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9433B1 - 분기관 접속 연결구 - Google Patents
분기관 접속 연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79433B1 KR101179433B1 KR1020100056386A KR20100056386A KR101179433B1 KR 101179433 B1 KR101179433 B1 KR 101179433B1 KR 1020100056386 A KR1020100056386 A KR 1020100056386A KR 20100056386 A KR20100056386 A KR 20100056386A KR 101179433 B1 KR101179433 B1 KR 10117943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ion
- assembly
- branch pipe
- main
- pip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a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16L41/14—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a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by screwing an intermediate part against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wal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 F16L17/03—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having annular axial lips
- F16L17/03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having annular axial lips the sealing rings having only one lip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16L19/062—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attachments, e.g. reduction units, T-pieces, bend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인관의 접속공(연결공)에 끼워져 접속공(연결공)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접속바디어셈블리의 바디본체에 지지밀폐링을 끼워 접속바디어셈블리를 메인관의 측면에 일차 억류시켜 줌으로서, 메인관의 접속공(연결공)에 끼워진 접속바디어셈블리가 메인관의 내측으로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더불어 결속와셔어셈블리와 너트어셈블리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메인관에 장착 고정된 접속바디어셈블리에 분기관 파이프 접속어셈블리를 용이하게 결합하여 분기관을 용이하게 조립 설치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분기관 파이프 접속어셈블리를 DC형ㆍNRF형ㆍ캡형 등 다양한 구조로 형성하여 설치조건에 따라 분기관 파이프 접속어셈블리를 취사 선택하여 분기관을 설치할 수 있고, 부품의 수를 줄여 용이하게 성형 및 조립 설치할 수 있으며, 제조원가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 접속연결구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 접속연결구에서 접속바디 어셈블리를 발췌하여 보인 단면도 및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 접속연결구에서 지지밀폐링을 발췌하여 보인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 접속연결구에서 결속와셔 어셈블리를 발췌하여 보인 단면도 및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 접속연결구에서 너트어셈블리를 발췌하여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 접속연결구에 분기관파이프접속어셈블리를 결합시키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 접속연결구에 DC형 분기관파이프접속어셈블리를 결합시키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및 DC형 분기관파이프접속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 접속연결구에 NRF형 분기관파이프접속어셈블리를 결합시키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및 NRF형 분기관파이프접속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 접속연결구에 N캡형 분기관파이프접속어셈블리를 결합시키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및 캡형 분기관파이프접속어셈블리의 단면도.
100: 분기관접속연결구 110: 접속바디어셈블리
120: 지지밀폐링 130: 결속와셔어셈블리
140: 너트어셈블리 150: 분기관 파이프 접속어셈블리
150-1: DC형 분기관 파이프 접속어셈블리
150-2: NRF형 분기관 파이프 접속어셈블리
150-3: 캡형 분기관 파이프 접속어셈블리
Claims (10)
- 메인관의 측면에 뚫어진 접속공(연결공)에 접속바디어셈블리를 내측에서 외측으로 끼워 설치하고, 상기 접속공(연결공)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접속바디어셈블리의 바디본체에 너트어셈블리를 나사 결합하여 고정시킨 것에 있어서;
상기 메인관의 접속공(연결공)에 끼워 설치되는 접속바디어셈블리;는, 원통형으로 된 바디본체의 내면과 외면의 상측부에 각각 내측나사부;와 외측나사부;가 형성되고, 외측나사부의 하측에 일체로 지지편;이 형성되며, 메인관의 접속공에 끼워 설치되는 접속바디어셈블리가 메인관의 내측으로 탈락하지 않도록 상기 바디본체의 외면 하측에 다수의 지지익편을 소정 간격으로 형성한 억류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관의 접속공(연결공)과 접속바디어셈블리와의 사이에 끼워져 접속바디어셈블리를 일차 억류시키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메인관의 접속공(연결공)에 내측에서 삽입되고 하단이 호형면으로 형성된 수직링과, 상기 수직링의 외면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연설편으로 구성된 지지밀폐링;
상기 메인관의 접속공(연결공)에 끼워 억류수단에 의해 일차 고정된 상기 접속바디어셈블리의 바디본체에 끼워 결합되도록 원통형으로 되고 하단이 호형면으로 형성된 와셔관체와, 상기 와셔관체의 하단 외측에 일체로 형성된 결속덮개판과, 상기 와셔관체의 외면에서 결속덮개판의 상면에 다수 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지지편과, 상기 와셔관체의 외면과 결속덮개판의 상면에서 일측에 형성되어 볼트스쿠루가 나사 결합되는 체결편으로 구성된 결속와셔어셈블리와;
상기 결속와셔어셈블리가 끼워 결합된 바디본체의 외면 상측에 나사 결합되어 결속와셔어셈블리를 고정시키도록 높이가 짧은 원통형으로 되고 내면에 내측나사부가 형성된 너트본체와, 상기 너트본체의 외면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플랜지로 구성된 너트어셈블리와;
원통형으로 되어 분기관이 삽입(결합)되고 내면 상단에는 확개부가 형성되면 외면에는 다수의 외측돌테가 일정한 상하 간격으로 형성된 분기관접속부와, 상기 분기관접속부의 하단에 형성되고 경사면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지름이 작은 체결관부와, 상기 체결관부의 외면에 형성되어 접속바디어셈블리의 내측나사부에 나사 결합는 외측나사부로 구성되어 상기 메인관의 외면에 고정(장착)된 결속와셔어셈블리(바디본체)의 내면 상측에 결합되어 분기관(가지관)이 결합되는 분기관 파이프 접속어셈블리;를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접속 연결구.
- 메인관의 측면에 뚫어진 접속공(연결공)에 접속바디어셈블리를 내측에서 외측으로 끼워 설치하고, 상기 접속공(연결공)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접속바디어셈블리의 바디본체에 너트어셈블리를 나사 결합하여 고정시킨 것에 있어서;
상기 메인관의 접속공(연결공)에 끼워 설치되는 접속바디어셈블리;는, 원통형으로 된 바디본체의 내면과 외면의 상측부에 각각 내측나사부;와 외측나사부;가 형성되고, 외측나사부의 하측에 일체로 지지편;이 형성되며, 메인관의 접속공에 끼워 설치되는 접속바디어셈블리가 메인관의 내측으로 탈락하지 않도록 상기 바디본체의 외면 하측에 다수의 지지익편을 소정 간격으로 형성한 억류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관의 접속공(연결공)과 접속바디어셈블리와의 사이에 끼워져 접속바디어셈블리를 일차 억류시키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메인관의 접속공(연결공)에 내측에서 삽입되고 하단이 호형면으로 형성된 수직링과, 상기 수직링의 외면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연설편으로 구성된 지지밀폐링;
상기 메인관의 접속공(연결공)에 끼워 억류수단에 의해 일차 고정된 상기 접속바디어셈블리의 바디본체에 끼워 결합되도록 원통형으로 되고 하단이 호형면으로 형성된 와셔관체와, 상기 와셔관체의 하단 외측에 일체로 형성된 결속덮개판과, 상기 와셔관체의 외면에서 결속덮개판의 상면에 다수 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지지편과, 상기 와셔관체의 외면과 결속덮개판의 상면에서 일측에 형성되어 볼트스쿠루가 나사 결합되는 체결편으로 구성된 결속와셔어셈블리와;
상기 결속와셔어셈블리가 끼워 결합된 바디본체의 외면 상측에 나사 결합되어 결속와셔어셈블리를 고정시키도록 높이가 짧은 원통형으로 되고 내면에 내측나사부가 형성된 너트본체와, 상기 너트본체의 외면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플랜지로 구성된 너트어셈블리와;
원통형으로 되어 분기관이 삽입(결합)되는 분기관접속부와, 상기 분기관접속부의 하단에 형성되고 경사면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지름이 작은 체결관부와, 상기 체결관부와 경사면과의 경계선상에 형성된 플랜지와, 상기 분기관접속부의 내면 상단부에 형성되고 밀폐링이 장입되는 환상돌부와, 상기 체결관부의 외면에 형성되어 접속바디어셈블리의 내측나사부에 나사 결합는 외측나사부로 구성되어 상기 메인관의 외면에 고정(장착)된 결속와셔어셈블리(바디본체)의 내면 상측에 결합되어 분기관(가지관)이 결합되는 분기관 파이프 접속어셈블리;를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접속 연결구.
- 메인관의 측면에 뚫어진 접속공(연결공)에 접속바디어셈블리를 내측에서 외측으로 끼워 설치하고, 상기 접속공(연결공)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접속바디어셈블리의 바디본체에 너트어셈블리를 나사 결합하여 고정시킨 것에 있어서;
상기 메인관의 접속공(연결공)에 끼워 설치되는 접속바디어셈블리;는, 원통형으로 된 바디본체의 내면과 외면의 상측부에 각각 내측나사부;와 외측나사부;가 형성되고, 외측나사부의 하측에 일체로 지지편;이 형성되며, 메인관의 접속공에 끼워 설치되는 접속바디어셈블리가 메인관의 내측으로 탈락하지 않도록 상기 바디본체의 외면 하측에 다수의 지지익편을 소정 간격으로 형성한 억류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관의 접속공(연결공)과 접속바디어셈블리와의 사이에 끼워져 접속바디어셈블리를 일차 억류시키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메인관의 접속공(연결공)에 내측에서 삽입되고 하단이 호형면으로 형성된 수직링과, 상기 수직링의 외면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연설편으로 구성된 지지밀폐링;
상기 메인관의 접속공(연결공)에 끼워 억류수단에 의해 일차 고정된 상기 접속바디어셈블리의 바디본체에 끼워 결합되도록 원통형으로 되고 하단이 호형면으로 형성된 와셔관체와, 상기 와셔관체의 하단 외측에 일체로 형성된 결속덮개판과, 상기 와셔관체의 외면에서 결속덮개판의 상면에 다수 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지지편과, 상기 와셔관체의 외면과 결속덮개판의 상면에서 일측에 형성되어 볼트스쿠루가 나사 결합되는 체결편으로 구성된 결속와셔어셈블리와;
상기 결속와셔어셈블리가 끼워 결합된 바디본체의 외면 상측에 나사 결합되어 결속와셔어셈블리를 고정시키도록 높이가 짧은 원통형으로 되고 내면에 내측나사부가 형성된 너트본체와, 상기 너트본체의 외면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플랜지로 구성된 너트어셈블리와;
원통형으로 되어 분기관이 삽입(결합)되고 상단면에 상향돌테가 형성되며 외면 상측부에 외측나사부와 플랜지가 형성된 분기관접속부와, 상기 분기관접속부의 하단에 경사면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고 분기관접속부보다 지름이 작으며 체결관부와 경사면과의 경계선상에 플랜지가 형성된 체결관부와, 상기 체결관부의 외면에 형성되어 접속바디어셈블리의 내측나사부에 나사 결합는 외측나사부와, 상기 분기관접속부의 외측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상단너트캡으로 구성되어 상기 메인관의 외면에 고정(장착)된 결속와셔어셈블리(바디본체)의 내면 상측에 결합되어 분기관(가지관)이 결합되는 분기관 파이프 접속어셈블리;를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접속 연결구.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관접속부의 외측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상단너트캡은;
원통형으로 되어 내면에는 내측나사부가 형성되고 외면에 파지돌편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너트본체;
상기 너트본체의 상면에는 지름이 너트본체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된 압착링부;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접속연결구.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56386A KR101179433B1 (ko) | 2010-06-15 | 2010-06-15 | 분기관 접속 연결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56386A KR101179433B1 (ko) | 2010-06-15 | 2010-06-15 | 분기관 접속 연결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36403A KR20110136403A (ko) | 2011-12-21 |
KR101179433B1 true KR101179433B1 (ko) | 2012-09-04 |
Family
ID=45503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56386A KR101179433B1 (ko) | 2010-06-15 | 2010-06-15 | 분기관 접속 연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79433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060640B (zh) * | 2014-07-18 | 2019-06-18 | 中交天航南方交通建设有限公司 | 一种绞吸船的排污疏浚处理方法 |
KR101642889B1 (ko) * | 2016-05-04 | 2016-07-27 | (주)파워레인 | 분기파이프 연결용 연결장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32193B1 (ko) | 2005-06-09 | 2005-12-01 | 신우산업주식회사 | 분기관 접속용 소켓 결합 구조 |
KR100696448B1 (ko) | 2004-10-18 | 2007-03-20 | 한승희 | 탄성힌지형 이중벽관 분기구 |
-
2010
- 2010-06-15 KR KR1020100056386A patent/KR10117943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96448B1 (ko) | 2004-10-18 | 2007-03-20 | 한승희 | 탄성힌지형 이중벽관 분기구 |
KR100532193B1 (ko) | 2005-06-09 | 2005-12-01 | 신우산업주식회사 | 분기관 접속용 소켓 결합 구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36403A (ko) | 2011-12-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829072C (en) | Bathtub drain and overflow kit | |
KR101179435B1 (ko) | 분기관 접속 연결구 | |
KR20080026751A (ko) | 풀림방지 및 연결소켓이 체결된 관연결장치 | |
KR101179433B1 (ko) | 분기관 접속 연결구 | |
KR101051266B1 (ko) |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의 수밀방법 | |
KR200486752Y1 (ko) | 조립식 루프드레인 | |
KR100982715B1 (ko) | 패킹을 이용한 상하수도 편수관 연결구조 | |
KR100772118B1 (ko) | 분기관 연결구 | |
KR100786561B1 (ko) | 지중구조물 조립식 관로구 | |
KR100772712B1 (ko) | 분기관 연결구 | |
CN210887506U (zh) | 一种市政排水管道结构 | |
KR100770397B1 (ko) | 이탈방지 연결클램프 및 그 연결클램프가 장착된배관이음구조 | |
KR200386397Y1 (ko) | 유체이송관의 분기소켓 설치구조 | |
KR101472494B1 (ko) | 새들 플랜지 | |
KR200386472Y1 (ko) | 합성수지관의 분기 소켓 | |
KR20190140143A (ko) | 교체기능을 갖는 부동급수전용 결속관체의 밀폐 결합구조 | |
KR101406131B1 (ko) | 힌지형 배관 이음장치 | |
KR100532193B1 (ko) | 분기관 접속용 소켓 결합 구조 | |
KR101192408B1 (ko) | 상하수도관의 분기관 연결구조체 | |
KR200387725Y1 (ko) | 우,오수받이의 유입유출구 각도조절변 | |
KR200396439Y1 (ko) | 상수파이프 고정구 | |
KR100521061B1 (ko) | 배관 분기용 연결장치 | |
KR200390468Y1 (ko) | 벌어지는 파이프 이음관용 홀더 | |
KR20080043423A (ko) |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 |
KR200374385Y1 (ko) | 탄성힌지형 이중벽관 분기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61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2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73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8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8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13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7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7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6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6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7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2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52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