)(71)가 설치되고, 일측에는 전 공정에서 원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설치된 유입정류부(62)(72)와 하부에는 슬러지를 포집하는 슬러지포집부(63)(73)를 갖는 제1, 2침전조(60)(70);
상기 제1,2침전조(60)(70)에서 포집된 슬러지를 수용하는 슬러지농축조(80)와, 소독조(91)와 방류조(92)를 갖는 소독방류조(9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류조(30)의 바닥면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오수유입구(32a);
상기 오수유입구(32a)보다 상측에는 상기 송풍기(S)와 연결된 공기유입구(32b);
상기 오수유입구(32a)와 공기유입구(32b)에 의해 오수와 공기가 합쳐지는 T"관(32c);
상기 T"관(32c)에는 유입된 오수와 공기를 차기공정으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공급관(32d)을 포함하는 오수이송라인(32)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응전환조(40)에는 차기공정에서 반송슬러지가 유입되고 단위공정특성이 혐기, 무산소공정으로 전환운전시 산소를 공급하는 상기 공기교반기(41)를 정지시키고, 유입된 반송슬러지와 유입수를 혼합 교반하는 수중형 교반장치(42);
상기 수중형 교반장치(42)에 의해 교반된 반응수가 차기공정으로 이송할 때 이를 임시 차단 유턴시켜 혼합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단락방지부재(4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촉호기조(50)는 1~3차접촉호기(51)기 단위로 구획되며, 상기 각각의 1~3차접촉호기(51)에는 원수에 포함된 부유물질 또는 유기물질을 포집하는 미생물의 활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상기 접촉여재를 분할하여 배치된 제1~3접촉여재(52);
상기 제1~3접촉여재(52)의 각각의 경계선(L)의 중심부에는 교반 및 순환작용을 하면서 용존산소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산기장치(5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치.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3접촉여재(52) 외부에는 접촉여재를 보호와 손상을 방지하는 네트(52a);
상기 네트(52a)를 고정시키는 프레임(52c)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1차침전조(60) 상부에는 미립자 스컴을 흡수하여 전 공정인 저류조(30)로 반송하기 위한 제1스컴반송라인(64);
상기 슬러지포집부(63)에는 경사면을 따라 슬러지를 유도하기 위한 슬러지안내부재(65);
포집된 슬러지를 전 공정인 반응전환조(40)로 반송하기 위한 반송슬러지라인(66);
슬러지를 슬러지농축조(80)로 이송하기 위한 제1슬러지이송라인(67)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치.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스컴반송라인(64)의 단부는 유입된 스컴의 수두차에 의한 유입과 이송을 위한 추진에너지를 부여하기 위하여 U"자형(64)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치.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안내부재(65)는 경사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10137585A KR101180338B1 (ko) | 2011-12-19 | 2011-12-19 | 하수처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10137585A KR101180338B1 (ko) | 2011-12-19 | 2011-12-19 | 하수처리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80338B1 true KR101180338B1 (ko) | 2012-09-06 |
Family
ID=47073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10137585A KR101180338B1 (ko) | 2011-12-19 | 2011-12-19 | 하수처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80338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48798B1 (ko) * | 2016-05-25 | 2016-08-30 | 이경섭 | 접촉포기형 하수처리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접촉포기형 하수처리 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35030Y1 (ko) | 2000-10-28 | 2001-10-25 | 조원태 | 폐자재를 이용한 하수의 고도처리장치 |
KR200363069Y1 (ko) | 2004-07-06 | 2004-09-23 | 다불산업주식회사 | 하수 및 오수의 생물학적 처리장치 |
KR101087368B1 (ko) * | 2011-10-04 | 2011-11-25 | 최민숙 | 하수 및 오·폐수 처리장치 |
-
2011
- 2011-12-19 KR KR20110137585A patent/KR10118033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35030Y1 (ko) | 2000-10-28 | 2001-10-25 | 조원태 | 폐자재를 이용한 하수의 고도처리장치 |
KR200363069Y1 (ko) | 2004-07-06 | 2004-09-23 | 다불산업주식회사 | 하수 및 오수의 생물학적 처리장치 |
KR101087368B1 (ko) * | 2011-10-04 | 2011-11-25 | 최민숙 | 하수 및 오·폐수 처리장치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환경부. 하수도시설기준. 2005.(pp353-378)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48798B1 (ko) * | 2016-05-25 | 2016-08-30 | 이경섭 | 접촉포기형 하수처리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접촉포기형 하수처리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413427B2 (en) | Nitrogen reductio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 |
US20140097136A1 (en) | Composite microorganism reactor,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water treatment using the same | |
JP3336410B2 (ja) | 生物学的反応による下水、廃水処理装置および方法 | |
WO2006083522A1 (en) | Aerobic wastewater management system, apparatus, and method | |
JP3471619B2 (ja) | 生物濾過槽における濾材の閉塞防止装置 | |
KR101814983B1 (ko) | 미생물 슬러지 회수 장치 | |
KR101751250B1 (ko) | 배오존을 이용한 부상분리와 무포기 오존 반응기를 이용한 수 처리장치 | |
KR100992827B1 (ko) | 막분리를 이용한 폐수처리 시스템 | |
KR20130019164A (ko) | 흡착팩을 이용한 연속식 수질정화장치 | |
KR101037888B1 (ko) | 침전, 생물학적 분해, 여과, 인제거, 자외선소독 일체형 하이브리드 하폐수 처리장치 | |
JP3469797B2 (ja) | 汚水処理方法とその装置 | |
JP4119997B2 (ja) | 汚水浄化槽 | |
US7022237B2 (en) | Aerobic wastewater management system, apparatus, and method | |
KR101180338B1 (ko) | 하수처리장치 | |
KR200257701Y1 (ko) | 오염물질 정화장치를 갖춘 수족관 | |
JP3561460B2 (ja) | 畜産排水の汚水処理方法とその装置 | |
JP2000354858A (ja) | 汚水処理方法とその装置 | |
JP2002096090A (ja) | 浄化槽 | |
JP2006289153A (ja) | 汚水浄化方法及び装置 | |
JP4551650B2 (ja) | 生物処理装置 | |
KR102440990B1 (ko) | 축산폐수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 |
KR102670533B1 (ko) | 하폐수의 고도산화 수처리장치 | |
US11214504B2 (en) | Bio-DAF system for domestic and industrial wastewater treatment | |
JP2003181483A (ja) | 浄化槽の処理方法及びその浄化槽 | |
JP2017189769A (ja) | 排水処理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2031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1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4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8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8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05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8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8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12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7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0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72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3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