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8740B1 - A module type motor control center having a drawing position indicanting button type device for drawing the unit thereof - Google Patents
A module type motor control center having a drawing position indicanting button type device for drawing the unit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78740B1 KR101178740B1 KR1020120063159A KR20120063159A KR101178740B1 KR 101178740 B1 KR101178740 B1 KR 101178740B1 KR 1020120063159 A KR1020120063159 A KR 1020120063159A KR 20120063159 A KR20120063159 A KR 20120063159A KR 101178740 B1 KR101178740 B1 KR 10117874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unit case
- case
- pull
- control cent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73—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drawer type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 H02B1/052—Mounting on rail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2—Mounting of devices therein
- H02B1/34—Racks
- H02B1/36—Racks with withdrawable unit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02—Details
- H02B11/10—Indicating electrical condition of gear; Arrangement of test socket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27—Withdrawal mechanism
- H02B11/133—Withdrawal mechanism with interlo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ip Switch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콘트롤센터에 구비된 전기장비가 부분별로 구분 장착되는 의 서랍식 유니트를 버튼으로 인출 위치를 조절하게 한 모터콘트롤센터에 관한 것으로, 버튼식 유니트 인출장치가 모터콘트롤센터의 유니트를 이루는 유니트 케이스와 상기 유니트 케이스를 받쳐 주면서 이동레일이 설치된 케이스 받침판을 서로 록크하여 상대 이동하지 못하게 하거나 이동할 수 있게 록크 해제하는 록크 제어기구와; 모터로 공급되는 주전원이 연결된 투입위치와, 차단되고 전기 제어장비를 테스트하기 위한 보조 전원만 인가되는 테스트 위치 및, 유니트를 완전하게 인출하기 위해 테스트 전원이 차단된 인출위치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유니트 케이스 위치제어기구 및; 상기 케이스 받침판의 레일을 타고 이동한 유니트 케이스의 인출 위치를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판단할 수 있게 하는 유니트 케이스 상태 표시기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모터 유니트 콘트롤 센터는 전면 커버에 설치된 누름버튼을 사용하여 유니트 케이스의 위치를 투입위치와 테스트 위치 및 인출위치에 따라 간편하게 제어할 수가 있으며, 상기 상태 표시기구의 인출위치 표시판을 통하여 유니트 케이스의 이동위치를 파악하면서 유니트 케이스의 이동위치를 조절할 수가 있으므로 편리하게 모터콘트롤센터 유니트 케이스의 이동위치를 정확하고 간편하게 제어할 수가 있게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tor control center that allows the drawer unit of the electric equipment provided in the motor control center to be divided into parts and adjusts the extraction position by a button, wherein the button unit extracting device forms a unit of the motor control center. A lock control mechanism that supports the case and the unit case and locks the case support plate on which the moving rail is installed to prevent relative movement or to release the lock; Unit case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input position to which the main power supplied to the motor is connected, the test position to be cut off and only the auxiliary power for testing the electric control equipment, and the withdrawal position to which the test power is cut off to completely withdraw the unit A position control mechanism; It is made of a unit case status display mechanism for visually determining the withdrawal position of the unit case moved on the rail of the case support plate from the outside.
The motor unit control cent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control the position of the unit case according to the input position, the test position and the withdrawal position by using the push button installed on the front cover, and the unit through the withdrawal position display panel of the status display mechanism.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movement position of the unit case while grasping the movement position of the case, so that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and accurately control the movement position of the motor control center unit case.
Description
본 발명은 모터콘트롤센터에 구비된 전기장비가 부분별로 구분 장착되는 의 서랍식 유니트를 갖춘 모터콘트롤센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터콘트롤센터를 구성하는 개개의 유니트를 버튼으로 인출 위치를 조절하게 함과 더불어, 유니트의 인출 위치를 시각적 및 감각적으로 표시하게 한 위치표시부 버튼식 인출장치 모듈형 모터콘트롤센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tor control center having a drawer unit of which the electric equipment provided in the motor control center is divided into parts, and in particular, the individual units constituting the motor control center can be adjusted with a button.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sition control unit button type take-out device modular motor control center which visually and sensorically displays the extraction position of the unit.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서 관련하는 모터콘트롤센터(Motor Control Center)란 다양한 산업시설에 설치되는 전동기와 관련 부하장치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시스템을 칭하는 것으로서, 변압기에서 공급되는 저압의 전기를 전동기로 배분 및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감시 및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general, the motor control center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system that safely protects electric motors and related load devices installed in various industrial facilities, and distributes low voltage electricity supplied from a transformer to an electric motor and It monitors and blocks the flow.
이러한 모터콘트롤센터의 내부에는 주로 NFB(No Fuse Breaker)와 MC(Magnet Contactor), OCR(Over Current Relay) 혹은 EOCR(Electronic Over Current Relay), MPR(Motor Protectiom Relay)가 구비되고, 또한 기본적으로 들어가는 CT(Current Transfomer), A-meter, V-meter, S/W, Lamp 등이 갖추어진다.The motor control center is mainly equipped with a No Fuse Breaker (NFB), a Magnet Contactor (MC), an Over Current Relay (OCR) or an Electronic Over Current Relay (EOCR), and a Motor Protectiom Relay (MPR). It is equipped with CT (Current Transfomer), A-meter, V-meter, S / W, Lamp, etc.
이와 같이 다수개의 전기 제어장비가 설치되기 때문에 통상 모터콘트롤센터에는 다수개의 서랍식 유니트가 상하로 배치되고, 이 서랍식 유니트에 상기한 바와 같은 전기 제어장비가 설치되어 있다.In this way, since a plurality of electrical control equipment is installed, a plurality of drawer units are usually disposed up and down in the motor control center, and the electrical control equipment a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in the drawer unit.
따라서, 모터콘트롤센터의 전기 제어장비를 유지 관리하기 위해서는 서랍식 유니트를 주기적으로 인출하여 각각의 유니트에 배치된 전기 제어장비를 점검해야 하는데, 이와 같이 모터콘트롤센터의 유니트를 인출하는 과정에서는 해당 유니트에 배치된 전기 제어장비에 인가되는 주전원을 차단하고, 전기 제어장비의 시험전원은 연결된 상태 (테스트 상태) 및 시험전원도 차단된 상태(완전 인출상태)로 전환하는 과정이 필요하다.Therefore, in order to maintain the electric control equipment of the motor control center, it is necessary to periodically draw out the drawer unit and inspect the electric control equipment arranged in each unit. In the process of withdrawing the unit of the motor control center, It is necessary to turn off the main power applied to the arranged electrical control equipment, and to switch the test power of the electrical control equipment to the connected state (test state) and to disconnect the test power state (complete draw state).
이와 같이 모터콘트롤센터의 유니트를 인출할 수 있게 이루어진 장치로서는 특허공고 1996-0004292호와 특허등록 10-0961777호와 같은 장치의 발명이 제안되어 있다. As such, the invention of devices such as Patent Publication No. 1996-0004292 and Patent Registration No. 10-0961777 has been proposed as a device capable of taking out a unit of a motor control center.
그런데 상기 발명에 따른 모터콘트롤센터의 유니트 인출장치는 그냥 단순히 손으로 잡아당기게 되어 있기 때문에, 주전원이 연결된 위치(투입 상태)와 테스트 위치 및 유니트가 완전히 인출된 인출위치에 따라 그 위치를 제어해 주기가 곤란하였고, 그 상태에 따른 위치의 제어를 수동으로 해 주어야만 하기 때문에 유니트의 인출 작업이 까다롭다는 문제가 있었다.
However, since the unit drawing device of the motor control ce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imply pulled out by hand, control the posi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main power is connected (input state), the test position, and the drawing position where the unit is completely drawn out. Was difficult, and the drawing out of the unit was difficult because the position control had to be performed manually.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모터콘트롤센터의 유니트 인출장치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여, 전기 제어장비가 내장된 유니트 케이스가 케이스 받침판에 대하여 이동하게 이루어진 모터콘트롤센터의 유니트 인출장치에서, 상기 유니트 케이스의 인출 위치를 사용자가 간단하게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면서, 그 인출 위치를 유니트의 인출 위치를 시각적 및 감각적으로 표시하게 한 위치표시부 버튼식 인출장치 모듈형 모터콘트롤센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problem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unit control unit of the motor control center as described above, in the unit take-off device of the motor control center that the unit case with the built-in electrical control equipment is moved relative to the case support plat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dular motor control center with a position display part button type take-off device which enables the user to easily and selectively adjust the take-out position of the unit case and display the take-out position of the unit visually and sensibly. .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모터콘트롤센터는 모터콘트롤센터의 유니트를 이루는 유니트 케이스와 상기 유니트 케이스를 받쳐 주면서 이동레일이 설치된 케이스 받침판을 서로 록크하여 상대 이동하지 못하게 하거나 이동할 수 있게 록크 해제하는 록크 제어기구와; 모터로 공급되는 주전원이 연결된 투입위치와, 차단되고 전기 제어장비를 테스트하기 위한 보조 전원만 인가되는 테스트 위치 및, 유니트를 완전하게 인출하기 위해 테스트 전원이 차단된 인출위치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유니트 케이스 위치제어기구 및; 상기 케이스 받침판의 레일을 타고 이동한 유니트 케이스의 인출 위치를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판단할 수 있게 하는 유니트 케이스 상태 표시기구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유니트 인출장치를 갖추고 있다.The motor control cent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o lock the case support plate provided with a moving rail while supporting the unit case and the unit case forming the unit of the motor control center so as not to move relative to each other or to move. A lock control mechanism for unlocking the lock; Unit case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input position to which the main power supplied to the motor is connected, the test position to be cut off and only the auxiliary power for testing the electric control equipment, and the withdrawal position to which the test power is cut off to completely withdraw the unit A position control mechanism; It is provided with a unit take-out device comprising a unit case status display mechanism for visually determining the withdrawal position of the unit case moved on the rail of the case support plate from the outside.
그리고 상기 록크 제어기구는 유니트 케이스를 케이스 받침판에 대해 록크시키는 록크기구와, 상기 유니트 케이스의 전면 커버에 설치되어 유니트에 인가되는 주전원을 차단시킴과 더불어 록크기구를 작동시키는 차단기 핸들 및, 상기 차단기 핸들과 록크기구를 연결하는 차단기 가동축으로 이루어진다.The lock control mechanism includes a lock mechanism that locks the unit case to the case support plate, a breaker handle installed on the front cover of the unit case to block main power applied to the unit, and to operate the lock mechanism, and the breaker handle. And a breaker movable shaft for connecting the lock mechanism.
따라서, 상기 록크 제어기구는 차단기 핸들을 절환 회전시키면 차단기 가동축이 회전하면서 록크기구를 록크 상태 및 록크 해제 상태로 만들어 주게 된다.Therefore, the lock control mechanism makes the lock mechanism in the locked state and the unlocked state while the breaker movable shaft rotates when the breaker handle is rotated by switching.
한편, 상기 위치제어기구는 전면 커버에 설치된 누름버튼과, 유니트 케이스의 바닥면에 관통 형성된 작동구멍에 맞추어 결합되는 고정판, 상기 버튼의 작동에 따라 고정판에 설치된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는 가동판, 상기 가동판을 고정판에 대해 회동할 수 있게 지지하는 중심축, 상기 가동판에 설치된 가동핀 및, 상기 유니트 케이스 받침판에 설치되어 상기 가동핀이 인출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합되게 하는 인입 인출포지션 브라켓으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position control mechanism is a push button provided on the front cover, a fixed plate coupled to the operation hole formed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unit case, a movable plate rotated around the central axis installed on the fixed plate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button, A central shaft supporting the movable plate so as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fixed plate, a movable pin installed on the movable plate, and a pull-out position bracket installed on the unit case support plate to selectively engage the movable pin according to the withdrawal position; Is done.
또한, 상기 상태 표시기구는 유니트 케이스의 바닥면에 형성된 작동구멍에 맞추어 결합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형성된 원호형의 작동 구멍을 통하여 이동하는 상태표시 레버, 상기 상태표시 레버를 고정판에 대해 회동할 수 있게 지지하는 회동축, 상기 상태표시 레버의 선단에 설치되어 유니트 케이스의 인출위치에 따른 3가지 색상의 마크를 구비하고 전면 커버에 형성된 위치 확인창을 통해 나타내게 하는 인출위치 표시판 및, 상기 상태표시 레버의 후단에 설치되어 유니트 케이스의 인출위치에 따라 케이스 받침판에 설치된 포지션 브라켓의 작동면에 탄력적으로 접촉하면서 이동하는 상태표시 가동핀으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status display mechanism may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ixing plate, a fixing plate coupled to the operation hole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unit case, a status display lever moving through the arc-shaped operating hole formed in the fixing plate, the status display lever relative to the fixing plate. Rotating shaft to be supported so as to be installed on the front end of the status display lever having a mark of three colors according to the extraction position of the unit case and the draw-out position display plate to be displayed through a positioning window formed on the front cover, and the status display It is installed on the rear end of the lever and is made of a status indicator movable pin that moves elastically in contact with the operation surface of the position bracket installed on the case support plate according to the extraction position of the unit case.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모터콘트롤센터 유니트 인출 장치는, 먼저, 유니트 케이스 카바에 설치된 차단기 핸들을 록크 상태에서 해제상태로 회동시키면 록크해제기구가 록크상태를 해제시키게 되고, 그 다음 유니트 케이스 카바에 설치된 누름 버튼을 누르면, 투입상태에 록크되어 있던 유니트 케이스의 록크 상태가 해제되어 손으로 유니트 케이스를 잡아당길 수 있게 된다.In the motor control center unit draw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structure, first, when the breaker handle installed in the unit case cover is rotated from the locked state to the released state, the lock release mechanism releases the locked state, and then the unit case cover When the push button is installed, the locked state of the unit case that is locked in the closed state is released, and the unit case can be pulled out by hand.
이렇게 유니트 케이스를 손으로 잡아당기면 유니트 케이스 상태표시기구의 상태표시 레버가 회동하면서, 인출위치 표시판에 구비된 3가지 색상의 위치마크 중 하나가 전면으로 향하게 하여 그 색상별 위치를 확인창을 통하여 나타내게 되어 있다.
When the unit case is pulled by hand in this way, the status display lever of the unit case status display mechanism is rotated, so that one of the three color position marks provided on the withdrawal position display panel faces to the front, and the position for each color is displayed through the confirmation window. It is.
상기에서 설명한 바의 본 발명에 따른 모터콘트롤센터의 버튼식 유니트 인출장치는 로터리식 차단기 핸들을 돌리면 유니트 케이스와 케이스 받침판의 록크 상태가 해제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유니트 카바에 설치된 인출 버튼을 누르면 유니트 케이스의 투입상태가 해제되면서 유니트 케이스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되며, 다시 이 상태에서 유니트 카바의 전면에 설치된 손잡이를 잡고 당기면 유니트 케이스가 케이스 받침판에 대해 이동하면서, 이동된 위치에 따라 색깔별 위치마크를 통하여 인출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한다.In the button-type unit take-out device of the motor control ce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lock state of the unit case and the case support plate is released by turning the rotary breaker handle. When the case is released, the unit case can be moved. In this state, if you grab the handle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unit cover and pull it, the unit case moves with respect to the case backing plate. Visually confirm the withdrawal position through.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모터콘트롤센터는 차단기 핸들을 이용하여 유니트 케이스의 록크 상태를 간단하게 해제할 수가 있고, 전면 커버에 설치된 누름 버튼을 사용하여 유니트 케이스의 위치를 투입위치와 테스트 위치 및 인출위치에 따라 간편하게 제어할 수가 있으며, 상기 상태 표시기구의 인출위치 표시판을 통하여 유니트 케이스의 이동위치를 파악하면서 유니트 케이스의 이동위치를 조절할 수가 있으므로 편리하게 모터콘트롤센터 유니트 케이스의 이동위치를 정확하고 간편하게 제어할 수가 있는 것이다.
Therefore, the motor control ce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release the lock state of the unit case by using the breaker handle, and the position of the unit case by using the push button installed on the front cover, the input position, the test position and the withdrawal position. Can be easi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status display mechanism, and the moving position of the unit case can be adjusted while grasping the moving position of the unit case through the pullout position display panel of the status display mechanism. You can do i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콘트롤센터의 일예를 나타낸 전체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니트 콘트롤 센터의 버튼식 유니트 인출 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를 컬러로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니트 콘트롤 센터의 전면 커버를 제외만 상태에서 유니트 케이스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유니트 콘트롤 센터의 록크기구가 록크상태에 있을 때 차단기 핸들의 위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유니트 콘트롤 센터의 록크기구가 록크상태에 있을 때 록크기구의 록크핀이 유니트 케이스의 바닥면과 케이스 받침판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5(c)는 도면 5(b)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유니트 콘트롤 센터의 록크기구가 록크해제 상태에 있을 때 차단기 핸들의 위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유니트 콘트롤 센터의 록크기구가 록크해제 상태에 있을 때 록크기구의 록크핀이 유니트 케이스의 바닥면과 케이스 받침판에 형성된 관통구멍에서 빠져 올라온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6(c)는 도면 6(b)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유니트 콘트롤 센터의 전면 커버에 설치된 누름 버튼을 누르기 전에 위치제어기구의 가동핀이 케이스 받침판에 설치된 인입 인출포지션 브라켓의 투입위치 홈에 끼워지고, 상태 표시기구의 상태표시 가동핀이 인입 인출포지션 브라켓의 상단돌출면에 접촉하여 상태 표시 레버가 왼쪽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된 것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7(b)는 도면 7(a)의 상태에서 인입 인출포지션 브라켓과 위치제어기구의 인입 인출 가동핀 및 유니트 케이스 상태표시기구의 상태표시 가동핀의 위치 상관관계를 나타낸 확대 평면도,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유니트 콘트롤 센터의 전면 커버에 설치된 누름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유니트 케이스를 잡아당기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위치제어기구의 가동핀이 케이스 받침판에 설치된 인입 인출포지션 브라켓의 투입위치 홈에서 빠져나오고, 상태 표시기구의 상태표시 가동핀은 인입 인출포지션 브라켓의 상단돌출면에 접촉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여 상태 표시 레버가 왼쪽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8(b)는 도면 8(a)의 상태에서 인입 인출포지션 브라켓과 위치제어기구의 인입 인출 가동핀 및 유니트 케이스 상태표시기구의 상태표시 가동핀의 위치 상관관계를 나타낸 확대 평면도,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유니트 콘트롤 센터의 전면 커버에 설치된 누름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손잡이를 사용하여 유니트 케이스를 잡아당기면, 위치제어기구의 가동핀이 케이스 받침판에 설치된 인입 인출포지션 브라켓의 테스트 위치홈쪽으로 이동하고, 상태 표시기구의 상태표시 가동핀 역시 인입 인출포지션 브라켓의 반대쪽에 마련된 테스트 위치로 이동하여 상태 표시 레버가 왼쪽으로 수직으로 위치하게 된 것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9(b)는 도면 9(a)의 상태에서 인입 인출포지션 브라켓과 위치제어기구의 인입 인출 가동핀 및 유니트 케이스 상태표시기구의 상태표시 가동핀의 위치 상관관계를 나타낸 확대 평면도,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유니트 콘트롤 센터의 전면 커버에 설치된 누름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손잡이를 사용하여 유니트 케이스를 잡아당기면, 위치제어기구의 가동핀이 케이스 받침판에 설치된 인입 인출포지션 브라켓의 테스트 위치홈쪽으로 이동하고, 상태 표시기구의 상태표시 가동핀 역시 인입 인출포지션 브라켓의 반대쪽에 마련된 테스트 위치로 이동하여 상태 표시 레버가 왼쪽으로 수직으로 위치하게 된 것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0(b)는 도면 10(a)의 상태에서 인입 인출포지션 브라켓과 위치제어기구의 인입 인출 가동핀 및 유니트 케이스 상태표시기구의 상태표시 가동핀의 위치 상관관계를 나타낸 확대 평면도,
도 11(a)는 상기 도 9와 같이 유니트 케이스가 테스트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전면 커버에 설치된 누름 버튼을 다시 누르고 유니트 케이스를 잡아당기면, 위치제어기구의 가동핀이 테스트 위치홈에서 빠져 나와 케이스 받침판에 설치된 인입 인출포지션 브라켓의 인출위치로 이동하고, 상태 표시기구의 상태표시 가동핀 역시 인입 인출포지션 브라켓의 반대쪽에 마련된 인출 위치로 이동하여 상태 표시레버가 우측으로 기울어지게 된 것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1(b)는 도면 11(a)의 상태에서 인입 인출포지션 브라켓과 위치제어기구의 인입 인출 가동핀 및 유니트 케이스 상태표시기구의 상태표시 가동핀의 위치 상관관계를 나타낸 확대 평면도,
도 12(a)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콘트롤센터의 유니트 후면에 구비된 전원제어기구에서 유니트 케이스에 구비된 브라켓이 케이스 받침대에 구비된 소켓에서 빠져나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b)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콘트롤센터의 유니트 후면에 구비된 전원제어기기구에서 유니트 케이스에 구비된 브라켓이 케이스 받침대에 구비된 소켓에 끼워지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n overall front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motor control ce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button-type unit take-out device of the unit control ce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in color the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unit case in the state except the front cover of the unit control ce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a) is a front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breaker handle when the lock mechanism of the unit control ce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locked state,
Figure 5 (b)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ck pin of the lock mechanism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unit case and the case support plate when the lock mechanism of the unit control ce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locked state,
Figure 5 (c)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Figure 5 (b),
6 (a) is a front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breaker handle when the lock mechanism of the unit control ce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unlocked state;
6 (b)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ck pin of the lock mechanism comes out of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unit case and the case support plate when the lock mechanism of the unit control ce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unlocked state;
6 (c)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Figure 6 (b),
Fig. 7 (a) shows that the movable pin of the position control mechanism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sition groove of the pull-out position bracket installed on the case support plate before pressing the push button installed on the front cover of the unit control ce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an view showing that the status display lever is inclined to the left side with the status display movable pin in contact with the upper projection surface of the pull-out draw position bracket,
7 (b) is an enlarged plan view showing the positional correlation between the pull-out position bracket and the pull-out movable pin of the position control mechanism and the status display movable pin of the unit case state display mechanism in the state of FIG. 7 (a);
8 (a) shows the state before the unit case is pulled while pressing the push button installed on the front cover of the unit control ce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ull-out position bracket with the movable pin of the position control mechanism installed on the case support plate A plan view showing that the status display lever is inclined to the left side while exiting from the groove of the insertion position, and the status display movable pin of the status display mechanism remains in contact with the upper projection surface of the inlet / outlet position bracket.
8 (b) is an enlarged plan view showing the positional correlation between the pull-out position bracket and the pull-out movable pin of the position control mechanism and the status display movable pin of the unit case state display mechanism in the state of FIG. 8 (a);
Figure 9 (a) is to pull the unit case using the handle while pressing the push button installed on the front cover of the unit control ce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able pin of the position control mechanism of the pull-out position bracket installed on the case support plate A plan view showing that the status indicator lever is moved vertically to the test position groove, and the status indicator movable pin of the status indicator is also moved to the test position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drawout position bracket.
9 (b) is an enlarged plan view showing the positional correlation between the pull-out position bracket and the pull-out movable pin of the position control mechanism and the state display movable pin of the unit case state display mechanism in the state of FIG. 9 (a);
Figure 10 (a) is to pull the unit case using the handle while pressing the push button installed on the front cover of the unit control ce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able pin of the position control mechanism of the pull-out position bracket installed on the case support plate A plan view showing that the status indicator lever is moved vertically to the test position groove, and the status indicator movable pin of the status indicator is also moved to the test position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drawout position bracket.
10 (b) is an enlarged plan view showing the positional correlation between the pull-out position bracket and the pull-out movable pin of the position control mechanism and the status display movable pin of the unit case state display mechanism in the state of FIG.
Figure 11 (a) is shown in Figure 9 when the unit case is moved to the test position by pressing the push button installed on the front cover again and pulling the unit case, the movable pin of the position control mechanism comes out of the test position groove and the case A plan view showing that the status display lever is inclined to the right side by moving to the withdrawal position of the inlet / outlet position bracket installed on the support plate, and the status display movable pin of the status indicator mechanism also moves to the withdrawal position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inlet / outlet position bracket.
11 (b) is an enlarged plan view showing the positional correlation between the pull-out position bracket and the pull-out movable pin of the position control mechanism and the status display movable pin of the unit case state display mechanism in the state of FIG. 11 (a);
12 (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racket provided in the unit case from the power control mechanism provided on the rear of the unit of the motor control ce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socket provided in the case pedestal,
12 (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ocess of fitting the bracket provided in the unit case to the socket provided in the case pedestal in the power control mechanism provided on the back of the unit of the motor control ce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면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콘트롤센터의 일예를 나타낸 전체 정면도로서, 모터콘트롤센터(MCC)에는 내부에 전기 제어장비라 내장된 다수개의 서랍식 유니트(1)가 상하로 배치되어 있는데, 이들 유니트(1)는 모터콘트롤센터(MCC)의 전체 가로폭에 걸쳐 이루어진 1/1유니트(1-1)와 가로폭의 반쪽을 나누어 설치된 1/2유니트(1-2)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Figure 1 is an overall front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motor control ce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tor control center (MCC) is a plurality of drawer unit (1) that is built up as an electrical control device is disposed up and down, these units ( 1) consists of 1/1 unit (1-1) made over the entire width of the motor control center (MCC) and 1/2 unit (1-2) divided into half of the width.
도면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콘트롤센터에 구비된 버튼식 유니트 인출장치를 개개 부품별로 분해하여 나열한 분해사시도이고, 도면 3은 도면 2에 도시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를 구별하기 쉽게 하기 위해 칼라로 나타낸 사시도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터콘트롤센터에 구비된 버튼식 유니트 인출장치는, 모터콘트롤센터에 설치된 유니트(1)를 이루는 유니트 케이스(11)와, 상기 유니트 케이스(11)를 받쳐 주는 케이스 받침판(12)을 서로 록크하여 상대 이동하지 못하게 록크 및 록크 해제시키는 록크 제어기구(2)와; 상기 유니트 케이스(11)의 인출 인입 위치를 단계별로 제어해 주는 유니트 케이스 위치제어기구(3) 및; 상기 케이스 받침판(12)의 이동 레일(12b)을 타고 전후 이동하는 유니트 케이스(11)의 인출 위치를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판단할 수 있게 하는 유니트 케이스 상태 표시기구(4)로 이루어진다.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utton unit take-out device provided in the motor control ce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disassembling arranged by individual parts,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in color to make it easy to distinguish the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n in Figure 2 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button unit take-out apparatus provided in the motor control ce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즉, 본 발명에 따른 모터콘트롤센터의 버튼식 유니트 인출장치는 1/1 유니트(1-1) 또는 1/2 유니트(1-2)에 공통으로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이다.That is, the button-type unit drawing device of the motor control ce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nd used in common in the 1/1 unit 1-1 or 1/2 unit 1-2.
한편, 상기 록크 제어기구(2)는 케이스 받침판(12)의 이동레일(12a)을 따라 유니트 케이스(11)가 이동하지 못하게 록크하는 록크기구(21)와, 상기 유니트 케이스(11)의 전면 커버(13)에 설치되어 유니트(1)에 인가되는 주전원을 차단시킴과 더불어 록크기구(21)를 작동시키는 차단기 핸들(22) 및, 상기 차단기 핸들(22)과 록크기구(21)를 연결하는 차단기 가동축(23)으로 이루어진다.Meanwhile, the
그리고 상기 록크기구(21)는 유니트(1)에 인가되는 주전원을 차단하는 차단기(211)의 벽면에 고정 설치된 고정 브라켓(212)과, 상기 고정 브라켓(212)에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되면서 상기 차단기 가동축(23)이 끼워져 삽입되는 회동 링크(213), 상기 회동 링크(213)의 선단에 축 선회할 수 있게 설치된 록크핀(214) 및, 상기 록크핀(214)의 승강 운동을 안내하는 안내 브라켓(215)으로 이루어진다.The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록크제어기구(2)는 상기 유니트 케이스(11)의 전면 커버(13)에 설치된 차단기 핸들(22)을 절환 작동시키면, 상기 차단기 가동축(23)이 회전하면서 록크기구(21)의 회동 링크(213)를 회전시키게 되고, 이 회동 링크(213)가 회전하면 회동 링크(213)의 선단에 축 선회할 수 있게 설치된 록크핀(214)이 안내 브라켓(215)에 삽입 관통된 상태에서 수직상태로 승강하면서, 유니트 케이스(11)의 바닥면에 관통 형성된 록크 구멍(11a)과 케이스 받침판(12)의 바닥면에 관통 형성된 록크 구멍(12a)에 차례로 관통 삽입되어 유니트 케이스(11)를 록크하거나, 상기 록크 구멍(11a,12a)에서 빠져 나와 유니트 케이스(11)의 록크 상태를 해제시키게 된다. When the
한편, 상기 유니트 케이스 위치제어기구(3)는 전면 커버(13)에 설치된 누름버튼(31)과, 유니트 케이스(11)의 바닥면에 관통형성된 작동구멍(32)에 맞추어 결합되는 고정판(33), 상기 고정판(33)에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된 인입 인출 가동판(34), 상기 인입 인출 가동판(34)을 고정판(33)에 대해 회동할 수 있게 지지하는 중심축(35), 상기 누름 버튼(31)과 인입 인출 가동판(34)을 축선회할 수 있게 연결하는 버튼 레버(36), 상기 인입 인출 가동판(34)의 선단에 설치되어 고정판(33)에 형성된 원호형 작동홈(37)을 관통하여 작동구멍(32)의 아래쪽까지 연장된 인입 인출 가동핀(38) 및, 상기 케이스 받침판(12)에 설치되어 상기 인입 인출 가동핀(38)이 유니트 케이스(11)의 인출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합되게 하는 인입 인출포지션 브라켓(39)으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unit case position control mechanism (3) is fixed to the
여기서, 상기 인입 인출 가동판(34)은 중심축(35)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되면서, 비틀림 스프링(34a)에 의해 탄력적으로 회동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비틀림 스프링(34a)은 지지 브라켓(34b)에 의해 탄력지지 되어 있다.Here, the pull-out withdrawal
또한, 상기 인입 인출 가동판(34)의 한쪽 선단에는 상기 록크기구(21)의 록크핀(214)이 관통하는 핀홀(34c)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핀홀(34c)은 상기 록크기구(21)가 록크상태로 되어 있을 때는 록크핀(214)이 인입 인출 가동판(34)의 핀홀(34c)을 통과하여 유니트 케이스(11)의 바닥면에 형성된 록크구멍(11a)과 케이스 받침판(12)의 록크구멍(12a)속에 삽입되어 유니트 케이스(11)를 록크시키게 되므로, 유니트 케이스(11)가 움직이지 못하게 하는 록크 상태일 때는 누름버튼(31)을 눌러도 상기 인입 인출 가동판(34)이 중심축(35)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지 못하게 한다.In addition, a pinhole 34c through which the
그리고 상기 인입 인출 가동판(34)이 얹혀져 회동하는 고정판(33)에도 상기 핀홀(34c)과 대응하는 지점에 역시 핀홀(33a)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록크핀(214)이 인입 인출 가동판(34)과 고정판(33)을 차례로 관통하여 아래의 유니트 케이스(11) 와 케이스 받침판(12)에 각각 형성된 록크구멍(11a,12a)에 삽입되게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pin-
또한, 상기 버튼 레버(36)와 인입 인출 가동판(34)은 회동핀(36a)을 통하여 축선회 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회동핀(36a)은 고정판(33)에 형성된 장공(36b)을 통하여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누름 버튼(31)을 통하여 버튼 레버(36)를 밀면, 상기 회동핀(36a)이 장공(36b)을 따라 이동하고, 인입 인출 가동핀(38)이 원호형 작동홈(37)을 타고 이동하게 함으로써 상기 인입 인출 가동판(34)이 중심축(35)을 통하여 회동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the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유니트 케이스 위치제어기구(3)의 제어 위치는 모터로 공급되는 주전원이 연결된 투입위치와, 주전원이 차단되고 전기 제어장비를 테스트하기 위한 보조 전원만 인가되는 테스트 위치 및, 전기 제어장비 등을 유지 보수하기 위해 유니트를 완전하게 인출하기 위해 테스트 전원이 차단된 인출위치로 구분된다.The control position of the unit case
한편, 상기 유니트 케이스 상태 표시기구(4)는 유니트 케이스의 바닥면에 형성된 작동구멍(32)에 맞추어 결합되는 고정판(33)과, 상기 고정판(33)에 회동축(41)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된 상태표시 레버(42), 상기 상태표시 레버(42)의 선단에 설치되어 유니트 케이스(11)의 인출위치에 따른 3가지 색상의 마크(43)를 구비한 인출위치 표시판(44) 및, 상기 상태표시 레버(42)의 후단에 설치되어 유니트 케이스(11)의 인출위치에 따라 케이스 받침판(12)에 고정 설치된 포지션 브라켓(39)의 작동면에 탄력적으로 접촉하면서 이동하는 상태표시 가동핀(45)으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unit case state display mechanism (4) is rotated around the rotating
또한, 상기 상태표시 가동핀(45)은 상태표시 레버(42)의 후단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판(33)에 형성된 원호형의 작동홈(46)을 통하여 고정판(33)의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내려와 작동구멍(32)을 통과한 다음, 포지션 브라켓(39)의 작동면에 접촉하게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state display
또, 상기 상태표시 레버(42)는 회동축(41)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으면서, 상기 회동축(41)에 끼워진 비틀림 스프링(42a)에 의해 탄력적으로 회동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비틀림 스프링(42a)은 비틀림 지지 브라켓(42b)에 의해 탄력지지 되어 있다.The
그리고 상기 케이스 받침판(12)의 바닥면에 고정 부착된 포지션 브라켓(39)의 한쪽 측면에는 유니트 케이스(11)의 투입위치와 테스트 위치에 맞추어 위치 제어기구(3)의 인입 인출 가동핀(38)이 삽입되어 걸려지는 투입 위치홈(39a)과 테스트 위치홈(39b)이 각각 형성되는 한편, 포지션 브라켓(39)의 다른 쪽 측면에는 상태표시기구(4)의 상태표시 가동핀(44)이 탄력적으로 접촉하는 투입 위치부(39c)와 테스트 위치부(39d)가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투입 위치부(39c)와 테스트 위치부(39d)는 수직면으로 되어 있는데 반하여, 상기 투입위치부(39c)와 테스트 위치부(39d)를 연결하는 연결부(39e)는 우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테스트 위치부(39d)의 앞쪽도 연속하여 우측방향으로 경사진 인출부(39f)로 형성되어 있다.And one side of the position bracket (39) fixedly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backing plate (12) in accordance with the insertion position and the test position of the unit case (11) pull in and out movable pin (38) The insertion position groove (39a) and the test position groove (39b)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each other, while the status display
상기 유니트 케이스(11)의 전면에 설치되는 전면 커버(13)에는 이미 설명한 차단기 핸들(22)과 누름 버튼(31)이 설치되어 있는 한편, 유니트 케이스(11)를 앞쪽으로 잡아당기기 위한 손잡이(14)와, 상기 인출위치표시판(44)에 마련된 3가지 색상의 마크(43)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창(15)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The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모터콘트롤센터에는 도면 12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유니트(1)의 뒷면에 유니트 케이스(11)가 앞쪽으로 인출되어 나왔을 때 주전원과 유니트 케이스(11)를 전기적으로 차단하고 유니트 케이스(11)가 완전하게 밀착되었을 때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원 제어기구(5)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원 제어기구(5)는 케이스 받침판(12)의 뒷면에 전원과 연결된 소켓(51), 상기 소켓(51)을 온오프 하는 셔터(52), 상기 유니트 케이스(11)의 뒷면에 부착되어 상기 케이스 받침판(12)의 소켓(51)에 끼워져 결합하는 플러그(53)를 갖춘 단자대(54)로 이루어진다.Finally, as shown in FIG. 12, the motor control ce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lectrically cuts off the main power supply and the
그리고 상기 셔터(52)는 가이드홈(55)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단자대(54)에는 선단이 대각선으로 이루어져 경사면(56a)을 갖춘 돌출 브라켓(56)이 돌출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전원제어기구(5)를 갖춘 본 발명의 모터콘트롤센터는 도면 12(a)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유니트 케이스(11)가 인출위치로 빠져나온 경우에는 유니트 케이스(11)의 후면에 설치된 단자대(54)의 플러그(53)가 소켓(51)에서 빠져 나와 주전원을 차단하고 있는 상태이면서, 상기 단자대(54)에 부가 설치된 돌출 브라켓(56) 역시 앞쪽으로 빠져 나와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셔터(52)가 아래쪽으로 내려와 셔터(52)에 형성된 관통구멍(52a)이 소켓(51)의 구멍과 어긋나게 되어 소켓(51)의 입구를 차단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In the motor control cent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이때 상기 셔터(52)가 완전하게 아래쪽으로 내려오지 않고 셔터(52)의 하단에 약간의 간극(57)이 형성되게 된다.At this time, a
이러한 상태에서 유니트 케이스(11)를 뒤쪽으로 밀어 넣으면 도면 12(b)에 도시하여 나타내 바와 같이, 유니트 케이스(11)의 뒷면에 설치된 돌출 브라켓(56)이 셔터(52)의 아래쪽에 형성된 간극(57) 속으로 밀고 들어가면서, 돌출 브라켓(56)의 경사면(56a)이 셔터(52)를 위쪽으로 들어올리게 된다.When the
이렇게 셔터(52)가 위쪽으로 들어 올려지면 셔터(52)에 형성된 관통구멍(52a)이 케이스 받침판(12)의 뒷벽에 형성된 소켓(51)의 구멍과 일치하게 되어, 상기 유니트 케이스(11)의 뒤쪽에 설치된 단자대(51)의 플러그(53)가 소켓(51) 속으로 삽입되어 주전원과 연결되게 함으로써, 유니트 케이스(11)의 내부에 설치된 전기 전기제어장비에 주전원이 인가되게 한다.When the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모터콘트롤센터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때는 전기제어장비가 설치된 유니트 케이스(11)가 케이스 받침판(12)의 안쪽으로 밀착 투입되고, 록크제어기구(2)의 록크핀(214)이 도면 5(b)(c)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안내 브라켓(215)과 인입 인출 가동판(34)의 핀홀(34c), 고정판(33)의 핀홀(34c), 유니트 케이스(11)의 바닥면에 형성된 록크구멍(11a) 및 케이스 받침판(12)의 바닥면에 형성된 록크구멍(12a)을 차례로 관통하여 유니트 케이스(11)가 케이스 받침판(12)에 대하여 이동하지 못하게 고정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When the motor control cent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structure operates normally, the
한편, 이때 전면 커버(13)의 차단기 핸들(22)은 도면 5(a)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breaker handle 22 of the
이러한 상태에서는 유니트 케이스(11)에 장착된 전기 제어장비(도시 안 됨)에 주전원이 연결되어 모터를 정상적으로 가동시키게 된다.In this state, the main power is connected to the electric control equipment (not shown) mounted on the
이러한 정상적인 연결상태에서, 유니트 케이스(11)에 설치된 전기제어 장비를 점검(테스트)하거나 유지 보수하기 위해 유니트 케이스(11)를 케이스 받침판(12)의 앞쪽으로 인출해야 할 경우에는, 도면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니트 케이스(11)의 전면 커버(13)에 설치된 차단기 핸들(22)을 반 시계방향으로 절환 작동시키면, 상기 차단기 가동축(23)이 회전하면서 회동링크(213)와 축선회 연결된 록크핀(214)을 도면 6(b)(c)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들어올려, 상기 유니트 케이스(11)의 록크 구멍(11a)과 케이스 받침판(12)의 록크 구멍(12a)에서 빠져 나와 유니트 케이스(11)의 록크 상태를 1차 해제시키게 된다. In this normal connection, when the
이렇게 유니트 케이스(11)의 록크가 해제되면 유니트 케이스(11)를 인출할 준비가 되는 것이다.When the lock of the
한편, 유니트 케이스(11)가 케이스 받침판(12)속으로 완전하게 투입된 정상 가동위치에서는, 도면 7(a)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위치제어기구(3)의 인입 인출 가동판(34)이 비틀림 스프링(34a)의 탄력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면서 초기의 수직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어 있는 한편, 상기 인입 인출 가동판(34)에 끼워진 인입 인출 가동핀(38)은 도면 7(b)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포지션 브라켓(39)의 우측면 상단에 형성된 투입 위치홈(39a)속에 끼워져 있으므로, 상기 포지션 브라켓(39)의 투입 위치홈(39a)속에 끼워진 인입 인출 가동핀(38) 때문에 유니트 케이스(11)가 이동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normal movable position in which the
이때, 상기 상태표시기구(4)의 상태표시 레버(42)와 연결된 상태표시 가동핀(44)은 포지션 브라켓(39)의 좌측면 상단에 형성된 투입위치부(39c)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상태표시 가동핀(44)이 포지션 브라켓(39)의 투입위치부(39c)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상태표시 레버(42)는 비틀림 스프링(42a)을 인장시키면서 상단이 왼쪽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이루게 되고, 상태표시 레버(42)의 하단에 설치된 인출위치 표시판(44)의 3가지 색상의 마크(43) 중 빨간색이 전면 커버(13)에 관통 형성된 확인창(15)과 일치하는 위치에 있게 되므로, 작동자는 상기 확인창(15)으로 보이는 빨간색 마크만으로도 유니트 케이스(11)의 현재 위치(투입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status display
이때는 상기 전원제어기구(5)의 플러그(53)가 소켓(51)에 삽입되어 주전원이 연결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At this time, the
이러한 상태에서, 도면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 커버(13)에 설치된 누름버튼(31)을 누르면 버튼 레버(36)가 밀려 지면서 중심축(35)을 중심으로 하여 인입 인출 가동판(34)을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된다.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8 (a), when the
이렇게 인입 인출 가동판(34)이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 비틀림 스프링(34a)이 탄성 압축됨과 더불어, 인입 인출 가동판(34)의 선단에 끼워진 인입 인출 가동핀(38)이 도면 8(b)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포지션 브라켓(39)의 투입 위치홈(39a)에서 빠져나오게 되는 한편, 반대편의 상태표시 가동핀(44)은 투입위치부(39c)에 그대로 있게 된다.When the pull-out pull-
왜냐하면, 상기 상태표시 가동핀(45)은 유니트 케이스(11)가 이동하여야만 함께 이동하기 때문에 아직 유니트 케이스(11)가 앞쪽으로 인출되지 않았으므로, 포지션 브라켓(39)의 투입위치부(39c)에 상태표시 가동핀(44)이 접촉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있게 된다.Because the state display
이와 같이 인입 인출 가동핀(38)이 포지션 브라켓(39)의 투입 위치홈(39a)에서 빠져나오면 유니트 케이스(11)의 록크 상태가 완전 해제되어 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데, 상기 누름 버튼(31)을 계속 누른 상태에서 손잡이(114)를 사용하여 유니트 케이스(11)를 앞으로 당기면, 도면 9(a)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포지션 브라켓(39)의 상단에 마련된 투입위치부(39c)에 걸려 왼쪽으로 기울어져 있던 상태표시 레버(42)가 비틀림 스프링(42a)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포지션 브라켓(39)의 경사진 연결부(39e)를 따라 아래쪽에 있는 테스트 위치부(39d)로 이동하게 된다.In this way, when the pull-
즉, 도면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니트 케이스(11)가 앞쪽으로 당겨져 인출되면 비틀림 스프링(42a)에 의해 탄력 지지되어 있는 상태표시 레버(42)의 가동핀(45)이 사다리꼴 형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포지션 브라켓(39)의 경사면을 따라오다가 수평상태로 된 테스트 위치부(39d)에 걸려지게 되는 것이다.That is, as shown in Fig. 9 (b), when the
이렇게 상태표시 가동핀(45)이 레버(42)가 포지션 브라켓(39)의 테스트 위치부(39d)에 걸려지게 되면 도면 9(a)에서와 같이 상태표시 레버(42)가 수직상태를 이루게 되는데, 이때 상태표시 레버(42)의 전면에 설치된 인출위치 표시판(44)에 마련된 초록색 마크(43)가 전면 커버(13)의 확인창(15)의 앞쪽에 위치하게 되므로, 작동자는 확인창(15)을 통하여 유니트 케이스(11)가 테스트 위치로 인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When the status display
이때 계속하여 누르고 있던 누름버튼(31)을 놓으면 도면 10(a)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인입 인출 가동판(34)이 비틀림 스프링(34a)의 복원력에 의해 반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다시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게 되는데, 상기한 바와 같이 유니트 케이스(11)가 앞쪽으로 이동하여 인출될 때, 상기 인입 인출 가동판(34)의 선단에 설치된 인입 인출 가동핀(38)은 도면 9(b)에 도시하여 나타내 바와 같이 포지션 브라켓(39)의 테스트 위치홈(39b)의 앞쪽까지 이동하여 내려와 있으므로, 이 위치에서 누름버튼(31)을 놓으면 인입 인출 가동판(38)이 반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면서 도면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입 인출 가동핀(38)이 포지션 브라켓(39)의 테스트 위치홈(39b)속에 끼워지게 된다.At this time, if the
따라서, 유니트 케이스(11)는 포지션 브라켓(329)의 테스트 위치홈(39b)속에 끼워진 인입 인출 가동핀(38)에 의해 일시적인 록크 상태가 되어 인입 및 인출동작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Therefore,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는 유니트 케이스(11)를 테스트 위치로 인출하고자 할 때, 그 인출 위치를 확인창(15)에 표시된 인출위치표시판(44)의 색상 마크(43)를 보고 육안으로 판단하면서 정확하게 맞추어 인출할 수가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그 다음, 다시 누름 버튼(31)을 누르면 인입 인출 가동판(34)이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상기 인입 인출 가동판(34)의 인입 인출 가동핀(38)이 포지션 브라켓(39)의 테스트 위치홈(39b)속에서 빠져 나와 유니트 케이스(11)의 일시적인 록크 상태를 해제시켜 주게 된다.Then, when the
이 상태에서 누름 버튼(31)을 계속 누른 상태로 유니트 케이스(11)를 앞쪽으로 완전하게 당겨 인출하면, 인입 인출 가동핀(38)이 포지션 브라켓(39)의 제일 앞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태표시 가동핀(45)도 포지션 브라켓(39)의 제일 앞쪽 경사면을 이루는 인출부(39f)의 경사면에 접촉하게 되면, 도면 11(a)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상태 표시 레버(42)가 비틀림 스프링(42a)의 복원력에 의해 우측으로 회동하여 상태 표시 레버(42)의 선단에 설치된 인출표시판(44)의 파란색 색상 마크(43)가 전면 커버(13)의 확인창(15) 앞에 위치하게 된다.In this state, if the
따라서, 작동자는 상기 확인창(15)을 통해 보이는 인출표시판(44)의 마트(43)를 통해 표시되는 색깔을 보고 유니트 케이스(11)의 인출 상태를 확인할 수가 있는 것이다.Accordingly, the operator can check the withdrawal state of the
이와 같이 유니트 케이스(11)가 앞쪽으로 완전하게 인출되면, 도면 12(a)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유니트 케이스(11)의 단자대(54)에 돌출된 플러그(53)가 케이스 받침대(12)의 뒷벽에 설치된 소켓(51)에서 빠져 나와 주전원이 완전하게 차단되게 된다.When the
한편, 유니트 케이스(11)의 인입 작동은, 상기의 인출 설명과정을 통하여 충분하게 파악될 수 있겠지만, 유니트 케이스(11)의 인출 과정을 반대로 하면 된다.On the other hand, the drawing operation of the
즉, 누름 버튼(31)을 눌러서 인입 인출 가동핀(38)이 포지션 브라켓(39)에 결합되지 않게 한 상태에서 유니트 케이스(11)를 밀어 넣으면 그래도 걸림 없이 투입 상태로 들어가게 되고, 이렇게 완전하게 유니트 케이스(11)가 들어가고 나면, 상태표시 레버(42)가 다시 반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인출위치 표시판(44)에 표시된 빨간색 마크(43)가 확인창(15)의 전면에 위치하게 되므로, 유니트 케이스(11)의 정확한 투입 위치로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작업을 할 수가 있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push-out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차단기 핸들(22)과 누름 버튼(31)을 사용하여 유니트 케이스(11)의 록크 상태를 제어하면서 유니트 케이스(11)를 이동시킬 수 있게 하고, 상태 표시 레버(42)와 연결된 인출위치 표시판(44)의 색상 마크(43)를 통하여 유니트 케이스(11)의 이동위치를 파악하면서 유니트 케이스(2)의 이동위치를 조절할 수가 있으므로 간편하고 정확하게 유니트 케이스(2)의 이동위치를 제어할 수가 있는 것이다.
As such,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move the
1 - 유니트 11 - 유니트 케이스
12 - 케이스 받침판 13 - 전면 커버
15 - 확인창 2 - 록크제어기구
21 - 록크기구 22 - 차단기 핸들
23 - 차단기 가동축 211 - 차단기
212 - 고정브라켓 213 - 회동링크
214 - 록크핀 215 - 안내 브라켓
3 - 유니트 케이스 위치제어기구 31 - 누름 버튼
32 - 작동구멍 33 - 고정판
34 - 인입 인출 가동판 35 - 중심축
36 - 버튼 레버 37 - 원호형 작동홈
38 - 인입 인출 가동핀 39 - 인입 인출 포지션 브라켓
4 - 유니트 케이스 상태표시기구 41 - 회동축
42 - 상태표시 레버 43 - 마크
44 - 인출위치 표시판 45 - 상태표시 가동핀
46 - 원호형 작동홈 5 - 전원제어기구
51 - 소켓 52 - 셔터
53 - 플러그 54 - 단자대
55 - 가이드 홈 56 - 돌출 브라켓
57 - 간극 1-Unit 11-Unit Case
12-Case base plate 13-Front cover
15-Confirmation Window 2-Lock Control Mechanism
21-Lock Mechanism 22-Breaker Handle
23-breaker movable shaft 211-breaker
212-Fixed Bracket 213-Rotating Link
214-Lockpin 215-Guide Bracket
3-Unit case position control mechanism 31-Push button
32-operating hole 33-mounting plate
34-withdrawable movable plate 35-central axis
36-button lever 37-circular arc
38-Entry drawout pin 39-Entry drawout bracket
4-Unit case status display mechanism 41-Rotating shaft
42-Status Indicator Lever 43-Mark
44-Drawout position plate 45-Status display movable pin
46-arc type working groove 5-power control mechanism
51-Socket 52-Shutter
53-Plug 54-Terminal Block
55-guide groove 56-protruding bracket
57-gap
Claims (7)
Lock control mechanism (2) for locking and unlocking the unit case (11) constituting the unit (1) of the motor control center and the case support plate (12) supporting the unit case (11) to prevent relative movement. Wow; The draw-in and pull-out positions of the unit case 11 include an input position to which main power supplied to the motor is connected, a test position to which only the auxiliary power for testing the electric control equipment is cut off, and a test power supply to completely withdraw the unit. A unit case position control mechanism (3) for selectively controlling a blocked draw position; Position display part button type withdrawal consisting of a unit case state display mechanism 4 for visually determining the withdrawal position of the unit case 11 moving forward and backward on the moving rail 12b of the case support plate 12 Device Modular Motor Control Center
The lock mechanism 21 of claim 2, wherein the lock mechanism 21 is pivotable to the fixing bracket 212 and the fixing bracket 212, which are fixed to the wall surface of the circuit breaker 211 for cutting off the main power applied to the unit 1. Rotating link 213 is inserted into the circuit breaker movable shaft 23 is inserted, the lock pin 214 is installed so as to pivot on the tip of the rotating link 213, and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lock pin 214 Position display part button type take-out device modular motor control cent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guide bracket 215 for guiding the movement
The stationary plate (33)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nit case state display mechanism (4) is coupled to the operation hole (32)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unit case, and the pivot shaft (41) is attached to the stationary plate (33). 3, which is installed at the distal end of the state display lever 42 and the state display lever 42, which can be rotated to the center and is elastically rotated by the torsion spring 42a. Position bracket (44) having marks of various colors (43), and position bracket (32)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status indication lever (42) and fixed to the case support plate (12)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extraction of the unit case (11). A status indicator movable pin 45 which moves while elastically contacting the operating surface of the 39; The state display movable pin 45 is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state display lever 42, protrudes downward from the fixing plate 33 through an arc-shaped operation groove 46 formed in the fixing plate 33 to position. Button type take-out device modular motor control center,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operating surface of the bracket (39)
6. The position bracket (39) according to claim 4 or 5, wherein the pull-in and pull-out movable pin (38) of the position control mechanism (3) is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position bracket (39) in accordance with the input position and the test position of the unit case (11). While the insertion position groove 39a and the test position groove 39b are formed, respectively, the other side of the position bracket 39 is in contact with the state display movable pin 44 of the state display mechanism 4 elastically. An injection position part 39c and a test position part 39d are respectively provided, and the input position part 39c and the test position part 39d have a vertical plane, and the input position part 39c and the test position The connecting portion 39e connecting the portion 39d is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that is inclined to the right side, while the lead portion 39f that is formed continuously in front of the test position portion 39d is also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that is inclined to the right side. Position display part button extractor module Motor Control Cent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63159A KR101178740B1 (en) | 2012-06-13 | 2012-06-13 | A module type motor control center having a drawing position indicanting button type device for drawing the unit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63159A KR101178740B1 (en) | 2012-06-13 | 2012-06-13 | A module type motor control center having a drawing position indicanting button type device for drawing the unit thereof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78740B1 true KR101178740B1 (en) | 2012-08-31 |
Family
ID=46888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63159A Active KR101178740B1 (en) | 2012-06-13 | 2012-06-13 | A module type motor control center having a drawing position indicanting button type device for drawing the unit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78740B1 (en)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76344B1 (en) * | 2014-06-09 | 2014-12-26 | 주식회사 광명전기 | Interlock device structure of function unit for mcc |
KR101492556B1 (en) | 2013-04-22 | 2015-02-12 | 김진웅 | Apparatus for guiding position and switchboard having the same |
WO2017153492A1 (en) * | 2016-03-09 | 2017-09-14 | Soreel Societe De Realisation D'equipements Electriques | Drawer intended to be mounted in an electrical enclosure |
KR101903779B1 (en) * | 2016-07-11 | 2018-10-04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control center unit cover of draw hole |
CN113629566A (en) * | 2021-08-13 | 2021-11-09 | 江西汇盛电力科技有限公司 | Power transformation cabinet |
WO2022238731A1 (en) | 2021-05-11 | 2022-11-17 | Elsteel (Private) Limited | Withdrawable unit |
WO2023031643A1 (en) | 2021-08-31 | 2023-03-09 | Elsteel (Private) Limited | Withdrawable unit for a functional unit compartment of a low-voltage switchgear or controlgear |
CN117220159A (en) * | 2023-11-09 | 2023-12-12 | 泉州七星电气有限公司 | 10kv power supply equipment convenient to overhaul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43817B1 (en) | 2012-02-14 | 2012-05-09 | (주)서전기전 | Mcc having an intergrated unit storage structure of mccb handle and unit insertion handle and position switch |
KR101150330B1 (en) | 2010-08-30 | 2012-06-08 | 금성제어기 주식회사 | Motor control center |
-
2012
- 2012-06-13 KR KR1020120063159A patent/KR10117874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50330B1 (en) | 2010-08-30 | 2012-06-08 | 금성제어기 주식회사 | Motor control center |
KR101143817B1 (en) | 2012-02-14 | 2012-05-09 | (주)서전기전 | Mcc having an intergrated unit storage structure of mccb handle and unit insertion handle and position switch |
Cited B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92556B1 (en) | 2013-04-22 | 2015-02-12 | 김진웅 | Apparatus for guiding position and switchboard having the same |
KR101476344B1 (en) * | 2014-06-09 | 2014-12-26 | 주식회사 광명전기 | Interlock device structure of function unit for mcc |
WO2017153492A1 (en) * | 2016-03-09 | 2017-09-14 | Soreel Societe De Realisation D'equipements Electriques | Drawer intended to be mounted in an electrical enclosure |
FR3048824A1 (en) * | 2016-03-09 | 2017-09-15 | Soreel Soc De Realisation D'equipements Electriques | DRAWER TO BE MOUNTED IN AN ELECTRICAL CABINET |
KR101903779B1 (en) * | 2016-07-11 | 2018-10-04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control center unit cover of draw hole |
WO2022238731A1 (en) | 2021-05-11 | 2022-11-17 | Elsteel (Private) Limited | Withdrawable unit |
CN113629566A (en) * | 2021-08-13 | 2021-11-09 | 江西汇盛电力科技有限公司 | Power transformation cabinet |
CN113629566B (en) * | 2021-08-13 | 2024-03-01 | 江西汇盛电力科技有限公司 | Power transformation cabinet |
WO2023031643A1 (en) | 2021-08-31 | 2023-03-09 | Elsteel (Private) Limited | Withdrawable unit for a functional unit compartment of a low-voltage switchgear or controlgear |
CN117220159A (en) * | 2023-11-09 | 2023-12-12 | 泉州七星电气有限公司 | 10kv power supply equipment convenient to overhaul |
CN117220159B (en) * | 2023-11-09 | 2024-03-26 | 泉州七星电气有限公司 | 10kv power supply equipment convenient to overhaul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78740B1 (en) | A module type motor control center having a drawing position indicanting button type device for drawing the unit thereof | |
KR101194385B1 (en) | A module type motor control center having a drawing position indicanting lever type device for drawing the unit thereof | |
KR101068757B1 (en) | Plug interlock device for circuit breaker | |
KR101443314B1 (en) | Receiving Unit Assembly and Motor Control Center with the same | |
JP2730890B2 (en) | Draw-in and draw-out mechanism of electrical breaker with main and auxiliary circuit | |
KR101078955B1 (en) | Plug interlock device for vacuum circuit breaker | |
KR101809389B1 (en) | A circuit breaker arrangement | |
CN110176734B (en) | Drawer switch operating mechanism and drawer switch cabinet | |
KR102264775B1 (en) | Interlock device of motor control panel | |
CN101764370B (en) | Unlocking mechanism of draw-out circuit breaker | |
US10672567B2 (en) | MCC closed door operation (CDO) push button interlock mechanism | |
JP2008092669A (en) | Locking device for drawer type power distribution equipment | |
KR101073681B1 (en) | Interlock device for bypass power switch | |
EP2149948A2 (en) | Draw-out mechanism for molded case circuit breakers | |
CN205645604U (en) | High tension switchgear prevents mistake operating means | |
KR101033271B1 (en) | Safety system by mechanical and electrical interlock between devices | |
CN102169767B (en) | Interlocking mechanism of switch cabinet | |
KR20140126138A (en) | Apparatus for guiding position and switchboard having the same | |
CN103887728A (en) | Drawer type low-voltage switch cabinet | |
KR100852436B1 (en) | Door and closed interlock device for vacuum circuit breaker | |
CN209963612U (en) | Drawer switch operating mechanism and drawer type switch cabinet | |
EP2482399B1 (en) | Interlocks for withdrawable circuit breakers | |
CN202076158U (en) | Switch cabinet interlocking mechanism | |
CN213150698U (en) | Circuit breaker locking mechanism | |
CN205509346U (en) | Interlocking structure and have this interlocking structure's drawer cabine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61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2062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61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8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8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8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8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7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8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16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7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81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0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1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