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79574B1 - 양문형 문짝 자동 잠금장치 및 이를 채택한 양문형 문짝 - Google Patents

양문형 문짝 자동 잠금장치 및 이를 채택한 양문형 문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9574B1
KR101179574B1 KR1020100117592A KR20100117592A KR101179574B1 KR 101179574 B1 KR101179574 B1 KR 101179574B1 KR 1020100117592 A KR1020100117592 A KR 1020100117592A KR 20100117592 A KR20100117592 A KR 20100117592A KR 101179574 B1 KR101179574 B1 KR 101179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ousing
locking device
link member
doub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7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6071A (ko
Inventor
김완호
Original Assignee
김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완호 filed Critical 김완호
Priority to KR1020100117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9574B1/ko
Publication of KR20120056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6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9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957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2Automatic catches, i.e. released by pull or pressure on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6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in which the securing part if formed or carried by a spring and moves only by distortion of the spring, e.g. sn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7/00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wo wings
    • E05C7/04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wo wings for wings which abut when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34Form stability
    • E05Y2800/342Deformable
    • E05Y2800/344Deformable elast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문형 문짝 자동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양문형 문짝의 폐쇄와 개방 동작만으로도 자동으로 양문형 문짝을 잠금 해제 또는 잠금하여 사용자의 편리함을 제고시키고 보안을 강화한 양문형 문짝 자동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양문형 문짝 자동 잠금장치는 양문형 문짝의 일측 문의 내측 상단 또는 하단에 설치되며, 상면 또는 하면 및 측면에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며 핀 이음으로 연결된 다수의 링크로 이루어져서 신축 가능한 신축 링크 부재, 상기 신축 링크 부재의 말단 부위에 고정 설치되며 신장시 상기 상면 또는 하면 통공을 통해 돌출되는 빗장 부재, 외력의 미인가시 상기 빗장 부재가 상기 하우징 내부로 후퇴하도록 상기 신축 링크 부재를 수축 상태로 유지시키는 탄성 신축 수단, 일부가 상기 측면 통공을 통해 돌출되고 나머지 부위는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어 후퇴시 상기 신축 링크 부재의 측부를 가압하여 상기 신축 링크 부재를 신장시키는 가압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양문형 문짝 자동 잠금장치 및 이를 채택한 양문형 문짝{Automatic locking device for side-by-side door}
본 발명은 양문형 문짝 자동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양문형 문짝의 폐쇄와 개방 동작만으로도 자동으로 양문형 문짝을 잠금 해제 또는 잠금하여 사용자의 편리함을 제고시키고 보안을 강화한 양문형 문짝 자동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양문형 여닫이문(이하 간단히 “양문”이라 한다)은 문의 여닫음이 많은 수납장을 비롯하여 건물 입구의 출입문이나 사람들의 출입이 잦은 회의실 및 공연장의 출입문으로서 널리 사용된다.
한편, 양문형 문짝이 가장 널리 사용되는 양문형 수납장의 경우 평시에는 한 쪽 문, 예를 들어 좌측 문(이하 고정문을 좌측 문으로 하여 설명을 진행한다)을 고정시켜 둔 채로 우측 문만을 사용하게 되는데, 좌측 문의 상단 및 하단에 잠금장치를 설치한 상태에서 수납장의 천장 및 바닥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이나 걸림턱에 잠금장치의 빗장을 거는 방식으로 좌측 문을 고정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양문형 수납장에 사용되는 버튼형 잠금장치의 사시 사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양문형 수납장의 버튼형 잠금장치는 내부에 빗장을 상시 후퇴 상태로 유지시키는 스프링(미도시)과 빗장(13)의 돌출시 이를 돌출 상태로 유지시키는 걸쇠(미도시)가 구비되어 있고 외부에는 걸쇠를 가압하여 빗장(13)의 돌출 상태를 해제시키기 위한 버튼이 구비된 걸림 부재(10)와 빗장(13)의 돌출시 빗장(13)이 걸리는 통공(21)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피걸림 부재(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사용자가 좌측 문(310)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걸림 부재(10)의 상하 양측을 관통하여 돌출되어 있는 빗장(13)을 수동으로 누르게 되는데, 이 경우에 빗장(13)이 걸림 부재(10)의 외부로 돌출되어 피걸림 부재(20)의 통공(21)에 걸리게 됨으로써 잠금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버튼(11)을 수동으로 누르게 되는데, 이러한 버튼(11)을 누르는 힘에 의해 걸쇠가 젖혀지고, 이에 따라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빗장(13)이 걸림 부재(10) 내부로 후퇴함으로써 잠금이 해제된다.
도 2는 종래 양문형 문짝 잠금장치의 또 다른 형태인 레버형 잠금장치의 사시 사진이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양문형 문짝의 잠금장치를 사용할 경우 여러 가지 불편함이 따른다.
첫 번째로, 도난을 방지하기 위해 양문형 문짝을 잠그고자 할 때, 사용자는 버튼형 또는 레버형 잠금장치(이하 이를 ‘수동 잠금장치’라 한다)가 설치되어 있는 좌측 문을 매번 확실히 잠근 후에 다시 우측 문을 닫은 상태에서 자물쇠로 잠가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이와는 달리 잠금장치가 있는 문을 잠그지 않은 채 자물쇠로만 잠그게 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문(310)이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문을 앞으로 당기기만 해도 문이 쉽게 열리게 되어 도난과 같은 보안의 문제가 따른다.
두 번째로, 전술한 문제점으로 인해 사용자들은 보통 좌측 문(310)만을 잠근 상태에서 우측 문(300)만을 여닫이문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양문을 모두 개방해야 꺼낼 수 있는 크기의 물건이나 잠겨진 문의 뒤 쪽에 있는 물건을 꺼낼 때에는 매번 잠금장치를 풀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무엇보다도 수납장의 키가 큰 경우에는 상단의 잠금장치를 조작하기 위해 의자 등을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양문형 문짝의 양문을 잠그기 위해 잠금장치를 수동으로 매번 잠그지 않아도 문을 개폐하는 행위만으로도 자동으로 일측 문을 잠금 해제 또는 잠금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서 사용상의 편리를 제고시킨 양문형 문짝 자동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자동 잠금장치를 적어도 일측 문의 상단에 채택함으로써 비록 키가 큰 수납장의 경우에도 의자 등을 사용함이 없이 손쉽게 상단 잠금장치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할 수 있도록 한 양문형 문짝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양문형 문짝 자동 잠금장치는 양문형 문짝의 일측 문의 내측 상단 또는 하단에 설치되며, 상면 또는 하면 및 측면에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며 핀 이음으로 연결된 다수의 링크로 이루어져서 신축 가능한 신축 링크 부재, 상기 신축 링크 부재의 말단 부위에 고정 설치되며 신장시 상기 상면 또는 하면 통공을 통해 돌출되는 빗장 부재, 외력의 미인가시 상기 빗장 부재가 상기 하우징 내부로 후퇴하도록 상기 신축 링크 부재를 수축 상태로 유지시키는 탄성 신축 수단, 일부가 상기 측면 통공을 통해 돌출되고 나머지 부위는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어 후퇴시 상기 신축 링크 부재의 측부를 가압하여 상기 신축 링크 부재를 신장시키는 가압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하우징의 하면 양단에는 상기 하우징을 상기 양문형 문짝의 일측 문의 내면 상단 또는 하단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공이 형성된 날개가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의 측면 양단에는 상기 하우징을 상기 양문형 수납장의 일측 문의 측면 상단 또는 하단에 매립한 채로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공이 형성된 날개가 구비된다.
상기 가압 부재의 돌출 부위는 반구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 부재의 돌출 부위를 안내하도록 양문형 문짝의 타측 문의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되는 유선형의 안내 부재를 더 구비한다.
전술한 구성에서, 자동 잠금장치를 양문형 문짝의 일측 문의 상단 또는 하단에 설치하거나 상단 및 하단에 모두 설치한다.
본 발명의 양문형 문짝 자동 잠금장치에 따르면, 양문형 문짝의 양문을 폐쇄하는 것만으로 자동으로 잠금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양문을 잠그기 위해 수동으로 잠금장치를 조작해야 하는 불편을 줄일 수 있고, 사용자가 실수로 양문형 문짝의 내측면에 설치된 잠금장치를 잠그지 않아 일어나는 도난과 같은 보안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키가 큰 문짝의 경우에도 손쉽게 문을 잠금 또는 잠금 해제시킬 수가 있다.
도 1은 종래 양문형 문짝에 사용되는 버튼형 잠금장치의 정면 사진.
도 2는 종래 양문형 문짝 잠금장치의 또 다른 형태인 레버형 잠금장치의 사시 사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양문형 문짝 자동 잠금장치의 사시 분해도.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양문형 문짝 자동 잠금장치의 배면도.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양문형 문짝 자동 잠금장치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양문형 문짝 자동 잠금장치에 따른 유선형 보호 부재가 설치된 우측 문의 사시도.
도 7는 양문형 문짝의 우측 문이 개방 및 폐쇄되어 있을 때의 자동 잠금장치를 도시한 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문형 문짝의 자동 잠금장치 및 이를 채택한 양문형 문짝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후술하는 양문형 문짝은 양문형 여닫이문으로 구현된 것을 바탕으로 한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양문형 문짝 자동 잠금장치의 사시 분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문형 문짝 자동 잠금 장치는 신축 링크 부재(110), 신축 링크 부재(110)의 말단 부위에 고정 설치되는 빗장 부재(150), 신축 링크 부재(110)의 양단에 연결되는 탄성 신축 부재(130), 신축 링크 부재(110)의 측부에 위치하는 가압 부재(170), 이들을 내장하는 하우징(100) 및 우측 문(300)에 설치되는 유선형 보호 부재(2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신축 링크 부재(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단위 링크(111)가 연속적인 마름모 구조를 이룬 상태에서 굴절 운동에 의해 신축될 수 있도록 핀(113) 이음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핀(113) 이음은 굴절 운동이 가능한 볼트 또는 리벳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신축 링크 부재(110)는 다수의 단위 링크의 양 끝을 핀(113) 이음으로 연결한 삼각파형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다. 신축 링크 부재(110)의 후단은 볼트 등에 의해 하우징(100)에 고정되어 있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양문형 문짝 자동 잠금장치의 배면도이다.
신축 링크 부재(110)의 선단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Y자로 연결된 원통 형태로 구현되거나 바(bar) 형태로 이루어진 빗장 부재(150)가 핀(113) 이음으로 연결되어 있다. 단위 링크(111)나 빗장 부재(150)의 재질로는, 예를 들어 역시 경질의 합성수지나 알루미늄 또는 철제와 같은 금속제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양문형 문짝 자동 잠금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 링크 부재(110)의 적소, 예를 들어 상기한 후단 고정 볼트와 선단 핀 이음 사이에는 신축 링크 부재(110)를 상시 수축 상태로 유지시키는 탄성 신축 부재(130), 예를 들어 상시 압축되어 있는 인장 스프링이나 고강도의 고무 밴드 또는 고무줄로 구현될 수 있다. 더하여, 하나 이상의 탄성 신축 부재(130)가 사용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신축 링크 부재(110)의 측부에는 가압 부재(170)가 배치되는데, 가압 부재(170)의 일부는 하우징(100)의 측면 통공(후술함)을 통해 돌출되고 나머지 부위는 하우징(100)에 내장된다. 이때, 가압 부재(170)는 하우징(100)에 내장되는 가압 부재(170)의 비돌출 부분이 통공으로 빠져나가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구형 또는 타원구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가압 부재(170)의 작은 후퇴로 신축 링크 부재(110)의 큰 신장을 유도할 수 있도록, 돌출 부위는 반구형 또는 반타원구형 구조로 구현되고, 내장 부위는 육면체형 또는 원통형 등으로 구현되어 신축 링크 부재(110)를 가압할 수도 있다.
전술한 구성을 내장하는 하우징(100)은 경질의 합성수지, 알루미늄 또는 철제와 같은 금속제로 구현될 수 있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측면에는 가압 부재(170)의 돌출 부위가 통과하는 통공(101)이 형성되어 있고, 하면 또는 상면에는 빗장 부재가 출입하는 통공(103)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잠금장치는 좌측 문의 내면 상단 또는 하단에 고정되는 외장형과 좌측 문의 측면 상단 또는 하단에 매립되는 매립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외장형의 경우에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면 상단 또는 하단에서 볼트 고정용 통공이 형성된 날개가 연장되고 매립형의 경우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날개가 가압 부재의 돌출 부위가 통과하는 측면의 상단 또는 하단에서 연장된다. 외장형 잠금 장치의 경우에는 양문을 폐쇄한 경우에 가압 부재(170)를 누르는 도 6과 같은 유선형 보호 부재(210)가 추가로 요구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양문형 문짝 자동 잠금장치에 따른 유선형 보호 부재가 설치된 우측 문의 사시도로서 문의 안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한편, 매립형의 경우에 양문형 문짝 양문의 개폐에 따른 가압 부재(170)와의 마찰에 의해 문의 측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원활한 개폐를 유도하기 위한 유선형 보호 부재(210)가 우측 문에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매립형의 경우에는 이러한 유선형 보호 부재(210)가 직사각형 형태의 얇은 판이 내측으로 약간 말린 형상의 유선형으로 이루어지며 문짝 안쪽으로 돌출되지 않아도 된다. 유선형 보호 부재(210)의 재질로는 잦은 마찰에도 손상이 적은 철제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제가 사용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각각 양문형 문짝의 우측 문이 개방 및 폐쇄되어 있을 때의 자동 잠금장치의 상태를 도시한 도이다. 먼저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력의 미인가시, 즉 우측 문(300) 개방시 신축 링크 부재(110)는 탄성 신축 부재(130)의 인장력에 의해 수축 상태로 유지된다. 이로 인해, 신축 링크 부재(110)의 선단 부위에 고정된 빗장 부재(150)도 하우징(100) 내부 쪽으로 후퇴된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는 수축된 신축 링크 부재(110)가 가압 부재(170)를 미는 힘에 의해 가압 부재(170)의 일부가 하우징(100)의 측면 통공을 통해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외력의 인가시, 즉 우측 문(300)의 폐쇄시에는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문(300)에 설치되어 있는 유선형 보호 부재(210)가 가압 부재(170)의 돌출 부위를 밀어서 가압 부재(170)를 하우징(100) 내부로 후퇴시키는데, 이 과정에서 후퇴된 가압 부재(170)가 신축 링크 부재(110)의 측부를 밀게 됨으로써 신축 링크 부재(110)가 신장된다. 이로 인해, 신축 링크 부재(110)의 선단 부위에 고정된 빗장 부재(150)도 하우징(100) 하면의 통공(103)을 통해 돌출되어 양문형 문짝 바닥에 형성된 걸림턱(350)에 걸리게 되고, 이에 따라 좌측 문(310)이 잠금 상태로 된다. 이때 걸림턱은 또 다른 실시예로 빗장 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걸림홈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좌측 문(310)을 폐쇄한 상태에서 우측 문(300)을 폐쇄하고 자물쇠를 잠그는 것만으로 양문형 문짝을 잠글 수 있고, 이에 따라 종래 기술과는 달리 양문형 문짝을 잠그기 위해 매번 좌측 문(310)의 잠금장치를 조작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이 있다.
한편, 양문형 문짝의 양문이 모두 폐쇄되어 있는 상태에서 다시 우측 문(300)을 개방하면 가압 부재(170)를 후퇴시키는 외력이 사라져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 링크 부재(110)가 수축되고, 가압 부재(170)의 일부가 하우징(100) 측면의 통공(101)을 통해 돌출된다. 이에 따라 걸림턱(350)에 걸린 빗장 부재(150)도 하우징 내부 쪽으로 후퇴되어 잠금 상태가 풀리게 된다.
전술한 작동 방식에 따르면, 양문형 문짝이 잠긴 상태에서 양문을 개방하기 위해 좌측 문(310)의 잠금장치를 따로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줄어든다. 더욱이, 본 발명의 자동 잠금장치를 좌측 문(310)의 상단에 설치하고 하단에는 종래와 같은 수동 잠금장치를 설치하면 좌측 문을 더욱 안정적으로 잠그면서도 하단의 수동 잠금장치만을 손쉽게 조작하는 것에 의해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본 발명의 양문형 문짝 자동 잠금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양문형 문짝이 하나의 레일을 사용하는 양문형 미닫이문으로 구현되는 경우, 본 발명의 잠금장치의 하우징 측면 양단에는 체결공이 형성된 날개가 구비되어 양문형 미닫이문 일측 문의 측면 상단 또는 하단에 매립한 채로 설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양문형 문짝이 두 개의 레일을 사용하는 양문형 미세기문으로 구현되는 경우, 본 발명의 잠금장치의 하우징 측면 양단에는 체결공이 형성된 날개가 구비되어 양문형 미세기문의 일측 문의 배면 상단 또는 하단에 매립한 채로 설치될 수 있다.
특히, 가구이외에 자동차의 양문형 뒷문, 목재 또는 철재로 된 양문형 출입문 등 양문으로 이루어진 모든 제조물에 사용할 수 있다.
10 : 걸림 부재 11 : 버튼
13 : 빗장 20 : 피걸림 부재
21 : 통공 100 : 하우징
101 : 측면 통공 103 : 하면 통공
110 : 신축 링크 부재 111 : 단위 링크
113 : 이음 핀 130 : 탄성 신축 부재
150 : 빗장 부재 170 : 가압 부재
210 : 보호 부재 300 : 우측 문
310 : 좌측 문 330 : 문짝 바닥
350 : 걸림턱

Claims (8)

  1. 양문형 문짝의 일측 문의 내측 상단 또는 하단에 설치되며,
    상면 또는 하면 및 측면에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며 핀 이음으로 연결된 다수의 링크로 이루어져서 신축 가능한 신축 링크 부재;
    상기 신축 링크 부재의 말단 부위에 고정 설치되며 신장시 상기 상면 또는 하면 통공을 통해 돌출되는 빗장 부재;
    외력의 미인가시 상기 빗장 부재가 상기 하우징 내부로 후퇴하도록 상기 신축 링크 부재를 수축 상태로 유지시키는 탄성 신축 수단;
    일부가 상기 측면 통공을 통해 돌출되고 나머지 부위는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어 후퇴시 상기 신축 링크 부재의 측부를 가압하여 상기 신축 링크 부재를 신장시키는 가압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양문형 문짝의 자동 잠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면 양단에는 상기 하우징을 상기 양문형 문짝의 일측 문의 내면 상단 또는 하단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공이 형성된 날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문형 문짝의 자동 잠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통공이 형성된 상기 하우징의 측면 양단에는 상기 하우징을 상기 양문형 문짝의 일측 문의 측면 상단 또는 하단에 매립한 채로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공이 형성된 날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문형 문짝의 자동 잠금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통공이 형성된 상기 하우징의 측면 양단에는 상기 하우징을 하나의 레일을 사용하는 양문형 미닫이문의 일측 문의 측면 상단 또는 하단에 매립한 채로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공이 형성된 날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문형 문짝의 자동 잠금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통공이 형성된 상기 하우징의 측면 양단에는 상기 하우징을 두 개의 레일을 사용하는 양문형 미세기문의 일측 문의 배면 상단 또는 하단에 매립한 채로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공이 형성된 날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문형 문짝의 자동 잠금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의 돌출 부위는 반구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 부재의 돌출 부위를 안내하도록 양문형 문짝의 타측 문의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되는 유선형의 보호 부재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문형 문짝의 자동 잠금장치.
  7. 제 1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의 자동 잠금장치를 양문형 문짝의 일측 문의 상단에 설치하고 하단에는 수동 잠금장치를 설치하여 이루어진 양문형 문짝.
  8. 제 1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의 자동 잠금장치를 양문형 문짝의 일측 문의 상단과 하단에 모두 설치하여 이루어진 양문형 문짝.
KR1020100117592A 2010-11-24 2010-11-24 양문형 문짝 자동 잠금장치 및 이를 채택한 양문형 문짝 Expired - Fee Related KR101179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7592A KR101179574B1 (ko) 2010-11-24 2010-11-24 양문형 문짝 자동 잠금장치 및 이를 채택한 양문형 문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7592A KR101179574B1 (ko) 2010-11-24 2010-11-24 양문형 문짝 자동 잠금장치 및 이를 채택한 양문형 문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6071A KR20120056071A (ko) 2012-06-01
KR101179574B1 true KR101179574B1 (ko) 2012-09-07

Family

ID=46608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7592A Expired - Fee Related KR101179574B1 (ko) 2010-11-24 2010-11-24 양문형 문짝 자동 잠금장치 및 이를 채택한 양문형 문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957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8220A (ja) 2003-01-10 2004-08-05 Tsuchikawa Zenji 回動扉の開閉機構。
JP2005105730A (ja) 2003-10-01 2005-04-21 Goal Co Ltd ラッチ錠
JP2006029068A (ja) 2004-06-15 2006-02-02 Nitomuzu:Kk 扉の施錠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8220A (ja) 2003-01-10 2004-08-05 Tsuchikawa Zenji 回動扉の開閉機構。
JP2005105730A (ja) 2003-10-01 2005-04-21 Goal Co Ltd ラッチ錠
JP2006029068A (ja) 2004-06-15 2006-02-02 Nitomuzu:Kk 扉の施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6071A (ko) 2012-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5301B2 (en) Automatic released foldable door having two-way door structure
US12098575B2 (en) Transverse concealed latch system
WO2004102007A8 (en) Arrangement for guiding the deadlocking of a latch bolt in a door lock
KR200452863Y1 (ko) 사물함용 잠금장치
KR20100006507U (ko) 미닫이식 방범창 또는 방충망 도어의 잠금장치
US8136300B2 (en) Window or door frame having brace device
KR101179574B1 (ko) 양문형 문짝 자동 잠금장치 및 이를 채택한 양문형 문짝
CN101148960A (zh) 铝门窗横拉及外推共用窗限制锁
US12352098B2 (en) Passive door bolt assembly
KR20090081802A (ko)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KR20000006104U (ko) 방범을 위한 미닫이창의 열림방지장치
US20080104888A1 (en) Locking Mechanism
JPH10299315A (ja) 引き戸用施錠機構及び引き戸構造
KR102523037B1 (ko) 창문 개폐용 안전장치
KR101289321B1 (ko) 서랍장
KR200456204Y1 (ko) 안전창의 잠금장치
KR20080040937A (ko) 창문 잠금장치
KR200362804Y1 (ko) 손잡이를 구비한 사물함용 잠금장치
KR101332401B1 (ko) 창호 잠금장치
KR101299493B1 (ko) 도어의 보조 잠금장치
KR102226822B1 (ko) 창호용 잠금 장치
KR200302612Y1 (ko) 미닫이 도어 잠금장치
KR101202987B1 (ko) 창문개폐용 잠금장치
KR200158766Y1 (ko) 미닫이문 자동 잠금 장치
KR101068187B1 (ko) 도어 고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7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8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9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210830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10830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