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0075B1 - Panel assembly structure of Korean-style house - Google Patents
Panel assembly structure of Korean-style hous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80075B1 KR101180075B1 KR1020120008218A KR20120008218A KR101180075B1 KR 101180075 B1 KR101180075 B1 KR 101180075B1 KR 1020120008218 A KR1020120008218 A KR 1020120008218A KR 20120008218 A KR20120008218 A KR 20120008218A KR 101180075 B1 KR101180075 B1 KR 10118007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ssembly
- panel
- roof
- finishing
- hano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11120 plywoo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12774 insula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10052602 gyps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0440 gypsu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40000005020 Acaciella glauc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03499 redwood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claims 2
- 240000002853 Nelumbo nucifera Species 0.000 claims 1
- 235000006508 Nelumbo nucifera Nutrition 0.000 claims 1
- 235000006510 Nelumbo pentapetala Nutrition 0.000 claims 1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claims 1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claims 1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1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claims 1
- CVHZOJJKTDOEJC-UHFFFAOYSA-N saccharin Chemical compound C1=CC=C2C(=O)NS(=O)(=O)C2=C1 CVHZOJJKTDOEJC-UHFFFAOYSA-N 0.000 claims 1
- 229940081974 saccharin Drugs 0.000 claims 1
- 235000019204 saccharin Nutrition 0.000 claims 1
- 239000000901 saccharin and its Na,K and Ca salt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0
- 210000000078 claw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313 weake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53 clad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1125292 Balaena mysticet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845 cartilag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27 cl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5 construc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22 lacqu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04B2/562—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fillings between the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02—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 E04B7/026—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consisting of prefabricated modules,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02—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 E04B7/04—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supported by horizontal beams or the equivalent resting on the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널조립식 한옥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공장에서 제작되고 기단의 기초면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지지브라켓의 상부에 수직으로 장착되어 용도에 맞게 내부공간을 구성하는 조립패널과; 상기 조립패널과 조립패널이 맞닿는 외면에 수직으로 장착되고 외부 입면을 구성하는 마감기둥과; 공장에서 제작되고 보부재와 직교하며 상기 조립패널의 상부에 설치되는 주심도리와 대공에 안착되는 하종도리의 상부에 장착되는 조립지붕과; 상기 조립지붕의 상부에 설치되는 마감기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조립패널은 모서리 부분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조립기둥과; 상기 조립기둥의 상부와 하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면서 조립기둥을 고정하는 조립인방과; 상기 조립기둥과 조립인방의 사이에 형성되며 수직공간에 장착되는 벽체;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감초석, 마감기둥과 마감기와를 제외한 한옥의 구성을 조립패널과 조립지붕으로 구성함으로써 한옥의 소요 공간 구성과 부재의 조립 및 교체가 용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옥의 건축기간을 단축하고, 시공 비용을 절감하며, 부품을 재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nel-assembled hanok structure, which is manufactured in a factory and vertically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a support bracket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on an upper surface of a base end to assemble an inner space according to a use; A finishing column mounted vertically on an outer surface of the assembly panel and the assembly panel, wherein the assembly panel constitutes an outer surface; An assembly roof fabricated in a factory and orthogonal to the beam member, and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claw hammer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assembly panel and a lower claw hammer mounted on a large hole; A finisher installed on the assembly roof; , ≪ / RTI >
The assembly panel and the assembly pillar is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corner portion; An assembly thread for horizontally install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assembly pillar to fix the assembly pillar; A wall formed between the assembly pillar and the assembly lintel and mounted in a vertical spa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s 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nstructing the construction of the hanok excluding the finishing corners, finishing pillars and finishers with the assembly panel and the roof, it is not only easy to assemble and replace the required space configuration and members of the hanok, but also the construction period of the hanok It can shorten, reduce construction costs, and recycle parts.
Description
본 발명은 패널조립식 한옥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한옥 구조물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고 단열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패널조립식 한옥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nel-assembled hanok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anel-assembled hanok structure to facilitate the assembly and disassembly of the hanok structure and improve the thermal insulation effect.
일반적으로 한옥은 궁궐, 사찰, 사당, 민가, 초가 등의 기능과 구조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건축이 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고유의 한옥에 대한 가치와 그 기능이 부각됨에 따라 한옥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하면서 개인이 거주할 한옥을 직접 건축하는 추세이다. In general, hanoks are built in various types according to the functions and structures of palaces, temples, shrines, private houses, and thatched roofs.In recent years, as the value and function of unique hanoks have been highlighted, the preference for hanoks has increased The trend is to build a hanok for private residence.
그러나 고유의 한옥은 구조가 복잡하고, 한옥에 대한 전문지식이 요구되어 비전문가의 시공이 어려우며, 한옥은 각 부재를 별도의 결합수단 없이 짜맞추어 건축하게 되므로 한옥 시공을 위한 각 건축 부재를 가공하는 것도 쉽지 않다.However, the unique hanok has a complicated structure, and requires specialized knowledge of the hanok, making it difficult for non-experts to construct it. Uneasy.
따라서 한 동의 한옥을 건축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건축자재와 공정을 책임지고 시공하는 전문 목수가 필요하고, 선정된 목수는 재료를 구매하여 현장에서 용도에 맞게 가공하는 방식으로 구조물을 설치하게 되므로 한옥이 완성되기까지는 7개월 내지 9개월의 장기간에 걸친 공사기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Therefore, in order to build Han-dong Hanok, a professional carpenter must be responsible for the construction materials and processes, and the selected carpenter purchases materials and installs the structure in a way that is suitable for the purpose. Until there was a problem that takes a long period of construction of 7 to 9 months.
즉 현대인이 거주할 수 있는 민가는 구조가 상대적으로 복잡하지 않음에도 많은 건축 부재가 수작업을 통하여 가공되므로 건축기간을 단축할 수 없고 규모에 비해 공사단가가 높았다.In other words, in the private house where modern people can live, even though the structure is not relatively complicated, many building members are processed by hand, which shortens the construction period and the cost of construction is high.
특히 최근에는 방송사들에 의해 많은 세트장이 건축되고 있는데, 이 세트장은 짧은 시간 내에 다량의 한옥 즉, 민가, 초가, 궁궐, 사찰, 신당, 사당, 관가 등을 건축하여야 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은 한옥의 건축 방식으로는 방송 스케줄에 맞추어 세트장을 건축하기 어렵고 상대적으로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many sets are being built by broadcasters, which have to build a large number of hanoks, ie private houses, thatched houses, palaces, temples, shrines, shrines, pavilions, etc. in a short time. In the scheme, it is difficult to construct a set site according to a broadcast schedule and has a relatively high cost.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2002-0037002호에는 가구식 건축물의 조립식 한옥 건축 방법 및 그 한옥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In additio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2-0037002 discloses a prefabricated Hanok building method of a furniture building and its hanok structure to overcome the above problems.
즉 상기 가구식 건축물의 조립식 한옥 건축 방법 및 그 한옥 구조는 건축하고자 하는 대지에 기초공사를 한 후 종래의 한옥의 건축방법을 순차적으로 정리하여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In other words, the prefabricated Hanok building method and the hanok structure of the furniture building is disclosed a structure that can shorten the construction period by arranging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conventional hanok sequentially after the basic construction on the site to be built.
그러나 종래의 가구식 건축물의 조립식 한옥 건축 방법 및 그 한옥 구조는 종래 일반적인 한옥의 구조를 건축하는 시공단계를 순차적으로 나열한 것으로, 한옥을 손쉽게 지을 수 있는 구조는 아니다. 특히 한옥을 구성하는 건축부재는 목수나 전문가가 가공하여야 하므로 한옥의 건축에 따른 공기를 단축시키기 어렵고 단가를 낮출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prefabricated Hanok building method of the conventional furniture building and its hanok structure is a sequence of construction stages for building the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general hanok, not a structure that can easily build a hanok. In particular, the building members constituting the hanok had to be processed by a carpenter or expert, so it was difficult to shorten the air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of the hanok and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unit price could not be lower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마감초석, 마감기둥과 마감기와를 제외한 한옥의 구성을 공장에서 제작한 조립패널과 조립지붕으로 현장에서 조립함으로써, 벽체와 지붕의 조립 및 교체가 용이하여 공기를 단축하고 비용의 절감효과를 줄 뿐만 아니라 일정한 품질의 한옥을 손쉽게 건축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assembling the construction of the hanok except the finishing corners, finishing pillars and finishers in the field with the assembly panel and assembly roof produced in the factory, the assembly of the wall and roof and It is easy to replace, not only to shorten the air and reduce the cost, but also to make it easier to build a certain quality hanok.
또한, 한옥의 지붕과 벽체의 구성을 개선하여 한옥의 고질적인 단열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urpose is to improve the composition of the roof and walls of the hanok to solve the problem of the thermal insulation of the hanok.
또한, 조립패널과 조립패널이 맞닿는 외면에 마감기둥을 설치하여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기둥과 조립기둥의 맞닿는 부분에서 발생할 수 있는 틈새 균열과 강도의 약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esthetics by installing a finishing column on the outer surface where the assembly panel and the assembly panel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s well as to solve problems such as gap cracking and weakening of strength, which may occur at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assembly column and the assembly column. The purpose i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공장에서 제작되고 기단의 기초면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지지브라켓의 상부에 수직으로 장착되어 용도에 맞게 내부공간을 구성하는 조립패널과; 상기 조립패널과 조립패널이 맞닿는 외면에 수직으로 장착되고 외부 입면을 구성하는 마감기둥과; 공장에서 제작되고 보부재와 직교하며 상기 조립패널의 상부에 설치되는 주심도리와 대공에 안착되는 하종도리의 상부에 장착되는 조립지붕과; 상기 조립지붕의 상부에 설치되는 마감기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조립패널은 모서리 부분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조립기둥과; 상기 조립기둥의 상부와 하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면서 조립기둥을 고정하는 조립인방과; 상기 조립기둥과 조립인방의 사이에 형성되며 수직공간에 장착되는 벽체;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assembly panel is manufactured in a factory and vertically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bracket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base surface of the base to form an internal space for use; A finishing column mounted vertically on an outer surface of the assembly panel and the assembly panel, wherein the assembly panel constitutes an outer surface; An assembly roof fabricated in a factory and orthogonal to the beam member, and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claw hammer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assembly panel and a lower claw hammer mounted on a large hole; A finisher installed on the assembly roof; , ≪ / RTI >
The assembly panel and the assembly pillar is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corner portion; An assembly thread for horizontally install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assembly pillar to fix the assembly pillar; A wall formed between the assembly pillar and the assembly lintel and mounted in a vertical spa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s of.
본 발명에 따르면, 마감초석, 마감기둥과 마감기와를 제외한 한옥의 구성을 조립패널과 조립지붕으로 구성함으로써 한옥의 소요 공간 구성과 부재의 조립 및 교체가 용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옥의 건축기간을 단축하고, 시공 비용을 절감하며, 부품을 재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nstructing the construction of the hanok excluding the finishing corners, finishing pillars and finishers with the assembly panel and the roof, it is not only easy to assemble and replace the required space configuration and members of the hanok, but also the construction period of the hanok It can shorten, reduce construction costs, and recycle parts.
또한, 한옥의 지붕과 벽체의 구성을 개선하여 한옥의 고질적인 단열문제를 해결함으로써 냉난방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by improving the composition of the roof and walls of the hanok has the effect that can reduce the heating and cooling costs by solving the problem of insulated Hanok.
또한, 조립패널과 조립패널이 맞닿는 외면에 마감기둥을 설치하여 미관을 향상시키고 조립기둥과 조립기둥의 맞닿는 부분에서 발생할 수 있는 틈새 균열 및 강도의 약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by installing a finishing colum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ssembly panel and the assembly panel,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mprove the aesthetics and solve problems such as gap cracks and weakening of the strength that may occur in the contact portion of the assembly pillar and the assembly pilla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패널조립식 한옥구조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조립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조립식 한옥구조의 일 실시 예를 구성하는 조립패널, 조립지붕, 마감기둥, 마감초석, 보부재, 대공, 도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 및 4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조립식 한옥구조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정면도 및 평단면도.
도 5 및 6은 본 발명에 따른 패널조립식 한옥구조를 구성하는 조립패널과 조립지붕의 구성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7 및 8은 본 발명에 따른 패널조립식 한옥구조를 구성하는 조립패널을 나타낸 단면도 및 분해 사시도.
도 9 및 10은 본 발명에 따른 패널조립식 한옥구조를 구성하는 조립지붕의 실시 예를 나타낸 정면도 및 분해 사시도. 1 is an assembly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panel assembly hanok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ssembly panel, an assembly roof, a finishing pillar, a finishing corner, a beam member, a large hole, a purlin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anel assembly type hanok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is a front view and a plan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anel assembly hanok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assembly panel and the assembling roof constituting the panel assembly type hanok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a cross-sectional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ssembly panel constituting the panel assembly hanok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are a front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assembling roof constituting the panel assembly hanok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1은 기초면에 지지브라켓을 설치하고 그 상부에 조립패널을 수직으로 설치한 후 차례대로 설치된 조립패널 외면에 마감기둥을 조립하고 보부재와 대공으로 구성된 지붕구조 위치에 도리를 설치한 후 상부에 조립지붕을 결합하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조립식 한옥구조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조립도이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 is installed the support bracket on the base surface and vertically install the assembly panel on the upper side after assembling the finishing colum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ssembly panel in turn It is an assembly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anel-assembled hanok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coupling the assembling roof on the top after installing the purlin in the roof structure position consisting of the member and the hol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조립식 한옥구조의 일 실시 예를 구성하는 조립패널, 조립지붕, 마감기둥, 마감초석, 보부재, 대공, 도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 및 4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조립식 한옥구조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정면도 및 평단면도이다.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ssembly panel, an assembling roof, a finishing pillar, a finishing corner, a beam member, a hole, a purlin,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anel-assembled hanok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Front and plan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anel assembly type hanok according to.
도 5는 구조서까래 하부의 외부 처마부분에 마감서까래를 장착하는 비노출 조립지붕의 결합된 도면을 나타낸 조립패널을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구조서까래 하부의 내?외부에 마감서까래를 장착한 노출 조립지붕이 결합된 도면을 나타낸 조립지붕의 구성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Figure 5 shows the assembly panel showing the combined drawing of the non-exposed assembly roof for mounting the finishing rafters on the outer eaves of the lower part of the structure rafters, Figure 6 is an exposed assembly roof mounted with the finishing rafters inside and outside the structure rafters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assembly roof showing the combined drawing.
도 7 및 8은 본 발명에 따른 패널조립식 한옥구조를 구성하는 조립패널을 나타낸 단면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7 and 8 are a cross-sectional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ssembly panel constituting the panel assembly hanok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및 10은 보부재와 대공 상부에 주심도리와 종도리를 장착하고, 지붕내부가 노출되는 곳과 노출되지 않는 곳을 구분하여 비노출 조립지붕을 상부 연결하여 설치되는 조립지붕의 실시 예를 나타낸 정면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9 and 10 is a front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assembling roof is installed by connecting the main core and the bell to the upper part of the beam member and the hole, and the non-exposed assembling roof is connected by distinguishing the exposed and unexposed places inside the roof. Fig. And exploded perspective view.
본 발명인 패널조립식 한옥구조(10)는 기단 위 기초면 위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지지브라켓(20)과, 상기 지지브라켓(20)의 상부에 설치되는 조립패널(30)과, 상기 조립패널(30)과 조립패널(30)의 사이에 설치되는 마감초석(40)과, 상기 조립패널(30)과 조립패널(30)의 맞닿는 부분에 위치하면서 상기 마감초석(40)의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마감기둥(50)과, 상기 조립패널(30)들을 상부에서 연결하는 연결브라켓(60)과, 상기 연결브라켓(60)에 연결되는 보부재(70) 및 대공(71)과, 상기 조립패널(30)과 보부재(70)의 상부에 설치되는 주심도리(80)와, 상기 대공(71)에 장착되는 하종도리(90) 및 장여(91)와, 상기 주심도리(80)와 종도리(90)의 상부에 장착되는 조립지붕(100)과, 상기 조립지붕(100)의 상부에 장착되는 마감기와(200) 등으로 구성된다. The panel-assembled hanok structure of the
여기서 상기 마감초석(40)과 마감기둥(50)은 한옥의 크기와 용도 및 목적 등에 따라 여러 가지 형상, 높이, 크기를 가지고 설치되며, 본원발명에서 상기 마감초석(40)과 마감기둥(50)은 공지된 마감초석과 마감기둥을 택일하여 구성됨으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 the
기단 위 기초면 상부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지지브라켓(20)은 상부에 조립패널(30)을 설치하기 전에 수평과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조립패널(30)이 안정감 있게 조립될 수 있도록 견실하게 설치한다. The
상기 조립패널(30)은 지지브라켓(20)의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면서 수직뿐만 아니라 수평 또는 직각으로 연결되어 거실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조립패널(30)은 공장에서 제작되고 전?후 또는 좌?우에는 내부 공간에 필요한 창호가 선택적으로 형성된다. The
그리고 상기 조립패널(30)은 모서리 부분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조립기둥(31)과, 상기 조립기둥(31)의 상부와 하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면서 조립기둥(31)을 고정하는 조립인방(32)과, 상기 조립기둥(31)과 조립인방(32)의 사이에 형성되는 수직공간에 장착되는 벽체(33)로 구성된다.And the
상기 조립기둥(31)과 조립인방(32)은 소정의 높이와 크기를 가지고 형성되면서 간격을 두고 수직, 수평으로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조립기둥(31)은 조립패널(30)뿐만 아니라 상기 패널조립식 한옥구조(10)의 지붕 하중을 하부로 전달하는 구조적 역할을 수행하기 된다. The
그리고 본원발명에서 상기 조립기둥(31)은 하부 지지브라켓(20)과 상부 연결브라켓(60)의 고정 및 결합 등을 고려하여 단면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인접한 상기 조립기둥(31)의 상부에 형성되는 연결턱(31a)과 조립인방(32)의 상부에 장착되는 연결브라켓(6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금속판으로 형성되어 인접한 조립패널(30)들을 연결함과 동시에 보부재(70)를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The connecting
상기 조립기둥(31)의 외부에 설치되는 마감기둥(50)은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가지고 형성되면서 상기 조립패널(30)과 대응하는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The
즉 상기 마감기둥(50)은 조립기둥(31)과 조립기둥(31)이 맞닿는 부분에 장착되어 상기 조립기둥(31)과 조립기둥(31)이 맞닿는 부분에서 발생할 수 있는 균열과 강도 약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at is, the
이때 상기 마감기둥(50)의 외면에는 미관의 향상을 위하여 글자나 문양 등의 표시될 수 있음을 밝힌다. In this case, the outer surface of the
상기 조립기둥(31)과 조립인방(32)의 수직 공간 사이에 형성되는 벽체(33)는 내부에 거주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수직공간을 폐쇄하되, 상기 벽체(33)는 용도에 따라 일 측 또는 부분이 개방될 뿐만 아니라 창문과 문이 선택적으로 구성된다.The
그리고 상기 벽체(33)는 간격 바를 수직 및 수평으로 결합하여 형성되는 벽체틀(331)과, 상기 벽체틀(331)의 사이에 장착되는 단열재(332)와, 상기 단열재(332)의 외면에 장착되는 외부 지지판(333)과, 상기 단열재(332)의 내면에 부착되는 내부 합판(334)과, 상기 외부 지지판(333)의 외면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인방재(335)와, 상기 인방재(335) 사이에 설치되는 보온판(336)과, 상기 외부 보온판(336)의 외면에 설치되는 마감재(337)와, 상기 내부 합판(334) 내측으로 설치되는 석고보드(338)와, 상기 석고보드(338)에 선택적으로 부착되는 한지(339)로 구성된다.The
이때 상기 한지(339)에는 미관 등을 고려하여 페인트가 선택적으로 도포될 수 있음을 뿐만 아니라 상기 외부 지지판(333)의 외면에는 고정을 위하여 고정바가 더 장착될 수 있음을 밝힌다. In this case, not only the paint may be selectively applied to the Hanji 339 in consideration of aesthetics, etc., but also the fixing bar may be further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즉 본원발명의 상기 벽체(33)는 기존의 한옥 벽체와 달리 단열재(332)가 구비되는 벽체틀(331)의 외부에 외부 지지판(33)과 보온판(336) 및 마감재(337)를 장착하고, 내부에는 합판(334)과 석고보드(338) 및 한지(339)를 장착하여 단열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In other words, the
상기 보부재(70)는 중앙 상부에 대공(71)이 조립되고, 양측에는 상기 마감기둥(50)을 구성하는 상부 가이드 홈(50a)에 소정구간 삽입장착되어 상기 마감기둥(50)의 외부로 보머리가 형성되며, 맞은편은 상기 조립패널(30)을 연결하는 연결브라켓(60)의 상부에 장착된다. The
그리고 상기 보부재(70)의 하부에는 상기 마감기둥(50)에 짜맞추거나 덧붙여지는 보아지(51) 등이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또한 상기 보부재(70)의 보머리 부분에는 상기 조립패널(30)의 상부에 안착되는 주심도리(80)를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 브라켓(72)이 장착될 수 있음을 밝힌다.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상기 보부재(70)와 대공(71)으로 구성된 구조 상부에는 상기 조립패널(30)의 수평방향으로 주심도리(80)가 설치되며, 상기 보부재(70)의 중앙에 조립된 대공(71)의 상부에는 하종도리(90)와 장여(91)가 장착된다. In the upper portion of the structure consisting of the
여기서 상기 대공(71)의 상부에는 서로 다른 소정의 크기의 하종도리장착홈(71a)과 장여장착홈(71b)이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종도리장착홈(71a)에는 하종도리(90)가 장착되며, 상기 장여장착홈(71b)에는 장여(91)가 장착된다. Here, the lower type
그리고 상기 하종도리장착홈(71a)은 조립지붕(100)을 구성하는 지붕지지판(109)을 지지하고 하종도리(90)의 상부에 장착되는 상종도리(102)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The lower
이를 통해서 상기 하종도리(90)와 장여(91)의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균형을 잡는데 유리한 장점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rough this, as well as easy to install and replace the lower bell (90) and
상기 조립패널(30)과 보부재(70)의 상부에 설치되는 주심도리(80)는 상기 조립패널(30)을 구성하는 조립인방(32)의 상부와 상기 조립패널(30)의 상부에 직교하여 설치되는 보부재(70)의 상부에 설치된다. The
여기서 상기 주심도리(80)는 한옥의 용도와 목적 및 크기에 맞게 공지된 주심도리를 택일하여 구성되고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Wherein the main core (80) is configured by alternatively known main core to suit the purpose, purpose and size of the hanok, and a separ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상기 주심도리(80)와 종도리(90)의 상부에 장착되는 조립지붕(100)은 지붕 하중을 받는 구조서까래(101)와, 상기 구조서까래(101)의 하부에 조립지붕(100)을 지지하며 상기 하종도리(90)의 상부에 장착되는 상종도리(102)와, 외부마감서까래(104)의 상부 마구리와 접합되고 상기 주심도리(80)의 상부에 장착되는 단열당골막이(103)와, 상기 구조서까래(101)의 하부에 장착되고 외부 처마입면을 구성하는 상기 외부마감서까래(104)와, 상기 구조서까래(101)와 외부마감서까래(104) 사이에 장착되는 지붕지지판(109)과, 상기 지붕지지판(109)의 상부로 인접한 구조서까래(101)의 사이에 장착하는 지붕단열재(110)와, 상기 구조서까래(101)의 하부 마구리와 상기 외부마감서까래(104)의 하부 마구리부분의 상부에 장착하여 처마선을 구성하는 수평부재인 평고대(106)와, 상부에 마감기와(200)를 설치하는 연암(107)과, 구조서까래 상부에 지붕틀을 지지하는 적심목(108)과, 상부 지붕마감판(112)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수평바와 경사바로 이루어진 지붕틀(111)과, 상기 지붕틀(111)의 상부에 장착되는 지붕마감판(112)과, 상기 지붕마감판(112)의 상부에 설치되는 기와걸이 각재(113)로 구성된다.The
즉, 상기 조립지붕(100)은 공장에서 제작되고 지붕지지판(109)의 상부에 하종도리(90)에서 주심도리(80)를 지나 처마끝까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구조서까래(101)와 하부에 외부마감서까래(104)를 장착한 뒤 마감서까래 하부 마구리의 상부에 평고대(106)와 연암(107)을 수평으로 설치하여 외부 처마입면을 구성하며, 상부 구조서까래(101)와 지붕지지판(109)을 지지하는 상종도리(102)와 단열당골막이(103)를 하종도리(90)와 주심도리(80)에 장착한 것이다. That is, the
또한, 상기 구조서까래(101)의 사이에는 지붕단열재(110)를 설치하고, 상부에는 지붕의 곡선을 잡는 지붕틀(111)와 지붕마감판(112)으로 마무리하고, 마감기와(200)를 장착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수평부재로 구성된 기와걸이 각재(113)를 설치한다. In addition, the
여기서 상기 조립지붕(100)은 한 조립패널(30) 상부에 한 면으로 조립되며 반대편 주심도리(80)와 하종도리(90)의 상부에 설치하여 상기 구조서까래(101) 상부와 지붕지지판(109) 하부 상종도리(102)를 결합한다. Here, the
그리고 상기 구조서까래(101)의 접합부 상부에 상기 적심목(108)을 올려 지붕틀(111)을 마무리한 후 마감기와를 설치하여 한옥 공간을 구성함으로써 한옥의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하고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구조서까래(101)는 일반적인 한옥의 원형 서까래와 달리 각재를 긴 사다리꼴로 제작하여 상부 지붕곡을 잡아주고 지붕 하중을 받아 하부로 전달해주는 구조체 역할을 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그리고 춤의 비해 폭을 줄인 구조서까래(101)는 자재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면서 지붕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게 함으로써 공사기간과 공사단가를 줄이는 효과를 줄 수 있다.And the
더불어 상기 조립지붕(100)의 지붕 내부가 노출되는 부분은 상기 구조서까래(101)에 장착된 내부마감서까래(105)를 상종도리(102)에서 단열당골막이(103)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여 내부 지붕 입면을 구성함으로써 내부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art exposed inside the roof of the assembling
상기 단열당골막이(103)는 지붕지지판(109)의 하부에 설치되어 조립지붕(100)을 지지하는 당골막이 지지대(103a)와, 상기 지지대(103a)의 내부에 설치하는 당골단열재(103b)와, 상기 당골단열재(103b)의 내부에 설치하여 마감하는 내부 합판(103c)과, 외부 마감재(103d)와, 상기 합판(103c) 위로 선택적으로 마감하는 한지(103e)로 구성된다.The heat
즉 상기 단열당골막이(103)는 외부마감서까래(104)의 상부 마구리가 당골막이 지지대(103a)에 장착되고 외부 마감재(103d)로 마무리하며, 상기 당골막이 지지대 내부에 당골단열재(103b)를 설치한 후 내부 합판(103c)으로 마감하며, 지붕 내부가 노출되는 부분의 상기 단열당골막이(103)는 내부마감서까래의 하부 마구리가 관통하는 관통구를 상기 내부 합판에 형성하고 상기 내부마감서까래(105)의 하부가 상기 당골막이 지지대(103a)까지 설치되게 함으로써 내부 지붕의 입면을 조성하게 하고, 한옥의 상부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공기와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내부공기를 차단함은 물론이고 상기 조립지붕(100)을 지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at is, the heat
상기 조립지붕(100)의 상부에 장착되는 마감기와(200)는 점토, 시멘트 등의 재질을 택일하여 제조되고, 그 형상과 크기는 사용하고자 하는 용도와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패널조립식 한옥구조(10)의 실시 예를 참조로 조립순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anel assembly
먼저, 기단의 기초면 상부에 지지브라켓(20)을 일정간격으로 설치한 후, 상부에 조립패널(30)을 수직으로 세워 조립한 다음, 상기 조립패널(30)의 조립기둥(31)의 상부에 연결브라켓(60)을 장착하여 인접 조립패널(30)과 연결한다. First, the
그리고 상기 조립패널(30)을 용도와 기능에 맞도록 순서대로 설치하여 필요한 소요거실 공간을 구성한다. And the
여기서 상기 조립패널(30)의 벽체(33)에는 내부 공간에 필요한 창호를 선택적으로 형성하되, 상기 조립패널(30)은 조립기둥(31)과 조립인방(32) 및 벽체틀(331)과 단열재(332)로 구성된 벽체로 조립되고, 상기 벽체(33)의 내부에는 한지(339)가 외부에는 보온판(336) 및 마감재(337)로 마감하여 한옥의 미관과 단열성능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Here, the
다음으로 상기 조립패널(30)을 구성하는 조립기둥(31)의 외부에 수직으로 마감기둥(50)을 설치하되, 상기 마감기둥(50)의 하부에는 마감초석(40)을 장착하여 한옥의 하부입면을 구성한다. Next, install the finishing
그리고 상기 조립패널(30)과 직교한 보부재(70)를 상기 마감기둥(50)의 상부 가이드 홈(50a)에 보머리가 설치되도록 연결브라켓(60)에 조립한다. And the
다음으로 상기 보부재(70)의 중앙 상부에 미리 설치된 대공(71)에 하종도리(90)와 장여(91)를 설치하여 인접 대공과 대공 사이를 연결한다. 상기 보부재(70)의 상부에는 주심도리(80)를 안착한 후 고정브라켓(72)으로 고정하고, 상기 주심도리(80)와 하종도리(90) 상부에 조립지붕(100)을 설치한다.Next, a lower bellows 90 and an
여기서 상기 조립지붕(100)은 조립패널(30) 한 면에 한 채씩 상부에 설치되며 내부 지붕이 노출되는 곳은 선택적으로 내부마감서까래(105)가 형성되어 제작된다. Here, the
그리고 상기 조립지붕(100)의 구조서까래(101)는 종도리에서 주심도리(80)를 거쳐 처마끝부분까지 경사져 지붕 하중을 받는 구조체로써 지붕지지판(109)과 외부마감서까래(104)가 하부에 장착된다. The
다음으로 상기 조립지붕(100)을 설치할 때 지붕지지판(109)을 지지하는 상종도리(102)는 하종도리(90)의 상부에 장착하고, 외부마감서까래(104)의 마구리와 접합된 단열당골막이(103)를 주심도리(80) 상부에 장착하여 지붕의 한 면을 구성한다. Next, the upper
마찬가지로 반대편 조립지붕(100)을 설치한 후 구조서까래(101) 상부와 상종도리(102)끼리 연결하여 적심목(108)을 올리고, 지붕틀(111)을 정리한 후 기와걸이 각재(113)가 부착된 지붕마감판(112)의 상부를 마무리하여 상기 조립지붕(100) 상부에 마감기와(200)를 얹어 한옥 지붕을 완성함으로써 한옥 한 채의 시공은 완료되는 것이다.Similarly, after installing the
여기서 상기 패널조립식 한옥구조(10)의 건축 순서는 현장 상황에 따라 상기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Here, the construction order of the panel
이와 같이 본원발명의 패널조립식 한옥구조(10)는 마감초석(40)에 상부의 상기 마감기둥(50) 및 마감기와(200)를 제외한 구성을 용도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고 교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재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anel-assembled
그리고 본원발명의 패널조립식 한옥구조(10)는 여러 개로 이루어지는 조립패널(30)과 조립지붕(100)을 통해서 열의 손실을 최소화함으로써 단열효과를 높일 수 있다. And the panel assembly
또한, 상기 주심도리(80)의 상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단열당골막이(103)를 설치하여 차단함으로써 단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by blocking the air flowing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core (80) by installing a heat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패널조립식 한옥구조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anel assembly type hanok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a particular shape and direc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10 : 패널조립식 한옥구조, 20 : 지지브라켓,
30 : 조립패널, 31 : 조립기둥,
32 : 조립인방, 33 : 벽체,
40 : 마감초석, 50 : 마감기둥,
60 : 연결브라켓, 70 : 보부재,
71 : 대공, 80 : 주심도리,
90 : 하종도리, 91 : 장여,
100 : 조립지붕, 101 : 구조서까래,
102 : 상종도리, 103 : 단열당골막이,
104 : 외부마감서까래, 200 : 마감기와.10: panel assembly type hanok structure, 20: support bracket,
30: assembly panel, 31: assembly pillar,
32: assembly lining, 33: wall,
40: finishing corner, 50: finishing column,
60: connecting bracket, 70: the auxiliary member,
71: Grand Duke, 80: chief referee,
90: Hajongdori, 91: Jangyeo,
100: assembled roof, 101: rescue rafters,
102: Sangjong-dori, 103: adiabatic sugar film,
104: external finishing rafters, 200: finisher.
Claims (13)
상기 조립패널(30)은 모서리 부분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조립기둥(31)과; 상기 조립기둥(31)의 상부와 하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면서 조립기둥(31)을 고정하는 조립인방(32)과; 상기 조립기둥(31)과 조립인방(32)의 사이에 형성되며 수직공간에 장착되는 벽체(33);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조립식 한옥구조.
An assembly panel 30 manufactured in a factory and vertically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bracket 20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base surface of the base to form an internal space according to a use; A finishing column 50 mounted vertically on the outer surface where the assembly panel 30 and the assembly panel 3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constituting an external elevation surface; Assembly roof (100) manufactured in the factory and orthogonal to the beam member (70) and mounted on the upper core (80) and the lower bell (90) seated in the large hole (71) installed on the assembly panel (30). )and; A finisher 200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assembling roof 100; , ≪ / RTI >
The assembly panel 30 has an assembly pillar 31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corner portion; An assembly lintel 32 for horizontally install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assembly pillar 31 to fix the assembly pillar 31; A wall 33 formed between the assembly column 31 and the assembly lintel 32 and mounted in a vertical space; Panel assembly type hanok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상기 지지브라켓(20)은 기초면의 수평과 상기 조립패널(30)을 고정하고 인접한 조립패널(30)을 연결 및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조립식 한옥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bracket 20 is a panel-assembled hanok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o fix the horizontal and the assembly panel 30 of the base surface and to connect and fix the adjacent assembly panel 30.
격자 바를 수직 및 수평으로 결합하여 형성되는 벽체틀(331)과;
상기 벽체틀(331)의 사이에 장착되는 단열재(332)와;
상기 단열재(332)의 외면에 장착되는 외부 지지판(333)과;
상기 단열재(332)의 내면에 장착되는 내부 합판(334)과;
상기 외부 지지판(333)의 외면에 장착되는 마감재(337)와;
상기 외부 지지판(333)과 마감재(337)의 사이에 설치되는 보온판(336)과;
상기 내부 합판(334)의 내측에 설치되는 석고보드(338);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조립식 한옥구조.
The wall (33) of claim 1,
A wall frame 331 formed by combining the grid bars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 heat insulating material 332 mounted between the wall frame 331;
An outer support plate 333 mount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heat insulator 332;
An inner plywood 334 mount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heat insulator 332;
A finishing material 337 mount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outer support plate 333;
A heat insulating plate 336 installed between the outer support plate 333 and the finishing material 337;
A gypsum board 338 installed inside the inner plywood 334; Panel assembly type hanok structure comprising a.
상기 외부 지지판(333)의 외면에 인방재(335)가 선택적으로 장착되고, 상기 석고보드(338)에는 한지(339)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조립식 한옥구조.
The method of claim 4,
A panel assembly type hanok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phosphorus material 335 is selectively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support plate 333, the hanji (339) is attached to the gypsum board (338).
상기 한지(339)에는 페인트가 선택적으로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조립식 한옥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hanji (339) panel assembly hanok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paint is selectively applied.
상기 마감기둥(50)은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가지면서 상기 조립패널(30)과 대응하는 높이로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보부재(70)의 보머리를 삽입장착하기 위한 상부 가이드 홈(50a)이 형성되며, 외면에는 보아지(51)가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조립식 한옥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nishing column 50 has a predetermined width and thickness and is form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assembly panel 30, and an upper guide groove 50a for inserting and mounting the bow of the beam member 70 thereon. ) Is formed, the panel assembly type hanok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bore 51 is selectively formed on the outer surface.
상기 보부재(70)는 중앙 상부에 대공(71)이 조립되고, 상기 조립패널(30)을 연결하는 연결브라켓(60) 상부에 장착되며, 양측에는 상기 마감기둥(50)을 구성하는 상부 가이드 홈(50a)에 소정구간 삽입장착되어 상기 마감기둥(50)의 외부로 보머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조립식 한옥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eam member 70 is assembled with a large hole 71 in the upper center, is mounted on the connection bracket 60 connecting the assembly panel 30, the upper guide constituting the closing pillar 50 on both sides Panel-mounted hanok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bore is formed in the groove (50a) by inserting a predetermined section to the outside of the finishing column (50).
상기 조립패널(30)의 상부에는 고정 및 결속을 위하여 연결브라켓(60)이 더 장착되되,
상기 연결브라켓(60)은 조립패널(30)을 구성하는 조립기둥(31)의 상부에 형성되는 연결턱(31a)과 조립인방(32)의 상부에 고정장착되어 인접 조립패널(30)을 연결해주며, 상기 조립패널(30)과 직교하여 설치되는 보부재(70)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조립식 한옥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portion of the assembly panel 30 is further equipped with a connection bracket 60 for fixing and binding,
The connecting bracket 60 is fixedly mounted on the connecting jaw 31a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assembling pillar 31 constituting the assembling panel 30 and the assembling thread 32 to connect the adjacent assembling panel 30. The panel assembly type hanok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for fixing the beam member 70 is installed orthogonal to the assembly panel 30.
상기 대공(71)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하종도리장착홈(71a)과 장여장착홈(71b)이 상부에 연속형성되고, 상기 하종도리장착홈(71a)에는 하종도리(90)가 장착되며, 장여장착홈(71b)에는 장여(91)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조립식 한옥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8,
The large hole 71 has a lower purlin mounting groove (71a) and the mounting mounting groove (71b) having a different size is formed continuously in the upper, the lower purlin mounting groove (71a) is equipped with a lower purlin (90), The panel mounting type hanok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91) is mounted on the mating mounting groove (71b).
상기 하종도리장착홈(71a)은 조립지붕(100)을 구성하는 지붕지지판(109)을 지지하고 하종도리(90)의 상부에 장착되는 상종도리(102)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조립식 한옥구조.
The method of claim 10,
The lower type purlin mounting groove 71a is formed to support the roof support plate 109 constituting the assembling roof 100 and to accommodate a portion of the upper type purlin 102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type purlin 90. Panel assembly type hanok structure characterized by.
지붕 하중을 받는 구조서까래(101)와;
상기 구조서까래(101)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하종도리(90)의 상부에 장착되는 상종도리(102)와;
상기 주심도리(80)의 상부에 장착되는 단열당골막이(103)와;
상기 구조서까래(101)의 하부에 장착되고, 상기 단열당골막이(103)와 상부 마구리가 결합되며, 외부 처마입면을 구성하는 외부마감서까래(104)와;
상기 구조서까래(101)와 외부마감서까래(104)의 사이에 장착되는 지붕지지판(109)과;
상기 지붕지지판(109)의 상부에 인접한 구조서까래(101)의 사이에 장착하는 지붕단열재(110)와;
상기 구조서까래(101)의 하부 마구리와 상기 외부마감서까래(104)의 하부 마구리부분의 상부에 장착되어 처마선을 구성하는 수평부재인 평고대(106)와;
상기 평고대(106)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마감기와(200)가 설치되는 연암(107)과;
상기 지붕단열재(110)의 상부에 설치되고 지붕틀을 지지하는 적심목(108)과;
상기 지붕단열재(11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 지붕마감판(112)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수평바와 경사바로 이루어진 지붕틀(111)과;
상기 지붕틀(111)의 상부에 장착되는 지붕마감판(112)과;
상기 지붕마감판(112)의 상부에 설치되는 기와걸이 각재(113);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조립식 한옥구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ssembly roof 100,
A structural rafter (101) subjected to a roof load;
An upper vertical purse 102 positioned below the structural rafter 101 and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vertical purlin 90;
A heat insulation sugar film 103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core 80;
An external finishing rafter 104 mounted at a lower part of the structural rafter 101 and coupled with the adiabatic saccharin 103 and an upper rib, and constituting an external eaves;
A roof support plate 109 mounted between the structural rafter 101 and the external finishing rafter 104;
A roof insulation material 110 mounted between the structural rafters 101 adjacent to the upper portion of the roof support plate 109;
A flat plate 106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rib of the structural rafter 101 and the lower rib of the outer finishing rafter 104 to form a cornice;
A lotus rock 107 mounted on the flat plate 106 and provided with the finisher 200;
A redwood tree 108 installed on the roof insulation 110 and supporting the roof frame;
A roof frame (111) installed on the roof insulation material (110) and composed of a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and a slope bar supporting the upper roof finishing plate (112);
A roof finishing plate 112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truss 111;
Roof tile hanger 113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roof finishing plate 112; Panel assembly type hanok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상기 단열당골막이(103)는,
상기 지붕지지판(109)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조립지붕(100)의 하중을 지지하는 당골막이 지지대(103a)와;
상기 당골막이 지지대(103a)의 내부에 설치되는 당골단열재(103b)와;
상기 당골단열재(103b)의 내부에 설치되고 마감하는 내부 합판(103c)과;
상기 당골막이 지지대(103a)의 외부에 장착되는 마감재(103d);
상기 합판(103c)의 위로 선택적으로 마감하는 한지(103e);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조립식 한옥구조. The method of claim 12,
The heat insulation sugar film 103,
A sugar film support 103a mounted below the roof support plate 109 to support the load of the assembled roof 100;
And the sugar film insulation material 103 is installed inside the support film 103a;
An inner plywood (103c) installed and finished in the inside of the sugar insulation material (103b);
Finishing material (103d) is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support film (103a);
Hanji (103e) selectively finishing over the plywood (103c); Panel assembly type hanok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08218A KR101180075B1 (en) | 2012-01-27 | 2012-01-27 | Panel assembly structure of Korean-style hous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08218A KR101180075B1 (en) | 2012-01-27 | 2012-01-27 | Panel assembly structure of Korean-style hous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80075B1 true KR101180075B1 (en) | 2012-09-05 |
Family
ID=47073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08218A Expired - Fee Related KR101180075B1 (en) | 2012-01-27 | 2012-01-27 | Panel assembly structure of Korean-style hous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80075B1 (en)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22794B1 (en) * | 2013-12-30 | 2014-07-28 |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 Korean House foundation and it's manufacturing and construction methods |
KR101454811B1 (en) * | 2014-04-04 | 2014-11-04 | 김종화 | Construction method of the roof of Korean-style houses using frame of rafters and board of tile stoppers |
KR101514374B1 (en) * | 2015-02-13 | 2015-04-22 | 박태연 | Insulated wall construction method of Hanok |
KR20170009223A (en) * | 2015-07-16 | 2017-01-25 | 성경일 | Light Weight Wood Framing System of Timber Hous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reof |
KR101795756B1 (en) | 2017-02-02 | 2017-12-01 | 장원 | Prefabricated wooden building |
CN111719755A (en) * | 2020-05-14 | 2020-09-29 | 龙德建设有限公司 | Assembled concrete archaized roof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20200114782A (en) * | 2019-03-29 | 2020-10-07 | 최재복 | A prefabrication wall manufacturing method of HANOK and a wall construction method of HANOK using the same |
US11447944B2 (en) | 2017-12-12 | 2022-09-20 | Oikos Concept Inc. | Exterior wall panel and exterior wall panel assembly |
CN116084613A (en) * | 2023-01-04 | 2023-05-09 | 中煤地建设工程有限公司 | Mounting structure and mounting method of steel structure roof based on BIM technology |
KR20230163156A (en) * | 2022-05-23 | 2023-11-30 | 정강인 | Modular wall structure of korean style hous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87757B1 (en) * | 2007-03-30 | 2009-03-12 | 주식회사 디자인마루 | Hanok wall structure |
KR101101788B1 (en) * | 2011-09-08 | 2012-01-05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Prefab Hanok |
-
2012
- 2012-01-27 KR KR1020120008218A patent/KR10118007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87757B1 (en) * | 2007-03-30 | 2009-03-12 | 주식회사 디자인마루 | Hanok wall structure |
KR101101788B1 (en) * | 2011-09-08 | 2012-01-05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Prefab Hanok |
Cited B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22794B1 (en) * | 2013-12-30 | 2014-07-28 |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 Korean House foundation and it's manufacturing and construction methods |
KR101454811B1 (en) * | 2014-04-04 | 2014-11-04 | 김종화 | Construction method of the roof of Korean-style houses using frame of rafters and board of tile stoppers |
KR101514374B1 (en) * | 2015-02-13 | 2015-04-22 | 박태연 | Insulated wall construction method of Hanok |
KR20170009223A (en) * | 2015-07-16 | 2017-01-25 | 성경일 | Light Weight Wood Framing System of Timber Hous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reof |
KR101708004B1 (en) | 2015-07-16 | 2017-02-17 | 성경일 | Light Weight Wood Framing System of Timber Hous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reof |
KR101795756B1 (en) | 2017-02-02 | 2017-12-01 | 장원 | Prefabricated wooden building |
US11447944B2 (en) | 2017-12-12 | 2022-09-20 | Oikos Concept Inc. | Exterior wall panel and exterior wall panel assembly |
KR20200114782A (en) * | 2019-03-29 | 2020-10-07 | 최재복 | A prefabrication wall manufacturing method of HANOK and a wall construction method of HANOK using the same |
KR102198571B1 (en) * | 2019-03-29 | 2021-01-06 | 최재복 | A prefabrication wall manufacturing method of HANOK and a wall construction method of HANOK using the same |
CN111719755A (en) * | 2020-05-14 | 2020-09-29 | 龙德建设有限公司 | Assembled concrete archaized roof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20230163156A (en) * | 2022-05-23 | 2023-11-30 | 정강인 | Modular wall structure of korean style house |
KR102643608B1 (en) * | 2022-05-23 | 2024-03-04 | 정강인 | Modular wall structure of korean style house |
CN116084613A (en) * | 2023-01-04 | 2023-05-09 | 中煤地建设工程有限公司 | Mounting structure and mounting method of steel structure roof based on BIM technology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80075B1 (en) | Panel assembly structure of Korean-style house | |
KR100934458B1 (en) | Korean-style building with steel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0902642B1 (en) | sperm | |
KR101730460B1 (en) | Korean-style houses constructed by using tradition wooden building constructing structure and steel structur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20160125107A (en) | Double combination type finish panel and wall structure using the same | |
KR101160203B1 (en) | Wall Structure of Hanok | |
KR20120002908U (en) | Prefab Tile Finisher | |
KR101213504B1 (en) | Tailor-Made Type Korean House Manufacturing Method for Furniture-style Buildings and Tailor-Made Type Korean House Structure | |
KR20090046140A (en) | Prefabricated Hanok consisting of unit structure | |
JPS61179945A (en) | Prefabricated house | |
CN100560908C (en) | Suspended ceiling structures for prefabricated houses | |
KR200319279Y1 (en) | House of fabrication | |
US3312018A (en) | Building construction | |
KR101458158B1 (en) | Tiled roof of system heat insulation | |
JP2849228B2 (en) | Architectural panel, wooden building comprising the architectural pane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JP5429549B2 (en) | Curved wall structure | |
CN211447260U (en) | Adopt shaped steel and fastener for slat to carry out assembled building who connects | |
JP6321966B2 (en) | Dry-type waist wall structure, building external structure equipped with the same, and dry-type waist wall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 |
KR200282010Y1 (en) | Frefab dome system | |
KR100746284B1 (en) | Fastening structure of prefabricated roof | |
KR102643608B1 (en) | Modular wall structure of korean style house | |
JP3233066U (en) | Roof structure and attic | |
KR200424033Y1 (en) | Thatched Prefab Roof | |
JP5371334B2 (en) | building | |
KR101010457B1 (en) | Roof Structure of Hanok and Wooden Hous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2020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2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7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7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8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8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