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8518B1 - 양방향 고정금구 - Google Patents
양방향 고정금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78518B1 KR101178518B1 KR20100071034A KR20100071034A KR101178518B1 KR 101178518 B1 KR101178518 B1 KR 101178518B1 KR 20100071034 A KR20100071034 A KR 20100071034A KR 20100071034 A KR20100071034 A KR 20100071034A KR 101178518 B1 KR101178518 B1 KR 10117851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dge
- piece
- fastening body
- cone member
- fix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고정구의 양측 내부로 각각의 고정체가 삽입되어 고정되어지는 양방향 고정금구에 있어서, 상기 고정금구는 체결몸체의 양측에 웨지가 삽입된 웨지콘부재가 각각 나사결합되어지되, 상기 웨지는 합성수지재의 웨지링에 다수개의 웨지섹터편으로 이루어진 단위웨지의 단턱편이 삽입되어 결합되어지고, 상기 웨지섹터편의 외부는 상기 단턱편과 대응되게 외측을 향하여 좁아지는 테이퍼부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웨지콘부재의 테이퍼홀에 상기 웨지가 구비되어 상기 체결몸체의 회전에 의하여 웨지콘부재가 체결몸체의 중앙으로 각각 이동되면서 상기 웨지의 단위웨지가 가압되어 고정체가 가압 고정되어지고, 상기 양측의 웨지 사이에 스프링이 삽입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상기 고정금구(A)는 체결몸체(10)의 양측에 웨지(20)가 삽입된 웨지콘부재(30)가 각각 나사결합되어지되, 상기 웨지(20)는 합성수지재의 웨지링(21)에 다수개의 웨지섹터편(23)으로 이루어진 단위웨지(22)의 단턱편(231)이 삽입되어 결합되어지고, 상기 웨지섹터편(23)의 외부는 상기 단턱편(231)과 대응되게 외측을 향하여 좁아지는 테이퍼부(232)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웨지콘부재(30)의 테이퍼홀(31)에 상기 웨지(20)가 구비되어 상기 체결몸체(10)의 회전에 의하여 웨지콘부재(30)가 체결몸체(10)의 중앙으로 각각 이동되면서 상기 웨지(20)의 단위웨지(22)가 가압되어 고정체(50)가 가압 고정되어지고, 상기 양측의 웨지(20) 사이에 스프링(24)이 삽입되어지되,
상기 단위웨지(22)의 웨지섹터편(23) 내부는 다수개의 일방향산형돌기(233)가 내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웨지섹터편(23)이 웨지링(21)에 결합되는 부분은 단턱편(231)이 돌출되게 형성되어지며, 상기 단턱편(231)의 외부에 걸림후크편(234)이 상기 웨지링(21)의 내주연부를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되어지며,
상기 웨지링(21)은 내주연부에 중심을 향하는 걸림턱(211)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걸림턱(211)에 다수개의 관통홀(212)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관통홀(212)이 끝나는 웨지링(21)의 내주연부에 후크걸림홈(213)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체결몸체(10)는 관통된 내주연부에 암나사부(11)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웨지콘부재(30)는 내부에 외측방향을 향하여 좁아지는 형태의 테이퍼홀(31)이 관통되게 형성되어지며, 외부에 상기 암나사부(11)에 나사결합되어지는 숫나사부(32)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고정금구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고정금구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내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고정금구의 분해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고정금구의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6a 및 도6b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고정금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고정금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11:암나사부 20:웨지
21:웨지링 22:단위웨지
23:웨지섹터편 30:웨지콘부재
31:테이퍼홀 32:숫나사부
50:고정체 231:단턱편
232:테이퍼부
Claims (6)
- 고정구의 양측으로 각각의 고정체(50)가 삽입되어 고정되어지는 양방향 고정금구(A)에 있어서,
상기 고정금구(A)는 체결몸체(10)의 양측에 웨지(20)가 삽입된 웨지콘부재(30)가 각각 나사결합되어지되, 상기 웨지(20)는 합성수지재의 웨지링(21)에 다수개의 웨지섹터편(23)으로 이루어진 단위웨지(22)의 단턱편(231)이 삽입되어 결합되어지고, 상기 웨지섹터편(23)의 외부는 상기 단턱편(231)과 대응되게 외측을 향하여 좁아지는 테이퍼부(232)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웨지콘부재(30)의 테이퍼홀(31)에 상기 웨지(20)가 구비되어 상기 체결몸체(10)의 회전에 의하여 웨지콘부재(30)가 체결몸체(10)의 중앙으로 각각 이동되면서 상기 웨지(20)의 단위웨지(22)가 가압되어 고정체(50)가 가압 고정되어지고, 상기 양측의 웨지(20) 사이에 스프링(24)이 삽입되어지되,
상기 단위웨지(22)의 웨지섹터편(23) 내부는 다수개의 일방향산형돌기(233)가 내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웨지섹터편(23)이 웨지링(21)에 결합되는 부분은 단턱편(231)이 돌출되게 형성되어지며, 상기 단턱편(231)의 외부에 걸림후크편(234)이 상기 웨지링(21)의 내주연부를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되어지며,
상기 웨지링(21)은 내주연부에 중심을 향하는 걸림턱(211)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걸림턱(211)에 다수개의 관통홀(212)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관통홀(212)이 끝나는 웨지링(21)의 내주연부에 후크걸림홈(213)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체결몸체(10)는 관통된 내주연부에 암나사부(11)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웨지콘부재(30)는 내부에 외측방향을 향하여 좁아지는 형태의 테이퍼홀(31)이 관통되게 형성되어지며, 외부에 상기 암나사부(11)에 나사결합되어지는 숫나사부(32)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고정금구.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00071034A KR101178518B1 (ko) | 2010-07-22 | 2010-07-22 | 양방향 고정금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00071034A KR101178518B1 (ko) | 2010-07-22 | 2010-07-22 | 양방향 고정금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9148A KR20120009148A (ko) | 2012-02-01 |
KR101178518B1 true KR101178518B1 (ko) | 2012-08-30 |
Family
ID=45834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00071034A KR101178518B1 (ko) | 2010-07-22 | 2010-07-22 | 양방향 고정금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78518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63540B1 (ko) * | 2018-07-20 | 2020-10-08 | 이시욱 | 원터치형 이지 커플러 |
KR102301698B1 (ko) * | 2020-06-04 | 2021-09-13 |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콘크리트 구조물의 철근 커넥터 |
CN113250454B (zh) * | 2021-06-03 | 2022-04-12 | 中建八局第二建设有限公司 | 一种附墙椭圆劲性混凝土结构支模体系及其施工方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43594B1 (ko) | 2003-04-18 | 2004-08-09 | 주식회사 유성엔지니어링 | 철근연결장치 |
-
2010
- 2010-07-22 KR KR20100071034A patent/KR10117851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43594B1 (ko) | 2003-04-18 | 2004-08-09 | 주식회사 유성엔지니어링 | 철근연결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9148A (ko) | 2012-02-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05074B1 (ko) | 합성수지제 파이프 연결 고정구 | |
KR101565450B1 (ko) | 방사상으로 확장 가능한 볼트 어셈블리 | |
KR101486039B1 (ko) | 압축과 인장에 의한 철근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철근 이음 방법 | |
KR101988611B1 (ko) | 슬립 방지 철근 커플러 | |
KR20070054417A (ko) | 나사 마디 철근의 이음을 위한 나사형 슬리브 | |
KR101902007B1 (ko) | 스틸 와이어 커플러 및 이의 콘크리트 정착 시공방법 | |
KR101178518B1 (ko) | 양방향 고정금구 | |
WO2007083428A1 (ja) | 鉄筋係止具 | |
KR101846820B1 (ko) | 파일조인트 유니트 | |
KR200448095Y1 (ko) | 풀림 방지 너트 | |
US20120195681A1 (en) | Steel bar connector | |
KR20180107675A (ko) |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 | |
US20070160418A1 (en) | Quick assembly bolt jacket | |
KR20130125697A (ko) | 철근의 정착길이 확보용 정착부재 | |
KR101595327B1 (ko) | 철근 연결용 커플러 | |
KR20170003058A (ko) | 결합이 용이한 가구조립용 체결구 | |
KR101884919B1 (ko) | 철근 이음장치 | |
US20140086703A1 (en) | Self-Retaining Fastener | |
KR20140093501A (ko) | 체결부재 | |
KR20130080581A (ko) | 철근 이음장치 | |
KR101319398B1 (ko) | 철근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철근 커플러의 체결방법 | |
KR20150096554A (ko) | 나사형 철근 연결용 커플러 | |
KR101573180B1 (ko) | 마감 고정구조를 갖는 턴버클 | |
KR101979898B1 (ko) | 나사형 철근 연결용 커플러 | |
KR102207160B1 (ko) | 철근 이음용 커플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7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3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1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8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8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3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22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8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8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8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8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