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78242B1 - 건조기 - Google Patents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8242B1
KR101178242B1 KR1020120034766A KR20120034766A KR101178242B1 KR 101178242 B1 KR101178242 B1 KR 101178242B1 KR 1020120034766 A KR1020120034766 A KR 1020120034766A KR 20120034766 A KR20120034766 A KR 20120034766A KR 101178242 B1 KR101178242 B1 KR 101178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opening
drying tank
dryer
clot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4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근
박민찬
이광호
구경민
권영환
Original Assignee
(주)에코에너지 기술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코에너지 기술연구소 filed Critical (주)에코에너지 기술연구소
Priority to KR1020120034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82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8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8242B1/ko
Priority to PCT/KR2012/007166 priority patent/WO201315121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6Microwave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8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6Flow or veloc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38Time, e.g. dura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16Air properties
    • D06F2105/24Flow or veloc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62Stopping or disabling machine opera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46Control of the operating tim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48Control of the energy consump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의류 등을 건조시키 위한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는, 일측이 개방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의류를 수용하는 건조조; 건조조 내에 열풍을 순환시켜 의료를 건조하는 열풍 건조부; 및 건조조의 개방부를 향하도록 마련되어 마이크로웨이브를 개방부를 통해 진입시키고, 진입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건조조의 내측면에 난반사시켜 의류를 균일하게 건조하는 마그네트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조기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열원으로 하여 의류를 건조시키게 됨으로 종래의 고온에 의해 의류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의류에 포함된 습기를 보다 빨리 효율적으로 건조시켜 건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종래의 건조기와 비교하여 소모되는 에너지를 20% 이상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건조기{DRYING MACHINE}
본 발명은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의류 등을 건조시키 위한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된 의류 등을 건조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장치에는 건조 기능만을 가지는 건조기와, 세탁 및 탈수 기능에 더하여 건조 기능을 가지는 세탁기가 있다.
종래의 건조기 또는 건조기능을 가지는 세탁기는, 주로 열풍건조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열풍건조는 가열공기와 피건조물이 접촉하여 수분을 증발시키는 대류전열 방식으로서 전도전열이나 복사전열 등을 이용하는 건조방식에 비해 그 사용범위가 상당히 넓으며, 국내에 설치되어 있는 건조기의 약 90%이상이 열풍건조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열풍을 이용하는 건조기는 피건조 재료층의 틈새로 가열공기를 통과시켜 건조하는 방식으로 가열공기의 체류시간이 짧고 배기가스가 갖고 나가는 열량(건공기의 현열 및 수증기의 잠열)이 크므로 에너지손실이 큰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이, 열풍건조기의 에너지절약은 열풍과 피건조물 사이의 열전달을 촉진시켜 건조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열풍건조기의 건조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전열촉진 기술은 충돌제트기류 이용기술, 과열증기 이용기술 및 전자파-열풍 복합건조기술 등이 있으나, 이 경우에도 여전히 보유열량의 대부분을 피건조물의 온도상승과 수분증발에 사용한 후, 방열손실을 제외한 열풍의 대부분이 그대로 배출되기 때문에 다른 건조방식에 비해 습공기의 배기 방출량이 많고 배기가스가 가지고 나가는 열량도 크므로 에너지 손실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구조는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건조조에 유입시켜 유입된 가열 공기에 의해 의류의 습기를 증발시켜 건조하는 간접가열방식으로 가열된 공기에 의해 습기를 건조시키게 되어 효율이 매우 낮아 건조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의류의 깊숙한 곳의 수분을 건조시키기 위해서는 의류의 온도가 상승되어야 하므로 의류를 손상시킬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마이크로웨이브(MICROWAVE)를 열원으로 함과 더불어 마이크로웨이브가 건조조 내에 효율적으로 발산되어 의류를 건조시키도록 하여 의류의 손상을 줄일 뿐만 아니라 건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건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건조기와 비교하여 소모되는 에너지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건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는, 일측이 개방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의류를 수용하는 건조조; 건조조 내에 열풍을 순환시켜 의료를 건조하는 열풍 건조부; 및 건조조의 개방부를 향하도록 마련되어 마이크로웨이브를 개방부를 통해 진입시키고, 진입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건조조의 내측면에 난반사시켜 의류를 균일하게 건조하는 마그네트론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마그네트론부는 건조조의 개방부 전측에 마련되되, 건조조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도어와 개방부 사이 외곽에서 개방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마그네트론부는 건조조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도어의 주변부에서 개방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건조기는, 의류 건조시 열풍 건조부와 마그네트론부를 함께 작동시킨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 의류의 수분 함량이 감소하면 마그네트론부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열풍 건조부만을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건조기는, 의류의 건조 시간을 측정하여 시간 데이터를 생성하는 타이머 또는 의류의 습도를 감지하여 습도 데이터를 생성하는 습도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구비하며, 제어부는 시간 데이터 또는 습도 데이터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마그네트론부의 동작 정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의 건조기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열원으로 하여 의류를 건조시키게 됨으로 종래의 고온에 의해 의류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의류에 포함된 습기를 보다 빨리 효율적으로 건조시켜 건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조기는 종래의 건조기와 비교하여 소모되는 에너지를 20% 이상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전후 방향으로 자른 종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전후 방향으로 자른 종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전후 방향으로 자른 종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시간당 함수율 그래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시간당 온도 그래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시간당 수분증발량 그래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수분증발속도 그래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전후 방향으로 자른 종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전후 방향으로 자른 종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전후 방향으로 자른 종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는 본체(1)의 내부에 일측이 개방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의류를 수용하여 건조 과정이 이루어지는 건조조(2)가 설치된다. 본체(1)에는 내부의 건조조(2)에 의류를 삽입하고 꺼낼 수 있도록, 건조조(2)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도어(9)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건조조(2)는 건조 효율을 상승하기 위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는, 건조조(2) 내에 열풍을 순환시켜 의류를 건조하는 열풍 건조부(110)를 포함한다. 열풍 건조부(110)는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건조조(2)의 내부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해 건조조(2)의 외부에 마련되며 건조조(2)의 전단 및 후단에 각각 연결되는 공기순환로(8)가 설치되며, 공기순환로(8) 상에는 순환시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린트필터(3, lint filter)와, 건조조(2)로부터 배출되는 고온다습한 공기를 응축하기 위한 응축열교환기(4)와, 응축열교환기(4)에 냉기를 제공하기 위한 냉각팬(5)과, 응축열교환기(4)에서 제습 건조된 공기를 건조조(2)로 재공급하기 위한 건조팬(6)과, 재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7)가 차례로 마련된다. 즉, 열풍 건조부(110)는 린트필터(3), 응축열교환기(4), 냉각팬(5), 건조팬(6), 히터(7), 공기순환로(8)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는, 제어부(130)에 의해 건조공정이 수행되는데, 열풍 건조부(110)에 의한 건조공정을 먼저 살펴보면, 먼저 건조팬(6)을 구동시키면 공기가 공기순환로(8)를 통해 건조조(2)로 유입되는데 이 과정에서 히터(7)에 전원이 공급되면서 가열되어 고온의 공기가 건조조(2)에 유입된다. 즉, 건조팬(6)과 히터(7)는 건조조(2) 내에 열풍을 제공하기 위한 열펌프 기능을 가진다. 이후, 건조조(2)에 유입된 고온의 건조한 공기는 열풍의 열전도 및 열대류 작용으로 의류의 습기를 증발시키게 되며, 의류의 습기를 증발시킨 수증기를 포함한 고온다습한 공기는 공기순환로(8)를 통해 건조조(2)의 전단으로 배출되며, 린트필터(3)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고온다습한 공기는 응축열교환기(4)를 통과하게 된다. 응축열교환기(4)에는 냉각팬(5)에 의해 냉기가 유입되며, 이 과정에서 고온다습한 공기로부터 수증기가 응축되어 외부로 배출되고, 고온다습한 공기는 제습되어 다시 건조한 공기 상태로 된다. 또한, 응축열교환기(4)를 통과하는 건조한 공기는 건조팬(6)에 의해 건조조(2)로 재공급되되, 히터(7)에 의해 가열되어 고온의 건조한 공기가 공급된다. 상기 과정을 반복하면서 의류의 습기를 제거하여 의류를 건조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는, 건조조(2)의 개방부를 향하도록 마련되어 마이크로웨이브를 개방부를 통해 진입시키고, 진입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건조조(2)의 내측면에 난반사시켜 의류를 균일하게 건조하는 마그네트론부(12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마그네트론부(120)를 건조조(2)의 개방부 전측에 마련함으로써, 건조조(2) 내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중간 매개체 없이 직접 진입시킬 수 있다. 또한, 진입되는 마이크로웨이브는 스테인리스강 재질의 건조조(2) 내측면에 난반사되면서, 마이크로웨이브의 손실 없이, 건조조(2) 내부의 전 영역에 발산된다. 이에 따라, 의류에 대한 마이크로웨이브의 발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전방위에서 직접 가열하는 방식으로 습기를 가지는 의류를 균일하게 건조할 수 있다. 마그네트론부(120)는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과, 마그네트론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론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조(2)의 개방부 전측에 마련되되, 건조조(2)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도어(9)와 개방부 사이 외곽에서 개방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발진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건조조(2) 내에 직접 진입시키기 위하여, 개방부가 형성된 건조조(2)의 전측에 설치하되, 건조조(2)와 도어(9)의 개폐 구조를 간섭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건조조(2)와 도어(9) 사이의 둘레를 따르는 바깥쪽 주변에 형성하도록 한다. 또한, 건조조(2)와 도어(9) 사이 외곽에서도 마이크로웨이브의 발진 방향이 개방부를 향할 수 있도록, 마그네트론부(120)를 건조조(2)의 개방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장착한다.
여기서, 마그네트론부(120)는 구조적 위치를 고려하여 경사지게 장착하고 있으나, 이는 건조조(2) 내부에서 마이크로웨이브의 난반사 효율 증가를 도모하기 위한 점도 있다. 구체적으로, 개폐 구조의 간섭 문제를 배제하더라도, 마이크로웨이브가 건조조(2)의 회전축에 평행하게 진입하는 경우, 마이크로웨이브가 직진하여 건조조(2)의 평평한 후측면에 부딪혀 난반사 효율이 저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마이크로웨이브의 발진 방향을 건조조(2)의 수평축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함으로써, 건조조(2) 내로 진입되는 마이크로웨이브는 건조조(2)의 내측면, 즉 건조조(2) 길이 방향의 원통형 측면에 경사를 이루는 입사각을 가지고 부딪치고 이에 따라 경사를 이루는 반사각을 가지고 발산된다. 이와 같은 입사와 반사를 반복하면서, 마이크로웨이브가 난반사되며 건조조(2) 내부의 전 영역에 골고루 발산된다. 따라서, 마이크로웨이브의 난반사 효율이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원통형의 내측면이 곡면을 이루고 있는 점도 난반사 효율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된다.
또한, 마그네트론부(120)는 도 2와 같이, 건조조(2)와 도어(9) 사이의 둘레를 따르는 바깥쪽 주변 상측과 하측 양쪽에 설치되고 있는 상태를 일례로 들었으나, 상측 또는 하측에 하나만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외곽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이는 건조기의 구조 설계와 마그네트론부(120)의 발진 효율을 고려하여 결정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론부(120)는, 도 3과 같이, 건조조(2)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도어(9)의 주변부에서 개방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도, 마이크로웨이브의 직접 진입과, 개폐 구조를 간섭 방지와, 마이크로웨이브의 난반사 효율 및 발산 효율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론부(120)는, 도 4와 같이, 건조조(2)의 후단에 연결되는 공기순환로(8) 상에 더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도, 마이크로웨이브의 직접 진입과, 마이크로웨이브의 난반사 효율 및 발산 효율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마그네트론부(120)를 포함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전체 건조 동작을 살펴보면, 제어부(130)에 의해 건조공정이 수행되는데, 건조공정은 건조조(2)를 회전시켜 건조조(2) 내부에 있는 의류를 회전시킴과 함께, 마그네트론부(120)에 전류가 인가되어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진하게 되면 발진된 마이크로웨이브가 건조조(2) 내에 발산된다. 건조조(2)에 발산된 마이크로웨이브는 유전가열의 원리에 의해 의류의 섬유조직속에 있는 수분을 가열, 증발시키게 된다. 한편, 열풍 건조부(110)에 의해 고온 열풍을 건조조(2) 내에 유입하여 의류를 가열하여 수분을 증발시키며, 건조조(2)에서 배출된 고온다습공기는 응축되어 제습되고 건조된 공기는 재가열되어 건조조(2)에 유입되어, 위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서 의류를 건조시키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는 마그네트론부(120)에 의한 수분의 직접 가열과, 열풍 가열부(110)에 의한 공기 순환 및 간접 가열에 의해 건조 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이크로웨이브를 열원으로 하여 의류를 건조시키게 됨으로 종래의 고온에 의해 의류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의류에 포함된 습기를 보다 빨리 효율적으로 건조시켜 건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도 5와 같이, 의류 건조시 열풍 건조부(110)와 마그네트론부(120)를 함께 작동시킨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 의류의 수분 함량이 감소하면 마그네트론부(120)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열풍 건조부(110)만을 동작시키는 제어부(130)를 더 포함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도 8을 참조하면, 마이크로웨이브의 경우 항율 건조까지는 월등이 빠르지만, 후반 감율 건조 단계에서는 확연히 속도가 느려짐을 알 수 있으므로, 마이크로웨이브 건조 과정은 피건조물의 수분 함량이 감소할수록 건조속도가 느려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후반부 감율 건조 단계에서는 열풍 건조부(110)만을 사용하여, 건조기의 에너지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항율 건조란 주위로부터의 전열속도와 피건조물의 증발속도가 평형을 이루는 건조 상태를 일컫는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는, 의류 건조 시간을 측정하여 시간 데이터를 생성하는 타이머(140) 또는 의류의 습도를 감지하여 습도 데이터를 생성하는 습도센서(1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구비하며, 제어부(130)는 시간 데이터 또는 습도 데이터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마그네트론부(120)의 동작 정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130)는 시간에 대한 시간 문턱값과 습도에 대한 습도 문턱값을 미리 설정하여 저장하고, 시간 데이터값이 시간 문턱값 초과시 또는 습도 데이터값이 습도 문턱값 미만시 또는 둘다 만족할 시 마그네트론부(120)를 정지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건조 과정 중 후반부 감율 건조 단계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마그네트론부(120)의 동작 정지 시점을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건조 효율 확보와 에너지 효율 확보를 동시에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습도 센서(150)의 위치는 건조조(2) 내에 직접 설치할 수 없으므로, 건조조(2)의 습도를 가장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공기순환로(8)의 전단(前端)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시간당 함수율 그래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시간당 온도 그래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시간당 수분증발량 그래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수분증발속도 그래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는 종래와 비교하여 의류의 습기를 보다 빨리, 그리고 효율적으로 건조시켜 건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건조기는 의류 가열에 필요한 시간이 짧으며, 가열도의 제어가 용이하고 응답이 빠르며, 불균일한 수분분포의 의류라도 균일하게 건조 가능하다. 이때, 균일가열이지만, 일반적으로 대류전열 등에 의해 표면온도가 내부온도보다 낮고, 내부의 증기가 신속하게 이동해 건조가 빠르게 진행된다. 또한, 건조조 주변이 가열되지 않아 작업환경이 양호하며, 건조속도가 빠르고, 건조기가 콤팩트하게 설계 가능하다.
또한, 종래의 건조기와 비교하여 소모되는 에너지를 20% 이상 감소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
(A)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건조조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온도 센서를 더 구비하여, 제어부(130)에 온도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30)는 온도에 대한 온도 문턱값을 미리 설정하여 저장하고, 온도 데이터가 온도 문턱값 초과시 열풍 건조부(110) 또는 마그네트론부(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일시적으로 정지시킴으로써, 건조조(2)의 과도한 온도 상승에 따른 의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건조기의 손상 또한 방지할 수 있다.
(B)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건조 기능을 가지는 세탁기에 상술한 열풍 건조부, 마그네트론부 및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본체
2 : 건조조
3 : 린트필터
4 : 응축열교환기
5 : 냉각팬
6 : 건조팬
7: 히터
8 : 공기순환로
9 : 도어
110 : 열풍 건조부
120 : 마그네트론부
130 : 제어부
140 : 타이머
150 : 습도 센서

Claims (5)

  1. 일측이 개방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의류를 수용하는 건조조;
    상기 건조조 내에 열풍을 순환시켜 의료를 건조하는 열풍 건조부; 및
    상기 건조조의 개방부를 향하도록 마련되어 마이크로웨이브를 상기 개방부를 통해 진입시키고, 진입되는 상기 마이크로웨이브를 상기 건조조의 내측면에 난반사시켜 의류를 균일하게 건조하는 마그네트론부;
    를 포함하는 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론부는 상기 건조조의 개방부 전측에 마련되되, 상기 건조조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개방부 사이 외곽에서 상기 개방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론부는 상기 건조조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도어의 주변부에서 상기 개방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의류 건조시 상기 열풍 건조부와 상기 마그네트론부를 함께 작동시킨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 의류의 수분 함량이 감소하면 상기 마그네트론부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상기 열풍 건조부만을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의 건조 시간을 측정하여 시간 데이터를 생성하는 타이머 또는 의류의 습도를 감지하여 습도 데이터를 생성하는 습도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간 데이터 또는 상기 습도 데이터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마그네트론부의 동작 정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KR1020120034766A 2012-04-04 2012-04-04 건조기 KR101178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766A KR101178242B1 (ko) 2012-04-04 2012-04-04 건조기
PCT/KR2012/007166 WO2013151214A1 (ko) 2012-04-04 2012-09-06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766A KR101178242B1 (ko) 2012-04-04 2012-04-04 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8242B1 true KR101178242B1 (ko) 2012-08-29

Family

ID=46888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4766A KR101178242B1 (ko) 2012-04-04 2012-04-04 건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78242B1 (ko)
WO (1) WO2013151214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5201A (ko) * 2017-01-18 2018-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기 및 상기 건조기의 제어 방법
KR102053145B1 (ko) * 2018-06-25 2019-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KR102053146B1 (ko) * 2018-06-25 2019-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18230A (zh) * 2018-03-28 2019-10-11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干衣机
CN110344221B (zh) * 2018-04-03 2022-03-25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干衣机及其控制方法、控制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409154A (zh) * 2018-04-28 2019-11-05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微波干衣机的毛屑过滤装置及微波干衣机
CN110409150A (zh) * 2018-04-28 2019-11-05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风路系统和微波干衣机
CN113279225A (zh) * 2021-05-06 2021-08-20 电子科技大学长三角研究院(湖州) 一种基于微波有耗传输线的速干衣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0026B1 (ko) 1997-06-13 2000-04-01 김진억 저온건조세탁기 및 이를 이용한 세탁물 건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4388A (ja) * 1993-10-28 1995-05-16 Miura Kenkyusho:Kk 乾燥機
KR20010000177A (ko) * 2000-07-26 2001-01-05 조기현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연속식 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0026B1 (ko) 1997-06-13 2000-04-01 김진억 저온건조세탁기 및 이를 이용한 세탁물 건조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5201A (ko) * 2017-01-18 2018-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기 및 상기 건조기의 제어 방법
WO2018135845A1 (en) 2017-01-18 2018-07-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ry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3555358A4 (en) * 2017-01-18 2020-01-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RY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563343B2 (en) 2017-01-18 2020-02-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ry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U2018210637B2 (en) * 2017-01-18 2023-04-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ry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747142B1 (ko) * 2017-01-18 2024-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기 및 상기 건조기의 제어 방법
KR102053145B1 (ko) * 2018-06-25 2019-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KR102053146B1 (ko) * 2018-06-25 2019-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51214A1 (ko) 201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8242B1 (ko) 건조기
CN107780120B (zh) 衣物处理装置
EP2636788B1 (en) Clothes dryer and washer/dryer
EP2450485A1 (en) End of cycle detection for a laundry treating appliance
KR102695819B1 (ko) 인덕션 히터를 갖는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US20120151792A1 (en) Dryer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JP5023569B2 (ja) 衣類乾燥機
CN105463762A (zh) 衣物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
KR101020427B1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020331B1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CN110409153A (zh) 用于衣物处理设备的衣物护理方法及衣物处理设备
KR20150123637A (ko) 콘덴싱 방식의 세탁건조기
JP2020116098A (ja) 乾燥機、制御装置、及び制御プログラム
KR101119120B1 (ko) 의류 처리장치
JP2013240497A (ja) 衣類乾燥機
JP2007111396A (ja) 洗濯乾燥機
CN112030497B (zh) 一种热泵干衣机及其控制方法
CN109750466A (zh) 干衣机及其烘干羊毛织物的方法
JP2020062210A (ja) 乾燥機、制御装置、及び制御プログラム
KR20120073582A (ko) 응축식 건조장치
KR102073860B1 (ko) 건조기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JP7345127B2 (ja) 乾燥機、制御装置、及び制御プログラム
CN110409112A (zh) 用于洗干一体机的衣物护理方法及洗干一体机
KR100214619B1 (ko)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건조 겸용 세탁기
CN109402990B (zh) 衣物处理方法及衣物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0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8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8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5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2

Year of fee payment: 4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60512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0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1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1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603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512